KR100786280B1 - 유연한 천정패널, 천정시스템, 및 패널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유연한 천정패널, 천정시스템, 및 패널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280B1
KR100786280B1 KR1020027001721A KR20027001721A KR100786280B1 KR 100786280 B1 KR100786280 B1 KR 100786280B1 KR 1020027001721 A KR1020027001721 A KR 1020027001721A KR 20027001721 A KR20027001721 A KR 20027001721A KR 100786280 B1 KR100786280 B1 KR 100786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inforcing member
plate
reinforcing
ceil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135A (ko
Inventor
쿠페루스코
스위츠크츠폴지.
Original Assignee
헌터 더글라스 인더스트리즈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터 더글라스 인더스트리즈 비.브이. filed Critical 헌터 더글라스 인더스트리즈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4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8Creasing
    • B31F1/10Creasing by rotary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1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being foldable, curvable or roll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4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a honeycomb co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5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being la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irregularities on the faces, e.g. holes,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extruded supporting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04C2002/3444Corrugated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04C2002/3444Corrugated sheets
    • E04C2002/345Corrugated sheets with triangular corrug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4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profiled spacer sheets
    • E04C2002/3444Corrugated sheets
    • E04C2002/3455Corrugated sheets with trapezoidal corrug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002/3494Apparatus for making profiled space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현수식천정시스템 또는 적절한 변형례로 벽에서 사용하기 위한 패널에 있어서, 천정시스템은 패널을 지지하기 위하여 그들 사이에 영역을 형성하는 수평재 및 교차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패널은 판재에 대하여 적어도 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내부에 형성되는 채널을 구비하는 보강부재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평판재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판재가 사용되는 경우에, 판재는 보강부재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상기 패널은 지지시스템의 수평재와 교차부재 사이의 개구부내로 쉽게 삽입되기 위하여 유연하며, 선적을 위하여 더 얇은 프로파일로 쉽게 압축된다.

Description

유연한 천정패널, 천정시스템, 및 패널 형성 방법{FLEXIBLE CEILING PANEL, CEILING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PANELS}
관련출원과 상호참조
본 출원은 1999년 8월 13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14883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출원에서 개시된 바 전체를 참조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 및 천정용 커버링(covering)에 관한 것이고, 보다 특별하게는, 개별 패널이 지지부재의 매트릭스상에 지지되는 벽패널 또는 현수식천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천정은 수많은 형태를 취한다. 천정은 건축물 그 자체의 서까래(rafters) 또는 들보(beams)가 노출되도록 마감되지 않은채로 남겨지거나, 상기 서까래 및 들보가 석고판, 나무스트립, 플라스터 또는 기타 유사마감재를 사용하여 가리워질 수 있다.
또다른 보편화된 천정시스템으로는 통상적으로 지지바 사이에 나란히 형성된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는 매트릭스를 형성하도록, 마감되지 않은 천정에 복수의 지지바가 설치되는 현수식천정(drop ceiling)이 언급된다. 개구부는 통상 강성의 방음패널로 메워지며, 상기 패널은 그들의 주변에지부를 따라 지지바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러한 현수식천정은 얼마간의 장점을 가지지만, 수많은 단점들이 존재한다. 한가지 단점은 대부분의 방음패널이 일반적으로 동일한 외관을 가지기 때문에 천정시스템의 미적인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이며, 또다른 단점은 상기 패널이 경질이고 취성이 있어 쉽게 깨어질 수 있는데다가, 패널을 위한 지지표면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지바가 부분적으로 개구부쪽으로 돌출되어야만 하는데, 그들의 강성으로 인하여, 주어진 개구부내에 패널을 삽입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현수식천정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고, 벽 또는 천정용으로 신규의, 개량된 클래딩 시스템(cladding system)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유연한 패널이 지지바의 격자체(grid work)위에 제거가능하게 지지되는 바람직한 신규의 개선된 천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지바는 역T자 형상의 단면구조로 되어 있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수평재와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교차부재로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연한 패널은 수평재와 교차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부내에 들어 맞는 크기로 만들어지며, 역T자 형상 지지부재의 수평돌기부상에 놓여진다.
상기 패널은 수많은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섬유질의 재료로 만들어진 다소 단단하지만 유연하거나 또는 접을수 있는 재료로된 적어도 하나의 판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이 지지용 격자체(supporting grid work)내의 개구부내로 삽입되는 동안에는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고, 이어서 상기 상기 지지용 격자체위에 상기 패널이 쉽게 자리잡을 수 있게 펼쳐질 수 있도록 수많은 방식 중 하나로 보강된다.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서, 패널은 접혀지거나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판재는 지지부재 사이의 공간을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가진 재료로 된 평행한 제2판에 의하여 보강되거나, 또는 노출되지 않거나 어쩌면 노출되기도 하는 판재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보강부재에 의하여 간단히 보강되어 있을 수 있다. 여러장의 판재가 활용되는 경우에, 소요되는 간격을 가지는 관계로 판재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이렇게 형성된 패널에는 적절한 단열재를 제공하고, 또한, 대개의 경우에, 패널이 일단 설치되었을 때에, 천정시스템에 다양한 미적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색상, 결(grains) 또는 조직무늬의 장식필름으로 덧씌어질 수 있다.
패널에 대한 설명이 요약되었으므로, 이후에는 천정시스템의 형성부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상기 지지시스템의 변형례로서 상기 패널이 건축물의 벽으로도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형태, 특징 및 세부사항들은 첨부도면 및 청구항과 연관하여,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더 완벽히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식천정시스템(100)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이 배치될 수 있는 통상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길다란 십자형 지지부재(102)인 종래의 서스펜션 시스템을 활용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전형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길다란 수평재(102a)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종래방식 및 천정시스템이 장착되는 건축물의 하부구조체로부터 통상적으로 4 내지 6inch의 수직 공간을 두고 천정구조체의 전체에 걸쳐 일 방향과 평행한 관계가 되도록, 매어달려 있다. 복수의 수평교차지지부재(horizontal cross-support member)(102b)는 4변형의 개구부가 그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수평재와 평행 및 수직한 관계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교차부재는 상기 수평재와 동일한 높이에 매어달려 있다. 상기 수평재와 교차부재는 수직몸체(106)의 양쪽에 수평쇼울더(horizontal shoulders)(104)를 형성하도록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역T자형상의 단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쇼울더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주변에지부를 지지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해할 수 있겠지만, 패널의 주변에지부 전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쇼울더가 제공되도록 각각의 사변형 개구부 주의의 주변으로 T자형상의 지지부재(102)가 연장된다.
서스펜션 시스템의 기타 유형이 활용될 수 있지만, 기술된 형식의 서스펜션 시스템이 매우 실용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등각도(isometric view),
도 2는 도 1의 패널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현수식천정시스템을 위쪽방향으로 본 부분등각도,
도 3은 도 2의 라인 3-3을 따라 취해진 확대부분단면도,
도 4는 도 1의 패널 측면의 확대정면도,
도 5는 점선으로 패널용 지지부재를 나타내고 있는 도 4의 단면확대도,
도 6은 도 1의 패널의 확대부분등각도,
도 7은 도 6과 유사한 도면으로, 도 5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형식의 지지부재를 실선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패널이 완전히 펼쳐진 경우의 지지부재가 채용된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 지지부재를 점선으로 나타낸 패널이 접히고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패널이 편평한 상태로 완전히 접힌후의 측면도,
도 10은 완전히 접힌 상태로 서로 쌓아올려진 3개의 패널을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
도 11은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 천정시스템의 지지격자체내의 위치에 패널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부분적으로 접히거나 굽혀진 패널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12는 약간 접히거나 굽혀진 패널을 다시 도시하고 있는 도 11과 유사한 도면을 축소시킨 측면도,
도 13은 도 1의 패널에 하부면을 덮는 장식용필름층을 포함시킨 도 1의 패널의 분해등각도,
도 14는 도 13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
도 15는 펼쳐진 상태로 패널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패널의 반대쪽 끝단부를 따라 연속되어 있는 끝단부캡을 가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널의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라인 16-16을 따라 취해진 단면을 확대한 부분단면도,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패널의 일부를 떼어낸 부분등각도,
도 18은 패널의 접힌 상태를 점선으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제2실 시예의 측면도,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패널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측면도,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널의 부분등각도,
도 21은 재료의 제2평행판재를 제외하고는 도 18에 나타낸 패널과 유사한 패널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제3실시예의 측면도,
도 22는 도 21의 패널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측면도,
도 23은 도 21에 나타낸 패널을 확대한 부분등각도,
도 24는 보강재료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1방법을 나타낸 도 21의 패널의 보강부의 부분등각도,
도 25는 보강재료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2방법으로, 도 24와 유사한 도면,
도 26은 보강재료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제3방법을 예시하고 있는, 도 24와 유사한 도면,
도 27은 도 21과 유사한 도면으로, 부분적으로 압축된 도 21의 패널에 대한 측면도,
도 28은 도 2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은 패널을 확대한 부분단면도,
도 29는 도 28과 유사한 도면으로, 패널이 더욱 압축된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30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이 부분적으로 압축된 상태의 등각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4실시예의 측면도,
도 32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단면도,
도 33은 도 32와 유사한 도면으로, 패널이 부분적으로 압축된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34은 도 31에 나타낸 패널의 부분등각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5실시예의 측면도,
도 35a는 도 36의 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
도 36은 도 35에 나타낸 패널의 일부를 예시하고 있는 확대된 부분단면도,
도 37은 도 36과 유사한 도면으로, 패널이 부분적으로 압축된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38은 도 35에 나타낸 패널의 부분등각도,
도 39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6실시예의 측면도,
도 40은 도 39에 나타낸 패널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단면도,
도 41은 도 40에 나타낸 패널 일부의 부분등각도,
도 42는 도 39와 유사한 도면으로, 패널에 평행판재가 더해진 상태의 측면도,
도 43은 도 42에 나타낸 패널 일부의 부분수직단면도,
도 44는 도 43에 나타낸 패널 일부의 부분등각도,
도 45는 패널에 형성된 접힘 또는 곡면을 가진, 도 39에 나타낸 패널에 대한 측면도,
도 45a는 도 45와 유사한 도면으로, 도 45의 패널의 보강부를 실선으로, 보강부재와 연결된 평행판을 점선으로 나타낸 확대도,
도 46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7실시예의 부분수직단면도,
도 47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8실시예의 등각도,
도 48은 도 47에 나타낸 패널의 분해등각도,
도 49는 도 47의 패널에서 사용되는 제2보강스트립의 등각도,
도 50은 도 47에 나타낸 패널의 보강구조체의 등각도,
도 51은 도 49에 나타낸 제2보강스트립이 해당 판로부터 어떻게 잘릴 수 있는 지를 예시하고 있는 판재의 등각도,
도 52는 도 4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널의 하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및 위쪽으로 본 도 47에 나타난 패널의 측면도,
도 53은 도 52의 라인 53-53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도 54는 도 53의 라인 54-54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5는 패널이 부분적으로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 53과 유사한 도면으로, 도 56의 라인 55-55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6은 패널이 부분적으로 압축된 상태인 도 54와 유사한 도면으로, 도 55의 라인 56-56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7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9실시예의 측면도,
도 58은 도 57에 나타낸 패널의 일부를 통하여 취한 부분수직단면도,
도 59는 도 58에 예시된 패널 일부의 부분등각도,
도 60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10실시예의 측면도,
도 61은 도 60의 패널을 통하여 취한 부분수직단면도,
도 62는 도 61에 예시된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등각도,
도 63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11실시예의 측면도,
도 64는 도 63의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된 부분수직단면도,
도 65는 도 64에 예시된 패널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등각도,
도 66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12실시예의 측면도,
도 67은 도 66에 나타낸 패널의 일부를 통하여 취한 확대된 수직단면도,
도 68은 도 67에 나타낸 패널의 일부를 예시한 부분등각도,
도 69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13실시예의 측면도,
도 70은 도 69에 나타낸 패널의 일부를 통하여 취한 확대된 수직단면도,
도 71은 도 70에 나타낸 패널의 일부를 예시한 부분등각도,
도 72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14실시예의 측면도,
도 73은 도 72에 나타낸 패널의 일부를 통하여 취한 확대된 수직단면도,
도 74는 도 73과 유사한 도면으로, 패널이 부분적으로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수직단면도,
도 75는 도 73 및 도 74에 나타낸 패널 일부의 부분등각도,
도 76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15실시예의 측면도,
도 77은 도 76에 나타낸 패널의 일부를 통하여 취한 확대된 수직단면도,
도 78은 도 77과 유사한 도면으로, 패널이 부분적으로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수직단면도,
도 79는 도 77 및 도 78에 나타낸 패널 일부의 부분등각도,
도 80은 도 60에 나타낸 패널과의 연결용으로 적합한 지지부재의 부분등각도,
도 81은 도 80에 나타낸 지지부재의 끝단부도,
도 82는 도 60의 패널내에서 결합된 지지부재의 끝단부도,
도 83은 도 60의 패널과 그 내부에서 결합된 도 80의 지지부재의 끝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108)의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17에 예시되어 있다. 아마도 도 5에서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패널(108)은 상부평판(110), 하부평판(112) 및 실질적으로 S자형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평행한 보강부재(114)를 포함한다. 보강부재뿐만 아니라 상부 및 하부 평판은 휘어질 수 있는 다소 강성인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만들어진 재료로는 열로 몰딩가능한 중합수지 매트릭스(heat moldable polymeric resin matrix) 또는 열 경화 수지 매트릭스(thermal setting resin matrix)에 의하여 함께 결합된 내열 섬유의 부직포가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수지내에 묻혀진 유리섬유는 상기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것이며, 상기 섬유는 비교적 길고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섬유의 길이는 적어도 1/4inch이어야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1/2inch이고 특히 적어도 1inch는 되어야 한다. 유리섬유의 두께는 7microns이상, 100microns이하이어야 하고, 32microns를 넘지않으며, 특히 10 내지 16microns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재료는 Ohio의 Johns Manville of Waterville에 의하여 제조된 100GSM glass mat #8802이거나 그 대안물로는 일본의 OJI Glasspen 및 핀란드의 Ahlstrom으로부터의 재료가 이용가능하다.
상부 및 하부평판의 재료는 지지시스템의 수평재(102a)와 교차부재(102b)에 의하여 형성되는 면적과 일치하는 소정 크기로 잘려진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평판의 재료는 소정의 위치에서 직각으로 접힐 수 있도록 소정 위치에 미리 자국(crease; 도 5의 122 참조)을 낸 재료의 길다란 스트립이 형성되어 있는 보강부재(114)에 의하여 평행으로 떨어져 있는 관계로 유지된다. 또한 재료의 스트립은 보강부재를 형성하기 위해서 미리 결정된 길이로 잘려진다.
상기 자국(도 5의 122)은 보강부재를 구성하는 스트립 재료가 접혀지는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위치는 스트립의 전체 너비의 대략 1/4부분에서 상기 스트립의 각 에지부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트립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히는 경우에, 그들은 상부 플랩(flap)(124)과 하부 플랩(126) 및 상기 각 플랩의 대략 2배의 너비를 갖는 중간 몸체(128)를 형성한다. 물론 각 자국의 선은 상기 플랩이 중간 몸체에 대하여 접히도록 한다. 스트립에 자국을 낼 때 유리섬유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를 함으로써, 유리섬유가 상기 재료에 요구되는 탄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스트립 재료의 탄성을 유지하기 위한 대안적인 수단을 채용할 필요가 없다. 인접한 상부평판(110) 또는 하부평판(112)에 플랩을 견고하게 접착시키기 위해서, 플랩의 외면상에 접착제가 제공된다. 상기 접착제는 수많은 형태로 만들어 지지만, 스위스의 EMS-Chemie AG of Doma/Ems에 의하여 만들어지고, 방염성 코폴리스터 접착제 #1533로 불리는 다공성 접착제가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강부재의 자국 및 이들 자국을 따라 스트립 재료가 구부러질 가능성으로 인하여, 반드시 보강부재 그 자체힘으로만 그들이 서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면서 서로를 향하여 판재를 이동시킴으로써 패널이 접혀질 수 있는 이격된 관계로 상부평판(110) 및 하부평판(112)을 유지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패널이 접혀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더욱 강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된 대각선 지지부재(130) 또는 가능하게는 상기 동일한 유리섬유 보강수지재료가, 판재와 인접한 보강부재들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셀(132)내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들 지지부재(130)는 도 5에서는 점선으로, 도 7에서는 실선으로 예시되어 있다. 지지부재는 원하는대로 패널을 지지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이격된 셀내에 또는 모든 셀내에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의 셀내에 삽입된 지지부재에서도, 상기 패널은 도 11 또는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약간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완전히 확장된 패널(108)의 전체 크기는 실질적으로 개구부의 크기와 동일하더라도 패널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수평재(102a)와 교차부재(102b) 사이의 개구부내로 패널이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이는 구부러지거나 휠 수 없는 강성의 패널이 대략 동일한 크기의 개구부내에 삽입되어야 하는 경우의 종래기술에서의 시스템에 비하여 뚜렷한 장점을 제공한다.
모든 셀내에서는 아니지만, 특별히 선택된 위치에 지지부재를 삽입함으로써, 패널은 어떤 상황에서는 유용하거나 흥미를 끌 수 있는 곡선형상을 취할 것이다.
보강부재(114)는 적합한 여하한 방식이든간에 상부평판(110) 및 하부평판(112)에 접착식으로 접합될 수 있지만, 예시의 방법으로는, 접착제가 플랩(124, 126)의 전체면을 덮도록 제공되고, 플랩의 전체 넓이는 아니지만 플랩을 따라 연속되는 라인에 제공되며, 플랩을 따르는 간헐적인 선(intermittent lines) 또는 기타 이러한 응용에서 제공될 수 있다. 보강부재는 또한 판재에 가열용접 또는 초음파로 접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로 하여, 각각의 셀로부터 지지부재(130)를 구성하는 지지스트립을 제거함으로써, 도 9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가 각각 상부평판(110) 및 하부평판(112)과 평행한 관계로 펴지고 연장되도록 그들의 자국(122)을 따라 보강부재(114)를 접음으로써 패널(108)이 접힐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패널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선적하기 위하여 작은 면적내에 쌓아올려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현수식천정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패널을 선적하는 경우에 상당한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천정시스템이 장착되는 방의 내부에 노출되는 면인 하부평판(112)의 하부노출면에서, 엘라스토머릭 폴리머(elastomeric polymer), 우레탄필름 또는 네오프렌필름(neoprene film)과 같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필름(thermoplastic or thermosetting polymeric film)(134) 등의 장식용 연속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패널(108)이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필름재료는 단순히 색상을 가진 재료의 편평한 판일 수 있고, 주름살(furrow)가공이 될 수 있거나 또는 아니면 무늬가 있는 엠보스가공이 되거나 그면에 나무입자 또는 기타의 장식용무늬를 가질 수 있다. 패널의 하부면을 장식하기 위한 수많은 가능성이 존재하고 상기 필름 또는 관련된 재료의 판는 패널의 하부평판(112)의 바닥면을 따라 상기 패널에 접착식으로 또는 그렇지 않으면 고정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장식용필름 또는 기타 재료는 아래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패널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장식용커버링 또는 장식용필름의 예시는:
a) Gen Corp. of Columbus, Miss.에 의하여 만들어진 보강(supported) 비닐 벽커버링,
b) Alkor Draka of Munich, Germany에서 래핑작업에서 사용되는 무보강(unsupported) 비닐필름,
c) Pallas Inc. of Green Bay, Wisconsin에 의하여 만들어진 방염지,
d) Permalin Product Co. of New York, New york에 의하여 만들어진 방염지,
e) Jhons Manville of Waterville, Ohio로부터의 직조된 섬유유리매트,
f) Hunter Douglas Inc. of Broomfield, Colorado에 의하여 퀼트(quilt)되고 H & V of Floyd, VA에서 만들어진 방염 부직 #TR2315B-1,
g) Keim of Holland에 의하여 제조된 페인트로는 유리 부직포상에 있는 방염유리페인트가 있다. 상기 유리 부직포는 Alkstrom of Finland에서 제조된 것이다.
도 5에서 점선으로 나타난 대각선 지지부재의 대안물로서,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길다란 끝단부 캡(136)이 활용될 수 있다. 이들 끝단부 캡은 단순히 길게 늘여진 강성재료의 U자형 채널부재로서 보강부재(11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관계로 상술된 패널(108)의 끝단부에 위에 꼭 맞추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끝단부 캡은 도 8 및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패 널이 접히는 것을 막고, 물론, 선적을 위하여 패널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일단 패널이 천정시스템에 설치할 준비가 되면 상기 패널상에 설치될 수 있다. 대안물로서, 상기 끝단부 캡은, 상기 끝단부를 둘러싸는 대신에 패널의 개방끝단부내에 맞춰들어가도록 슬릿(slit)가공될 수도 있다. 예시의 방법으로, 상기 끝단부 캡은 방염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고 패널(108)에 접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제2실시예(138)를 예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하부판재(140)는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개방되는 사다리꼴 개방채널(144)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히는 주름살가공된 보강판(142)에 의하여 주로 일 방향으로 보강된다. 상기 사다리꼴 채널은 보강부재가 하부평판(140)과 연속적으로 맞닿아 마주보는 관계로 접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와 하부평판 사이에 포지티브 본드(positive bond)가 제공되는 한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접합이 행해질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형식의 배치에 의하여, 패널은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위쪽을 향하여 휘어질 수 있으며, 더 작은 정도로 아래쪽으로, 그러나 패널의 일 방향으로만 굽어질 수 있다. 사다리꼴채널(144)은 실질적으로 예시된 방향을 가로지르는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막는다. 하지만, 이 패널을 휘게하는 능력은 상기 패널이 천정시스템용 지지구조체의 수평재(102a) 및 교차부재(102b) 사이의 개구부내로 쉽게 삽입되게 한다. 또한, 패널의 강도는 하부판재(140)의 강도 또는 강성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30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3실시예(146)에서, 천정패널(146)은 도 18 내지 도 20에서 예시된 패널과 유사하게 형성되지만, 여기서, 상부평판(148)은 사다리꼴부재의 최상부면을 따라 상기 사다리꼴보강부재(142)에 고정된다. 상부판재는 접착식으로 접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보강부재가 하부평판(140)에 고정될 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도 24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판재와 보강부재(142)의 접합은 접착제(150)의 완전한 층을 가지거나, 도 2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150)의 단일한 라인을 가지거나, 도 2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의 평행한 라인을 가지거나 또는 상술된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또는 점으로 등과 같이 접착제를 도포하는 많은 기타의 방법들이 채용될 수 있다. 다시, 가열용접 또는 초음파접합이 또한 적절할 수도 있다.
완성된 패널(146)은 아마도 도 23에 가장 잘 나타나 있으며, 다시 패널의 일 방향으로 휘거나 구부러질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보강부재(142)의 사다리꼴형상을 갖는 채널로 인하여 횡방향 또는 직각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보강부재는 반대쪽 면의 이격되어 평행한 위치에 자국이 만들어지고 후속적으로 접힐 수 있는 재료의 판로부터 형성된다.
패널(146)은 도 27 내지 도 3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선적을 위하여 압축될 수 있으며, 적은 양의 압축은 아마도 구조를 뚜렷하게 변화시키지 않고 그것을 약간 더 얇게 만들 수 있지만, 더 압축하는 것은 보강부재의 직선면(160)을 도 29에 도시된 윤곽형태로 좌굴(buckle)되거나 접히도록 만든다. 따라서, 패널은 선적을 위하여 선적 콘테이너내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강제로 압축될 수 있으며, 상술된 유리보강수지(glass reinforced resin)와 같이, 패널용으로 적절한 재료를 활용함으로써, 상기 패널이 도 21 및 도 22이 그들의 정상적인 형태를 되찾도록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압축(compression)"이란 용어는 상부 및 하부판이 서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패널의 두께를 줄이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접힘(collapsing)"이란 용어는 상부 및 하부판이 서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패널의 두께를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판이 없다면, 주름살가공된 보강판는 마치 "접힘"이 있을때처럼 횡방향으로 접히지는 않지만, 오히려 곧장 아래쪽으로 좌굴되는 "압축"이 일어날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162)를 예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다시 각각 상부평판(164) 및 하부평판(166)은 사다리꼴단면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의 개구부 채널(170)을 형성하는 주름살가공된 보강부재(168)에 의하여 분리되지만,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상부평판(164), 하부평판(166)과 보강부재(168)의 맞물림면적은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패널의 해당 맞물림면적보다는 더 작다. 이는 패널이 더 많은 압축성을 갖도록 하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강부재와 평판부재 사이의 맞물림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패널의 압축성이 조절될 수 있다. 도 33은 다소 압축된 구조의 패널(162)을 보여주고 있지만, 적절한 탄성재료를 이용하면, 상기 패널은 상기 이용된 재료의 탄성으로 인하여 압축을 해제할 때 도 32에 예시된 정상적인 형태로 되돌아 올 것이다.
도 35 내지 도 38은 각각의 상부평판(174) 및 하부평판(176)과 그들 사이의 보강부재(178)를 포함하도록, 도 21 내지 도 22 및 도 31 내지 도 32에 도시된 것들과 다소 유사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172)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는 실질적으로 삼각형구조로 되어 있는 위쪽 및 아래쪽을 향하는 개방채널(180)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각각의 상부평판(174) 및 하부평판(176)과 보강부재(178)의 맞물림은 비교적 면적이 작고 상기 패널이 더 많이 압축되도록 한다. 도 35a는 도 36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이며, 실질적으로 뾰족한 상부평판(174)과 보강부재(178)의 맞물림선을 따른 접착제(182)의 선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패널의 제6실시예(184)가 도 39 내지 도 41에 예시되어 있으며, 하부평판(186), 실질적으로 도 18에 도시된 형식의 제1보강부재(188) 및 상기 제1보강부재(188)상에 덧 씌어진 제2보강부재(190)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재(188)는 사다리꼴 단면구조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의 개방채널(192)을 형성하며, 맞물림부(194)의 면적을 따라 하부평판(186)과 결합된다. 상기 제2보강부재(190)는 상기 제1보강부재(188)의 최상부에 걸쳐 덧 씌어지며, 또한 사다리꼴형태의 위쪽 및 아래쪽을 향하는 개방채널(196)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상기 위쪽을 향하는 개방채널은 상기 아래쪽을 향하는 개방채널보다 그 너비가 더 넓다. 상기 아래쪽을 향하는 개방채널은 제1보강부재(188)의 아래쪽으로 향하는 개방채널의 최상부 구조체(uppermost structure)와 일치하는 크기로 된다. 제2보강부재(190)의 위쪽을 향하는 개방채널은 제1보강부재의 위쪽을 향하는 개방채널내에 수용되기에 적합하도록 된다. 제2보강부재는 맞물림부(198)의 수평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인 위치에만 접착제를 도포하는 등의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제1보강부재에 고정된다. 그렇게 형성된 패널은, 다시 일 방향으로는 구부러지지만, 횡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는 쉽게 휘어지지 않을 것이며, 도 45는 이렇게 휘어진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패널에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제1보강부재의 위쪽으로 향하는 개방채널(192)을 가로질러 바깥쪽으로 휘어진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물론, 이것은 제2보강부재가, 제1보강부재의 위쪽으로 향하는 개방채널에서 상기 제1보강부재에 접합되지 않고, 단지 상기 제1보강부재와의 맞물림부(198)의 최상부 또는 수평면을 따라서만 접합된다는 사실에 의해서 가능해진다.
도 42 내지 도 44는 도 39 및 도 40에 예시된 패널의 대안적인 형태(200)를 예시하고 있으며, 상기 대안적인 형태는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형태와 동일하지만, 상부평판(202)이 하부평판(186)과 평행한 관계로 상기 제2보강부재(190)에 접합된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패널은 도 45a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부러지며, 여기서, 상기 상하부평판(186, 202)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4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제7실시예(204)를 예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상기 패널(204)은 각각의 상부평판(206) 및 하부평판(208), 제1보강부재(210) 및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제2보강부재(212, 214) 각각을 포함한다. 상기 제1보강부재는 사다리꼴형태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 향하는 개방채널(216)을 가지지만, 상기 제1보강부재는 상기 평판재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각각의 제2보강부재(212, 214)는 각 부재들 사이에서 수평방향의 접촉면(218)을 따라 제1보강부재(210)에 고정되며, 이번에 상기 제2보강부재는 수평방향의 맞물림영역(220)을 따라 평판재에 고정된다. 도 39 및 도 4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그것의 최상부 및 바닥부를 가로질러 제1보강부재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2보강부재는 서로 동일하지만, 서로에 대하여 반전된다.
도 47 내지 도 56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222)를 예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한 쌍의 평행한 상부평판(224) 및 하부평판(226)은 주요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강성을 제공하는 제1보강부(230) 및 제2보강부(232)를 포함하는 보강부재(228)에 의하여 상호연결된다. 도 49 및 도 50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부(230)는 도 39의 제1보강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름살가공된 부재이며, 이것에 의하여 사다리꼴 단면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 향하는 개방채널(234)을 형성한다. 상기 제2보강부(232)는 도 4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보강부의 위쪽으로 향하는 개방채널내에 수용되는데 적합한 삽입스트립(insert strips)이다. 각각의 제2보강스트립은 상기 제1보강부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면형태를 가지지만, 제1보강부의 상기 채널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스트립의 평면측벽(236)이 아래쪽으로 모이도록 테이퍼져 있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보강부재의 제1보강부의 위쪽으로 향하는 개방채널의 아래쪽으로 모여지는 벽(238)에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보강스트립이 상기 제1보강부의 위쪽으로 향하는 개방채널내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보강부재는 도 50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며, 상기 패널은 보강부재가 만들어지는 재료의 특성으로 인하여 약간의 구부러짐이 얻어진다할지라도 길이방향과 가로방향 모두에서 실질적으로 강성을 가진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51은 제2보강부가 잘리고 접힐 수 있는 판재(240)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이러한 스트립(232)은 재료의 동일한 판으로부터 상보의 방식(complementary manner)으로 잘릴 수 있다.
도 55 및 도 56은 보강부재(228)를 만드는 재료의 유연한 성질로 인하여 허용되는 페널(222)의 압축가능한 성질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판재(224, 226)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시 선적을 위하여 상기 보강부재는 패널이 더 얇아지거나 얕은 단면을 가지게 하는 예시된 윤곽형태로 휘어질 것이다. 다시 말하여, 완전히 펼쳐진 패널이 차지하는 공간에 비하여 최소량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선적용 컨테이너내로 강제적으로 패널을 압축시킬 수 있다.
도 57 내지 도 59는 아래쪽 방향으로 패널의 휘어짐을 쉽게하기 위해서 그것의 상면에 접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되는 재료의 보강부재(246) 및 하부 평판(244)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패널(242)의 제9실시예를 예시하고 있고, 그러나, 상기 보강부재는 패널이 위쪽 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굽어지는 것을 막는다. 상기 보강부재는 사다리꼴 단면형상의 번갈아 윗쪽 및 아래쪽 방향으로 향하는 개방채널(248)을 가지지만, 각 채널의 개구부는 동일 채널의 반대쪽 폐쇄측보다는 상당히 더 좁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패널은 아래쪽 방향으로 쉽게 구부러질 수 있지만, 위쪽방향 및 가로방향으로는 그렇게 쉽게 구부러지지 않는다. 보강부재는, 간헐적인 라인 또는 점 등을 따라 맞물림 영역을 연속적으로 가로지르는 선에 도포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는 적절한 방식으로 맞물림의 영역을 따라 평면재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10실시예(250)가 도 60 내지 도 62에 예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8에 예시된 실시예에 나타낸 보강부재와 유사한, 덧 씌어진 보강부재(254)에 적합한 방식으로 판재(252)가 접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되지만,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의 위쪽방향으로 향하는 사다리꼴 개방채널(256)은 아래쪽으로 향하는 개방채널(258)보다 상당히 더 넓다. 상기 형태는 아래쪽 방향으로의 굽어짐뿐만 아니라 도 57 내지 도 59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하여 허용되는 것 보다는 위쪽방향으로 훨씬 더 많이 휘어질 수 있다. 천정시스템이 장착되는 방의 내부로 노출되는 판(252)의 하부 노출면은 상기 면에 연속적인 엘라스토머릭 폴리머(도시 안됨)를 제공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릭 폴리머는 도 14에서 참조로 상술된 바와 같이 우레탄 또는 네오프렌필름 또는 도 14에서 참조로 상술된 바와 같이, 판재(252)의 하면상의 장식용필름을 접합시키는 우레탄 또는 네오프렌접착제와 같은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폴리머릭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라스토머릭 폴리머는 상기 패널(250)이 판재(252)에 눈에 보이는 자국없이 실질적으로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도록 한다. 그 결과, 상기 패널(250)은 롤로 감겨진 형태로 저장 및 선적될 수 있고, 다음에 롤에서 풀어, 설치를 위한 길이로 자를 수 있는 긴 길이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의 제11실시예(260)가 도 63 내지 도 65에 예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바닥판재(266)가 보강부재의 하면에 고정되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보강부재의 최상부를 가로지르는 보강부재(264)에 재료의 상부 평판재(262)가 고정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7 내지 도 59에 예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패널은 도 58에 예시된 패널의 특성과 유사한 움직임특성을 가지지만, 약간 더 강성이며 더 나은 단열품질을 가진다.
도 66 내지 도 68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12실시예(268)를 예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는 횡방향의 사다리꼴 형태의 위쪽 및 아래쪽으로 향하는 개방채널(276)을 가지는 보강부재(274)에 고정되고 상기 보강부재에 의하여 분리되는 상부 평판(270) 및 하부 평판(272)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위쪽 및 아래쪽 방향 모두의 사다리꼴 채널의 개구부가 도 58의 보강부재의 개구부보다 약간 더 커진 것을 제외하면, 도 58의 보강부재와 유사하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13실시예(278)가 도 69 내지 도 71에 예시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은 보강부재(284)에 의하여 상호연결 및 이격되는 상부 평판(280) 및 하부 평판(282)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재는 도 60 및 도 61의 실시예에 예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72 내지 도 75는 도 66 내지 도 68과 관련하여 이미 상술된 패널(268)의 압축성을 예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패널이 보강부재(274)의 탄성벽을 좌굴시키지 않고, 약간은 압축될 수 있지만, 추가적인 압축은 보강부재의 벽이 도 74에 예시된 형태로 서로에 대하여 더욱 접히게 한다는 것을 도 73에서 이해할 것이다. 상기 벽은 선적동안의 비용 절약을 위하여 패널이 실질적으로 압축되도록 실제로 좌굴될 것이다.
도 76 내지 도 79는 도 63 내지 도 65와 관련하여 상술된 패널(260)의 압축성을 예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도 7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강부재(264)의 탄성벽을 좌굴시키지 않고 약간의 압축이 가능하지만, 패널이 실질적으로 더 얇아져 선적용 컨테이너내에 더 작은 공간을 점유하도록 패널을 추가하여 압축하는 것은 상기 벽을 도 7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좌굴 및 접히게 한다는 것을 다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0 내지 도 83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패널의 제16실시예(286)을 예시하고 있다. 본 패널은 하부평판(288) 및 폐쇄된 삼각형 형상의 채널(294)에 의하여 이격된, 위쪽으로 향하는 사다리꼴 개방채널(292)를 가지는 보강부재(29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60 내지 도 62에서 상술된 패널과 매우 유사하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 단면형태로 되어 있는 위쪽으로 향하는 개방채널은 삼각형 채널(294) 사이의 보강부재의 상면을 따르는 공간(296)을 형성한다. 도 80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지지부재(298)는 보강부재의 최상부에 걸쳐 위치하고 보강부재의 채널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어, 보강부재가 제공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패널에 강성을 제공하여 상기 패널이 직각방향으로 강화되도록 한다.
도 8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평판(288) 및 보강부재(290)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는 지지부재(298)는, 보강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돌출되고, 복수의 탭(tab)(302)이 잘리고 굽혀져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바깥쪽을 향한 플랜지(300)를 가지는, 역U자형 단면의 아래쪽으로 개방된 채널형상의 몸체를 포함한다. 보강부재에 지지부재를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보강부재의 사다리꼴 채널의 벽 및 공간(296)과 대체로 일치하는 상기 탭(302)의 단면이 도 8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부재는, 바람직하게 그것이 자리잡을 때까지, 사다리꼴 채널에 직각으로 지지부재를 위치시키고, 채널의 길이를 따라 상기 지지부재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보강부재상에 장착될 수 있다. 도 8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아래쪽으로 개방된 지지부재는 여하한 소정 공간에도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는 그것의 직각방향으로는 어떠한 유연성을 거의 갖지 않도록 실질적으로 상기 패널을 강화시킨다.
어느정도 상술된 바로부터는 명백하지 않지만, 기술된 패널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결은 접착식, 초음파, 열융합 또는 기타 허용되는 접합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성분요소가 상기 패널의 상판 또는 하판과 맞물리거나 또는 패널의 성분요소에 의하여 형성되는 첨단부(peak)를 따라 상기 연결이 이루어진다.
현수식천정시스템 또는 기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개량패널은, 길이방향 또는 가로방향으로 패널의 유연성을 조정하고 또한 선적을 위하여 패널의 압축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패널로 제공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패널의 노출면은 도 13 및 도 60 내지 도 62의 패널과 관련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기술된 바와 같은 우레탄 또는 네오프렌필름 또는 접착제 및/또는 도 13의 패널과 관련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장식용 필름과 같은 연속적인 엘라스토머릭폴리머를 첨가함으로써 또한 변화될 수 있다. 패널의 유연한 성질로 인하여, 매달린 지지시스템의 교차부재 및 수평재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부내로 상기 패널이 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지지시스템내로 삽입하기 위하여 휘어질 때에도 취성이 없기 때문에 상기 패널은 깨지지 않을 것이다. 서스펜션시스템의 변경에 의하여, 상기 패널이 건축물의 벽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9)

  1. 빌딩 구조체의 천정의 지지 격자체 내의 개구부 안으로 삽입되고, 후속해서 패널이 상기 격자체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격자체 위쪽에서 펼쳐지는 동안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한 천정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실질적으로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상기 패널은,
    - 하부평판; 및
    - 실질적으로 편평한 재질의 판재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하부평판과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복수의 세장형 셀들을 갖도록 3차원 구조로 형성되는 제1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평판 및 상기 제1보강부재 각각은 수지에 의해 함께 결합된 내열 섬유를 포함하고 구부러질 수 있는 다소 강성의 재료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평판 및 상기 제1보강부재는, 구부러질 수 있는 다소 강성의 동일한 재료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는 상기 하부평판과 마주보는 복수의 세장형 채널들을 형성하는 주름살가공된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는 반대편으로 향하는 세장형 채널들을 형성하는 주름살가공된 판재이며, 그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평판과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들 중 적어도 일부는, 사다리꼴 횡단면 또는 삼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는 상기 하부평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는 상기 하부평판에 접착식으로 접합되거나, 가열용접 또는 초음파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8. 제3항에 있어서,
    반대편으로 향하는 세장형 채널들을 형성하는 주름살가공된 판재인 제2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보강부재의 채널들은 상기 제1보강부재 내의 채널들보다 덜 깊으며,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제1보강부재를 가로질러 놓여져, 상기 제2보강부재 내의 상기 채널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보강부재의 채널들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제1보강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10.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주름살가공된 제2보강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 중 하나는 상기 제1보강부재를 가로질러 위에 놓이고 다른 하나는 아래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재들 각각은 상기 제1보강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 내의 상기 채널들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평면들을 갖는 제2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는, 상기 제1보강부재 내의 상기 채널들 중 하나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고 세장형 주름살가공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보강부들 각각은 상기 제1보강부재의 별도의 채널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평판에 고정된 장식용 재료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보강부재는 상기 하부평판의 한쪽 면에 고정되고, 상기 장식용 재료층은 상기 하부평판의 반대쪽 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재료층은 엘라스토머릭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릭 폴리머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를 구성하는 판재는 자국을 낼 수 있는 재료(creasable material)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19. 제1항에 있어서,
    상부평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보강부재는 상기 상부평판과 상기 하부평판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평판과 상기 하부평판은 상기 제1보강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는 압축가능하여, 상기 상부평판과 상기 하부평판 중 하나를 상기 상부평판과 상기 하부평판 중 나머지 다른 하나쪽으로 수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패널이 압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22.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평판과 상기 하부평판 사이에 2 이상의 제1보강부재들을 포함하여, 상기 제1보강부재들 사이에 복수의 세장형 셀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평판으로부터 그 반대쪽에 상기 제1보강부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1이상의 지지부재(29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세장형이고 상기 세장형 셀들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보강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보강부재에 상기 지지부재를 기계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보강부재의 채널들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는 탭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보강부재로부터 멀어지도록 돌출되는 역U자형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27.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보강부재에 맞닿도록 되어 있는 플랜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28.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지지부재 및 상기 제1보강부재는 동일한 재료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29.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지지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평판의 재료 및 상기 제1보강부재를 형성하는 판재의 재료는 각각, 열로 몰딩가능한 중합수지 매트릭스 또는 열 경화 수지 매트릭스에 의하여 함께 결합된 내열 섬유의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평판의 재료 및 상기 제1보강부재를 형성하는 판재의 재료는 수지 내에 묻혀진 유리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를 형성하는 판재의 재료는, 상기 유리섬유들의 손상없이 자국을 낼 수 있어, 상기 제1보강부재가 그 본래의 상태(integrity)를 유지하면서 접히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아크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34.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평판, 상기 제1보강부재 또는 양자 모두의 상기 유리섬유들의 길이는, 1/4 인치 내지 1 인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35.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평판, 상기 제1보강부재 또는 양자 모두의 상기 유리섬유들의 두께는, 7 내지 100 미크론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36.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평판 및 상기 제1보강부재는 동일한 수지 및 유리섬유들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를 형성하는 판재는 탄성 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를 형성하는 판재는 압축성 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3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를 형성하는 판재는 접을 수 있는 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40. 제1항에 있어서,
    빌딩 구조체의 천정 내로 상기 패널이 통합되는(incorpora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한 천정 패널.
  41. 천정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수직 지지부재들 사이에 개구부들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부재를 구비한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들은 상기 개구부들 내의 천정 패널들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1항에 따른 상기 개구부들 각각에서의 천정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시스템.
  42. 제1항에 따른 패널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를 형성하는 판재로부터 상기 복수의 세장형 셀들을 구비한 상기 제1보강부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접착식으로 접합하거나, 가열용접 또는 초음파로 접합함으로써, 상기 제1보강부재를 상기 하부평판에 고정시키는 추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빌딩 구조체의 천정의 지지 격자체 내의 개구부 안으로 삽입되고, 후속해서 패널이 상기 격자체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격자체 위쪽에서 펼쳐지는 동안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한 천정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 상부평판;
    - 하부평판; 및
    - 사전설정된 위치들에 자국이 난 복수의 세장형 탄성 스트립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트립들은 상기 상부평판 및 하부평판 사이에 복수의 평행한 보강부재들을 형성하도록 접히며; 각각의 보강부재는 상부 플랩, 하부 플랩 및 중간 몸체를 포함하도록 접히고; 각각의 보강부재의 상기 상부 플랩은 상기 상부평판에 결합되며, 각각의 보강부재의 상기 하부 플랩은 상기 하부평판에 결합되고;
    - 상기 상부평판 및 하부평판과 상기 보강부재들은 각각, 수지에 의해 함께 결합된 내열 섬유를 포함하고 구부러질 수 있는 다소 강성의 재료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평판 및 하부평판과 상기 스트립들은, 구부러질 수 있는 다소 강성의 동일한 재료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46.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들 각각의 상기 플랩들은 상기 상부평판 및 하부평판들에 접착식으로 결합되거나, 가열용접 또는 초음파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47.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평판에 고정된 장식용 재료층을 더 포함하되, 각각의 보강부재의 상기 하부 플랩은 상기 하부평판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장식용 재료층은 상기 하부평판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재료층은 엘라스토머릭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릭 폴리머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고분자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50.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평판의 상기 재료, 상기 하부평판의 상기 재료 및 상기 보강부재들의 상기 재료는 각각, 열로 몰딩가능한 중합수지 매트릭스 또는 열 경화 수지 매트릭스에 의하여 함께 결합된 내열 섬유의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평판, 상기 하부평판 및 상기 보강부재들의 상기 재료들 각각은 수지 내에 묻혀진 유리섬유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들을 형성하는 상기 스트립들의 상기 재료는, 상기 유리섬유들의 손상없이 자국을 낼 수 있어, 상기 스트립들의 상기 재료의 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아크릴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평판, 상기 하부평판 및 상기 스트립들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재료들 각각의 상기 유리섬유들의 길이는, 1/4 인치 내지 1 인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55.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평판, 상기 하부평판 및 상기 스트립들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재료들 각각의 상기 유리섬유들의 두께는, 7 내지 100 미크론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56.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평판, 상기 하부평판 및 상기 스트립들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재료들 각각은 동일한 수지 및 유리섬유들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57. 제44항에 있어서,
    빌딩 구조체의 천정 내로 상기 패널이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58. 천정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수직 지지부재들 사이에 개구부들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수직 지지부재를 구비한 지지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들은 상기 개구부들 내의 천정 패널들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제44항에 따른 상기 개구부들 각각에서의 천정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시스템.
  59.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각각 실질적으로 S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KR1020027001721A 1999-08-12 2000-08-04 유연한 천정패널, 천정시스템, 및 패널 형성 방법 KR100786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83499P 1999-08-12 1999-08-12
US60/148,834 1999-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135A KR20020044135A (ko) 2002-06-14
KR100786280B1 true KR100786280B1 (ko) 2007-12-17

Family

ID=2252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721A KR100786280B1 (ko) 1999-08-12 2000-08-04 유연한 천정패널, 천정시스템, 및 패널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EP (3) EP1690997B1 (ko)
JP (1) JP2003507601A (ko)
KR (1) KR100786280B1 (ko)
CN (3) CN100419183C (ko)
AR (1) AR031831A1 (ko)
AT (2) ATE341675T1 (ko)
AU (3) AU765056C (ko)
BR (1) BR0013208A (ko)
CA (2) CA2380619A1 (ko)
DE (2) DE60037840T2 (ko)
DK (1) DK1203127T3 (ko)
ES (2) ES2297788T3 (ko)
HK (1) HK1052040A1 (ko)
MX (1) MXPA02001446A (ko)
PL (1) PL353346A1 (ko)
PT (2) PT1203127E (ko)
RU (1) RU2234576C2 (ko)
TR (3) TR200401258T2 (ko)
TW (1) TW473586B (ko)
WO (2) WO200101291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8100A1 (de) * 1999-08-12 2001-02-15 Exama Maschinen Gmbh Mehrkopf-Reibschweißverfahren
EP1276938B1 (en) * 2000-04-24 2006-06-14 Hunter Douglas Inc. Compressible structural panel
EP1662064A1 (en) * 2000-04-24 2006-05-31 Hunter Douglas Inc. Compressible structural panel
US8813433B2 (en) * 2005-06-08 2014-08-26 Mark E. Wilsey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NL2000001C2 (nl) 2006-01-30 2007-07-31 Unda Maris Holding N V Wandelement.
DE102007044906A1 (de) * 2007-09-19 2009-04-09 Carl Freudenberg Kg Akustikvliesstoff für perforierte Deckenelemente
DE102008019065B4 (de) 2008-04-15 2011-06-16 Airbus Operation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idseitig mit Deckschichten versehenen Kernverbundes sowie Kernverbund
IT1394452B1 (it) * 2008-11-19 2012-06-15 Angelico Pannello antirumore.
CN102383559B (zh) * 2011-09-22 2013-12-25 广州市广京装饰材料有限公司 天花板及其安装结构
CN102383558A (zh) * 2011-09-22 2012-03-21 广州市广京装饰材料有限公司 天花板及其安装结构
RU2504477C1 (ru) * 2012-10-01 2014-01-2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Пермский завод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ячеистой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ей панели
EP2743065B1 (en) * 2012-12-14 2016-11-30 AIRBUS HELICOPTERS DEUTSCHLAND GmbH Grid type fibre composit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grid type structure
CN103088954B (zh) * 2013-01-10 2015-12-16 祝苠国 自然景观天花板
BR112017009944A2 (pt) * 2014-11-14 2018-07-03 Armstrong World Ind Inc sistema de teto
CN112384666B (zh) * 2018-07-12 2023-01-06 扎伊罗技术股份公司 生产矿物棉板的方法
RU2694635C1 (ru) * 2018-08-09 2019-07-16 Александр Васильевич Гущин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универсальная подвесная рамочная потолочная и стеновая система из панелей с гибким декоративным материалом и способ его крепления
RU2695314C1 (ru) * 2018-11-08 2019-07-23 Николай Валерьевич Денисов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акустической панели из армированного бетона с фотоизображением
RU2694870C1 (ru) * 2018-11-08 2019-07-17 Николай Валерьевич Денисов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акустической панели из армированного бетона с тиснением
US11965465B2 (en) * 2020-12-22 2024-04-23 Rohr, Inc. Acoustic panel with multiple layer corrugated co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9971A (en) 1943-06-05 1947-05-06 Rumpf Herman Padding and soundproofing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25253C (de) * 1931-05-21 Jacob Moll Verpackungsstoff, bei dem zwei je nach aussen durch eine ebene Papierbahn abgedeckte Wellpappbahnen durch eine Papierbahn getrennt sind
US2333343A (en) * 1937-04-22 1943-11-02 Armzen Company Method of making structural materials
DE684202C (de) * 1937-09-21 1939-11-24 Franz Driesens Dipl Ing Hohlpappe
US2493968A (en) * 1946-10-17 1950-01-10 Hepner Charles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batt-covered sheets
CH362824A (fr) * 1958-03-22 1962-06-30 Feuerbach Gabriel Panneau de construction
US3314846A (en) * 1960-07-26 1967-04-18 Niwa Takato Expansible hollow core
CH466538A (de) * 1965-11-26 1968-12-15 Werner Achermann & Franz Acher Platte
US3762977A (en) * 1971-03-15 1973-10-02 Inter Jersey Gmbh & Co Kg Method of making workpieces from a knitted fieber reinforced hardenable synthetic material and fiber reinforcement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3819466A (en) * 1973-06-18 1974-06-25 Care Inc Reinforced and insulating building panel
CH615646A5 (ko) * 1977-03-18 1980-02-15 Grapha Holding Ag
AU8056682A (en) * 1981-02-19 1982-08-26 Turner, A.R. Panel
US4595187A (en) * 1985-07-26 1986-06-17 Xerox Corporation Saddle stapler accessory
US4881935A (en) * 1985-12-04 1989-11-21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for constant pressure diagonal-web crush-scoring
US4881936A (en) * 1985-12-04 1989-11-21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stant pressure diagonal web crush-scoring
DE3642295A1 (de) * 1986-04-26 1987-10-29 Norbert Sablowski Dach- oder wandelement aus lamellen
IS1570B (is) * 1990-05-14 1995-02-28 Nihon Dimple Carton Co., Ltd. Hitaeinangrandi bylgjupappi og aðferð til framleiðslu hans
US5253561A (en) * 1991-10-10 1993-10-19 Harry Wynn Rotary butt cutting apparatus
CN2142783Y (zh) * 1993-03-19 1993-09-29 李书福 金属曲面装饰板
CN2166173Y (zh) * 1993-09-28 1994-05-25 汤溪蔚 可拆式暗龙骨天花吊顶
US5685124A (en) * 1994-04-21 1997-11-11 Jandl, Jr.; Adolf Wall, ceiling or roof elements with heat insulation properties on one side an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on the other
US5567504A (en) * 1994-05-31 1996-10-22 Schuller International, Inc. Glass fiber duct board with coated grooves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707470A (en) * 1995-01-31 1998-01-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otary ultrasonic apparatus and methods
US5791118A (en) * 1995-07-28 1998-08-11 Jordan; Kurt M. Energy absorbing fiberglass sandwich panel with corrugated core
CN2255462Y (zh) * 1996-06-18 1997-06-04 费石林 复合蜂窝夹芯墙板
CN2332776Y (zh) * 1998-06-16 1999-08-11 蔡明路 悬吊式t型暗架天花板
EP1276938B1 (en) * 2000-04-24 2006-06-14 Hunter Douglas Inc. Compressible structural pa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9971A (en) 1943-06-05 1947-05-06 Rumpf Herman Padding and soundproofing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65056B2 (en) 2003-09-04
CN1558054A (zh) 2004-12-29
ES2297788T3 (es) 2008-05-01
DE60031129D1 (de) 2006-11-16
WO2001012424A1 (en) 2001-02-22
WO2001012911A2 (en) 2001-02-22
AU6519900A (en) 2001-03-13
TR200502025T2 (tr) 2007-06-21
EP1203127B1 (en) 2006-10-04
CN1387601A (zh) 2002-12-25
JP2003507601A (ja) 2003-02-25
AU2003264650A1 (en) 2004-01-08
AU765056C (en) 2004-07-29
KR20020044135A (ko) 2002-06-14
BR0013208A (pt) 2002-04-23
EP1202855A1 (en) 2002-05-08
PT1203127E (pt) 2006-12-29
CA2380619A1 (en) 2001-02-22
EP1202855A4 (en) 2007-09-26
MXPA02001446A (es) 2002-08-30
RU2234576C2 (ru) 2004-08-20
DE60037840T2 (de) 2008-08-21
DE60031129T2 (de) 2007-02-08
DK1203127T3 (da) 2007-02-12
WO2001012911A3 (en) 2001-08-30
WO2001012424A8 (en) 2001-11-01
EP1203127A4 (en) 2004-06-16
ES2270862T3 (es) 2007-04-16
EP1203127A2 (en) 2002-05-08
AU2003264650B2 (en) 2005-10-13
AR031831A1 (es) 2003-10-08
TW473586B (en) 2002-01-21
CA2379874A1 (en) 2001-02-22
HK1052040A1 (en) 2003-08-29
TR200200374T2 (ko) 2002-06-21
ATE384173T1 (de) 2008-02-15
PT1690997E (pt) 2008-03-18
CN100362194C (zh) 2008-01-16
AU6898800A (en) 2001-03-13
PL353346A1 (en) 2003-11-17
EP1690997A2 (en) 2006-08-16
ATE341675T1 (de) 2006-10-15
TR200401258T2 (tr) 2004-08-23
CN1170994C (zh) 2004-10-13
EP1690997A3 (en) 2006-10-04
EP1690997B1 (en) 2008-01-16
DE60037840D1 (de) 2008-03-06
CN1900455A (zh) 2007-01-24
CN100419183C (zh)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280B1 (ko) 유연한 천정패널, 천정시스템, 및 패널 형성 방법
US7051489B1 (en) Ceiling system with replacement panels
KR100482918B1 (ko) 압축성구조패널
EP1662064A1 (en) Compressible structural panel
US6502353B2 (en) Roof covering and its method of making and using, comprising a rib mesh corrugated with at least one outer layer, the generally parallel corrugations permitting deformation without restoring creep
AU2001255574A1 (en) Compressible structural panel
US20060254178A1 (en) Compressible structural panel with end clip
US3733765A (en) Wall structures
JP3832944B2 (ja) 防水部における側溝構造とこれに用いる側溝部材。
AU2006201890A1 (en) Compressible structural panel
AU8721198A (en) A building panel and method of form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