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030B1 - 경모낭 흡수성을 갖는 물질 및 경모낭 흡수 촉진 성분을 포함하는 두피 두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경모낭 흡수성을 갖는 물질 및 경모낭 흡수 촉진 성분을 포함하는 두피 두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030B1
KR100786030B1 KR1020070019195A KR20070019195A KR100786030B1 KR 100786030 B1 KR100786030 B1 KR 100786030B1 KR 1020070019195 A KR1020070019195 A KR 1020070019195A KR 20070019195 A KR20070019195 A KR 20070019195A KR 100786030 B1 KR100786030 B1 KR 100786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skin
absorption
valu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459A (ko
Inventor
에리코 다케오카
류이치 다카모토
도시오 야나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5884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7439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70037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Preparations for removing hair or for aiding hair remo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82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 G01N33/5088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of verteb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1) 모낭 조직에 침투시킨 피검물량을 경모 흡수된 피검물량의 지표로서 관련지어 피검물의 경모 흡수량을 정량하여 피검물의 피부 흡수를 측정하는 피부 흡수 측정법 및 (2) 한쪽 표면이 인공 피지와 접촉하고 있는 피부 표층과 유사한 박막의 다른쪽 표면에 약제 등의 피검물을 접촉시키고, 이 피검물의 인공 피지로의 이행 정도를 지표로 하여, 피검물의 피지 이행성을 평가하여, 피검물의 피부 흡수를 측정하는 피부 흡수 측정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피검물이 작용점에 도달하여, 목적하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는지의 여부의 직접적인 지표가 될 수 있는 경모 흡수성 또는 피지 이행성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들의 피부 흡수 측정법에 의해,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이 수용성 물질로부터 지용성 물질에 도달할 때까지 광범위한 극성 물질에 대응하여, 우수한 경모 흡수 촉진 작용 내지 우수한 피지 이행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이러한 유분을 함유시킴으로써, 피부 침투성이 우수한 두피 두발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피부 흡수, 경모 흡수, 피지 이행성, 경모 흡수 촉진 작용, 두피 두발용 조 성물, 양모제 조성물, 두발 세정용 조성물, 두발 처리용 조성물, 백발 방지제, 탈모제.

Description

경모낭 흡수성을 갖는 물질 및 경모낭 흡수 촉진 성분을 포함하는 두피 두발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scalp and hair comprising a substance having absorption through hair follicles and an ingredient for accelerating absorption through hair follicles}
도 1은 본 발명 키트의 하나의 양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측정법 1-1의 해설도이다.
도 3는 본 측정법 1-1의 정밀도의 검토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측정법 1-1에 의한 성분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피부 표본의 각질층, 표피 및 진피에 있어서의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수착량을 본 측정법 1-1에 의해 검토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I.O.B(Inorganic Organic Balance)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의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경모(經毛) 흡수 촉진 효과를 검토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I.O.B. 값이 0.06 내지 4.0인 다양한 종류의 유분의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경모 흡수 촉진 효과를 검토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측정법 1-2에 있어서의 검토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경피 흡수제와의 비교 검토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청량제에 있어서의 본 측정법 1-2에 의한 검토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청량제에 있어서의 본 측정법 1-1에 의한 검토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키트를 사용하여 본 측정법 2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두발에 작용하는 성분 등의 선별(screening)법 및 선별용 키트, 및 이의 선별법에 의해 경모 흡수 촉진 효과 내지 피지 이행 촉진 효과가 확인된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양모제를 개발하는 경우, 이의 유효 성분이 우수한 양모 작용을 갖는 것은 물론이고, 이의 유효 성분이 작용점에 정확하게 도달하는 침투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이 작용점에 정확하게 도달하는지의 여부는 이의 유효 성분의 성질 또는 양모제의 기제(基劑)의 성질에 크게 좌우된다.
또한, 모낭으로부터의 약제 흡수는 양모제 뿐만 아니라, 백신 또는 유전자 등으로의 투여 채널로서도 주목되는 바이다.
또한, 약제의 피지 이행성의 대소(大小)가 그 약제의 피부내의 작용점(예를 들면, 모공 또는 피지선)으로의 도달 용이성을 좌우할 수 있는 것이 이미 보고되어 있다[문헌: Critical Reviews, 14(3):207 219(1997)].
현재 시점에서, 모낭으로부터의 약제의 침투성에 관해서는 ① 형광 라벨·방사성 동위원소에 의한 조직 절편 관찰[문헌: Suzuki, M., et. al., J. Soc. Cosmet Chem.(1978), Nicholau. G., et.al., Xenobiolica(1987), Lieb, L.M., et.al., J. Invest. Dermatol.(1995)]이나, ② 유모(有毛) 피부와 무모(無毛) 피부에서의 약제 경피 투과성의 비교[무모(hairless) 래트와 유모(有毛) 래트와의 비교: 문헌: Illel, B., et.al., J. Pherm. Sci.(1991); 사람 통상 피부와 화상 치유 피부와의 비교: 문헌: Hueber, F., et.al., J. Skin Phermaco1.(1994)] 등에 의해서 검토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 ①의 방법은 정량적인 방법이 아니라 정성적인 방법이고, 또한 조직 절편의 제조에 손이 많이 가는 등의 결점이 있다. 또한, 상기 ②의 방법은 어디까지나 약제의 흡수를 경피 흡수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있을 뿐이고, 양모제로서 중요한 「경모 흡수」 또는 「피지 이행성」을 직접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이들의 종래 기술에 의한 지견만으로는 약제 등이 작용점에 도달하여, 목적하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는지의 여부를 직접적으로 선별하는 것이 곤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해야 하는 과제는 약제 등의 피검물이 작용점에 도달하여, 목적하는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는지의 여부의 직접적인 지표가 될 수 있는 경모 흡수성 또는 피지 이행성을 간편·정확하게 정량할 수 있는 수단을 발견하고, 또한, 이것에 의해 경모 흡수 또는 우수한 피지 이행에 의해, 약제 등을 작용점에 정확하게 도달시킬 수 있는 두피 두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약제 등의 피지 이행성은, 금후, 약제 등이 피부내의 특정한 작용점에 도달하기 쉬운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유익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되지만, 용이하게 생체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라고는 말하기 어렵고, 약제 등의 피지 이행성에 관해서는 이를 정확·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는 시험관내에서의 수단을 찾아내는 것이 구체적인 과제가 된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끝에, 모낭 조직에 침투시킨 피검물량을 경모 흡수된 피검물량의 지표로 하여,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에 관련지어, 간편하고 또한 정확하게 피검물의 경모 흡수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피검물의 피부 흡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경모(經毛) 흡수」란 「경피 흡수」가 피부 전체면에서의 흡수인 데 대하여, 모공을 통한 흡수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령 경피 흡수 작용이 확인되는 약제일지라도, 그 약제에 반드시 경모 흡수가 확인된다고는 할 수 없다. 더구나, 많은 양모제의 작용점이 모낭 조직 부근에 있는 것을 감안하면, 약제의 「경모 흡수성」을 검토하는 의의가 대단히 큰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모낭 조직에 침투시킨 피검물량을 경모 흡수된 피검물량의 지표로 서 관련지어 피검물의 경모 흡수량을 정량하여 피검물의 피부 흡수를 측정하는 피부 흡수 측정법(이하, 본 측정법 1이라고도 한다)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경모 흡수」라는 현상을, 흡수 기능에 주목하면, 피검물의 모낭 조직으로의 침투는 이미 모공을 통해서 수행된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경모 흡수」란 용어는 「경모낭(經毛囊) 흡수」라는 용어와 거의 같은 의미의 용어로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측정법 1은 모낭 조직에 침투시킨 피검물량을 경모낭 흡수된 피검물량의 지표로서 관련지어 피검물의 경모낭 흡수량을 정량하여 피검물의 피부 흡수를 측정하는, 피부 흡수 측정법을 제공한다.
*본 측정법 1은 (1) 모낭 조직 및 피부 조직의 각 부위에 침투시킨 약제 등의 피검물량을 생체의 의사(擬似) 상태가 유지되어 있는 피부 모델에 피검물을 작용시켜, 그 피부의 진피층으로부터 적출한 모낭 조직(피부 조직도 가능)의 각 부위에서의 피검물의 수착량(收着量)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정량하는 시험관내 정량법(이하, 본 측정법 1-1이라고도 한다) 및 (2) 모낭 조직에 침투시킨 약제 등의 피검물량을 피검물을 작용시킨 사람의 두피로부터 회수한 모낭 조직에서의 피검물의 수착량을 측정함으로써 정량하는 생체내 정량법(이하, 본 측정법 1-2라고도 한다)의 2개의 양태로 크게 구별된다.
또한, 본 발명자는 인공 피지를 사용한 피부 모델을 사용하여, 피검물의 피지 이행성을 시험관내에서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즉, 본 발명은 한쪽 표면이 인공 피지와 접촉하고 있는 피부 표층과 유사한 박막의 다른쪽 표면에 약제 등의 피검물을 접촉시키고, 이 피검물의 상기 인공 피지로의 이행 정도를 지표로 하여, 피검물의 피지 이행성을 평가하여, 피검물의 피부 흡수를 측정하는 피부 흡수 측정법(이하, 본 측정법 2라고도 한다)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자는 본 측정법에 의해,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이 수용성 물질로부터 지용성 물질에 도달할 때까지 광범위한 극성 물질에 대응하여, 우수한 경모 흡수 촉진 작용 내지 우수한 피지 이행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본 발명은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을 함유하는 두피 두발용 조성물(이하, 본 발명 조성물이라고도 한다)을 제공한다.
I.O.B. 값은 말하자면 그 유분(광의의 유분을 의미하며, 유지, 왁스류,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에스테르류 등의 협의의 유분은 물론이고, 일반적인 알콜 또는 지방산 등도 그 범주에 포함된다. 이하, 동일하다)의 극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무기성의 유기성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값[그 유분 분자 중의 탄소 원자 1개에 관해서 「유기성 값」을 20으로 하고, 유분 분자 중의 하이드록실 그룹 1개에 관해서 「무기성 값」을 100으로 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한 다른 치환체(무기성 그룹)의 무기성 값에 근거하여 산출한 값[문헌: ① 후지다저 「유기분석」(1930년) 가니야 서점, ② 동저 「유기 화합물의 예측과 유기 개념도(화학의 영역 11-10)」(1957년) 719 내지 725페이지, ③ 후지다 및 아카즈카저 「계통적 유 기 정성 분석(순수물편)」 487페이지(1970년) 가자마 서점, ④ 고우다저 「유기 개념도-기초와 응용」 227페이지(1984년) 산쿄 출판, ⑤ 야구치저 「유기 개념도에 의한 유화(乳化) 처방 설계」 98페이지(1985년) 니폰 에멀젼 가부시키가이샤, ⑥ R.H.Ewell, J.M.Harrison, L.Berg: Ind Eng Chem 36,871(1944)]이고, 구체적으로는 I.O.B. 값은 유분의 무기성 값/유분의 유기성 값으로 나타낸다.
또한, 두피 두발용 조성물이란, 문자 그대로 두피나 두발에 대하여 사용하는 조성물이고, 대표적인 제품 형태로서 양모제를 들 수 있지만, 이것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탈모제, 염모제, 모발 탈색제 등의 모발 처리용 조성물; 샴푸, 린스 인 샴푸 등의 두발 세정품 조성물; 린스, 트리트먼트 등의 두발 보호용 조성물; 또는 백발 방지제 등으로서의 제품 형태도 채택할 수 있다. 또는 두부 이외의 피부에 흡수되는 일반 화장품, 또한, 백신이나 유전자 제제 등의 의약품의 형태도 채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A. 본 측정법 1에 관해서
본 측정법 1-1
본 측정법 1-1은 본 측정법의 시험관내 양태의 하나이다.
본 측정법 1-1에서 사용하는 피부 모델로서는 모델 동물의 피부를 사용하는 것도, 세포 등으로부터의 피부의 재구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피부 모델의 제공원이 되는 모델 동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피그, 사람, 소, 마우스, 래트 등 을 사용할 수 있다. 단, 본 측정법은, 모공을 통한 모낭 조직으로의 약제의 침투성을 검토하는 필요상, 유모(有毛) 동물인 것이 통상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무모화시킨 돌연 변이체 등은, 상기 모델 동물로서는 통상적으로 부적당하다. 또한, 본 측정법 1-1은 통상 궁극적으로는 사람에게 적용하는 약제의 선별법으로서 사용되는 정량법이므로, 모델 동물의 피부가 가능한 한 사람에게 근사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람 이외이면, 돼지를 모델 동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측정법 1-1에 있어서의 「생체의 의사 상태」란 피부가 생체의 일부로서 존재하고 있는 상태와 동일시 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이고, 이 조건이 만족되는 한, 특히 그 양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피부 모델을 콜라겐 겔 위에 고정하는 등의 수단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체의 의사 상태가 유지되어 있는 피부 모델에 약제 등의 피검물을 작용시켜 그 피부의 진피층으로부터 적출한 모낭 조직에서의 피검물의 수착량을 정량하고, 이 수착량을 피검물의 경모 흡수성의 지표로 할 수 있다.
이 약제 등의 피검물의 작용 조건은 피검물의 종류 또는 목적 등에 따라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람의 체온에 가까운 37℃ 부근에서, 상정(想定)되는 피검물의 사용 양태에 따르는 시간에 걸쳐 배양을 실시한다.
피검물의 수착량을 측정하는 부위가 피부의 진피층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피부의 각질층이나 표피층에서는 모낭 조직에 표피 조직이나 피지선 등의 오염이 있는 것이 상정(想定)되어, 정확한 피검물의 수착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피검물의 수착량의 측정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포함한다) 또는 형광 라벨화한 항체를 사용한 형광 항체법, 질량 분석, 방사성 동위원소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간편하다는 이유로, 상기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측정한 피검물의 모낭 조직에서의 수착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피검물이 경모 흡수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종래의 정성적인 방법에서는 피검물에 경모 흡수성이 확인되는지의 여부의 양자 택일의 정보밖에 수득할 수 없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낭 조직에 침투시킨 약제 등의 피검물량과 함께, 각질층, 표피, 진피 등의 기타 피부 조직에 침투시킨 피검물량을 정량하여, 이러한 정량값을 경모 흡수 및 경피 흡수된 피검물량의 지표로서 관련지어, 피검물의 피부 흡수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본 측정법 1-1에 의해, 피검물의 피부 흡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측정법 1-2
본 측정법 1-2에 있어서, 약제 등의 피검물을 사람의 두피에 작용시키는 방법은 그 피검물의 성질 또는 상정되는 사용 양태에 따라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피검물을 작용시킨 후의 피검자의 모낭 조직은 발췌한 모발의 모간(毛 幹) 및/또는 외모근(外毛根) 외피(sheath)로서 확보할 수 있다. 즉, 피검자의 모발의 피하 부분의 모간 및/또는 외모근 외피에 수착한 피검물량을 측정하여, 이 수착량을 피검물의 경모 흡수성의 지표로 할 수 있다.
또한, 피검물의 수착량의 측정은, 본 측정법 1-2에 있어서의 측정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측정법 1-2에 의해, 피검물의 피부 흡수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측정법 1-2는 사람의 모발을 직접 발췌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종류의 피검물의 경모 흡수성을 평가할 때에는 반드시 적당하지는 않다. 따라서, 경모 흡수성에 관해서의 제1차적인 선별은 본 측정법 1-1을 사용하여 수행하고, 이것에 의해 경모 흡수성이 확인되는 피검물을 어느 정도 추려서, 이 피검물의 최종적인 평가 수단으로서, 본 측정법 1-2를 사용하는 것이 상정된다.
B. 본 측정법 2에 관해서
본 측정법 2에서 사용하는 인공 피지는 천연 피지 성분의 내용에 근거하여 제조할 수 있는, 주로 유지류의 혼합물이다.
인공 피지에 함유되는 유분 등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글리세라이드, 탄소수 14 내지 18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스쿠알렌, 스쿠알란, 콜레스테롤, 탄소수 18 내지 72의 왁스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공 피지의 구체적인 처방의 일례를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기재한다.
또한, 인공 피지는 물질의 이행성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 유동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동 상태는 예를 들면, 교반기와 자석 등을 사용하여 인공 피지를 교반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인공 피지에, 진피층을 제외한 피부과 유사한 박막(이하, 단지 「박막」이라고 기재하는 일도 있다)의 한쪽 표면을 접촉시킴으로써, 마치, 사람의 피부 표면 부근에 가까운 상태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정되는 피부의 구조를 피부 표층으로 하는 것은, 피지의 공급원인 피지선의 개구부가 피부 표층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약제 등의 피검물을 접촉시키는 박막의 표면은 피부와 동등한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피부 표층과 유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기판막(基板膜)으로서, 표면 반응성이 확인되지 않은 박막, 예를 들면, 단층 실리콘막, 폴리에틸렌카보네이트막, 셀룰로스막, 그 밖의 고분자막 등을 사용하고, 이들의 기판막의 한쪽 표면에, 각질층에 유사하게 한 상태를 형성시킬 수 있는 수단, 예를 들면, 케라틴 처리, 분말 처리 등을 수행하고, 이 처리면을 각질층으로 선정하여, 각질층을 상정한 측(이하, 각질층측이라고도 한다)을 형성시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공 피지에 표피층측(각질층측과 반대측)을 접촉시킨 박막의 각질층측에 피검물을 접촉시키고, 이 피검물의 인공 피지로의 이행 정도, 예를 들면, 단위 시간당 피검물의 인공 피지로의 이행량을 인공 피지 중의 피검물의 존재량으로서 검출하여, 이 존재량을 지표로 하여, 피검물의 피부 이행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인공 피지 중의 피검물의 정량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피검물의 성질 등에 따라서 기존의 방법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측정법 2는 통상 현실적으로 약제 등을 사용하는 환경에 유사하게 하기 위해서, 박막의 각질층측을 개방계로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단, 상정되는 약제 등의 사용 양태에 따라서, 박막의 각질층측을 폐쇄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예를 들면, 밀폐 상태에서의 약제의 침투 촉진 작용을 기도하는 경우 등).
본 측정법 2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양태로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자는 본 측정법 2를 실시하기 위한, 적어도 하기 ① 내지 ③의 요소를 포함하는 평가 키트(이하, 본 키트라고도 한다)를 제공한다.
①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구부에 박막을 탈착 가능한 상태로 피복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고정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설치되어 있는 인공 피지를 봉입해야 할 봉입부.
② 봉입부의 개구부에 피복 고정해야 할, 피부 표층과 유사한 박막.
③ 봉입부에 봉입해야 할 인공 피지.
본 키트에 관해서, 도면을 사용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키트의 제1 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있어서, 봉입부(11)는 한쪽이 개구되고, 다른쪽이 밑바닥으로 되어 있는 통 모양 용기이다. 이의 개구부(111)의 돌출 말단부는 개구부가 형성하는 원주를 따라,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한 구조로 되어 있다.
봉입부(11)는 내부의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인공 피지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주사바늘 등의 침상 물질을 발췌하여도, 용이하게 내용물이 새어나가지 않는 기능을 갖는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막(12)은 한쪽 면(121)이 케라틴 처리 등에 의해 피부 표층 유사 상태로 되어 있는, 표면 반응성이 확인되지 않은 박막이다.
본 키트의 사용시에는 이 봉입부(11)의 개구부(111)에 박막(12)을 피복 고정시킨다(통상, 한쪽 면(121)을 봉입부(11)의 외측으로, 다른쪽 면(122)을 봉입부(11)의 내측으로 향하여 피복 고정시킨다). 봉입부(11)에는 개구부(111)에 박막을 탈착 가능한 상태로 피복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고정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 실시 양태에서는 박막 고정용 부재(13)를 주요한 고정수단으로서 사용하고 있다.
박막 고정용 부재(13)는 양쪽 말단이 개구되고, 또한, 한쪽 개구부(131)의 돌출 말단부에 형성하는 원주의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한, 봉입부(11)의 개구부(111)의 돌출 말단부와 걸려 결합 가능한 구조가 설계되어 있다. 이 봉입부(11)의 개구부(111)의 돌출 말단부와 박막 고정용 부재(13)의 한쪽 개구부(131)의 돌출 말단부의 구조는 서로 걸려 결합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로의 돌출 말단부에, 서로를 끼워 맞출 수 있는 요철 구조를 설치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또한, 봉입부(11)와 박막 고정용 부재(13)를 걸림 결합시킨 경우의 걸 림 결합성 또는 밀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든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에서는 박막(12)의 한쪽 면(121)과 박막 고정용 부재(13)와의 사이에 패킹(14)(패킹(14)의 소재는 실리콘 고무, 합성 고무, 천연 고무 등의 고무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실리콘 고무는 부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적합하다)를 끼워, 「박막 고정용 부재(13)-패킹(14)-박막(12)-봉입부(11)」로 한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의 걸림 결합성 또는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키트에 있어서는 이 「박막 고정용 부재(13)-패킹(14)-박막(12)-봉입부(11)」의 상태를 안정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부재(15)를 사용할 수 있다[도 1(b) 참조]. 고정용 부재(15)는 길이(Φ)[「박막 고정용 부재(13)-패킹(14)-박막(12)-봉입부(11)」로 한 상태의 접합부의 두께(ø)보다도 약간 길다]가 거의 동일한 4개의 지지 막대(151a, 151b, 151c, 151d)에 의해 지지되어, 서로 평행한 위치에 유지되고 있는, 2장의 판상 부재(l52·15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고정용 부재(15)에 길이(Φ)를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지지 막대(151a, 151b, 151c, 151d)에 길이(Φ)를 조정할 수 있는 나사 구조 등에 의한, 길이 조정 기구를 설치하여, 길이(Φ)를 길이(ø)에 따라서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판상 부재(152·153)는 대면하는 위치에, 개구부(111)과 개구부(131)의 외부 테두리보다도 크며, 이들의 개구부를 매립하는 것이 가능한 요철(凹) 형상이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고정용 부재(15)에 설치된 요철 구조에 접합부(100)를 매립하고, 또한, 일정한 길이의 지지 막대에 의해 고정용 부재(15)에 대하여 설계 된 공극내에, 굵은 화살표의 방향으로 향하여 밀어 넣음에 따라, 2장의 판상 부재(152·153)에 있어서의 막대상(棒狀) 부재(151a, 151b, 151c, 151d)의 지지력에 의해, 「박막 고정용 부재(13)-패킹(14)-박막(12)-봉입부(11)」의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형태의 고정용 부재(15) 대신에, 다른 적층 상태의 안정화 수단, 예를 들면, 클립에 의한 끼워 넣는 힘에 의한 고정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b)는 본 키트(10)를 사용하는 경우의 하나의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패킹(14)을 사이에 두고, 봉입부(11)과 박막 고정용 부재(13)에 끼워 넣어, 「박막 고정용 부재(13)-패킹(14)-박막(12)-봉입부(11)」로 되어 있고, 박막(12)은 상기 처리가 수행된 면(121)을 상측으로 향하여, 인공 피지가 봉입된 봉입부(11)의 개구부(111)에 피복 고정시켜, 면(122)이 봉입부(11)내의 인공 피지와 접촉되어 있다. 봉입부(11)의 저부(底部)에는 교반기 자석(16)이 배치되어, 인공 피지를 유동 상태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적층 고정 상태는 상술한 고정용 부재(15)에 의해 유지할 수 있다.
박막 고정용 부재(13)의 다른쪽 개구부(132)로부터, 피검물을 박막(12)의 면(121)에 접촉시키고, 이 피검물의 박막(12)을 사이에 둔 봉입부(11)에 봉입된 인공 피지로의 이행 정도를 검토함으로써, 피검물의 피지 이행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법을 폐쇄계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다른쪽 개구부(132)를 덮개 부재 등에 의해 폐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피검물의 인공 피지로의 이행 정도는 인공 피지를 주사기(17)에 의해 샘 플링하여, 이것을 분석함으로써 알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측정법 2에 의해, 피검물의 피부 흡수를 측정할 수 있다.
C. 본 조성물에 관해서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에 있어서, 본 측정법 1 및 본 측정법 2에 의해, 약제 등의 경모 흡수 촉진 효과 내지 피지 이행 촉진 효과가 확인되는 성분으로서 밝혀졌다.
즉, 양모제 등의 형태를 채택할 수 있는 두피 두발용 조성물에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함으로써 양모 성분 등이 모공을 통하여 표적 부위인 모낭 조직으로 침투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이의 I.O.B. 값이 0.06 미만이거나 4.0을 초과하면, 목적하는 경모 흡수 촉진 효과 내지 피지 이행 촉진 효과가 확인되지 않게 되는 경향이 강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은, 유기성 값이 100 내지 750이고, 또한, 무기성 값이 50 내지 400, 특히 이의 무기성 값이 100 내지 400인 유분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이의 I,O.B.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이, 상온에서 액상인 탄소수 6 내지 18의 탄화수소를 기본 골격으로 하는 탄화수소 유도체인 것이 적합하다(이들의 탄화수소 유도체는 상온에서 액체의 양친매성(兩親媒性) 물질인 것이 특히 적합하다. 「상온에서 액체」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탄화수소 유도체는 대략, 그 물질 전체의 탄소수가 약 24 이하인 것이 많다). 이러한 탄화수소 유도체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 알콜,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알콜 또는 지방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분 중, 적합한 것의 구체적인 예를 기재하면, 예를 들면, 라우릴 알콜(I.O.B. 값 0.41: 유기성 값 240, 무기성 값 100), 라우르산(I.O.B. 값 0.68: 유기성 값 220, 무기성 값 150), 라우르산 에탄올아미드(I.O.B. 값 1.25: 유기성 값 240, 무기성 값 300), 라우르산 디에탄올아미드(I.O.B. 값 1.53: 유기성 값 260, 무기성 값 400), 라우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I.O.B. 값 0.92: 유기성 값 280, 무기성 값 260), 라우르산 디글리세라이드(I.O.B. 값 0.32: 유기성 값 500, 무기성 값 160), 올레일 알콜(I.O.B. 값 0.28: 유기성 값 360, 무기성 값 102), 올레산(I.O.B. 값 0.45: 유기성 값 340, 무기성 값 152), 올레산 에탄올아미드(I.O.B. 값 0.83: 유기성 값 360, 무기성 값 302), 올레산 디에탄올아미드(I.O.B. 값 1.05: 유기성 값 380, 무기성 값 402), 올레산 모노글리세라이드(I.O.B. 값 0.66: 유기성 값 400, 무기성 값 262), 올레산 디글리세라이드(I.O.B. 값 0.30: 유기성 값 740, 무기성 값 222), 이소스테아릴 알콜(I.O.B. 값 0.29: 유기성 값 350, 무기성 값 100), 이소스테아르산(I.O.B. 값 0.45: 유기성 값 330, 무기성 값 150), 이소스테아르산 에탄올아미드(I.O.B. 값 0.86: 유기성 값 350, 무기성 값 300), 이소스테아르산 디에탄올아미드(I.O.B. 값 1.08: 유기성 값 370, 무기성 값 400), 이소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I.O.B. 값 0.66: 유기성 값 390, 무기성 값 260), 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라이드(I.O.B. 값 0.30: 유기성 값 730, 무기성 값 220), 스테아릴 알콜(I.O.B. 값 0.27: 유기성 값 360, 무기성 값 100), 스테아르산(I.O.B. 값 0.44: 유기성 값 340, 무기성 값 150), 스테아르산 에탄올아미드(I.O.B. 값 0.83: 유기성 값 360, 무기성 값 300), 스테아르산 디에탄올아미드(I.O.B. 값 1.05: 유기성 값 380, 무기성 값 400),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I.O.B. 값 0.67: 유기성 값 390, 무기성 값 260), 스테아르산 디글리세라이드(I.O.B. 값 0.30: 유기성 값 740, 무기성 값 220) 또는 벤질알콜(I.O.B. 값 0.96: 유기성 값 120, 무기성 값 115)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라우릴 알콜, 라우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릴 알콜, 이소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또는 이소스테아르산 에탄올아미드가 적합하고, 특히 이소스테아릴 알콜이 적합하다.
또한, 테르펜류는 상기의 「I.O.B. 값이 0.06 내지 4.0」이라는 조건에는 반드시 적합하지는 않지만, 우수한 경모 흡수 촉진 작용이 확인되는 경향이 강하다. 특히, 캄파는 테르펜류 중에서도, 경모 흡수 촉진 작용이 우수하다.
본 조성물은, 적어도 이소스테아릴 알콜 등의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이 경모 흡수 내지 피지로의 이행을 촉진시키는 성분으로서 배합된 제제(캄파 등의 테르펜류가, 경모 흡수 성분으로서,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 없이, 또는 이러한 유분과 같이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이지만, 다른 목적으로 이들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소스테아릴 알콜은 유제, 약제의 용매, 피지 용해제 등으로서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캄파 등의 테르펜류는 청량제, 혈행 촉진제 등으로서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조성물에 있어서의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의 배합량은, 본 조성물과 같은 양태를 취하지만, 또한 어떠한 목적으로 배합되는가에 따라 상이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조성물이 양모제로서의 형태를 취하고, 또한, 상기 성분에 적어도 경모 흡수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 내지 약제의 피지 이행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을 기도하는 경우에는 대략 조성물의 1ppm 내지 20질량%,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0.01 내지 5질량%의 범위로 배합할 수 있다.
본 조성물에는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 이외에, 이의 구체적인 양태에 따르는 약효 성분이나 기제 성분이 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조성물이 양모제인 경우에는 약효 성분으로서, 쓴풀 추출물, 세파라틴, 비타민 E류, γ-오리자놀, 나무딸기 추출물 등의 혈행 촉진제; 고추 팅크, 생강 팅크, 칸타리스 팅크, 니코틴산 벤질 에스테르 등의 국소 자극제; 각종 비타민류 또는 아미노산류로 대표되는 영양제; 에스트라디올, 에티닐에스트라디올 등의 여성 호르몬제; 판토텐산류, 태반 추출물, 알란토인, 감광소 301 등의 모낭 조직 부활제; 글리틸레틴산, 글리틸리틴산 등의 소염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조성물 중에 필수 성분으로서 배합되어 있는,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에 의해, 이들의 약효 성분의 경모 흡수 또는 피지 이행성을 촉진시켜, 모낭 조직으로의 침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타의 공지된 성분, 예를 들면, 보습제, 각질 용해제, 청량제, 유분, 계면활성제, 실리콘, 자외선 흡수제, 향료, 물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특별히 단정하지 않는 한, 배합량은 배합 대상에 대한 질량%이다.
본 측정법 1-1
1. 본 측정법 1-1의 정밀도의 검토
피험 시료로서, 0.5% 판토테닐 에틸에테르(90% 에탄올 제제)를 사용한다. 피부 모델로서, 미니피그의 피부[유카탄 마이크로피그 스킨 세트(Yucatan Micropig Skin Set)로부터 구입 가능한 찰스 리버(Charles River)]를 사용한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것같이, 2 ×2cm의 미니피그의 피부 표본(10)(각질층(11), 표피(12), 진피(13)가 유지되어 있다)을 제조하여, 이들을 콜라겐 겔상에 고정시키고, 생체의 의사 상태를 형성시킨다. 이 모공(14)을 포함하는 피부 표본에 대하여, 지름 1.5cm의 범위(실리콘 그리스를 도포한 어세이링내)에 20㎕의 피험 시료를 도포한다.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37℃에서 16 시간 방치한 후, 피부 표본(10)을 세정하여, 이것을 각질층(11), 표피(12) 및 진피(13)로 분리한다. 이들의 피부 분리층 중, 진피(13)의 모낭 조직(15)을 취하여, 이 모낭 조직에 존재하는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양을 단위 중량당의 수착량으로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NANOSPACE(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제), 이동층(CH3CN:H2O=3:7), 검출 파장 210nm]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또한, 미니피그의 피부 표본(10)은 미니피그의 등 윗쪽 및 등 아래쪽에서 제 조한다(n=3).
이 정밀도의 검토 시험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도 3에 있어서, 세로축은,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모낭 조직 수착량이다). 도 3에 의해, 본 측정법 1-1에 의해 수득되는 결과는 미니피그의 피부 부위에 따라서 거의 격차가 없고, 본 측정법 1-1에 의해 재현성이 우수한 데이터가 수득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2. 본 측정법 1-1에 의한 성분 평가
① 성분 평가 시험 1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피험 시료[대조군 제제(에탄올 제제) 및 5% 이소스테아릴 알콜 제제]를 제조한다.
배합 성분(질량%) 대조군 제제 5% 이소스테아릴 알콜 제제
에탄올 89.5 84.2
경화 피마자유 에틸렌옥사이드(40mol) - 0.1
이소스테아릴 알콜 - 5.0
이소스테아르산 - 0.2
이온 교환수 10.0 10.0
판토테닐 에틸에테르 0.5 0.5
상기 2종류의 피험 시료(대조군 제제와 이소스테아릴 알콜 제제)의 경모 흡수량을 상기의 정밀도의 검토 시험과 같은 방법(실험수 n=5에 있어서, 미니피그의 등 윗쪽과 등 아래쪽의 피부 표본에서의 검토)으로 검토한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의해, 이소스테아릴 알콜에 의해,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모낭 조직 수착량이 유의하게 증대하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동시에, 사용한 각각의 피부 표본의 각질층[도 5(a)], 표피[도 5(b)] 및 진피[도 5(c)]에 있어서의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수착량을 상기와 동일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검토한다.
도 5의 결과로부터, 진피에 있어서의 수착량의 약간의 증가는 있지만(절대량은 적다), 각질층과 표피에 관해서는 수착량이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것이 명백하다. 이것에 의해, 이소스테아릴 알콜은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경모 흡수를 특이적으로 촉진하지만, 경피 흡수의 촉진은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시험에서는 경모 흡수가 경피 흡수와는 상이한 피부 흡수의 지표인 것을 나타냄과 동시에, 도 4에 나타낸 효과를 모낭 조직에 대한 피검물의 수착량으로 하고, 도 5에 나타낸 결과를 미니피그의 피부의 기타 피부 조직(각질층, 표피 및 진피)의 피검물의 수착량으로 하여 이들의 정량값을 경모 흡수 및 경피 흡수된 피검물량의 지표로서 사용하여, 피검물의 피부 흡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② 성분 평가 시험 2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을 함유하는 피험 시료를 제조한다.
배합 성분(질량%) 대조군 제제 1% 이소스테아릴 알콜 제제 1% 벤질 알콜 제제 1% 이소스테아르산 제제 1% 라우르산 디에탄올아민 제제 1%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라이드 제제
판토테닐 에틸에테르 2.0 2.0 2.0 2.0 2.0 2.0
99% 에탄올 88.0 87.0 87.0 87.0 87.0 87.0
이온 교환수 10.0 10.0 10.0 10.0 10.0 10.0
이소스테아릴 알콜 - 1.0 - - - -
벤질 알콜 - - 1.0 - - -
이소스테아르산 - - - 1.0 - -
라우르산 디에탄올 아민 - - - - 1.0 -
이소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 - - - - 1.0
이들의 6종류의 피험 시료에 의한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경모 흡수량을 상기의 정밀도의 검토 시험과 동일한 방법(실험수 n=5에 있어서, 미니피그의 등 윗쪽과 등 아래쪽의 피부 표본에서의 검토)으로 검토한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도 6에 의해, 대조군 제제와의 비교에 있어서,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을 함유시킴으로써,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모낭 조직 수착량이 증대하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특히, 이소스테아릴 알콜 제제와 이소스테아르산 제제에서의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모낭 조직 수착량이 증대되고 있다.
③ 성분 평가 시험 3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으로서, 라우릴 알콜, 라우르산, 라우르산 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 디에탄올아미드, 라우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라우르산 디글리세라이드, 올레일 알콜, 올레산, 올레산 에탄올아미드, 올레산 디에탄올아미드, 올레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올레산 디글리세라이드, 이소스테아릴 알콜,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에탄올아미드, 이소스테아르산 디에탄올아미드, 이소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이소스테아르산 디글리세라이드, 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에탄올아미드, 스테아르산 디에탄올아미드,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스테아르산 디글리세라이드를 선택하여, 이것을 함유시킨 피험 시료를 제조한다. 이러한 피험 시료의 처방은 상기의 성분 평가 시험 2에서 사용한 처방에 기초한다. 즉, 대조군 제제는 성분 평가 시험 2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하고, 각종의 유분은 대조군 제제에 있어서의 99% 에탄올 함유량을 87%로 하여, 각각 1%씩 함유시킨다.
이들 24종류의 피험 시료에 의한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경모 흡수량을 상기의 정밀도 검토 시험과 동일한 방법(실험수 n=5에 있어서, 미니피그의 등 윗쪽과 등 아래쪽의 피부 표본에서의 검토)으로 검토한다. 이 결과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 의해, 대조군 제제와의 비교에 있어서, I.O.B. 값이 0.06 내지 4.0인 유분은 일반적으로,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모낭 조직 수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측정법 1-2
상기의 본 측정법 1-1의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람의 모발을 사용한 본 측정법 1-2에서, 이소스테아릴 알콜의 경모 흡수 촉진 효과에 관해서 검토한다.
남성 시험자 30명의 두부에 피험 시료(상기의 성분 평가 시험 1의 피험 시료에 있어서 판토테닐 에틸에테르량을 모두 1%로 한 것)를 두피 1㎠당 0.5ml의 비율로 도포하고, 그대로 16시간 방치한 후, 두피을 세정후, 패널 1명당 20개의 비율로, 피험 시료를 적용한 모발을 발췌한다. 이러한 발췌 모발의 모근을 잘라내고, 이 모근의 모간 및 외모근 외피에 수착한 판토테닐 에틸에테르량(모발 20개분)을 상기와 동일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한다.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본 측정법 1-2에 있어서도, 이소스테아릴 알콜이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모낭 조직 수착량을 증대시키고,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경모 흡수를 촉진시키는 것이 분명하다.
3. 경피 흡수제와의 비교 검토 시험
본 시험은 경피 흡수제로서 공지되어 있는 특정 아민 옥사이드를 비교 시료로서 사용하여, 본 측정법 1-1에 있어서의 경향을 검토한다.
구체적으로는, 표 3에 나타내는 처방의 피험 시료로, 상기와 동일한 본 측정법 1-1에 의한 시험을, β-글리틸레틴산과 미녹시딜 각각의 모낭 조직 수착량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조건은 상기와 동일)로 측정함으로써 수행한다.
대조군 제제 이소스테아릴 알콜 제제 아민 옥사이드 제제
미녹시딜 0.5 0.5 0.5
β-글리틸레틴산 0.5 0.5 0.5
에탄올 75 70 70
이온 교환수 22.91 22.91 22.91
이소스테아릴 알콜 - 5 -
라우릴 디메틸아민 옥사이드 - - 5
올레산나트륨 0.1 0.1 0.1
도데실벤젠설폰산나트륨 0.49 0.49 0.49
경화 피마자유 에틸렌옥사이드(40mol 부가물) 0.5 0.5 0.5
합계 100 100 100
결과를 도 9[도 9(a): β-글리틸레틴산의 모낭 조직 수착량, 도 9(b):미녹시딜의 모낭 조직 수착량]에 나타낸다. 이 결과에 의해, 이소스테아릴 알콜 제제는 아민 옥사이드 제제에 비교하여 명백히 경모 흡수를 촉진하고, 또한, 경피 흡수와 경모 흡수는 전혀 별개의 현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청량제에 있어서의 검토 시험
본 시험은, 청량제로서 공지되어 있는 각종 테르펜 화합물을 피험 시료(배합은 표 4에 나타낸다)로서 사용하여, 본 측정법에 있어서의 경향을 검토한다.
대조군 제제 캄파 제제 멘톨 제제 유칼리유 제제
판토테닐 에틸에테르 0.5 0.5 0.5 0.5
에탄올 71 70 70 70
이온 교환수 28.5 28.5 28.5 28.5
캄파 - 1 - -
멘톨 - - 1 -
유칼리유 - - - 1
합계 100 100 100 100
도 10에 나타낸 결과는 상기 피험 시료를 본 측정법 1-2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청량제 중에서도, 캄파만이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경모 흡수를 촉진한다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또한, 도 11[도 11(a):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모낭 조직 수착량, 도 11(b): 판토테닐 에틸에테르의 표피와 진피에 있어서의 수착량]은 상기의 피험 시료를 본 측정법 1-1로 평가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도, 도 10의 결과를 뒷받침 하는 결과가 수득된다.
본 측정법 2
상술한 본 키트(10)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미녹시딜 제제의 피지 이행성을 평가한다.
1. 미녹시딜 제제는 표 5에 나타내는 처방의 미녹시딜 2% 제제를 제조하고, 이 제제 20㎕를 시험에 사용한다.
에탄올 디프로필글리콜 C8 모노글리세라이드 락트산에틸 세토스테아릴 알콜 이소스테아릴 알콜
99% 알콜 88 38 82.7 82.7 82.7 82.7
경화 피마자유 에틸렌옥사이드 (60mol) - - 0.1 0.1 0.1 0.1
이소스테아르산 - - 0.2 0.2 0.2 0.2
이온 교환수 10 10 10 10 10 10
디프로필렌 글리콜 - 50 - - - -
프로필렌글리콜 - - - - - -
이소스테아릴 알콜 - - - - - 5
세토스테아릴 알콜 - - - - 5 -
락트산에틸 - - - 5 - -
C8 모노글리세라이드 - - 5 - - -
미녹시딜 2 2 2 2 2 2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2. 사용한 인공 피지의 처방을, 하기에 나타낸다.
배합 성분 배합량(질량%)
트리올레인 40.0
팔미트올레산 26.0
왁스 에스테르 20.0
스쿠알란 10.0
팔미트산 2.0
콜레스테롤 2.0
---------------------------------------------------------------
100.0
이 인공 피지 11.5ml를 봉입부(11)에 봉입한다.
3. 봉입부(11)로서, 인공 피지의 채취에 주사바늘을 사용 가능한 11.5ml 용량의 프란즈 셀(Franz cell)을 사용한다.
4. 박막(12)으로서, 한쪽의 면이 케라틴 처리된 단층 실리콘 막을 사용한다.
구체적인 조건을 상기 조건 1 내지 조건 4와 같이 설정하고, 시험 온도를 37℃로 설정하여, 24시간의 사이의 미녹시딜의 인공 피지로의 이행량을 인공 피지 중의 미녹시딜량으로서, 경시적으로 검토한다.
미녹시딜의 정량은 계측 시간마다, 주사바늘 부착 실린더로 인공 피지 0.5ml를 채취하고, 이들을 교반하여, 메탄올 1.0ml를 첨가하여 정치후, 4,000rpm으로 5분간 원심 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원심 처리에 의해 분리되는 메탄올 층을 0.5ml 채취하고, 이것을 2배량의 메탄올로 희석하여, 이것을 시료로 하여,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시세이도 나노스페이스(Shiseido Nanospace), 컬럼은 캡슐 팩 C18, 용출 용매는 CH3CN:H2O=20:80]로 미녹시딜 량을 정량한다. 결과를 도 12에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이소스테아릴 알콜이 미녹시딜의 피지 이행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판명된다.
5. 본 조성물의 처방예
이하, 전형적인 본 조성물(양모제·샴푸)의 처방예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처방예의 양모제·샴푸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한다.
[처방예 1] 양모제
배합 성분 배합량(질량%)
판토테닐 에틸에테르 0.5
β-글리틸레틴산 0.5
쓴풀 추출 페이스트 0.5
니코틴산아미드 0.5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5
에탄올 70.0
이온 교환수 21.41
이소스테아릴 알콜 5.0
라우릴디메틸아민 옥사이드 올레산나트륨 0.49
경화 피마자유 에틸렌옥사이드(40mol 부가물) 0.5
[처방예 2] 샴푸
배합 성분 배합량(질량%)
야자유 지방산 아실메틸타우린나트륨 10.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5.0
글리세린 1.0
시트르산 1.0
이소스테아릴 알콜 5.0
타우린 1.5
메틸타우린 0.5
양이온화 셀룰로스 0.5
향료 적량
이온 교환수 잔량
[처방예 3] 린스·트리트먼트
배합 성분 배합량(질량%)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1.0
이소스테아릴 알콜 3.0
팔미트산 1.0
L-글루타민 0.1
정제수 잔량
[처방예 4] 컨디쇼닝 샴푸
배합 성분 배합량(질량%)
N-코코일-N-메틸타우린나트륨 7.0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7.0
스테아르산 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0.1
이소스테아릴 알콜 0.25
정제수 잔량
[처방예 5] 백발 방지제
배합 성분 배합량(질량%)
95% 에탄올 55.0
쓴풀 추출물 5.0
니코틴산아미드 0.5
히노키티올 0.2
1,3-부틸렌글리콜 1.5
경화 피마자유 에틸렌옥사이드(60mol 부가물) 1.0
이소스테아릴 알콜 5.0
호박산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량
[처방제 6] 탈모제
배합 성분 배합량(질량%)
95% 에탄올 55.0
티오글리콜산칼슘 5.0
1,3-부틸렌 글리콜 1.5
경화 피마자유 에틸렌옥사이드(60mol 부가물) 1.0
이소스테아릴 알콜 5.0
호박산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본 발명에 의해, 피검물의 경모 흡수성 내지 피지 이행성을 간편·정확하게 정량함으로써, 피부 흡수의 측정을 간편·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발견하고, 이것에 의해 약제 등의 경모 흡수 내지 피지 이행을 촉진하여, 양모제 등의 표적 부위인 모낭 조직에 효과적으로 약제를 도달시키는 수단이 제공된다.

Claims (5)

  1. 판토테닐 에틸에테르, 미녹시딜 및 β-글리틸레틴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경모낭 흡수성을 갖는 물질, 및 당해 경모낭 흡수성을 갖는 물질의 경모낭 흡수 촉진 성분으로서 이소스테아릴 알콜, 캄파, 또는 이들 둘 다를 함유하는 두피 두발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양모제, 탈모제, 염모제, 모발 탈색제, 백발 방지제, 샴푸, 린스, 린스 인 샴푸 또는 트리트먼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품인 두피 두발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양모제 제품인 두피 두발용 조성물.
  5. 삭제
KR1020070019195A 1999-10-29 2007-02-26 경모낭 흡수성을 갖는 물질 및 경모낭 흡수 촉진 성분을 포함하는 두피 두발용 조성물 KR100786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922599 1999-10-29
JPJP-P-1999-00309225 1999-10-29
JPJP-P-1999-00358840 1999-12-17
JP35884099A JP2001174392A (ja) 1999-12-17 1999-12-17 皮脂移行性の評価法
JP2000180457 2000-06-15
JPJP-P-2000-00180457 2000-06-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676A Division KR100895416B1 (ko) 1999-10-29 2000-10-28 피부 흡수 측정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459A KR20070037459A (ko) 2007-04-04
KR100786030B1 true KR100786030B1 (ko) 2007-12-17

Family

ID=273390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676A KR100895416B1 (ko) 1999-10-29 2000-10-28 피부 흡수 측정법
KR1020070019195A KR100786030B1 (ko) 1999-10-29 2007-02-26 경모낭 흡수성을 갖는 물질 및 경모낭 흡수 촉진 성분을 포함하는 두피 두발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676A KR100895416B1 (ko) 1999-10-29 2000-10-28 피부 흡수 측정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20030165429A1 (ko)
EP (2) EP1096255B1 (ko)
KR (2) KR100895416B1 (ko)
CN (3) CN1171089C (ko)
AT (1) ATE408825T1 (ko)
DE (1) DE60040264D1 (ko)
TW (1) TWI2786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37978D1 (de) * 2001-09-28 2009-04-23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Zusammensetzung zur förderung des haarwachstums
FR2847164A1 (fr) * 2002-11-19 2004-05-21 Oreal Sebum artificiel
FR2863707B1 (fr) * 2003-12-12 2007-02-02 Oreal Procede de mesure de la resistance au transfert d'un produit cosmetique
US7258023B2 (en) * 2003-12-18 2007-08-21 L'oreal S.A. Process for measuring the transfer resistance of a cosmetic product
EP1736207A1 (de) * 2005-06-23 2006-12-27 Mibelle AG Cosmetics Zusammensetzung zur Depilierung
WO2008093412A1 (ja) * 2007-01-31 2008-08-07 Cosmed Pharmaceutical Co., Ltd. 経皮吸収製剤の拡散測定装置
US9341618B2 (en) 2007-02-22 2016-05-17 Kao Corporation Method for evaluating or screening hair growth-regulating agent
CN103308564A (zh) * 2013-06-03 2013-09-18 拉芳家化股份有限公司 一种化妆品活性成分经皮吸收效率的检测方法
CN104931393B (zh) * 2015-03-11 2017-12-22 东华大学 一种评价纺织材料液体吸收性能的装置及方法
KR101781741B1 (ko) 2016-04-09 2017-09-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물질 투과도 실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실험방법
KR101989784B1 (ko) * 2017-06-29 2019-06-17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의 색상 변화 평가 모델 및 그를 이용하여 화장품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JP7108127B2 (ja) 2018-08-21 2022-07-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毛穴の色を特定する方法
EP4147199A1 (en) 2020-05-08 2023-03-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identifying dendritic por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8315A (en) 1990-04-12 1991-11-26 University Of Dundee Composition for the regulation of hair growth
US5130142A (en) 1990-10-31 1992-07-14 The Practer & Gamble Company Hair growth regulating composition comprising epithelium cell supernatant-derived growth factor
JPH0568315A (ja) * 1991-09-10 1993-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ツプコンセント
JPH05130142A (ja) * 1991-10-31 1993-05-25 Nec Corp パケツト交換方式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O77521A2 (ro) * 1979-06-06 1981-11-24 Institutul De Cercetari Pentru Apicultura,Ro Medicament antireumatic
DE3211913A1 (de) * 1982-03-31 1983-10-13 Maria 7530 Pforzheim Marks Mittel zur foerderung des haarwuchses und zur verminderung der schuppenbildung
WO1988001502A1 (en) * 1986-09-05 1988-03-10 The Upjohn Company Sebum-dissolving nonaqueous minoxidil formulation
JPH01132510A (ja) * 1987-11-17 1989-05-25 Taisho Pharmaceut Co Ltd 養毛剤
ATE209887T1 (de) * 1993-04-02 2001-12-15 Anticancer Inc Verfahren zur verabreichung von förderlichen zusammensetzungen auf die haarfollikel
JP3283642B2 (ja) * 1993-06-16 2002-05-20 株式会社創研 米からの育毛剤
TW464502B (en) * 1996-03-12 2001-11-21 Shiseido Co Ltd W/O type emulsified composition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W/O type emulsified cosmetic
CA2206717A1 (en) * 1996-06-03 1997-12-03 Shiseido Company, Ltd. Hair revitalizing tonic composition containing a lipid derivative and use thereof
US5817155A (en) * 1996-08-08 1998-10-06 Shiseido Co., Ltd. Emulsion for hair treat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8315A (en) 1990-04-12 1991-11-26 University Of Dundee Composition for the regulation of hair growth
US5130142A (en) 1990-10-31 1992-07-14 The Practer & Gamble Company Hair growth regulating composition comprising epithelium cell supernatant-derived growth factor
JPH0568315A (ja) * 1991-09-10 1993-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ツプコンセント
JPH05130142A (ja) * 1991-10-31 1993-05-25 Nec Corp パケツト交換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301A (ko) 2001-06-25
CN1232823C (zh) 2005-12-21
EP1901064B1 (en) 2016-01-13
EP1901064A3 (en) 2009-09-02
KR20070037459A (ko) 2007-04-04
CN1566948A (zh) 2005-01-19
KR100895416B1 (ko) 2009-05-07
DE60040264D1 (de) 2008-10-30
EP1096255A2 (en) 2001-05-02
EP1901064A2 (en) 2008-03-19
EP1096255B1 (en) 2008-09-17
EP1096255A3 (en) 2003-03-19
CN1530652A (zh) 2004-09-22
US20030165429A1 (en) 2003-09-04
CN1303015A (zh) 2001-07-11
US20060034762A1 (en) 2006-02-16
ATE408825T1 (de) 2008-10-15
US20060062730A1 (en) 2006-03-23
TWI278622B (en) 2007-04-11
US7799319B2 (en) 2010-09-21
CN1171089C (zh)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030B1 (ko) 경모낭 흡수성을 갖는 물질 및 경모낭 흡수 촉진 성분을 포함하는 두피 두발용 조성물
Bronaugh et al. Methods for in vitro percutaneous absorption studies VI: preparation of the barrier layer
Barr Percutaneous absorption
Grasso et al. Methods of measuring, and factors affecting, percutaneous absorption
Brain et al. Methods for studying percutaneous absorption
Lu et al. Comparison of artificial sebum with human and hamster sebum samples
Gonzalez Percutaneous absorption with emphasis on sunscreens
Youssef et al. Surface free energy characterization of vernix caseosa. Potential role in waterproofing the newborn infant
Schaefer et al. Models for skin absorption and skin toxicity testing
Cao et al. In vivo percutaneous permeation of gold nanomaterials in consumer cosmetics: Implication in dermal safety assessment of consumer nanoproducts
JP4112794B2 (ja) イソステアリルアルコールにより経毛吸収が促進された養毛剤又は白髪防止剤、及び、経毛吸収を促進するためのイソステアリルアルコールの使用方法
Boncheva et al. Application of attenuated total reflection Fourier transform infrared imaging and tape-stripping to investigate the three-dimensional distribution of exogenous chemicals and the molecular organization in Stratum corneum
Lansdown An appraisal of methods for detecting primary skin irritants
JP4113251B2 (ja) 経毛吸収定量方法
JP2018184426A (ja) 保湿化粧剤としてのアルキルオキサゾリジノンの使用及び皮膚の保湿方法
JPH09243636A (ja) 皮膚存在物質の分析方法
JP2001174392A (ja) 皮脂移行性の評価法
Karan et al. Toxicologic implications of cutaneous barriers: a molecular, cellular, and anatomical overview
CN100367923C (zh) 异硬脂醇作为经毛吸收促进成分的应用
Harkey Technical issues concerning hair analysis for drugs of abuse
Rème et al. Effects of repeated topical application of a 0.0584% hydrocortisone aceponate spray on skin thickness in beagle dogs
Dong Influences of skin barrier, a nanoparticle-based vehicle and solvents on cutaneous drug delivery
Elkeeb et al. Nail Penetration
RE EVALUATION OF PERCUTANEOUS PENETRATION OF
Kasichayanula Evaluation of percutaneous penetration of insect repellents and sunscre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