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784B1 - 화장품의 색상 변화 평가 모델 및 그를 이용하여 화장품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의 색상 변화 평가 모델 및 그를 이용하여 화장품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784B1
KR101989784B1 KR1020170082913A KR20170082913A KR101989784B1 KR 101989784 B1 KR101989784 B1 KR 101989784B1 KR 1020170082913 A KR1020170082913 A KR 1020170082913A KR 20170082913 A KR20170082913 A KR 20170082913A KR 101989784 B1 KR101989784 B1 KR 101989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smetics
color change
cosmetic
c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250A (ko
Inventor
장유진
박새롬
박수지
송다현
이정욱
유권종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784B1/ko
Publication of KR20190002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82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 G01N33/5088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of verteb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97Artificial constructs associating cells of different lineages, e.g. tissue equivalents
    • C12N5/0698Skin equival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3/00Use of cells in diagnostics
    • C12N2503/04Screening or testing on artificial tissues
    • C12N2503/06Screening or testing on artificial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분리된 돼지의 피부를 이용하여 화장료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화장료의 색상 변화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품의 색상 변화 평가 모델 및 그를 이용하여 화장품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Discoloration evaluation model for cosmetics and method for measurement of discoloration of cosmetics using the same}
화장품의 색상 변화 평가 모델 및 그를 이용하여 화장품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크닝 현상이란, 메이크업을 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품을 처음 발랐을 때보다 색상이 점점 어두워져 피부가 칙칙해 보이는 현상을 뜻한다. 이러한 현상은 제품에 포함되어있는 오일성분과 사람 얼굴에서 분비되는 피지 속의 오일성분이 서로 반응 및 산화되어 검게 변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알려져 있다.
다크닝 현상은 사용자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화장품의 개발 과정에서 제품의 다크닝 현상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색상 변화 관련 항목을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제품의 색상 변화의 측정은 사람의 얼굴에 제품을 도포하고, 시간에 따른 색 변화를 관찰하는 것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땀의 흐름에 의한 지워짐, 무의식적으로 얼굴을 만지는 등의 행동 등, 외부 물리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다크닝 현상만으로 인한 제품의 색 변화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다. 또한, 이러한 사람 피부에서의 다크닝 현상 평가 방법 이외에 다른 효능 평가 모델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외부의 물리적인 요인 없이 메이크업 제품의 다크닝 현상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모델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분리된 돼지 피부를 이용하여 화장료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분리된 피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피부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단계; 및 도포된 화장료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간을 제외한 동물은 마우스, 래트, 래빗, 소, 말, 개, 돼지, 및 영장류를 포함하는 포유류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또는 피부 조직은 피부의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 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또는 피부 조직은 털이 제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또는 피부 조직은 실험용 또는 식용으로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것을 구매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는 피부의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 층을 포함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두께가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는 표피, 진피 및 피하 지방층의 경계가 뚜렷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는 표피에 남아 있는 털이 굵고 억센 것일 수 있다. 피지분비선은 모낭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표피에 남아 있는 털이 많고, 굵고 억센 털이 많은 것일 수록 피부의 피지 분비 유도가 용이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돼지 피부의 경우 털이 적고 부드러운 배 부위의 피부 보다는 등, 머리, 또는 다리 부위의 피부의 피지 분비 유도가 더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피부 또는 피부 조직의 온도를 일정한 온도, 예를 들면 30℃ 내지 50℃, 35℃ 내지 50℃, 35℃ 내지 45℃, 35℃ 내지 40℃, 30℃ 내지 45℃, 30℃ 내지 40℃, 30℃ 내지 35℃, 40℃ 내지 45℃, 40℃ 내지 50℃, 또는 45℃ 내지 50℃로 유지하면서 수행하는 것인 방법일 수 있다. 특정 이론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분리된 피부의 온도를 체온과 유사한 온도로 유지하면, 피부의 피지 분비를 유도하여 살아있는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환경에서 화장료의 색상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돼지 껍데기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핫플레이트, 또는 항온조 등 상업적으로 구매 가능한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온도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실내 공간 등에서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도포하는 단계는 도포되는 화장품의 종류 또는 제형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림 제형의 화장품의 경우 적절한 도구 또는 손을 이용하여 피부에 펴 바르는 것으로 수행할 수 있고, 스프레이 종류의 화장품의 경우 분무기 등을 이용하여 뿌리는 것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의 색상 변화는 화장품의 다크닝 현상일 수 있다. 용어 "다크닝 현상"은 화장품이 피부에 도포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장료 본연의 색을 유지하지 못하고 변색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의 색상 변화는 피부에서 분비되는 피지의 오일 성분이 화장품의 오일 성분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다크닝 현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의 색상 변화는 서로 다른 화장품끼리 접촉하여 발생하는 화학 반응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화장품을 도포하기 전에 피부에 적용하는 기초 화장품 또는 메이크업 보조 제품과, 이후 색상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는 색조 화장품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다크닝 현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화장품”은 화장을 위해 사용되는 단일 성분, 조성물, 또는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색상 변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화장품은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화장품, 또는 완성되거나, 완성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화장수(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BB 크림, 스틱, 팩트,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현탁액, 겔, 분말, 페이스트, 마스크팩 또는 시트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색상 변화의 측정은 당업계에서 색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기기, 예를 들면 분광측색계, 분광색차계, 또는 촬영 장치로 촬영한 이미지를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수행하거나, 또는 육안으로 색 변화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색상 변화의 측정은 화장품의 도포 전 또는 도포 직후의 색상과 적어도 도포 5분, 10분,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7시간, 8시간, 12시간, 18시간, 24시간 또는 임의의 시간 후의 화장품의 색상을 비교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색 변화의 측정을 위해, 분리된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하고,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에 도포된 화장품 옆에 화장품 동량을 새로 도포하면, 일정한 시간 후와 도포 직후의 화장품의 색상 비교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동물의 피부를 포함하는, 화장품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엑스 비보(ex vivo) 평가 모델을 제공한다.
상기 평가 모델은 화장품의 색상 변화 현상을 평가하기 위해, 동물의 기관, 조직 또는 세포의 구조나 형상을 모식화하거나, 다크닝 현상의 평가를 위해 고려된 모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모델 또는 그를 이용한 방법에 의하면,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여 측정할 시, 땀의 흐름에 의한 지워짐과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얼굴을 만지는 등의 행동 등, 외부 물리적인 요인으로 인한 화장료의 색상 변화를 배제할 수 있으며, 아직 완성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도 안정성 등과 관련한 제한 없이 화장료의 다크닝 현상을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돼지 피부에 도포된 화장품의 색 변화 양상은 사람 피부에 적용 했을 때와 동일 내지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므로, 상기 모델 또는 그를 이용한 방법은 화장료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돼지 껍데기를 이용하여 화장료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화장료의 색상 변화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1a는 사람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하고 시간에 따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b는 사람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하고 시간에 따라 L value 값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돼지 껍데기에 비비 크림 및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하고 시간에 따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b는 돼지 껍데기에 비비 크림 및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도포하고 시간에 따라 L value 값을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돼지 껍데기에 여러 회사의 톤업 크림을 도포하고, 그 위에 비비 크림을 도포한 후 시간에 따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b는 돼지 껍데기에 여러 회사의 톤업 크림을 도포하고, 그 위에 비비 크림을 도포한 후 시간에 따라 측정한 L value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사람 피부를 이용한 다크닝 현상의 관찰
피험자의 얼굴 피부에 시중에서 유통되는 BB 크림과 파운데이션 제품을 도포하고, 화장품의 시간에 따른 색 변화를 관찰하였다. BB 크림은 다크닝 현상이 심하다고 알려져 있는 제품이며, 파운데이션 제품은 상대적으로 다크닝 현상이 적다고 알려져 있다. 피험자의 양 볼 부분에 BB 크림 및 파운데이션 제품을 각각 적당량 도포하고, 도포 직후, 3시간 후, 및 6시간 후의 화장품 색을 육안 및 안면 화상 촬영장치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얼굴 양측에 각각 BB 크림과 파운데이션을 도포 한 뒤, 안면 화상 촬영장치(VISIA CR-2.2 Deluxe-2 (Canfield Scientific, Inc., U.S.A))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얼굴을 촬영하였다.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 상 볼 부위의 L value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BB 크림과 파운데이션의 L value 변화 정도를 도식화 하였다. 촬영 전에는 항온 항습실(온도: 22~24℃, 습도: 40~60%)에 피험자를 10분 가량 대기시킨 뒤 촬영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a와 같이 육안상으로는 BB 크림 및 파운데이션 제품 모두 다크닝 현상을 명확히 관찰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도 1b와 같이, BB 크림의 경우 6시간 후 L value 1.3 감소 및 파운데이션 제품의 경우 6시간 후 L value 0.8 감소하여, 시간에 따른 화장품의 다크닝 현상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BB 크림의 다크닝 현상이 파운데이션 보다 두드러짐을 확인하여, 실험 설계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돼지 피부 조직을 이용한 비비 크림 및 파운데이션 화장품의 다크닝 현상의 관찰
통상 실험에 사용되는 동물은 마우스, 래트, 래빗 등 다양한 소 동물 및 개, 돼지 등 여러 종의 동물이 있다. 그러나, 사람의 피부와 다른 동물의 피부는 두께 및 부속기관의 수 등이 다르고, 특히 돼지 등 일부 동물은 피부에 땀샘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동물 피부를 이용한 실험의 결과를 사람 피부에 동일하게 적용하기는 어려웠다. 특히 분리된 동물의 피부 조직은 각 개체의 기관으로부터 분리된 것이기 때문에, 조직 내의 표피, 진피 또는 피지선 등의 구조와 역할이 변형될 수 있고, 피부 자체의 특성이 유지되는지도 알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실험 동물들 중 사람의 피부에 가장 유사한 구조와 성상을 가진 돼지의 분리된 피부 조직이 메이크업 화장품의 다크닝 현상의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재래 시장에서 식용으로 판매되는 돼지 껍데기에 상기 비교예 1에서 사용된 BB 크림과 파운데이션 제품을 도포하고 화장품의 시간에 따른 색 변화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돼지 껍데기의 표피 부분에 BB 크림 및 파운데이션 화장품을 적당량 도포한 뒤, 표피의 반대 부분(피하조직 층)이 맞닿도록 40℃로 조정된 핫플레이트에 올려 돼지 껍데기의 피지 분비를 유도하였다. 이후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포 직후, 및 6시간 후의 화장품 색을 육안 및 분광측색계(CM-2600d)(KONICA MINOLTA, Japan) 로 측정하여 색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a는 비교예 1과는 달리 육안상으로도 BB 크림 및 파운데이션 제품의 다크닝 현상을 확연히 관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 2b와 같이 BB 크림의 경우 6시간 경과 후 L value가 2.5 감소하였고, 파운데이션의 경우 6시간 경과 후 0.1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상기의 결과로, 통상적으로 색 변화가 적다고 알려진 파운데이션의 경우, 인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에 비해 돼지 피부에서 더 적은 색 변화가 나타났고, 색 변화가 많다고 알려진 BB 크림의 경우, 인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에 비해 돼지 피부에서 더 많은 색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돼지 피부에서 메이크업 화장품의 색 변화를 측정하였을 때, 더욱 정확하게 다크닝 현상을 측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화장품의 색 변화의 폭이 제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돼지 피부를 이용하는 경우 제품 처방상의 차이에 의한 다크닝 현상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돼지 피부 조직을 이용한 화장품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다크닝 현상의 관찰
화장품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다크닝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돼지 껍데기에 3종의 톤업 크림을 바르고, 1분 뒤 동일한 비비 크림을 겹쳐 바른 후, 도포 직후 및 6시간 후의 색 변화를 육안 및 분광측색계(CM-2600d)(KONICA MINOLTA, Japan)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3과 같다. 도 3a는 육안상으로도 도포 직후 및 도포 6시간 후에 색 변화가 관찰됨을 나타낸다. 특히 톤업 크림의 제조사에 따라 다크닝 현상이 나타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도 3b는 톤업 크림의 제조사에 따라 L value 감소치가 각각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7)

  1.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층을 포함하는 분리된 돼지 피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피부에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피부의 피하지방층과 맞닿도록 한 40℃로 조정된 온도 유지 장치 상에서 상기 피부의 피지 분비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화장품의 다크닝 현상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크닝 현상은 피부의 피지에 의한 것인 화장품의 다크닝 현상을 측정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82913A 2017-06-29 2017-06-29 화장품의 색상 변화 평가 모델 및 그를 이용하여 화장품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KR101989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913A KR101989784B1 (ko) 2017-06-29 2017-06-29 화장품의 색상 변화 평가 모델 및 그를 이용하여 화장품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913A KR101989784B1 (ko) 2017-06-29 2017-06-29 화장품의 색상 변화 평가 모델 및 그를 이용하여 화장품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50A KR20190002250A (ko) 2019-01-08
KR101989784B1 true KR101989784B1 (ko) 2019-06-17

Family

ID=6502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913A KR101989784B1 (ko) 2017-06-29 2017-06-29 화장품의 색상 변화 평가 모델 및 그를 이용하여 화장품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7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1064B1 (en) * 1999-10-29 2016-01-13 Shiseido Company, Limited Method for measuring skin absorbability
KR101064044B1 (ko) * 2008-11-03 2011-09-08 (주)아모레퍼시픽 유용성 천연 색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894434B1 (ko) * 2011-10-31 2018-09-03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의 광특성 측정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생체외 피부흡수시험 가이드라인',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50A (ko)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erra-Tapia et al. Hair cosmetics: dyes
US10660425B2 (en) Makeup assistance device, makeup assistance method, and makeup assistance program
de Groot et al. The allergens in cosmetics
Brusselaers et al. Burn scar assessment: a systematic review of objective scar assessment tools
Powers et al. Scar assessment: current problems and future solutions
AU2018229799B2 (en) Chemical composition
JP2009505712A (ja) 皮膚の水分量を測定する方法
US8809014B2 (en) Method for assessing the condition of skin and/or scalp
Hua et al. Comparison of two series of non‐invasive instruments used for the skin physiological properties measurements: the DermaLab® from Cortex Technology vs. the series of detectors from Courage & Khazaka
Alessandrini et al. Essential of hair care cosmetics
WO2018112586A1 (pt) Composição cosmética de maquiagem, base líquida e uso de uma composição cosmética de maquiagem
JP2016222642A (ja) ケラチン分散剤
JP2019510784A (ja) 眼窩周囲色素異常症の外観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
JP5712369B2 (ja) ヘアセット剤およびヘアセット剤の使用方法。
KR101989784B1 (ko) 화장품의 색상 변화 평가 모델 및 그를 이용하여 화장품의 색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
CN109966512A (zh) 一种用于检测敏感皮肤的面膜及其应用
Brown Health hazard manual for cosmetologists, hairdressers, beauticians and barbers
WO200512033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ssung der feuchte an der menschlichen haut
EP3559662B1 (de) Haaruntersuchungsvorrichtung
Marque et al. Sensory methods for cosmetics evaluation
JP6485192B2 (ja) 鱗屑状態の予測方法
JP2021112407A (ja) 見た目年齢の推定方法
JP7281261B2 (ja) 物質の感覚刺激性の解析方法
Farag et al. Trichoscopic Findings of Frontal Fibrosing Alopecia
Brito Evaluation of hair dyes influence on the epidermal barrier using an in vitro t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