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508B1 -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508B1
KR100784508B1 KR1020060093483A KR20060093483A KR100784508B1 KR 100784508 B1 KR100784508 B1 KR 100784508B1 KR 1020060093483 A KR1020060093483 A KR 1020060093483A KR 20060093483 A KR20060093483 A KR 20060093483A KR 100784508 B1 KR100784508 B1 KR 100784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fixing member
fixing
waterproof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트로
Priority to KR102006009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체는, 피방수체와, 상기 피방수체를 방수시키는 방수 부재 및,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접합시 상기 방수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방수 부재와 접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방수체와, 상기 방수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의하면, 방수 부재의 변형이 최소화되면서 피방수체에 방수 부재가 부착될 수 있고, 방수 부재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그러한 부착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체, 피방수체, 방수 부재, 고정 부재, 돌출부, 초음파

Description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Waterproof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 기출원된 방수 구조 및 방수층 시공 방법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수 구조체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이용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이용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이용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적용된 방수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이용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이용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이용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방수 부재가 접히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방수 부재가 접히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방수 부재가 접힌 뒤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수 부재 110 : 콘크리트 벽체
120 : 타정못 252 : 머리홀
210, 220, 230, 240, 250, 260 : 고정 부재
211, 221, 231, 241, 251, 261 : 고정 부재의 몸체
212, 222, 224, 232, 242, 262 : 돌출부
213, 223, 233, 243, 253, 263 : 관통홀
본 발명은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수 구조체는 외부에 노출된 피방수체의 부분에 수분 침투가 방지되도록, 피방수체를 방수시키는 구조체를 말한다. 이러한 방수 구조체의 피방수체로는 콘크 리트 구조체를 들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체는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거쳐 형성된다. 이러한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체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방치되면, 콘크리트 구조체에 수분이 침투하게 된다. 그러면, 콘크리트 구조체의 강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체에 대한 방수 처리가 요구된다. 이러한 방수 처리의 일 방식으로 방수 부재를 부착한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방수 부재를 덧댄 다음, 타정못 등을 이용하여 방수 부재를 콘크리트 구조체에 고정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타정 시에 방수 부재와 콘크리트 구조체가 함께 타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 부재가 변형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복수 개 이용되는 타정못 각각에 대해 타정 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그 설치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대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서 기출원된 출원번호 10-2006-79629, 발명의 명칭 "고주파 유도 융착으로 항균시트를 부착한 지하 저수조의 방수 구조 및 방수층 시공 방법"에서 방수 구조 및 방수층 시공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서 기출원된 방수 구조 및 방수층 시공 방법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벽체(11)에 항균 시트(10)가 부착된다. 상기 벽체(11)와, 상기 항균 시트(10) 사이에는 고정구(13)가 삽입된다. 상기 고정구(13)는 스테인레스(15)의 표면에 폴리머(14) 처리된 상태이다.
상기 방수 구조에 따른 방수층 시공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벽체(11)에 상기 고정구(13)를 앵커(12)에 의해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3) 위에 상기 항균 시트(10)가 얹힌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13) 표며의 상기 폴리머(14)와, 상기 항균 시트(10)를 고주파 유도기를 이용하여 일체로 접합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상기 스테인레스(15)가 부식될 염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인레스(15) 표면에 상기 폴리머(14)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 가열에 의해 상기 폴리머(14)와, 상기 항균 시트(10)를 접합시키므로, 그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대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를 포함한 방수 구조체의 방수 구조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방수 부재의 변형이 최소화되면서 피방수체에 방수 부재가 부착될 수 있는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수 부재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그러한 부착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는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체는 피방수체; 상기 피방수체를 방수시키는 방수 부재; 및,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접합시 상기 방수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방수 부재와 접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방수체와, 상기 방수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체의 시공 방법은, 피방수체와, 방수 부재와, 고정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피방수체와, 상기 방수 부재 사이에 상기 고정 부재를 개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피방수체에 상기 고정 부재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 부재에 상기 방수 부재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방수 부재의 접촉된 부분을 접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피방수체와, 상기 방수 부재를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재에는 그 몸체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됨으로서 접합시 방수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방수 부재와 접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방수 부재를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체 등의 피방수체와, 방수 부재 사이에 소정 높이의 돌출부가 형성된 고정 부재가 개입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방수 부재의 접촉부가 초음파에 의해 융착되어 접합된다. 따라서, 타정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피방수체의 형상을 따라 방수 부재에 비교적 균일한 접합력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방수 부재의 변형이 최소화되면서 피방수체에 방수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의하면, 피방수체에 돌출부가 형성된 고정 부재를 고정시키고, 고정 부재와 방수 부재를 초음파에 의해 융착시켜 결합시키므로, 방수 부재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그러한 부착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이 방수 구조체의 피방수체의 일종인 콘크리트 구조체를 중심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의 사상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사상은 일반적인 방수 구조체의 피방수체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를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수 구조체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110)는 양생 과정을 거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의 외면에는 방수 부재(100)가 부착된다. 상기 방수 부재(10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의 노출된 외면을 덮어, 상기 노출된 외면을 통한 수분 침투를 방지한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와, 상기 방수 부재(100) 사이에는 고정 부재(210)가 배치된다. 상기 고정 부재(210)는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돌출부(212)와, 상기 몸체(211)를 관통하는 관통홀(21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부재(210)의 일 면은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에 접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3)을 관통하여 타정못 등의 결합 부재(12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에 결합되면, 상기 고정 부재(21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에 고정 된다.
상기 고정 부재(210)의 면 중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와 접하는 면의 타면에 상기 돌출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12)는 상기 방수 부재(100)와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12)와, 상기 방수 부재(100)의 접촉된 부분은 초음파에 의해 융착되어, 접합된다.
상기 고정 부재(210)는 초음파에 의해 융착되는 부분을 포함하므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P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이용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 부재(210)는 소정 두께의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11)는 소정 직경의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212)는 띠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12)는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이룬다. 상기 돌출부(212)는 소정 직경의 원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2)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초음파에 의한 융착이 상기 돌출부(212)와, 상기 방수 부재(100)의 접촉부에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12)와, 상기 방수 부재(100)가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에 상기 고정 부재(210)를 접촉시킨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13)에 타정못 등의 결합 부재(120)를 관통시켜, 상기 고정 부재(210)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 부재(21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의 형상에 부합되도록,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 부재(210)가 고정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 상에 방수 부재(100)를 덧댄다. 그러면, 상기 방수 부재(100)는 상기 돌출부(212)와 접촉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방수 부재(100)와, 상기 돌출부(212)의 접촉부에 초음파를 가한다. 그러면, 상기 방수 부재(100)와, 상기 돌출부(212)의 접촉부가 접합된다. 상기 고정 부재(21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고정 부재(210)를 통해 상기 방수 부재(10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을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술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이용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 부재(220)는 몸체(221)와, 상기 몸체(221)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내 돌출부(222) 및 외 돌출부(2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21)에 결합 부재(120)가 관통되는 관통홀(223)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내 돌출부(222)는 소정 직경의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 돌출부(224)는 상기 내 돌출부(222)를 따라 그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 돌출부(222) 및 상기 외 돌출부(224)가 각각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된 내 돌출부(222) 및 외 돌출부(224)가 각각 방수 부재(100)와 접촉된다. 그러면, 초음파에 의해 상기 내 돌출부(222) 및 상기 외 돌출부(224)가 상기 방수 부재(100)와 접합되므로, 상기 고정 부재(220)와, 상기 방수 부재(100)의 접합 면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220)와, 상기 방수 부재(100)가 더욱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220)에는 내 돌출부(222) 및 외 돌출부(224)가 형성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상기 고정 부재(220)와, 상기 방수 부재(100)의 접합 면적 증대를 위하여, 더 많은 개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이용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가 적용된 방수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 부재(230)는 소정 길이의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231)와, 상기 몸체(23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돌출부(2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31)는 그 폭보다 그 길이가 더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관통홀(233)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33)에는 결합 부재(120)가 관통된다.
상기 돌출부(232)는 상기 몸체(23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32)는 상호간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몸체(2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돌출부(232)가 전체적으로 상기 방수 부재(100)와 접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 부재(230)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상기 방수 부재(100)와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 부재(23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체(110)와, 방수 부재(100) 사이에 개입된다. 상기 관통홀(233) 각각에 상기 결합 부재(120)가 관통되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에 상기 방수 부재(100)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23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와, 상기 방수 부재(100) 사이에 그 길이에 부합되도록 길게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부재(230)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방수 부재(100)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가 근접되면, 상기 돌출부(232)에 상기 방수 부재(100)가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방수 부재(100)의 외측에서 초음파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가하면, 상기 돌출부(232)와, 상기 방수 부재(100)가 융착됨으로써, 상기 방수 부재(100)는 상기 고정 부재(230)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와, 상기 방수 부재(100)의 일 측 단부에서 상기 고정 부재(230)의 고정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230)의 위치를 상기와 같이 간단하게 확인한 다음, 작업자가 상기 방수 부재(100)의 수평 방향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 초음파를 가하면, 상기 고정 부재(230)와, 상기 방수 부재(100)가 융착될 수 있다. 그러면, 각각 단품으로 형성되는 고정 부재가 설치되는 경우, 그러한 고정 부재의 정확한 위치를 일일이 확인한 다음, 융착을 위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이 해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수 부재(100)의 설치 작업이 용이해지고, 그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23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즉, 상기 고정 부재(23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에 수직 방향 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이용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40)는 사각 형상을 이루는 몸체(241)와, 상기 몸체(241)로부터 사각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242)의 내측에는 관통홀(24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부재(240)가 상기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콘크리트 구조체(110)의 모서리 부분 등 각진 부분에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40)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의 모서리 부분 등 각진 부분에서는 방수 부재(100)가 접힌 상태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방수 부재(100)가 우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형상의 상기 고정 부재(24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의 모서리 부분 등 각진 부분에 고정되고, 그 상단에 상기 방수 부재(100)가 접합된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110)의 각진 부분의 형상을 따라 상기 고정 부재(240)와, 상기 방수 부재(100)가 접합되므로, 상기 방수 부재(100)가 우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이용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50)는 원형의 몸체(251)와, 상기 몸체(251)에 형성된 머리홀(252)과, 관통홀(253)로 이루어진다.
상기 머리홀(252)은 상기 관통홀(253)에 관통되는 결합 부재(120)의 머리가 놓이는 부분이다. 이러한 머리홀(252)의 형성에 따라, 상기 결합 부재(120)가 상기 관통홀(253)에 관통될 때, 상기 머리홀(252)에 상기 결합 부재(120)의 머리가 놓인다. 따라서, 상기 결합 부재(120)가 관통 완료된 후, 상기 고정 부재(250)의 상단면에 상기 결합 부재(120)의 머리가 돌출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고정 부재(250) 상에 방수 부재(100)가 접촉될 때, 상기 방수 부재(100)가 상기 머리에 의해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상 기와 같은 변형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250)와, 상기 방수 부재(100)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상기 고정 부재(250)와, 상기 방수 부재(100)가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방수 구조체에 이용되는 고정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부재(260)는 몸체(261)와, 상기 몸체(261)에 형성되는 돌출부(262)와, 관통홀(263)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262)는 상기 몸체(261)에서 소정 높이로 연장된 형상을 이루는 연장부(264)와, 상기 연장부(264) 상단에 형성되는 돌출 머리(265)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 머리(265)에는 방수 부재(100)가 접촉된다. 상기 돌출 머리(265)는 상기 연장부(264)의 두께보다 소정 두께만큼 더 두껍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돌출 머리(265)는 상기 연장부(264)의 상단의 면적이 확장된 형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고정 부재(260)와, 상기 방수 부재(100)가 접촉될 때, 상기 방수 부재(100)가 상기 돌출 머리(265)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방수 부재(100)와, 상기 고정 부재(260)의 접촉 면적이 증대된다.
상기와 같이 접촉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상기 방수 부재(100)와, 상기 고정 부재(260)의 접합 면적이 증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방수 부재(100)와, 상기 고정 부재(260)가 더욱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다양한 형상의 돌출부가 제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고정 부재 상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는 단수 개의 점 형상, 다수 개의 점 형상, 소정 곡률로 만곡되는 곡선 형상 등의 더욱 다양한 형상의 돌출부가 제안될 수 있고, 이러한 돌출부도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체의 모서리 부분에 적용될 수 있는 방수 부재의 접히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방수 부재가 접히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방수 부재가 접히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방수 부재가 접힌 뒤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체의 모서리 부분에 적용될 수 있는 방수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부재(300)가 소정 선을 기준으로 구획된다. 상세히, 상기 방수 부재(300)는 대략 중심의 수직선과, 대략 하부의 수평선과,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의 교차점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선을 기준으로, 제 1 면(301)과, 제 2 면(302)과, 제 3 면(303)과, 제 4 면(304)과, 제 5 면(305)과, 제 6 면(306)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경사선의 경사각(α, β)은 상기 수평선 또는 상기 수직선을 기준으로 각각 대략 45°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 부재(300)가 접힌 후 적용되는 방수 구조체의 구조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방수 구조체의 꺽인 각도에 부합되도록 상기 경사각이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직선 및 상기 수평선은 소정의 도구에 의해 상기 방수 부재(300)에 형성되는 흠집에 의해, 그 구획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선을 따라 절개 수단으로 절개하면, 상기 제 5 면(305) 및 상기 제 6 면(306)이 제거된다.
그런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면(303)과, 상기 제 4 면(304)이 접촉되도록, 상기 방수 부재(300)를 접는다. 이 때, 상기 제 1 면(301)과, 상기 제 2 면(302)을 구획하는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기 방수 부재(300)가 접힌다.
상기와 같은 접는 과정이 완료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면(301)과, 상기 제 2 면(302)는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접힌 상태로 마주보게 되고, 상기 제 3 면(303)과, 상기 제 4 면(304)은 접촉된다. 상기 경사선의 경사각(α, β)이 45°인 경우, 상기 제 1 면(301)과, 상기 제 2 면(302)의 사잇각(γ)은 90°일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방수 부재(300)가 접히면, 상기 방수 부재(300)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체의 모서리 부분 등의 각진 부분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 부재(300)의 제 3 면(303)과, 상기 제 4 면(304)이 겹치지 아니하게 형성되므로, 해당 부분의 두께 증가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 부재(300)가 상기 방수 구조체의 모서리 부분에 적용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고정 부재 중 그 형상에 적합한 고정 부재들이 적용됨으로써, 상기 방수 부재(300)의 고정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 구조체 등의 피방수체와, 방수 부재 사이에 소정 높이의 돌출부가 형성된 고정 부재가 개입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방수 부재의 접촉부가 초음파에 의해 융착되어 접합된다. 따라서, 타정 등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피방수체의 형상을 따라 방수 부재에 비교적 균일한 접합력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방수 부재의 변형이 최소화되면서 피방수체에 방수 부재가 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에 의하면, 피방수체에 돌출부가 형성된 고정 부재를 고정시키고, 고정 부재와 방수 부재를 초음파에 의해 융착시켜 결합시키므로, 방수 부재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그러한 부착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피방수체;
    상기 피방수체를 방수시키는 방수 부재; 및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접합시 상기 방수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방수 부재와 접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방수체와, 상기 방수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방수 구조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형, 띠 형상, 각진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구조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에서 복수 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구조체.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원형, 띠 형상, 각진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구조체.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방수 부재는 초음파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구조체.
  11. 피방수체와, 방수 부재와, 고정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피방수체와, 상기 방수 부재 사이에 상기 고정 부재를 개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피방수체에 상기 고정 부재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정 부재에 상기 방수 부재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방수 부재의 접촉된 부분을 접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피방수체와, 상기 방수 부재를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부재에는 그 몸체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됨으로서 접합시 방수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방수 부재와 접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방수 부재를 접합시키는 방수 구조체의 시공 방법.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방수 부재를 초음파에 의해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구조체의 시공 방법.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방수체와, 상기 방수 부재의 고정 단계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방수 부재의 접촉된 부분을 초음파에 의해 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구조체의 시공 방법.
KR1020060093483A 2006-09-26 2006-09-26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0784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483A KR100784508B1 (ko) 2006-09-26 2006-09-26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483A KR100784508B1 (ko) 2006-09-26 2006-09-26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508B1 true KR100784508B1 (ko) 2007-12-11

Family

ID=3914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483A KR100784508B1 (ko) 2006-09-26 2006-09-26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5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316B1 (ko) 2009-07-23 2009-11-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저수조 설치용 항균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저수조 방수공법
KR102578577B1 (ko) * 2023-06-19 2023-09-14 (주)대명에스이에스 변형 흡수용 굴곡형 노드를 가지는 물 저장시설 라이닝 패널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5391A (ja) * 1994-11-02 1996-05-28 K F C:Kk 防水シート溶着ディス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5391A (ja) * 1994-11-02 1996-05-28 K F C:Kk 防水シート溶着ディス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316B1 (ko) 2009-07-23 2009-11-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저수조 설치용 항균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저수조 방수공법
KR102578577B1 (ko) * 2023-06-19 2023-09-14 (주)대명에스이에스 변형 흡수용 굴곡형 노드를 가지는 물 저장시설 라이닝 패널 지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3502B2 (ja) トンネル止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784508B1 (ko)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H10205041A (ja) 床等の構成材
JPH08333849A (ja) ベランダ等の断熱防水装置
KR100762858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KR100625861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JP2007231551A (ja) コーナー部止水構造
JP2006233632A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5044235B2 (ja) 屋根構造
KR100762857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JPH053422U (ja) デツキプレートの固定構造
JP3872202B2 (ja) 屋根用断熱パネルの取付構造
JPS6229610A (ja) 土壌地盤面の防水工法
JPS6282158A (ja) 防水構造
JP2585926B2 (ja) 構築物のひび割れ補修用注入器具
JP3132916U (ja) 目地ジョイナー
US20020119285A1 (en) Process for making a seal and apparatus for sealing doublewide munufactured homes
JPH1136536A (ja) 防水シートの固定方法及びその固定用部材
JPH0442424Y2 (ko)
JPH0139287Y2 (ko)
JP2605243Y2 (ja) 防水役物
KR100625424B1 (ko) 철근 콘크리트 지하 저수조의 폴리에틸렌 시트를 이용한방수 구조 및 방수층 시공 방법
JP3141027U (ja) バルコニー用防水カバー
JPH07217004A (ja) 板材の接合構造及び板材
JPS635487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