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857B1 -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 Google Patents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857B1
KR100762857B1 KR1020050018770A KR20050018770A KR100762857B1 KR 100762857 B1 KR100762857 B1 KR 100762857B1 KR 1020050018770 A KR1020050018770 A KR 1020050018770A KR 20050018770 A KR20050018770 A KR 20050018770A KR 100762857 B1 KR100762857 B1 KR 100762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usion
water tank
heat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883A (ko
Inventor
김기완
Original Assignee
김기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완 filed Critical 김기완
Priority to KR102005001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8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18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9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bstract

본 발명은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조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PE시트 열융착시, 자동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를 최대로 하고 상대적으로 수동융착의 범위를 최소화하여 수동융착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저수조의 콘크리트 벽면에 다수의 붙임용 시트를 고정하는 제1 공정과; 상기 붙임용 시트에 열융착되는 PE시트를 접을 때, 일측면과 하면 및 하단부 날개를 갖도록 하고, 상기 날개는 대각선 방향으로 제1 경사절단부를 포함하도록 전개하는 제2 공정과; 상기 PE시트의 정면 및 일측면을 서로 직각을 이루는 벽면의 붙임용 시트에 각각 열융착시키는 제3 공정과; 상기 하면과 날개를 서로 중첩시켜 열융착기를 이용하여 그 경사진 제1 경사절단부를 따라 중첩 부위를 열융착시키는 제4 공정과; 상기 제4 공정에 의해서 자동융착되고 남은 중첩 부위를 수동융착시키는 제5 공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의 신속성과 간편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PE시트, 붙임용 시트, 양면, 하면, 날개, 제1,2 경사절단부, 타정못

Description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The waterproof method of water tank use PE seet}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저수조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종단면도.
도 1b는 평단면도.
도 2는 종래의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방수 공법을 나타낸 전개도 및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벽체 돌출기둥에 대한 방수 공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일반적인 열융착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의 사각 기둥에 대한 방수 공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사시도.
도 7b는 단면도.
도 7c는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1의 벽면과 바닥면 간의 방수 공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a는 도 1의 슬리브에 대한 방수 공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4에서 열융착기의 진행방향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PE시트의 전개도 및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서 열융착기의 진행방향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은 도 13에서 열융착기의 진행방향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제1,2 경사절단부 110:저수조
130:PE시트
131,131a:양면 132:하면
133:접힘선 134:절개부
134a:절개홈 135,135a:날개
136:용접부
140:타정못 150:붙임용 시트
170:열융착기
171:기체 172,173:압착로울러
174:열풍노즐
180:슬리브 방수부
181:실링재 182:SUS 밴드
183:고정플랜지 184:체결플랜지
185:패킹 187:볼트
본 발명은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조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PE시트 열융착시, 자동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를 최대로 하고 상대적으로 수동융착의 범위를 최소화하여 수동융착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나 옥상에 설치되는 저수조는 통상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물이 담겨지는 특성상 내면의 방수처리는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에는 주로 에폭시 수지도료나 유리섬유를 보강재로 한 열경화성 수지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저수조의 내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방수처리를 하였으나, 이는 영구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시트(polyethylene sheet)를 이용한 방수 구조가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통상 저수조(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대략 장방형의 함체로 형성되어 측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각각의 벽면(111)과 바닥면(112) 및 천정면(113)을 구성하게 되며, 일측 벽면(111)을 슬리브(114)가 내.외측을 관통하고, 상기 슬리브(114)를 포함하여 벽면(111)과 바닥면(112) 및 천정면(113) 모두 PE시트(130)가 부착되어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10)는 건물의 구조적인 제한으로 벽면(111)에 벽체 돌출기둥(1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앙부 또는 외곽에 사각 기둥(117)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벽체 돌출기둥(116) 및 사각 기둥(117) 역시 PE시트(130)에 의해서 방수가 이루어지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10)의 내부에는 여러가지 설치물, 예컨대 사다리(115) 등이 설치되며, 상기 사다리(115)는 통상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상.하 단부측을 저수조(110)의 천정면(113)과 바닥면(112)에 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의 PE시트에 의한 방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탕면 처리된 저수조(110)의 내면을 따라 PE시트(130)를 공급하고, 서로 중첩되는 부위를 와셔(140a)가 끼워진 타정못(140)으로 박아 PE시트(130)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물의 접촉에 따른 상기 타정못(140)의 부식 방지를 위하여 그 고정부위의 외측을 덧붙임 시트(150)로 융착하여 은폐토록 하였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탕면 처리된 저수조(110)의 내면에 일정면적을 가지는 붙임용 시트(160)를 와셔(140a)가 끼워진 타정못(140)과 결합시켜 저수조(110)의 내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게 타격 고정한 후, 상기 붙임용 시트(160)가 대략 중앙 부위에 위치하도록 붙임용 시트(160)에 PE시트(130)를 열융착시켜 부착되게 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리고, 상기 붙임용 시트(160)에 부착된 PE시트(130)의 각 단부는 서로 중첩되어 다시 열융착시켜 저수조(110)의 내면에 대한 PE시트(130)의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PE시트(130)를 이용한 시공은 저수조(110)의 벽 면과 바닥면 및 천정면에 걸쳐 이루어진다.
한편, 저수조(110)의 모서리 부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면(131)(131a)과 상.하 일측면, 여기서는 하면(132)을 파선으로 나타낸 접힘선(133)을 중심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접어 부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절개부(134)를 형성하여 하면(132)을 먼저 접고, 그 다음 양면(131)(131a)을 접어 절개부(134)에 의해서 형성된 양면(131)(131a)의 하단부 날개(135)(135a)를 하면(132) 상에 중첩하여 열융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부착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벽체 돌출기둥(11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다만, 양면(131)(131a) 및 하단부 날개(135)(135a)가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데 차이가 있으며, PE시트(130) 간의 중첩 부위에 대한 용접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은 열융착기(170)가 사용된다.
상기 열융착기(170)는 기체(171)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상.하 압착로울러(172)(173)의 후방측에 열풍을 내뿜는 열풍노즐(174)이 구비되어 상기 기체(171)가 후퇴하면서 먼저 열풍으로 PE시트(130)의 중첩부위를 가열한 후, 이 가열된 PE시트(130)의 중첩 부위가 상기 상.하 압착로울러(172)(173)의 사이를 지나면서 상기 압착로울러에 의하여 압착됨으로써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함께 사각기둥의 경우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PE시트(130)를 가로 및 세로 방향의 벽면을 따라 부착시키고, 상기 벽면(117a)과 바닥면(112) 사이의 경계는 별도의 수작업에 의해서 열풍에 의한 플라스틱 용접으로 용접부(136)를 형성하여 부착하거나, 도 7c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면의 하단부에 하 부 날개(137)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 날개(137)를 따라 용접부(136)에 의한 수동융착을 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물론 상기 PE시트(130)는 저수조의 내면에 박히는 타정못(140)의 붙임용 시트(160)에 열융착되어 부착됨은 당연하다.(도 2 및 도 3 참조.)
도 8은 PE시트(130)를 저수조의 벽면(111)과 바닥면(112)에 걸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벽면(111) 및 바닥면(112)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 고정된 붙임용 시트(160)에, 서로 대향되는 각각의 단부측을 서로 중첩시켜 상기 벽면(111)과 바닥면(112)에 걸쳐 열융착한 후, 다시 그 중첩 부위를 융착하게 되는데, 이때, 벽면(111)과 바닥면(112)의 경계를 이루는 모서리 부분, 즉 "A" 부분은 수동융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로 중첩되고 절곡되어지는 일측 및 타측 PE시트(130a)(130b)의 접힘부분에 수평의 절개홈(134a)을 형성하여 그 모서리 부분의 안쪽으로 상기 PE시트(130a)(130b)의 접힘부분이 밀착되게 한 후, 바닥면(112)에서부터 그 겹칩 방향을 서로 반대로 어긋물림되게 하여 수동융착한 다음, 나머지 부분을 열융착기로 자동융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 9a는 저수조(110)의 내.외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슬리브(114)의 방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 방수부(180)는 상기 슬리브(114)의 외측 둘레를 실링재(181)로 감싸고, 다시 상기 실링재(181)의 외주면에 PE시트(130)를 원형의 형태로 감싼 후, 상기 PE시트(130)를 적어도 2개 이상의 SUS 밴드(182)로 고정하여 슬리브(114)에 대한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9b는 상기 슬리브 방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콘크리트 타설전에 미리 상기 슬리브(114)의 일측 단부에 탭 가공된 고정플랜지(183)를 용접으로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의하여 저수조(110)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조(110)의 내면을 전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120)를 포함하는 PE시트(130)를 이용하여 방수 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때 슬리브(114) 상의 PE시트(130) 및 부직포(120)는 제거되어 상기 슬리브(114)가 저수조(1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패킹(185)과 함께 체결플랜지(184)를 상기 고정플랜지(183)에 고무패킹(186)과 함께 볼트(187)로 체결하여 슬리브(114)에 대한 방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시공방법에 있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서리 부분에 대한 융착시, 자동융착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로지 수동융착으로만 작업이 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E시트(130)의 하면(132)과 양면(131)(131a)의 하단부 날개(135)(135a) 사이의 중첩 부위는 대략 직사각 형태를 이루고, 융착은 이 직사각 형태를 이루는 외곽을 따라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통상 자동융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융착기(170)가 사용되고, 상기 열융착기(170)는 기체(171)의 하부측 열풍노즐(174)을 통하여 열풍을 그 중첩 부위에 분사하면서 후퇴하고 예열된 PE시트(130)의 중첩부위는 상.하측 압착로울러(172)(173)의 사이를 지나면서 압축되어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열융착기를 이용한 도 4의 중첩 부위에 대한 융착시,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열융착기(170)가 저수조(110)의 모서리 부분, 즉 서로 직각을 이루는 각각의 벽면(111)에 맞닿아 더이상 후진을 못하게 되어 자동융착이 불가능하고, 이로인하여 대략 직사각 형태를 이루는 그 중첩된 외곽 부위를 따라 수동으로만 융착할 수 밖에 없게 됨으로써 수동융착에 따른 작업공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의 낭비에 따른 작업의 신속성 저하를 초래하고, 또한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으로 인한 시공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저수조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PE시트 열융착시, 자동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를 최대로 하고 상대적으로 수동융착의 범위를 최소화하여 수동융착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신속성과 간편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수조의 콘크리트 벽면에 다수의 붙임용 시트를 고정하는 제1 공정과; 상기 붙임용 시트에 열융착되는 PE시트를 접을 때, 일측면과 하면 및 하단부 날개를 갖도록 하고, 상기 날개는 대각선 방향으로 제1 경사절단부를 포함하도록 전개하는 제2 공정과; 상기 PE시트의 정면 및 일측면을 서로 직각을 이루는 벽면의 붙임용 시트에 각각 열융착시키는 제3 공정과; 상기 하면과 날개를 서로 중첩시켜 열융착기를 이용하여 그 경사진 제1 경사절단부를 따라 중첩 부위를 열융착시키는 제4 공정과; 상기 제4 공정에 의해서 자동융착 되고 남은 중첩 부위를 수동융착시키는 제5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공정은 붙임용 시트를 앵커볼트에 의해서 저수조의 콘크리트 벽면에 고정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공정은 PE시트를 접을 때, 양면으로 접혀지도록 전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공정은 하면에 날개의 제1 경사절단부와 대칭을 이루는 제2 경사절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공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공정은 저수조의 콘크리트 벽면에 다수의 붙임용 시트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 처리된 저수조(110)의 내면에 일정면적을 가지는 붙임용 시트(160)를 와셔(140a)가 끼워진 타정못(140)과 결합시켜 저수조(110)의 내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게 타격 고정한 후, 상기 붙임용 시트(160)가 대략 중앙 부위에 위치하도록 붙임용 시트(160)에 PE시트(130)를 열융착시켜 부착되게 한다.
또한, 상기 붙임용 시트(160)에 부착된 PE시트(130)의 각 단부는 서로 중첩되어 다시 열융착시켜 저수조(110)의 내면에 대한 PE시트(130)의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붙임용 시트(160)를 저수조(110)의 내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앵커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앵커볼트로 붙임용 시트를 저수조(110)의 내면에 고정할 때에는, 먼저 콘크리트 벽면에 드릴로 구멍을 뚫어 그 구멍에 앵커를 박아 볼트를 체결하는 공정이 더 포함되고, 물과의 접촉을 감안할 때 상기 앵커볼트는 플라스틱 앵커를 사용하거나 부식이 않되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공정은 붙임용 시트에 열융착되는 PE시트를 접을 때, 일측면과 하면 및 하단부 날개를 갖도록 하고, 상기 날개는 대각선 방향으로 제1 경사절단부를 포함하도록 전개하게 된다.
이를 첨부된 도 11를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측면 또는 양면(131)(131a)과 상.하 일측면, 여기서는 하면(132)을 파선으로 나타낸 접힘선(133)을 중심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접을 수 있게 전개하게 되는데, 이때 절개부(134)를 형성하여 하면(132)을 먼저 접고, 그 다음 양면(131)(131a)을 접어 절개부(134)에 의해서 형성된 양면(131)(131a)의 하단부 날개(135)(135a)가 하면(132) 상에 중첩될 수 있게 전개한다.
그리고, 상기 날개(135)(135a)에 대각선 방향으로 제1 경사절단부(1)를 형성하여 날개(135a)가 하면(132) 상에 중첩될 때, 상기 제1 경사절단부(1)를 따라 열융착될 수 있도록 전개한 것이며, 제1 경사절단부(1)와 대칭을 이루도록 하면(132)에도 제2 경사절단부(2)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공정은 PE시트의 정면과 일측면, 또는 양면을 서로 직각을 이루는 붙임용 시트에 각각 열융착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붙임용 시트의 고정은 도 3 및 본 발명의 제1 공정과 같고, 통상에 열풍에 의해서 열융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 공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면(132)과 날개(135a)를 서로 중첩시켜 열융착기를 이용하여 날개(135a)의 제1 경사절단부(1) 또는 서로 중첩된 상기 날개(135a)와 하면(132)의 제1 경사절단부(1) 및 제2 경사절단부(2)의 중첩부위를 따라 열융착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융착기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융착기(170)는 기체(171)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상.하 압착로울러(172)(173)의 후방측에 열풍을 내뿜는 열풍노즐(174)이 구비되어 상기 기체(171)가 후퇴하면서 먼저 열풍으로 PE시트(130)의 중첩부위를 가열한 후, 이 가열된 PE시트(130)의 중첩 부위가 상기 상.하 압착로울러(172)(173)의 사이를 지나면서 상기 압착로울러에 의하여 압착됨으로써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상기 열융착기(170)를 이용하여 상기 날개(135a)의 제1 경사절단부(1) 또는 서로 중첩된 상기 날개(135a)와 하면(132)의 제1 경사절단부(1) 및 제2 경사절단부(2)의 중첩부위를 따라 열융착시키게 되면, 자동융착은 열융착기(170)의 기체(171)와 모서리 부분의 벽면과 맞닿는 거리(S1)까지 이루어지고, 나머지 거리(S2)는 수동융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5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수조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PE시트 열융착시, 자동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를 최대로 하고 상대적으로 수동융착의 범위 를 최소화하여 수동융착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신속성과 간편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저수조(110)의 콘크리트 벽면에 다수의 붙임용 시트(160)를 고정하는 제1 공정과;
    상기 붙임용 시트(160)에 열융착되는 PE시트(130)를 접을 때, 상기 PE시트(130)의 일측면(131)과 하면(132) 및 하단부 날개(135)를 갖도록 하고, 상기 날개(135)는 대각선 방향으로 제1 경사절단부(1)를 포함하도록 전개하는 제2 공정과;
    상기 PE시트(130)의 정면 및 일측면을 서로 직각을 이루는 벽면의 붙임용 시트(130)에 각각 열융착시키는 제3 공정과;
    상기 하면(132)과 날개(135)를 서로 중첩시켜 열융착기(170)를 이용하여 그 경사진 제1 경사절단부(1)를 따라 중첩 부위를 열융착시키는 제4 공정과;
    상기 제4 공정에 의해서 자동융착되고 남은 중첩 부위를 수동융착시키는 제5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공정은 하면(132)에 날개의 제1 경사절단부(1)와 대칭을 이루는 제2 경사절단부(2)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KR1020050018770A 2005-03-07 2005-03-07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KR100762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770A KR100762857B1 (ko) 2005-03-07 2005-03-07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770A KR100762857B1 (ko) 2005-03-07 2005-03-07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883A KR20060097883A (ko) 2006-09-18
KR100762857B1 true KR100762857B1 (ko) 2007-10-02

Family

ID=37629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770A KR100762857B1 (ko) 2005-03-07 2005-03-07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358B1 (ko) * 2021-01-13 2021-05-31 이금숙 3차원 구조물의 내부 꼭짓점에 대한 pvc 시트를 이용한 방수공사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869A (ko) * 1999-05-01 2000-12-05 김경옥 2액형 무기질계 탄성 도막 방수제,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 방수시공방법
KR100274220B1 (ko) * 1998-03-18 2000-12-15 변무원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
KR20020000814A (ko) * 1999-05-29 2002-01-05 빌프리더 하이더 치환 페닐시클로헥산 카르복실산 아미드 및 아데노신-흡수억제제로서 그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4220B1 (ko) * 1998-03-18 2000-12-15 변무원 저수조용 구조물의 방수공법
KR20000072869A (ko) * 1999-05-01 2000-12-05 김경옥 2액형 무기질계 탄성 도막 방수제,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 방수시공방법
KR20020000814A (ko) * 1999-05-29 2002-01-05 빌프리더 하이더 치환 페닐시클로헥산 카르복실산 아미드 및 아데노신-흡수억제제로서 그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883A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5566T3 (es) Conjunto de elementos y procedimiento para la utilizacion del conjunto para la proteccion estanca de un elemento penetrante de techo.
CN101247996B (zh) 用于容器加衬的方法和由该方法形成的容器
JP6403502B2 (ja) トンネル止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762858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KR100762857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KR100625861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KR101035909B1 (ko) 단일겹 방수시트의 벽면 마감부위 시공방법
KR100431533B1 (ko) 폴리에틸렌 시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수조의 방수구조
KR200386919Y1 (ko)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
KR101734105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봉함재 설치 공법 및 그 구조
US7762024B1 (en) Pocket seal for roof
EP2473686A1 (en) Device for leading a pipe having a large cross section through a roof
KR200386245Y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
KR100784508B1 (ko) 방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5358477B2 (ja) 防水シート施工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US8176688B1 (en) Flashing attachment apparatus
KR200261154Y1 (ko) 폴리에틸렌 시트를 사용한 콘트리트 수조의 방수구조
JPS6282158A (ja) 防水構造
JPS632502Y2 (ko)
KR20050092501A (ko) 효과적인 배수기능을 갖는 터널내 방수부재
KR100733773B1 (ko) 수밀 융착된 고정설치부를 갖는 텐트 바닥지의 코너부형성방법 및 그에 의한 텐트 바닥지의 코너부
KR200300999Y1 (ko) 방수시트
JPH0242800Y2 (ko)
JP4421738B2 (ja) 建造物における平場端縁の排水溝構造
JP2003154328A (ja) 壁面への遮水シート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