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245Y1 -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 - Google Patents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245Y1
KR200386245Y1 KR20-2005-0006082U KR20050006082U KR200386245Y1 KR 200386245 Y1 KR200386245 Y1 KR 200386245Y1 KR 20050006082 U KR20050006082 U KR 20050006082U KR 200386245 Y1 KR200386245 Y1 KR 200386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leeve
reservoir
wa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완
Original Assignee
김기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완 filed Critical 김기완
Priority to KR20-2005-0006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2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2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조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슬리브에 대한 방수를 위하여 상기 슬리브의 외측 둘레에 실링재와 함께 감싸지는 PE시트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PE시트의 외측 둘레를 결속하는 SUS 밴드의 노출을 방지하고, 물과의 접촉으로 실링재가 팽창됨에 따른 PE시트의 방수 기능의 상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저수조의 슬리브 외측 둘레에 실링재와 함께 PE시트를 감싸고; 상기 PE시트의 외측 둘레를 복수개의 SUS 밴드로 결속하며; 상기 SUS 밴드를 포함하여 PE시트의 외측에 차수부재를 열융착시켜서 됨으로써 저수조 내부의 물에 대한 청결성 및 위생성은 물론 방수 시공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Description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The sleeve waterproof structure of water tank use PE seet}
본 고안은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조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슬리브에 대한 방수를 위하여 상기 슬리브의 외측 둘레에 실링재와 함께 감싸지는 PE시트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PE시트의 외측 둘레를 결속하는 SUS 밴드의 노출을 방지하고, 물과의 접촉으로 실링재가 팽창됨에 따른 PE시트의 방수 기능의 상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나 옥상에 설치되는 저수조는 통상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물이 담겨지는 특성상 내면의 방수처리는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에는 주로 에폭시 수지도료나 유리섬유를 보강재로 한 열경화성 수지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저수조의 내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방수처리를 하였으나, 이는 영구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시트(polyethylene sheet)를 이용한 방수 구조가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통상 저수조(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대략 장방형의 함체로 형성되어 측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각각의 벽면(111)과 바닥면(112) 및 천정면(113)을 구성하게 되며, 일측 벽면(111)을 슬리브(114)가 내.외측을 관통하고, 상기 슬리브(114)를 포함하여 벽면(111)과 바닥면(112) 및 천정면(113) 모두 PE시트(130)가 부착되어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10)는 건물의 구조적인 제한으로 벽면(111)에 벽체 돌출기둥(1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앙부 또는 외곽에 사각 기둥(117)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벽체 돌출기둥(116) 및 사각 기둥(117) 역시 PE시트(130)에 의해서 방수가 이루어지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10)의 내부에는 여러가지 설치물, 예컨대 사다리(115) 등이 설치되며, 상기 사다리(115)는 통상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상.하 단부측을 저수조(110)의 천정면(113)과 바닥면(112)에 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의 PE시트에 의한 방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탕면 처리된 저수조(110)의 내면을 따라 PE시트(130)를 공급하고, 서로 중첩되는 부위를 와셔(140a)가 끼워진 타정못(140)으로 박아 PE시트(130)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물의 접촉에 따른 상기 타정못(140)의 부식 방지를 위하여 그 고정부위의 외측을 덧붙임 시트(150)로 융착하여 은폐토록 하였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탕면 처리된 저수조(110)의 내면에 일정면적을 가지는 붙임용 시트(160)를 와셔(140a)가 끼워진 타정못(140)과 결합시켜 저수조(110)의 내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게 타격 고정한 후, 상기 붙임용 시트(160)가 대략 중앙 부위에 위치하도록 붙임용 시트(160)에 PE시트(130)를 열융착시켜 부착되게 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리고, 상기 붙임용 시트(160)에 부착된 PE시트(130)의 각 단부는 서로 중첩되어 다시 열융착시켜 저수조(110)의 내면에 대한 PE시트(130)의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PE시트(130)를 이용한 시공은 저수조(110)의 벽면과 바닥면 및 천정면에 걸쳐 이루어진다.
한편, 저수조(110)의 모서리 부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면(131)(131a)과 상.하 일측면, 여기서는 하면(132)을 파선으로 나타낸 접힘선(133)을 중심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접어 부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절개부(134)를 형성하여 하면(132)을 먼저 접고, 그 다음 양면(131)(131a)을 접어 절개부(134)에 의해서 형성된 양면(131)(131a)의 하단부 날개(135)(135a)를 하면(132) 상에 중첩하여 열융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부착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벽체 돌출기둥(11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다만, 양면(131)(131a) 및 하단부 날개(135)(135a)가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데 차이가 있으며, PE시트(130) 간의 중첩 부위에 대한 용접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은 열융착기(170)가 사용된다.
상기 열융착기(170)는 기체(171)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상.하 압착로울러(172)(173)의 후방측에 열풍을 내뿜는 열풍노즐(174)이 구비되어 상기 기체(171)가 후퇴하면서 먼저 열풍으로 PE시트(130)의 중첩부위를 가열한 후, 이 가열된 PE시트(130)의 중첩 부위가 상기 상.하 압착로울러(172)(173)의 사이를 지나면서 상기 압착로울러에 의하여 압착됨으로써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함께 사각 기둥의 경우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PE시트(130)를 가로 및 세로 방향의 벽면을 따라 부착시키고, 상기 벽면(117a)과 바닥면(112) 사이의 경계는 별도의 수작업에 의해서 열풍에 의한 플라스틱 용접으로 용접부(136)를 형성하여 부착하거나, 도 7c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면의 하단부에 하부 날개(137)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 날개(137)를 따라 용접부(136)에 의한 수동융착을 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물론 상기 PE시트(130)는 저수조의 내면에 박히는 타정못(140)의 붙임용 시트(160)에 열융착되어 부착됨은 당연하다.(도 2 및 도 3 참조.)
도 8은 PE시트(130)를 저수조의 벽면(111)과 바닥면(112)에 걸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벽면(111) 및 바닥면(112)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 고정된 붙임용 시트(160)에, 서로 대향되는 각각의 단부측을 서로 중첩시켜 상기 벽면(111)과 바닥면(112)에 걸쳐 열융착한 후, 다시 그 중첩 부위를 융착하게 되는데, 이때, 벽면(111)과 바닥면(112)의 경계를 이루는 모서리 부분, 즉 "A" 부분은 수동융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로 중첩되고 절곡되어지는 일측 및 타측 PE시트(130a)(130b)의 접힘부분에 수평의 절개홈(134a)을 형성하여 그 모서리 부분의 안쪽으로 상기 PE시트(130a)(130b)의 접힘부분이 밀착되게 한 후, 바닥면(112)에서부터 그 겹칩 방향을 서로 반대로 어긋물림되게 하여 수동융착한 다음, 나머지 부분을 열융착기로 자동융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 9a는 저수조(110)의 내.외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슬리브(114)의 방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 방수부(180)는 상기 슬리브(114)의 외측 둘레를 실링재(181)로 감싸고, 다시 상기 실링재(181)의 외주면에 PE시트(130)를 원형의 형태로 감싼 후, 상기 PE시트(130)를 적어도 2개 이상의 SUS 밴드(182)로 고정하여 슬리브(114)에 대한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9b는 상기 슬리브 방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콘크리트 타설전에 미리 상기 슬리브(114)의 일측 단부에 탭 가공된 고정플랜지(183)를 용접으로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의하여 저수조(110)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조(110)의 내면을 전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120)를 포함하는 PE시트(130)를 이용하여 방수 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때 슬리브(114) 상의 PE시트(130) 및 부직포(120)는 제거되어 상기 슬리브(114)가 저수조(1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패킹(185)과 함께 체결플랜지(184)를 상기 고정플랜지(183)에 고무패킹(186)과 함께 볼트(187)로 체결하여 슬리브(114)에 대한 방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10)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종래의 슬리브(114)에 대한 방수 구조는 PE시트(13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SUS 밴드(182)가 물이 담겨지는 저수조(110)의 내측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부식으로 물의 위생성 및 청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실링재(181)는 스며드는 물에 의하여 팽창되는 재질이므로 저수조(110)의 내부에 물이 채워져 실링재(181)가 물에 접촉되면, SUS 밴드(182)에 의해서 압착되지 않은 부분이 부풀어 올라 PE시트(130)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그 압력에 의한 PE시트(130)가 늘어나 들뜸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슬리브(114)에 대한 방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저수조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슬리브에 대한 방수를 위하여 상기 슬리브의 외측 둘레에 실링재와 함께 감싸지는 PE시트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PE시트의 외측 둘레를 결속하는 SUS 밴드의 노출을 방지하고, 물과의 접촉으로 실링재가 팽창됨에 따른 PE시트의 방수 기능의 상실을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슬리브를 통하여 저수조 내부로 물이 유입될 때,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필터링 기능을 가지면서 별도 밸브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수조의 슬리브 외측 둘레에 실링재와 함께 PE시트를 감싸고; 상기 PE시트의 외측 둘레를 복수개의 SUS 밴드로 결속하며; 상기 SUS 밴드를 포함하여 PE시트의 외측에 차수부재를 열융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차수부재는 물의 접촉에 의해서 실링재와 반대방향으로 팽창하는 테이프 형태의 지수팽창제와; 상기 지수팽창제의 외측으로 감싸여지고 열에 의하여 수축하는 열수축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저수조의 내측을 향하는 단부측에 밸브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장착부는 슬리브의 단부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에 볼트 체결되는 체결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와 체결플랜지의 사이에 함께 체결되고, 중앙부에 여과망을 포함하는 중간플랜지와; 상기 중간플랜지와 고정플랜지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슬리브(114)의 외측 둘레를 실링재(181)로 감싸고, 다시 상기 실링재(181)의 외주면에 PE시트(130)를 원형의 형태로 감싼 후, 상기 PE시트(130)를 적어도 2개 이상의 SUS 밴드(182)로 고정하여 슬리브(114)에 대한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전에 미리 상기 슬리브(114)의 일측 단부에 탭 가공된 고정플랜지(183)를 용접으로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의하여 저수조(110)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조(110)의 내면을 전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120)를 포함하는 PE시트(130)를 이용하여 방수 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때 슬리브(114) 상의 PE시트(130) 및 부직포(120)는 제거되어 상기 슬리브(114)가 저수조(1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패킹(185)과 함께 체결플랜지(184)를 상기 고정플랜지(183)에 고무패킹(186)과 함께 볼트(187)로 체결하여 슬리브(114)에 대한 방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에 있어, 본 고안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SUS 밴드(182)를 포함하여 PE시트(130)의 외측에 차수부재(1)를 열융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차수부재(1)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접촉에 의해서 실링재(181)와 반대방향으로 팽창하는 테이프 형태의 지수팽창제(11)로 구성되고, 상기 지수팽창제(11)의 외측에는 열에 의하여 수축하는 열수축 필름(12)이 감싸지게 된다.
그리고, 저수조(110)의 내측으로 향하는 슬리브(114)의 단부측에는 밸브 장착부(2)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밸브 장착부(2)는 상기 슬리브(114)의 단부측에 다수의 볼트 체결공을 갖는 고정플랜지(183)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고정플랜지(183)와 별도로 고정플랜지에 대응되는 체결플랜지(184)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플랜지(184) 역시 고정플랜지(183)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랜지(183)와 체결플랜지(184)의 사이에는 중앙부에 여과망(22)을 갖는 중간플랜지(21)가 개재되는 것이며, 유체 누설방지를 위하여 상기 중간플랜지(21)와 고정플랜지(183)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와 동일 형상을 이루는 고무 재질의 패킹(185)이 개재되는 것이다.(도 13 참조.)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방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작업자는 통상에서와 같이 슬리브(114)의 외측 둘레에 PE시트(130)를, 물의 접촉에 의해서 팽창하는 실링재(181)와 함께 감은 다음, 복수개의 SUS 밴드(182)를 이용하여 상기 실링재(181)를 포함하는 PE시트(130)의 외측 둘레를 결속하여 슬리브(114)에 고정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PE시트(130)의 외측에 테이프 형태를 이루는 지수팽창제(11)를 감고, 그 위에 다시 열수축 필름(12)을 감아 열융착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수축 필름(12)에 열을 가하게 되면, 열수축 필름(12)이 수축하면서 지수팽창제(11)를 포함하여 PE시트(130)을 압착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수팽창제(11)에 물이 침투하여 접촉되면, 이 지수팽창제(11)는 실링재(181)와 반대 방향으로 팽창하게 되어, 물의 접촉에 의한 상기 실링재(181)의 팽창을 역으로 차단하게 됨으로써 PE시트(130)에 가해지는 실링재(181)의 팽창압력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인하여 상기 실링재(181)의 팽창으로 인한 PE시트(130)의 방수 기능의 상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함께 저수조(110)의 내부에 물을 채우기 위하여 슬리브(114)를 통하여 급수가 이루어질 때, 상기 슬리브(114)의 단부측에 형성된 여과망(22)에 의해서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통상 밸브는 단부측에 플랜지가 형성되므로 플랜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밸브 장착부(2)에 의하여 상기 밸브의 장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저수조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슬리브에 대한 방수를 위하여 상기 슬리브의 외측 둘레에 실링재와 함께 감싸지는 PE시트의 고정을 위하여 상기 PE시트의 외측 둘레를 결속하는 SUS 밴드의 노출을 방지하고, 물과의 접촉으로 실링재가 팽창됨에 따른 PE시트의 방수 기능의 상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수조 내부의 물에 대한 청결성 및 위생성은 물론 방수 시공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슬리브를 통하여 저수조 내부로 물이 유입될 때,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필터링 기능을 가지면서 별도 밸브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역시 마찬가지로 저수조 내부의 물에 대한 청결성 및 위생성은 물론 밸브 장착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저수조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종단면도.
도 1b는 평단면도.
도 2는 종래의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방수 공법을 나타낸 전개도 및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벽체 돌출기둥에 대한 방수 공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일반적인 열융착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의 사각 기둥에 대한 방수 공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사시도.
도 7b는 단면도.
도 7c는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1의 벽면과 바닥면 간의 방수 공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a는 도 1의 슬리브에 대한 방수 공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실링재 팽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의 방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밸브 장착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차수부재
11:지수팽창제 12:열수축 필름
2:밸브 장착부
21:중간플랜지 22:여과망
110:저수조 111:벽면
114:슬리브 130:PE시트
180:슬리브 방수부
181:실링재 182:SUS 밴드
183:고정플랜지 184:패킹

Claims (4)

  1. 저수조의 슬리브 외측 둘레에 실링재와 함께 PE시트를 감싸고;
    상기 PE시트의 외측 둘레를 복수개의 SUS 밴드로 결속하며;
    상기 SUS 밴드를 포함하여 PE시트의 외측에 차수부재를 열융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부재는 물의 접촉에 의해서 실링재와 반대방향으로 팽창하는 테이프 형태의 지수팽창제와;
    상기 지수팽창제의 외측으로 감싸여지고 열에 의하여 수축하는 열수축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저수조의 내측을 향하는 단부측에 밸브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장착부는 슬리브의 단부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고정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에 볼트 체결되는 체결플랜지와;
    상기 고정플랜지와 체결플랜지의 사이에 함께 체결되고, 중앙부에 여과망을 포함하는 중간플랜지와;
    상기 중간플랜지와 고정플랜지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
KR20-2005-0006082U 2005-03-07 2005-03-07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 KR200386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082U KR200386245Y1 (ko) 2005-03-07 2005-03-07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082U KR200386245Y1 (ko) 2005-03-07 2005-03-07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245Y1 true KR200386245Y1 (ko) 2005-06-08

Family

ID=4368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082U KR200386245Y1 (ko) 2005-03-07 2005-03-07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2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8482B2 (ja) 防水層における架台装置と防水層における架台装置取り付け構造および架台装置取り付け工法。
CN101247996B (zh) 用于容器加衬的方法和由该方法形成的容器
JPH0739725B2 (ja) 屋根面の断熱及び密封をする断熱要素
JP2007314990A (ja) シートの定着構造
KR200386245Y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
KR100762858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KR100625861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JP7002140B2 (ja) 吊足場
KR100762857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CN113137015A (zh) 屋面反梁过水孔防水节点构造及其施工方法
KR200386919Y1 (ko)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
KR101533675B1 (ko) 지붕막의 연결부위 방수장치
KR20040044660A (ko) 방수시트의 연결부 접합 구조, 이의 시공 방법 및방수시트의 수직부 처리 구조
KR102081436B1 (ko)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1090039A (ja) 水土嚢
JP4612962B2 (ja) 基礎断熱構造の施工方法
ES2224212T3 (es) Dispositivo de estanquidad de un conjunto de envolturas destinado a alojar aparatos electricos.
KR101884202B1 (ko) 조인트가 이중 보강된 복합방수공법
JPH0242800Y2 (ko)
JP3238391U (ja) 難浸水性屋根板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屋根構造
KR20120097745A (ko) 슬림형 탈기반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JP2003154328A (ja) 壁面への遮水シート施工方法
JPH0532498U (ja) 防水シート
JPS64479Y2 (ko)
JPS6325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