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919Y1 -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919Y1
KR200386919Y1 KR20-2005-0006084U KR20050006084U KR200386919Y1 KR 200386919 Y1 KR200386919 Y1 KR 200386919Y1 KR 20050006084 U KR20050006084 U KR 20050006084U KR 200386919 Y1 KR200386919 Y1 KR 200386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sheet
bolt
waterproof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완
Original Assignee
김기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완 filed Critical 김기완
Priority to KR20-2005-0006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9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E06C7/505Anchors being adapted to fix a ladder to a vertical structure, e.g. ladder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10Adhesive or cohesive means for holding the contents attach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rigid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물, 예컨대 사다리 등과 같이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과 천정면에 대해서만 지지되는 설치물을 심한 흔들림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저수조 내부의 설치물을 형성하는 수직의 지주 프레임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지지봉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이 플랜지 결합에 의하여 저수조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 및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The instollation fixing device of water tank with waterproof sturucture use PE seet}
본 고안은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물, 예컨대 사다리 등과 같이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과 천정면에 대해서만 지지되는 설치물을 심한 흔들림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지하나 옥상에 설치되는 저수조는 통상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물이 담겨지는 특성상 내면의 방수처리는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에는 주로 에폭시 수지도료나 유리섬유를 보강재로 한 열경화성 수지를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저수조의 내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방수처리를 하였으나, 이는 영구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시트(polyethylene sheet)를 이용한 방수 구조가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통상 저수조(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대략 장방형의 함체로 형성되어 측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각각의 벽면(111)과 바닥면(112) 및 천정면(113)을 구성하게 되며, 일측 벽면(111)을 슬리브(114)가 내.외측을 관통하고, 상기 슬리브(114)를 포함하여 벽면(111)과 바닥면(112) 및 천정면(113) 모두 PE시트(130)가 부착되어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110)는 건물의 구조적인 제한으로 벽면(111)에 벽체 돌출기둥(1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앙부 또는 외곽에 사각 기둥(117)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벽체 돌출기둥(116) 및 사각 기둥(117) 역시 PE시트(130)에 의해서 방수가 이루어지고,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10)의 내부에는 여러가지 설치물, 예컨대 사다리(115) 등이 설치되며, 상기 사다리(115)는 통상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상.하 단부측을 저수조(110)의 천정면(113)과 바닥면(112)에 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그 설치가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의 PE시트에 의한 방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탕면 처리된 저수조(110)의 내면을 따라 PE시트(130)를 공급하고, 서로 중첩되는 부위를 와셔(140a)가 끼워진 타정못(140)으로 박아 PE시트(130)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물의 접촉에 따른 상기 타정못(140)의 부식 방지를 위하여 그 고정부위의 외측을 덧붙임 시트(150)로 융착하여 은폐토록 하였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탕면 처리된 저수조(110)의 내면에 일정면적을 가지는 붙임용 시트(160)를 와셔(140a)가 끼워진 타정못(140)과 결합시켜 저수조(110)의 내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게 타격 고정한 후, 상기 붙임용 시트(160)가 대략 중앙 부위에 위치하도록 붙임용 시트(160)에 PE시트(130)를 열융착시켜 부착되게 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리고, 상기 붙임용 시트(160)에 부착된 PE시트(130)의 각 단부는 서로 중첩되어 다시 열융착시켜 저수조(110)의 내면에 대한 PE시트(130)의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PE시트(130)를 이용한 시공은 저수조(110)의 벽면과 바닥면 및 천정면에 걸쳐 이루어진다.
한편, 저수조(110)의 모서리 부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면(131)(131a)과 상.하 일측면, 여기서는 하면(132)을 파선으로 나타낸 접힘선(133)을 중심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접어 부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절개부(134)를 형성하여 하면(132)을 먼저 접고, 그 다음 양면(131)(131a)을 접어 절개부(134)에 의해서 형성된 양면(131)(131a)의 하단부 날개(135)(135a)를 하면(132) 상에 중첩하여 열융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부착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벽체 돌출기둥(11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다만, 양면(131)(131a) 및 하단부 날개(135)(135a)가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데 차이가 있으며, PE시트(130) 간의 중첩 부위에 대한 용접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은 열융착기(170)가 사용된다.
상기 열융착기(170)는 기체(171)의 하부측에 구비되는 상.하 압착로울러(172)(173)의 후방측에 열풍을 내뿜는 열풍노즐(174)이 구비되어 상기 기체(171)가 후퇴하면서 먼저 열풍으로 PE시트(130)의 중첩부위를 가열한 후, 이 가열된 PE시트(130)의 중첩 부위가 상기 상.하 압착로울러(172)(173)의 사이를 지나면서 상기 압착로울러에 의하여 압착됨으로써 열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함께 사각 기둥의 경우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같이 PE시트(130)를 가로 및 세로 방향의 벽면을 따라 부착시키고, 상기 벽면(117a)과 바닥면(112) 사이의 경계는 별도의 수작업에 의해서 열풍에 의한 플라스틱 용접으로 용접부(136)를 형성하여 부착하거나, 도 7c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면의 하단부에 하부 날개(137)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 날개(137)를 따라 용접부(136)에 의한 수동융착을 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물론 상기 PE시트(130)는 저수조의 내면에 박히는 타정못(140)의 붙임용 시트(160)에 열융착되어 부착됨은 당연하다.(도 2 및 도 3 참조.)
도 8은 PE시트(130)를 저수조의 벽면(111)과 바닥면(112)에 걸쳐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벽면(111) 및 바닥면(112)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 고정된 붙임용 시트(160)에, 서로 대향되는 각각의 단부측을 서로 중첩시켜 상기 벽면(111)과 바닥면(112)에 걸쳐 열융착한 후, 다시 그 중첩 부위를 융착하게 되는데, 이때, 벽면(111)과 바닥면(112)의 경계를 이루는 모서리 부분, 즉 "A" 부분은 수동융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로 중첩되고 절곡되어지는 일측 및 타측 PE시트(130a)(130b)의 접힘부분에 수평의 절개홈(134a)을 형성하여 그 모서리 부분의 안쪽으로 상기 PE시트(130a)(130b)의 접힘부분이 밀착되게 한 후, 바닥면(112)에서부터 그 겹칩 방향을 서로 반대로 어긋물림되게 하여 수동융착한 다음, 나머지 부분을 열융착기로 자동융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 9a는 저수조(110)의 내.외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슬리브(114)의 방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슬리브 방수부(180)는 상기 슬리브(114)의 외측 둘레를 실링재(181)로 감싸고, 다시 상기 실링재(181)의 외주면에 PE시트(130)를 원형의 형태로 감싼 후, 상기 PE시트(130)를 적어도 2개 이상의 SUS 밴드(182)로 고정하여 슬리브(114)에 대한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9b는 상기 슬리브 방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콘크리트 타설전에 미리 상기 슬리브(114)의 일측 단부에 탭 가공된 고정플랜지(183)를 용접으로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의하여 저수조(110)를 형성하고, 상기 저수조(110)의 내면을 전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120)를 포함하는 PE시트(130)를 이용하여 방수 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때 슬리브(114) 상의 PE시트(130) 및 부직포(120)는 제거되어 상기 슬리브(114)가 저수조(11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패킹(185)과 함께 체결플랜지(184)를 상기 고정플랜지(183)에 고무패킹(186)과 함께 볼트(187)로 체결하여 슬리브(114)에 대한 방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시공방법에 있어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10) 내부의 설치물, 예컨대 사다리(115)의 경우 전술한 바와같이 저수조(110)의 바닥면(112)과 천정면(113)에 상.하 단부만을 각각 밀착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의 불안전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심한 흔들림으로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의 불안감을 조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물, 예컨대 사다리 등과 같이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과 천정면에 대해서만 지지되는 설치물을 심한 흔들림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및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내부의 설치물을 형성하는 수직의 지주 프레임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지지봉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이 플랜지 결합에 의하여 저수조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는 드릴 천공에 의하여 저수조의 벽면에 형성되는 고정구멍과 일치하는 볼트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 삽입공 및 고정구멍에 대한 볼트의 체결에 의해서 플랜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트는 벽면의 고정구멍에 고정되는 앵커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앵커볼트는 플랜지의 볼트 삽입공을 관통하여 와셔와 함께 체결너트로 체결되며, 상기 플랜지와 저수조의 벽면 사이에 패킹을 개재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여러가지 설치물, 예컨대 사다리(115) 등이 설치되며, 상기 사다리(115)는 통상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상.하 단부측을 저수조(110)의 천정면(113)과 바닥면(112)에 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그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에 있어, 본 고안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10) 내부의 설치물, 예컨대 사다리(115) 등을 형성하는 수직의 지주 프레임(1)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지지봉(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2)이 플랜지(3) 결합에 의하여 저수조의 벽면(1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플랜지 결합은 앵커볼트(5)와 와셔(6a) 및 체결너트(6)의 체결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플랜지(3)와 벽면(111)의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패킹(7)이 개재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직의 지주 프레임(1)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동재질의 지지봉(2)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봉(2)의 단부측에는 대략 직사각 형태를 이루고 양측에 볼트 삽입공(3a)이 형성된 플랜지(3)가 역시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드릴 천공에 의해서 저수조의 벽면(111)에 형성되는 고정구멍(4)과, 상기 고정구멍(4)에 삽입 고정되는 앵커볼트(5)가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앵커볼트(5)는 통상에서와 같이 슬릿(52)을 가지며 고정구멍(4)에 삽입되는 앵커부재(51)와, 상기 앵커부재(51)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의 타격에 의해서 강제로 앵커부재(51)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슬릿(52)에 의해서 분할된 앵커부재(51)의 단부측을 확관시키는 볼트(5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앵커볼트의 볼트(53)가 관통하는 관통공(7a)이 중앙부에 형성된 고무 재질의 패킹(7)이 구비되고, 상기 패킹(7)과 함께 앵커볼트(5)의 볼트(53)에 체결되는 체결너트(6)가 와셔(6a)와 함께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과정을 첨부된 도 12를 참조로 하여 각 공정별로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공정은 드릴 작업을 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저수조의 벽면(111)에 고정구멍(4)을 형성하게 된다.
제2 공정은 제1 공정에 의해서 저수조의 벽면(111)에 형성된 고정구멍(4)에 앵커볼트(5)의 앵커부재(51)를 삽입한 후, 볼트(53)를 타격하거나 나선 이동으로 앵커부재(51) 측으로 강제로 전진되게 하여 슬릿(52)이 형성된 앵커부재(51)의 단부측이 확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구멍(4)에 앵커볼트(5)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제3 공정은 제2 공정에 의해서 벽면(111)에 고정된 앵커볼트(5)에 고무 재질의 패킹(7)을 끼운 뒤, 지지봉(2)의 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3)의 볼트 삽입공(3a)을 앵커볼트(5)의 볼트(53) 외측에 삽입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지지봉(2)의 플랜지(3)를 관통한 볼트(53)에 와셔(6a)와 함께 체결너트(6)를 체결함으로써 저수조의 벽면(111)에 대한 설치물, 여기서는 사다리(115)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체결너트(6)의 조임력에 의하여 패킹(7)이 압착됨으로써 상기 고정구멍(4)에 대한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저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물, 예컨대 사다리 등과 같이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과 천정면에 대해서만 지지되는 설치물을 심한 흔들림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및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저수조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종단면도.
도 1b는 평단면도.
도 2는 종래의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방수 공법을 나타낸 전개도 및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벽체 돌출기둥에 대한 방수 공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일반적인 열융착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의 사각 기둥에 대한 방수 공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사시도.
도 7b는 단면도.
도 7c는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1의 벽면과 바닥면 간의 방수 공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a는 도 1의 슬리브에 대한 방수 공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주 프레임 2:지지봉
3:플랜지 3a:볼트 삽입공
4:고정구멍
5:앵커볼트
51:앵커부재 52:슬릿
53:볼트
6:체결너트 6a:와셔
7:패킹 7a:관통공
110:저수조 111:벽면
115:사다리 130:PE시트

Claims (3)

  1.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내부의 설치물을 형성하는 수직의 지주 프레임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지지봉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봉이 플랜지 결합에 의하여 저수조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드릴 천공에 의하여 저수조의 벽면에 형성되는 고정구멍과 일치하는 볼트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볼트 삽입공 및 고정구멍에 대한 볼트의 체결에 의해서 플랜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벽면의 고정구멍에 고정되는 앵커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앵커볼트는 플랜지의 볼트 삽입공을 관통하여 와셔와 함께 체결너트로 체결되며, 상기 플랜지와 저수조의 벽면 사이에 패킹을 개재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
KR20-2005-0006084U 2005-03-07 2005-03-07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 KR200386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084U KR200386919Y1 (ko) 2005-03-07 2005-03-07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084U KR200386919Y1 (ko) 2005-03-07 2005-03-07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919Y1 true KR200386919Y1 (ko) 2005-06-16

Family

ID=4368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084U KR200386919Y1 (ko) 2005-03-07 2005-03-07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9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8482B2 (ja) 防水層における架台装置と防水層における架台装置取り付け構造および架台装置取り付け工法。
JP2006225951A5 (ko)
KR100762858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KR200386919Y1 (ko) Pe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를 갖는 저수조의 설치물 고정장치
KR100701866B1 (ko) 단열방수패널과 이것을 이용한 방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2007314990A (ja) シートの定着構造
KR100625861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KR100673829B1 (ko) 인테리어패널 고정구
KR100762857B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방수 공법
KR101035909B1 (ko) 단일겹 방수시트의 벽면 마감부위 시공방법
JP3465984B2 (ja) 建築部材用取付構造及びその施工法
JP3630794B2 (ja) 防水床パンへの給水・給湯管の取り付け構造
KR200386245Y1 (ko) Pe시트를 이용한 저수조의 슬리브 방수 구조
JP6317595B2 (ja) 瓦棒葺き屋根の雪止め構造を伴った防水構造、および、瓦棒葺き屋根の雪止め工法を伴った防水工法
KR101949194B1 (ko) 박공 지붕용 난간 및 난간 설치방법
EP2473686A1 (en) Device for leading a pipe having a large cross section through a roof
JP4464507B2 (ja) シート防水構造物の給排口周辺構造及び給排口部材
JP5096741B2 (ja) 屋根防水構造
JP4612962B2 (ja) 基礎断熱構造の施工方法
JP5913530B2 (ja) 建築構造体
JPH07207860A (ja) パラペット天場の防水構造
JP2000352164A (ja) 屋根用親綱支柱取付構造
JP3244670B2 (ja) 外壁の柱カバーとベランダの笠木との間の防水構造
JP5314961B2 (ja) シート防水構造
JP2543267Y2 (ja) 外壁材接合部の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