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896B1 -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 - Google Patents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896B1
KR100783896B1 KR1020060100982A KR20060100982A KR100783896B1 KR 100783896 B1 KR100783896 B1 KR 100783896B1 KR 1020060100982 A KR1020060100982 A KR 1020060100982A KR 20060100982 A KR20060100982 A KR 20060100982A KR 100783896 B1 KR100783896 B1 KR 100783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bumper
tail
muffler
tail trim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범퍼 테일트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머플러의 테일 파이프가 인입되는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와 같은 형상의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절단부에 상기 테일 파이프를 인입시킨 후에 상기 패널을 절단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를 제공한다.
자동차, 리어범퍼, 테일트림, 머플러, 테일파이프

Description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Tailtrim Structure Of Rear Bumper}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배면도.
도 2는 종래 리어범퍼에 머플러테일을 장착 중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 중 리어범퍼에 머플러 테일을 장착 중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작업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체 200: 리어범퍼
300: 테일트림 400: 테일파이프
500: 머플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범퍼 테일트림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머플러를 리어범퍼 내부에 체결하도록 리어범퍼 내부에 테일트림을 마련한 구조에 있어서, 테일트림에 머플러의 테일파이프가 쉽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테일트림의 하단 일부를 절단하여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만든 자동차의 리어범퍼 테일트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머플러의 테일파이프가 차체 후방으로 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테일파이프의 장착 위치는 리어범퍼의 하부에 마련되기도 하지만, 디자인의 세련됨을 유지하기 위해서 리어범퍼의 내부에 테일트림을 마련하여 상기 테일트림 내부에 위치되기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배면도인데, 리어범퍼 테일트림 내부에 머플러의 테일파이프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자동차(10)의 후방 하부에 위치된 리어범퍼(20)와, 상기 리어범퍼(20)의 내부에 마련된 테일트림(30)과, 상기 테일트림(30)의 내부에 인입된 테일파이프(4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리어범퍼 테일트림에 머플러의 테일파이프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 리어 범퍼에 머플러 테일을 장착 중인 단면도이다.
자동차의 생산과정 중 차체의 조립시에 차체 본체(미도시)에 리어범퍼(20)를 부착하는 공정과, 머플러(50)를 장착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머플러(50)는 차체의 전방에 위치되는 엔진(미도시)을 포함하는 많은 부속기관들과 연결된 상태에서 차체에 부착되기 때문에 차체의 하부에서 정확한 위치에 수평이동된 후에 상방으로 수직이동하여 체결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리어범퍼(20)를 먼저 장착한 후에 상기 머플러(50)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머플러(50)가 엔진 등의 부속기관과 결합되어 있고, 차체 하부의 정확한 위치로 수평이동된 후에 상부로 수직이동되어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머플러(50)는 상기 테일트림(30)의 하단에 수평이동된 상태에서 상부로 수직이동되어 테일트림(30) 내부로 이동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테일트림(30)의 a부분에 의하여 테일파이프(40)가 상방(60)으로 이동되어 테일트림(30) 내부로 이동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머플러(50)를 차체에 장착한 후에 리어범퍼(20)를 장착하여야 하나, 이 경우 상기 머플러(50)의 테일파이프(40)에 테일트림(30)의 하단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리어범퍼(20)를 테일파이프(40)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테일트림(30) 내부로 테일파이프(40)를 인입시키면서 장착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하 므로 상기 리어범퍼(2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하단에 절단부를 마련하고 절단부의 형상과 같은 패널을 마련하여 상기 리어범퍼를 차체에 결합한 후에 머플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범퍼 테일트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머플러의 테일 파이프가 인입되는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와 같은 형상의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절단부에 상기 테일 파이프를 인입시킨 후에 상기 패널을 절단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에는 제 1 마운팅 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에는 제 2 마운팅 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마운팅 유닛에는 일단의 폭이 큰 슬롯형상의 제 1 구멍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절단부는 테일트림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 중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분해도이다.
본 발명인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는 머플러(500)의 테일파이프(400)가 인입되는 리어범퍼(200)의 테일트림(300) 절단부(305)와, 상기 절단부(305)와 같은 형상의 패널(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 후방 하부에 마련되는 리어범퍼(200)와, 상기 리어범퍼(200)의 내부에 마련되는 테일트림(300)과, 상기 테일트림(300)의 하단에 마련된 절단부(305) 및 상기 절단부(305)와 같은 형상의 패널(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차체 하부에는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련된 상기 머플러(500)의 테일파이프(400)가 상기 절단부(305)에 인입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절단부(305)에는 제 1 마운팅 유닛(350)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700)에는 제 2 마운팅 유닛(75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마운팅 유닛(350)은 절단부(305)의 양단에 외향 돌출되고, 절단부(305)의 좌측에 형성된 제 1 마운팅 유닛(350)에는 일단의 폭이 큰 슬롯형상의 제 1 구멍(320)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구멍(320)의 전후방에는 원형의 제 2 구멍(310)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305)의 우측에 형성된 제 1 마운팅 유닛(350)에는 원형의 제 3 구멍(33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마운팅 유닛(750)은 패널(700)의 좌우 양단에 마련되고, 패널(700)의 좌측에 마련된 제 2 마운팅 유닛(750)에는 상기 제 1 구멍(3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돌기(72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기(720)의 전후방에는 원형의 제 4 구멍(71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돌기(720)는 상부가 하부보다 직경이 큰 원기둥 형상이다.
또한, 상기 패널(700)의 우측에 형성된 제 2 마운팅 유닛(750)에는 원형의 제 5 구멍(73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중 리어범퍼에 머플러 테일을 장착 중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작업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차체(100)에 리어범퍼(200)를 먼저 부착한 상태에서 차체(100)의 하부로 머플러(500)를 수평이동시켜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킨 후에 상방으로 수직이동시켜서 상기 절단부(305)에 상기 테일파이프(400)를 인입시킨 후에 상기 패널(700)을 절단부(305)에 체결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4와 같이 테일트림(300)의 절단부(305) 내부로 테일파이프(400)가 이동되도록 하 고, 그 후에 상기 패널(700)을 절단부(305)로 이동시켜 도 3의 제 1 돌기(720)를 상기 제 1 구멍(320)에 인입시키고 제 1 구멍(320)의 폭이 좁은 부분으로 이동시켜 패널(700)이 절단부(305)에 임시고정 상태가 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돌기(720)와 제 1 구멍(320)은 상기 임시고정 상태에서 작업자(800)가 볼팅용 공구(900)를 든 상태에서도 손쉽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역할을 한다.
상기 볼팅 공구(90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구멍(310)과 제 4 구멍(710) 사이를 볼트 결합하고, 제 3 구멍(330)과 제 5 구멍(730) 사이를 볼트 결합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머플러를 테일트림 내부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리어범퍼를 후방으 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이 절감되고, 리어범퍼에 테일트림이 마련된 상태로 조립공정이 이루어지며, 자동차의 후방 디자인의 우수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머플러(500)의 테일파이프(400)가 인입되는 리어범퍼(200)의 테일트림(300) 절단부(305)와;
    상기 절단부(305)와 같은 형상의 패널(700);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절단부(305)에 상기 테일파이프(400)를 인입시킨 후에 상기 패널(700)을 절단부(305)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05)에는 제 1 마운팅 유닛(350)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700)에는 제 2 마운팅 유닛(75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운팅 유닛(350)에는 일단의 폭이 큰 슬롯형상의 제 1 구멍(32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 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05)는 테일트림(300)의 하단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
KR1020060100982A 2006-10-17 2006-10-17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 KR100783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982A KR100783896B1 (ko) 2006-10-17 2006-10-17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982A KR100783896B1 (ko) 2006-10-17 2006-10-17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896B1 true KR100783896B1 (ko) 2007-12-10

Family

ID=3914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982A KR100783896B1 (ko) 2006-10-17 2006-10-17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8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278B1 (ko) * 2008-04-10 2014-04-08 현대자동차(주) 차량용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KR101393955B1 (ko) 2008-03-14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범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10U (ko) * 1989-05-29 1991-01-09
KR20000056223A (ko) * 1999-02-18 2000-09-15 정몽규 테일파이프 고정구조
JP2004308551A (ja) 2003-04-07 2004-11-04 Honda Motor Co Ltd 車両における排気管の取付構造
JP2005313714A (ja) 2004-04-27 2005-11-10 Toyota Motor Corp 排気口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10U (ko) * 1989-05-29 1991-01-09
KR20000056223A (ko) * 1999-02-18 2000-09-15 정몽규 테일파이프 고정구조
JP2004308551A (ja) 2003-04-07 2004-11-04 Honda Motor Co Ltd 車両における排気管の取付構造
JP2005313714A (ja) 2004-04-27 2005-11-10 Toyota Motor Corp 排気口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955B1 (ko) 2008-03-14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범퍼
KR101382278B1 (ko) * 2008-04-10 2014-04-08 현대자동차(주) 차량용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2076B2 (en) Front side-part structure of vehicle
US6772982B2 (en) Mounting structure
JPH07335303A (ja) 車両用コネクタ配設構造
JP2010023792A (ja) 車体前部構造
JP5446043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100783896B1 (ko) 리어범퍼의 테일트림 구조
JP2001001793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取付構造
JP5228665B2 (ja) 自動車のバンパブラケット取付構造
JP3900833B2 (ja) 車載機器の取付構造
JP2006224878A (ja) モータルーム内部品搭載構造
JPH0270915A (ja) 自動車の前部分
JP2007168557A (ja) 補機取付ブラケット
JP2848666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及び車体組立方法
JP2019093823A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支持構造
JP3692996B2 (ja) ハーネス保持構造
KR100471475B1 (ko) 자동차용 프론트엔드 모듈의 센터멤버 구조
JP2005343371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モジュール取付構造
JP4214241B2 (ja) 自動車のヘッドランプおよびフロントターンランプの建付構造
JP2018197011A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取付構造
JP3173241B2 (ja) トランクトリムの取付構造
JP4466317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への機器の取付構造
KR0167704B1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싸이드 고정구조
GB2599680A (en) Guard for a bumper of a vehicle, and bumper device for a vehicle
JP2004291764A (ja)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の車両搭載構造
JP2008074271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