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873B1 -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 Google Patents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873B1
KR100783873B1 KR1020060104086A KR20060104086A KR100783873B1 KR 100783873 B1 KR100783873 B1 KR 100783873B1 KR 1020060104086 A KR1020060104086 A KR 1020060104086A KR 20060104086 A KR20060104086 A KR 20060104086A KR 100783873 B1 KR100783873 B1 KR 100783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band
band
base plate
view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옥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8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출음 개선을 위한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통로가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와이어통로로 이어지는 와이어를 각각 밀착 수용하는 다수의 와이어홀을 구비하는 다공튜브형 멀티 와이어 밴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멀티 와이어 밴드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멀티 와이어 밴드는 그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와이어통로에 삽입 설치되어 멀티 와이어 밴드를 관통하여 돌출부에 결합되는 체결너트에 의해 그 설치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멀티 와이어 밴드가 와이어 사이의 공간 발생을 차단하므로 와이어 주변 공간을 타고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흡출음의 발생을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므로 작업속도를 높일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는 것이므로 항상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견고하므로 이탈 및 파손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웃사이드 뷰미러, 멀티 와이어 밴드, 와이어, 흡찰음

Description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multi-wire band assembly for out side view mirror}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멀티 와이어 밴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돌출부
11a : 와이어통로 11b : 나선
20 : 멀티 와이어 밴드 21 : 와이어홀
21a : 트임 22 : 걸림테
30 : 체결너트 31 : 삽입공
40 : 와이어 A :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에 관한 것으로, 더 욱 상세하게는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와이어 사이의 공간 발생을 차단하여 와이어 주변 공간을 타고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흡출음의 발생을 개선하도록 한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에 관한 것이다.
차량 개발의 기술이 날로 향상됨과 동시에 고객의 수준 또한 높아가는 현시점에서 윈드노이즈에 의한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윈드노이즈에 의한 소음은 풍절음과 흡출음으로 구분된다.
풍절음은 안테나와 언더 바디(Under Body)처럼 공기가 차량과 부딪치며 발생하는 소리를 말하고, 흡출음은 차량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를 말한다.
이중 흡출음은 외부와 차량 실내의 차단 정도에 따라 발생 여부가 결정된다.
한편, 전(前)석에서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흡출음으로는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폴딩캡을 통과하여 와이어 주위 공간을 타고 실내로 유입되는 흡출음이 가장 크게 느껴진다.
이는 장시간 운전하는 운전자의 피로도를 증폭시키므로 차량 사용자들의 주요 불만 사항이 되는바,
차량 개발사들은 아웃사이드 뷰미러에 의한 흡출음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흡출음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아웃사이드 뷰미러 내부의 와이어상에 절연테이프를 감아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 하거나, 베이스 플레이트의 와이어 통과부위를 HOT-MELT나 EPDM PAD로 씰링 처리하 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흡출음 개선 방법은 수작업으로 진행되므로 작업속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그 효과가 달리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고, 그 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수리중이나 운반중에 쉽사리 이탈 및 파손이 발생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아웃사이드 뷰미러 내부의 와이어 사이의 공간 발생을 차단하여 와이어 주변 공간을 타고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흡출음의 발생을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작업속도를 높일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견고하여 이탈 및 파손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통로가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와이어통로로 이어지는 와이어를 각각 밀착 수용하는 다수의 와이어홀을 구비하는 다공튜브형 멀티 와이어 밴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멀티 와이어 밴드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너트로 이루 어지며,
상기 멀티 와이어 밴드는 그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와이어통로에 삽입 설치되어 멀티 와이어 밴드를 관통하여 돌출부에 결합되는 체결너트에 의해 그 설치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멀티 와이어 밴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A)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멀티 와이어 밴드(20)와, 체결너트(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는 미러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와이어(40)가 지나가는 와이어통로(11a)가 형성된 돌출부(11)를 구비하는 것이며, 돌출부(11) 외주면에는 나선(1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멀티 와이어 밴드(20)는 연질 고무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와이어통로(11a)로 이어지는 와이어(40)를 밀착 수용하는 다수의 와이어홀(21)을 구비한다.
와이어홀(21)은 멀티 와이어 밴드(20) 자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며, 각각의 와이어홀(21) 일측에는 외부로부터의 와이어 삽입을 위한 트임(21a)이 마련된다.
이때, 와이어홀(21)은 다수의 와이어를 방향에 제약 없이 수용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너트(30)는 멀티 와이어 밴드(20)에 비해 견고한 고무로 이루어지며, 그 전방에 나선이 형성된 내주면에 비해 직경이 작은 멀티 와이어 밴드 삽입공(31)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조립은 다음과 같다.
멀티 와이어 밴드(20) 일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와이어통로(11a) 내부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태에서 멀티 와이어 밴드(20)를 관통하여 돌출부(11) 외주면의 나선(11b)에 결합되는 체결너트(30)에 의해 그 설치상태가 고정된다.
멀티 와이어 밴드(20)를 와이어통로(11a)에 설치함에 있어 본 발명에서는 멀티 와이어 밴드(20) 외주면 일측에 일정폭의 걸림테(22)가 형성되어 멀티 와이어 밴드(20) 삽입과정에서 걸림테(22) 배면이 돌출부(11) 선단과 맞닿게 되므로 그 삽입의 정도가 제한된다.
상기 걸림테(22)는 체결너트(30) 결속시 그 전면에 체결너트(30)의 삽입공(31)과 인접하는 내면이 맞닿게 되므로 멀티 와이어 밴드(20)는 전, 후로 움직임이 불가한 상태로 견고하게 결속이 이루어져 수리중 또는 운반중에 있을 수 있는 이탈 및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한 조립과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에서와 같이 멀티 와이어 밴드(20)의 와이어홀(21) 내부에 와이어(40)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조립과정 이후에는 멀티 와이어 밴드(20)의 와이어홀(21)에 와이어(40)를 삽 입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조립과정은 당연히 멀티 와이어 밴드(20)의 와이어홀(21) 내부에 와이어(40)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와이어홀(21) 내부에 와이어(40)가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와이어(40) 둘레는 와이어홀(21) 내측면에 의해 완전히 감싸지게 되어 와이어(40) 사이의 공간 발생을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와이어(40) 주변 공간을 타고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흡출음의 발생을 개선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흡출음 개선효과는 작업자의 숙련도와는 관계없는 것이므로 항상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멀티 와이어 밴드가 와이어 사이의 공간 발생을 차단하므로 와이어 주변 공간을 타고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흡출음의 발생을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므로 작업속도를 높일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는 것이므로 항상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 구조가 견고하므로 이탈 및 파손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와이어통로가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와이어통로로 이어지는 와이어를 각각 밀착 수용하는 다수의 와이어홀을 구비하는 다공튜브형 멀티 와이어 밴드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멀티 와이어 밴드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멀티 와이어 밴드는 그 일단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와이어통로에 삽입 설치되어 멀티 와이어 밴드를 관통하여 돌출부에 결합되는 체결너트에 의해 그 설치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 와이어 밴드는 연질 고무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와이어홀에는 외부로부터 와이어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트임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는 멀티 와이어 밴드에 비해 견고한 고무로 이루어지며, 그 전방에 나선이 형성된 내주면에 비해 직경이 작은 멀티 와이어 밴드 삽입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홀은 멀티 와이어 밴드 자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며,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멀티 와이어 밴드는 외주면에 걸림테가 형성되어 와이어통로에 삽입되는 정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KR1020060104086A 2006-10-25 2006-10-25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KR100783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086A KR100783873B1 (ko) 2006-10-25 2006-10-25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086A KR100783873B1 (ko) 2006-10-25 2006-10-25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873B1 true KR100783873B1 (ko) 2007-12-10

Family

ID=3914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086A KR100783873B1 (ko) 2006-10-25 2006-10-25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8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3659A (en) * 1987-08-24 1989-03-01 Nec Corp Multi-function telephone set with selective automatic transmitting function
JPH115326A (ja) * 1997-06-18 1999-01-12 Toshiba Corp カード記録方法およびカード発行装置
KR19990026957A (ko) * 1997-09-27 1999-04-15 양재신 사이드 미러 조절 구조의 일체형 노브
KR100315059B1 (ko) * 1999-08-27 2001-11-24 이계안 차량의 파이프/전선 마운팅용 브라켓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3659A (en) * 1987-08-24 1989-03-01 Nec Corp Multi-function telephone set with selective automatic transmitting function
JPH115326A (ja) * 1997-06-18 1999-01-12 Toshiba Corp カード記録方法およびカード発行装置
KR19990026957A (ko) * 1997-09-27 1999-04-15 양재신 사이드 미러 조절 구조의 일체형 노브
KR100315059B1 (ko) * 1999-08-27 2001-11-24 이계안 차량의 파이프/전선 마운팅용 브라켓의 조립구조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5326 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026957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특0153659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315059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0800B2 (ja) エレベータのカゴ室
WO2011061959A1 (ja) グロメット
JP2005291121A (ja) 車両の排気系支持構造
JP2011259553A (ja) グロメット
KR100783873B1 (ko) 아웃사이드 뷰미러의 멀티 와이어 밴드 아세이
KR101498826B1 (ko) 자동차용 그로멧
JP2011143797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JP2013082327A (ja) 自動車のピラー構造
JP2005351205A (ja) 送風機用の低騒音装置
JP4862633B2 (ja) カウルルーバ構造
CN202100831U (zh) 一种汽车地板线束支架
KR20150001952U (ko) 소음저감용 조립식 이중 그로멧
JP5316861B2 (ja) 車両用スピーカ装置
JP5991646B2 (ja) 車両の内装構造
KR20080044062A (ko) 자동차용 튜브 고정장치
KR101375080B1 (ko) 차량용 파이프 고정구조
KR20150053661A (ko)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KR100645155B1 (ko) 차량용 에이 필러 덕트 장착구조
KR20090006399U (ko)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100946889B1 (ko) 가결합이 가능한 도어 레귤레이터 모터 장치
CN109162788B (zh) 一种尿素泵隔振支架
JP2006260877A (ja) 防水グロメットとその取付構造
KR20010113099A (ko) 자동차의 소음감소구조
KR20090007989A (ko) 차량용 오디오의 브라켓
CN205292271U (zh) 加油管的固定结构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