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3661A -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3661A
KR20150053661A KR1020130135899A KR20130135899A KR20150053661A KR 20150053661 A KR20150053661 A KR 20150053661A KR 1020130135899 A KR1020130135899 A KR 1020130135899A KR 20130135899 A KR20130135899 A KR 20130135899A KR 20150053661 A KR20150053661 A KR 20150053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pport member
vehicle
neck por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승
홍성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5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3661A/ko
Publication of KR20150053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7Mounting of windows received in frames to be attached to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6Mounting of windows characterised by fixation means such as clips, adhesive,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window sashes; for glass run channels
    • B60J10/763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window sashes; for glass run channels for preventing outward displacement of windows when at high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의 리어 도어의 제1글라스 및 제2글라스; 상기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사이에 형성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헤드부와 제1헤드부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넥부로 구성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와 결합되고, 차체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헤드부와 제2헤드부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넥부로 구성된 제2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제2글라스가 고정되는 몰딩;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APPARATUS OF DOOR GLAS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도어에 설치되는 고정 글라스의 조립 방법을 개선하여 조립 품질 및 조립성을 향상시킨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리어 도어에 구비되는 대부분의 글라스는 리어 도어에서 상하 승하강되는 메인 글라스와 메인 글라스의 후방측으로 리어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 글라스로 구성된다.
리어 도어의 후방측은 차량의 천장으로부터 급격한 경사를 이루기 때문에 그 형태에 맞춰 도어 글라스를 제작 및 설치하기가 어렵고, 그로 인해 대부분의 리어 도어에는 고정 글라스를 설치하는 실정이다.
차량의 도어에 글라스를 장착하기 위하여는 메인 글라스를 하방향으로 가장착하고, 상기 고정 글라스 어셈블리를 사선방향으로 삽입 후 회전시키면서 장착해야하는데, 이 때 고정 글라스 어셈블리와 차체와 간섭이 발생하여 조립 공정이 지연되고 불량 발생이 높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2011-0021124 A에서는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에 있어서, 서로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픽스드 글래스(10)와 디비전 채널(11)의 연접부위에 픽스드 글래스(10)의 하단과 디비전 채널(11)의 측단에 걸쳐 장착되는 하나의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을 마련하여, 디비전 채널 및 픽스드 글래스 어셈블리 조립시 상하방향으로 끼워넣은 후 통합형 디비전 채널 브라켓(18)을 도어 프레임(14)측에 볼트로 마운팅한 구조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픽스드 글래스가 개시되나, 상기와 같은 발명에서도 차체와 간섭되는 부분을 해결하지 못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했다.
따라서, 구조 및 조립 방법이 간단하면서도 고정 글라스를 차체와 간섭없이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을 개선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조립 후 들뜸 및 디비전 채널(Division Channel)의 회전을 방지하여 풍절음을 제거할 수 있는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11-0021124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구조 및 조립 방법이 간단하면서도 고정 글라스를 차체와 간섭없이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을 개선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조립 후 들뜸 및 디비전 채널의 회전을 방지하여 풍절음을 제거할 수 있는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는 차량의 리어 도어의 제1글라스 및 제2글라스; 상기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사이에 형성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헤드부와 제1헤드부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넥부로 구성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와 결합되고, 차체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헤드부와 제2헤드부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넥부로 구성된 제2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제2글라스가 고정되는 몰딩;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넥부와 제2지지부재의 제2넥부는 리어 도어의 폭의 길이만큼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고, 밀착 결합된 제1넥부와 제2넥부를 결합수단이 관통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볼트일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넥부에는 측면부가 개구된 결합홀이 형성되고, 제2지지부재의 제2넥부에는 결합홀에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넥부의 결합홀과 제2넥부의 결합돌기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넥부는 제2지지부재의 제2넥부와 서로 넥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넥부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형성하고, 제1공간부에는 상기 제1글라스가 결합되고, 제2공간부에는 제2글라스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에는 상기 제1글라스와 제1글라스를 지지하는 글라스 런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몰딩에는 상기 제2글라스측에 대응되는 지점에 끼움홈이 형성되어 제2글라스가 몰딩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몰딩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에 따르면 구조 및 조립 방법이 간단하면서도 고정 글라스를 차체와 간섭없이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을 개선하여 공수를 줄여 작업 효율을 높이면서도 중량 및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심미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 후 들뜸 및 디비전 채널(제1지지부재, 제2지지부재 및 몰딩)의 회전을 방지하여 기밀성을 높여 풍절음 및 빗물에 의한 리어 도어 패널의 부식을 제거하며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D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의 조립 단계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D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는 차량의 리어 도어(RD)의 제1글라스(100) 및 제2글라스(300); 상기 제1글라스(100)와 제2글라스(300)의 사이에 형성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헤드부(510)와 제1헤드부(510)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넥부(530)로 구성되는 제1지지부재(500); 상기 제1지지부재(500)와 결합되고, 차체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헤드부(710)와 제2헤드부(710)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넥부(730)로 구성된 제2지지부재(700); 상기 제1지지부재(500)와 제2지지부재(70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800); 및 상기 제1지지부재(500)와 제2지지부재(700)가 형성하는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제2글라스(300)가 고정되는 몰딩(900);을 포함한다.
쉽게 설명하자면, 제1지지부재(500)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지지부재(700)는 역"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의 넥부(530,730)가 마주보는 형상으로 위치한다. 또한, 제1지지부재(500)와 제2지지부재(700)의 제1공간부(550)측 내측에는 글라스 런(110)이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500)의 제1넥부(510)는 제2지지부재(700)의 제2넥부(730)와 서로 넥부(530,730)가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넥부(530,730)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제1공간부(550)와 제2공간부(750)를 형성하고, 제1공간부(550)에는 상기 제1글라스(100)가 결합되고, 제2공간부(750)에는 제2글라스(300)가 결합된다.
특히, 상기 제1공간부(550)에는 상기 제1글라스(100)와 제1글라스(100)를 지지하는 글라스 런(110)이 결합되며, 상기 제2공간부(750)에는 몰딩(900) 충진되어 몰딩(900)에 제2글라스(300)가 결합된다. 상기 몰딩(900)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제2글라스(300)측에 대응되는 지점에는 끼움홈(910)이 형성되어 제2글라스(300)가 몰딩(900)의 끼움홈(910)에 끼움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500)와 제2지지부재(700)는 상기 결합수단(800)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결합수단(800)은 별물로 형성되어 추가될 수 있으나, 본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지지부재(500)의 제1넥부(530)와 제2지지부재(700)의 제2넥부(730)가 결합수단(800)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제1지지부재(500)의 제1넥부(530)에는 측면부가 개구된 결합홀(531)이 관통형성되고, 제2지지부재(700)의 제2넥부(730)에는 결합홀(531)에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돌기(731)가 형성되어 결합돌기(731)가 결합홀(531)에 끼움결합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제1넥부(530)의 결합홀(531)과 제2넥부(730)의 결합돌기(731)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어 보다 단단하게 지지되게 된다. 이러한 내용은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는 차량의 리어 도어(RD)의 제1글라스(100) 및 제2글라스(300); 상기 제1글라스(100)와 제2글라스(300)의 사이에 형성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헤드부(510)와 제1헤드부(510)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넥부(530)로 구성되는 제1지지부재(500); 상기 제1지지부재(500)와 결합되고, 차체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헤드부(710)와 제2헤드부(710)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넥부(730)로 구성된 제2지지부재(700); 상기 제1지지부재(500)와 제2지지부재(700)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800); 및 상기 제1지지부재(500)와 제2지지부재(700)가 형성하는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제2글라스(300)가 고정되는 몰딩(900);을 포함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1지지부재(500)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지지부재(700)는 역"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의 넥부(530,730)가 마주보는 형상으로 위치한다. 또한, 제1지지부재(500)와 제2지지부재(700)의 제1공간부(550)측 내측에는 글라스 런(110)이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500)의 제1넥부(530)는 제2지지부재(700)의 제2넥부(730)와 서로 넥부(530,730)가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넥부(530,730)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제1공간부(550)와 제2공간부(750)를 형성하고, 제1공간부(550)에는 상기 제1글라스(100)가 결합되고, 제2공간부(750)에는 제2글라스(300)가 결합된다.
특히, 상기 제1공간부(550)에는 상기 제1글라스(100)와 제1글라스(100)를 지지하는 글라스 런(110)이 결합되며, 상기 제2공간부(750)에는 몰딩(900) 충진되어 몰딩(900)에 제2글라스(300)가 결합된다. 상기 몰딩(900)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제2글라스(300)측에 대응되는 지점에는 끼움홈(910)이 형성되어 제2글라스(300)가 몰딩(900)의 끼움홈(910)에 끼움결합되는 부분은 상기의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와 다른 부분은 결합수단(800)에 관련된 것으로써, 상기 제1지지부재(500)의 제1넥부(530)와 제2지지부재(700)의 제2넥부(730)는 리어 도어(RD)의 폭의 길이만큼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어 겹치게 되고, 밀착 결합된 제1넥부(530)와 제2넥부(730)를 결합수단(800)이 관통하여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결합수단(800)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결합되는 볼트일 수 있으며 다른 결합수단(800) 역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설계와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도 6은 도 2의 C-C선 단면도로써, 차량 리어 도어(RD)의 벨트라인의 하단에는 "T"자 형태와 역 "T"자 형상이 합쳐진 "H"자 형상이 아닌 "H"자 형상의 1/2만 사용하여도 충분히 지지 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의 조립 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7에서는 차량의 리어 도어(RD)에 제1지지부재(500)를 결합하고, 몰딩(900)에 지지된 제2글라스(300)를 장착한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제1글라스(100)를 장착하고 도 11 내지 도 12에서는 제2지지부재(700)를 결합하게 된다. 도 12에서 제2지지부재(700)까지 결합이 완료되면, 도 13에서 도시한 것처럼 글라스 런(110)을 장착하면 차체와의 별도의 간섭없이도 용이하게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물론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결합돌기(731)가 형성된 제2지지부재(700)가 먼저 결합되고, 그 후에 제1글라스(100)가 결합된 후 제1지지부재(500)가 결합되도록 하여 더 간단한 형상의 지지부재가 나중에 결합되도록 하여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제1지지부재(500)와 몰딩(900) 및 제2글라스(300)를 결합한 후 글라스 런(110)과 제2지지부재(700)를 결합하여 하나의 어셈블리를 형성한 후 리어 도어(RD)에 결합할 수도 있으며 결합 방식에 대해서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차량 리어 도어(RD)의 디비전 채널을 구성하는 제1지지부재(500)와 제2지지부재(700)가 나뉘어 있음으로써, 디비전 채널이 오픈된 구조를 갖는다라는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변하지 않는 것으로써, 상기와 같이 일측이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리어 도어(RD)에 제1글라스(100)와 제2글라스(300)의 결합 시에도 차체와의 간섭이 일어나 조립이 용이하고 불량율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에 따르면 구조 및 조립 방법이 간단하면서도 고정 글라스를 차체와 간섭없이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을 개선하여 공수를 줄여 작업 효율을 높이면서도 중량 및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심미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립 후 들뜸 및 디비전 채널(제1지지부재, 제2지지부재 및 몰딩)의 회전을 방지하여 기밀성을 높여 풍절음 및 빗물에 의한 리어 도어 패널의 부식을 제거하며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제1글라스 110 : 글라스 런
300 : 제2글라스 500 : 제1지지부재
510 : 제1헤드부 530 : 제1넥부
531 : 결합홀 550 : 제1공간부
700 : 제2지지부재 710 : 제2헤드부
730 : 제2넥부 731 : 결합돌기
750 : 제2공간부 800 : 결합수단
900 : 몰딩 910 : 결합홈

Claims (10)

  1. 차량의 리어 도어의 제1글라스 및 제2글라스;
    상기 제1글라스와 제2글라스의 사이에 형성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헤드부와 제1헤드부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넥부로 구성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와 결합되고, 차체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2헤드부와 제2헤드부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넥부로 구성된 제2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가 형성하는 공간에 마련되어 상기 제2글라스가 고정되는 몰딩;을 포함하는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넥부와 제2지지부재의 제2넥부는 리어 도어의 폭의 길이만큼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고, 밀착 결합된 제1넥부와 제2넥부를 결합수단이 관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넥부에는 측면부가 개구된 결합홀이 형성되고, 제2지지부재의 제2넥부에는 결합홀에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합홀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넥부의 결합홀과 제2넥부의 결합돌기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넥부는 제2지지부재의 제2넥부와 서로 넥부가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넥부를 중심으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를 형성하고, 제1공간부에는 상기 제1글라스가 결합되고, 제2공간부에는 제2글라스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에는 상기 제1글라스와 제1글라스를 지지하는 글라스 런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딩에는 상기 제2글라스측에 대응되는 지점에 끼움홈이 형성되어 제2글라스가 몰딩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몰딩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KR1020130135899A 2013-11-08 2013-11-08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KR20150053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899A KR20150053661A (ko) 2013-11-08 2013-11-08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899A KR20150053661A (ko) 2013-11-08 2013-11-08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661A true KR20150053661A (ko) 2015-05-18

Family

ID=53390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899A KR20150053661A (ko) 2013-11-08 2013-11-08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36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1976A (zh) * 2017-04-10 2017-12-1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门框组件
JP2022173471A (ja) * 2017-10-12 2022-11-18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モジュ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1976A (zh) * 2017-04-10 2017-12-1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门框组件
JP2022173471A (ja) * 2017-10-12 2022-11-18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モジュー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1148981A (ru) Оконный бло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50053661A (ko)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CN209257853U (zh) 隐藏式外水切组件及汽车
CN103863075A (zh) 一种车门内防水夹条固定支架的安装结构
KR20160075718A (ko) 윈드쉴드 및 밀봉 요소
KR20150061050A (ko) 차량 도어의 글라스 장치
KR20100096476A (ko) 실외 장착형 글레이징 비드를 구비한 창호 및 그 조립 방법
KR100520554B1 (ko) 도어용 디비젼 채널의 체결구조
JP6703196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に対する遮音材の取付け構造
KR101531245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디플렉터 조립구조
CN203902228U (zh) 车门系统
CN202789623U (zh) 换气扇
KR100756950B1 (ko) 자동차 리어 도어 몰딩 개선 구조
KR101511539B1 (ko) 델타커버의 구조
CN203766460U (zh) 一种具有可定位外水切的汽车车门
CN101863242B (zh) 一种汽车后牌照灯盖总成
KR20160031753A (ko) 프레임리스 도어용 도어 글래스 실링장치
KR0132151Y1 (ko) 차량의 도어글라스 취부구조
KR100888584B1 (ko) 버스용 크래쉬 패드의 센터 필라 삽입홈 은폐 구조
KR20040002110A (ko) 자동차의 도어 몰딩
KR20030037105A (ko) 도어 웨더 스트립 고정용 몰딩 구조
KR100559005B1 (ko) 버스 스윙도어의 글래스 장착구조
KR100439791B1 (ko) 자동차 리어 도어용 인사이드 벨트 웨더스트립
KR101143209B1 (ko) 도어랫치모듈의 삽입식 장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플레이트
KR0138176Y1 (ko) 자동차의 유리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