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346B1 -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346B1
KR100781346B1 KR1020000086920A KR20000086920A KR100781346B1 KR 100781346 B1 KR100781346 B1 KR 100781346B1 KR 1020000086920 A KR1020000086920 A KR 1020000086920A KR 20000086920 A KR20000086920 A KR 20000086920A KR 100781346 B1 KR100781346 B1 KR 100781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leaning
buffer
unit
unlo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6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8790A (ko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6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34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51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using mainly spraying means, e.g. nozz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를 세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글라스의 파손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는 글라스가 로딩 되는 로더버퍼와, 글라스가 세정되는 세정부와, 세정된 글라스가 언로딩되는 언로더버퍼와, 로더버퍼 및 언로더버퍼에 설치되어 글라스의 파손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수단을 구비한다.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는 로더버퍼부 및 언로더버퍼에 글라스 엣지 컷 발생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포토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글라스 및 글라스 습식 세정진행 중 글라스 엣지 컷이 발생했는지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파손된 글라스의 영향으로 연속적으로 글라스가 파손되는 것을 조기에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Wet Washing Apparatus Of Glass}
도 1은 종래의 습식 세정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세정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로더버퍼에 포토센서를 장착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측면도로서 글라스가 파손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측면도로써 글라스가 파손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언로더버퍼에 포토센서를 장착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측면도로써 글라스가 파손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측면도로써 글라스가 파손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1 : 글라스 2, 32 : 반전부
14, 44 : 로더버퍼 15,16,18,22,24 : 세정부
17, 47 : 상류컨베이어 26, 46 : 언로더버퍼
20, 50 : 하류컨베이어 45,46,48,52,54 : 세정부
61 내지 68 : 포토센서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글라스를 세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글라스의 파손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함)를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동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LCD는 브라운관에 비하여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용 텔레비전(Television)이나 랩톱(Lap-Top)형 퍼스널컴퓨터(Personal Computer)등의 모니터로서 상품화되고 있다.
이중, 액정표시장치의 스위칭 소자인 TFT는 화소 셀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여 화소 셀에 인가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TFT는 글라스 세정장치를 이용하여 글라스를 세정한 후 글라스 상에 스퍼터링(Sputtering)등의 방법으로 금속박막을 형성하여 제작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세정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습식 세정장치는 외부에서 로딩(Loading)되는 글라스(1)와, 세정부로 글라스를 공급하기 위한 반전부(2)와, 반전부(2)로부터 글라스(1)를 공급받아 오존세정부(15)로 공급하기 위한 로더버퍼(14)와, 글라스(1)의 표면상의 이물질을 제 1차 세정하기 위한 오존세정부(15)와, 오존세정부(15)에서 제 1차 세정한 글라스(1)를 제 2차 세정하기 위한 롤브러쉬부(Roll Brush; 이하 "RB부"라 함)(16)와, RB부(16)에서 제 2차 세정한 글라스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버블젝부(Bubble Jet;이하 "BJ부"라 함)(18)로 공급하기 위한 상류컨베이어(17)와, 상류컨베이어(17)로부터 공급되는 글라스(1)를 제 3차 세정하기 위한 BJ부(18)와, BJ부(18)부로부터 공급되는 글라스(1)를 제 4차 세정부인 아쿠아나이프부(AQua Knife ;이하 "AQK부"라 함)(22)에 공급하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하류컨베이어(20)와, 4차 세정부인 AQK부(22)로부터 공급되는 글라스(1)의 표면을 건조하기 위한 에어나이프부(Air Knife ; 이하 "A/K부"라 함)(24) 및 건조된 글라스(1)를 언로딩하기 위한 언로더버퍼(26)를 구비한다.
외부에서 로딩 된 글라스(1) 반전부(2)에 의해 90도 회전되어 수평으로 놓여진 상태로 로더버퍼(14)를 거쳐 오존세정부(15)로 공급된다. 오존세정부(15)는 위에서 아래의 대각선방향 및 수직방향과, 밑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오존수를 글라스(1)에 분사함으로써 글라스(1) 표면상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 1차 세정하고, 글라스(1)를 RB부(16)에 공급한다. RB부(16)는 1 차 세정 후에도 남아 있는 이물질을 롤브러쉬를 이용하여 글라스(1)상의 이물질을 털어 내고, 샤워기에서 분사되는 물로 글라스(1)상의 이물질을 2차 세정하게 되고, 글라스(1)는 상류컨베이어부(17)로 공급한다. 상류컨베이어부(17)는 글라스(1)를 수평으로 90도 회전시켜 BJ부(18)로 공급한다. BJ부(18)는 RB부(16)로부터 공급받은 글라스(1)의 표면 및 저면에 물, 공기를 분사하여 글라스(1)상의 이 물질을 제 3차 세정하고, 글라스(1)를 하류컨베이어부(20)로 공급한다. 하류컨베이어부(20)는 BJ부(18)로부터 공급되는 글라스(1)를 수평으로 90도 회전시켜 AQK부(22)로 공급한다. AQK부(22)는 하류컨베이어부(20)로부터 공급된 글라스(1)의 표면 및 저면에 슬리트 노즐(Slit Nozzle)을 이용하여 물을 분사시켜 제 4차 세정하고, 글라스(1)를 A/K부(24)로 공급한다. A/K부(24)는 AQK부(22)로부터 공급받은 글라스(1)를 에어 나이프(Air Knife)를 이용하여 글라스(1)를 건조시켜, 글라스(1)를 언로더버퍼(26)에 공급한다. 언로더버퍼(26)는 A/K부(24)로부터 공급된 글라스(1)를 언로딩한다.
이와 같이, 습식 세정장치는 세정 및 건조 과정을 진행할 때, 롤러를 이용하여 글라스(1)를 이송한다. 그러나, 롤러를 이용한 글라스(1) 이송시, 롤러의 불균형적인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글라스(1)의 모서리 부분이 파손되는 엣지(Edge) 컷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균열 또는 파손된 글라스(1)에 대해 다음 공정인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이 진행되게 되면, 파손으로 인한 글라스(1)의 강도가 균일하지 못하여 글라스(1)가 완전히 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글라스를 세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글라스 엣지 컷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는 글라스가 로딩되는 로더버퍼와, 글라스가 세정되는 세정부와, 세정된 글라스가 언로딩되는 언로더버퍼와, 로더버퍼 및 언로더버퍼에 설치되어 글라스의 모서리 부분의 파손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검사 수단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포토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토센서들은 상기 글라스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정부는, 상기 로더버퍼로부터의 상기 글라스를 제 1차 세정하기 위한 오존세정부; 상기 오존세정부로부터의 상기 글라스를 제 2차 세정하기 위한 롤브러쉬부; 상기 롤브러쉬부로부터의 상기 글라스를 제 3차 세정하기 위한 버블젝부; 상기 버블젝부로부터의 상기 글라스를 제 4차 세정하기 위한 아쿠아나이프부; 및 상기 아쿠아나이프부로부터의 상기 글라스의 표면을 건조하기 위한 에어나이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삭제
이하, 도 2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세정장치에 글라스가 로딩되어 세정을 거친 후 언로딩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세정장치는 외부에서 로딩(Loading) 되는 글라스(31)와, 세정부로 글라스를 공급하기 위한 반전부(32)와, 반전부(32)로부터 글라스(31)를 공급받아 오존세정부(44)로 공급하기 위한 로더버퍼(44)와, 글라스(31)의 표면상의 이물질을 제 1차 세정하기 위한 오존세정부(45)와, 오존세정부(45)에서 제 1차 세정한 글라스(31)를 제 2차 세정하기 위한 롤브러쉬부(Roll Brush; 이하 "RB부"라 함)(46)와, RB부(46)에서 제 2차 세정한 글라스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버블젝부(Bubble Jet;이하 "BJ부"라 함)(48)로 공급하기 위한 상류컨베이어(47)와, 상류컨베이어(47)로부터 공급되는 글라스(31)를 제 3차 세정하기 위한 BJ부(48)와, BJ부(48)부로부터 공급되는 글라스(31)를 제 4차 세정부인 아쿠아나이프부(AQua Knife ;이하 "AQK부"라 함)(52)에 공급하기 위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하류컨베이어(50)와, 4차 세정부인 AQK부(52)로부터 공급되는 글라스(31)의 표면을 건조하기 위한 에어나이프부(Air Knife ; 이하 "A/K부"라 함)(54) 및 건조된 글라스(31)를 언로딩하기 위한 언로더버퍼(56)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세정장치는 반전부(32)로부터 글라스(31)를 공급받는 로더버퍼부(44)와 세정된 글라스(31)를 언로딩하는 언로더버퍼(56)부에 각각 포토센서(Photo Sensor)를 구비한다.
외부에서 로딩되는 글라스(31)는 세정공정을 거치기 위하여 반전부(32)에 의해 90도 회전되어 수평으로 놓여진 상태에서 로더버퍼(44)에 공급된다. 로더버퍼(44)는 반전부(32)로부터 글라스(31)를 공급받아 글라스(31)상의 엣지 컷(Edge Cut)의 발생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포토 센서(61 내지 64)를 도 3과 같이 구비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로더버퍼(44)는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게 설치된 4개의 포토 센서(61 내지 64)를 구비한다.
포토 센서(61 내지 64)는 로더버퍼(44)로 이송되어진 글라스(31)에 모서리 부분에 엣지 컷의 발생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각각 위치한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로서 글라스가 파손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포토 센서(61 내지 64)가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에 엣지 컷의 유/무를 감지하고 있어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이 파손 유/무를 검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에 엣지 컷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a 내지 d의 포토 센서가 동작하지 않고, 알람(Alarm:미도시)은 울리지 않는다.
도 5는 도 3의 측면도로써 글라스가 파손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를 참조하면, 포토 센서(61 내지 64)가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에 엣지 컷의 유/무를 감지하고 있어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이 파손 유/무를 검출한다.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에 엣지 컷이 발생된 경우, 예를 들어 모서리 부분 중 b 포토센서(61)가 검사하는 부분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에는 b 포토센서(61)가 동작하여 알람(미도시)을 울리게 한다. 알람이 울림으로써 작업자는 외부로부터 로딩되는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이 파손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삭제
이러한, 포토 센서(61 내지 64)에 의해 외부로부터 글라스(31)가 습식 세정장치에 로딩(Loading) 될 때 로드버퍼부(44)에서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에 엣지 컷의 발생 유/무를 제 1차로 감지한다. 포토센서(61 내지 64)에 의해 제 1차 검출에 의해 판손되지 않은 글라스(31)는 제 1차 세정하기 위해 글라스(31)를 오존수부(45)에 공급한다.
오존세정부(45)는 위에서 아래의 대각선방향 및 수직방향과, 밑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오존수를 글라스(31)에 분사함으로써 글라스(31) 표면상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 1차 세정하게 되고, 글라스(31)를 RB부(46)에 공급한다.
RB부(46)는 1 차 세정 후에도 남아 있는 이물질을 롤브러쉬를 이용하여 글라스(31)상의 이물질을 털어 내고, 샤워기에서 분사되는 물로 글라스(31)상의 이물질을 2차 세정하게 되고, 글라스(31)는 상류컨베이어부(47)로 공급한다.
상류컨베이어부(47)는 글라스(31)를 수평으로 90도 회전시켜 BJ부(48)로 공급한다. BJ부(48)는 RB부(46)로부터 공급받은 글라스(31)의 표면 및 저면에 물, 공기를 분사하여 글라스(31)상의 이 물질을 제 3차 세정하고, 글라스(31)를 하류컨베이어부(50)로 공급한다.
하류컨베이어부(50)는 BJ부(48)로부터 공급되는 글라스(31)를 수평으로 90도 회전시켜 AQK부(52)로 공급한다.
AQK부(52)는 하류컨베이어부(50)로부터 공급된 글라스(31)의 표면 및 저면에 슬리트 노즐(Slit Nozzle)을 이용하여 물을 분사시켜 제 4차 세정 하고, 글라스(31)를 A/K부(54)로 공급한다.
A/K부(54)는 AQK부(52)로부터 공급받은 글라스(31)를 에어 나이프(Air Knife)를 이용하여 글라스(31)를 건조시켜, 글라스(31)를 언로더버퍼(56)에 공급한다.
언로더버퍼(56)는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이 세정 과정에서 에지 컷이 발생 유/무를 검사하기 위해 도 2의 B부분에 검사 수단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B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 6을 참조하면, 언로더버퍼(56)는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에 4개의 포토 센서(65 내지 68)를 구비한다.
포토 센서(65 내지 68)는 언로더버퍼(56)로 이송되어진 글라스(31)에 모서리 부분에 엣지 컷의 발생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로써 글라스가 파손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을 참조하면, 포토 센서(65 내지 68)가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에 엣지 컷의 유/무를 감지하고 있어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이 파손 유/무를 검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에 엣지 컷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a 내지 d의 포토 센서는 동작하지 않고 알람(미도시)은 울리지 않는다.
도 8은 도 6의 측면도로써 글라스가 파손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을 참조하면, 포토 센서(65 내지 68)가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에 엣지 컷의 유/무를 감지하고 있어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이 파손 유/무를 검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에 엣지 컷이 발생된 경우, 예를 들어 모서리 부분 중 b 포토센서(65)가 검사하는 부분에 파손이 발생한 경우에는 b 포토센서(65)가 동작하여 알람(미도시)을 울리게 한다. 알람이 울림으로써 작업자는 외부로부터 로딩되는 글라스(31)의 모서리 부분이 파손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포토 센서(65 내지 68)에 의해 각각의 세정부로 이송되는 도중에 롤러의 불균형적인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글라스(31)의 엣지부분에 파손이 되었는지를 최종 감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는 로더버퍼부 및 언로더버퍼에 글라스 엣지 컷 발생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포토 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글라스 및 글라스 습식 세정진행 중 글라스 엣지 컷이 발생했는지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파손된 글라스의 영향으로 연속적으로 글라스가 파손되는 것을 조기에 방지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글라스가 로딩되는 로더버퍼와,
    상기 글라스가 세정되는 세정부와,
    상기 세정된 글라스가 언로딩되는 언로더버퍼와,
    상기 로더버퍼 및 상기 언로더버퍼에 설치되어 상기 글라스의 모서리 부분의 파손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수단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포토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센서들은 상기 글라스의 모서리 부분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로더버퍼로부터의 상기 글라스를 제 1차 세정하기 위한 오존세정부;
    상기 오존세정부로부터의 상기 글라스를 제 2차 세정하기 위한 롤브러쉬부;
    상기 롤브러쉬부로부터의 상기 글라스를 제 3차 세정하기 위한 버블젝부;
    상기 버블젝부로부터의 상기 글라스를 제 4차 세정하기 위한 아쿠아나이프부; 및
    상기 아쿠아나이프부로부터의 상기 글라스의 표면을 건조하기 위한 에어나이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
KR1020000086920A 2000-12-30 2000-12-30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 KR100781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920A KR100781346B1 (ko) 2000-12-30 2000-12-30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6920A KR100781346B1 (ko) 2000-12-30 2000-12-30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790A KR20020058790A (ko) 2002-07-12
KR100781346B1 true KR100781346B1 (ko) 2007-11-30

Family

ID=2768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6920A KR100781346B1 (ko) 2000-12-30 2000-12-30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3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545B1 (ko) * 2008-03-28 2010-12-17 엠파워(주) 기판 세정장치 및 방법
KR101035051B1 (ko) * 2008-03-28 2011-05-19 엠파워(주) 버블을 이용한 기판 세정장치 및 방법
KR20190003203U (ko)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디엠에스 기판 이송용 팔레트 및 이를 이용한 기판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258B1 (ko) * 2003-07-01 2003-12-3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오존수를 이용한 엘시디기판 세정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231A (ja) * 1991-01-31 1994-09-16 Central Glass Co Ltd 板ガラスの欠点検出装置
JPH09234432A (ja) * 1995-12-28 1997-09-09 Sharp Corp 液晶表示パネルの洗浄方法及び液晶表示パネル用洗浄装置
JPH10132758A (ja) * 1996-10-29 1998-05-22 Central Glass Co Ltd 板ガラスの欠点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0339705A (ja) * 1997-06-09 1998-12-22 Asahi Glass Co Ltd 板状透明体の欠陥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90081574A (ko) * 1998-04-30 1999-11-1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식각설비의 기판 이송 툴 및 이의 기판이송방법
KR20010091488A (ko) * 2000-03-16 2001-10-23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글래스 기판 이송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8231A (ja) * 1991-01-31 1994-09-16 Central Glass Co Ltd 板ガラスの欠点検出装置
JPH09234432A (ja) * 1995-12-28 1997-09-09 Sharp Corp 液晶表示パネルの洗浄方法及び液晶表示パネル用洗浄装置
JPH10132758A (ja) * 1996-10-29 1998-05-22 Central Glass Co Ltd 板ガラスの欠点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10339705A (ja) * 1997-06-09 1998-12-22 Asahi Glass Co Ltd 板状透明体の欠陥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90081574A (ko) * 1998-04-30 1999-11-15 윤종용 액정표시장치 제조용 식각설비의 기판 이송 툴 및 이의 기판이송방법
KR20010091488A (ko) * 2000-03-16 2001-10-23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글래스 기판 이송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545B1 (ko) * 2008-03-28 2010-12-17 엠파워(주) 기판 세정장치 및 방법
KR101035051B1 (ko) * 2008-03-28 2011-05-19 엠파워(주) 버블을 이용한 기판 세정장치 및 방법
KR20190003203U (ko) 2018-06-19 2019-12-30 주식회사 디엠에스 기판 이송용 팔레트 및 이를 이용한 기판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8790A (ko) 200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2146B2 (en) Washing device
KR20130135651A (ko) 액정표시장치 제조라인
KR100781346B1 (ko) 글라스 습식 세정장치
KR20170048136A (ko) 클리닝 헤드 및 청소 방법
JP2004274054A (ja) 感光物質塗布装置
JP3442930B2 (ja) 液晶表示パネルの洗浄方法
KR101261431B1 (ko) 플렉시블 필름이 부착된 캐리어 기판의 배면 세정장치
KR20070060713A (ko) 기판 세정 장치 및 방법
KR20060094547A (ko) 편광필름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KR100713638B1 (ko) 글래스 기판 이송장치 및 방법
JP3040055B2 (ja) 感光性樹脂の現像方法
JP2003002694A (ja) 封止後枚葉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KR100525730B1 (ko) 습식 식각 장비 및 습식 식각 방법
JP5446462B2 (ja) 枚葉基板搬送装置
JPH11307493A (ja) 基板処理装置
KR20060013882A (ko)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세정 장치 및 방법
JPH11216430A (ja) 洗浄装置
KR102278073B1 (ko) 기판 처리 장치
JPH1079368A (ja) 基板処理装置
JP2001188211A (ja) 液晶表示素子用電極基板の現像装置
JP2001151345A (ja) 搬送装置
KR20030071316A (ko) 액정표시소자 기판 로딩시 이물제거방법
JPH06190346A (ja) 基板洗浄装置
JP2017064623A (ja) 基板乾燥装置および基板処理装置
KR101099551B1 (ko) 기판 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