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155B1 -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155B1
KR100781155B1 KR1020020004182A KR20020004182A KR100781155B1 KR 100781155 B1 KR100781155 B1 KR 100781155B1 KR 1020020004182 A KR1020020004182 A KR 1020020004182A KR 20020004182 A KR20020004182 A KR 20020004182A KR 100781155 B1 KR100781155 B1 KR 100781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frame
carrier assembly
unit
mark
p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3837A (ko
Inventor
조한석
우석하
권은용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155B1/ko
Publication of KR2003006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1Apparatus for making assembl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ackage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94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using 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on substrates or labels on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with gripping and holding devices using a vacuum; Bernoulli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는, 소정의 마크가 표시된 필름 형태의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가 장치내로 인입되기 위해 적재되는 인입적재부, 상기 인입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를 하나씩 진공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로딩(loading)부,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가 상기 로딩부로부터 분리되어 안착되며, 순차적인 일련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된 레일부, 상기 안착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의 단부를 파지하여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그리퍼(gripper)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상의 상기 마크를 인식하는 마크 인식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상의 상기 마크를 펀칭하는 펀칭부, 상기 펀칭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를 진공 흡착하여 상기 레일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언로딩(unloading)부, 상기 이탈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가 상기 언로딩부로부터 분리되어 장치 밖으로 취출되기 위해 적재되는 취출적재부,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순차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unching lead frame}
도 1a 및 도 1b는 필름형태의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의 인입적재부 및 로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의 그리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의 마크 인식부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의 펀칭부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펀칭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 100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
110 ...인입적재부 120 ...로딩부
140 ...레일부 150 ...그리퍼부
160 ...마크 인식부 200 ...펀칭부
240 ...언로딩부 260 ...취출적재부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 형태의 비금속(non-metal) 리드프레임 스트립(strip)에서 소정의 마크가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여 해당 리드프레임을 펀칭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리드프레임은 반도체 칩과 함께 반도체 팩키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칩과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스탬핑 또는 에칭에 의해 일정 회로패턴을 구비하도록 제작된다.
마이크로 비지에이 패키지 등의 고집적 칩 스케일 패키지에 있어서는 비금속 재료의 리드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는 바, 이는 일반적으로 유연성 있는 필름에 동박을 라미네이팅(laminating)하고 소정 회로 패턴이 형성되도록 식각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필름 형태의 리드프레임은 그 유연한 재질로 인하여 형태의 유지가 어려워 별도의 캐리어에 안치시킨 후 단계별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도 1a 및 도 1b는 이러한 필름 형태의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10)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복수의 단위 리드프레임(2)이 형성된 리드프레임 스트립(1)의 상하 양 단이 사각형 캐리어(3)에 테이프(4)로 접착되어 상기 조립체(10)가 구비된다. 상기 단위 리드프레임(2)에는 소정 회로 패턴(도시 안됨)이 형성되어 있는 바, 검사자는 통상적으로 상기 단위 리드프레임(2)에 불량이 있음을 발견하면 소정의 불량 마크(5)를 표시한다. 다음 단계의 작업자는 수작업에 의해 상기 마크(5)가 표시된 리드프레임 스트립(1)을 하나씩 위치 정렬하여 상기 마크를 펀칭하게 된다.
이와 같이 리드프레임 펀칭 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하나씩 진행됨으로써 펀칭 작업의 생산성이 떨어지고, 작업자의 피로 등으로 인한 펀칭 위치의 오차 발생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불량인 리드프레임의 통계적 집계가 곤란하여 생산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량 마크가 표시된 필름 형태의 리드프레임을 자동적으로 인식 및 펀칭하여 적재하는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펀칭과 동시에 펀칭된 불량 리드프레임의 통계적 집계를 행하는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를 이용하여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에 표시된 불량마크를 펀칭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는, 소정의 마크가 표시된 필름 형태의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가 장치내로 인입되기 위해 적재되는 인입적재부;
상기 인입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를 하나씩 진공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로딩(loading)부;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가 상기 로딩부로부터 분리되어 안착되며, 순차적인 일련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된 레일부;
상기 안착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의 단부를 파지하여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그리퍼(gripper)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상의 상기 마크를 인식하는 마크 인식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상의 상기 마크를 펀칭하는 펀칭부;
상기 펀칭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를 진공 흡착하여 상기 레일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언로딩(unloading)부;
상기 이탈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가 상기 언로딩부로부터 분리되어 장치 밖으로 취출되기 위해 적재되는 취출적재부;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순차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의 마크 인식부는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 어 조립체를 촬영하는 CCD 카메라, 상기 CCD 카메라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의 단위 리드프레임의 간격이 이격되어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미러박스, 상기 레일부의 하측에서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를 조명하는 램프, 상기 CCD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상기 제어부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encoder),및
각각 서보모터, 상기 서보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와 맞물리는 너트를 구비하여 된 상하운동수단 및 좌우운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의 펀칭부는, 상기 마크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소정 마크에 통공을 형성하는 펀치 및 다이, 상기 마크를 다시 촬영하여 상기 펀치 및 다이가 정확히 상기 마크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보정용 CCD 카메라, 및
각각 서보모터, 상기 서보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와 맞물리는 너트를 구비하여 된 것으로, 상기 펀치 및 다이가 상기 마크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가 연장된 방향 및 이에 수직인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전후 및 좌우운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100)는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연장된 한 쌍의 레일을 구비하여 된 레일부(140)의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인입적재부(110), 로딩부(120), 마크 인식부(160), 펀칭부(200), 언로딩부(240), 및 취출적재부(260)가 구비된다. 또한 그 일측에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장치(100)의 작동 상태 등이 표시되는 모니터와, 작업자가 장치(100)의 온/오프 또는 특정 작업의 명령을 할 수 있도록 작동판(operation panel)이 설치된다.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도 1의 10)를 레일부(140)를 따라 이송하는 그리퍼부(gripper part)는 후술될 것이다.
인입적재부(110) 및 취출적재부(260)에는 펀칭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또는 펀칭 작업이 완료된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도 1의 10)를 적재하기 위한 카세트가 구비된다. 인입적재부(110)에는 카세트가 세 개 구비되어, 이중 제 1 및 제 2 카세트(111,112)에는 작업을 대기하는 상기 조립체 및 간지가 적재되고, 제 3 카세트(113)에는 상기 조립체가 레일부(140)로 이송되고 남은 간지가 이송되어 적재된다. 취출적재부(260)에도 또한 펀칭 작업을 마친 상기 조립체가 적재되는 카세트 둘(261,262)뿐 아니라 간지가 적재되는 카세트 하나(263)가 구비되어, 상기 적재되는 조립체 사이사이에 상기 카세트(263)에서 이송되는 간지가 개재되도록 한다.
로딩부(120) 및 언로딩부(240)는 상기 카세트들(111 내지 113, 261 내지 263)과 레일부(140) 간에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를 하나씩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딩부(120) 및 언로딩부(240)는 각각 서보모터(125,245)와, 이 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126,246), 이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볼스크류(127,247), 및 상기 볼스크류와 맞물리는 너트를 구비한 보디(130,250)를 구비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의 인입적재부 및 로딩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입적재부의 제 1 카세트(111)는 위로 개방되어 있고, 적재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100) 및 간지(2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115) 및 상기 플레이트(115)를 승강시키는 샤프트(116)를 구비한다. 상기 샤프트(116)는 리니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조립체(10) 및 간지가 적재 또는 제거된 만큼 단계적으로 하강 또는 상승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 1 카세트(111)만이 도시되었으나, 다른 카세트(112,113)도 동일한 구조를 가짐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로딩부(120)에는 진공흡착노즐(121)이 구비된다. 이는 상기 조립체(10)를 손상없이 로딩부(120)에 흡착시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로딩부(120)는 보디(130)와 연결된 실린더(122)를 구비한 구동 메커니즘에 의해 Y축 방향 승강운동이 가능하다.
로딩부(120)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로딩부(120)는 최초 위치에서 인입적재부(110)의 위치까지 Z축 방향 직선운동을 하고 다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10)와 근접하도록 Y축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 상태에서 진공흡착노즐(121)이 작동하여 가장 위에 위치한 상기 조립체(10)가 손상없이 로딩부(120)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이 부착된 로딩부(120)는 다시 일련의 직선운동을 통해 레일부(140) 에 근접하게 이동하며, 상기 진공흡착노즐(121)의 작동 멈춤에 의해 상기 조립체(10)는 레일부(140) 위에 안착될 수 있다. 로딩부(120)는 동일한 일련의 동작으로 상기 조립체 사이에 개재된 간지(20)를 별도의 카세트(113)에 적재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도 2의 언로딩부(240) 및 취출적재부(260)도 로딩부(120)와 같은 구조를 가짐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언로딩부(240)는 상기 로딩부(120)의 작동과 대응하여 작업이 완료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도 1의 10)를 레일부(140)에서 취출적재부(260)로 하나씩 이동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조립체의 보호를 위해 간지를 사이에 개재하는 과정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의 순차적 작동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PLC, 모니터, 작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PLC는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PLC 는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약어로 시퀀스(sequence) 제어를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의 기능을 IC,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로 대체시켜 기본적인 시퀀스 제어 기능에 연산 기능을 추가하여 프로그램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범용 제어 장치이다. 프로그램의 변경이 용이하며, 제어기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PLC는 불량 마크된 리드프레임에 대한 통계적 집계가 가능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작업자의 지시에 의해 그 결과를 즉시 모니터(180)를 통해 표시해 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의 그리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 한 사시도로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를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그리퍼부(150)는 보디(158), 그리퍼 이(gripper teeth,151), 상기 그리퍼 이(151)의 개폐운동수단, 및 상기 보디(158)의 직선운동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그리퍼 이(151)는 로딩부(도 2의 120)에 의해 레일부(140)에 안치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10)의 단부를 파지하기 위해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되며, 그 구동 수단으로서 에어 실린더(미도시)가 제공된다.
한 쌍의 레일로 된 레일부(140)는 상기 조립체(10)의 폭에 따라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한 쌍의 레일(141,14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레일은 서로 마주보는 단차진 홈(143,144)을 구비하여 상기 조립체(10)가 Z축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조립체(10)는 레일부(140)의 연장 방향인 X축의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작업이 진행된다.
상기 조립체(10)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장치(미도시)가 상기 그리퍼 이(151)에 구비된다. 상기 그리퍼 이(151)는 한 쌍의 레일(141.142) 사이에 위치하며 보디(158)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디(158)는 직선운동수단에 의해 레일부(140)가 연장된 방향으로 운동하며 이에 의해 연결된 그리퍼 이(141)도 한 쌍의 레일(141,142) 사이에서 X축 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다. 상기 직선운동수단은 서보모터(154), 타이밍 벨트(155), 풀리(156), 볼스크류(157), 및 상기 보디(158)와 결합된 너트(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서보모터(154)가 구동하면 타이밍 벨트(155)와 풀리(156)를 통해 볼스크류(157)가 회전하고, 상 기 볼스크류(157)의 나사산(미도시)에 맞물린 너트가 X축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보디(158)가 왕복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의 마크 인식부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그리퍼 이(도 4의 151)에 파지되어 마크 인식부(160)에서 정지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10)를 촬영하는 CCD 카메라(161), 레일부(140)의 아래에서 상기 조립체(10) 촬영을 위한 조명을 제공하는 램프(170), 및 상기 조립체(10)의 단위 리드프레임(도 1a의 2)의 간격을 확대 투사하여 소정의 불량 마크(도 1a의 5)의 정확한 촬영을 돕는 미러박스(165)를 구비한다. CCD는 Charge Coupled Device의 약어로 전하결합소자 또는 고체촬상소자로 불리며,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 에너지를 그 명암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집적회로가 내장된 이미지 센서로서, 이에 의해 상기 CCD 카메라(161)는 고감도의 흑백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CCD 카메라(161)는 촛점 조정을 위하여 Y축 방향 상하로 운동 가능하며 그 운동수단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서보모터(190), 타이밍 벨트(191), 풀리(192), 볼스크류(194), 및 상기 CCD 카메라(161)에 결합된 너트(19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스크류(194) 및 컬럼(167)은 상기 CCD 카메라(161) 및 서보모터(190)를 지지하며 그 일단이 프레임(166)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66)은 상기 미러박스(165)와도 결합되어 있으며 직선운동수단에 의해 Z축 방향 좌우로 왕복운동 할 수 있다. 상기 직선운동수단은 서보모터(180), 상기 서보모터(180)와 동축상에 있는 볼스크류(182), 및 상기 프레임(166)에 결합된 너 트(18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보모터(180)의 회전으로 이에 연결된 볼스크류(182)가 회전하고 상기 볼스크류(182)에 맞물린 너트(183)가 볼스크류(182)를 따라 이동하여 프레임(166)을 직선 왕복운동시킨다. 상하운동수단을 이루는 볼스크류(194)의 상단부에는 엔코더(encoder,175)가 위치한다. 상기 CCD 카메라(161)에 의해 촬영된 화상은 상기 엔코더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제어부는 이를 토대로 펀칭부(도 2의 200)에 불량 마크가 있어서 펀칭되어야 할 위치에 대한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CCD 카메라(161), 미러박스(165), 및 엔코더(175)는 모두 프레임(166)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프레임(166)의 Z축 방향 좌우 왕복운동에 따라 동시에 이동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의 펀칭부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펀칭부(200)는 그리퍼 이(도 4의 151)에 파지되어 마크 인식부(도 2의 160)를 통과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10) 상의 소정의 불량 마크를 펀칭하는 펀치(201) 및 다이(202)를 구비한다. 상기 펀치(201) 및 다이(202)가 상기 불량 마크 상에 정확히 위치하면 에어 실린더(203)에 의해 상기 펀치(201)가 상승함으로써 필름 형태의 리드프레임에 통공을 형성한다. 상기 다이(202)에는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펀칭 후 리드프레임의 스크랩(scrap)이 인입되고 이는 소정의 위치에 배출되어 적재될 수 있다. 상기 다이(202)의 위로는 위치보정용 CCD 카메라(230)가 설치된다. 상기 CCD 카메라(230)는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펀치(201) 및 다이(202)가 불량 마크 위치로 일차적으로 이동하면, 그 근방을 촬영하여 정확한 불량 마크 위치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에 보냄으로써 펀칭 위치의 오차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펀치(201), 다이(202), 및 CCD 카메라(230)는 제 1 프레임(215)에 결합되어 같이 움직인다. 제 1 프레임(215)을 Z축 방향 좌우로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좌우운동수단은 서보모터(210), 타이밍 벨트(211), 풀리(212), 볼스크류(213), 및 상기 제 1 프레임(215)과 연결된 너트(214)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그 구조는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다. 상기 제 1 프레임(215)의 아래에는 X축 방향으로 전후 운동하는 제 2 프레임(225)이 구비된다. 상기 제 2 프레임(225)의 전후운동수단은 서보모터(220), 타이밍 벨트(221), 풀리(222), 볼스크류(미도시), 및 상기 제 2 프레임(225)과 연결된 너트(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그 구조는 상기 제 1 프레임(215)의 좌우운동수단과 유사하다. 다만, 상기 제 2 프레임(225)이 전후로 운동하면 그 위에 위치한 제 1 프레임(215) 및 제 1 프레임의 좌우운동수단(210,211,212,213,214)도 모두 전후로 연동한다. 결국 제 1 프레임(215)에 결합된 펀치(201),다이(202), CCD 카메라(230)는 소정 범위 내에서 X축 및 Z축 방향 전후 및 좌우로 왕복운동이 가능하여 리드프레임의 소정의 불량 마크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에는 리드프레임에 표시된 소정의 마크를 펀칭하는 방법이 개략적인 흐름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리드프레임 상에 소정의 불량 마크가 표시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를 하나씩 공급하는 단계(S110), CCD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인식으로 상기 불량 마크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S120), 펀치로 상기 불량 마크를 펀칭하는 단계(S130), 및 펀칭된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를 카세트에 적재하는 단계(S1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2와 비교하여 보면,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 공급 단계(S110)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인입적재부 및 로딩부(110,120)에 의해, 불량 마크 위치 인식 단계(S120)는 마크 인식부(160)에 의해, 불량 마크 펀칭 단계(S130)는 펀칭부(200)에 의해, 그리고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 적재 단계(S140)는 언로딩부 및 취출적재부(240,260)에 의해 각각 수행될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6에서 이미 상술되었으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종래에 수작업에 의해 하나씩 진행되던 소정의 불량 마크가 표시된 리드프레임의 펀칭 작업을 자동화하여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종래 수작업에 의한 펀칭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피로 등으로 인한 펀칭 위치의 오차를 막을 수 있다.
셋째, 작업과 동시에 불량한 리드프레임에 대한 통계적 집계를 할 수 있어 생산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 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소정의 마크가 표시된 필름 형태의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가 장치내로 인입되기 위해 적재되는 인입적재부;
    상기 인입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를 하나씩 진공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로딩(loading)부;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가 상기 로딩부로부터 분리되어 안착되며, 순차적인 일련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된 레일부;
    상기 안착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의 단부를 파지하여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그리퍼(gripper)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상의 상기 마크를 인식하는 마크 인식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상의 상기 마크를 펀칭하는 펀칭부;
    상기 펀칭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를 진공 흡착하여 상기 레일부로부터 이탈시키는 언로딩(unloading)부;
    상기 이탈된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가 상기 언로딩부로부터 분리되어 장치 밖으로 취출되기 위해 적재되는 취출적재부; 및
    상기 구성요소들의 순차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 인식부는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를 촬영하는 CCD 카메라, 상기 CCD 카메라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의 단위 리드프레임의 간격이 이격되어 촬영될 수 있도록 하는 미러박스, 상기 레일부의 하측에서 상기 리드프레임 및 캐리어 조립체를 조명하는 램프, 상기 CCD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상기 제어부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엔코더(encoder),및
    각각 서보모터, 상기 서보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와 맞물리는 너트를 구비하여 된 상하운동수단 및 좌우운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는 상기 마크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소정 마크에 통공을 형성하는 펀치 및 다이, 상기 마크를 다시 촬영하여 상기 펀치 및 다이가 정확히 상기 마크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보정용 CCD 카메라, 및
    각각 서보모터, 상기 서보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한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와 맞물리는 너트를 구비하여 된 것으로, 상기 펀치 및 다이가 상기 마크 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가 연장된 방향 및 이에 수직인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전후 및 좌우운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
KR1020020004182A 2002-01-24 2002-01-24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 및 방법 KR100781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182A KR100781155B1 (ko) 2002-01-24 2002-01-24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182A KR100781155B1 (ko) 2002-01-24 2002-01-24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837A KR20030063837A (ko) 2003-07-31
KR100781155B1 true KR100781155B1 (ko) 2007-11-30

Family

ID=3221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182A KR100781155B1 (ko) 2002-01-24 2002-01-24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1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31798B1 (nl) * 2022-05-09 2023-11-16 Tfa Europe B 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nabewerken van behuisde geïntegreerde circuits
WO2023217697A1 (en) 2022-05-09 2023-11-16 Tfa Europe B.V. Method and device for post-processing of encapsulated integrated circui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144B1 (ko) * 1994-12-23 1998-12-15 황인길 반도체패키지용 코팅시스템의 리드프레임 이송방법
KR19990056827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리드 프레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9990031260U (ko) * 1997-12-30 1999-07-26 김규현 리드프레임의 패들 절단용 프레스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144B1 (ko) * 1994-12-23 1998-12-15 황인길 반도체패키지용 코팅시스템의 리드프레임 이송방법
KR19990056827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리드 프레임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9990031260U (ko) * 1997-12-30 1999-07-26 김규현 리드프레임의 패들 절단용 프레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837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47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US5628660A (en) Bonding apparatus and bonding method of devices
JPH07106796A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H0737924A (ja)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4228326A (ja) 基板停止位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737923A (ja)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781155B1 (ko) 리드프레임 펀칭 장치 및 방법
JPH10107128A (ja) ウェーハリングの供給装置
EP0516317B1 (en) Method of locating work in automatic exposing apparatus
CN210351813U (zh) 一种转塔式贴片机
JP2008060144A (ja) 電子部品取出装置、表面実装機、および電子部品取り出し方法
JPH0737925A (ja)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及びその方法
CN216036941U (zh) 一种ic料条精确定位移动装置
JPH0675199A (ja) 液晶パネル製造装置、位置決め装置および加工装置
JP3153699B2 (ja) 電子部品のボンディング方法
KR101482092B1 (ko)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으로의 모듈 접지장치
JP3298795B2 (ja) リードフレームの搬送データ設定方法
KR102300468B1 (ko) 카메라 모듈용 fpcb 자동 폴딩 시스템
JP2881743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の実装方法、認識装置及び認識方法
JPH0683945A (ja) 物品認識装置
CN219834484U (zh) 柔性线路板定板关联装置及生产线
JP2002076696A (ja) 実装機における基板認識装置
JP3349977B2 (ja) 半導体装置の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
TWI623998B (zh) Electronic component transfer device and its operation classification device
JP2003260782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