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201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201B1
KR100779201B1 KR1020060036712A KR20060036712A KR100779201B1 KR 100779201 B1 KR100779201 B1 KR 100779201B1 KR 1020060036712 A KR1020060036712 A KR 1020060036712A KR 20060036712 A KR20060036712 A KR 20060036712A KR 100779201 B1 KR100779201 B1 KR 100779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ng plate
circuit board
plate
display devic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428A (ko
Inventor
마사키 츠보쿠라
시몬 이타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Publication of KR20060113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이 평탄한 반사판을 이용해 광확산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각부를 상기 반사판 및 프레임체에 설치한 관통 구멍에 통해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반사판상에 세운다. 또 상기 프레임체의 배후면 측에 프린트 회로판을 고정할 경우에 상기 프린트 회로판을 고정하는 영역내에 상기 각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프린트 회로판의 상기 각부와 겹치는 영역에 관통 구멍을 설치해 상기 각부가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표시 장치 전체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본 실시예로 이용하는 백 라이트 유니트를 광의 조사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의 이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3의 프린트 회로판의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주요부위를 나타내는 도면부호의 설명**
1···표시 패널
2···직하형 백 라이트 유니트
201···프레임체(하부 프레임)
202···반사판
203···형광 램프
204···광확산판
205···지지 부재
205A···지지 부재의 각부
3···프레임 부재
4···프린트 배선판
5···액정 드라이버 IC
6···프린트 회로판(회로 기판)
6A···프린트 회로판의 관통 구멍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계되어 특히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니트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적용하는 유효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표시 장치에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이용해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가 있다.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예를 들어 TFT 소자가 어레이 형상에 설치된 TFT 패널과 대향 기판의 사이에 액정 재료를 충전시킨 액정 패널의 배후면 측에 광원(백 라이트 유니트)이 설치되고 있다.
상기 백 라이트 유니트는 예를 들어 냉음극 형광관등의 선형상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면상으로 변환해 상기 액정 패널의 전면에 광을 조사하는 유니트(부재)이 고 주로 직하형과 엣지 라이트형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직하형의 백 라이트 유니트는 예를 들어 상기 액정 패널의 직하에 상기 형광관을 배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백 라이트 유니트에서는 예를 들어 박스형의 개체(프레임)의 내부에 반사판을 설치해 상기 반사판상에 1개 또는 복수 라인의 형광관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형광관상에 광학 시트나 광확산판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직하형의 백 라이트 유니트는 일반적으로 고휘도가 요구되는 액정표시장치등으로 이용되고 있어 예를 들어 PC (Personal Computer) 지향의 액정 디스플레이나 액정 텔레비젼 등의 표시 장치의 광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나 액정 텔레비젼은 최근 표시 패널의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어 상기 백 라이트 유니트에 설치하는 광확산판 등도 대형화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광확산판을 상기 프레임체와 접하는 단부만으로 지지하고 있으면 상기 광확산판이 굴곡; 휘도의 균일도가 저하한다. 거기서 근래에는 예를 들어 상기 개체내부에 지지 부재를 설치해 상기 지지 부재로 상기 광확산판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광확산판의 굴곡을 막아 휘도의 균일도를 높인 백 라이트 유니트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특개평7-64084호 공보를 참조. )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백 라이트(조명 장치)에서는 상기 프레임체에 해당하는 반사판중 바닥면상에 광제어용 시트(확산판) 등의 광학 부재를 그 내면으로부터 지지하는 투명의 지지 부재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백 라이트(조명 장치)는 상기 반사판의 바닥면의 폭방향 중간부로서 한 쌍의 형광 램프끼리 사이에서 안쪽으로 산형으로 돌출하는 보조 반사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반사부의 일부를 평탄면으로 해 상기 평탄면에 상기 지지 부재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반사판에 세워 설치하는 경우 통상 상기 특허 문헌 1에 나타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고정부)를 상기 반사판에 설치한 관통 구멍에 통하여 상기 지지 부재를 고정하고 있어 상기 각부가 상기 반사판의 배후면 측에 돌출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백 라이트와 같이 산형의 보조 반사부의 일부를 평탄면으로 해 상기 지지 부재를 세워 설치하면상기 백 라이트의 두께가 상기 각부의 돌출분만큼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백 라이트의 반사부와 같이 상기 반사부의 바닥면에 상기 산형의 보조 반사부나 상기 평탄면을 설치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반사부에 갈라짐이나 굴곡이 생기기 쉽고 반사광의 균일도가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 상기 반사부의 바닥면에 상기 산형의 보조 반사부나 상기 평탄면을 설치했을 경우 뒤틀림이나 굴곡에 가세해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평탄면까지의 거리(높이)에 격차가 생기는 일이 있다. 그 결과 상기 평탄면에 세워 설치한 지지 부재로 지지하는 확산판이 굴곡한 만큼 휘도의 균일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체의 내부에 설치한 지지 부재로 광확산판을 지지하고 있는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니트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휘도의 균일도의 저하를 막는 것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외의 목적과 신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프레임체(하부 프레임) 상에 평탄한 바닥면을 가지는 반사판을 설치해 상기 반사판상에 광확산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설치한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니트를 갖추어 상기 프레임체의 배후면에 프린트 회로판(회로 기판)이 고정되고 있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반사부의 바닥면 및 프레임체의 바닥면에 설치된 관통 구멍을 통하고 상기 프레임체의 배후면 측에 돌출하는 각부를 갖고 상기 프린트 회로판이 고정되고 있는 영역내에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가 돌출하고 있고 상기 프린트 회로판은 상기 각부와 겹치는 영역에 상기 각부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고 있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대표적인 예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것이다.
(1)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윗쪽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복수의 광원의 윗쪽에 배치된 광학 부재와, 상기 광학 부재의 윗쪽에 배치된 표시 패널을 가지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복수의 광원을 지나는 연속하는 평탄한 바닥면을 갖고, 상기 반사판과 상기 광학부재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고, 일단이 상기 평탄한 바닥면보다 상기 광원배치측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광학 부재에 대향 배치된 복수의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반사판의 아래쪽에 회로 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돌출한 일단이 수용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상기 예(1)를 전제로 해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반사판측의 면과 상기 반사판의 거리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측으로의 돌출 높이보다 작은 표시 장치.
(3) 상기 예(1)를 전제로 해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측으로의 돌출 높이가,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반사판과 반대의 면과 상기 반사판과의 거리보다 작은 표시 장치.
(4) 상기 예(1)를 전제로 해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구멍은 상기 회로 기판 중심으로 대해 비대칭이 되도록 배치되고 있는 표시 장치.
(5) 상기 예(1)로부터 예(4)의 어느쪽을 전제로 해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돌출한 일단이 고정용의 각부인 표시 장치.
(6) 상기 예(5)를 전제로 해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는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한 부분에 빠짐을 방지하는 갈퀴(반환)가 설치되고 있는 표시 장치.
(7) 상기 예(5)를 전제로 해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는 판용수철 형상인 표시 장치.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 실시의 형태(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도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가지는 것은 동일 부호를 붙여 그 반복의 설명은 생략 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평탄한 바닥면을 가지는 반사판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반사판의 뒤틀림이나 굴곡 왜곡을 저감하고 상기 백 라이트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휘도의 균일도를 높게 한다. 또 이 때 상기 반사판상에 설치하는 광확산판등의 광학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의 각부를 상기 반사부의 바닥면 및 상기 반사판을 설치하는 프레임체의 바닥면에 설치된 관통 구멍에 통해 상기 개체의 배후면 측에 돌출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체의 배후면의 프린트 회로판(회로 기판)을 고정하는 영역내에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가 돌출하는 경우 상기 프린트 회로판의 상기 각부와 겹치는 영역에 상기 각부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을 설치하는 것으로 표시 장치가 두꺼워지는 것을 막는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 도 1은 표시 장치 전체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로 이용하는 백 라이트 유니트를 광의 조사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이면도 ;도 4는 도 3의 프린트 회로판의 주변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표시 패널; 2는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니트; 3은 프레임 부재; 4는 프린트 배선판; 5는 액정 드라이버 IC이다. 또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201은 프레임체(하부 프레임); 202는 반사판; 203은 형광 램프; 204는 광확산판 ;205는 지지 부재 ;205A는 지지 부재의 각부 ; 6은 프린트 회로판(회로 기판, 6)A는 프린트 회로판의 관통 구멍이다.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니트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이고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빛의 투과 또는 차단을 제어하는 소자를 가지는 표시 패널 (1)과 상기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니트 (2)와 상기 표시 패널 (1)과 상기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니트 (2)를 중복하여 일체적으로 유지하는 프레임 부재 (3)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 상기 표시 패널 (1)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등의 투명 기판상에 TFT 소자를 어레이 형상으로 설치한 TFT 기판과 상기 TFT 기판상에 설치되는 대향 기판의 사이에 액정 재료를 충전한 액정 표시 패널이라고 한다. 또 이 때 상기 표시 패널의 외주부에는 프린트 배선판(회로판, 4)이 설치되고 있고 상기 프린트 배선판 (4)상의 배선과 상기 표시 패널 (1)상의 배선은 액정 드라이버 IC (5)를 개입시켜 접속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1)은 종래의 백 라이트 유니트를 필요로 하는 표시 장치로 이용되는 표시 패널이면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한정하지 않고 어떠한 구성으로서도 좋다.
또 도 1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 프린트 배선판 (4)는 다른 프린트 회로판과 접속되고 있다.
또 상기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니트 (2)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프레임체(하부 프레임, 201)과 상기 프레임체 (201)내에 설치된 평탄한 바닥면을 가지는 반사판 (202)와 상기 반사판 (202)상에 설치된 형광 램프 (203)과 상기 형광 램프 (203)상에 설치된 광확산판 (204)와 상기 반사판 (202)상에 설치된 지지 부재 (205)를 구비한다.
상기 반사판 (202)는 상기 형광 램프 (203)으로부터 비추어지는 광을 반사하고상기 광확산판 (204)으로 이끌리고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을 건너 연속하는 평탄한 바닥면을 갖고 단부가 상기 광확산판 (204)의 어느 방향으로 접혀 구부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바닥면이 평탄한 반사판 (202)는 예를 들어 상기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7-64084 호공보)에 기재된 자와 같은 산형의 보조 반사부를 가지는 반사판에 비해 뒤틀림이나 굴곡 왜곡이 생기기 어렵다. 그 때문에 반사광의 균일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상기 형광 램프 (203)은 예를 들어 냉음극 형광관(CFL)등의 선형상 광원이고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라인의 형광관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있다. 이 때 상기 형광관은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구성 배치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U자형 혹은 W자형의 형광관이 1개 또는 복수 라인 배치되고 있어도 괜찮다. 또 상기 형광 램프 (203)은 상기 냉음극 형광관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열음극 형광관이라도 좋다.
상기 광확산판 (204)는 상기 형광 램프 (203)으로부터 비추어지는 선상의 광 면상으로 변환하는 것이고 종래의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니트로 이용되고 있는 광확산판이면 어떠한 재료 구성에서도 좋다. 또 도 5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상기 광확산판 (204)의 내면 즉 상기 반사판 (202)와 서로 마주 보는 면에 조광판이 설치되고 있어도 괜찮다.
상기 지지 부재 (205)는 상기 광확산판 (204) 또는 상기 광확산판 (204) 및 상기 조광판의 굴곡을 막기 위한 부재이고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 (205)의 일단에는 각부 (205A)가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 (205)는 상기 각부 (205A)를 상기 반사판 (202)의 바닥면 및 프레임체 (201)의 바닥면에 설치된 관통 구멍(미도시)에 삽입해 상기 반사판 (202)상에 세워 설치해 두어 상기 지지 부재 (205)의 선단(타단)으로 상기 광확산판 (204) 또는 조광판을 지지한다. 이 때 상기 반사판 (202)의 바닥면이 평탄하면 상기 반사판 (202)의 뒤틀림이나 굴곡 왜곡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지지 부재 (205)의 높이의 격차가 작아진다. 그 때문에 상기 지지 부재 (205)로 상기 광확산판 (204) 또는 조광판을 지지했을 때의 상기 광확산판 (204) 또는 조광판의 굴곡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표시 패널 (1)에 조사하는 빛의 휘도의 균일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또 이 때 상기 지지 부재 (205)의 각부 (205A)는 원주 형상 또는 각주 형상 등의 막대 모양 형상으로서도 좋지만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반사판 (202) 및 상기 개체 (20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에 갈퀴(반환)를 설치해 두면 상기 지지 부재 (205)의 빠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각부 (205A)는 상기 갈퀴(반환)를 설치하는 대신에 판용수철 형상으로 해 두어 반발력을 이용해 상기 지지 부재 (205)의 빠짐을 방지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백 라이트 유니트의 상기 개체(하부 프레임, 201)의 배후면에 예를 들어 타이밍 콘트롤러등의 제어 회로를 가지는 프린트 회로판(회로 기판, 6)을 고정하고 있다. 상기 프린트 회로판 (6)은 예를 들어 상기 형광 램프의 점등 소등을 제어하는 회로나 상기 표시 패널 (1)의 외주부에 배치된 프린트 배선판 (4)와 접속되고 있다.
상기 프린트 회로판 (6)은 일반적으로 상기 프레임체 (201)의 배후면이면 어느 위치에 고정되고 있어도 괜찮지만 상기 프레임체 (201)의 어느 한변의 중심 부근에 배치함으로써 그 근방 좌우에 균등하게 신호를 전송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상기 지지 부재 (205)는 상기 광확산판 (204)나 조광판의 굴곡을 방지하기 위해서 복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지지 부재 (205)를 복수 설치하는 것으로 중량이 증가하거나 광이 상기 지지 부재 (205)를 통과함으로싸 광의 균일도가 저하하거나 하므로 적은 수로 효율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상기 지지 부재 (20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 같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 (205)를 설치하는 위치 및 상기 프린트 회로판 (6)을 고정하는 영역을 결정하면 예를 들어 도 3 내지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트 회로판 (6)을 고정하는 영역내에 상기 지지 부재 (205)의 각부 (205A)가 돌출한다. 이 때 종래의 프린트 회로판을 고정하는 것으로 하면 상기 프린트 회로판은 상기 지지 부재 (205)의 각부 (205A)와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고정해야 한다. 그 때문에 상기 표시 장치가 두꺼워져 버린다.
거기서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린트 회로판 등의 회로 기판 (6)의 하부로의 돌출부 예를 들어 각부 (205A)와 겹치는 영역에 상기 각부 (205A)가 통과하는 관통 구멍 (6A)를 설치해 둔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프린트 회로판 (6)의 관통 구멍 (6A)의 개구단 가운데 상기 반사판 (202)나 프레임체 (201)로부터 상기 프린트 회로판 (6)까지의 거리 (ΔH)를 상기 지지 부재 (205)의 각부 (205A)의 상기 반사판 (202)나 프레임체 (201)의 배후면 들의 돌출 높이 (LH)보다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이 때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 (205A)의 상기 프레임체 (201)의 배후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 (LH)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트 회로판 (6)의 두께 (PH)(프린트 회로판의 아래쪽에 실장된 부품의 두께를 포함한다)나 상기 프린트 회로판 (6)의 설치 높이 (H)보다 작으면 상기 각부 (205A)가 상기 프린트 회로판 (6)보다 돌출하는 경우는 없다. 그 때문에 상기 표시 장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광원을 지나 연속하는 평탄한 바닥면을 가지는 반사판 (202)를 이용하는 것으로 반사판 (202)의 뒤틀림이나 굴곡 왜곡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가 있어 반사광의 균일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반사판 (202)의 뒤틀림이나 굴곡 왜곡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가 있으므로 상기 반사판 (202)상에 세워 설치한 지지 부재 (205)로 지지를 받는 상기 광확산판 (204)나 조광판의 굴곡이 생기기 어려워져 표시 패널 (1)에 조사하는 빛의 휘도의 균일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이 효과는 상기 지지 부재 (205)로 지지를 받는 광학 부재 예를 들어 확산판 · 집광판 혹은 투명판 등의 어느 부재에서도 효과를 가질 수가 있다.
또 상기 지지 부재 (205)의 각부 (205A)를 상기 반사판 (202) 및 프레임체 (201)의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프레임체 (201)의 배후면 측에 돌출하게 했을 때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프린트 회로판 (6)에 설치한 관통 구멍 (6A)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표시 장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먼저 상기 지지 부재 (205)를 반사판 (202)에 고정하고 그 후 상기 반사판 (202)의 하부에 상기 프린트 회로판(회로 기판, 6)을 고정하는 순으로 조립을 실시할 때 상기 반사판 (202)의 하부에 상기 지지 부재 (205)의 일부(각부 (205A))가 돌출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프린트 회로판 (6)의 고정 위치의 판별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프린트 회로판 (6)에 대응한 관통 구멍 (6A)가 있음으로써 돌출한 상기 지지 부재 (205)의 각부 (205A)에 맞추어 상기 프린트 회로판 (6)을 배치하면 좋기 때문에 조립의 작업 효율이 높은 구조가 된다. 또 상기 프린트 회로판(회로 기판, 6)상에 복수의 구멍을 배치할 때는 회로 기판 중심에 대해 비대칭이 되도록 배치하는 것으로 조립시에 회로 기판 (6)의 배치 방향이 일의적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장착의 오류를 미리 회피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근거해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평탄한 바닥면을 가지는 반사판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반사판의 뒤틀림이나 굴곡 왜곡을 저감하고 상기 백 라이트 유니트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휘도의 균일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또 이 때 상기 회로 기판(프린트 회로판)에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가 통과하는 구멍을 설치해 두면 상기 프린트 회로판의 구멍의 개구단 가운데 상기 개체에 가까운 쪽의 개구단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체의 바닥면까지의 거리를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의 상기 개체의 배후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이 때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의 상기 개체의 배후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상기 프린트 회로판의 두께보다 작게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가 상기 프레임체의 배후면으로부터 돌출함으로써 표시 장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때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의 상기 프레임체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한 부분에 갈퀴(반환)를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 부재가 누락의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는 상기 채우고(반환)를 설치하는 대신에 판용수철 형상으로 해도 괜찮다.
또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백 라이트 유니트로부터 조사된 빛의 투과 및 차단을 제어해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이면 어떠한 패널로서도 좋고 예를 들어 투명 기판상에 TFT 소자가 어레이 형상에 설치된 TFT 패널을 가지는 액정 표시 패널을 이용할 수가 있다.

Claims (8)

  1.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윗쪽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과, 상기 복수의 광원의 윗쪽에 배치된 광학 부재와, 상기 광학 부재의 윗쪽에 배치된 표시 패널을 가지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복수의 광원을 지나는 연속하는 평탄한 바닥면을 갖고,
    상기 반사판과 상기 광학부재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고, 일단이 상기 평탄한 바닥면보다 상기 광원배치측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광학 부재에 대향 배치된 복수의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반사판의 아래쪽에 회로 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돌출한 일단이 수용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반사판측의 면과 상기 반사판의 거리가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측으로의 돌출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측으로의 돌출 높이가,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반사판과 반대의 면과 상기 반사판과의 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지지 부재에 대응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구멍은 상기 회로 기판 중심에 대해서 비대칭이 되도록 배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돌출한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반사판에 고정하기 위한 각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는 상기 반사판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측으로 돌출한 부분에 빠짐을 방지하는 갈퀴(반환)가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각부는 판용수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60036712A 2005-04-27 2006-04-24 표시 장치 KR100779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30006 2005-04-27
JP2005130006A JP4648070B2 (ja) 2005-04-27 2005-04-27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428A KR20060113428A (ko) 2006-11-02
KR100779201B1 true KR100779201B1 (ko) 2007-11-23

Family

ID=3719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712A KR100779201B1 (ko) 2005-04-27 2006-04-24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08599B2 (ko)
JP (1) JP4648070B2 (ko)
KR (1) KR100779201B1 (ko)
CN (1) CN100489626C (ko)
TW (1) TWI3408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3150A (ja) * 2006-10-18 2008-05-01 Mitsubishi Electric Corp 面状光源装置
JP5012064B2 (ja) * 2007-02-08 2012-08-29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201041605Y (zh) * 2007-04-20 2008-03-26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KR100894603B1 (ko) * 2007-05-16 2009-04-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21469B1 (ko) 2008-07-29 2009-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JP4539782B2 (ja) 2008-07-31 2010-09-08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1238010B1 (ko) * 2008-09-10 2013-03-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329077B1 (ko) * 2008-12-09 2013-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및 그 조립방법
CN102422077A (zh) * 2009-05-15 2012-04-18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装置
US20120057096A1 (en) * 2009-06-03 2012-03-08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RU2508566C2 (ru) * 2009-06-17 2014-02-27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WO2011033900A1 (ja) * 2009-09-16 2011-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AU2010296606B2 (en) * 2009-09-16 2013-02-28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279126B1 (ko) * 2010-05-04 2013-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5088714B2 (ja) * 2010-12-10 2012-12-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1544608B1 (ko) * 2012-05-25 2015-08-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2818193B (zh) * 2012-08-20 2014-12-10 创维液晶器件(深圳)有限公司 一种直下式led背光模组及其显示装置
KR101326299B1 (ko) 2013-01-31 2013-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4486B1 (ko) * 2015-02-12 2021-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7146333A (ja) 2016-02-15 2017-08-24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21080048A1 (ko) * 2019-10-25 2021-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541A (ja) * 2002-05-27 2003-12-05 Sharp Corp 光源支持装置、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4144910A (ja) * 2002-10-23 2004-05-20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4466Y2 (ko) * 1984-09-06 1991-12-02
JPH0764084A (ja) 1993-08-31 1995-03-10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バックライトおよび表示装置
JPH10314413A (ja) * 1997-05-19 1998-12-02 Okumura Yuki Kk パチンコ機の中継基板
KR100319199B1 (ko) * 1998-09-24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2278471A (ja) * 2001-03-21 2002-09-27 Tama Electric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バックライト装置の点灯方法
JP3936895B2 (ja) * 2002-07-04 2007-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4186080A (ja) * 2002-12-05 2004-07-02 Tama Electric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
TW592324U (en) * 2002-12-19 2004-06-11 Coretronic Corp Back light apparatus
TWI282886B (en) * 2004-04-01 2007-06-2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KR100609057B1 (ko) * 2004-11-17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WO2006059413A1 (ja) * 2004-11-30 2006-06-08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用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060074354A (ko) * 2004-12-27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541A (ja) * 2002-05-27 2003-12-05 Sharp Corp 光源支持装置、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4144910A (ja) * 2002-10-23 2004-05-20 Sanyo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41464A (en) 2006-12-01
CN1854861A (zh) 2006-11-01
JP2006308790A (ja) 2006-11-09
US7408599B2 (en) 2008-08-05
TWI340850B (en) 2011-04-21
JP4648070B2 (ja) 2011-03-09
US20060244891A1 (en) 2006-11-02
KR20060113428A (ko) 2006-11-02
CN100489626C (zh)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201B1 (ko) 표시 장치
JP4741913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069804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76877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EP2508790A1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090103281A1 (en)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07157451A (ja) 拡散板支持部材、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KR20060098978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8011001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7157450A (ja) 拡散板支持部材、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8129200A (ja) 表示装置用照明装置、表示装置
KR100595306B1 (ko) 백라이트 장치
JP4306289B2 (ja) 液晶表示装置
US9905169B2 (en) Display device
KR10132785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JP2009175377A (ja) 液晶モジュール
JP2007053094A (ja) モールドフレーム、これを具備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WO2019184412A1 (zh)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CN1308750C (zh) 液晶显示器件
KR2008003080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50104545A (ko) 액정표시모듈
JP2008292624A (ja) 液晶モジュール
US20110116255A1 (en) Illumina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09087564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011585B1 (ko) 백라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