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7343B1 -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7343B1
KR100777343B1 KR1020060084629A KR20060084629A KR100777343B1 KR 100777343 B1 KR100777343 B1 KR 100777343B1 KR 1020060084629 A KR1020060084629 A KR 1020060084629A KR 20060084629 A KR20060084629 A KR 20060084629A KR 100777343 B1 KR100777343 B1 KR 100777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holder
rotary knob
switch devic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260A (ko
Inventor
미키오 시라카와
다츠야 요코야마
최녹현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569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732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5692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8698B2/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6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slidable in a plane in one direction and pivotable around an axis located in the sliding plane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84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01H21/40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 H01H21/42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produced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을 포함하는 복합조작이 가능하고 박형화도 도모하기 쉬운 다기능 스위치장치 및 스티어링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장치(1)는 하우징(19) 내에 고정 접점(7)을 설치한 회로 기판(6)과, 팽출부(8a)를 가지고 회로 기판(6) 위에 탑재된 고무시트(8)와, 요동 가능하게 유지된 액츄에이터(9)와, 승강 가능하게 유지된 홀더(12)와, 홀더(12)에 축 지지된 회전 손잡이(13)를 구비하고 있다. 액츄에이터(9)는 회전 손잡이(13)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 손잡이(13)에 부설된 구동부(13b)가 홀더(12)의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하여 액츄에이터(9)와 걸어맞춰져 있다. 회전 손잡이(13)가 회전 조작되면 구동부(13b)가 액츄에이터(9)를 요동 회전시켜 요동단부(9b)가 아래쪽의 팽출부(8a)를 가압 구동하고, 회전 손잡이(13)가 누름 조작되면 홀더(12)가 일체적으로 하강하여 아래쪽의 팽출부(8a)를 가압 구동한다.

Description

스위치장치{SWITCH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스위치장치의 조립 완성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스위치장치를 장착한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상기 스위치장치의 회전 조작시의 동작 설명도,
도 5는 상기 스위치장치에 조립된 고무시트의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상기 스위치장치에 조립된 복귀 스프링의 동작 설명도,
도 7은 상기 스위치장치의 누름 조작시의 동작 설명도,
도 8은 상기 스위치장치의 오동작 방지기구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치장치 2 : 하 케이스
4 : 요동 지지부 5 : 규제벽
5a : 오목홈 5b : 만곡면
6 : 회로 기판 7 : 고정 접점
8 : 고무시트 8a : 팽출부
9 : 액츄에이터 9a : 요동축부
9b : 요동단부 9c : 잘림부
9d : 걸어맞춤부 9e : 릴리프부
10 : 상 케이스 11 : 프레임형상 케이스
11a : 창부 12 : 홀더
12b : 가압 돌기 12d : 걸어맞춤단부
13 : 회전 손잡이(조작부재) 13a : 회동축
13b : 구동부 13c : 피규제 돌기
14 : 비틀림 코일 스프링(복귀 스프링)
17 : 커버체 18 : 가동 접점
19 : 하우징
본 발명은 동일한 조작부재에 의하여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선택적으로 스위칭 동작할 수 있는 스위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스티어링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스위치장치의 종래예로서는 하우징 내의 회로 기판 위에 설치된 복수의 스위치 소자와, 이들 복수의 스위치 소자 위에 걸쳐 탑재된 액츄에이터와, 이 액츄에이터 위에서 요동 가능한 조작부재를 구비한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장치에서 하우징 내에 요동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부재의 일부는 조작자의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창부로부터 노출시키고 있고, 이 조작부재가 조작되면 액츄에이터의 한쪽 끝부가 눌러져 아래쪽의 스위치 소자를 가압 구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로 액츄에이터의 양쪽 끝부를 선택적으로 누름으로써 복수의 스위치 소자로부터 선택적으로 스위치 온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8-7701호 공보(제 3 ~ 4페이지, 도 1)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조작자가 조작부재를 요동 회전시킨다는 조작방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조작부재의 아래쪽에 다른 스위치 소자를 설치하여 그 조작부재의 누름 조작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면, 예를 들면 차량 탑재용 기기의 각종 조작을 동일한 조작부재로 일원적으로 행할 수 있는 다기능 스위치장치가 얻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위치장치에는 조작부재의 아래쪽에 요동조작시에 동작하는 액츄에이터나 스위치 소자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재의 누름 조작시에 액츄에이터가 아래쪽으로 눌러져 오동작하기 쉽고, 따라서 누름 조작을 추가한다는 다기능화를 도모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또 이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장치와 같이 조작부재와 스위치 소자와의 사이에 액츄에이터를 개재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하우징의 높이치수가 증대하여 장치 전체의 박형화가 도모하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 은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을 포함하는 복합조작이 가능하고 박형화도 도모하기 쉬운 다기능 스위치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스티어링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에서는 조작면측에 창부가 개설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과, 이 회로 기판 위에 설치되어 가압 구동력에 저항하는 탄성 반발력을 일으키는 제 1 스위치 소자 및 제 2 스위치 소자와, 상기 하우징 내에 요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요동단부가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 위에 탑재된 액츄에이터와, 상기 하우징 내에 승강 가능하게 유지되어 하단부가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 위에 탑재된 홀더와, 이 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일부가 상기 창부에 노출하여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한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액츄에이터를 상기 조작부재 및 상기 홀더의 옆쪽에 배치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동축의 한쪽 끝부에 상기 홀더의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하여 소정의 회전 반경으로 설정된 구동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에 상기 구동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추게 하는 걸어맞춤부와 상기 구동부의 퇴피로가 되는 릴리프부를 설치하여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 조작시에 상기 구동부가 상기 걸어맞춤부를 가압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요동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가 상기 요동단부에 가압 구동되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 조작시에 상기 구동부가 상기 릴리프부로 퇴피하면서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가 상기 홀더에 가압 구동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장치는 회전 조작시에는 조작부재의 구동부가 옆쪽의 액츄에이터를 요동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액츄에이터의 요동단부가 아래쪽의 제 1 스위치 소자를 가압 구동하고, 누름 조작시에는 조작부재를 축 지지하는 홀더가 아래쪽의 제 2 스위치 소자를 가압 구동한다는 것으로, 회전 조작시에 동작하는 액츄에이터나 제 1 스위치 소자를 조작부재의 옆쪽에 배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높이 치수를 억제한 박형화가 용이함과 동시에, 조작부재의 아래쪽에 제 2 스위치 소자의 설치공간을 무리없이 확보할 수 있다. 또 누름 조작시에는 조작부재의 구동부가 액츄에이터의 릴리프부로 퇴피하기 때문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오동작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의 요동 중앙부에 조작부재의 구동부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오목홈형상 또는 긴 구멍형상의 잘림부를 형성하고, 이 잘림부를 거쳐 대향하는 액츄에이터의 내측벽에 구동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추게 함과 동시에, 이 잘림부 내의 하부 영역을 구동부의 퇴피로가 되는 릴리프부로 하여 두면, 회전 조작시에는 구동부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액츄에이터를 원활하게 요동 회전시킬 수 있고, 또 누름 조작시에는 액츄에이터에 간섭받지 않고 구동부를 릴리프부로 하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항상 안정된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조작부재의 구동부는, 액츄에이터의 잘림부에 삽입되는 부분이 회동축의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구성에서 홀더와 조작부재에 걸어맞추어 회전 조작할 때에 복귀 력을 일으키는 복귀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있으면, 비조작시에 조작부재의 구동부와 액츄에이터와의 사이에 다소의 덜거덕거림이 있어도 조작부재 자체는 복귀 스프링에 의해서 덜거덕거림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치수 정밀도를 비교적 러프하게 설정할 수 있어 부품비용의 저감이나 조립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상기한 구성에서 조작부재에 그 회동축으로부터 밑으로 드리워지는 피규제 돌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피규제 돌기의 원하지 않는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벽을 하우징 내에 설치하여 두면 회전 조작 중의 조작부재가 잘못하여 누름 조작되거나, 누름 조작 중의 조작부재가 잘못하여 회전 조작된다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규제벽에는 예를 들면 누름 조작시에 피규제 돌기가 삽입되는 오목홈과, 이 오목홈의 상단을 사이에 두고 연장하여 회전 조작시의 피규제 돌기의 하단과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이에 의하여 누름 조작 중에 강한 회전력이 작용하여도 오목홈 내의 피규제 돌기의 가로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되기 때문에, 조작부재가 잘못하여 회전 조작될 염려는 없어지고, 또 회전 조작 중에 강한 가압력이 작용하여도 피규제 돌기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은 만곡면에 규제되기 때문에, 조작부재가 잘못하여 누름 조작될 염려는 없어진다.
또, 상기한 구성에서 제 1 및 제 2 스위치 소자가 모두 회로 기판 위에 고정 설치된 고정 접점과, 이 고정 접점의 주위에서 회로 기판 위에 탑재되어 탄성적으로 좌굴 변형 가능한 돔체와, 이 돔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고정 접점과 접촉 이탈 가능하게 대향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돔체가 가압 구동되어 좌굴 변형함 으로써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맞닿도록 하고 있으면 접점부의 방수 방진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돔체에 의하여 비교적 큰 탄성 반발력과 명료한 클릭감을 일으키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신뢰성 및 조작감촉의 향상이 도모되게 되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돔체에 상당하는 팽출부가 복수개소에 돌출 설치되어 회로 기판 위에 탑재된 고무시트를 구비하고, 각 팽출부의 천정면에 가동 접점이 설치되어 있면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성도 양호해지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 하우징이 스티어링 휠에 설치하는 스티어링 스위치장치라하면, 스티어링 스위치장치의 하우징의 높이 치수를 억제하여 박형화가 용이함과 동시에 조작부재의 아래쪽에 제 2 스위치 소자의 배치공간을 무리없이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조작부재의 구동부가 액츄에이터의 릴리프부로 퇴피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조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 스티어링 스위치장치의 누름 조작시에는 조작부재의 구동부가 액츄에이터의 릴리프부로 퇴피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오동작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티어링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스위치장치의 조립 완성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스위치장치를 장착한 스티어링 휠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상기 스위치장치의 회전 조작시의 동작설명도, 도 5는 상기 스위치장치에 조립된 고무시트의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상기 스위치장치에 조립된 복귀 스프링의 동작 설명도, 도 7은 상기 스위치장치의 누름 조작시의 동작 설명 도, 도 8은 상기 스위치장치의 오동작 방지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티어링 스위치장치(1)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30)의 둥근 고리부(31)의 안쪽에 좌우 한 쌍 장착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스티어링 스위치장치(1)는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기본적인 구조는 동등하기 때문에, 이하 도 3의 좌측에 장착되어 있는 스티어링 스위치장치(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 스티어링 스위치장치(1)는, 위치 결정핀(3)이나 요동 지지부(4)나 규제벽(5) 등이 세워 설치된 하 케이스(2)와, 상면에 고정 접점(7)을 포함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하 케이스(2)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6)과, 복수개소에 돔형상의 팽출부(8a)를 가지고 회로 기판(6) 위에 탑재된 고무시트(8)와, 요동축부(9a)가 요동 지지부(4)에 축 지지되어 요동단부(9b)가 팽출부(8a) 위에 탑재된 액츄에이터(9)와, 회로 기판(6)이나 고무시트(8)를 덮어 하 케이스(2) 위에 설치된 상 케이스(10)와, 창부(11a)를 가지고 상 케이스(10)에 일체화된 프레임형상 케이스(11)와, 프레임형상 케이스(11)의 아래쪽에서 상 케이스(10)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하단부가 팽출부(8a) 위에 탑재된 홀더(12)와, 홀더(1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일부가 창부(11a)에 노출되는 회전 손잡이(13)와, 회전 손잡이(13)의 회동축(13a)에 감겨져 회전 조작시에 복귀 스프링으로서 동작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4)과, 프레임형상 케이스(11)와 인접하는 2개소에서 상 케이스(10)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하단부가 팽출부(8a) 위에 탑재된 2개의 조작 키(15, 16)와, 개구부(17a)를 가지고 하 케이스(2) 및 상 케이스(10)를 덮어 폐쇄하는 커버체(17)에 의하여 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손잡이(13)에 대한 회전 조작 및 누름 조작과, 조작 키(15, 16)에 대한 누름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어느 쪽의 조작을 선택한 경우에도 대응하는 팽출부(8a)가 탄성적으로 좌굴 변형되어 클릭감이 생김과 동시에, 상기 팽출부(8a) 내의 가동 접점(18)이 회로 기판(6) 위의 고정 접점(7)에 맞닿아 스위치 온하도록 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하 케이스(2)와 상 케이스(10) 및 프레임형상 케이스(11)에 의하여 하우징(19)이 구성되어 있고, 이 하우징(19)의 내부공간에 회로 기판(6)이나 고무시트(8)나 액츄에이터(9)나 홀더(12)나 비틀림 코일 스프링(14) 등이 수납되어 있음과 동시에, 회전 손잡이(13) 및 조작 키(15, 16)가 하우징(19)의 상면측에 노출되어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 케이스(2)의 내부에는 회로 기판(6)이나 고무시트(8)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핀(3)과, 액츄에이터(9)용 축 구멍(4a)을 가지는 한 쌍의 입벽부(4b)로 이루어지는 요동 지지부(4)와, 오동작 방지용 규제벽(5)이 세워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입벽부(4b)는 대략 평행하게 기립하여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축 구멍(4a)이 뚫려 있다. 또 하 케이스(2) 내의 한쪽부에는 복수의 단자구멍(2a)이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규제벽(5)은 회전 손잡이(13)에 늘어뜨려 설치된 피규제 돌기(13c)(뒤에서 설명한다)의 원하지 않는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규제벽(5)의 상단면은 오목홈(5a)의 상단을 사이에 두고 연장하는 한 쌍의 만곡면(5b)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손잡이(13)의 누름 조작시에는 피규제 돌기(13c)가 오목홈(5a)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오목홈(5a)을 거쳐 대향하는 규제벽(5)의 내측면에 의하여 피규제 돌기(13c)의 가로방향으로의 이 동이 규제되고, 또 회전 조작시에는 만곡면(5b)이 피규제 돌기(13c)의 하단과 간극을 두고 대향하기 때문에, 이 만곡면(5b)에 의하여 피규제 돌기(13c)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회로 기판(6)은 하우징(19) 내에서 창부(11a)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회로 기판(6) 위에는 고정 접점(7)을 포함하는 도시 생략한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조광용 LED(20)나 외부 접속용 단자(21)가 설치되어 있다. 또이 회로 기판(6)에는 위치 결정핀(3)이 삽입되는 복수의 투과구멍(6a)과, 요동 지지부(4)의 배치공간이 되는 절제부(6b)가 형성되어 있고, 각 투과구멍(6a)에 대응하는 위치 결정핀(3)을 삽입하고, 또한 각 단자(21)를 대응하는 단자구멍(2a)에 삽입한 상태에서 회로 기판(6)은 하 케이스(2) 위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어 탑재 고정된다.
고무시트(8)는 탄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품으로, 그 시트형상 부분으로부터 좌굴 변형 가능한 8개의 팽출부(8a)와, 위치 결정핀(3)에 씌워 고정되는 2개의 핀 걸어맞춤부(8b)와, LED(20)가 삽입되는 3개의 각진 통부(8c)가 돌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회로 기판(6)의 절제부(6b)의 바로 위에 요동 지지부(4)의 배치공간이 되는 절제부(8d)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무시트(8)는 각 핀 걸어맞춤부(8b)를 대응하는 위치 결정핀(3)에 씌워 고정시킨 위치결정상태에서 회로 기판(6) 위에 탑재 고정되어 있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팽출부(8a)의 천정면에 부설된 가동 접점(18)이 각각 대응하는 고정 접점(7)에 접촉 이탈 가능하게 대향하고 있다.
액츄에이터(9)는, 그 요동 중심에 축심을 합치시킨 요동축부(9a)를 가지고, 이 요동축부(9a)의 양쪽 끝부를 한 쌍의 입벽부(4b)의 축 구멍(4a)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시킴으로써 요동 지지부(4)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액츄에이터(9)는 요동축부(9a)에 관하여 선대칭인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도시 양쪽 끝의 각 요동단부(9b)는 절제부(8d)를 거쳐 병설되어 있는 2개의 팽출부(8a) 위에 탄성 접촉상태에서 탑재되어 있다. 즉, 조립단계에서 액츄에이터(9)의 요동축부(9a)를 한 쌍의 입벽부(4b)의 사이에 밀어 넣어 가면, 각 요동단부(9b)가 대응하는 팽출부(8a) 위에 배치된 후, 요동축부(9a)의 양쪽 끝부가 축 구멍(4a)에 들어가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9)가 요동 지지부(4)에 스냅 결합되고, 각 요동단부(9b)는 대응하는 팽출부(8a)로부터 반력을 부여받은 예압상태로 유지된다. 이 액츄에이터(9)는 홀더(12) 및 회전 손잡이(13)의 일 측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액츄에이터(9)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홈형상의 잘림부(9c) 내에 회전 손잡이(13)의 뒤에서 설명하는 구동부(13b)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잘림부(9c)를 거쳐 대향하는 내측벽의 대략 윗쪽 절반이 상기 구동부(13b)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추게 하는 걸어맞춤부(9d)로 되어 있고, 회전 손잡이(13)가 회전 조작되면, 구동부(13b)가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한 쪽의 걸어맞춤부(9d)를 가압하기 때문에, 요동축부(9a)를 중심으로 액츄에이터(9)가 한 방향으로 요동 회전하고, 가압된 쪽의 요동단부(9b)가 하강하여 대응하는 팽출부(8a)를 가압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잘림부(9c) 내에서 걸어맞춤부(9d)보다도 아래쪽에 있는 빈 공간은 릴리프부(9e)(도 7 참조)로 되어 있어, 누 름 조작시에는 이 릴리프부(9e)가 구동부(13b)의 퇴피로가 된다.
홀더(12)는 대략 각진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12)의 바닥면의 2개소에 돌출 설치된 가압돌기(12b)가 대응하는 2개의 팽출부(8a) 위에 탑재되어 있다. 이 홀더(12)의 서로 대향하는 벽면 중, 한쪽의 벽면에 축홈(12a)이 형성되고, 다른쪽의 벽면에 축 구멍(1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축홈(12a)과 축 구멍(12c)에 회전 손잡이(13)의 회동축(13a)의 양쪽 끝부를 삽입함으로써, 홀더(12)는 회전 손잡이(13)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고 있다. 또 홀더(12)의 축 구멍(12c)의 근방에는 역 ハ자 형상으로 경사진 걸어맞춤단부(12d)가 내설되어 있고, 이들 걸어맞춤단부(12d)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4)의 양 아암부(14a)가 탄성 접촉되어 있다. 이 홀더(12)는 상 케이스(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회전 손잡이(13)가 누름 조작되면 홀더(12)가 일체적으로 하강하여 가압돌기(12b)가 대응하는 팽출부(8a)를 가압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 손잡이(13)는 회동축(13a)을 포함하는 대략 반원기둥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회동축(13a)의 양쪽 끝부가 홀더(12)의 축홈(12a)과 축 구멍(12c)에 지지되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동축(13a)의 축홈(12a)측의 끝부에는 홀더(12)의 바깥쪽에서 L자형상으로 연장되는 구동부(13b)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부(13b)의 선단부는 소정의 회전 반경으로 설정됨과 동시에, 회동축(13a)의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액츄에이터(9)의 잘림부(9c)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 회전 손잡이(13)에는 회동축(13a)으로부터 밑으로 드리워지는 피규제 돌기(13c)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피규제 돌기(13c)가 하 케이스(2)의 규제 벽(5)의 오목홈(5a) 내나 만곡면(5b) 위를 이동하여 위치 규제되기 때문에, 회전 조작시에는 회전 손잡이(13)가 누름 조작 불가능하게 되고, 또한 누름 조작시에는 회전 손잡이(13)가 회전 조작 불가능하게 된다(도 8 참조).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14)은 회전 손잡이(13)의 회동축(13a)의 축 구멍(12c)측의 끝부 근방에 감겨져 있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4)의 양 아암부(14a)는 홀더(12)의 걸어맞춤단부(12d)에 탄성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회전 손잡이(13)가 회전 조작되면, 회전방향의 아암부(14a)가 걸어맞춤단부(12d)에 강하게 가압되어 탄성 반발력을 일으키고, 이 탄성반발력에 의하여 회전 조작후의 회전 손잡이(13)가 자동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은 도 1의 화살선 B방향, 즉 홀더(12)의 축 구멍(12c)측으로부터 홀더(12)의 축홈(12a)측을 향하는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상 케이스(10)의 소정위치에는 프레임형상 케이스(11)가 설치되어 있고, 상 케이스(10)는 나사(22)나 코킹 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하 케이스(2) 위에 고정되어 있다. 이 상 케이스(10)는 프레임형상 케이스(11)의 창부(11a) 내에 회전 손잡이(13)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홀더(12)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음과 동시에, 프레임형상 케이스(11)에 인접하는 2부분에 조작 키(15, 16)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 키(15, 16)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상 케이스(10)에 별체의 프레임형상 케이스(11)를 뒤에 부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으나, 상 케이스(10)와 프레임형상 케이스(11)는 일체 성형품이어도 좋다.
커버체(17)는 스냅 결합 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하 케이스(2)의 외벽면에 고정되어 있고, 이 커버체(17)의 개구부(17a) 내에 회전 손잡이(13)를 노출시킨 프레임형상 케이스(11)와 조작 키(15, 16)가 임출(臨出)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자가 이 개구부(17a) 내에서 손가락을 이동시킴으로써 회전 손잡이(13)의 회전 조작 및 누름 조작과 조작 키(15, 16)의 누름 조작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스티어링 스위치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회전 손잡이(13)를 회전 조작한 경우의 동작을, 주로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a)에 나타내는 중립상태에서 조작자가 손가락으로 회전 손잡이(13)를 회전 조작하면, 홀더(12) 내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4)이 눌려 휘어짐과 동시에, 구동부(13b)가 회전 손잡이(13)와 일체적으로 회전하여 액츄에이터(9)를 구동하기 때문에, 이 액츄에이터(9)에 의하여 소정의 팽출부(8a)가 가압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13)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조작되면 액츄에이터(9)의 잘림부(9c) 내의 구동부(13b)가 도시 오른쪽의 걸어맞춤부(9d)를 누르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요동축부(9a)를 중심으로 액츄에이터(9)가 시계방향으로 요동 회전하는 데 따라, 도시 오른쪽의 요동단부(9b)가 아래쪽의 팽출부(8a)를 누르면서 하강한다. 그 결과, 그 팽출부(8a)가 탄성적으로 좌굴 변형되어 클릭감을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팽출부(8a) 내의 가동 접점(18)이 대응하는 고정 접점(7)에 맞닿아 스위치 온신호가 출력된다. 회전 손 잡이(13)가 화살표 A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 조작된 경우의 동작도 마찬가지이고, 이 경우는 도 4에 나타내는 왼쪽의 요동단부(9b)가 아래쪽의 팽출부(8a)를 눌러 좌굴 변형시킨 것에 의한 스위치 온신호가 출력된다.
또, 이와 같은 회전 조작시에는 피규제 돌기(13c)도 회전 손잡이(13)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이 피규제 돌기(13c)는 도 8(a)의 중립상태로부터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벽(5)의 만곡면(5b) 위를 간극을 두고 이동하여 간다. 따라서 회전 조작시의 회전 손잡이(13)에 잘못하여 누름 조작력이 부여되었다 하여도 피규제 돌기(13c)가 만곡면(5b)에 위치 규제되기 때문에 회전 손잡이(13)를 밀어 내릴 수는 없고, 따라서 회전 조작 중에는 누름 조작을 행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 도 4(b)의 상태에서 회전 손잡이(13)에 대한 회전 조작력이 제거된 경우에는 좌굴 변형되어 있던 팽출부(8a)가 자신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돔형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18)이 고정 접점(7)으로부터 떨어져 스위치 오프로 변환됨과 동시에, 상기 도면 오른쪽의 요동단부(9b)가 팽출부(8a)로 밀어 올려져 액츄에이터(9)가 반시계방향으로 요동 회전한다. 이것에 더하여 회전 조작시에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13)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14)을 폐쇄 가압하여 눌러 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4)의 탄성 반발력이 회전 손잡이(13)나 액츄에이터(9)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으로써 작용한다. 따라서 회전 조작력이 제거되면 회전 손잡이(13)와 액츄에이터(9)는 확실하게 각각의 중립위치까지 역회전하여 도 4(a)에 나타내는 중립상태로 자동 복귀한다.
또한 회전 조작후에 조작력이 제거되면 액츄에이터(9)의 요동단부(9b)에 눌러져 있던 팽출부(8a)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회전 손잡이(13)는 대략 중립위치까지 자동복귀하기 때문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4)을 생략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본 실시형태예와 같이 복귀 스프링으로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14)을 조립하여 두면, 비조작시에 회전 손잡이(13)의 구동부(13b)와 액츄에이터(9)와의 사이에 다소의 덜거덕거림이 있어도 회전 손잡이(13) 자체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4)에 의하여 덜거덕거림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치수 정밀도를 비교적 러프하게 설정할 수 있어 부품 비용의 저감이나 조립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다음에 회전 손잡이(13)를 누름 조작한 경우의 동작을 주로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a)에 나타내는 중립상태에서 조작자가 손가락으로 회전 손잡이(13)를 누름 조작하면, 회전 손잡이(13)와 일체적으로 홀더(12)가 눌러지기 때문에 상기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12)의 가압돌기(12b)에 의하여 소정의 팽출부(8a)가 가압 구동된다. 그 결과, 상기 팽출부(8a)가 탄성적으로 좌굴 변형되어 클릭감을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팽출부(8a) 내의 가동 접점(18)이 대응하는 고정 접점(7)에 맞닿아 스위치 온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회전 손잡이(13)의 구동부(13b)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9)의 잘림부(9c) 내를 하강하여 릴리프부(9e)로 퇴피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9)가 회전 손잡이(13)나 홀더(12)의 하강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누름 조작력이 제거되면 좌굴 변형되어 있던 팽출부(8a)가 자신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돔형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18)이 고정 접점(7)으로부터 떨어져 스위치 오프로 변환됨과 동 시에, 눌러져 있던 회전 손잡이(13) 및 홀더(12)가 상기 팽출부(8a)로 밀어 올려져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한다.
또 이와 같은 누름 조작시에는 피규제 돌기(13c)도 회전 손잡이(13)와 일체적으로 하강하기 때문에, 이 피규제 돌기(13c)는 도 8(a)의 중립상태로부터 규제벽(5)의 오목홈(5a) 내로 삽입되어 간다. 따라서 누름 조작시의 회전 손잡이(13)에 잘못하여 회전 조작력이 부여되었다 하여도 오목홈(5a)을 거쳐 대향하는 규제벽(5)의 내측면에 의하여 피규제 돌기(13c)의 가로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회전 손잡이(13)를 회전시킬 수는 없고, 따라서 누름 조작 중에는 회전 조작을 행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다음에 조작 키(15)를 누름 조작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조작 키(15)는 대응하는 팽출부(8a) 위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 조작시에는 상기 팽출부(8a)가 탄성적으로 좌굴 변형되어 클릭감을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팽출부(8a) 내의 가동 접점(18)이 대응하는 고정 접점(7)에 맞닿아 스위치 온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누름 조작력이 제거되면 좌굴 변형되어 있던 상기 팽출부(8a)가 자신의 탄성으로 원래의 돔형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18)이 고정 접점(7)으로부터 떨어져 스위치 오프로 변환됨과 동시에, 눌러져 있던 조작 키(15)가 상기 팽출부(8a)로 밀어 올려져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한다. 또한 조작 키(16)를 누름 조작한 경우의 동작도 이것과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1)는, 회전 손잡이(13) 에 연장하여 설치한 구동부(13b)를 홀더(12)의 바깥쪽에서 액츄에이터(9)와 걸어맞추게 하고 있어, 회전 손잡이(13)의 회전 조작시에는 이 구동부(13b)가 액츄에이터(9)를 요동 회전시킴으로써 요동단부(9b)가 아래쪽의 팽출부(8a)를 가압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회전 손잡이(13)의 누름 조작시에는 구동부(13b)를 릴리프부(9e)로 퇴피시켜 액츄에이터(9)의 오동작을 방지하면서 회전 손잡이(13)와 일체적으로 눌러지는 홀더(12)에 의하여 아래쪽의 팽출부(8a)를 가압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스위치장치(1)는 회전 조작시에 동작하는 액츄에이터(9) 및 팽출부(8a)를 회전 손잡이(13)의 옆쪽에 배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19)의 높이 치수를 억제한 박형화가 용이함과 동시에, 누름 조작시에 동작하는 팽출부(8a)를 회전 손잡이(13)나 홀더(12)의 아래쪽에 무리없이 배치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1)에서는 회전 손잡이(13)의 축선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구동부(13b)의 선단부를 액츄에이터(9)의 요동 중앙부에 설치한 잘림부(9c) 내에 삽입하고, 회전 손잡이(13)의 회전 조작시에 구동부(13b)가 액츄에이터(9)의 걸어맞춤부(9d)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회전 손잡이(13)의 누름 조작시에 구동부(13b)가 액츄에이터(9)의 릴리프부(9e)로 퇴피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조작시에는 구동부(13b)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액츄에이터(9)를 원활하게 요동 회전시킬 수 있고, 또 누름 조작시에는 액츄에이터(9)에 간섭받는 일 없이 구동부(13b)를 릴리프부(9e)로 하강시킬 수 있다. 즉, 회전 손잡이(13)에 부여되는 조작력의 전달기구가 단순하기 때문에, 항상 안정된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어, 액츄에이터(9)의 오동작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액츄 에이터(9)의 잘림부(9c)를 오목홈형상이 아니라 긴 구멍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1)에서는 회전 손잡이(13)에 회동축(13a)으로부터 밑으로 드리워지는 피규제 돌기(13c)를 설치하고, 이 피규제 돌기(13c)가 하 케이스(2)의 규제벽(5)의 오목홈(5a) 내나 만곡면(5b) 상을 이동하여 위치 규제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 조작 중의 회전 손잡이(13)가 잘못하여 누름 조작되거나, 누름 조작 중의 회전 손잡이(13)가 잘못하여 회전 조작된다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위치장치(1)에서는 복수 개소에 팽출부(8a)를 가지는 고무시트(8)를 회로 기판(6) 위에 탑재함으로써 각종 조작으로 선택적으로 가압구동되는 스위치 소자군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하우징(19) 내로 침입한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이 접점부에 부착하여 접촉 불량이나 단락사고를 유발하는 위험성은 아주 낮고, 각 스위치 소자의 신뢰성이 높아져 있음과 동시에,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성도 양호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팽출부(8a)에 의하여 비교적 큰 탄성 반발력과 명료한 클릭감을 일으키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감촉도 양호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에서는 회전 손잡이(13)에 다른 조작부재[조작 키(15, 16)]가 병설되어 있는 복합 조작형의 스위치장치(1)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으나, 조작부재가 회전 손잡이(13)뿐이어도 좋고, 중요한 것은 회전 손잡이(13)와 마찬가지로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조작부재를 구비한 스위치장치이면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에 관한 스티어링 스위치장치(1)는, 회전 손잡이(13)에 연장 설치한 구동부(13b)를 홀더(12)의 바깥쪽에서 액츄에이터(9)와 걸어맞추게 하고 있고, 회전 손잡이(13)의 회전 조작시에는 이 구동부(13b)가 액츄에이터(9)를 요동 회전시킴으로써, 요동 끝부(9b)가 아래쪽의 팽출부(8a)를 가압 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 회전 손잡이(13)의 누름 조작시에는 구동부(13b)가 릴리프부(9e)로 퇴피시켜 액츄에이터(9)의 오동작을 방지하면서 회전 손잡이(13)와 일체적으로 눌러지는 홀더(12)에 의하여 아래쪽의 팽출부(8a)를 가압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스위치장치(1)는 회전 조작시에 동작하는 액츄에이터(9) 및 팽출부(8a)를 회전 손잡이(13)의 옆쪽에 배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19)의 높이 치수를 억제한 박형화가 용이함과 동시에, 누름 조작시에 동작하는 팽출부(8a)를 회전 손잡이(13)나 홀더(12)의 아래쪽에 무리없이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압 구동되는 스위치 소자로서 고정 접점(7)이나 가동접점(18)이 하우징(19)의 내부 공간에 노출되지 않는 밀폐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복수 개소에 팽출부(8a)를 가지는 고무시트(8)를 회로 기판(6) 위에 탑재함으로써, 각 스위치 소자의 밀폐성을 현저하게 높이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스티어링 스위치장치(1)는, 외부로부터 하우징(19) 내로 침입한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이 접점부에 부착하여 접촉 불량이나 단락사고를 유발하는 위험성이 아주 낮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스위치 소자는 고정 접점(7)과 가동 접점(18)을 접촉 이탈 가능하게 대향시킨 비슬라이딩방식의 접점구조이기 때문에, 조작이 다수회 반복되어도 접점부의 마모에 기인하는 도통불량이 발생할 염려는 없고, 이 점에서 도 접점부의 신뢰성이 높아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와 같이 고무시트(8)의 팽출부(8a) 내에 부설한 가동 접점(18)을 고정 접점(7) 위에 배치하여 스위치 소자를 구성하면 접점부의 방수 방진성이 현저하게 높아질 뿐만 아니라, 팽출부(8a)에 의하여 비교적 큰 탄성 반발력과 명료한 클릭감을 일으키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신뢰성 및 조작감촉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스티어링 스위치장치(1)에서는 회전 손잡이(13)에 회동축(13a)으로부터 밑으로 드리워지는 피규제 돌기(13c)를 설치하고, 이 피규제 돌기(13c)가 하 케이스(2)의 규제벽(5)의 오목홈(5a) 내나 만곡면(5b) 위를 이동하여 위치규제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 조작 중의 회전 손잡이(13)가 잘못하여 누름 조작되거나, 누름 조작 중의 회전 손잡이(13)가 잘못하여 회전 조작된다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예에서는 회전 손잡이(13)에 다른 조작부재[조작 키(15, 16)]가 병설되어 있는 복합형의 스티어링 스위치장치(1)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으나, 조작부재가 회전 손잡이(13)뿐이어도 좋고, 중요한 것은 회전 손잡이(13)와 마찬가지로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조작부재를 구비한 스티어링 스위치장치이면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위치장치는, 회전 조작시에는 조작부재의 구동부가 옆쪽의 액츄에이터를 요동 회전시킴으로써 제 1 스위치 소자가 가압 구동되고, 누름 조작시에는 회전 손잡이를 축 지지하는 홀더에 의하여 제 2 스위치 소자가 가압 구동된다는 것으로, 회전 조작시에 동작하는 액츄에이터나 제 1 스위치 소자를 조작부재의 옆쪽에 배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높이 치수가 억제하기 쉬워지고, 또한 조작부재의 아래쪽에 제 2 스위치 소자의 설치공간을 무리없이 확보할 수 있다. 또 누름 조작시에는 조작부재의 구동부가 액츄에이터의 릴리프부로 퇴피하기 때문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오동작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을 포함하는 복수종류의 조작이 가능하고 박형화도 도모하기 쉬운 다기능 스위치장치가 얻어진다.

Claims (9)

  1. 조작면측에 창부가 개설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 위에 배치되어 가압 구동력에 저항하는 탄성 반발력을 일으키는 제 1 스위치 소자 및 제 2 스위치 소자와, 상기 하우징 내에 요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요동단부가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 위에 탑재된 액츄에이터와, 상기 하우징 내에 승강 가능하게 유지되어 하단부가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 위에 탑재된 홀더와, 상기 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일부가 상기 창부에 노출하여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한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액츄에이터를 상기 조작부재 및 상기 홀더의 옆쪽에 배치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동축의 한쪽 끝부에 상기 홀더의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하여 소정의 회전 반경으로 설정된 구동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에 상기 구동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 맞추게 하는 걸어맞춤부와 상기 구동부의 퇴피로가 되는 릴리프부를 설치하고,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 조작시에 상기 구동부가 상기 걸어맞춤부를 가압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요동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스위치 소자가 상기 요동단부로 가압 구동되고, 또한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 조작시에 상기 구동부가 상기 릴리프부로 퇴피하면서 상기 제 2 스위치 소자가 상기 홀더로 가압 구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요동 중앙부에 상기 구동부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오목홈형상 또는 긴 구멍형상의 잘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잘림부를 거쳐 대향하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내측벽을 상기 걸어맞춤부로 함과 동시에, 상기 잘림부 내의 하부영역을 상기 릴리프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잘림부에 삽입되는 부분이 상기 회동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조작부재와 걸어맞추어 회전 조작시에 복귀력을 일으키는 복귀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에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밑으로 드리우는 피규제 돌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피규제 돌기의 원하지 않는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벽을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벽에는, 누름 조작시에 상기 피규제 돌기가 삽입되는 오목홈과, 상 기 오목홈의 상단을 사이에 두고 연장하여 회전 조작시의 상기 피규제 돌기의 하단과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치 소자가 모두 상기 회로 기판 위에 고정 설치된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의 주위에서 상기 회로 기판 위에 탑재되어 탄성적으로 좌굴 변형 가능한 돔체와, 상기 돔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이탈이 가능하게 대향하는 가동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돔체가 가압 구동되어 좌굴 변형함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돔체에 상당하는 팽출부가 복수 개소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회로 기판 위에 탑재된 고무시트를 구비하고, 각 팽출부의 천정면에 상기 가동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스위치장치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장치.
KR1020060084629A 2005-09-05 2006-09-04 스위치장치 KR100777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6918A JP2007073262A (ja) 2005-09-05 2005-09-05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JPJP-P-2005-00256928 2005-09-05
JP2005256928A JP4528698B2 (ja) 2005-09-05 2005-09-05 スイッチ装置
JPJP-P-2005-00256918 2005-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260A KR20070026260A (ko) 2007-03-08
KR100777343B1 true KR100777343B1 (ko) 2007-11-20

Family

ID=3752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4629A KR100777343B1 (ko) 2005-09-05 2006-09-04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81912B2 (ko)
EP (1) EP1759921B1 (ko)
KR (1) KR100777343B1 (ko)
DE (1) DE60200600315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9459B2 (en) * 2005-09-05 2008-10-21 Alps Electric Co., Ltd. Switch device and steering switch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witch device
DE102008012921B4 (de) 2008-03-06 2018-08-09 Leopold Kostal Gmbh & Co. Kg Druck- und drehbetätigbares Bedien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JP5555015B2 (ja) * 2010-03-10 2014-07-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載用入力装置
WO2011156888A2 (en) * 2010-06-15 2011-12-22 Omron Dualtec Automotive Electronics Inc. Electrical switch assembly with pivoting actuator
JP5874435B2 (ja) * 2012-02-22 2016-03-02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車両用入力装置
JP5616916B2 (ja) 2012-03-12 2014-10-2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3184673A (ja) * 2012-03-12 2013-09-19 Fuji Heavy Ind Ltd 車両
DE102013004381A1 (de) * 2013-03-12 2014-09-18 Leopold Kostal Gmbh & Co. Kg Eingabeeinheit für ein druck- und drehbetätigbares Bedienelement
JP6534573B2 (ja) 2015-07-22 2019-06-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および車両用スイッ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483B1 (ko) 1996-02-07 2000-06-15 가타오카 마사타카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JP2000306469A (ja) 1999-04-21 2000-11-02 Alps Electric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249151A (ja) 2002-02-22 2003-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8264A (en) * 1987-12-26 1990-04-17 Asahi Kogaku Kogyo K.K. Actuating mechanism and multiposition rubber or membrane switch device
SE9003318L (sv) * 1990-10-19 1991-11-11 Saab Automobile Reglage, arrangemang och foerfarande foer reglering av servoorgan foer motorfordons framfoerande
JPH0617068U (ja) * 1992-08-04 1994-03-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シーソスイッチ
DE4324788C2 (de) * 1993-07-23 1996-03-28 Porsche Ag Kraftfahrzeug mit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am Lenkrad
JPH08279320A (ja) * 1995-04-05 1996-10-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付き回転操作型電子部品
US5744765A (en) 1995-06-19 1998-04-2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 switch with support walls for supporting movable contact points and method of detecting an operating direction of a lever switch
JP4104179B2 (ja) * 1996-02-20 2008-06-1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車両用ノブスイッチ
US6166721A (en) * 1997-07-25 2000-12-26 Mitsumi Electric Co., Ltd. Mouse as computer input device having additional mechanism for controlling additional function such as scrolling
US6144372A (en) * 1998-07-01 2000-11-07 Dexin Corporation System employing semi-circular wheel for adjustably actuating electron page advancement
JP3890863B2 (ja) * 2000-08-23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6809275B1 (en) * 2002-05-13 2004-10-26 Synaptics, Inc. Rotary and push type input device
DE10253462A1 (de) 2002-11-16 2004-05-27 Delphi Technologies, Inc., Troy Elektrischer Schalter
FR2852443B1 (fr) 2003-03-11 2009-12-04 Dav Dispositif de commutation a commande par molette et sa mise en oeuvre dans un circuit de commande d'affichage
JP2005108570A (ja) * 2003-09-29 2005-04-21 Mitsumi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スイッチ装置
US7295185B2 (en) * 2004-06-01 2007-11-13 Kye Systems Corporation Input device with multi-directional roller assembly
US7283124B2 (en) * 2004-07-30 2007-10-16 Min-Fang Pai Mouse scroll wheel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8483B1 (ko) 1996-02-07 2000-06-15 가타오카 마사타카 복합조작형 전기부품
JP2000306469A (ja) 1999-04-21 2000-11-02 Alps Electric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249151A (ja) 2002-02-22 2003-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81912B2 (en) 2008-06-03
EP1759921A3 (en) 2007-10-24
US20070051597A1 (en) 2007-03-08
EP1759921B1 (en) 2008-10-15
DE602006003152D1 (de) 2008-11-27
KR20070026260A (ko) 2007-03-08
EP1759921A2 (en)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343B1 (ko) 스위치장치
KR100843298B1 (ko) 스위치장치
KR0154253B1 (ko) 회전조작형 스위치 및 다방향입력장치
JP2007073261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KR20050010499A (ko) 스위치장치
JP4217531B2 (ja) スイッチ装置
JP4528698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7073262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US7397006B2 (en) Operation mechanism for electric apparatus
JP4395035B2 (ja) 揺動操作型電気部品
CN1233007C (zh) 多方向输入装置
JP4528697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8071580A (ja) ストークスイッチ装置
KR100500086B1 (ko) 스위치장치
KR100778053B1 (ko) 차량 탑재용 노브 스위치장치
JP2006228620A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JP4713425B2 (ja) 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装置
JP2924651B2 (ja) 押し釦スイッチ付きロータリースイッチ
CN211670119U (zh) 自复位开关
JP2007027060A (ja) 入力装置
WO2023203886A1 (ja) 操作装置
CN112261204A (zh) 一种按键组件及移动终端
JP2007027059A (ja) 入力装置
JP2007073264A (ja) スイッチ装置
KR0139457Y1 (ko) 슬라이더 작동식 마이크로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