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744B1 - 래치 위치 조정이 용이한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 Google Patents

래치 위치 조정이 용이한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744B1
KR100774744B1 KR1020060113852A KR20060113852A KR100774744B1 KR 100774744 B1 KR100774744 B1 KR 100774744B1 KR 1020060113852 A KR1020060113852 A KR 1020060113852A KR 20060113852 A KR20060113852 A KR 20060113852A KR 100774744 B1 KR100774744 B1 KR 100774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cover
hinge
hol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3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버스트림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랜스버스트림 커버에 별도로 래치커버를 구성하고 이 래치커버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동시켜 래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랜스버스트림 커버는, 래치 상부에 배치되는 래치커버 홀과, 상기 래치커버 홀의 좌우에 배치되는 회전힌지를 구비하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상기 래치커버 홀과 대응하는 형상의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 상에 형성되는 래치 홀과, 상기 커버부 좌우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힌지에 끼워지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축설되며 커버부를 상향 탄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래치커버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래치 위치 조정이 용이한 트랜스버스트림 커버{TRANSVERSE TRIM COVER TO ADJUST LATCH POSITION EASILY}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트랜스버스트림 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트랜스버스트림 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트랜스버스트림 커버의 저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3 및 도 4의 B-B 단면도;
도 7은 도 3의 래치 커버를 회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C-C 단면도;
도 9는 도 3의 래치 커버를 슬라이딩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D-D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E-E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래치 커버를 회전 개방한 상태, 즉 도 3의 래치 커버를 병진 회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F-F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6, 7 :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11, 71 : 래치커버 홀
12 : 슬라이딩 회전힌지
121, 122 : 안착부
2, 8 : 래치커버
21 : 커버부
22 : 힌지축
23, 61, 81 : 래치 홀
24 : 토션스프링
3 : 래치
본 발명은 트랜스버스트림 커버에 별도로 래치커버를 구성하고 이 래치커버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동시켜 래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작업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트랜스버스트림 커버는 차량의 트렁크와 범퍼 사이에 배치되며, 짐을 실을 때 잠시 짐을 올려놓을 수 있는 부재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트랜스버스트림 커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의 트랜스버스트림 커버(6)를 참조하면, 트랜스버스트림 커버를 차량에 설치하였을 때 커버의 상부에는 트렁크 룸이 위치하고 하부에는 범퍼가 배치된다. 도 1의 트랜스버스트림 커버(6)에는 래치 홀(6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래치 홀(61)의 아래쪽에는 트렁크 도어의 잠금장치와 체결되는 래치(미도시)가 배치되어 있다.
차량의 부품에는 모두 공차가 존재하고, 이러한 공차에 의해 차량을 조립하더라도 트렁크 도어의 잠금장치와 래치가 딱 제자리에 위치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트렁크와 관련된 조립 과정에서 최후에 트렁크 도어의 잠금장치에 맞물리도록 래치의 위치를 고무망치 등으로 때려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도 1의 트랜스버스트림 커버(6)의 구조에 의하면 래치 홀(61)이 작아 그 아래에 있는 래치를 조정할 만한 작업공간이 부족하여 래치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트랜스버스트림 커버(6)를 통째로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래치의 위치 조정을 위해 래치 홀(61)을 크게 하면 외관이 심히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도 2를 살펴보면,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해 트랜스버스트림 커버(7)에 래치커버 홀(71)을 형성하고 여기에 별도의 부재로서 래치 홀(81)이 형성된 래치커버(8)를 체결한 구조가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도 래치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래치커버(8)를 떼어내고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는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랜스버스트림 커버의 래치커버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래치 위치의 조정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를 제 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래치 상부에 배치되는 래치커버 홀과, 상기 래치커버 홀의 좌우에 배치되는 회전힌지를 구비하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상기 래치커버 홀과 대응하는 형상의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 상에 형성되는 래치 홀과, 상기 커버부 좌우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힌지에 끼워지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축설되며 커버부를 상향 탄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래치커버홀;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지 래치커버를 아래로 내리는 것만으로 래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래치 위치 조정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힌지는 전후방으로 힌지축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회전힌지이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슬라이딩 회전힌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회전과 함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래치커버를 뒤로 밀고 아래로 내리는 것이 가능해져 래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회전힌지의 양단은 힌지축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래치커버의 위치를 규제해주어 작업 중 및 출고 후에도 래치커버를 제자리에 위치하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래치 상부에 배치되는 래치커버 홀과, 상기 래치커버 홀의 좌우에 배치되어 힌지축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딩 힌지를 구비하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상기 래치커버 홀과 대응하는 형상의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 상에 형성되는 래치 홀과, 상기 커버부 좌우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힌지에 끼워지는 힌지축을 구비하는 래치커버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지 래치커버를 뒤로 미는 것만으로 래치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래치 위치 조정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힌지의 양단은 힌지축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래치커버의 위치를 규제해주어 작업 중 및 출고 후에도 래치커버를 제자리에 위치하도록 해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래치 위치 조정이 용이한 트랜스버스트림 커버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트랜스버스트림 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트랜스버스트림 커버의 저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의 A-A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3 및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트랜스버스트림 커버의 구조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1)에 래치커버 홀(11)을 형성하고, 여기에 래치커버(2)를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를 위해, 트랜스버스트림 커버(1)의 래치커버 홀(11)의 좌우 양측에는 슬라이딩 회전힌지(1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슬라이딩 회전힌지(12)에는 래치커버(2)의 커버부(21)의 양측에서 외향 돌출된 힌지축(22)이 슬라이딩 및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진다. 힌지축(22)에는 토션스프링(24)이 축설되어 있는데, 이 토션스프링은 래치커버(2)의 커버부(21)가 래치커버 홀(11)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래치커버(2)를 탄성 지지한다. 슬라이딩 회전힌지(12)는 전후방향으로 긴 채널이 형성되며, 그 양단에 힌지축(22)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121, 122)를 구비한다.
따라서 힌지축(22)은 슬라이딩 회전힌지(12)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도 가능하며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도 가능하다.
래치커버(2)의 커버부(21)에는 트렁크 도어의 잠금장치가 통과할 수 있는 래치 홀(23)이 형성되어 있고, 트랜스버스트림 커버(1) 장착시 이 래치 홀(23) 아래에 래치(3)가 배치된다.
평상시, 또는 출고시에는 힌지축(22)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회전힌지(12)의 전방 안착부(121)에 배치되고 토션스프링(24)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래치커버(2)의 커버부(21)가 도 3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버스트림 커버(1)의 래치커버 홀(11)을 차폐한 상태로 유지된다.
조립 공정에서 래치(3)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래치커버(2)의 이동에 대해서는 이하 상술한다.
도 7은 도 3의 래치 커버를 회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C 단면도이다.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힌지축(22)이 전방 안착부(121)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버부(21)를 아래로 누르게 되면 도 7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1)는 전방 안착부(1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아래로 눌려 내려가게 된다. 그러면 래치(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래치(3)의 위치 조정이 완료된 후 커버부(21)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커버부(21)는 토션스프링(24)의 탄성에 의해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다음으로는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래치 조정 공간 확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도 3의 래치 커버를 슬라이딩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D-D 단면도, 그리고 도 11은 도 9의 E-E 단면도이다.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커버부(21)의 래치홀(23)에 손가락을 걸고 커버부(21)를 뒤로 밀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2)이 전방 안착부(121)에서 후방 안착부(122)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커버부(21)는 도 9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된다. 따라서 래치(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작업자가 다시 커버부(21)의 래치홀(23)을 부여잡고 커버부(21)를 앞으로 밀면 도 3과 같은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다음으로는 래치(3)의 위치 조정을 위한 작업공간을 더욱 확보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는 도 9의 래치 커버를 회전 개방한 상태, 즉 도 3의 래치 커버를 병진 회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F-F 단면도이다.
도 9와 같이 커버부(21)가 뒤로 밀린 상태에서 또 커버부(21)를 아래로 눌러주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2)이 후방 안착부(122)에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부(21)가 아래로 눌려 내려가게 된다. 그러면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3)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공간이 더욱 많이 확보된다.
작업이 끝난 후 작업자가 커버부(21)를 아래로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토션스프링(24)에 의해 커버부(21)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위치로 회귀하고, 이어서 작업자가 커버부(21)를 앞으로 잡아당겨주게 되면 도 3, 도 4,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1)가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구조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에 별도로 래치커버를 형성하고 이 래치커버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동시킴으로써 래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이 매우 편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래치 상부에 배치되는 래치커버 홀과, 상기 래치커버 홀의 좌우에 배치되는 회전힌지를 구비하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상기 래치커버 홀과 대응하는 형상의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 상에 형성되는 래치 홀과, 상기 커버부 좌우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힌지에 끼워지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축설되며 커버부를 상향 탄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래치커버홀;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힌지는 전후방으로 힌지축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회전힌지이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슬라이딩 회전힌지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회전힌지의 양단은 힌지축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구조.
  4. 래치 상부에 배치되는 래치커버 홀과, 상기 래치커버 홀의 좌우에 배치되어 힌지축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딩 힌지를 구비하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상기 래치커버 홀과 대응하는 형상의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 상에 형성되는 래치 홀과, 상기 커버부 좌우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힌지에 끼워지는 힌지축을 구비하는 래치커버홀;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힌지의 양단은 힌지축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버스트림 커버구조.
KR1020060113852A 2006-11-17 2006-11-17 래치 위치 조정이 용이한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KR100774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852A KR100774744B1 (ko) 2006-11-17 2006-11-17 래치 위치 조정이 용이한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852A KR100774744B1 (ko) 2006-11-17 2006-11-17 래치 위치 조정이 용이한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744B1 true KR100774744B1 (ko) 2007-11-08

Family

ID=3906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852A KR100774744B1 (ko) 2006-11-17 2006-11-17 래치 위치 조정이 용이한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7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666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트랜스버스 트림 구조
KR20200048665A (ko) *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후드래치 커버의 결합구조
KR20210051228A (ko)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트랜스버스트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586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 리드 래치용 커버의 구조
KR19980029277U (ko) * 1996-11-27 1998-08-17 김영귀 차량용 앤드트림커버 구조
JP2004044258A (ja) * 2002-07-12 2004-02-12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のバックドア用ストライカカバー
KR100527138B1 (ko) * 2003-11-18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트렁크용 트랜스버스 트림 커버장치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586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자동차 트렁크 리드 래치용 커버의 구조
KR19980029277U (ko) * 1996-11-27 1998-08-17 김영귀 차량용 앤드트림커버 구조
JP2004044258A (ja) * 2002-07-12 2004-02-12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のバックドア用ストライカカバー
KR100527138B1 (ko) * 2003-11-18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트렁크용 트랜스버스 트림 커버장치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666A (ko) *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트랜스버스 트림 구조
KR102131238B1 (ko) * 2018-10-25 2020-07-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트랜스버스 트림 구조
KR20200048665A (ko) * 2018-10-30 2020-05-08 주식회사 서연이화 후드래치 커버의 결합구조
KR102131033B1 (ko) * 2018-10-30 2020-07-08 주식회사 서연이화 후드래치 커버의 결합구조
KR20210051228A (ko)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트랜스버스트림
KR102251649B1 (ko) * 2019-10-30 2021-05-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트랜스버스트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4551B2 (en) Apparatus for locking seat-rail in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257973B2 (en) Chassis for a lock set
US20210172229A1 (en) Door device
CN105667406B (zh) 具有减振支柱和集成的惯性锁的控制台扶手总成
KR100774744B1 (ko) 래치 위치 조정이 용이한 트랜스버스트림 커버
JP2908766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US20020171248A1 (en) Latching arrangement for a glove box
KR20210073116A (ko) 플러쉬 글라스장치
JP6651585B1 (ja) 車両用ドアのアウトハンドル装置
JP5022175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における全開保持用ラッチ機構の取付け構造
JP3250008B2 (ja) パチンコ機用施錠装置
KR101929683B1 (ko) 창호잠금장치용 키퍼
JP4648636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3025872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JP4246415B2 (ja) 車両用ドア
JP2500175Y2 (ja) 車両のスイングスライド式ドア構造
KR101674552B1 (ko) 역래치식 평면핸들장치
JP3721511B2 (ja) 小物入れ用扉のロック装置
JP2019107265A (ja) 家具におけるハンドルケース
JPH0748913Y2 (ja) 錠前装置
JPH0643409Y2 (ja) ドアロック装置
JPH09215838A (ja) パチンコ機の錠装置
JP2981851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JP3030613B2 (ja) 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JP3528121B2 (ja) パチンコ機用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