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773B1 -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2773B1
KR100772773B1 KR1020030072062A KR20030072062A KR100772773B1 KR 100772773 B1 KR100772773 B1 KR 100772773B1 KR 1020030072062 A KR1020030072062 A KR 1020030072062A KR 20030072062 A KR20030072062 A KR 20030072062A KR 100772773 B1 KR100772773 B1 KR 100772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adiator
tank
heat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4495A (ko
Inventor
야부우치히데타카
나카모토시게하루
다하라미키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016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13575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887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525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8870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052533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4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열 펌프 장치를 탑재한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 열 펌프 장치가 회전조(5)의 진동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여, 신뢰성, 내구성을 향상한다.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30)와 방열기(32)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풍로(31, 33, 34)와, 수조(3)에 마련한 공기 통로(20, 22)를 거쳐서 상기 방열기(32)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회전조(5)내에 공급하는 송풍 수단(12)을 갖고, 상기 풍로(31, 33, 34)와 상기 공기 통로(20, 22)를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36, 37)에 의해 연결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 건조기{WASHING AND DRY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세탁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세탁 건조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세탁 건조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세탁 건조기의 시스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세탁 건조기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세탁 건조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세탁 건조기의 열 펌프 장치를 인출한 상태의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세탁 건조기의 다른 예의 주요부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세탁 건조기의 다른 예의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세탁 건조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세탁 건조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세탁 건조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세탁 건조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세탁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세탁 건조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세탁 건조기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의 세탁 건조기의 주요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세탁 건조기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18은 종래의 세탁 건조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housing) 2 : 서스펜션(suspension)
3 : 수조 5 : 회전조
12 : 송풍기 20 : 급기 덕트(duct)
22 : 배기 덕트(duct) 30 : 흡열기
31 : 흡열기 풍로 32 : 방열기
33 : 방열기 풍로 36 : 배기구 호스(hose)
37 : 급기구 호스(hose) 38 : 에어 클리너(air cleaner)
39 : 배출구 41 : 압축기
42 : 스로틀(throttle) 수단 43 : 관로
본 발명은 의류의 세탁·탈수와 건조를 동일 회전조내에서 실행하는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드럼(drum)식 세탁 건조기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이다. 이하에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housing, 1)의 내부에는 복수의 서스펜션(suspension, 2)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 원통형상의 수조(3)를 설치하고, 세탁·탈수시의 진동을 서스펜션(2)에 의해 흡수하는 구성으로 한다. 수조(3)의 내부에는, 세탁 또는 건조 대상물(4, 이하에서 의류라고 함)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이고 횡축형인 회전조(5)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구동 모터(6)에 의해 회전축(6a)을 회전시켜 회전 구동한다.
회전조(5)의 내벽에는 의류(4)를 교반하는 복수의 배플(baffle,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고, 회전조(5)의 주위벽에는 소구멍(5a)이 다수 마련된다. 하우징(1)의 전면에는 의류(4)를 넣고 빼는 개구부(1a)와, 이것을 개폐하는 도어(door, 7)가 설치된다. 수조(3) 및 회전조(5)의 전면측에도 동일한 개구부(3a, 5b)를 갖고, 이 수조(3)의 개구부(3a)는 벨로우즈(bellows, 8)에 의해 하우징(1)의 개구부(1a)와 수밀(水密)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수조(3)의 바닥부에 형성된,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9)는, 배수 밸브(valve, 10)를 거쳐서 배수 호스(hose)(11)에 연결되며, 배수호스(11)의 한쪽 단부는 세탁 건조기 밖으로 도출되어 있다.
송풍기(12)는 히터(heater, 13)에 의해서 가열된 온풍을 급기구(14)로부터 회전조(5)내에 송풍 공급한다. 순환 덕트(15)는 회전조(5) 및 수조(3)를 통과한 습기찬 건조용 공기의 제습(除濕)을 실행하는 것으로, 일 단부를 수조(3)의 하부의 배기구(16)에 접속하고, 타 단부를 송풍기(12)에 접속한다. 급수 밸브(17)는 수도의 수도꼭지 등에 접속된 급수 호스(18)로부터의 급수를 제어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세탁 운전을 실행할 경우에는, 도어(7)를 열어서 회전조(5)내에 의류(4) 및 세제를 넣고 운전을 개시한다. 우선, 급수 밸브(17)가 수조(3) 측의 급수구를 개방하여, 수조(3) 및 회전조(5)내에 소정량의 물이 공급되면, 구동 모터(6)가 작동하여 회전조(5)가 회전 구동되어 세정 동작을 실행한다. 소정 시간후, 구동 모터(6)가 정지하고 배수 밸브(10)가 개방되어, 더러워진 물이 회전조(5) 및 수조(3)로부터 배수되고, 배수 호스(11)를 거쳐서 세탁 건조기 외부의 배수 장소에 배수된다. 다음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수조(3) 및 회전조(5)에 물이 공급되어, 헹굼 동작을 실행한다. 헹굼이 종료되면 배수 밸브(10)가 개방되어 배수된 후, 회전조(5)가 구동 모터(6)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의류(4)의 탈수가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세탁 운전이 종료되면, 건조 운전이 개시된다. 건조 공정에서는 구동 모터(6)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조(5)를 회전 구동시켜 의류(4)를 교반한다. 송풍기(12)에 의해 화살표(19)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히터(13)에 의해 가열되어 온풍으로 되어, 급기구(14)로부터 회전조(5) 내에 보내진다. 이 온풍은 의류(4)의 수분을 빼앗은 후, 회전조(5)의 소구멍(5a)으로부터 수조(3)내를 통과하여 배기구(16)를 거쳐서 순환 덕트(15)에 도달한다.
이 때에 급수 밸브(17)가 순환덕트(duct)(15) 측의 급수구를 개방하고, 순환 덕트(15)내에는 냉각수가 주수(注水)된다. 의류(4)의 수분을 빼앗아 습기를 포함 한 온풍이 이 순환 덕트(15)내를 통과할 때,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어 수분의 결로가 일어나고, 습기찬 온풍은 제습되어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시 송풍기(12)로 되돌아간다. 이 냉각수 및 결로수는 배수 밸브(10)를 거쳐서 세탁 건조기 외부로 배수된다. 이 송풍기(12)로부터, 히터(13), 급기구(14), 회전조(5), 수조(3), 배기구(16), 순환 덕트(15)에 이르는 순환 경로에서 온풍을 순환시킴으로써, 회전조(5)내의 의류(4)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의류(4)의 건조에 사용된 대부분의 열은 순환 덕트(15)의 냉각수 또는 하우징(1)로부터의 방열에 의해서 외부에 버려지므로, 재이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기와, 고압의 냉매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스로틀 수단과, 감압되어 저압으로 된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는 흡열기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관로에 의해 연결한 열 펌프 장치를 의류 건조기에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1999-178289호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외부에 방출되는 열량을 회수함으로써, 유효하게 에너지를 이용하여 의류의 건조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열 펌프(heat pump)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와 방열기와 스로틀 수단과 흡열기를 동관(銅管) 등의 관로에 의해 연결하여 고압의 냉매를 순환시키기 때문에, 이것에 강한 진동을 부여하면 진동의 영향에 의해 관로의 접속부가 느슨해지거나, 관로가 공진하여 피로 파괴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세탁 건조기는 단기능의 의류 건조기와는 달리, 회전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진동이 큰 탈수 공정을 갖고, 또한 상기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의 경우에는, 횡축형이기 때문에 종형 세탁 건조기와 비교하여 회전조의 회전 진동이 커서, 진동 대책이 필수 불가결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 펌프(heat pump) 장치가 회전조 진동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여 신뢰성, 내구성이 우수한 세탁 건조기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는 하우징(housing) 내에 탄성 지지된 수조내의 회전조에 가열한 공기를 공급하는 열 펌프 장치의 풍로와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에 의해 연결한 것이다.
이에 의해, 회전조의 회전 진동이 특히 큰 탈수 공정에 있어서도, 수조의 진동은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에 의해 흡수되고 열 펌프 장치에 직접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 내의 열 펌프 장치는 회전조의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신뢰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발명은, 하우징 내에 탄성 지지된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회전조와,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기와 고압의 냉매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스로틀(throttle) 수단과 감압되어 저 압으로 된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는 흡열기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관로에 의해 연결한 열 펌프 장치와, 상기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와 방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풍로와, 상기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거쳐서 상기 방열기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하는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풍로와 상기 공기 통로를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에 의해 연결한 것으로, 수조의 진동이 열 펌프 장치에 직접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 내의 열 펌프 장치는 회전조의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신뢰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방열기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회전조내에 공급하는 급기구와, 송풍 수단에 의해서 회전조내에 공급된 공기를 수조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구비하고, 열 펌프 장치는 흡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흡열기 풍로와, 방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방열기 풍로를 갖고, 상기 방열기 풍로의 출구와 상기 급기구 및 상기 흡열기 풍로의 입구와 상기 배기구를 각각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에 의해 연결한 것으로, 건조 공기를 순환시키는 온풍 순환 방식인 것에 있어서도 수조의 진동이 열 펌프 장치에 직접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내의 열 펌프 장치는 회전조의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신뢰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열 펌프 장치의 풍로와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연결하는 접속 수단을 신축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flexible hose)로 구성한 것으로, 구성이 용이하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송풍 수단에 의해서 방열기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회전조내에 공급하는 급기구 호스와, 송풍 수단에 의해서 회전조내에 공급된 공기를 수조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구 호스를 갖고, 상기 급기구 호스 및 배기구 호스는 가요성을 가진 원통형상 부재로 구성함과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도출하고, 상기 급기구 호스는 상기 방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방열기 풍로의 출구와 연결하며, 상기 배기구 호스는 상기 흡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흡열기 풍로의 입구와 연결한 것으로, 급기구 호스와 배기구 호스를 동일 방향으로 도출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수조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발명은, 특히 제 4 발명에 있어서, 급기구 호스 및 배기구 호스를 대략 평행하게 배치한 것으로, 급기구 호스와 배기구 호스는 수조의 진동에 대하여 동일한 진동 모드로 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 서로 충돌하는 것이 적고, 또한 호스 자신의 내구 설계가 용이하게 되어 신뢰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6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열 펌프 장치의 풍로와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을 수조의 하면측에 배치한 것으로, 횡축형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서는, 의류를 넣고 빼기 쉽게 하기 위해 수조를 하우징내의 가능한 한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열 펌프 장치를 수조의 하방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하고, 수조의 하면측에 배치한 상기 접속 수단과 연결하면, 접속 수단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전체를 콤팩트(compact)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7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열 펌프 장치의 풍로와 수조에 설 치한 공기 통로를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을 수조의 후면측에 배치한 것으로, 드럼(drum)식 세탁 건조기에서는 의류를 넣고 빼기 쉽게 하기 위해서 회전조의 회전축을 수평에 대하여 전방을 높여 경사지게 하고, 회전조 및 수조의 개구 부가 가능한 한 상방을 향하도록 설계하는 경우가 있고, 열 펌프 장치를 수조의 후방 아래에 배치하고, 수조의 후면측에 배치한 상기 접속 수단과 연결하면, 접속 수단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본체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8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열 펌프 장치의 풍로와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을 수조의 상면측에 배치한 것으로, 세탁시의 세제액과 헹굼수가 건조 공기 통로로부터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와 방열기를 구성하는 열교환기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열 펌프 장치를 수조의 상부에 배치하는 경우가 있고, 수조의 상면측에 배치한 상기 접속 수단과 연결하면, 접속 수단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9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열 펌프 장치의 풍로와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을 수조의 측면측에 배치한 것으로, 열 펌프 장치를 본체의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의 측면에 집중 배치한 경우에는, 수조의 측면측에 배치한 상기 접속 수단과 연결하면, 접속 수단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본체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10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열 펌프 장치의 풍로와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을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 접속 수단을 분리함으로써 열 펌프 장치가 수조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열 펌프 장치를 유닛(unit)화함으로써 제조시의 조립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열 펌프 장치의 수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1의 발명은, 특히 제 10의 발명에 있어서,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을 열 펌프 장치측에서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열 펌프 장치의 수리 유지보수시에 상기 접속 수단을 분리함으로써,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와 방열기의 목시(目視)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2의 발명은, 특히 제 10의 발명에 있어서,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을 수조측에서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 접속 수단을 분리함으로써,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내의 체크(check),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13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접속 수단의 신축 방향을 회전조의 회전축과 직교 방향으로 설정한 것으로, 회전조가 회전할 때에 회전조내의 의류에 편향이 있으면, 회전조의 흔들림에 의해 수조는 회전축과 직교 방향으로 크게 진동하기 때문에, 접속 수단의 신축 방향을 회전조의 회전축과 직교 방향으로 함으로써, 이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회전조의 회전축을 수평 방향으로 설정한 드럼식 세탁 건조기에서는, 회전조내에 들어가는 의류와 물의 중량에 의해 수조의 상하 위치가 변동하기 때문에, 접속 수단의 신축 방향을 회전조의 회전축과 직교 방향으로 함으로써, 이 위치 변동을 추종하기 쉽게 된다.
제 14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접접속 수단의 신축 방향을 회전조의 회전축과 동일 방향으로 설정한 것으로, 회전조의 회전축을 수평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세워서 설정한 세탁 건조기에 있어서는, 세탁시와 건조시의 의류 교반 운전에 의해 연직 방향의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접속 수단의 신축 방향을 회전조의 회전축과 동일 방향으로 함으로써, 이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회전조의 회전축을 연직 방향으로 설정한 종형 세탁 건조기에서는, 회전조내에 들어가는 의류와 물의 중량에 의해 수조의 상하 위치가 변동하기 때문에, 접속 수단의 신축 방향을 회전조의 회전축과 동일 방향으로 함으로써, 이 위치 변동을 추종하기 쉽게 된다.
제 15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의 열 펌프 장치를 수조의 하부에 배치한 것으로, 종래의 세탁 건조기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열 펌프 장치를 하우징내에 수용할 수 있어, 콤팩트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세탁 건조기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6의 발명은, 특히 제 15의 발명에 있어서, 흡열기 풍로의 출구와 방열기 풍로의 입구를 연통시켜 공기의 순환 경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흡열기 및 방열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직선적으로 흐르도록 흡열기 풍로와 방열기 풍로를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한 것으로, 열 펌프 장치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 풍로의 압력 손실이 작아지기 때문에 송풍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 17의 발명은, 특히 제 15의 발명에 있어서, 흡열기 풍로는 흡열기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는 구성으로 하고, 흡열기 풍로의 하방에 제습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설치한 것으로, 흡열기에 의해 흡열되어 응축한 제습수를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효율적으로 하방의 배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제 18의 발명은, 특히 제 15의 발명에 있어서, 본체를 소정 높이 위치에 탑 재하는 탑재대를 구비하고, 상기 탑재대의 내부에 열 펌프 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열 펌프 장치를 본체와 분리함으로써 열 펌프 장치에 대한 본체 진동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시의 조립과 수리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제 19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송풍 수단은 하우징의 상면과 측면이 이루는 코너부 공간에 위치하고, 원통형상 수조의 상부에 설치한 것으로, 하우징내의 무효 공간(dead space)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본체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제 20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흡열기 풍로의 상류에 공기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필터 수단을 설치한 것으로, 운전중에 회전조내의 의류로부터 발생하는 린트(lint) 등의 이물이 흡열기를 구성하는 열교환기의 방열 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1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에 있어서, 세탁 운전시에 수조내에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탁 운전 종료후에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 풍로 또는 방열기 풍로내에 잔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흡열기와 방열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2의 발명은, 특히 제 21의 발명에 있어서,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 풍로 또는 방열기 풍로와 접속하는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는 그 일부가 세탁 운전시에 수조내에 공급되는 세탁수의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세탁액이 흡열기 풍로 또는 방열기 풍로내에 침입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흡열기와 방열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3의 발명은, 특히 제 21의 발명에 있어서,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 풍로내 또는 방열기 풍로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 수단을 설치한 것으로, 흡열기 풍로 또는 방열기 풍로내에 침입한 세탁액을 배수 수단에 의해 배출함으로써 흡열기와 방열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4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의 열 펌프 장치에 이용하는 냉매는 이산화탄소(CO2)를 주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한 것으로, 열 펌프 장치의 냉동 사이클의 방열측에서 초임계 상태를 만듦으로써, 고온의 온풍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소형이고 효율적으로 의류를 건조할 수 있다.
제 25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의 회전조의 회전축을 수평 방향으로 설정한 것으로, 이 구성의 드럼식 세탁 건조기는 회전조가 회전할 때의 흔들림에 의한 진동 방향과 중력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되어 수조의 진동이 특히 크기 때문에, 수조의 공기 통로와 열 펌프 장치를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열 펌프 장치의 진동 저감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내구성,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6의 발명은, 특히 제 1 발명의 회전조의 회전축을 연직 방향으로 설정한 것으로, 이 구성의 종형 세탁 건조기는 회전조가 회전할 때의 흔들림에 의한 수평 방향의 진동과 회전조내에 들어가는 의류와 물의 중량에 의한 연직 방향의 진동 모두가 수조에 작용하여, 수조의 진동이 크게 복잡하기 때문에, 수조의 공기 통로와 열 펌프 장치를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열 펌프 장치의 진동 저감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내구성,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7의 발명은, 하우징내에 탄성 지지된 수조와, 상기 수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회전조와,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기와 고압의 냉매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스로틀 수단과 감압되어 저압으로 된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는 흡열기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관로에 의해 연결한 열 펌프 장치와, 상기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흡열기 풍로와, 상기 열 펌프 장치의 방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방열기 풍로와, 상기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거쳐서 상기 방열기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하는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방열기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하는 급기구와,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된 공기를 상기 수조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갖고, 상기 방열기 풍로의 출구와 상기 급기구, 및 상기 흡열기 풍로의 입구와 상기 배기구를 각각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에 의해 연결한 것으로, 수조의 진동이 열 펌프 장치에 직접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내의 열 펌프 장치는 회전조의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서 신뢰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8의 발명은, 하우징내에 탄성 지지된 수조와, 상기 수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회전조와,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기와 고압의 냉매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스로틀 수단과 감압되어 저압으로 된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는 흡열기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관로에 의해 연결 한 열 펌프 장치와, 상기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와 방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풍로와, 상기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거쳐서 상기 방열기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하는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풍로와 상기 공기 통로를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에 의해 연결함과 동시에, 세탁 운전시에 수조내에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탁 운전 종료후에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 풍로 또는 방열기 풍로내에 잔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열 펌프 장치에 수조의 진동이 직접 전달되지 않고 회전조의 진동의 영향을 받기 어려우며 또한 세탁수에 의한 흡열기와 방열기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9의 발명은, 하우징내에 탄성 지지된 수조와, 상기 수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회전조와,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기와 고압의 냉매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스로틀 수단과 감압되어 저압으로 된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는 흡열기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관로에 의해 연결한 열 펌프 장치와, 상기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와 방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풍로와, 상기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거쳐서 상기 방열기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하는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풍로와 상기 공기 통로를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에 의해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접속 수단을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 접속 수단을 분리함으로써 열 펌프 장치를 수조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열 펌프 장치를 유닛화함으로써 제조시의 조립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열 펌프 장치의 수리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종래예와 동일한 구성인 것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탁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하우징(housing, 1)의 배면(1b)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열 펌프(heat pump) 장치의 구성과 건조용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시스템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내부에는 복수의 서스펜션(suspension, 2)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원통형상의 수조(3)를 설치하고, 세탁·탈수시의 진동을 서스펜션(2)에 의해 흡수한다. 수조(3)의 내부에는 의류(4)를 수용하는 원통형상이고 횡축형인 회전조(5)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구동 모터(6)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하우징(1)의 전면에는 의류(4)를 넣고 빼는 개구부(1a)와, 이것을 개폐하는 도어(door, 7)가 설치되어 있다. 수조(3) 및 회전조(5)의 전면측에도 동일한 개구부(3a, 5b)를 갖고, 이 수조(3)의 개구부(3a)는 벨로우즈(bellows, 8)에 의해 하우징(1)의 개구부(1a)와 수밀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수조(3)의 바닥부에는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구(9)를 갖고, 배수 밸브(10)에 연결되어 있다.
송풍 수단을 구성하는 송풍기(12)는 하우징(1)의 상면(1c)과 측면(1d)이 이루는 코너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수조(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12)는 수조(3)의 외면에 설치한 급기 덕트(duct)(20)와 연통하고, 급기 덕트(20)의 급기 덕트 입구(21)로부터 들어간 공기를 화살표(c) 방향으로 송풍하여 급기구(14)로부터 회전조(5)내에 공급한다. 또한, 수조(3)의 외면에는 수조(3)의 배면부의 배기구(16)와 연통하는 배기 덕트(22)를 설치하고, 회전조(5) 및 수조(3)를 통과하여 배기구(16)로부터 나온 공기를 화살표(d)와 같이 배기 덕트 출구(23)에 도출한다.
수조(3)의 하부에는 열 펌프 장치를 구성하는 열 교환기로 이루어지는 흡열기(30)에 화살표(a) 방향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는 흡열기 풍로(31)와, 마찬가지로 열 교환기로 이루어지는 방열기(32)에 화살표(b) 방향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는 방열기 풍로(33)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이 흡열기 풍로(31)와 방열기 풍로(33)는 순환 덕트(34)에 의해 연통되어 흡열기(30) 및 방열기(32)를 통과하는 공기가 직선적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이 흡열기 풍로(31)와 방열기 풍로(33)와 순환 덕트(34)는 일체로 구성되고, 하우징(1)내의 장착 베이스(35)에 고정되어 있다. 흡열기 풍로(31)의 입구와 배기 덕트 출구(23)는 벨로우즈형상의 신축 가능한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배기구 호스(hose)(36)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다. 방열기 풍로(33)의 출구와 급기 덕트 입구(21)도 마찬가지로 벨로우즈형상의 신축 가능한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급기구 호스(37)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다. 또한, 흡열기 풍로(31)의 상류에 설치한 입구부에는 공기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필터 수단으로서, 합성섬유 네트(net) 등으 로 이루어지는 에어 클리너(air cleaner, 38)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한, 흡열기 풍로(31)의 하류측의 하부에는 제습수를 배출하는 배출구(39)를 설치한다.
송풍기(12)에 의해 송풍되는 건조용 공기는 도 4의 화살표(40)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기 덕트(20)를 통과하여 급기구(14)로부터 회전조(5)내로 들어가고, 회전조(5)내의 의류(4)를 통과한 후, 배기구(16)로부터 나와서, 배기 덕트(22)를 통과하여 흡열기 풍로(31)의 흡열기(30)를 통과하고, 순환 덕트(34)를 거쳐서 방열기 풍로(33)의 방열기(32)를 통과하여 송풍기(12)로 되돌아가서,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열 펌프 장치는, 예를 들어 이산화 탄소(CO2)를 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1), 이 압축기(41)에 의해 압축된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기(32), 고압의 냉매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스로틀 밸브(throttle valve)와 모세관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로틀(throttle) 수단(42), 감압되어 저압으로 된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는 흡열기(30)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관로(43)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냉매는 화살표(44) 방향으로 흘러 순환하여, 열 펌프 사이클(cycle)을 실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세탁 건조기에 대하여, 이하에서 그 동작,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정 공정에서는, 배수 밸브(10)를 폐쇄한 상태로 수조(3)내에 소정의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를 실행하고, 구동 모터(6)에 의해 의류(4)와 세정수 가 들어간 회전조(5)를 회전시켜 세정을 실행한다. 이 때, 배기 덕트(22)내에는 일부의 세정수가 들어가지만, 배기 덕트(22)는 도중 경로를 상방으로 들어올린 형상으로 하여 흡열기(30)에 세정수가 침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세정후의 헹굼 공정에서도, 세정 공정과 마찬가지로 수조(3)내에 급수되고, 회전조(5)를 회전시켜 의류(4)의 헹굼을 실행한다. 탈수 공정에서는, 배수 밸브(10)를 개방하여 세탁 건조기의 외부로 물을 배수한 후, 구동 모터(6)에 의해 의류(4)가 들어간 회전조(5)를 고속 회전하여 탈수한다.
상기 세탁·탈수시에는, 회전조(5)의 회전 진동에 의해 수조(3) 전체의 진동이 발생한다. 이 진동은 서스펜션(2)에 의해 흡수되어 하우징(1)의 진동은 억제된다. 열 펌프 장치는 장착 베이스(3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1)로부터의 진동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또한, 흡열기 풍로(31)의 입구와 배기 덕트 출구(23)의 접속, 및 방열기 풍로(33)의 출구와 급기 덕트 입구(21)의 접속은 각각 가요성을 가진 원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배기구 호스(36), 급기구 호스(37)를 이용하여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3)의 진동이 직접 열 펌프 장치에 전달되지 않고, 이 진동의 영향으로 열 펌프 장치의 관로(43)의 접속부가 느슨해지거나, 관로(43)가 공진하여 피로 파괴를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배기구 호스(36)와 급기구 호스(37)를 수조(3)의 하면에 배치하여 동일 방향으로, 또한 이들을 평행하게 도출시키기 때문에, 배기구 호스(36)와 급기구 호스(37) 자신에게 인가되는 진동 부하는 거의 동등하게 되기 때문에 동일 형상, 재질의 가요성을 가진 원통형상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건조 공정에서는, 열 펌프 장치의 압축기(41)를 작동시키면, 냉매가 압축되고, 이 압력에 의해 방열기(32), 스로틀 수단(42), 흡열기(30)를 순환한다. 방열기(32)에서는 압축된 냉매에 의해 열이 방출되고, 스로틀 수단(42)에 의해 감압되어 저압으로 된 냉매에 의해 흡열기(30)에서는 열이 흡수된다. 이 때에 송풍기(12)가 작동하고, 방열기(32)의 방열에 의해 가열된 온풍이 급기 덕트(20)를 통과하여 급기구(14)로부터 회전조(5)내에 송풍된다. 회전조(5)는 구동 모터(6)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의류(4)는 회전조(5)의 회전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낙하함으로써, 상하로 교반된다.
회전조(5)내에 송풍된 온풍은 이 의류(4)의 간극을 통과할 때에 수분을 빼앗고, 습기찬 상태로 수조(3)의 배기구(16)를 지나서 배기 덕트(22), 배기구 호스(36)를 통과하고, 에어 클리너(38)를 통과하여 린트(lint) 등의 이물이 제거되며, 흡열기 풍로(31)에 도달한다. 이 습기찬 온풍은 흡열기(30)를 통과할 때에 현열(顯熱 , sensible heat)과 잠열(潛熱 , latent heat)이 빼앗겨서 제습되어, 건조한 공기와 제습수로 분리된다. 이 건조한 공기는 순환 덕트(34)를 통과하여 방열기 풍로(33)에 들어가고, 방열기(32)에 의해 다시 가열되어 온풍으로 되어 급기구 호스(37), 급기 덕트(20)를 통과하여 송풍기(12)로 순환한다.
한편, 흡열기(30)에 의해 결로된 제습수는 바닥부의 배출구(39)로부터 세탁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열 펌프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흡열기(30)에 의해 흡열한 열을 냉매에 의해 회수하여 다시 방열기(32)에 의해 방열하여, 압축기(41)에 입력한 에너지에 의한 열 및 회수된 열을 의류(4)에 부여할 수 있기 때 문에, 건조 시간의 단축과 에너지 절약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열 펌프 장치를 수조(3)의 하방에 배치하고, 수조(3)의 하면측에 배치한 가요성을 가진 원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급기구 호스(37) 및 배기구 호스(36)와 연결함으로써, 의류(4)를 넣고 빼기 쉽도록 본체 전면의 개구부(1a)의 위치를 높게 할 수 있고, 급기구 호스(37) 및 배기구 호스(36)의 길이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 전체를 콤팩트(compact)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열 펌프 장치 및 급기구 호스(37), 배기구 호스(36)가 수조(3)의 진동을 받기 어렵게 되어 신뢰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급기구 호스(37) 및 배기구 호스(36)를 수조(3)의 하면측의 좌우에 나란히 배치하지만, 열 펌프 장치의 레이아웃(layout)에 따라서는 전후에 나란히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실시예 2)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탁 건조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 1 실시예와 동일 구성 요건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우징(1)의 내부에 복수의 서스펜션(2)에 의해 탄성 지지된 원통형상의 수조(3)와, 수조(3)의 내부에 설치된 의류들(4)을 수납하는 원통형상이고 횡축형인 회전 가능한 회전조(5)와, 회전조(5)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6)와, 쓰로틀 수단(도시 안됨), 흡열기(30)와 방열기(32)와 압축기(41)와 냉매를 순환시키는 관 로(43)를 접속한 열 펌프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조(5)의 축은 수평에 대하여 약 5 내지 45도, 전방을 높게 하여 경사져 있다. 그에 따라 수조(3)도 경사지게 배치한다. 또한 하우징(1), 수조(3), 회전조(5)의 전면에는 각각 의류들(4)을 넣고 빼는 개구부(1a, 3a, 5b)를 갖고, 하우징(1)의 개구부(1a)에는 이것을 개폐하는 도어(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조(3)의 개구부(3a)는 하우징(1)의 개구부(1a)와 벨로우즈(8)에 의해서 물이 새지 않도록 수밀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수조(3)의 바닥부에는 세탁수를 배출하는 배수구(9)를 갖고, 배수 밸브(10)에 연결되어 있다.
열 펌프 장치는 수조(3)의 전방을 높게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수조(3)와 하우징(1)의 배면(1b) 사이의 하부에 설치되고, 흡열기(30) 및 방열기(32)는 하우징(1)의 배면(1b)에 평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압축기(41)는 수조(3) 하부의 하우징(1)의 측면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 수단을 구성하는 송풍기(12)는 흡열기(30)와 방열기(32) 사이, 즉 순환 덕트(34)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방열기(32)에 의해 가열된 온풍을 회전조(5)내에 공급한다.
흡열기 풍로(31)의 입구와 배기 덕트 출구(23)의 접속 및 방열기 풍로(33)의 출구와 급기 덕트 입구(21)의 접속은 가요성을 가진 원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 호스 등으로 구성되는 배기구 호스(36), 급기구 호스(37)를 이용한다. 도면과 같이, 열 펌프 장치를 수조(3)의 후방과 후벽(1b) 사이에 배치하고 수조(3)의 후면측에 배기구 호스(36), 급기구 호스(37)를 동일 방향에 배치함으로써, 호스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본체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배기구 호스(36) 및 급기구 호스(37)는 호스 클립 등의 고정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열 펌프 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기(41), 방열기(32), 쓰로틀 수단, 흡열기(30), 관로(43)와, 흡열기 풍로(31), 방열기 풍로(33), 순환 덕트(34) 및 송풍기(12)는 하우징(1)로부터 인출 가능한 장착 베이스(35)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회전조(5)의 회전 진동에 의해 수조(3)가 진동하여도 급기구 호스(36)와 배기구 호스(37)가 휨에 의해, 즉 수조(3)의 진동에 거의 저항하지 않고 신축되거나 굽혀지기 때문에, 수조(3)의 진동은 열 펌프 장치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열 펌프 장치의 관로(43)의 접속부가 느슨해지거나, 관로(43)가 공진하여 피로 파괴를 일으키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배기구 호스(36)와 급기구 호스(37)는 수조(3)의 후면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또한 평행하게 도출시키기 때문에, 수조(3)의 진동에 의해서 이것들의 호스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이들의 호스에 대한 진동의 영향은 거의 동일 조건으로 되기 때문에, 설계적으로 동일 재질로 동일 형상의 호스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베이스(35)는 하우징(1)의 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과 같이 급기구 호스(36)와 배기구 호스(37)를 분리함으로써 열 펌프 장치를 수조(3)로부터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시의 조립이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열 펌프 장치의 수리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특히, 열 펌프 장치의 수리 유지보수시에 급기구 호스(36) 및 배기구 호스(37)를 도면과 같이 열 펌프 장치 측으로 부터 분리함으로써 에어 클리너(38)의 표면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에어 클리너(38)의 막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열 펌프 장치의 수리 유지보수시에 급기구 호스(36) 및 배기구 호스(37)를 상기와는 반대로 수조(3) 측으로 부터 분리함으로써, 수조(3)내의 공기 통로 또는 급기 덕트(20)내를 눈으로 불 수 있게 되어 의류로부터 나오는 린트(lint)의 청소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에서는, 흡열기 풍로(31)의 입구와 배기 덕트 출구(23)의 접속, 및 방열기 풍로(33)의 출구와 급기 덕트 입구(21)의 접속은 가요성을 가진 원통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 호스를 대략 직각으로 절곡한 형상의 배기구 호스(36)와 급기구 호스(37)를 이용하지만, 이 부분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조(3)의 후면에 대하여 급기구 호스(37)를 하방으로 도출시키고, 직선적으로 방열기 풍로(33)의 출구와 접속하면, 급기구 호스(37)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비틀림 방향의 힘도 작용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조(3)의 후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급기구 호스(37)를 도출시키고, 방열기 풍로(33)의 출구를 수조(3)의 후면에 평행하게 마련함으로써 급기구 호스(37)는 거의 직선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마찬가지로 급기구 호스(37)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비틀림 힘도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실시예 3)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탁 건조기의 배면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서, 제 1 실시예와 동일 구성 요건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 펌프 장치를 수조(3)의 상부에 배치한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조(3)의 상부에 열 펌프 장치를 구성하는 흡열기(30), 흡열기 풍로(31), 방열기(32), 방열기 풍로(33), 순환 덕트(34),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압축기(41), 스로틀 수단(42), 관로(43)를 설치한다.
흡열기 풍로(31)의 입구와 배기 덕트 출구(23)는 벨로우즈형상의 신축 가능한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배기구 호스(36)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다. 방열기 풍로(33)의 출구와 급기 덕트 입구(21)도 마찬가지로 벨로우즈형상의 신축 가능한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급기구 호스(37)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다. 또한, 흡열기 풍로(31)의 상류측에는 공기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에어 클리너(38)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한다. 또한, 흡열기 풍로(31)의 하류측의 하부에는 제습수를 배출하는 배출구(39)를 설치한다.
열 펌프 장치를 수조(3)의 상부에 배치하면, 세탁시의 세탁액이 건조 공기 통로로부터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30)와 방열기(32)에 침입하지 않는다. 흡열기(30) 또는 방열기(32)는 열전도가 양호한 동과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이 통상이고, 세탁액중의 세제, 유연제, 표백제 등의 성분이 부착되면 이들 을 부식시킨다. 따라서, 세탁액을 침입시키지 않음으로써, 흡열기(30)와 방열기(32)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조(3)의 상부에 열 펌프 장치를 배치하고, 급기구 호스(37) 및 배기구 호스(36)를 수조(3)의 상면측에 배치함으로써, 급기구 호스(37) 및 배기구 호스(36)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본체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열 펌프 장치의 일부, 즉 압축기(41), 스로틀 수단(42) 등은 흡열기(30)와 방열기(32)에의 세탁수의 침입과는 관련이 없고, 반드시 수조(3)의 상부에 배치할 필요는 없다.
(실시예 4)
도 10 및 도 11에 근거하여 제 4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배면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1은 측면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서, 제 1 실시예와 동일 구성 요건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열기(30), 흡열기 풍로(31), 방열기(32), 방열기 풍로(33), 순환 덕트(34) 및 압축기(41),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스로틀 수단(42), 관로(43)로 이루어지는 열 펌프 장치를 하우징(1)의 한쪽 측방향에 집중 배치한다. 하우징(1)의 열 펌프 장치측의 측면에 유지 보수용의 개폐 가능한 도어(door, 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함으로써, 열 펌프 장치의 목시(目視) 확인과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배기구 호스(36)를 열 펌프 장치측으로 부터 분리함으로써, 에어 클리너(38)의 표면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어 막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면과 같이 급기구 호스(37) 및 배기구 호스(36)를 수조(3)의 측면측에 배치하고, 이들을 하방향으로 평행하게 도출시켜 열 펌프 장치와 연결하기 때문에, 급기구 호스(37) 및 배기구 호스(36)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본체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열 펌프 장치 및 급기구 호스(37), 배기구 호스(36)가 수조(3)의 진동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신뢰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다음에 도 12에 근거하여 제 5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배면(1b) 방향에서 본 단면로서, 이하의 구성이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흡열기 풍로(31)내에 흡열기(30)를 경사시켜 배치한다. 이에 의해 흡열기(30)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흐른다. 또한, 흡열기 풍로(31)의 하방에 제습수를 배출하는 배출구(39)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건조 공정에서 흡열기(30)에 의해 흡열되어 응축한 제습수를 공기의 흐름에 의해 효율적으로 하방의 배출구(39)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 6)
다음에 도 13 및 도 14에 근거하여 제 6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14는 하우징(1)의 배면(1b)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서, 이하의 구성이 상기 실시예 5와 상이하다.
도면과 같이, 본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는 하우징(1)를 소정 높이 위치에 탑재하는 탑재대(50)를 구비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바닥부에는 방진 효과가 높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지지 발(51)이 4군데 설치된다. 탑재대(50)의 내부에는 열 펌프 장치를 구성하는 흡열기(30), 흡열기 풍로(31), 방열기(32), 방열기 풍로(33),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압축기(41), 스로틀 수단(42), 관로(43)를 설치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열 펌프 장치가 탑재대(50)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냉매 회로의 배관 등의 조립과 조정 작업은 하우징(1)와는 따로따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탑재대(50)의 지지 발(51)에 의해, 하우징(1)의 진동은 탑재대(50)에 전달되기 어렵게 되고, 열 펌프 장치는 세탁·탈수시에 있어서의 수조(3)의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열 펌프 장치를 하우징(1)와 분리함으로써 열 펌프 장치에 대한 하우징(1)의 진동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시의 조립과 수리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탁 건조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5는 본 실시예의 세탁 건조기의 일부 절개 외관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1)는 내부에 복수의 서스펜션(102)에 의해 탄성적으로 매어단 수조(103)를 설치하고, 탈수시의 진동을 서스펜션(102)에 의해 흡수하는 구성으로 한다. 수조(103)의 내부에는 세탁물 및 건조 대상물(114)(이하에서 의류라고 함)을 수용하는 회전조(104)를 세탁·탈수축(10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회전조(104)의 내측 바닥부에 의류(114)를 교반하는 회전익(106)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다. 또한, 회전조(104)의 상방에는 유체 밸런서(107)를 설치한다.
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 수단(108)은 수조(103)의 바닥부에 장착되고, 그 회 전력은 클러치(109)를 전환함으로써 세탁·탈수축(105)에 전달된다. 회전익(106)은 외주부에 외주 방향으로 높아지는 대략 남비형의 형상을 하고, 건조 공정시에는 그 회전력에 의해서 의류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열 펌프 장치를 구성하는 열교환기로 이루어지는 흡열기(130) 및 방열기(131)는 수조(103)와 하우징(101)의 배면(101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 수단을 구성하는 송풍기(110)에 의해 밸로우즈 호스로 이루어지는 급기구 호스(112)를 거쳐서 급기구(113)로부터 회전조(104)내에 공급된 공기는 회전조(104)내의 의류(114)를 통과하여 수조(103) 바닥부의 배기구(115)로부터 수 조(103) 외부로 배기되고, 이것과 접속된 벨로우즈 호스로 이루어지는 배기구 호스(116)와 배기 풍로(134)를 거쳐서 흡열기(130)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는 흡열기 풍로(135)와 연통된다. 배기 풍로(134)는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조(103)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풍로가 구성되고, 세탁시에 조내에 주수되는 물의 수위보다 상방에서 흡열기 풍로(135)와 접속한다. 배기 풍로(134)와 흡열기 풍로(135)의 접속부에는 공기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필터 수단으로서 합성섬유 네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에어 클리너(136)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흡열기(130)는 흡열기 풍로(135)내에서 흡열기(130)의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수조(103)측에 근접하는 방향, 즉 흡열기 풍로(135)를 흐르는 공기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흡열기(130) 부분을 수조(103)측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이것은, 경사지게 하지 않고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보다 공기의 압력 손실을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만일 에어 클리너(136)로 제거할 수 없었던 이물이 흡열기 풍로(135)내에 들어가서 흡열기(130)의 표면에 부착된 경우에도, 이물이 부착되는 면은 하우징(101)의 배면(101b)측으로 되기 때문에, 나중의 유지 보수를 하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흡열기 풍로(135)의 하방에는 제습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37)를 설치한다.
흡열기 풍로(135)내를 흡열기(13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흐른 공기는 방열기(131)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는 방열기 풍로(138)에 순환 덕트(139)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다. 방열기 풍로(138)의 출구는 송풍기(110)와 접속하고, 방열기(131)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흐른 공기는 다시 송풍기(110)에 의해 급기구(113)로부터 회전조(104)내에 공급되어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방열기(131)는 방열기 풍로(138)내에서 방열기(131)의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수조(103)측에 근접한 방향, 즉 방열기 풍로(138)를 흐르는 공기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방열기(131) 부분을 수조(103)측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설치한다. 이 효과는 상기 흡열기(130)의 경우와 동일하고, 공기의 압력 손실을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물이 방열기(131)의 표면에 부착된 경우에도, 이물이 부착되는 면은 하우징(101)의 배면(101b)측으로 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를 하기 쉬워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세정 공정에서는, 배수 밸브(117)를 폐쇄한 상태로 수조(103)내에 소정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를 실행하고, 구동 수단(108)에 의해 의류(114)와 세정수가 들어간 회전조(104)를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동반하는 원심력에 의해 회전조(104)와 수조(103) 사이의 세정수는 수조(103)의 내벽을 따라 상승한 후, 회전조(104)의 상부로부터 회전조(104)내에 살수되어 순환한다. 이에 의해, 의류(114)를 세정수가 통과하게 되어 세정된다.
이 때, 배기 풍로(134)내에는 세정수가 들어가지만, 배기 풍로(134)는 수조(103)의 상단부보다 상방에서 흡열기 풍로(135)와 접속하기 때문에, 흡열기 풍로(135)내에 세정수가 들어가지 않고, 흡열기(130)에 세정수가 침입하여 부식의 원인이 되거나, 세정수중의 린트가 흡열기(130)에 막히거나 하지 않는다. 즉, 세탁시에 주수되는 물의 수위보다 상방에서 배기 풍로(134)와 흡열기 풍로(135)를 접속 한다. 또한, 세정후의 헹굼 공정에서도, 세정 공정과 마찬가지로 수조(103)내에 급수되고, 회전조(104)를 회전시켜 의류(114)의 헹굼을 실행하지만, 흡열기(130)에 헹굼 물이 침입하지 않는다. 탈수 공정에서는, 배수 밸브(117)를 개방하여 배수 호스(119)로부터 세탁 건조기의 외부로 물을 배수한 후, 구동 수단(108)에 의해 의류(114)가 들어간 회전조(104)를 고속 회전하여 탈수한다.
건조 공정에서는, 열 펌프 장치의 압축기(141)를 작동시키면, 냉매가 압축되고, 이 압력에 의해 방열기(131), 도시하지 않은 스로틀 수단, 흡열기(130)를 순환한다. 방열기(131)에서는 압축된 냉매에 의해 열이 방출되고, 흡열기(130)에서는 스로틀 수단에 의해 감압되어 저압으로 된 냉매에 의해 열이 흡수된다. 이 때에 송풍기(110)도 작동하고, 방열기(131)의 방열에 의해 가열된 온풍이 흡기구 호스(112)를 통과하여 급기구(113)로부터 회전조(104)내에 송풍된다. 회전조(104)내에서는 구동 수단(108)에 의해 회전익(106)이 회전하여 의류(114)는 상하로 교반된다.
회전조(104)내에 송풍된 온풍은 이 의류(114)의 간극을 통과할 때에 수분을 빼앗고, 습기찬 상태로 수조(103) 바닥부의 배기구(115), 배기구 호스(116), 배기 풍로(134)를 통과하고, 에어 클리너(136)에 의해 린트 등의 이물이 제거되며, 흡열기 풍로(135)에 도달한다. 이 습기찬 온풍은 흡열기(130)를 통과할 때에 현열과 잠열이 빼앗겨서 제습되어, 건조한 공기와 제습수로 분리된다. 이 건조한 공기는 순환 덕트(139)를 통과하여 방열기 풍로(138)에 들어가고, 방열기(131)에 의해 다시 가열되어 온풍으로 되어 송풍기(110)로 순환한다.
한편, 흡열기(130)에 의해 결로된 제습수는 흡열기 풍로(135)내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 하방으로 강제적으로 운반되고, 바닥부의 배출구(137)로부터 배수 호스(119)를 통과하여 세탁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열 펌프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흡열기(130)에 의해 흡열한 열을 냉매에 의해 회수하여 다시 방열기(131)에 의해 방열하여, 압축기(141)에 입력한 에너지에 의해서 생성된 열 및 회수된 열을 의류(114)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시간의 단축과 에너지 절약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회전조(104)의 회전 진동에 의해서 수조(103)가 진동하더라도 급기구 호스(112)와 배기구 호스(116)가 휨에 의해, 즉 수조(103)의 진동에 거의 저항하지 않고 신축되거나 굽혀지기 때문에, 수조(103)의 진동은 열 펌프 장치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이 진동의 영향으로 열 펌프 장치의 관로의 접속부가 느슨해지거나, 관로가 공진하여 피로 파괴를 일으키거나 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회전조(104)의 회전축을 연직 방향으로 설정한 종형 세탁 건조기는 회전조(104)가 회전할 때의 흔들림에 의한 수평 방향의 진동과 회전조(104)내에 들어가는 의류(114)와 물의 중량에 의한 연직 방향의 진동 모두가 수조(103)에 작용하여 수조(103)의 진동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수조(104)와 열 펌프 장치와의 풍로의 접속을 신축 가능한 급기구 호스(112) 및 배기구 호스(116)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열 펌프 장치의 진동 저감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내구성,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8)
도 17은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탁 건조기를 도시한 것으로, 제 7 실시예와 동일 구성 요건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기 풍로(134)는 수조(103)의 외측에 고정되고, 수조(103)와 일체로 구성한다. 이 배기 풍로(134)의 출구는 벨로우즈 호스로 이루어지는 배기구 호스(134a)에 의해 흡열기 풍로(135)의 입구와 연통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조(103)의 외면을 배기 풍로(134)의 구성벽으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 풍로(134)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로 할 수 있어, 구조가 심플하게 됨과 동시에, 배기 풍로(134)의 내부 용량도 작아지기 때문에 세탁시에 고이는 수량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방열기(131) 및 흡열기(130)는 수조(103)와 하우징(101)의 배면(101b) 사이에 설치하지만, 예컨대 수조(103)와 하우징(101)의좌측면 또는 우측면과의 사이에 설치하여도 무방하고, 열 펌프 장치의 방열기(131) 및 흡열기(130)를 하우징내에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서, 회전조(104)의 회전 진동에 의해 수조(103)가 진동하여도, 급기구 호스(112)와 배기구 호스(134a)가 휨에 의해, 수조(103)의 진동은 열 펌프 장치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이 진동의 영향으로 열 펌프 장치의 관로의 접속부가 느슨해지거나, 관로가 공진하여 피로 파괴를 일으키거나 하지 않는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회전조(104)의 회전축을 연직 방향으로 설정한 종형 세탁 건조기는 회전조(104)가 회전할 때의 흔들림에 의한 수평 방향의 진동과 회전조(104)내에 들어가는 의류(114)와 물의 중량에 의한 연직 방향의 진동 모두가 수조(103)에 작용하여, 수조(103)의 진동이 크게 복잡하기 때문에, 수조(104)와 열 펌프 장치와의 풍로의 접속을 신축 가능한 급기구 호스(112) 및 배기구 호스(134a)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열 펌프 장치의 진동 저감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내구성,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세탁 건조기는 열 펌프 장치에 대하여 회전조의 진동의 영향을 억제하여 신뢰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열 펌프 장치를 탑재하여 건조, 제습을 실행하는 세탁기 등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세탁 건조기는 열 펌프 장치에 회전조의 회전 진동이 전달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신뢰성, 내구성이 우수한 세탁 건조기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9)

  1. 하우징내에 탄성 지지된 수조와,
    상기 수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회전조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기와 고압의 냉매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스로틀 수단과 감압되어 저압으로 된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는 흡열기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관로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흡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흡열기 풍로와 상기 방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방열기 풍로를 갖는 열 펌프 장치와,
    상기 방열기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상기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거쳐서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하는 송풍 수단과,
    상기 방열기 풍로와 상기 공기 통로를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과,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서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된 공기를 수조 밖으로 배출하는 신축 가능한 배기구 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과 상기 신축 가능한 배기구 호스를 상기 수조의 후면측에 배치하고 동일 방향으로 도출한
    세탁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를 상기 수조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 덕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기 통로는 공기를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하는 급기 덕트로서 기능하며, 상기 방열기 풍로의 출구와 상기 급기 덕트, 및 상기 흡열기 풍로의 입구와 상기 배기 덕트를 각각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에 의해 연결한
    세탁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열 펌프 장치의 풍로와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연결하는 접속 수단을 신축 가능한 플렉시블 호스로 구성한
    세탁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을 상기 방열기 풍로의 출구와 연결하고, 상기 신축 가능한 배기구 호스를 상기 흡열기 풍로의 입구와 연결한
    세탁 건조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을 상기 방열기 풍로와 상기 공기 통로 사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한
    세탁 건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을 상기 방열기 풍로측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한
    세탁 건조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을 상기 공기 통로측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한
    세탁 건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의 신축 방향을 상기 회전조의 회전축과 직교 방향으로 설정한
    세탁 건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의 신축 방향을 상기 회전조의 회전축과 동일 방향으로 설정한
    세탁 건조기.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펌프 장치를 고정 설치한 장착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베이스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세탁 건조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과 상기 신축 가능한 배기구 호스를 서로 평행하게 상기 수조의 후면측을 따라 하방으로 도출한
    세탁 건조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과 상기 신축 가능한 배기구 호스를 서로 평행하게 상기 수조의 후면측에 수직 방향으로 도출한
    세탁 건조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펌프 장치를 상기 수조와 상기 하우징의 배면 사이의 하부에 설치한
    세탁 건조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기 풍로의 상류에 공기중의 이물을 제거하는 필터 수단을 설치한
    세탁 건조기.
  21. 제 1 항에 있어서,
    세탁 운전시에 상기 수조내에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탁 운전 종료후에 상기 흡열기 풍로 또는 상기 방열기 풍로내에 잔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세탁 건조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그 일부가 세탁 운전시에 상기 수조내에 공급되는 세탁수의 수위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세탁 건조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기 풍로내 또는 상기 방열기 풍로내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 수단을 설치한
    세탁 건조기.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펌프 장치에 이용하는 냉매는 이산화탄소(CO2)를 주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 한
    세탁 건조기.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의 회전축을 수평 방향으로 설정한
    세탁 건조기.
  26. 삭제
  27. 하우징내에 탄성 지지된 수조와,
    상기 수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회전조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기와 고압의 냉매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스로틀 수단과 감압되어 저압으로 된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는 흡열기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관로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흡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흡열기 풍로와 상기 방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방열기 풍로를 구비한 열 펌프 장치와,
    상기 방열기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상기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거쳐서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하는 송풍 수단과,
    상기 방열기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하는 급기 덕트와,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된 공기를 상기 수조 밖으로 배출하는 배기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방열기 풍로의 출구와 상기 공기 통로, 및 상기 흡열기 풍로의 입구와 상기 배기 덕트를 각각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과 상기 신축 가능한 배기구 호스를 상기 수조의 후면측에 배치하고 동일 방향으로 도출한
    세탁 건조기.
  28. 하우징내에 탄성 지지된 수조와,
    상기 수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회전조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기와 고압의 냉매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스로틀 수단과 감압되어 저압으로 된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는 흡열기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관로에 의해 연결한 열 펌프 장치와,
    상기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와 방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풍로와,
    상기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거쳐서 상기 방열기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하는 송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풍로와 상기 공기 통로를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에 의해 연결함과 동시에, 세탁 운전시에 상기 수조내에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탁 운전 종료후에 상기 열 펌프 장치의 흡열기 풍로 또는 방열기 풍로내에 잔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세탁 건조기.
  29. 하우징내에 탄성 지지된 수조와,
    상기 수조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회전조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기와 고압의 냉매의 압력을 감압하기 위한 스로틀 수단과 감압되어 저압으로 된 냉매가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는 흡열기를 냉매가 순환하도록 관로에 의해 연결하고, 상기 흡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흡열기 풍로와 상기 방열기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방열기 풍로를 구비한 열 펌프 장치와,
    상기 수조에 설치한 공기 통로를 거쳐서 상기 방열기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하는 송풍 수단과,
    상기 송풍 수단에 의해서 상기 회전조내에 공급된 공기를 수조 밖으로 배출하는 신축 가능한 배기구 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방열기 풍로와 상기 공기 통로를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에 의해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신축 가능한 접속 수단을 상기 방열기 와 상기 공기 통로 사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신축 가능항 접속 수단과 상기 신축 가능한 배기구 호스를 상기 수조의 후면측에 배치하고 동일 방향으로 도출한
    세탁 건조기.
KR1020030072062A 2002-10-16 2003-10-16 세탁 건조기 KR100772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01600A JP2004135755A (ja) 2002-10-16 2002-10-16 洗濯乾燥機
JPJP-P-2002-00301600 2002-10-16
JP2003288701A JP2005052534A (ja) 2003-08-07 2003-08-07 洗濯乾燥機
JPJP-P-2003-00288700 2003-08-07
JPJP-P-2003-00288701 2003-08-07
JP2003288700A JP2005052533A (ja) 2003-08-07 2003-08-07 洗濯乾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495A KR20040034495A (ko) 2004-04-28
KR100772773B1 true KR100772773B1 (ko) 2007-11-01

Family

ID=3204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062A KR100772773B1 (ko) 2002-10-16 2003-10-16 세탁 건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63861B2 (ko)
EP (1) EP1411163B1 (ko)
KR (1) KR100772773B1 (ko)
CN (1) CN2679207Y (ko)
AT (1) ATE443174T1 (ko)
DE (1) DE60329260D1 (ko)
ES (1) ES2333309T3 (ko)
TW (1) TWI2944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1312A1 (en) * 2005-12-30 2007-07-05 Bruce Beihoff C Modular fabric revitalizing system
US8844160B2 (en) 1997-04-29 2014-09-30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fabric revitalizing system
US20050199016A1 (en) * 2004-03-15 2005-09-15 Masaya Tadano Dry cleaner and drying machine
KR101236972B1 (ko) * 2004-07-02 201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응축장치 및 이 사이클론 응축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건조기
KR101073502B1 (ko) * 2004-07-06 2011-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EP1634984A1 (en) * 2004-09-09 2006-03-1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ombined drying-washing machine with heating pump
JP4293114B2 (ja) * 2004-11-09 2009-07-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494169B2 (ja) * 2004-11-11 2010-06-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BE1016430A3 (nl) * 2005-02-01 2006-10-03 Atlas Copco Airpower Nv Inrichting voor het drogen van gas.
KR100743707B1 (ko) * 2005-02-03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장치가 구비된 터브 일체형 드럼 세탁기
JP4521297B2 (ja) * 2005-02-22 2010-08-11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乾燥機
DE102005013051A1 (de) * 2005-03-18 2006-09-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Wäschetrockner
JP4834342B2 (ja) * 2005-07-26 2011-12-14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880982B2 (ja) * 2005-11-18 2012-02-22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JP4679352B2 (ja) * 2005-11-25 2011-04-27 株式会社東芝 衣類乾燥機
KR100664282B1 (ko) * 2005-12-21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의 히트 펌프 시스템 모듈화 하우징 및 이를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US7665227B2 (en) 2005-12-30 2010-02-23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revitalizing method using low absorbency pads
US20070163096A1 (en) * 2005-12-30 2007-07-19 Mcallister Karl D Fluid delivery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735345B2 (en) 2005-12-30 2010-06-15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a manual fabric treatment station
US20070151311A1 (en) * 2005-12-30 2007-07-05 Mcallister Karl D Fabric revitalizing system
US7921578B2 (en) 2005-12-30 2011-04-12 Whirlpool Corporation Nebulizer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20070163095A1 (en) * 2005-12-30 2007-07-19 Mcallister Karl D Fabric revitalizing system and treatment appliance
US20070163097A1 (en) * 2005-12-30 2007-07-19 Metcalfe Ld Low absorbency pad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CH699018B9 (de) * 2006-01-27 2010-03-15 V Zug Ag Wäschetrockner mit Kohlendioxid-Wärmepumpe.
US7730568B2 (en) 2006-06-09 2010-06-08 Whirlpool Corporation Removal of scale and sludge in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765628B2 (en) 2006-06-09 2010-08-03 Whirlpool Corporation Steam washing machine operation method having a dual speed spin pre-wash
US7941885B2 (en) 2006-06-09 2011-05-17 Whirlpool Corporation Steam washing machine operation method having dry spin pre-wash
US7707859B2 (en) 2006-08-15 2010-05-04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841219B2 (en) 2006-08-15 2010-11-30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ing appliance utilizing steam
US7681418B2 (en) 2006-08-15 2010-03-23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ing a temperature sensor
US7665332B2 (en) 2006-08-15 2010-02-23 Whirlpool Corporation Steam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exhaust
US7886392B2 (en) 2006-08-15 2011-02-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sanitizing a fabric load with steam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753009B2 (en) 2006-10-19 2010-07-13 Whirlpool Corporation Washer with bio prevention cycle
US7909939B2 (en) * 2007-04-25 2011-03-22 Illinois Tool Works, Inc. Humidity reducing exhaust duct for dishwasher
US8393183B2 (en) 2007-05-07 2013-03-12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control panel and associated steam operations
JP5226780B2 (ja) * 2007-06-07 2013-07-03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ラックス 洗濯機と乾燥器
US7918109B2 (en) 2007-08-31 2011-04-0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generator having a variable thermal output
US8555675B2 (en) 2007-08-31 2013-10-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backflow device
US7861343B2 (en) 2007-08-31 2011-01-0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generator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8555676B2 (en) 2007-08-31 2013-10-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backflow device
US8037565B2 (en) 2007-08-31 2011-10-1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having a steam generator
US7905119B2 (en) 2007-08-31 2011-03-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generator having a variable thermal output
US7690062B2 (en) 2007-08-31 2010-04-0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leaning a steam generator
US7966683B2 (en) 2007-08-31 2011-06-2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generator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KR100925739B1 (ko) * 2007-09-13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JP4912265B2 (ja) * 2007-09-20 2012-04-11 三洋電機株式会社 衣類用乾燥装置および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
JP5107684B2 (ja) * 2007-11-28 2012-12-26 ハイアール グループ コーポレーション 洗濯乾燥機
KR100957266B1 (ko) * 2008-02-12 2010-05-12 신상용 의류건조기
KR100989734B1 (ko) * 2008-06-03 201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1542389B1 (ko) * 2009-02-05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US8490438B2 (en) * 2009-02-05 2013-07-2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device
EP2398948B1 (en) * 2009-02-23 2018-09-12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603106B1 (ko) * 2009-03-03 2016-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장치
EP2660382B1 (en) 2009-06-29 2016-08-2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PL2957671T3 (pl) 2009-06-29 2019-03-2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Urządzenie do suszenia materiałów pranych
EP2385163B1 (en) 2010-05-03 2016-10-0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laundry machine with an integrated heat pump system
PL2471994T3 (pl) 2011-01-04 2019-12-3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Urządzenie do suszenia materiałów pranych
EP2471998B1 (en) 2011-01-04 2019-04-1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KR101949188B1 (ko) * 2012-01-12 201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JP2014140440A (ja) * 2013-01-23 2014-08-07 Panasonic Corp 乾燥機
EP2948583B1 (en) * 2013-01-25 2024-01-03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799612B1 (en) * 2013-05-02 2015-12-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eat pump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03306113B (zh) * 2013-06-14 2016-07-0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干衣机
KR102127383B1 (ko) * 2013-08-01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4593992A (zh) * 2013-10-30 2015-05-06 海尔集团公司 一种波轮式热泵洗干一体机及烘干方法
KR101613963B1 (ko) * 2014-12-08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EP3088596B1 (en) * 2015-04-29 2018-07-11 Whirlpool EMEA S.p.A Machine for washing and drying laundry
CN107254756B (zh) * 2017-07-25 2023-11-14 王朱彦君 多功能摇粒机烘干机
US11255041B2 (en) 2017-08-09 2022-02-22 Electrolux Professional AB (publ) Tumble dryer
JP7089030B2 (ja) 2017-08-09 2022-06-21 エレクトロラックス プロフェッショナル アクティエボラーグ(パブリーク) タンブル乾燥機
EP3467187B1 (en) 2017-10-09 2021-12-22 Whirlpool Corporation Filter configured for being used in a machine for drying laundry and machine for drying laundry equipped with such a filter
US20190112742A1 (en) * 2017-10-17 2019-04-1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Fan assembly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CN108396528B (zh) * 2018-03-09 2020-08-1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干衣机的底座组件以及干衣机
KR20200098115A (ko) * 2019-02-12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KR20200112166A (ko) * 2019-03-21 2020-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EP4063556A1 (en) 2021-03-26 2022-09-28 BSH Hausgeräte GmbH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t least one duct for guiding a process air flow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2893A (en) * 1987-07-29 1989-02-02 Mitsubishi Heavy Ind Ltd Washing dryer
JPH04304372A (ja) * 1991-03-29 1992-10-27 Nec Corp 多室構造型真空処理装置
DE4304372A1 (de) * 1993-02-13 1994-08-18 Miele & Cie Trockengerät, insbesondere Kondensationswäschetrockner, mit einer Wärmepumpe
JPH085245A (ja) * 1994-06-22 1996-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乾燥機並びに該乾燥機の除湿ユニット及び冷却器
JPH0816548A (ja) * 1994-06-30 1996-01-19 Oki Electric Ind Co Ltd モータ動作特性解析装置
EP0816548A2 (en) * 1996-06-26 1998-01-07 CANDY S.p.A. Washing machine of domestic type with open drying circuit and associated accessory equipment for converting the drying circuit into a closed circuit with condensation of the water vapour by air
JPH11253686A (ja) * 1998-03-12 1999-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507Y2 (ko) 1987-08-20 1990-01-26
IT222171Z2 (it) * 1990-10-16 1995-01-24 Zanussi Elettrodomestici Condotto di circolazione dell'aria per macchina asciugatrice di biancheria
JP3321945B2 (ja) * 1993-12-24 2002-09-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H07289787A (ja) 1994-04-27 1995-11-07 Tousei Denki Kk 石油系溶剤用ドライクリーニング装置
JP3330789B2 (ja) 1995-08-29 2002-09-30 シャープ株式会社 衣類乾燥装置
US5887456A (en) * 1995-08-30 1999-03-30 Sharp Kabushiki Kaisha Drum type drying/washing machine
JPH11164996A (ja) 1997-12-04 1999-06-22 Osaka Gas Co Ltd ドラム式全自動洗濯乾燥機
JPH11178289A (ja) 1997-12-12 1999-07-02 Hitachi Ltd 電動機のステータの製造方法及び電動機のステータ
EP0942093B1 (en) * 1998-03-12 2004-1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ic washer-dryer
JP2001343173A (ja) 2000-05-31 2001-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2冷媒用冷凍サイクル装置
US7308808B2 (en) * 2002-04-22 2007-12-18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article clean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2893A (en) * 1987-07-29 1989-02-02 Mitsubishi Heavy Ind Ltd Washing dryer
JPH04304372A (ja) * 1991-03-29 1992-10-27 Nec Corp 多室構造型真空処理装置
DE4304372A1 (de) * 1993-02-13 1994-08-18 Miele & Cie Trockengerät, insbesondere Kondensationswäschetrockner, mit einer Wärmepumpe
JPH085245A (ja) * 1994-06-22 1996-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乾燥機並びに該乾燥機の除湿ユニット及び冷却器
JPH0816548A (ja) * 1994-06-30 1996-01-19 Oki Electric Ind Co Ltd モータ動作特性解析装置
EP0816548A2 (en) * 1996-06-26 1998-01-07 CANDY S.p.A. Washing machine of domestic type with open drying circuit and associated accessory equipment for converting the drying circuit into a closed circuit with condensation of the water vapour by air
JPH11253686A (ja) * 1998-03-12 1999-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全自動洗濯乾燥機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4304372호
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81654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1-328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524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53686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1163B1 (en) 2009-09-16
ATE443174T1 (de) 2009-10-15
TW200412384A (en) 2004-07-16
CN2679207Y (zh) 2005-02-16
EP1411163A2 (en) 2004-04-21
KR20040034495A (ko) 2004-04-28
ES2333309T3 (es) 2010-02-19
EP1411163A3 (en) 2005-11-30
US7263861B2 (en) 2007-09-04
DE60329260D1 (de) 2009-10-29
TWI294473B (en) 2008-03-11
US20040079121A1 (en)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773B1 (ko) 세탁 건조기
JP3868471B2 (ja) 洗濯乾燥機
JP2004135755A (ja) 洗濯乾燥機
JP2005052533A (ja) 洗濯乾燥機
JP4271208B2 (ja) 衣類乾燥装置
KR100716353B1 (ko) 의류 건조 장치
JP4531414B2 (ja) 洗濯乾燥機
JP4676407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5304987A (ja) 衣類乾燥装置
US20080245113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5104579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268183B2 (ja) 洗濯乾燥機
JP4413639B2 (ja) 洗濯乾燥機
CN100564647C (zh) 洗涤干燥机
JP2007117169A (ja) 洗濯乾燥機
JP2005052534A (ja) 洗濯乾燥機
JP2006314503A (ja) 洗濯乾燥機
JP4263132B2 (ja) 洗濯乾燥機
JP4259463B2 (ja) 洗濯乾燥機
JP5104578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013693B2 (ja) 洗濯乾燥機
JP4353061B2 (ja) 洗濯乾燥機
JP4396483B2 (ja) 洗濯乾燥機
JP2010000106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356390B2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