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325B1 - 정보분배시스템, 정보처리 단말장치, 정보센터및 정보분배방법 - Google Patents

정보분배시스템, 정보처리 단말장치, 정보센터및 정보분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325B1
KR100769325B1 KR1019980044487A KR19980044487A KR100769325B1 KR 100769325 B1 KR100769325 B1 KR 100769325B1 KR 1019980044487 A KR1019980044487 A KR 1019980044487A KR 19980044487 A KR19980044487 A KR 19980044487A KR 100769325 B1 KR100769325 B1 KR 100769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enter
proces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4897A (ko
Inventor
미노루 모리오
아키라 단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4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5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being stored on a host computer and transmitted to a reproducing terminal by means of a network, e.g. public telephone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38Arrangements for distribution where lower stations, e.g. receivers, interact with the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를 기억하는 정보센터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데이터를 분배하는 정보분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분배시스템은 문자데이터, 음성데이터 및 문자데이터 및 음성데이터 모두가 정보센터에서 정보처리 단말장치로부터 정보요구에 기초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선택적으로 다운로드(download)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통신의 폭주상태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할 수 있고, 효율적인 정보수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정보분배시스템, 정보처리 단말장치, 정보센터 및 정보분배방법{Information distribut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information center, and information distributing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정보를 기억하는 정보센터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에 정보를 분배할 수 있는 정보분배시스템과, 분배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처리 단말장치와,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정보를 분배하는 정보센터 및 정보분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보분배시스템으로서, 통신가라오케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통신가라오케시스템은 가라오케의 음성정보와 영상정보가 호스트컴퓨터로서 서버(server)에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기억되고,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가 전화회선 등을 통해서 서버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분배방법으로서, 서버에서 단말장치측에 설치된 기억부에 정기적으로 정보를 다운로드(download)하는 방법 또는 단말장치측에 설치된 조작부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원하는 가라오케의 요구정보를 준비하고, 요구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고, 가로오케의 음성정보 및 영상정보를 요구정보에 따라 서버에서 단말장치로 다운로드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통신 가라오케시스템에 있어서, 단말장치측에 다운로드된 정보는 가라오케의 음성정보 및 영상정보뿐이고, 영상정보 및 문자정보에 대응하는 음성정보는 서버에서 단말장치측에 별개로 다운로드되지 않거나 또는 영상정보, 문자정보, 음성정보 또는 이들의 합성정보가 선택적으로 다운로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보분배시스템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정보분배시스템에 있어서, 원하는 데이터는 다수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정보센터에서 정보처리 단말장치로 다운로드된다.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지정된 문자데이터, 지정된 음성데이터 중 하나를, 그리고 정보센터에서 지정된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 모두를 요구하는 요구정보를 발생하는 요구정보 생성수단과 정보센터와 데이터통신을 실행하는 단말측 통신수단과 요구정보 발생수단에 의해 생성된 요구정보를 단말측 통신수단을 통해서 정보센터에 송신하고 그리고 정보센터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측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정보센터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정보처리 단말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실행하는 센터측 통신수단과, 요구정보를 센터측 통신수단을 통해서 수신하고 지정된 문자데이터, 지정된 음성데이터 중에서 하나, 지정된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 모두를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센터측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정보분배시스템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분배시스템의 전체를 나타내고, 도 2는 정보분배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 중에서 단말장치(2)의 단말장착부(204)뿐 아니라 휴대단말장치(3)를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정보센터로서 서버(1)는 음성정보, 과금정보, 화상정보 및 영상정보와 같은 분배용 데이터를 기억하는 대용량 기록매체를 포함하고, 서버는 통신망(4)을 통해 다수의 단말장치(2)와 상호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서버(1)는 통신망(4)을 통하여 단말장치(2)에서 송신된 요구정보를 수신하고, 이 요구정보에 의해 지정된 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에서 검색한다.
사용자는 단말장치(2) 또는 휴대단말장치(3)에 대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기 위해 조작을 행함으로써 요구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요구정보에 의해 지정된 정보는 서버(1)에서 통신망(4)을 통해서 단말장치(2)로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1)에서 단말장치(2)를 통해서 다운로드된 원하는 정보를 단말장치(2) 또는 휴대단말장치(3)에 다운로드하거나, 휴대단말장치(3)가 단말장치(2)에 의해 충전될 때, 사용자에게 과금처리를 실행한다. 과금처리에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요금을 수금하는 과금통신망(5)이 설치된다. 이 과금통신망(5)은 정보분배시스템을 사용하는 요금을 지불하기 위해 각 사용자가 계약한 금융기관 등과 접속되어 있다.
단말장치(2)는 각 역의 매점, 편의점, 공중전화, 각 가정 등에 설치되고, 서버(1)에서 송신된 정보를 통신망(4)을 통해서 통신제어단자(201)에 의해 수신하고, 이 수신한 정보를 휴대단말장치(3)에 출력한다.
단말장치(2)의 전면 패널(panel)에는 휴대단말장치(3)가 장착된 단말장착부(204), 원하는 내용을 적당히 표시하는 표시부(202),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고 다른 필요한 조작을 행하는 키조작부(203)등이 설치된다.
본체의 측면부에 설치된 통신제어단자(201)는 서버(1)와 통신망(4)을 통해서 상호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제어단자이고, 네트워크 라인(network line)이 인출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장착부(204)는 정보입력/출력단자(205), 전원공급단자(206)로 설치된다. 전원공급단자(206)는 전환변환기 등을 포함하고, 입력된 상용 교류전원에서 소정 전압의 직류전원을 생성하여 전원공급단자(206)에 공급하는 전원부(207)에 연결된다.
휴대단말장치(3)가 단말장착부(204)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정보입력/출력단자(205)는 휴대단말장치(3)의 정보입력/출력단자(306)에 접속되고 전원공급단자(206)는 휴대단말장치(3)의 전원입력단자(307)에 연결된다.
단말장치(2)에는 마이크(208)와 스피커(209)가 설치된다.
휴대단말장치(3)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301)와 키조작부(302)는 본체의 전면부에 설치된다.
표시부(301)는 사용자가 키조작부(302)에 대해서 행한 조작 또는 동작에 대응하여 원하는 표시를 행한다. 키조작부(302)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선택키(303),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결정하는 결정키(304), 동작키(305)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3)는 내부의 기록매체에 기억된 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동작키(305)는 내부 기록매체에 기억된 정보의 각종 재생조작을 행하기 위해서, 급속전진(fast foward)키, 되감기키, 정지키, 일시정지키 등이 설치된다. 휴대단말장치(3)의 키조작부(302)에 설치된 선택키(303) 및 결정키(304)는 회전조작자 등에 의해 구성된 소위 조그 다이얼(jog dial)이다. 원하는 정보는 조그 다이얼을 회전하는 조작에 의해 선택되고 누름동작에 의해 결정된다.
휴대단말장치(3)의 저면부에는 정보입력/출력단자(306)와 전원입력단자(307)가 설치된다. 휴대단말장치(3)가 단말장치(2)의 단말장착부(204)에 장착되면, 정보입력/출력단자(306)와 전원입력단자(307)는 단말장치(2)의 정보입력/출력단자(205)와 전원공급단자(206)에 각각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휴대단말장치(3)와 단말장치(2)간에 정보의 입력/출력이 가능해진다. 단말장치(2)에서 휴대단말장치(3)로 출력되는 정보는 휴대단말장치(3)내에 내장된 기록매체에 기억된다. 단말장치(2)는 휴대단말장치(3)를 충전할 수 있다.
휴대단말장치(3)의 상면부에는 음성출력단자(309)와 마이크단자(310)가 설치된다. 사용자가 음성정보를 청취하는 경우에 사용된 헤드폰(8) 또는 액티브 스피커(SP)는 음성출력단자(309)에 접속될 수 있다. 마이크단자(310)는 서버(1)에 기억된 정보를 통신망(4)을 통해서 다운로드하여 얻은 정보뿐 아니라 휴대단말장치(3)가 사용자의 음성을 기록하는 메모 기록장치로서 사용될 때에 마이크로폰(12)에 접속되기 위해서 설치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3)의 측면부에는 외부 모니터장치(9), 키보드(11), 모뎀 또는 터미널 어댑터(terminal adopter)등이 접속될 수 있는 커넥터(connector)(308)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정보분배시스템은 서버(1)에 기억된 다수의 정보 중에서 휴대단말장치(3)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정보가 휴대단말장치(3)의 기록매체에 다운로드되는 소위 데이터-온-디멘드(data - on - demand)를 실행하는 시스템이다.
단말장치(2)에 설치된 표시부(202) 및 키조작부(203)는 단말장치(2)의 기능을 삭제하기 위해 생략되고, 삭제된 부분 대신에, 휴대단말장치(3)의 표시부(301)와 키조작부(302)에 의해 유사한 조작이 행해지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휴대단말장치(3)의 본체부가 단말장치에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이 채택되더라도, 적어도 단말장치(2)측에 대한 정보 입력/출력과 휴대단말장치(3)에 전원공급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휴대단말장치(3)의 저면, 측면 또는 선단부의 소요위치에서 소형장착부를 갖는 전원 공급선 및 정보 입력/출력선이 신장되고, 소형장착부가 단말장치(2)에 장착되도록 구성이 변경될 수 있다.
한 개의 단말장치(2)에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휴대단말장치(3)를 가지고 억세스(access)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한 개의 단말장치(2)에 복수의 휴대단말장치(3)가 장착되거나 접속되도록 복수의 단말장착부(204)가 설치될 수 있다.
통신망(4)은 특별히 제한이 없고, 예를 들면, ISDN(In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CATV(Cable Television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통신위성, 전화회선, 무선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망(4)은 양방향통신을 요구하고, 기존 통신위성 등을 채택한 경우에는, 양방향통신을 실행하기 위해서 다른 통신망(4)이 또한 사용된다.
서버(1)에서 단말장치(2)에 통신망(4)을 통해서 직접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서버(1)에서 전체 단말장치(2)로의 회선접속 등의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의 비용뿐만 아니라 요구정보가 서버(1)에만 집중되기 때문에 서버(1)에도 부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버와 단말장치간에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대리서버(6)를 설치하기 위해서 회선의 길이를 절약하고, 대리서버(6)에 미리 소정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함으로써 대리서버(6)와 단말장치(2)간의 데이터통신만으로 요구정보에 대응한 정보를 다운로드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도 5의 블록도를 참조해서 본 실시예의 정보분배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1), 단말장치(2) 및 휴대단말장치(3)의 내부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및 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지정한다.
다음으로, 서버(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서버(1)는 제어부(101), 기억부(102), 검색부(103), 조합처리부(104), 과금처리부(105), 인터페이스부(106), 데이터합성부(107)로 구성된다. 이들 기능회로부는 버스라인(bus line)(B1)을 통해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제어부(101)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구성되고, 통신망(4)에서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공급된 각종 정보에 대응하여 서버(1)의 각 기능회로부를 제어한다.
인터페이스부(106)가 통신망(4)을 통해 단말장치(2)와 양방향통신이 행해지도록 설치된다. 송신에서 송신 프로토콜(protocol)은 독자적인 프로토콜이거나 인터넷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l) 등에 의해 패킷(packet)화된 데이터 송신일 수 있다.
검색부(103)는 제어부(101)의 제어에 의해 기억부(102)에 기억된 데이터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처리를 실행하도록 설치된다. 검색처리부는 단말장치(2)에서 송신되고, 통신망(4)과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서 제어부(101)에 입력된 요구정보에 의거해서 실행된다.
기억부(102)는 대용량 기록매체와 이 기록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분배용 데이터 외에, 각 휴대단말장치(3)에 할당된 단말ID에 관계하는 정보 및 과금설정정보 등의 사용자 연관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기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배용 데이터중 하나로서 문자데이터 및 문자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성데이터는 음성데이터로서 기억될 수 있고, 또는 음성데이터 자체로서 기억되지 않고, 음성합성부를 설치하여 문자데이터 등에 기초해 음성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기억부(102)에 포함된 기록매체로서, 현재 방송용 장비로 사용되는 자기테이프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본 시스템 특징의 하나인, 데이터-온-디멘드를 실행하기 위하여, 랜덤 억세스(random acess)가 가능한 하드디스크, IC메모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복수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기억부(102)가 요구되기 때문에 데이터는 디지털 압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방법으로서,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ATRAC2, TwinVQ(transform domain weighted interleave vector quantization) (상표) 등의 다양한 방법이 고려되지만, 단말장치(2)에서 압축방법이 확장 가능한 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조합처리부(104)는 요구정보등과 함께 송신된 휴대단말장치(3)의 단말ID와 현재 정보분배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휴대단말장치(3)의 단말ID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조합하고, 조합결과를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단말ID의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연관데이터로서 기억부(102)에 기억된다. 조합결과에 의거하여, 제어부(101)는 요구정보를 송신하는 단말장치(2)에 접속된 휴대단말장치(3)에 대하여 정보분배시스템의 사용 허가/불가를 설정한다.
과금처리부(105)는 제어부(101)의 제어에 의해 휴대단말장치(3)를 소유하는 사용자에 의해 정보분배시스템의 이용내용에 대응하는 요금을 부과하는 처리를 행한다. 통신망(4)을 통해 단말장치(2)에서 서버(1)에 정보의 전송 또는 충전하기 위한 요구정보가 공급되면, 제어부(101)는 요구정보에 대응해서 필요한 정보의 송신 또는 충전허가를 위한 데이터를 출력하여 송신한다. 제어부(10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실제 사용상태에 대응하여 과금처리부(105)가 과금요금을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데이터합성부(107)는 검색부(103)에서 검색된 원하는 데이터를 합성하기 위해 설치되고, 단말장치(2)에서 송신되고 통신망(4)에서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서 제어부(101)에 입력된 요구정보에 의해 문자데이터와 그 문자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 예를 들면 문자데이터의 문자에 대응하는 판독데이터가 요구되는 경우에,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합성된다.
가라오케 등의 음성데이터가 요구되는 경우에, 음성데이터와 음성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사데이터가 합성된다.
다음으로, 단말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단말장치(2)에 있어서, 표시부(202), 키조작부(203), 인터페이스부(210), 제어부(211), 충전부(212), 기억부(213), ROM(214), RAM(215), 신호처리부(216), 장착판단부(219) 및 분리부(220)가 버스라인(B2)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211)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단말장치(2) 내부의 각 기능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인터페이스부(210)는 통신제어단자(201)와 정보입력/출력단자(205)간에 설치되고, 통신망을 통해서 서버(1)와의 상호통신과 휴대단말장치(3)와의 상호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얻을 수 있다.
기억부(213)는 메모리(memory), 소정 종류의 기록매체, 구동매체 등에 의해 구성되고, 서버(1) 또는 휴대단말장치(3)에서 송신된 원하는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억부(213)에 대응하는 기입 및 독출제어는 제어부(211)에 의해 실행된다.
ROM(214)은 제어부(211)가 필요한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와 각종 데이터베이스 등의 정보를 기억한다. RAM(215)은 기억부(213)에 일시적으로 기억된 정보의 검색, 가공, 표시 등을 행하기 위한 데이터와, 제어부(211)의 처리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장착판단부(219)는 단말장치(2)의 단말장착부(204)에 대응하는 휴대단말장치(3)의 장착/비장착의 상태를 판단한다. 장착판단부(219)는 포토 인터럽터(photo interrtupter) 또는 기계적인 스위치(mechanical switch) 등의 기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전원공급단자(206), 정보입력/출력단자(205) 등에 포함되고, 단말장치(2)에 휴대단말장치(3)가 적절하게 장착되는 경우에 얻어진 소정 단자의 도통상태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충전부(212)에서는, 전원부(207)에서 공급된 소정의 직류전압을 전원공급단자(206)에서 휴대단말장치(3)의 전원입력단자(307)를 통해서 충전전류를 공급하므로서, 휴대단말장치(3)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표시부(202)는 표시되도록 본체에 설치되고,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또는 CRT(cathode-ray tube) 및 표시 구동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키조작부(20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키로 구성되고, 키조작부(203)에 대해서 실행되는 조작정보는 버스라인(B2)을 통해서 제어부(211)에 공급된다. 제어부(211)에서는, 공급된 조작정보에 따라, 필요한 제어처리가 적절하게 실행된다.
신호처리부(216)에서는, 기억부(213)에서 독출된 음성데이터를 버스라인(B2)을 통해서 입력하고 필요한 신호처리가 실행된다. 기억부(213)에 기억된 음성데이터가 소정형식의 압축처리가 되어 엔코드(encode)가 되면, 신호처리부(216)에서는 입력된 압축 음성데이터에 대해서 신장처리 및 소정의 디코드처리가 실행되고, D/A컨버터(217)에 처리데이터가 출력된다. D/A컨버터(217)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된 음성데이터는 스피커(209)를 통해서 음성으로서 출력된다.
단말장치(2)에는 마이크(208)가 설치되고, 음성이 마이크로 취입되면, 음성신호는 A/D컨버터(218)를 통해서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신호처리부(216)에 입력된다.
신호처리부(216)에서는,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에 대해서, 압축처리 및 기억부(213)에 데이터 기입에 적절한 엔코딩(encoding) 처리가 실행된다. 엔코드된 데이터는 제어부(211)의 제어에 의해 기억부(213)에 기억된다. 교대로, 신호처리부(216)의 음성출력시스템에서 D/A컨버터(217)를 통해서 스피커(209)에서 직접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분리부(220)에서는,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서 공급된 데이터가 음성데이터와 문자데이터의 합성데이터인 경우에, 음성데이터와 문자데이터는 분리된다.
음성의 입력/출력은 휴대단말장치(3)측에 의해서만 실행되고, 단말장치(2)에 신호처리부(216), D/A컨버터(217), 마이크로 컴퓨터(208), 스피커(209), A/D컨버터(218) 및 분리부(220)가 장착될 필요는 없다.
이어서 휴대단말장치(3)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휴대단말장치(3)는 단말장치(2)에 장착되므로, 정보입력/출력단자(205 및 306)를 통해서 데이터통신이 가능해지도록 휴대단말장치(3)와 단말장치(2)가 연결되고, 전원공급단자(206 및 307)를 통해서 단말장치(2)의 전원공급부(207)에서 전원이 공급된다.
휴대단말장치(3)는 표시부(301), ROM(312), RAM(313), 신호처리부(314), I/O포트(ports)(317 및 319), 기억부(320) 및 분리부(322) 및 각 기능회로부가 버스라인(B3)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제어부(311)는 마이크로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며, 휴대단말장치(3) 내의 각 기능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ROM(312)은 제어부(311)가 필요한 제어처리를 실행하기에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베이스 등의 정보를 기억한다. RAM(313)은 단말장치(2)와 통신하는 요구된 데이터 또는 제어부(311)의 처리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I/O포트(317)는 정보입출력단자(306)를 통해서 단말장치(2)와 휴대단말장치(3)간에 상호통신이 행해지도록 설치된다. 휴대단말장치(3)에서 송신된 요구정보 또는 휴대단말장치(3)에 다운로드된 데이터는 I/O포트(317)를 통해서 입출력된다.
휴대단말장치(3)에 설치된 기억부(320)는 기록매체에 기록 및 재생을 행하기 위한 드라이브 등을 포함하고, 서버(1)에서 단말장치(2)를 통해서 다운로드된 정보를 소정의 기록매체에 기억한다.
기억부(320)에 채택된 기록매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더라도, 랜덤 억세스를 고려해서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및 IC메모리 등의 랜덤 억세스가 가능한 기록매체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억부(320)에 기억된 다운로드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중에서, 음성데이터는 휴대단말장치(3)에 의해 재생 및 출력된다. 재생 및 출력을 위해서, 신호처리부(314)는 휴대단말장치(3)에 설치된다. 신호처리부(314)에서는 기억부(320)에서 독출된 음성데이터가 버스라인(B3)을 통해서 입력되고 요구신호처리가 실행된다. 기억부(320)에 기억된 음성데이터가 지정된 형식에 따라서 압축처리되고, 지정된 엔코딩이 되면, 신호처리부(314)에서는, 입력된 압축 음성데이터가 신장처리 및 지정된 디코딩처리가 되고, 처리된 데이터는 D/A컨버터(315)로 출력된다. D/A컨버터(315)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음성데이터는 음성출력단자(309)에 공급된다. 도 5는 음성출력단자(309)에 헤드폰(8)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버(1)의 데이터합성부(107)에 의해 음성데이터 및 문자데이터가 합성된 정보가 공급되는 경우에, 음성데이터 및 문자데이터는 분리부(322)에 의해 분리된다. 분리된 음성데이터 및 문자데이터는 기억부(320)에 기억되고 표시부(301), 헤드폰(8)등에서 출력된다.
음성데이터와 문자데이터는 데이터 모두가 합성된 상태로 기억부(320)에 기억되고, 음성데이터와 문자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에 데이터 모두가 분리부(322)에 의해 분리된다.
휴대단말장치(3)에는 마이크단자(310)가 설치된다. 마이크단자(310)에 마이크로폰(12)이 연결되어 음성이 기록되면, 음성신호는 A/D컨버터(316)를 통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신호처리부(314)에 입력된다. 신호처리부(314)에서는,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는 압축처리 및 기억부(320)에 데이터를 기입하는데 적합하게 요구된 엔코딩 처리가 이루어진다. 엔코드된 데이터는 제어부(311)의 제어에 의해 기억부(320)에 기억된다. 교대로, 신호처리부(314)의 음성데이터시스템에서 D/A컨버터(315)를 통해서 음성출력단자(309)에 직접 출력될 수 있다. 휴대단말장치(3)의 사용자가 메모장에 기록하는 대신에 사용자의 음성을 기록하는 메모 기록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휴대단말장치(3)에 포함된 배터리회로부(318)는 적어도 충전지를 포함하고, 충전전류에 의해 휴대단말장치(3) 내의 각 기능회로부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회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휴대단말장치(3)가 단말장치(2)에 장착되는 경우에, 전원공급단자(206)와 전원입력단자(307)를 통해서 충전부(212)에서 배터리회로부(318)에 휴대단말장치(3)의 회로를 위해서 동작전원 및 충전전력이 공급된다.
휴대단말장치(3)의 표시부(301) 및 키조작부(30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에 설치되고, 표시부(301)에 대응하는 표시제어는 제어부(311)에 의해 실행된다. 다운로드되고 기억부(320)에 기억된 문자데이터는 표시부(301)에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311)는 키조작부(302)에서 출력된 조작정보에 기초해서 적당히 요구된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1)에서 송신된 정보는 일단 단말장치(2) 및 휴대단말장치(3)에 다운로드된후 단말장치(3)의 기억부(320)에 기억되고, 독출 및 출력된다. 그러나 정보는 어디에도 기억되지 않고, 신호처리부(314)에 직접 송신되어 확장되고, 예를 들면 음성데이터는 D/A컨버터(315)에 의해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되고, 헤드폰 스피커(8)에서 출력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I/O포트(319)는 커넥터(connector)(308)에 의해 연결된 장비 또는 장치와 휴대단말장치 간에 입력/출력이 가능해지도록 설치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308)는 모니터장치(9), 모뎀 또는 터미널 어댑터(10) 및 키보드(11)에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장치(9)가 연결될 때, 휴대단말장치(3)에 다운로드된 동화데이터, 문자데이터 등을 대형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모니터장치(9)로서, CRT, TFT 액정, 플라스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등이 고려되고, 헤드마운트형 액정디스플레이에서는, 사용자가 이동중일 때에도, 사용자는 출력정보를 볼 수 있다.
키보드(11)가 휴대단말장치(3)에 연결되므로,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정보의 선택이 쉬어지고, 보다 복잡한 커맨드(command)입력이 가능해진다. 사용자가 발언, 정보 등을 문자정보로서 입력하는 것도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자정보가 서버(1)에 업로드되면, 사용자 요구수집 또는 사용자 간의 정보교환 장소로서 회의실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휴대단말장치(3)에 모뎀 또는 터미널어댑터(10)가 연결될 때, 단말장치(2)가 없이 서버(1)와 직접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다른 컴퓨터 또는 휴대단말장치(3)간에 통신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사용자간의 데이터 교환은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장치가 휴대전화 등과 함께 사용될 때, 요구정보는 언제, 어느 장소에서도 서버(1)에 송신될 수 있고, 원하는 데이터가 다운로드된다.
무선접속 컨트롤러(controller)에 의해 휴대단말장치(3)와 서버(1)를 무선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상기 구성된 실시예의 정보분배시스템의 전체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휴대단말장치(3)의 키조작부(302)에 의해 ROM(312), RAM(313)에 기억된 서버(1)의 데이터베이스 메뉴에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한다. 선택된 정보가 기억된 것을 지정하는 요구정보가 RAM(313)에 기억된다. 문자데이터, 문자데이터를 읽는 음성데이터 또는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합성데이터가 키조작부에 의해 선택되기 때문에, 요구정보가 작성된다.
요구정보가 작성되는 상태에서, 휴대단말장치(3)가 단말장치(2)의 장착부(204)에 장착될 때, 단말장치(2)는 인터페이스부(210)와 통신망(4)을 통해서 서버(1)에 연결되고, 동일한 인터페이스부(210)와 휴대단말장치(3)의 I/O포트(317)를 통해서 휴대단말장치(3)에 연결된다.
RAM(313)에 기억된 요구정보는 공통버스에 연결된 제어부(311)에 의해 제어되고, I/O포트를 통해서 자동으로 단말장치(2)에 송신되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서 서버(1)에 한 번 더 송신된다.
서버(1)에 있어서, 요구정보는 인터페이스부(106)에서 입력되고 요구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검색부(103)에 의해 기억부(102)에서 검색되고, 검색된 데이터는 단말장치(2)로 송신된다.
요구정보에 포함된 ID정보 등을 인식하고, 사용자가 조합처리부(104)에서 실행된 서버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지를 조합한다.
게다가, 요구정보에 의해 요구된 종류, 수 등에 따라서 과금처리(105)가 인터페이스부(106)에 연결된 과금통신망(5)의 사용자의 계좌에서 과금처리를 실행한다.
서버(1)에서는, 기억부(102)에서 검색된 데이터의 일부가 데이터 합성부(107)에 의해 합성되고 단말장치(2)로 회신된다.
사용자에 의해 요구된 데이터가 서버(1)에서 인터페이스부(106 및 210)를 통해서 단말장치(2)에 회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2)는 기억부(213)에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게다가 그 정보의 검색, 가공, 표시 등을 위해 ROM(214), RAM(215), 키조작부(203)를 포함하는 일반적 컴퓨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210)에서 휴대단말장치(3)의 I/O포트(317)로 회신된다. 휴대단말장치(3)에서 서버(1)로 요구정보의 송신과 원하는 정보의 수신 간에 시간이 필요하고, 휴대단말장치(3)가 단말장치(2)에 장착될 때, 전원공급단자(206)와 휴대단말장치 측의 전원입력단자(307)가 서로 연결되므로, 휴대단말장치 내에 내장된 배터리(318)에 자동충전이 단말장치(2)측의 충전부(212)에서 실행된다.
I/O포트(317)에서 휴대단말장치(3)에 입력된 데이터에서는, 패킷데이터의 분해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필요한 압축정보는 추출되어 기억부(320)에 기억된다. 원하는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종료되면, 단말장치(2)에 설치된 표시부(202) 또는 휴대단말장치(3)에 설치된 표시부(301)에 다운로드 종료표시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다운로드 종료표시를 확인한 후, 자유롭게 실행되는 상태가 되도록 단말장치(2)에서 휴대단말장치(3)를 제거한다.
사용자가 휴대단말장치(3)에 다운로드한 데이터를 재생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키조작부(301)에 의해 기억부(320)에 기억된 데이터 목록(data list)에서 재생된 데이터를 선택하고 결정한다.
기억부(320)에서 원하는 데이터에 대응해서 압축된 데이터가 독출되고, 신호처리부(314)에 송신되어 신장된다. 신장된 데이터는 D/A컨버터(315)에 의해 아날로그 정보로 변환되어 헤드폰(8)에서 출력된다. 압축된 데이터가 합성정보인 경우에, 분리부(322)에 의해 합성데이터는 분리된다.
마이크로폰(12)에서 입력 음성신호를 기억하기 위해서, 기록신호가 키조작부(302)에서 출력되고, 마이크로폰(12)에서의 입력 음성신호는 A/D컨버터(316)에 의해 디지털화 되고, 한 번 더 신호처리부(314)에 의해 소정의 압축방법으로 압축되고, 버스를 통해서 기억부(320)에 기록된다. 휴대단말장치(3)가 메모패드 대신에 간단한 음성을 기록하는 메모기록장치로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서버(1)측의 처리동작과 정보처리 단말장치 측의 처리동작, 즉 단말장치(2)와 휴대단말장치(3)측의 처리동작을 도 6, 7 및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서버(1)측의 처리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서버(1)의 제어부(101)는 휴대단말장치(3) 또는 단말장치(2)에서 통신망(4)을 통해서 요구정보가 송신되면, 단계(S101)에 있어서, 송신된 요구정보에서 문자데이터의 요구의 존재를 판별하고, 문자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있으면, 단계(S102)로 진행되고, 문자데이터에 대한 요구정보가 없으면, 단계(S103)로 진행된다.
단계(S102)에 있어서는, 요구정보에서 음성데이터의 요구의 존재를 판별하고, 음성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있으면, 단계(S105)로 진행되고, 요구가 없으면, 단계(S104)로 진행된다.
단계(S103)에 있어서는, 요구정보에서 음성데이터의 요구의 존재를 판별하고, 음성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있으면, 단계(S106)로 진행되고, 요구가 없으면, 단계(S101)로 처리가 되돌아 간다.
서버(1)에 대해서 단말장치(2) 또는 휴대단말장치(3)에서 문자데이터에 대한 요구만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S104)로 진행되고, 문자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S105)로 진행되고, 음성데이터에 대한 요구만이 있는 경우에는, 단계(S106)로 진행된다.
단계(S104)에 있어서는, 요구된 문자데이터의 검색이 검색부(103)에 의해 실행되어, 단계(S108)로 진행되고, 단계(S108)에 있어서 문자데이터는 통신망(4)을 통해서 단말장치(2) 또는 휴대단말장치(3)에 회신된다.
단계(S105)에 있어서는, 요구된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검색이 검색부(103)에 의해 실행되고, 단계(S107)로 진행된다. 단계(S107)에 있어서는, 검색된 문자데이터 및 음성데이터가 합성되고 단계(S108)로 진행된다. 단계(S108)에 있어서, 합성된 문자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는 통신망(4)을 통해서 단말장치(2) 또는 휴대단말장치(3)로 회신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데이터와 문자데이터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단계(S107)에서 문자데이터 및 음성데이터가 합성되어 다운로드된다. 그러나, 음성데이터 및 문자데이터를 합성할 필요는 없지만, 단말장치(2) 및 휴대단말장치(3)로 분리해서 회신될 수 있다.
단계(S106)에 있어서는, 요구된 음성데이터의 검색이 검색부(103)에 의해 실행되고, 단계(S108)로 진행되고, 단계(S108)에서 음성데이터는 통신망(4)을 통해서 단말장치(2) 또는 휴대단말장치(3)로 회신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데이터(401) 및 음성데이터(402)에 관한 표(400)는 검색부(103)에 기억되고, 표(400)에는, 요구된 데이터 ID와 기억부(102)의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어드레스가, 문자데이터 “A”어드레스 및 음성데이터“a”어드레스 등으로, 한 쌍으로 배열된다. 요구된 데이터의 ID에 대응하는 기억부(102)의 어드레스가 억세스되고, 원하는 정보가 검색되도록 지정된 기억부(102)의 어드레스에서 정보가 독출된다.
도 8은 정보처리 단말장치측의 처리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고, 요구된 정보가 휴대단말장치(3)에서 통신망(4)을 통해서 서버(1)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장치(3)의 제어부(311)는 서버(1)에서 요구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회신대기상태(S110)로 된다. 서버(1)에서 지정된 데이터가 회신되는 경우에는, 단계(S111)로 진행되고, 회신된 데이터는 검색되어, 기억부(320)에 기억된다. 단계(S112)에서 수신/기억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된다.
회신된 데이터가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합성데이터이면, 데이터는 휴대단말장치(3)의 분리부(322)에 의해 음성데이터와 문자데이터로 분리되고, 문자데이터는 표시부(301)에 의해 표시되어 출력된다. 음성데이터는 신호처리부(314)에 의해 소정의 처리가 되고, D/A컨버터(315)를 통해서 음성출력단자(309)인 헤드폰(8)에서 음성출력된다.
서버(1)에서 음성데이터와 문자데이터가 합성데이터로서 회신되도록 지정되더라도, 이들은 분리되어 다운로드될 수 있다.
다운로드된 문자데이터는 단말장치(2)의 표시부(202)에서 출력되고, 음성데이터는 스피커(209)에서 출력되도록 고안될 수 있다.
회신된 데이터가 단지 문자데이터이면, 데이터는 단말장치(2)의 표시부(202) 또는 휴대단말장치(3)의 표시부에서 표시되고, 데이터가 단지 음성데이터이면, 단말장치(2)의 스피커(209) 또는 휴대단말장치(3)의 헤드폰(8)에서 음성 출력된다.
단말장치(2) 또는 휴대단말장치(3)에 있어서 문자데이터 및/또는 음성데이터는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 손가락 또는 키보드에 의해 선택된다. 단말장치(2) 또는 휴대단말장치(3)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의거해 사용자의 ID정보를 포함하는 요구정보가 준비되도록 고안되고, 서버(1)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의 정보 분배시스템에 있어서, 양자의 음성데이터 및 문자데이터, 음성데이터 또는 문자데이터가 분리되어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원하는 데이터가 소설, 신문, 잡지 또는 뉴스 등의 데이터인 경우에, 문자데이터 및 음성데이터 중 하나 또는 양자의 데이터가 선택 및 다운로드된다. 통신회선이 혼잡한 경우에도, 한 가지 데이터만이 다운로드되기 때문에, 단말장치(2) 또는 휴대단말장치(3)에서 정보수집에 낭비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효율적인 정보수집이 가능하게 되고, 정보수집의 신속화를 이룰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의 정보 분배시스템에 있어서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분배되는 경우의 휴대단말장치(3)측의 구체적인 처리동작의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설명하는 동작은 단말장치(2)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실행될 수 있다.
휴대단말장치(3)의 제어부(311)에서, 단계(S201)에 있어서는, 서버(1)에서 통신망(4)을 통해서 다운로드된 음성데이터와 문자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된 음성데이터와 문자데이터는 합성데이터로 한정하지 않기 때문에, 분리처리의 설명은 생략한다.
휴대단말장치(3)의 헤드폰(8)에서 수신된 음성데이터가 출력되고, 문자데이터가 휴대단말장치(3)의 표시부(301)에서 표시되고 출력된다.
문자데이터의 표시부에 대응하는 휴대폰(8)에서 출력하는 음성데이터의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문자데이터의 데이터 구성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덱스 대응표(74)와 문자데이터본체(75)로 이루어지고, 문자데이터는 휴대단말장치(3)의 표시부(301)에 표시된다. 키조작부(302)의 조작키(305)에 의해 페이지 공급(page feeding), 행 공급(line feeding) 등이 또한 가능해진다. 인덱스 대응표에 있어서는 페이지 단위, 행 단위, 문자 단위 등의 인덱스가 설치되고, 소정의 페이지, 행 및 문자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데이터의 어드레스가 기억되고, 더욱이, 페이지, 행,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기억된다.
단계(S202)에 있어서, 표시된 문자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의 어드레스는 인덱스 대응표에서 추출되고 추출된 어드레스의 음성데이터가 독출되기 때문에, 문자데이터 및 문자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는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 사이에 동기가 취해지는 동안에 정상출력으로 출력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음성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버퍼는 기억부(320)에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덱스 대응표를 이용하여 동기가 취해지더라도, 동기 출력용 동기신호는 문자데이터 및 음성데이터에 중첩될 수 있다.
단계(S203 및 204)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또는 출력상태를 조사한다. 사용자에 의해 정지 조작이 행해지거나, 출력되는 데이터의 출력이 종료되면, 휴대단말장치(3)의 조작이 종료된다.
사용자가 키조작부(302)의 급속 전진키 또는 되감기키를 조작하면, 즉 단계(S204)에서 큐(cue) 또는 리뷰(review) 지시조작이 있으면, 문자데이터의 스크롤(scroll)의 속도가 변화되고, 큐 또는 리뷰표시가 행해지고, 그 문자 표시에 동기해서, 음성출력이 큐 또는 리뷰에서 출력되도록 제어된다. 큐 또는 리뷰 출력이 실현되도록 음성출력의 피치가 변화된다.
단계(S206 및 S207)에서, 큐 또는 리뷰가 실행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 및 출력상태가 조사된다. 사용자가 정지조작을 하거나 또는 출력된 모든 데이터의 출력이 종료되면, 휴대단말장치(3)의 조작은 종료된다.
사용자가 큐 또는 리뷰 표시를 표시의 정상출력과 정상속도의 출력으로 되돌리는 지시를 하면, 단계(S207)에서 단계(S202)로 진행되고, 표시는 정상출력으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장치(3)에 있어서, 큐 또는 리뷰 표시 및 출력이 자유롭게 행해지기 때문에, 정보수집 시간이 더 단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한 동작이 단말장치(2)에서 실행될 수 있다.
원하는 데이터가 대량의 문자데이터에서 검색되는 경우에, 시각에 의해 검색되는 것 보다 청각의 검색력에 의해 훨씬 더 고속으로 데이터가 검색될 수 있다.
단말장치(2) 또는 휴대단말장치(3)의 큐 표시 및 출력을 통해서, 음성에서 문자데이터가 추출되고, 출력이 정상출력으로 변환되고, 문자데이터 표시가 데이터에 한정되는 검색을 재차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정보검색의 향상 및 정보수집 시간이 단축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정보 분배시스템에 의해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분배되는 경우의 휴대단말장치(3)측의 구체적인 처리조작의 다른 일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말장치(2)도 이 동작을 동일하게 실행한다.
단계(301)에 있어서는, 양자의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휴대단말장치(3)에 의해 수신되면, 문자데이터의 문자는 도 9와 동일한 표시부(301)에 표시되고, 독출 문자데이터의 음성데이터의 음성이 헤드폰(8)에서 출력된다. 수신된 음성데이터와 문자데이터는 합성정보로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분리처리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302)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된 방법에 의해,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간의 동기가 취해지는 동안 문자데이터와 문자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사용자가 키조작부(302)에 설치된 조작키(305)를 한 번 클릭하면(S303), 처리는 단계(S305)로 진행되고, 음성출력이 휴대단말장치(3)의 제어부(311)에 의해 턴 오프되도록 제어된다. 키조작부(302)의 동작키(305)가 음성출력이 오프인 상태에서 한 번더 클릭되면, 처리는 단계(S308)로 진행되고 음성출력이 재차 턴 온 되도록 제어되고, 처리는 단계(S303)로 되돌아간다.
음성데이터와 문자데이터가 동기해서 출력되는 정상출력 상태, 또는 음성데이터가 턴 오프되는 상태에서, 키조작부(302)의 동작키(305)가 사용자에 의해 더블 클릭되면, 단계(S304 또는 S307)로 진행되고, 처리가 종료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키조작부(302)의 동작키(305)의 클릭 또는 더블 클릭에 의해 음성출력의 온/오프 변환 또는 음성출력의 뮤팅(muting)이 실행되더라도, 음성출력의 온/오프 변환스위치 또는 음성출력을 뮤팅하는 스위치가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있어서, 서버(1)에서 다운로드된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의 동시 출력과 음성출력의 뮤팅이 가능해진다. 사용자가 정보를 고속으로 독출하고자 할 때는, 정보수집이 문자데이터에서만 실행되도록 음성출력이 뮤트된다.
사용자가 피곤하고 문자를 독출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쳐있을 때에도 귀에서 정보수집이 되도록 음성데이터가 턴 온 된다.
사용자의 신체적 상태에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정보수집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문자데이터가 전자 출판물 등의 데이터라도, 음성데이터는 문자데이터의 읽는 데이터이고, 음성데이터는 음악 음성데이터 또는 가라오케 데이터가 될 수 있고, 문자데이터는 가사데이터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음악만을, 가사만을 또는 음악 및 가사가 모두 선택되어 다운로드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정보 분배시스템에 의하면, 단말처리장치에서 어느 문자정보만의 요구, 또는 어느 음성정보만의 요구 어느 대응한 문자정보와 음성정보의 요구중 어느 요구정보를 요구정보 발생수단으로 생성해서 정보센터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정보센터에서 송신된 정보를 통신제어 수단으로 수신하므로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있어서 문자정보, 음성정보 또는 어느 대응하는 문자정보와 음성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망이 복잡한 경우에 예를 들면 문자정보만을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정보수집이 가능하게 되고, 정보수집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의하면, 큐, 리뷰표시가 자유자재로 행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음성으로부터 텍스트데이터의 검색을 행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의 음성을 청취할 때에 정상출력으로 전환해서 텍스트데이터의 검색을 다시 행하여 정보를 한정한다고 하는 방법에 의해 더욱 정보검색이 향상되고, 정보수집 시간의 단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있어서는, 정보센터에서 수신된 문자정보, 음성정보의 동시출력에서 음성출력의 뮤팅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정보를 빠르게 읽고자할 때에는 음성출력을 뮤팅해서 문자데이터에서만 정보수집이 행해지든지, 또 사용자가 피곤해서 문자를 읽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있어서도, 유효하게 시간을 사용하기 위해 다시 음성정보를 온으로 해서 눈을 감은채로도 정보수집을 귀에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적 상태에 맞게 정보수집을 가능하도록 한 각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있어서, 정보센터에서 송신된 음성정보, 또는 문자정보를 일시적으로 축적 하지 않고,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있어서 재생하는 것에 의해 더욱 정보수집의 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분배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장치부와 단말장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장치부의 제 1사용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장치부의 제 2사용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정보분배시스템의 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보분배시스템에 있어서 서버측(server side)에서 처리조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보분배시스템에 있어서 서버의 검색부에 기억된 검색표의 테이블(table)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정보분배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처리 단말장치측의 처리조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정보분배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처리 단말장치측의 구체적인 처리조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정보분배시스템에 의해 분배된 문자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정보분배시스템에 있어서 정보처리 단말장치측의 구체적인 다른 처리조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서버장치 2. 단말장치
3. 휴대단말장치 4. 통신망
5. 과금통신망 6. 대리서버
8. 헤드폰 9. 모니터장치
10. 모뎀 11. 키보드
101. 제어부 102. 기억부
103. 검색부 104. 조합처리부
105. 과금처리부 106. 인터페이스부
201 통신제어단자 202. 표시부
203. 키조작부 205. 정보입출력단자
206. 전원공급단자 211. 제어부
212. 충전부 213. 기억부
216. 신호처리 219. 장착판단부
301. 표시부 302. 키조작부

Claims (28)

  1. 복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센터와, 원하는 정보가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보분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간행물의 원하는 문자데이터(desired character data of a publication)와 상기 간행물의 원하는 낭독 음성데이터(dersired audio data reading the publication) 중 하나의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요구정보를 발생하는 요구정보 발생수단과,
    상기 정보센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측 통신수단과,
    상기 요구정보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요구정보를 상기 단말측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센터로 송신하고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하는 문자데이터와 상기 원하는 음성데이터 중 하나를 수신하는 단말측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보센터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센터측 통신수단과,
    상기 센터측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요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원하는 문자데이터와 상기 간행물의 원하는 낭독 음성데이터 중 하나를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센터측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센터는 상기 문자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가 상기 센터측 통신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송신될 때 상기 문자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를 합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상기 단말측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단말장치부와 상기 단말장치부에 연결될 수 있는 휴대단말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단말장치부를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기억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상기 정보센터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입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문자데이터 및/또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문자데이터 및/또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억된 문자데이터 및/또는 음성데이터가 상기 출력수단에 의해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문자데이터 및 상기 음성데이터를 동기하여 출력하는 동기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음성데이터 및/또는 상기 문자데이터의 출력속도가 변화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음성데이터의 출력을 뮤트(mute)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문자데이터를 표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문자데이터와 상기 문자데이터의 낭독 데이터로서의 상기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는 음악의 음성데이터와 음성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사데이터로서의 문자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시스템.
  14. 복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정보센터로부터 원하는 데이터가 다운로드 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간행물의 원하는 문자 데이터와 상기 간행물의 원하는 낭독 음성데이터 중 하나의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요구정보를 발생하는 요구정보 발생수단과,
    상기 정보센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측 통신수단과,
    상기 요구정보 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요구정보를 상기 단말측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센터로 송신하고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하는 문자데이터와 상기 간행물의 원하는 낭독 음성데이터 중 하나를 수신하는 단말측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단말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부는 상기 단말측 통신수단 및 상기 단말장치부에 연결될 수 있는 휴대단말장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단말장치부를 통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정보처리 단말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는 기억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장치부는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입하는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정보처리 단말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문자데이터 및/또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19. 제 18에 있어서,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문자데이터 및/또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기억된 문자데이터 및/또는 상기 음성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20. 제 18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문자데이터 및 상기 음성데이터를 동기하여 출력하는 동기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데이터 및/또는 상기 문자데이터의 출력속도가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대응해서 변화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조작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조작수단의 조작에 대응해서 상기 음성데이터의 출력을 뮤트(mute)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상기 문자데이터를 표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문자데이터와 상기 문자데이터의 낭독 데이터로서의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2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는 음악의 음성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에 대응하는 가사데이터로서의 문자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단말장치.
  26. 원하는 데이터를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분배하는 정보센터에 있어서,
    상기정보센터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와 데이터통신를 수행하는 센터측 통신수단과,
    상기 센터측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간행물의 원하는 문자데이터와 상기 간행물의 원하는 낭독 음성데이터 중 하나의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요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원하는 문자데이터와 상기 간행물의 원하는 낭독 음성데이터 중 하나를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로 송신하는 센터측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센터.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가 상기 센터측 통신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로 송신되는 경우에 상기 문자데이터와 상기 음성데이터를 합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센터.
  28. 복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정보센터에서 정보처리 단말장치로 원하는 데이터가 다운로드 되는 정보분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에서,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간행물의 원하는 문자데이터와 상기 간행물의 원하는 낭독 음성데이터 중 하나의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요구정보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에서, 상기 정보센터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측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요구정보를 상기 정보센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센터에서,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센터측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요구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센터에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수단으로부터 검색된 상기 원하는 문자데이터와 상기 간행물의 원하는 낭독 음성데이터 중 하나를 상기 요구정보에 따라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 단말장치에서,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송신된 상기 원하는 문자데이터와 상기 간행물의 원하는 낭독 음성데이터 중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분배방법.
KR1019980044487A 1997-11-05 1998-10-23 정보분배시스템, 정보처리 단말장치, 정보센터및 정보분배방법 KR100769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315197A JP3861413B2 (ja) 1997-11-05 1997-11-05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
JP97-303151 1997-1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897A KR19990044897A (ko) 1999-06-25
KR100769325B1 true KR100769325B1 (ko) 2008-11-21

Family

ID=1791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487A KR100769325B1 (ko) 1997-11-05 1998-10-23 정보분배시스템, 정보처리 단말장치, 정보센터및 정보분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8024649B1 (ko)
JP (1) JP3861413B2 (ko)
KR (1) KR100769325B1 (ko)
DE (1) DE19851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6366A (ja) 1999-06-28 2001-01-19 Yamaha Corp 携帯型プレーヤ用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
JP3595235B2 (ja) * 2000-02-29 2004-12-02 コナミ株式会社 携帯端末、情報処理装置、音源データ更新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569193B2 (ja) * 2000-03-23 2004-09-22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通信システム
WO2001093261A1 (en) * 2000-06-01 2001-12-06 Hanseulsoft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ong accompanying/music playing service using wireless terminal
KR20020009276A (ko) * 2000-07-25 2002-02-01 구자홍 음악재생기능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에의음악파일 제공방법
US20020107706A1 (en) * 2001-02-02 2002-08-08 Oliver Mitchell B. Virtual negotiation
JP2002258874A (ja) * 2001-03-01 2002-09-11 Alpine Electronics Inc 音楽試聴方法、システムおよび情報端末、音楽検索サーバ
JP2002278561A (ja) * 2001-03-14 2002-09-27 Ricoh Co Ltd データ印刷システム及びデータ印刷方法
KR20020088941A (ko) * 2001-05-22 2002-1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US6996537B2 (en) 2001-08-13 2006-02-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bscribed applications on wireless devices over a wireless network
US9203923B2 (en) * 2001-08-15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Data synchronization interface
JP2003087164A (ja) * 2001-09-11 2003-03-20 Sony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040043753A1 (en) * 2002-08-30 2004-03-04 Wake Susan L. System and method for third party application sales and services to wireless devices
WO2004104986A1 (ja) 2003-05-21 2004-12-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音声出力装置及び音声出力方法
US10043170B2 (en) * 2004-01-21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tion-based value billing in a wireless subscriber network
US9185538B2 (en) 2005-05-31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subscriber application and content distribution and differentiated pricing
US9350875B2 (en) 2005-05-31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subscriber billing and distribution
US9143622B2 (en) 2006-02-1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Prepay accounts for applications, services and content for communication devices
US9185234B2 (en) 2006-02-22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ed account mapping in a wireless subscriber billing system
US8010935B2 (en) 2008-05-07 2011-08-30 Lsi Corporation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tool and method for optimizing the placement of process monitors in an integrated circuit
US8239805B2 (en) 2009-07-27 2012-08-07 Lsi Corporation Method for designing integrated circuits employing a partitioned hierarchical design flow and an apparatus employing the method
US9118867B2 (en) * 2012-05-30 2015-08-25 John M. McCary Digital radio producing, broadcasting and receiving songs with lyrics
KR102201617B1 (ko) * 2014-01-07 2021-0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Av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3302750A4 (en) * 2015-06-04 2019-02-20 Imerys Filtration Miner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 FOR CALCINATING DIATOMEEN EARTH WITH REDUCED CRISTOBALIT CONTENT AND / OR REDUCED BEER SOLUBLE IRON CONTENT
JP2017171162A (ja) 2016-03-24 2017-09-28 矢崎総業株式会社 情報出力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1057A1 (en) * 1995-03-31 1996-10-03 Sony Europa B.V. A system for information on demand
US5675738A (en) * 1995-02-08 1997-10-07 Fujitsu Limited Video information server system including server center cooperating with request terminals performing video on demand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984B2 (ja) * 1988-04-20 1995-08-23 シャープ株式会社 光記録媒体の記録再生装置
US5191573A (en) * 1988-06-13 1993-03-02 Hair Arthur R Method for transmitting a desired digital video or audio signal
AU633828B2 (en) * 1988-12-05 1993-02-11 Ricos Co., Ltd. Apparatus for reproducing music and displaying words
JPH0322259A (ja) * 1989-03-22 1991-01-30 Seiko Epson Corp 小型データ表示・再生装置
US5090050A (en) * 1989-09-14 1992-02-18 Contel Cellul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radio telephones
US5408686A (en) * 1991-02-19 1995-04-18 Mankovitz; Roy J. Apparatus and methods for music and lyrics broadcasting
USRE37131E1 (en) * 1991-02-19 2001-04-10 Roy J. Mankovitz Apparatus and methods for music and lyrics broadcasting
JPH0535288A (ja) * 1991-07-31 1993-02-12 Ricos:Kk カラオケ再生装置
JPH0677992A (ja) 1992-08-24 1994-03-1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マルチメディア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3324158B2 (ja) * 1992-10-09 2002-09-17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GB9301000D0 (en) * 1993-01-20 1993-03-10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JP3250336B2 (ja) * 1993-08-31 2002-01-28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システムおよびカラオケ端末装置
JPH0779248A (ja) 1993-09-08 1995-03-20 Fuji Elelctrochem Co Ltd 電子メール端末システム
US5654516A (en) * 1993-11-03 1997-08-05 Yamaha Corporation Karaoke system having a playback source with pre-stored data and a music synthesizing source with rewriteable data
KR0138333B1 (ko) * 1994-05-31 1998-05-15 김광호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ic 메모리 카드, ic 메모리 카드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장치
US5983236A (en) * 1994-07-20 1999-11-09 Nam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ultimedia presentation
US5572442A (en) 1994-07-21 1996-11-05 Information Highway Media Corporation System for distributing subscription and on-demand audio programming
US5557541A (en) 1994-07-21 1996-09-17 Information Highway Media Corporation Apparatus for distributing subscription and on-demand audio programming
JP3393242B2 (ja) * 1995-03-30 2003-04-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送信方法及び装置
JPH08278929A (ja) 1995-04-05 1996-10-22 Casio Comput Co Ltd データ転送システム
US5706493A (en) * 1995-04-19 1998-01-06 Sheppard, Ii; Charles Bradford Enhanced electronic encyclopedia
US5914941A (en) 1995-05-25 1999-06-22 Information Highway Media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storage/playback apparatus having a data interface
US5841979A (en) 1995-05-25 1998-11-24 Information Highway Media Corp. Enhanced delivery of audio data
US5790423A (en) * 1995-06-14 1998-08-04 Audible, Inc. Interactive audio transmission receiving and playback system
JP3735890B2 (ja) * 1995-06-16 2006-01-18 ソニー株式会社 オンライン端末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5774798A (en) * 1995-07-14 1998-06-30 Seiko Communications Systems, Inc. Low power data receiver combined with audio receiver
JPH0962283A (ja) 1995-08-25 1997-03-07 Ekushingu:Kk 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通信システム
JP3105155B2 (ja) * 1995-10-05 2000-10-30 シャープ株式会社 Fm多重放送受信装置
IT1277204B1 (it) * 1995-10-19 1997-11-05 Pirelli S P A Ora Pirelli Cavi Rete di comunicazione ottica trasparente ad anello autoprotetto
JP3087638B2 (ja) * 1995-11-30 2000-09-11 ヤマハ株式会社 音楽情報処理システム
US5722041A (en) * 1995-12-05 1998-02-24 Altec Lansing Technologies, Inc. Hybrid home-entertainment system
US5819032A (en) * 1996-05-15 1998-10-06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nic magazine which is distributed electronically from a publisher to multiple subscribers
US5890063A (en) * 1996-06-03 1999-03-30 Ericsson Inc. Downloading of routing numbers to donor switche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956034A (en) * 1996-08-13 1999-09-21 Softbook Pr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electronic reading materials
US5926624A (en) * 1996-09-12 1999-07-20 Audible, Inc. Digital information library and delivery system with logic for generating files targeted to the playback device
US6088455A (en) * 1997-01-07 2000-07-11 Logan; James 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reproducing segments of broadcast programming
US6006241A (en) * 1997-03-14 1999-12-21 Microsoft Corporation Production of a video stream with synchronized annotations over a computer network
US6173317B1 (en) * 1997-03-14 2001-01-09 Microsoft Corporation Streaming and displaying a video stream with synchronized annotations over a computer network
US8087996B2 (en) * 1997-03-21 2012-01-03 Ig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mplimentary service to a player
US6546405B2 (en) * 1997-10-23 2003-04-08 Microsoft Corporation Annotating temporally-dimensioned multimedia cont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5738A (en) * 1995-02-08 1997-10-07 Fujitsu Limited Video information server system including server center cooperating with request terminals performing video on demand
WO1996031057A1 (en) * 1995-03-31 1996-10-03 Sony Europa B.V. A system for information on dem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54949B2 (en) 2016-09-27
US20070169163A1 (en) 2007-07-19
JP3861413B2 (ja) 2006-12-20
JPH11145955A (ja) 1999-05-28
US8024649B1 (en) 2011-09-20
US8589506B2 (en) 2013-11-19
KR19990044897A (ko) 1999-06-25
US20140037106A1 (en) 2014-02-06
DE19851094A1 (de)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325B1 (ko) 정보분배시스템, 정보처리 단말장치, 정보센터및 정보분배방법
JP4196419B2 (ja)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送受信方法
US7293277B1 (en) Remote control unit for intelligent digital audiovisual reproduction systems
US8028318B2 (en) Remote control unit for activating and deactivating means for payment and for displaying payment status
USRE41009E1 (en) Audio transmiss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US8159766B2 (en)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data reproduction independent of data processing
US5841979A (en) Enhanced delivery of audio data
JP3873405B2 (ja) 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配信装置
JP2000066688A (ja) 移動通信網を用いたカラオケ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EP0935248A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JPH1185785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配信システム
WO2001019002A1 (fr) Emetteur d&#39;informations de programme, systeme de communication, procede de transmission d&#39;informations de programme, procede donnant des instructions d&#39;enregistrement de programme et procede donnant des instructions d&#39;achat de programme
CN101237258B (zh) 内容提供和重放方法、便携无线终端以及内容重放设备
JPH1168994A (ja) 情報伝送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充電装置
JPH10271245A (ja) 情報通信システム、情報通信装置および情報通信方法
JPH0897784A (ja) 情報検索システム
KR20020072434A (ko) 주문형 음악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JP4297131B2 (ja) 情報処理装置、携帯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132949B2 (ja) データ転送装置、外部端末装置、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方法、及び転送制御プログラム
JP4114344B2 (ja) カラオケデータ再生装置
JP2001258067A (ja) 無線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無線端末
JP2001242874A (ja) 音楽配信システム、音楽配信システム端末、及び音楽配信システムサーバ
KR20010069952A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녹음 및 녹화 서비스 제공 방법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9980079174A (ko) 인터넷 텔레비젼의 정보 저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60515

Effective date: 2006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303

Effective date: 200707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