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280B1 -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 및 이를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커버체 - Google Patents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 및 이를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커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280B1
KR100768280B1 KR1020017015459A KR20017015459A KR100768280B1 KR 100768280 B1 KR100768280 B1 KR 100768280B1 KR 1020017015459 A KR1020017015459 A KR 1020017015459A KR 20017015459 A KR20017015459 A KR 20017015459A KR 100768280 B1 KR100768280 B1 KR 100768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eat
carrier tape
weight
hea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086A (ko
Inventor
이노우에이사오
다카모리히로코
햐쿠토메마스미
후지이가즈히토
이마무라히데키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83965A external-priority patent/JP4544563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34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D10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D1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layer and/or the carrier being condu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9/00Presence of diene rubber
    • C09J2409/003Presence of diene rubber in the prim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3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prim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C09J2453/006Presence of block copolymer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2Glass or ceramic [i.e., fired or glazed clay, cement, etc.] [porcelain, quartz,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6Heavy metal or aluminum or compound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13Heat or solvent activated or seal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13Heat or solvent activated or sealable
    • Y10T428/2817Heat seal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13Heat or solvent activated or sealable
    • Y10T428/2817Heat sealable
    • Y10T428/2826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3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including a prim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57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or natural rub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51Of polyamidoester [polyurethane, polyisocyanate, polycarbamate, etc.]
    • Y10T428/31573Next to addition polymer of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 Y10T428/31587Hydrocarbon polymer [polyethylene, polybutadien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 Y10T428/31797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10T428/31917Next to polyene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 Y10T428/3192Next to vinyl or vinylidene chloride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4Including polyene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28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1Polyene monomer-conta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습도에서도 대전방지 성능이 저하하지 않는 한편 내용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성을 갖는 투명 전도성 히트 실링재 및 이를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 커버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을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투명 전동성 히트 실링재는 히트 실링 가능한 합성 수지와 50% 입경이 1.0㎛ 이하인 도전성 미립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히트 실링재,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 포장체, 대전방지, 정전기 방전, 투명성, 도전성, 박리강도, 컬,

Description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 및 이를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TRANSPARENT, ELECTRICALLY CONDUCTIVE AND HEAT-SEALABLE MATERIAL AND LIDDED CONTAINER FOR CARRIER TAP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전기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전자제품, 특히 칩형 전자제품, 부품이 실장된 전자회로기판 등의 보관, 수송, 장착시에 이용되는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package)의 커버체(lid)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 및 이를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IC를 비롯하여,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커패시터, 압전소자 레지스터(piezo-electric element register) 등의 표면 실장용 칩형 전자부품은, 전자부품의 형상에 맞추어 수납할 수 있는 엠보싱 성형된 포켓을 연속적으로 형성한 플라스틱제 캐리어 테이프(이하, 캐리어 테이프라고 함)와 이 캐리어 테이프에 히트 실링되는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이하, 단순히 커버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로 이루어지는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에 포장되어 공급되고 있다. 내용물인 전자부품은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의 커버체를 박리한 후,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자동 인출되어 전자회로기판에 표면 실장된다.
최근 표면실장 기술의 대폭적인 향상에 따라, 이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로 수 송 등이 이루어지는 전자부품은 보다 고성능이며 소형화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부품은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 이송시의 진동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 엠보싱 내측 표면이나 커버체 내측 표면과 전자부품이 접촉함에 따른 정전기의 방전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또, 커버체를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박리할 때에 발생하는 정전기 등에 의해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캐리어 테이프 및 커버체에 대한 정전 대책이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종래, 캐리어 테이프의 대전 방지 처리(정전 처리)는 이용되는 재질에 카본블랙(carbon black)의 혼합 또는 도포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었다. 그러나, 커버체는 내용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투명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커버체는 캐리어 테이프과 동일한 대전 방지 처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대전 방지 처리가 제안되었다.
(1) 플라스틱에 계면활성제계 대전 방지제를 혼합하거나, 또는 플라스틱 표면에 도포한다.
(2) 알루미늄 박(foil)을 적층한다.
(3) 산화주석 등의 금속산화물계 도전제를 혼합한 플라스틱 수지를 표면에 도포한다.
그러나, 상기 (1)의 방법은 저습도 조건하에서 대전방지 성능이 저하 또는 소실되는 문제가 있고, (2) 및 (3)의 방법은 커버체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없어 내용물을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거나 전혀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습도에서도 대전방지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내용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투명성을 가지는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 및 이를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히트 실링이 가능한 합성 수지에 50% 입경이 1.0㎛ 이하인 도전성 미립자가 적어도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는, 히트 실링 가능한 합성 수지에 50% 입경이 1.0㎛ 이하의 도전성 미립자가 분산되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도전성을 가지고 투명성이 우수한 히트 실링재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의 표면 저항율이 104∼1012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의 광학적 특성은, 이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와 다른 적층재를 적층하여 얻어지는 적층 부재(laminated member)에서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70% 이상, 헤이즈(haze) 25% 이하가 되는 광학적 특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를 적층하여 얻어지는 적층 부재의 가장 바람직한 용도인 캐리어 테이프의 커버체에서 히트 실링재로서 사용한 경우, 요구되는 대전방지 특성 및 광학 특성이 전술한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전성 미립자가 바늘형(acicular)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가 바늘형이면 히트 실링 가능한 합성 수지 내에 분산된 각 미립자 사이의 접촉이 유지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소량이라도 전체적인 전기 저 항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 투명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대전방지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바람직한 재료이기 때문이다.
상기한 도전성 미립자는 금속산화물에 도전성을 부여한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금속산화물에 도전성을 부여한 미립자가 안티몬 도핑 산화주석의 바늘형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수의 용이성, 성능면 등을 고려한 경우, 도전성 미립자의 바늘형 분말로는 금속산화물에 도전성을 부여한 미립자, 그 중에서도 안티몬 도핑 산화주석의 바늘형 분말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전성 미립자가 구형(spherical) 미립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구형의 미립자도 전체적인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투명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충분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대전방지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바람직한 재료이기 때문이다.
이 때, 상기 도전성 미립자가 금속산화물에 도전성을 부여한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금속산화물에 도전성을 부여한 미립자가 안티몬 도핑 산화주석의 구형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히트 실링 가능한 합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히트 실링 가능한 합성 수지에 50% 입경이 1.0㎛ 이하인 도전성 미립자가 적어도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도전성 히트 실링재로 형성되고, 캐리어 테이프에 의해 히트 실링되는 히트 실링층, 2축 연신(延伸)필름으로 형성되는 외층 및 상기 히트 실링층과 외층 사이에 배치된 쿠션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는, 전술한 바와 같은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로 히트 실링층이 형성되므로, 캐리어 테이프에 히트 실링되었을 때, 양호한 대전방지 성능을 가지면서 내용물을 눈으로 확인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이 때, 상기한 쿠션층은 결정화도(degree of crystallinity)가 낮은 고분자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화도가 낮은 고분자재료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의 제조 공정에서 쿠션층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쿠션층의 수축에 기인하는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의 컬(curl)을 방지할 수 있어 더 나은 작업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에서, 상기 쿠션층은 밀도가 0.900∼0.910g/cm3 범위 내이며,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100,000 범위 내인 폴리올레핀으로 형성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으로서 이러한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쿠션성(cushioning function)이 향상되기 때문에, 쿠션층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쿠션층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제조시의 쿠션층의 수축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얻어지는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의 컬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쿠션층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스티렌 50∼90중량%와 부타디엔 50∼1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 체, 스티렌 10∼50중량%와 부타디엔 90∼5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및 내충격(high-impact)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3종 이상의 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쿠션층은, 제1 수지층과 상기한 히트 실링층에 접하는 제2 수지층의 2층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지층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지층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90중량%와 스티렌 50∼90중량% 및 부타디엔 50∼1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의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weight part)에 대해 스티렌 10∼50중량%와 부타디엔 90∼5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5∼30중량부가 첨가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쿠션층은,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과 상기 히트 실링층에 접하는 제3 수지층의 3층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지층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지층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l 0∼90중량%와, 스티렌 50∼90중량%와 부타디엔 50∼1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수지층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 ∼90중량%와, 스티렌 50∼90중량%와 부타디엔 50∼1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의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 10∼50중량%와 부타디엔 90∼5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5∼30중량부가 첨가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층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히트 실링 가능한 합성 수지에 50% 입경이 1.0㎛ 이하인 도전성 미립자가 적어도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도전성 히트 실링재로 형성되고, 캐리어 테이프에 히트 실링되는 히트 실링층, 2축 연신필름(biaxially oriented film)으로 형성되는 외층, 상기 히트 실링층과 외층 사이에 배치된 쿠션층, 및 상기 히트 실링층과 상기 쿠션층 사이에 배치된 프라이머층(primer layer)을 적어도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는,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의 히트 실링층과 쿠션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추가로 배치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기 때문에, 특히, 쿠션층과 히트 실링층 사이의 층간 박리(delamination)를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나, 쿠션층과 히트 실링층의 접착성 향상이 요구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라이머층이 설치된 본 발명의 커버체는, 쿠션층과 히트 실링층 사이의 층간 박리가 억제되기 때문에 캐리어 테이프에 히트 실링된 커버체를 박리했을 때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쿠션층과 히트 실링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커버체의 접착력을 적절한 강도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프라이머층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0∼100중량% 와, 산변성된(acid-modified)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0∼0중량%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라이머층과 쿠션층의 접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프라이머층과 히트 실링층의 접착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히트 실링 적층체는 이러한 프라이머층을 사이에 둠으로써 쿠션층과 히트 실링층을 충분한 강도로 접착할 수 있다.
또,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아크릴고무가 수지 조성물 전체의 60중량% 이하의 비율로 첨가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크릴고무를 수지 조성물 전체의 60중량% 이하의 비율로 첨가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의 작용을 더 한층 발휘시킬 수 있어,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를, 피포장체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연속적으로 가지는 캐리어 테이프에 히트 실링하여 이루어지는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를 가지기 때문에 피포장체에 대하여 정전기 방전 등에 의한 파손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내용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버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커버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커버체를 캐리어 테이프 상에 열 융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에 대해 설명한 후, 이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를 히트 실링층에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에 대해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이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를 구비하는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에 대해 설명한다.
1.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는 히트 실링 가능한 합성 수지와 50% 입경이 1.0㎛ 이하인 도전성 미립자를 적어도 가지며, 상기 도전성 미립자가 상기 합성 수지에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점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히트 실링 가능한 합성 수지란 일반적으로 히트 실링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수지로서 가시광(visible light) 영역에서 투명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수지가 사용된다. 이들 수지는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의 주된 용도인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에서 접착성 및 강도 등의 면에서 가장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이용되는 도전성 미립자로는 50% 입경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기서 50% 입경이란, 입경분포에서 50%의 입자가 포함되는 입경 을 말한다. 이러한 입경을 가지는 도전성 미립자는 구형(과립형과 동일)의 미립자일 수도 있고, 바늘형의 미립자일 수도 있다. 바늘형의 미립자는 동일한 중량 첨가한 경우의 도전성 및 투명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도전성 미립자가 바늘형의 미립자인 경우에는, 50% 입경이 0.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36㎛ 이하인 것, 그 중에서도 0.3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경은 모두 가시광의 단파장 영역 이하이기 때문에 투명성 확보의 면에서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바늘형이란 미립자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미립자의 폭의 비율이 5:1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전성 미립자가 구형의 미립자인 경우에는, 50% 입경이 1.0㎛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8㎛ 이하의 것, 그 중에서도 0.6㎛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입경을 갖는 구형 미립자는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구형 또는 바늘형의 도전성 미립자로는 도전성을 가지는 미립자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금, 은, 니켈, 알루미늄, 구리 등의 금속 미립자, 카본 블랙 미립자, 산화주석, 산화아연 및 산화 티탄 등의 금속산화물에 도전성을 부여한 도전성 미립자, 황산바륨에 도전성을 부여한 도전성 미립자, 황화아연, 황화구리, 황화카드뮴, 황화니켈, 황화팔라듐 등의 황화물에 도전성을 부여한 도전성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 중에서도 산화주석, 산화아연, 또는 산화 티탄의 금속산화물에 도전성을 부여한 것이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안티몬 도핑 산화주 석의 미립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티몬 도핑 산화주석으로는 체적 저항율이 500Ω·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Ω·m 이하인 것이 도전성의 확보의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는 상기 히트 실링 가능한 합성 수지에 상기 도전성 미립자를 혼합,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이며, 여러 가지 유기(organic) 분산제 등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분산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전성 미립자로서 구형 또는 바늘형의 안티몬 도핑 산화주석을 채용하고, 히트 실링 가능한 합성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를 채용하여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합성 수지와 도전성 미립자의 혼합비는 도전성 미립자의 종류, 입경 등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상기 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도전성 미립자가 10∼1000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100∼800중량부이다. 도전성 미립자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는 도전성이 부족하여 대전방지 성능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도전성 미립자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많은 경우는 히트 실링성(heat sealing property)에 문제가 생기거나, 상기 합성 수지에의 분산이 곤란해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의 표면 저항율은, 104∼1012Ω/□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1012Ω/□범위 내, 가장 바람 직하게는 106∼1011Ω/□범위 내이다.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는 대전방지 성능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고,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는 그 이상의 대전방지 성능은 요구되지 않으며 비용면에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의 광학적 특성은, 이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와 다른 적층재를 적층하여 얻어지는 적층부재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이고 헤이즈 25% 이하, 바람직하게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75% 이상이고 헤이즈 23%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이고 헤이즈 20% 이하인 범위 내가 되는 광학적 특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를 이용하는 경우의 도포량은 용도에 따라서 변화되지만, 일반적으로는 0.1∼8g/m2 범위 내이다.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는 접착강도의 면에서 문제가 생기고, 상기 범위보다 많이 도포한 경우에도 효과가 그다지 변하지 않아, 재료비 낭비 등의 비용면에서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는 투명성과 도전성(대전방지성)이 필요한 히트 실링층이면, 어떠한 용도에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투명성과 도전성 양 특성을 필요로 하여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의 히트 실링층에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를 히트 실링층에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에 대해 설명한다.
2.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는, 전술한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로 형성되고, 캐리어 테이프에 히트 실링되는 히트 실링층, 2축 연신필름으로 형성되는 외층, 상기 히트 실링층과 외층 사이에 배치된 쿠션층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커버체(1)는 2축 연신 수지로 형성되는 외층(2)과 접착층(3)을 사이에 두고 외층(2)에 순차로 적층된 쿠션층(4) 및 히트 실링층(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쿠션층(4)과 외층(2) 사이에 접착층(3)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접착층(3)은 필요에 따라 형성되는 층이며, 본 발명에서는 필수적인 층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해 설명한다
(외층)
도 1에서 외층(2)은 2축 연신 수지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2축 연신필름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2축 연신필름을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축 연신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층을 설치함으로써 커버체에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외층의 두께는 커버체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3.5∼80㎛정도, 바람직하게는 6∼50㎛ 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범위보다 얇은 경우는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로서의 강도가 부족할 가능성이 있고, 상기 범위보다 두꺼운 경우는 히트 실링이 곤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 이 외층의 쿠션층 쪽의 면에 필요에 따라 미리 코로나처리(corona treatment), 플라즈마처리(plasma treatment), 샌드블라스트처리(sand blast treatment)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하여 접착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정전기발생 방지처리를 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
도 1에서, 외층(2)과 쿠션층(4) 사이에 형성되는 접착층(3)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밀도 0.915∼0.g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아이오노머(ionomer),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변성물(modified product) 중 어느 하나인 폴리올레핀, 이소시아네이트계, 이민계의 접착제 등으로 형성할 수 있고, 두께는 0.2∼60㎛ 정도가 바람직하다. 접착층은 외층 상에 도포 또는 압출 성형할 수 있고, 이 접착층상에 쿠션층을 건식 적층법(dry-lamination) 또는 압출 적층법(extrusion-lamination)할 수 있다. 또, 이 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형성되는 층이다.
(쿠션층)
다음에, 외층과 히트 실링층 사이에 형성되는 쿠션층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버체에 사용되는 쿠션층으로는, 종래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의 쿠션층(중간층)에 사용되던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중밀도·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형(straight-chain)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A), 폴리프로필렌, 아이오노머,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체로 이루어지는 쿠션층로서, 두께가 10∼100㎛ 정도의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쿠션층은 건식 적층법법 또는 압출 적층법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쿠션층, 즉, 비결정성 수지를 이용하는 실시예(제1 실시예), 저밀도 폴리올레핀을 이용하는 실시예(제2 실시예) 및 올레핀계 수지와 스티렌계 수지를 혼합하여 이용하는 실시예(제3 실시예)와 같은 세 가지 실시예의 쿠션층이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다. 이하, 각각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A. 제1 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커버체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쿠션층의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쿠션층으로는, 종래부터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결정성 수지가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정성 수지를 쿠션층에 이용한 경우, 예를 들면, 결정성 수지를 압출 적층법으로 외층 상에 적층하는 경우, 압출 시의 결정화에 의해 기재(substrate)가 비틀리는(curl) 문제가 발생한다. 또 쿠션층으로서, 이러한 결정성 수지필름과 외층의 필름을 건식 적층법으로 적층한 경우에도 그 후의 프라이 머층이나 히트 실링층을 도포액을 이용하여 적층하는 경우의 건조공정에서의 열에 의해 상기 쿠션층에 이용되어 있는 결정성 수지가 수축하여 컬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제1 실시예는, 이러한 쿠션층의 컬을 방지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에 커버체를 접착하는 공정 등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쿠션층이 결정화도가 낮은 고분자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결정화도가 낮은 고분자재료를 주성분으로 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의 제조 공정에서 쿠션층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쿠션층의 수축에 기인하는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의 컬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양호하게 되기 때문이다.
제1 실시예에서, 결정화도가 낮은 고분자재료란, 구체적으로는, 아이오노머,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A),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을 들 수 있다.
또 제1 실시예에서는, 이들 결정화도가 낮은 고분자재료를 쿠션층재의 주성분으로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주성분이란 상기 결정화도가 낮은 고분자재료만을 이용하여 쿠션층을 형성하는 경우 외에, 이용하는 재료의 종류에도 의존하지만, 결정화도가 낮은 고분자재료를 전체의 5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쿠션층의 두께는, 전술한 종래의 쿠션층과 같이, 10∼100㎛ 범위 내에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결정화도가 낮은 고분자재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쿠션층을 형성함으로써, 커버체 형성 시에 커버체의 컬이 생기지 않아 이 후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커버체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쿠션층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예도 제1 실시예와 같이, 커버체의 컬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실시예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쿠션층은 커버체의 쿠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며, 이러한 쿠션층은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조건하에서 비틀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쿠션성이 양호한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쿠션층과 동등한 쿠션성을 가지면서 쿠션층의 두께를 얇게 하여, 이로써 쿠션층에 기인하는 커버체 제조 시의 컬을 경감·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쿠션층이 쿠션성이 양호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쿠션성이 양호한 재료로는, 밀도가 0.900∼0.910g/cm3, 바람직하게는 0.901∼0.909g/cm3 범위 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100,000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30,000∼90,000 범위 내인 폴리올레핀 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는, 구체적으로는 직쇄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 쿠션층의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를 이용한 히트 실링층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 외에, 종래의 히트 실링재로 이루어지는 히트 실링층과 조합하여 커버체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이 쿠션층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로나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하거나 후술하는 프라이머층을 사이에 두고 히트 실링층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제3 실시예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커버체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쿠션층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예는 쿠션층의 기능인 쿠션성을 확보하면서 쿠션층과 히트 실링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특히 상기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로 형성된 히트 실링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올레핀계 수지와 스티렌계 수지를 혼합하여 이용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쿠션층을 단일층으로 하는 경우, 2층으로 하는 경우 및 3층으로 하는 경우가 있고, 이하, 각각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쿠션층이 단층인 경우
이 경우, 쿠션층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스티렌 50∼90중량%와 부타디엔 50∼1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스 티렌 10∼50중량%와 부타디엔 90∼5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및 내충격 폴리스티렌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3종 이상의 수지로 형성된다.
쿠션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예를 들면, 부텐, 펜텐, 헥센, 헵텐, 옥텐, 4-메틸펜텐·1 등의 공중합체 등이다. 이러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가 0.915g/cm3 미만, 또는 0.940g/cm3을 넘는 경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조합에 의한 쿠션층의 막 형성 특성(film forming property)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쿠션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스티렌량이 50중량% 미만이면 필름의 점착성이 증가하여 취급이 어려워지고, 90중량%을 넘으면 저온에서 히트 실링층과의 밀착성이 악화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쿠션층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비는 캐리어 테이프에 커버체를 히트 실링한 후에 박리할 때의 박리강도와 커버체의 투명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는, 쿠션층(4)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혼합비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90중량%,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으로 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량이 30중량% 미만,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70중량%을 넘는 경우, 쿠션층의 막 형성 특성이 낮아져 커버체의 투명성도 저하하여 바 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량이 70중량%을 넘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가 30중량% 미만인 경우, 쿠션층과 히트 실링층의 밀착력이 지나치게 작고, 커버체의 박리강도가 적정한 강도를 밑돌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쿠션층에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및 내충격 폴리스티렌을 이용하여 4종의 수지로 형성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90중량%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의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 10∼50중량%와 부타디엔 90∼5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을 5∼30중량부 첨가하고, 내충격 폴리스티렌을 5∼50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의 함유량이 5중량부 미만인 경우,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을 첨가하는 효과가 발현되지 않고, 또한 30중량부를 넘으면 얻어지는 필름의 내블록킹성(blocking resistance)이 불충분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로서 첨가한 것이, 실제로는 수소 첨가물이 아닌 경우, 이 공중합체는 부타디엔 성분이 높은 것이기 때문에, 산화되기 쉬워 쿠션층(4)의 형성 시에 겔(gel)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또, 무수첨가물(anhydrous additive)을 이용한 경우, 막을 형성하는 정밀도가 나빠 필름화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내충격 폴리스티렌의 첨가량이 5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충격 폴리스티렌을 첨가하는 효과가 발현되지 않고, 50 중량부를 넘으면, 쿠션층의 투명성이 악화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상기 쿠션층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90중량%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의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만을 5∼30중량부 첨가하여 3종의 수지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90중량%와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의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내충격 폴리스티렌만을 5∼50중량부 첨가하여 3종의 수지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층 구조의 쿠션층의 두께는 통상 10∼60㎛ 정도가 바람직하다. 쿠션층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막 형성 특성이 나쁘고, 60㎛을 넘으면 커버체의 히트 실링성이 악화된다.
(2) 쿠션층이 2층인 경우
도 2는 쿠션층을 2층 구조로 한 본 발명의 커버체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쿠션층(4)은 제1 수지층(4a)와 제2 수지층(4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수지층(4a)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제2 수지층(4b)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90중량%와 스티렌 50∼90중량% 및 부타디엔 50∼1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의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 10∼50중량%와 부타디엔 90∼5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5∼30중량부가 첨가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지층(4b)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90중량%와 스티렌 50∼90중량% 및 부타디엔 50∼1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의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내충격 폴리스티렌 5∼50중량부가 첨가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제2 수지층(4b)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90중량%와 스티렌 50∼90중량% 및 부타디엔 50∼1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의 수지 조성물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 10∼50중량%와 부타디엔 90∼5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5∼30중량부와 내충격 폴리스티렌 5∼50중량부가 첨가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지층(4a) 및 제2 수지층(4b)의 두께는 각각 5∼30㎛ 정도로 할 수 있다.
(3) 쿠션층이 3층인 경우
도 3은 쿠션층을 3층 구조로 한 본 발명의 커버체의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쿠션층(4)은 제1 수지층(4a), 제2 수지층(4b) 및 히트 실링층(5)에 접하는 제3 수지층(4c)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수지층(4a)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 중합체로 형성되고, 제2 수지층(4b)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90중량%와 스티렌 50∼90중량% 및 부타디엔 50∼1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수지층(4C)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90중량%와 스티렌 50∼90중량% 및 부타디엔 50∼1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의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 10∼50중량%와 부타디엔 90∼5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5∼30중량부가 첨가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또, 제3 수지층(4c)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90중량%와 스티렌 50∼90중량% 및 부타디엔 50∼1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의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내충격 폴리스티렌 5∼50중량부가 첨가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3 수지층(4c)은 밀도 0.915∼0.940g/cm3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10∼90중량%와 스티렌 50∼90중량% 및 부타디엔 50∼1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70∼30중량%의 수지 조성물100중량부에 대하여, 스티렌 10∼50중량%와 부타디엔 90∼50중량%의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5∼30중량부와 내충격 폴리스티렌 5∼50중량부가 첨가되어 있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수지층(4a), 제2 수지층(4b) 및 제3 수지층(4c)의 두께는 각각 3∼20㎛ 의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다.
(4) 제3 실시예의 효과
본 실시예의 쿠션층을 커버체가 구비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에 히트 실링된 커버체를 박리할 때, 쿠션층과 히트 실링층의 층 사이에서의 박리, 또는 히트 실링층 내부에서의 응집파괴(cohesive fracture)에 의한 박리가 발생한다. 이 경우의 박리강도는 후술하는 히트 실링층과 캐리어 테이프와의 히트 실링 강도 보다 약한 것이고, 100∼1200g/15mm가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강도가 100g/15mm 미만이 되면, 커버체를 히트 실링한 후의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를 이송할 때에, 쿠션층과 히트 실링층의 층간 박리, 또는 히트 실링층 내부에서의 응집파괴에 의한 박리가 발생하여, 내용물이 떨어질 위험성이 있다. 또, 박리강도가 1200g/15mm을 넘으면, 커버체의 박리 시에 캐리어 테이프가 진동하여 내용물이 튀어나올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의 박리강도는 23℃, 40% RH 분위기 하에서의 180° 박리(박리속도 = 300mm/분) 값이다.
따라서, 커버체는 히트 실링층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에의 히트 실링강도를 충분히 높게하여 히트 실링한 뒤에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확실하게 박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쿠션층과 히트 실링층의 층간에서의 박리(층간 박리)를 발생시킬지 또는 히트 실링층 내에서의 응집파괴에 의한 박리를 발생시킬지는 히트 실링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즉, 히트 실링 시의 조건을 엄격하게(가열온도를 높게, 가열시간을 길게, 가압을 강하게) 함으로써 쿠션층과 히트 실링층의 층간 박리를 발생시킬 수 있어, 히트 실링 시의 조건을 완화 함으로써 히트 실링층 내에서의 응집파괴에 의한 박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한 히트 실링 조건의 구체적인 예로는, 층간 박리의 경우, 가열온도 = 140∼200℃, 가열시간 = 0.5∼2.0초, 가압 = l.0∼5.0kgf/cm2 정도이며, 응집파괴의 경우, 가열온도 = 100∼150℃, 가열시간 = 0.1∼1.0초, 가압 = 0.5∼3.0kgf/cm2 정도이다.
이 쿠션층의 제3 실시예에서는, 쿠션층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히트 실링층과의 접착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를 이용한 히트 실링층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 외에, 종래의 히트 실링재로 이루어지는 히트 실링층과 조합하여 커버체로 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히트 실링층)
본 발명의 커버체의 히트 실링층은, 전술한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이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를 히트 실링층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의 도포량은, 0.1∼8g/m2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는 접착강도의 면에서 문제가 생기고, 상기 범위보다 많이 도포한 경우에도 효과가 그다지 변하지 않으며 재료비의 낭비 등의 비용면에서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또, 도포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라비어 다이렉트법(gravure direct process) 또는 그라비어 리버스법(gravure reversing process) 등의 이미 알려진 도포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히트 실링층에는 필요에 따라 분산 안정제, 블록킹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또, 히트 실링층은 쿠션층 상에 도포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
도 4는 본 발명의 커버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히트 실링층(5)과 쿠션층(4) 사이에 프라이머층(6)을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쿠션층(4)과 히트 실링층(5) 사이의 층간 박리를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나, 쿠션층(4)과 히트 실링층(5)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6)이 설치된 커버체는, 쿠션층(4)과 히트 실링층(5) 사이의 층간 박리가 억제되기 때문에, 캐리어 테이프에 히트 실링된 커버체를 박리했을 때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쿠션층(4)과 히트 실링층(5)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커버체의 접착력을 적절한 강도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를 캐리어 테이프에 히트 실링할 때에는, 이러한 프라이머층을 설치함에 따라 층간 박리이나 접착력에 미치는 히트 실링 조건의 영향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층간 박리이란 적절한 힘이 가해지면 쉽게 벗겨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프라이머층은 올레핀, 변성 올레핀, 우레탄, 변성 우레탄, 수소화 SBS 또는 이들의 혼합물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중,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수지 조성물로는, 스티렌-에틸 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0∼100중량%와 산변성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0∼0중량%의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와 산변성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각각 단독으로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 이들을 상기 범위에서 혼합시켜 이용함으로써 프라이머층과 쿠션층의 접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프라이머층과 히트 실링층의 접착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히트 실링 적층체는 이러한 프라이머층을 사이에 설치함에 따라 쿠션층과 히트 실링층을 충분한 강도로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지 조성물에는 아크릴고무가 수지 조성물전체의 60중량% 이하의 비율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고무를 수지 조성물 전체의 60중량% 이하의 비율로 첨가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의 작용을 더 한층 발휘시킬 수 있어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수소 첨가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를 말하며, 상기 산변성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산변성율이 1∼100%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말한다.
아크릴고무는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한 고무를 말한다. 여기에서, 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일반적으로,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또, 아크릴고무를 구성하는 가교 결합용 작용기(cross-linking functional group)로는, 2-클로로에틸비닐에테르, 기타 활성할로겐 함유 모노머(모노클로로초산비닐, 알릴클로로아세테이트 등),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알릴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에틸리덴노르보르넨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층의 도포량은 0.05∼2.5g/m2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특히 0.1∼2.0g/m2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는 프라이머층으로서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상기 범위보다 많은 경우는 효과가 변하지 않으므로 비용면에서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의 제조 방법은 보통의 필름 적층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조 방법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
이러한 본 발명의 커버체는, 전술한 바와 같은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로 히트 실링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캐리어 테이프 상에 히트 실링되어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가 된 경우에도, 정전기 방전에 의한 내용물의 손상이 없고, 내용물의 눈으로 확인하는 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커버체 자체의 광학적 특성으로는 헤이즈가 25% 이하이고 전체 광선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헤이즈가 20% 이하이고 전체 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3.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
상기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는 캐리어 테이프 상에 히트 실링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로서 이용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포장체를 수납하는 수납부(12)를 가지는 캐리어 테이프(11) 상에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1)가,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수납부(12)의 양단부에 소정 폭으로 라인형으로 된 히트 실링부(H)를 히트 실링함으로써 접착되어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가 된다. 상기 수납부는, 도 5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엠보싱 성형된 포켓형이며, 캐리어 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캐리어 테이프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폴리에스테르(A-PET, PEN, PET-G, PCT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등의 수지 또는 이들에 정전기 대책으로서 도전성 카본 미립자, 금속 미립자, 산화주석이나 산화아연, 산화 티탄 등의 금속산화물에 도전성을 부여한 도전성 미분말(fine powder), Si계 유기화합물, 계면활성제를 혼합하거나 도포한 것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 PS계 수지 시트나 ABS계 수지 시트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카본블랙을 함유한 PS계나 ABS계 수지필름 또는 시트를 같이 압출(co-extrusion)하여 일체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플라스틱 시트를 형성한 것도 들 수 있다. 또는 도전성처리로서, 플라스틱필름표면에 도전성 고분자를 형성시킨 것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인 구성을 가지고,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두께 16㎛, 대전방지타입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외층)의 한 면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적정량 혼합한 우레탄계 앵커 코팅제(anchor coating agent)를 0.2g/m2가 되도록 그라비어 다이렉트법으로 도포한다(접착층). 또한 싱글사이트(single site) 촉매로 중합한 직쇄형 폴리에틸렌을 25㎛ 두께로 압출 라미네이트법으로 적층하여(쿠션층), 외층 상에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쿠션층이 형성된 기재(基材)를 얻었다. 또, 상기 쿠션층인 직쇄형 폴리에틸렌 표면에 코로나처리를 행하고, 표면 습윤성(suface wettability)을 420μN으로 하였다.
상기 기재의 쿠션층쪽 면에, 프라이머층으로서 산변성 올레핀 1.0g/m2량을 그라비어 다이렉트법으로 도포하였다.
아크릴계 히트 실링제(heat sealing agent)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입경이 0.05㎛인 도전성 바늘형 산화주석 미분말의 고형분 200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로 하여, 상기 기재의 쿠션층쪽 면에 그라비어 리버스법으로 2g/m2가 되도록 도포하여(히트 실링층) 커버체를 얻었다.
상기 커버체는 표면 저항율 108Ω/□, 전체 광선 투과율 90%, 헤이즈 6%이 며, 양호한 대전방지 성능 및 투명성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적층체를 21.5mm 폭으로 가늘게 잘라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로 하고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및 폴리카보네이트(PC)제의 캐리어 테이프에 실링 온도 140℃에서 히트 실링한 결과, 박리강도는 각각, 40gf, 45gf, 40gf로 양호한 박리강도를 가지고 있다. 또, 내용물을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l0, 12]
재료를 표 1에 나타낸 것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커버체를 얻었다. 커버체의 평가결과를 표 2에 통합한다. 표 중의 박리강도는 폴리스티렌에 대한 것이다.
[실시예 1l]
실시예 1에서, 직쇄형 폴리에틸렌 30㎛ 두께의 필름을 PET에 건식 적층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커버체를 얻었다. 얻어진 커버체는 박리강도 40gf로 양호한 박리강도를 가지고 있다. 또 내용물을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에서, PET의 막 두께와 프라이머층의 재질을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l)과 같이 하여 커버체를 얻었다. 평가결과를 표 2에 통합한다.
[실시예 14]
도전성 미립자를, 50% 입경이 1.0㎛인 구형 미립자로 변경하고, 기타 사항에 관해서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여 커버체를 얻었다. 평가결과를 표 2에 통합한다.
Figure 112001031666872-pct00001
A: 외층, N: 접착층 C: 큐션층, D: 프라이머층, E: 히트 실링층, a: 재질 b: 두께(㎛), c: 재질, d: 재질, e: 두께(㎛), f: 재질, g: 도포량(g/m2), h: 합성 수지, i: 산화주석 미분말, j: 도포량(g/m2), k: 혼합비, l: 컬량(mm),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P: 폴리에틸렌, w: 우레탄, LL: 직쇄형 폴리에틸렌,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EM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x: 변성 폴리올레핀, x': 수소화 SBS, SBS: 수소화 스티렌-에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y: 아크릴 수지, z: 바늘형, 50% 입경이 0.05㎛인 산화주석의 바늘형 미립 자, z': 구형, 50% 입경이 1.0㎛인 산화주석의 구형 미립자
*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함유, *2: 합성 수지 혼합비: 산화주석 미분말(중량 기준)
Figure 112001031666872-pct00002
다음에, 프라이머층의 재질을 변경한 경우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A]
두께 12㎛인 대전방지 타입의 2축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표 3에서는 PET로 나타낸다) 필름(외층)의 한 면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적정량 혼합한 우레탄계 접착제(표 3에서는 우레탄으로 나타낸다)를 4.0g/m2가 되도록 그라비어 다이렉트법으로 도포하고(접착층), 싱글사이트 촉매로 중합한 직쇄형 폴리에틸렌(표 3에서는 LL로 나타낸다) 필름(쿠션층) 30㎛을 건식 적층법으로 적층하여, 외층 상에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쿠션층이 형성된 기재를 얻었다.
상기 기재의 쿠션층쪽 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인 스티렌-에틸렌-부티렌-스티렌 공중합체(표 3에서는 SEBS로 나타낸다) 1.0g/m2를 그라비어 다이렉트법으로 도포하였다.
아크릴계 히트 실링제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50% 입경이 0.05㎛인 도전성 바늘형 산화주석 미분말의 고형분 200중량부 혼합한 것을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로서 상기 기재의 쿠션층쪽 면에 그라비어 리버스법으로 2.1g/m2가 되도록 도포하여(히트 실링층) 커버체를 얻었다.
상기 커버체는 표면 저항율 3×107Ω/□, 전체 광선 투과율 90.3%, 헤이즈 6.4%이며, 양호한 대전방지 성능 및 투명성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적층체를 21.5mm 폭으로 가늘게 잘라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로 하여, 폴리스티렌(PS)제의 캐리어 테이프에 실링 온도 150℃에서 히트 실링한 결과, 박리강도는 39gf로, 양호한 박리강도를 가지고 있다. 또, 내용물을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B∼I]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과 그 도포량을 표 3에 나타내는 것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A와 동일하게 하여 커버체를 얻었다. 커버체의 평가결과를 표 4에 통합한다.
Figure 112001031666872-pct00003
A: 외층, N: 접착층, C: 큐션층, D: 프라이머층, E: 히트 실링층, a: 재질 b: 두께(㎛), c: 재질, d: 재질, e: 두께(㎛), f: SEBS, g: 산변성된 SEBS, h: 아크릴 고무, i: 도포량(g/m2), j: 합성 수지:산화주석(혼합비), k: 도포량(g/m2),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LL: 직쇄형 폴리에틸렌, SEB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공중합체: 산변성된 SBS: 산변성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틸렌 공중합체
Figure 112001031666872-pct00004
(헤이즈 및 전체 광선 투과율의 측정조건)
스가시험기(주)[Suge Tester Co., Ltd]에서 제조된 칼라컴퓨터 SM-5SC로 측정하였다.
(표면 저항율의 측정조건)
22℃, 40% RH 하에서, 미쓰비시유화(주)[Mitsubishi Petrochemical Corp.]에서 제조된 HIGHRESTER IP로 측정하였다.
(박리강도의 측정조건)
얻어진 히트 실링 적층체를 21.5mm 폭으로 가늘게 잘라 캐리어 테이프 커버재로하고, 24mm 폭의 폴리스티렌(PS)제 캐리어 테이프와 히트 실링하여,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컬량의 평가조건)
커버체를 15cm 사각형 조각으로 절단하여, 그 중심에 4cm×4cm의 ×형 절개부(cross-notch)를 넣어 컬량이 안정될 때까지 방치한 후, 측면에서 관찰하여 절개부 중앙부의 커버체 평면으로부터 가장 떨어진 부분과 커버체 평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것을 컬량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는 도전성을 가지는 한편 투명성이 우수한 히트 실링재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해 파손되기 쉬운 전자제품, 특히 칩형 전자제품, 부품 실장된 전자회로기판 등의 보관, 수송, 장착 시에 이용되는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의 커버체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히트 실링 가능한 합성 수지에, 50% 입경이 1.0㎛ 이하인 바늘형의 도전성 미립자가 적어도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로 형성되어, 캐리어 테이프에 히트 실링되는 히트 실링층,
    2축 연신필름으로 형성되는 외층, 그리고
    상기 히트 실링층과 상기 외층 사이에 배치된 쿠션층
    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쿠션층은, 밀도가 0.900∼0.910g/cm3 범위 내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100,000 범위 내인 폴리올레핀으로 형성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히트 실링 가능한 합성 수지에, 50% 입경이 1.0㎛ 이하인 바늘형의 도전성 미립자가 적어도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로 형성되어, 캐리어 테이프에 히트 실링되는 히트 실링층,
    2축 연신필름으로 형성되는 외층,
    상기 히트 실링층과 외층 사이에 배치된 쿠션층, 그리고
    상기 히트 실링층과 상기 쿠션층 사이에 배치된 프라이머층
    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0∼100중량%와 산변성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0∼0중량%의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
  18. 히트 실링 가능한 합성 수지에, 50% 입경이 1.0㎛ 이하인 바늘형의 도전성 미립자가 적어도 분산되어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로 형성되어, 캐리어 테이프에 히트 실링되는 히트 실링층,
    2축 연신필름으로 형성되는 외층,
    상기 히트 실링층과 외층 사이에 배치된 쿠션층, 그리고
    상기 히트 실링층과 상기 쿠션층 사이에 배치된 프라이머층
    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에는, 아크릴고무가 수지 조성물 전체의 60중량% 이하의 비율로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
  19. 삭제
  20. 제11항, 제17항 또는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캐리어 테이프 커버체를, 피포장체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연속적으로 가지는 캐리어 테이프에 히트 실링하여 이루어지는 캐리어 테이프 포장체.
KR1020017015459A 2000-04-03 2001-04-02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 및 이를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커버체 KR100768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0524 2000-04-03
JPJP-P-2000-00100524 2000-04-03
JPJP-P-2001-00083965 2001-03-23
JP2001083965A JP4544563B2 (ja) 2001-03-23 2001-03-23 ヒートシール積層体およびキャリアテープ包装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086A KR20020034086A (ko) 2002-05-08
KR100768280B1 true KR100768280B1 (ko) 2007-10-17

Family

ID=2658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459A KR100768280B1 (ko) 2000-04-03 2001-04-02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 및 이를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커버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635343B2 (ko)
KR (1) KR100768280B1 (ko)
CN (1) CN1277275C (ko)
HK (1) HK1045755B (ko)
TW (1) TWI233621B (ko)
WO (1) WO20010759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2148A2 (ko) * 2009-07-01 2011-01-06 동일화학공업 주식회사 열 수축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9058A1 (en) * 2003-05-12 2004-11-18 Trouilhet Yves M. Multilayer film
JP4837257B2 (ja) * 2004-02-26 2011-12-14 日東電工株式会社 帯電防止性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7695805B2 (en) 2004-11-30 2010-04-13 Tdk Corporation Transparent conductor
SE528260C2 (sv) * 2004-12-14 2006-10-03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örpackningslaminat samt förpackningsbehållare
JP5047811B2 (ja) * 2005-02-11 2012-10-10 シーカ・テクノロジー・アーゲー エアープラズマ処理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の接着
CN201072451Y (zh) * 2007-02-27 2008-06-11 叶隆泰 高透明导电性位相差胶膜
US9144464B2 (en) * 2009-08-14 2015-09-29 Ufp Technologies, Inc. Composite for packaging a medical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EP2499176B2 (en) * 2009-11-11 2022-08-10 Borealis AG Power cable comprising a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olefin produced in a high pressure process
US9517611B2 (en) 2010-02-26 2016-12-13 Coveris Flexibles Us Llc Multi-layer low temperature shrink film
CN101973150B (zh) * 2010-08-25 2012-12-19 浙江洁美电子科技有限公司 用于电子元器件包装载体的上胶带及其制备方法
CN103153811B (zh) * 2010-10-13 2015-04-08 电气化学工业株式会社 覆盖膜
MY190586A (en) * 2010-12-17 2022-04-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Heat-sealing film and cover tape for packaging electronic components
US9327880B2 (en) 2011-06-08 2016-05-03 Denka Company Limited Cover film
WO2013077696A1 (ko) 2011-11-25 2013-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혼합물
CN104118644A (zh) * 2013-04-23 2014-10-29 凯吉凯精密电子技术开发(苏州)有限公司 电路板输送治具
WO2016066619A1 (en) * 2014-10-27 2016-05-06 Borealis Ag Polymer composition for cable applications with advantageous electrical properties
CN107001729A (zh) * 2014-10-27 2017-08-01 北欧化工股份公司 具有优越电性能的聚合物组合物以及电缆
KR101756623B1 (ko) * 2014-11-12 2017-07-10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부품 포장용 커버 테이프, 전자 부품 포장용 포장재, 및 전자 부품 포장체
WO2016097250A1 (en) * 2014-12-19 2016-06-23 Borealis Ag Polymer composition for w&c application with advantageous electrical properties
CN107603044B (zh) * 2017-09-06 2020-07-14 惠州市凯帝智光电科技有限公司 多功能复合板及其制备方法
JP7192798B2 (ja) * 2017-12-25 2022-12-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導電性フィルム、センサ、タッチパネル、画像表示装置、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き導電性フィルム
CN114074799A (zh) * 2020-08-18 2022-02-22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载料带及载料卷
CN112590173A (zh) * 2020-11-25 2021-04-02 苏州专益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加热的载带成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7457A (ja) * 1991-05-31 1992-12-18 Shin Etsu Polymer Co Ltd カバーテープ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実装部品包装体
JPH09267450A (ja) * 1996-01-29 1997-10-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バーテープ
KR0174328B1 (ko) * 1996-06-11 1999-03-20 구형우 캐리어테이프용 열 접착테이프
JPH11242916A (ja) * 1997-12-25 1999-09-07 Fuji Photo Film Co Ltd 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及び透明導電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7862A (ja) 1989-12-19 1991-08-15 Korukooto Eng Kk テーピング包装材
TW203624B (ko) * 1991-02-28 1993-04-11 Sumitomo Bakelite Co
JP3187862B2 (ja) 1991-06-14 2001-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亜鉛アルカリ電池
US5441809A (en) * 1993-10-28 1995-08-15 Brady U.S.A., Inc. Dissipative cover tape surface mount device packaging
JPH07156987A (ja) 1993-11-29 1995-06-20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部品搬送体用底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5837209A (en) * 1995-04-10 1998-11-17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Tin oxide whisker
JPH08295001A (ja) * 1995-04-27 1996-11-12 Dainippon Printing Co Ltd 蓋材とキャリアテープ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テーピング
US6261278B1 (en) * 1997-12-31 2001-07-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lm with improved self-adhesive propert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7457A (ja) * 1991-05-31 1992-12-18 Shin Etsu Polymer Co Ltd カバーテープ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実装部品包装体
JPH09267450A (ja) * 1996-01-29 1997-10-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カバーテープ
KR0174328B1 (ko) * 1996-06-11 1999-03-20 구형우 캐리어테이프용 열 접착테이프
JPH11242916A (ja) * 1997-12-25 1999-09-07 Fuji Photo Film Co Ltd 透明導電膜の製造方法及び透明導電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2148A2 (ko) * 2009-07-01 2011-01-06 동일화학공업 주식회사 열 수축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WO2011002148A3 (ko) * 2009-07-01 2011-03-10 동일화학공업 주식회사 열 수축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75905A1 (fr) 2001-10-11
HK1045755B (zh) 2006-12-29
US20030017328A1 (en) 2003-01-23
US6926956B2 (en) 2005-08-09
HK1045755A1 (en) 2002-12-06
US6635343B2 (en) 2003-10-21
CN1277275C (zh) 2006-09-27
TWI233621B (en) 2005-06-01
US20040023022A1 (en) 2004-02-05
CN1366681A (zh) 2002-08-28
KR20020034086A (ko) 200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280B1 (ko) 투명 도전성 히트 실링재 및 이를 이용한 캐리어 테이프커버체
KR940011833B1 (ko) 칩형 전자부품 포장용 커버테이프
EP0466937B2 (en) Plastic carrier tape and cover tape for electronic component chip
KR101689056B1 (ko) 커버 필름
JP5695644B2 (ja) カバーテープ
JP5993850B2 (ja) カバーフィルム
KR101954467B1 (ko) 커버 필름
KR102247258B1 (ko) 커버 필름 및 전자 부품 포장체
US6787224B2 (en) Cover tape for packaging electronic components
JP4544563B2 (ja) ヒートシール積層体およびキャリアテープ包装体
TWI778161B (zh) 覆蓋膜
JP4334858B2 (ja) 電子部品のテーピング包装用カバーテープ
JP4826018B2 (ja) キャリアテープ蓋体
JP3854317B2 (ja) 蓋材
JPH11198299A (ja) 蓋 材
JP2004237996A (ja) カバー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JP2004026299A (ja) キャリアテープ用カバーテープ
JP2004123112A (ja) キャリアテープ用カバーテープ
JP4213375B2 (ja) 電子部品包装用カバーテープ
JPH0796967A (ja) 蓋 材
JP2003012027A (ja) 電子部品包装用カバー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