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079B1 -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079B1
KR100768079B1 KR1020060133976A KR20060133976A KR100768079B1 KR 100768079 B1 KR100768079 B1 KR 100768079B1 KR 1020060133976 A KR1020060133976 A KR 1020060133976A KR 20060133976 A KR20060133976 A KR 20060133976A KR 100768079 B1 KR100768079 B1 KR 100768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rotection device
portable
worker protection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수
정현승
구정서
윤영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3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6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warning men working on the ro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F16M11/245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로 작업시 작업장소의 전방에 설치하여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철도차량과의 충돌시 에어백을 통해 선로 작업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레일의 양 옆 바깥쪽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기둥과; 상기 고정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에어백과; 상기 고정기둥과 에어백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로 작업시 철도차량과 선로작업자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고, 철도차량이 에어백에 충돌할 경우 밀착부가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밀착되고, 에어쿠션부가 작동하여 선로 작업자를 레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탈되도록 하여 철도차량과의 충돌에 따른 선로 작업자의 상해치 및 사망률을 저감시킴으로써,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로 작업자, 휴대용, 보호장치, 에어백

Description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Portable Protection Device for Railway Work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중 고정기둥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가 철도차량과 충돌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가 철도차량과 충돌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철도차량 20 : 레일
100 :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200 : 고정기둥 210 : 높이조절수단
220 : 지지부재 230 : 고정용 홀
240 : 팩 250 : 제 1지지대
252 : 돌출부 254 : 슬릿
260 : 제 2지지대 262 : 삽입홀
270 : 제 3지지대 300 : 에어백
310 : 밀착부 320 : 에어쿠션부
400 : 연결부 500 : 경고등
본 발명은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로 작업시 작업장소의 전방에 설치하여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철도차량과의 충돌시 에어백을 통해 선로 작업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는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그 일례로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단순히 공기가 충진되는 에어백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되는 에어백의 경우, 외기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철도차량의 주행시 주행속도에 따른 외부공기가 에어백을 가압하게 되면서 에어백의 내부 공기압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반복적인 가압에 의해 결국에는 상기 에어백이 파 손되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 사용시 풍화작용에 따른 에어백의 손상으로 인해 에어백 표면강도가 저하되게 되고, 손상된 에어백으로 인하여 내부공기가 누설되어 철도차량의 대인 충돌에 따른 비상 상황시 에어백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출원인이 출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0604387호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가 있는데, 그 기술적 요지는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는 에어쿠션을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하되, 상기 에어쿠션을 충진 압력이 상이한 2개의 에어쿠션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에어쿠션에 회동 가능한 에어쿠션 받침대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평상시엔 에어쿠션 받침대가 차량 전두부 측으로 접혀져 에어쿠션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비상시엔 에어쿠션 받침대가 차량 하방으로 회동하여 팽창된 에어쿠션이 차량 아래로 들어가지 않도록 지지 보호하며, 특히 철도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에어쿠션 중 저압력부 에어쿠션과 고압력부 에어쿠션에 의한 1,2차적 충격 흡수를 통해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손상 정도를 최소화시켜 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은, 고압력부 에어쿠션에 의해 저압력부 에어쿠션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의 1차적 충격 흡수 및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의 2차적 충격 흡수를 통해 상기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의 손상 정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모든 철도차량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비 가 많이 들고, 철도차량의 전두부 형상에 따라 적용되는 에어쿠션 및 구명장치의 형태가 달라져야 하므로 모든 철도차량에 적용하기에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철도차량의 운전자가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를 발견하지 못할 경우에는 철도차량과 선로 작업자의 직접적인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 역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여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현장에 직접 설치하므로 철도차량에 추가적으로 선로 작업자를 위한 구명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 운전자에게 선로 작업상황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하여 철도차량과 선로 작업자의 직접적인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 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이 에어백에 충돌할 경우 밀착부가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밀착되고, 에어쿠션부가 작동하여 선로 작업자를 레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탈되도록 하여 철도차량과의 충돌에 따른 선로 작업자의 상해치 및 사망률을 저감시킴으로써,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휴 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일의 양 옆 바깥쪽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기둥과; 상기 고정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에어백과; 상기 고정기둥과 에어백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기둥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기둥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1지지대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지지대와, 상기 제 2지지대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3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지지대의 상부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기둥을 수직으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두 개 이상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에는 고정용 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대의 상부 중앙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지지대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에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에어백은 철도차량과 충돌시 철도차량 측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선로 작업자 측으로 팽창하는 에어쿠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탄성재의 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기둥의 상단에는 경고등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중 고정기둥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가 철도차량과 충돌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가 철도차량과 충돌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이하 "보호장치"로 병행하여 표기합니다.)(100)는 선로 작업현장으로부터 일정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곳의 레일(20)의 바깥쪽 양 측면에 설치되어 철도차량(10)이 에어백(300)에 충돌할 경우 상기 에어벡(300)의 밀착부(310)가 철도차량(10)의 전두부에 밀착되고, 에어쿠션부(320)가 작동하여 선로 작업자를 레일(20)의 바깥쪽으로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10)과의 충돌에 따른 선로 작업자의 상해치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그 구성은 크게 고정기둥(200)과, 에어백(300) 및 연결부(400)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로 작업현장의 전방부, 즉 작 업현장으로부터 철도차량(10)이 다가오는 방향으로 일정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곳의 레일(20)의 바깥쪽 양 측면에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기둥(200)과, 상기 고정기둥(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에어백(300)과, 상기 고정기둥(200)에 에어백(300)을 연결지지시키는 연결부(40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고정기둥(200)은 선로 작업자의 신장이나 작업현장의 경사도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수단(21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기둥(20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1지지대(250)와, 상기 제 1지지대(25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지지대(260)와, 상기 제 2지지대(260)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3지지대(270)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1지지대(250)의 상부에는 중공의 돌출부(25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지지대(25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2지지대(260)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252)가 삽입되는 삽입홀(262)이 돌출부(25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지지대(260)의 상부에는 제 3지지대(270)가 결합되는데, 이 때 상기 제 3지지대(270)는 제 2지지대(260)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전술한 높이조절수단(210)에 의해 고정기둥(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지지대(25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252)는 바람이나 기타 외부적인 작용에 의해 제 2지지대(260)가 제 1지지대(25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52)의 하부에는 슬릿(254)이 형성되어 철도차 량(10)이 에어백(300)에 충돌할 경우, 후술할 연결부(400)가 늘어나면서 철도차량(10)의 진행방향으로 에어백(300)이 일체로 진행하다가 지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제 1지지대(250)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기둥(200)의 하부, 즉 제 1지지대(250)의 상부에는 철도차량(10)과의 충돌시 상기 고정기둥(200)이 지면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20)가 두 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데, 지면과의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서는 상기 제 1지지대(250)의 주위로 120°간격으로 세 개의 지지부재(22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20)는 보호장치(100)가 설치되는 지면의 형상에 따라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지지대(250)에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220)가 지면에 결합되는 끝단부에는 고정용 홀(230)이 관통형성되어 팩(240)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보호장치(100)가 지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백(300)은 일반적인 에어백과는 달리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차량(10)과의 충돌시 철도차량(10)에 밀착되는 밀착부(310)와, 철도차량(10)과의 충돌과 동시에 팽창하는 에어쿠션부(32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밀착부(310)는 철도차량(10)과의 충돌시 철도차량(10)의 전두부에 밀착됨으로써 다양한 철도차량(10)의 전두부 형상에 따라 에어쿠션부(320)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충돌시 에어쿠션부(32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선로 작업자가 안전하게 레일(20)의 바깥쪽으로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탄성이 강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에어 쿠션부(320)는 자동차의 에어백과 같은 폭발방식, 즉 충격에 의한 폭발로 에어백(300)이 선로 작업자 측으로 팽창되는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300)의 작동과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에어백(300)을 고정기둥(200)에 연결지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기둥(200)의 상부 및 하부, 보다 상세하게는 제 3지지대(270)의 상부와 제 2지지대(260)의 하부로부터 에어백(300)의 양 측면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도차량(10)이 에어백(300)에 충돌할 경우 고정기둥(200)은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에어백(300)은 철도차량(10)의 진행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연결부(400)의 길이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 때, 철도차량(10)과의 충돌로 인하여 상기 에어백(300)이 고정기둥(200)으로부터 바로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400)는 탄성재의 끈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에어백(300)이 일정거리 동안은 철도차량(10)의 진행방향을 따라 나아갈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400)는 철도차량(10)과의 충돌과 동시에 고정상태로부터 늘어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연결부(400)의 길이가 다하여 고정기둥(200)이 철도차량(10)의 진행속도에 의한 힘을 견디지 못하면 제 1지지대(250)의 돌출부(252)에 형성된 슬릿(254)의 작용에 의해 제 2지지대(260)로부터 윗쪽 부분의 보호장치(100)가 제 1지지대(250)로 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기둥(200)의 상부에는 경고등(500)을 착탈가능하도록 설치 하여 철도차량(10)이 다가오는 방향으로 빛을 밝혀 철도차량(10) 운전자에게 작업상황을 미리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100)를 선로 작업현장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선로 작업현장으로부터 일정 안전거리만큼 떨어진 곳의 레일(20)의 양 옆 바깥쪽 지면에 고정기둥(200)의 제 1지지대(250)를 세워 고정시킨다. 그 후, 설치되는 곳의 지면의 형상에 맞도록 상기 제 1지지대(250)의 상부에 힌지결합된 지지부재(220)의 각도를 조정하여 지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지지부재(220)의 끝단에 형성된 고정용 홀(230)을 통해 팩(240)을 이용하여 지지부재(220)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다음, 제 2지지대(260)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홀(262)에 상기 제 1지지대(25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252)가 삽입되도록 하여 제 2지지대(260)를 제 1지지대(250)의 상부에 결합시킨다.
그 후, 상기 제 2지지대(260)의 상부에 제 3지지대(270)를 삽입시킨 후 높이조절수단(210)을 이용하여 선로 작업자의 신장이나 작업 현장의 경사도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고정기둥(200)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정한다.
그리고 나서, 에어백(300)에 연결결합된 탄성재의 끈으로 이루어진 연결부(400)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기둥(200)과 에어백(300)을 연결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되는데, 이 때 상기 연결 부(400)는 철도차량(10)과의 충돌시 늘어나면서 일정거리만큼 에어백(300)이 철도차량(10)과 함께 진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또한 고정기둥(200)의 제 2지지대(260)의 하단과, 제 3지지대(270)의 상단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연결부(400)의 길이가 최대로 늘어나면 제 1지지대(250)의 돌출부(252)에 형성된 슬릿(254)에 의해 제 2지지대(260)로부터 윗쪽 부분의 보호장치(100)가 제 1지지대(250)로 부터 떨어져 나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야간작업시 또는 흐리거나 안개가 끼어 철도차량(10) 운전자의 시야확보가 어려울 경우 상기 고정기둥(200)의 상단에 경고등(500)을 설치하여 철도차량(10)이 다가오는 방향으로 빛을 밝힘으로써 철도차량(10) 운전자에게 작업상황을 미리 경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 완료된 보호장치(100)는 선로 작업자가 작업 도중 전방에서 철도차량(10)이 진입하게 되면 고정기둥(200)의 제 2지지대(260)를 제 1지지대(250)로부터 분리시켜 에어백(300)을 레일(20) 상부로부터 철거시켰다가 철도차량(10)이 통과한 후 다시 제 2지지대(260)를 제 1지지대(250)에 결합시켜 에어백(300)이 설치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100)는 우선 철도차량(10)의 운전자가 전방의 작업상황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10)의 속도를 줄이게 되어 선로 작업자와 충돌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만약 선로 작업자가 미리 대피하지 못하여 철도차량(10)이 보호장치(100)와 충돌하게 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300)의 밀착부(310)가 철도차량(10)의 전두부에 밀착되 어 전두부의 형상에 관계없이 에어쿠션부(320)가 바르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고, 에어쿠션부(320)가 작동하여 선로 작업자를 레일(20)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10)과의 충돌에 따른 선로 작업자의 상해치를 최소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에 의하면, 구성이 간단하여 휴대할 수 있고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며, 선로 작업현장에 직접 설치하므로 철도차량에 추가적으로 선로 작업자를 위한 구명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철도차량 운전자에게 선로 작업상황을 미리 알 수 있도록 하여 철도차량과 선로 작업자의 직접적인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철도차량과 충돌시 탄성재의 끈으로 이루어진 연결부가 늘어나면서 에어백이 철도차량과 함께 진행하도록 하고, 연결부가 최대로 늘어나면 에어백이 설치된 고정기둥의 윗부분이 지면에 고정설치된 부분으로부터 이탈되어 2차적인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밀착되는 에어백의 밀착부의 작용에 의해 전두부의 형상에 관계없이 에어쿠션부가 손상되지 않고 올바른 형태로 작동하게 되므로 선로 작업자를 안전하게 레일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철도차량과의 충돌에 따른 선로 작업자의 상해치 및 사망률을 저감시킴으로써,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Claims (10)

  1. 레일의 양 옆 바깥쪽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기둥과;
    상기 고정기둥의 사이에 설치되는 에어백과;
    상기 고정기둥과 에어백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둥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둥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 1지지대와, 상기 제 1지지대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2지지대와, 상기 제 2지지대의 상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 3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대의 상부 외주연에는 상기 고정기둥을 수직으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두 개 이상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끝단에는 고정용 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대의 상부 중앙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지지대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에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철도차량과 충돌시 철도차량 측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선로 작업자 측으로 팽창하는 에어쿠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탄성재의 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둥의 상단에는 경고등이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KR1020060133976A 2006-12-26 2006-12-26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KR100768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976A KR100768079B1 (ko) 2006-12-26 2006-12-26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976A KR100768079B1 (ko) 2006-12-26 2006-12-26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079B1 true KR100768079B1 (ko) 2007-10-17

Family

ID=3881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976A KR100768079B1 (ko) 2006-12-26 2006-12-26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0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739A (ja) * 2002-03-28 2003-10-07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列車の直撃防止用緩衝装置
KR100604387B1 (ko) * 2004-12-24 2006-07-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739A (ja) * 2002-03-28 2003-10-07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列車の直撃防止用緩衝装置
KR100604387B1 (ko) * 2004-12-24 2006-07-2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1930B1 (ko) 에어백 모듈
US6450556B1 (en) Under-ride protection airbag system and method of its use
US9150225B2 (en) Safety device for railway vehicles
ES2880107T3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personal para fijar en la parte de abajo de un vehículo ferroviario
CN201092298Y (zh) 汽车碰撞的保护装置
CN203920652U (zh) 汽车保险杠
KR101180985B1 (ko) 철도차량 접촉사고자 보호 장치
CN109083493B (zh) 市政工程安全防护装置及其安装方法
KR100768079B1 (ko)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CN103434476B (zh) 一种车用安全系统
JP2001301550A (ja) 衝撃から車両を保護する装置
KR100767764B1 (ko)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KR101086826B1 (ko) 도로용 가드레일의 에어백 구조
KR100888206B1 (ko) 차량의 추락방지용 가이드휀스
KR200316361Y1 (ko) 다단 에어백을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KR20120005214A (ko) 도로 안전 방호대
CN105922963A (zh) 一种汽车侧面防撞缓冲装置
US20050072331A1 (en) Protective crash barrier for locomotives and highway construction vehicles
KR200385880Y1 (ko) 차량방호책용 충격흡수장치
ES2955614T3 (es) Extremo delantero para un vehículo sobre carriles
KR102512579B1 (ko) 풍력발전기 및 안전 하우징이 구비된 중앙분리대
CN103253224A (zh) 一种汽车安全气囊及汽车
CN219969621U (zh) 一种安全气囊和车辆
CN212694241U (zh) 一种防摔式投影仪
KR20050091893A (ko)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