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387B1 -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387B1
KR100604387B1 KR1020040112121A KR20040112121A KR100604387B1 KR 100604387 B1 KR100604387 B1 KR 100604387B1 KR 1020040112121 A KR1020040112121 A KR 1020040112121A KR 20040112121 A KR20040112121 A KR 20040112121A KR 100604387 B1 KR100604387 B1 KR 100604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ushion
air
railway vehicle
pedestrian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1893A (ko
Inventor
구정서
권태수
정현승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12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387B1/ko
Publication of KR20050091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9/00Wheel guards; Bumper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 B61F19/04Bumpers or like collision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61D15/06Buffer cars; Arrangements or construction of railway vehicles for protecting them in case of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9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되는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명장치는,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되는 통상의 구명장치에 있어서;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내장된 에어챔버와; 상기 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되되, 공기 공급시 팽창되면서 상기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를 보호하는 에어쿠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철도차량과의 충돌시 에어쿠션을 통해 철도차량과의 일차적 충돌에 따른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상해를 최소로 저감함과 동시에, 철도차량과의 일차 충돌 후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를 선로 밖으로 이탈시켜 후속 철도차량과의 이차적 충돌을 예방함으로써, 대인사고의 상해치 및 사망률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철도차량, 선로 작업자, 보행자, 구명장치, 에어쿠션, 고압력부 에어쿠션, 저압력부 에어쿠션, 에어쿠션 받침대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The life saving for pedestrian and railway line an operator of railway vehicle}
도 1은 종래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에어쿠션이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철도차량 전두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철도차량 전두부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장치의 배관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장치의 압축공기 충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철도차량의 대인 충돌시에 따른 구명장치의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에어쿠션 11. 고압력부 에어쿠션
13. 저압력부 에어쿠션 14. 힌지
15. 에어쿠션 받침대 16. 요홈
17. 커플러 20. 에어챔버
30. 공기공급관 31. 단일관
33. 분기관 35. 고압체크밸브
37. 저압체크밸브 C. 철도차량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된 구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는 에어쿠션을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하되, 상기 에어쿠션을 충진 압력이 상이한 2개의 에어쿠션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에어쿠션에 회동 가능한 에어쿠션 받침대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평상시엔 에어쿠션 받침대가 차량 전두부 측으로 접혀져 에어쿠션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비상시엔 에어쿠션 받침대가 차량 하방으로 회동하여 팽창된 에어쿠션이 차량 아래로 들어가지 않도록 지지 보호하며, 특히 철도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에어쿠션 중 저압력부 에어쿠션과 고압력부 에어쿠션에 의한 1, 2차적 충격 흡수를 통해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손상 정도를 최소화시켜 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철도차량용 구명장치를 철도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한 사례가 국내에선 전무한 상태이며, 외국의 사례를 살펴볼 때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단순히 공기가 충진된 에어백(1)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이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설치되는 에어백(1)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설치된 상태 즉, 외기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철도차량(C)의 주행시 주행속도에 따른 외부공기가 에어백(1)을 가압하게 되면서 에어백(1)의 내부 공기압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반복적인 가압에 의해 결국에는 상기 에어백(1)이 파손되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에어백(1)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설치되어 외기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풍화작용에 따른 에어백(1)의 손상으로 인해 에어백(1) 표면강도가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 손상된 에어백(1)으로부터 충진된 내부공기가 누설되게 되면서 철도차량(C)의 대인 충돌에 따른 비상 상황시 에어백(1)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종래 에어백(1)의 경우, 날카로운 소재에 취약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와 같이 외기에 노출된 상태로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철도차량(C)의 교차 주행시 주행방향으로 비산하는 레일 주변의 날카로운 돌이나 철재 등에 의해 에어백(1)이 손상되면서 상기 에어백(1)이 터져버리거나, 상기 손상된 에어백(1)으로부터 충진된 내부공기가 누설되어 철도차량(C)의 대인 충돌에 따른 비상 상황시 에어백(1)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 역시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공급된 압축공기 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는 에어쿠션을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 구성함으로써, 철도차량과의 충돌시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가 상기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에어쿠션을 통해 철도차량과의 일차적 충돌에 따른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상해를 최소로 저감함과 아울러, 철도차량과의 일차 충돌 후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를 선로 밖으로 이탈시켜 후속 철도차량과의 이차적 충돌을 예방함으로써, 대인사고의 상해치 및 사망률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된 에어쿠션을 고압력과 저압력으로 각각 형성하여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 둘레에 저압력부 에어쿠션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에 의해 저압력부 에어쿠션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의 1차적 충격 흡수 및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의 2차적 충격 흡수를 통해 상기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손상 정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구명장치는,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내장된 에어챔버와;
상기 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되되, 공기 공급시 팽창되면서 상기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를 보호하는 에어쿠 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에어쿠션은 각각 고압력부와 저압력부로 구분되되,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 둘레에 저압력부 에어쿠션이 설치되어 공기 공급시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에 의해 저압력부 에어쿠션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은 철도차량의 대인 충돌시 1차적 충격 흡수와 함께, 선로작업자나 보행자가 에어쿠션 측으로 넘어질 수 있게 상부측에 비해 하부측이 돌출된 경사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은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과의 충돌에 의해 에어쿠션 측으로 넘어진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에 대하여 2차적 충격 흡수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반발력을 통해 사람이 선로 밖으로 이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과의 충돌에 의해 고압력부 에어쿠션 측으로 넘어진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가 선로 밖으로 이탈될 수 있게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의 반발력 작용방향이 선로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에 의한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1차적 충격 흡수와 함께, 에어쿠션 측으로 넘어지는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2차적 충격 흡수가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에 비해 고압력부 에어쿠션의 팽창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챔버와 에어쿠션을 연결하기 위한 공기공급관이 상기 에어챔버와 에어쿠션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에어챔버와 에어쿠션 중 고압력부 에어쿠션 및 저압력부 에어쿠션을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분기관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쿠션 내 공기 공급시 힌지를 통해 하방으로 회동하여 에어쿠션이 팽창되도록 하고, 상기 에어쿠션 내 공기 배출시 힌지를 통해 상방으로 회동하여 에어쿠션이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철도차량의 전두부 하단에 에어쿠션 받침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쿠션 및 에어쿠션 받침대 하단에는 에어쿠션 내 공기 공급에 따른 상기 에어쿠션과 에어쿠션 받침대가 철도차량의 전두부 하단 중앙에 설치된 커플러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커플러보다 큰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관을 통해 에어챔버로부터 고압력부 에어쿠션 및 저압력부 에어쿠션에 설정된 시간차에 따라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분기관 상에 고압체크밸브와 저압체크밸브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철도차량 전두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철도차량 전두부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장치의 배관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C)의 구명장치는,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설치되어 철도차량(C)의 대인 충돌시 에어쿠션(10)을 통해 철도차량(C)과의 일차적 충돌에 따른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상해를 최소로 저감함과 동시에, 철도차량(C)과의 일차 충돌 후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를 선로 밖으로 이탈시켜 후속 철도차량(C)과의 이차적 충돌을 예방하여 대인사고의 상해치 및 사망률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장치로서, 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명장치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내장된 에어챔버(20)와; 상기 에어챔버(20)와 연결되어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설치되되, 공기 공급시 팽창되면서 상기 철도차량(C)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를 보호하는 에어쿠션(10)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에어쿠션(10)은 각각 고압력부와 저압력부로 구분되되,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 둘레에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이 설치되어 공기 공급시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에 의해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에어쿠션(10)에 대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과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이 상호 일체화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나,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과 저압력부 에어쿠션(13) 내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충진압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이를 위한 고압력부와 저압력부로 구분되게 되며, 특히 에어쿠션(10) 내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충진압력을 견딤과 동시에, 철도차량(C)과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와의 충돌에 따른 충격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이 강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쿠션(10)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 둘레에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이 설치되어 공기 공급시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에 의해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의 1차적 충격 흡수 및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의 2차적 충격 흡수를 통해 상기 철도차량(C)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손상 정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에어쿠션(10) 중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의 경우,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 등 철도차량(C)의 대인 충돌시 1차적 충격 흡수와 함께,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가 에어쿠션(10) 측으로 넘어지면서 고압력부 에어쿠션(11)에 의해 2차적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측에 비해 하부측이 돌출된 경사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에어쿠션(10) 중 저압력부에 둘러 쌓인 고압력부 에어쿠션(11)의 경우,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13)과의 충돌에 의해 에어쿠션(10) 측으로 넘어진 사람 즉,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에 대하여 2차적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반발력을 통해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가 선로 밖으로 이탈될 수 있게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의 반발력 작용방향이 선로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반발력을 갖기 위한 형상으로서 5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을 감싸는 저압력부 에어쿠션(13) 역시 고압력부 에어쿠션(11)과 마찬가지로 5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철도차량(C)의 대인 충돌에 따른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 의 1차적 충격 흡수와 함께, 에어쿠션(10) 측으로 넘어지는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2차적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13)에 비해 고압력부 에어쿠션(11)의 팽창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의 상면 및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의 양측면에는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과 저압력부 에어쿠션(13) 내에 충진된 압축공기를 외기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11a,13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공기배출구(11a,13a)의 경우 릴리프 밸브(미도시)를 통해 개폐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챔버(20)와 에어쿠션(10) 사이에는 에어챔버(20)와 에어쿠션(1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공기공급관(3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때 상기 공기공급관(30)의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챔버(20)와 에어쿠션(10) 중 고압력부 에어쿠션(11) 및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을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3개의 관로 형태로 형성된 분기관로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공기공급관(30)의 경우 상호 연통되는 상태를 이루되, 상기 에어챔버(20)에는 단일관(31)으로 설치 연결되고, 이후 단일관(31)으로부터 고압력부 에어쿠션(11)과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의 양단에 각각 설치 연결되는 분기관(33)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관(30)을 통해 에어챔버(20)로부터 고압력부 에어쿠션(11) 및 저압력부 에어쿠션(13)에 설정된 시간차에 따라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분기관(33) 상에 일방향 밸브인 고압체크밸브(35)와 저압체크밸브(3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에어쿠션(10)의 경우,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에어챔버(20) 대신 자동차의 에어백과 같은 폭발방식 즉, 충격에 의한 폭발로 에어백이 운전자 측으로 팽창되는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에어백 폭발방식의 경우 약간의 충격에도 에어백이 폭발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폭발방식을 철도차량(C)에 적용할 경우 상기 철도차량(C)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는 반응하지 않고, 대인사고와 같은 비상상태에서만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장치가 수반되어야만 한다.
한편, 상기 에어쿠션(10) 내 공기 공급시 힌지(14)를 통해 하방으로 회동하여 에어쿠션(10)이 팽창되도록 하고, 상기 에어쿠션(10) 내 공기 배출시 힌지(14)를 통해 상방으로 회동하여 에어쿠션(10)이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C)의 전두부 하단에 에어쿠션 받침대(1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에어쿠션(10) 및 에어쿠션 받침대(15) 하단에는 에어쿠션(10) 내 공기 공급에 따른 상기 에어쿠션(10)과 에어쿠션 받침대(15)가 철도차량(C)의 전두부 하단 중앙에 설치된 커플러(17)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커플러(17) 보다 큰 요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에 대한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장치의 압축공기 충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철도차량의 대인 충돌시에 따른 구명장치의 작용 상태를 나 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구명장치 내에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상태로서,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본 발명의 에어쿠션(10)을 장착한 상태에서 주행하는 철도차량(C)의 운전자 시야에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가 목격되게 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에어쿠션 구동레버(미도시) 조작에 의해 에어쿠션(10)과 연결된 에어챔버(20)로부터 공기공급관(30)을 통해 에어쿠션(10) 내로 압축공기가 충진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운전자의 에어쿠션 구동레버 조작에 의해 에어챔버(20) 내 압축공기가 공기공급관(30)을 거쳐 에어쿠션(10) 내부로 충진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공기공급관(30)을 거쳐 에어쿠션(10) 내부로 충진되는 압축공기는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공급관(30)의 분기관로 중 에어챔버(20)와 고압력부 에어쿠션(11)을 연결하는 관로 상에 설치된 일방향 밸브 즉, 고압력부 에어쿠션(11) 측으로 개방된 고압체크밸브(35)를 통해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 내부에 고압으로 충진되게 되고, 상기 고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고압력부 에어쿠션(11)이 팽창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압력부 에어쿠션(11)의 팽창이 진행되는 상태에서 공기공급관(30)의 분기관로 중 닫혀 있던 일방향 밸브 즉, 에어챔버(20)와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의 양단을 연결하는 관로 상에 설치된 저압체크밸브(37) 역시 개방되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된 저압체크밸브(37)를 통해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13) 내부로 압축공기가 충진되게 되는데, 이 때 저압체크밸브(37)를 통해 저압력부 에어쿠션(13) 내부로 충진되는 압축공기의 경우, 상기 에어챔버(20)로부터 고압력부 에어쿠션(11) 내부로 충진되는 압축공기압에 비해 저압으로 충진되게 된다. 이는 일정 체적의 에어챔버(20) 내에 완전 충진된 압축공기가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 내부로 충진될 때 고압으로 충진되면서 상기 에어챔버(20) 내 압축공기량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한 에어챔버(20) 내 압력 즉, 에어챔버(20) 내 압축공기압이 저하되면서 저압체크밸브(37)를 통해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13) 내부로 저압의 압축공기가 충진되게 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에어챔버(20) 내 압축공기가 공기공급관(30)을 거쳐 고압력부 에어쿠션(11)과 저압력부 에어쿠션(13)에 충진될 때 팽창되는 고압력부 에어쿠션(11) 및 저압력부 에어쿠션(13)에 의해 철도차량(C)의 전두부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두부 측으로 밀착되어 있던 에어쿠션 받침대(15)가 힌지(14)를 통해 하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하방으로 회동된 에어쿠션 받침대(15)의 경우, 철도차량(C)의 대인 충돌시 사람이 철도차량(C) 밑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이 적용된 철도차량(C)의 대인 충돌시에 따른 구명장치의 작용 상태로서, 상기와 같이 에어챔버(20)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고압력부 에어쿠션(11)과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이 팽창된 상태에서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 등 철도차량(C)의 대인 충돌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구조를 갖는 저압력부 에어쿠션(13)에 의해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1차적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철도차량(C)과 충돌한 상기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가 에어쿠션(10) 측으로 넘 어지면서 고압력부 에어쿠션(11) 즉, 저압력부 에어쿠션(13)에 둘러 쌓인 고압력부 에어쿠션(11)에 의해 2차적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이 고압력부 에어쿠션(11)에 의해 2차적 충격 흡수가 이루어진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경우,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의 반발력에 의해 선로 밖으로 이탈되게 함으로써, 상기한 대인 사고 차량뿐만 아니라, 후속 철도차량(C)과의 이차적 충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이 종료된 구명장치는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의 상면 및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의 양측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개방된 공기배출구()를 통해 고압력부 에어쿠션(11)과 저압력부 에어쿠션(13) 내에 충진된 압축공기를 외기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에어쿠션 받침대(15)를 철도차량(C)의 전두부 측으로 회동시켜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11)과 저압력부 에어쿠션(13)이 접힌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 다음, 빈 용기의 에어챔버(20) 내에 압축공기를 충진시킴으로써, 상기 구명장치의 재 사용이 가능한 준비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명장치는,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는 에어쿠션을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 구성함으로써, 철도차량과의 충돌시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가 상기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에어쿠션을 통해 철도차량과의 일차적 충돌에 따른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상해를 최소로 저감함과 아울러, 철도차량과의 일차 충돌 후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를 선로 밖으로 이탈시켜 후속 철도차량과의 이차적 충돌을 예방함으로써, 대인사고의 상해치 및 사망률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된 에어쿠션을 고압력과 저압력으로 각각 형성하여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 둘레에 저압력부 에어쿠션을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에 의해 저압력부 에어쿠션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의 1차적 충격 흡수 및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의 2차적 충격 흡수를 통해 상기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손상 정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3)

  1.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내장된 에어챔버와;
    상기 에어챔버와 연결되어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되되, 공기 공급시 팽창되면서 상기 철도차량의 충격력으로부터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를 보호하는 에어쿠션과;
    상기 에어챔버와 에어쿠션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챔버와 에어쿠션을 연결하는 공기공급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에어쿠션은 각각 고압력부와 저압력부로 구분되어,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 둘레에 저압력부 에어쿠션이 설치되어 공기 공급시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에 의해 저압력부 에어쿠션이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기공급관은 상기 에어챔버와 에어쿠션 중 고압력부 에어쿠션 및 저압력부 에어쿠션을 각각 연결할 수 있도록 분기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은 철도차량의 대인 충돌시 1차적 충격 흡수와 함께, 선로작업자나 보행자가 에어쿠션 측으로 넘어질 수 있게 상부측에 비해 하부측이 돌출된 경사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은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과의 충돌에 의해 에어쿠션 측으로 넘어진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에 대하여 2차적 충격 흡수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반발력을 통해 사람이 선로 밖으로 이탈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과의 충돌에 의해 고압력부 에어쿠션 측으로 넘어진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가 선로 밖으로 이탈될 수 있게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의 반발력 작용방향이 선로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에 의한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1차적 충격 흡수와 함께, 에어쿠션 측으로 넘어지는 선로 작업자나 보행자의 2차적 충격 흡수가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에 비해 고압력부 에어쿠션의 팽창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의 상면 및 상기 저압력부 에어쿠션의 양측면에는 상기 고압력부 에어쿠션 및 저압력부 에어쿠션 내에 충진된 압축공기를 외기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릴리프 밸브를 통해 개폐되는 공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은 상방에서 볼 때 5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내 공기 공급시 힌지를 통해 하방으로 회동하여 에어쿠션이 팽창되도록 하고, 상기 에어쿠션 내 공기 배출시 힌지를 통해 상방으로 회동하여 에어쿠션이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철도차량의 전두부 하단에 에어쿠션 받침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쿠션 및 에어쿠션 받침대 하단에는 에어쿠션 내 공기 공급에 따른 상기 에어쿠션과 에어쿠션 받침대가 철도차량의 전두부 하단 중앙에 설치된 커플러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지 않도록 커플러 보다 큰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을 통해 에어챔버로부터 고압력부 에어쿠션 및 저압력부 에어쿠션에 설정된 시간차에 따라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분기관 상에 고압체크밸브와 저압체크밸브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KR1020040112121A 2004-12-24 2004-12-24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KR100604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121A KR100604387B1 (ko) 2004-12-24 2004-12-24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121A KR100604387B1 (ko) 2004-12-24 2004-12-24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893A KR20050091893A (ko) 2005-09-15
KR100604387B1 true KR100604387B1 (ko) 2006-07-25

Family

ID=3727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121A KR100604387B1 (ko) 2004-12-24 2004-12-24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3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64B1 (ko) 2006-12-26 2007-10-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KR100768079B1 (ko) * 2006-12-26 2007-10-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226B1 (ko) * 2005-09-29 2008-01-07 구정서 선로 상의 작업자 및 공중 인명 구명 시스템
KR100792227B1 (ko) * 2005-09-29 2008-01-07 구정서 선로 상의 작업자 및 공중 인명 구명 시스템
JP5667785B2 (ja) * 2010-05-10 2015-02-12 東海旅客鉄道株式会社 鉄道車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8264U (ko) * 1988-11-15 1990-05-23
JP2000006806A (ja) 1998-06-19 2000-01-11 Hitachi Ltd 鉄道車両用排障装置
US6474489B2 (en) * 1999-03-12 2002-11-05 Thomas S. Payne Collision attenuator
JP2003285739A (ja) 2002-03-28 2003-10-07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列車の直撃防止用緩衝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68264U (ko) * 1988-11-15 1990-05-23
JP2000006806A (ja) 1998-06-19 2000-01-11 Hitachi Ltd 鉄道車両用排障装置
US6474489B2 (en) * 1999-03-12 2002-11-05 Thomas S. Payne Collision attenuator
JP2003285739A (ja) 2002-03-28 2003-10-07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列車の直撃防止用緩衝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64B1 (ko) 2006-12-26 2007-10-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KR100768079B1 (ko) * 2006-12-26 2007-10-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893A (ko)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1697A (en) Impact member with multiple concentric gas cushions inflated in sequence
US6966576B1 (en) Airbag restraint system
US6497183B2 (en) Inflatable air bag release and membrane protection device
US9150225B2 (en) Safety device for railway vehicles
US20190241141A1 (en) Occupant protection system
KR101180985B1 (ko) 철도차량 접촉사고자 보호 장치
KR100604387B1 (ko)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CN200995659Y (zh) 外置式汽车安全气囊垫
US20050110257A1 (en) Air bags
JP3586391B2 (ja) 列車の人身事故防止装置
JP3841314B2 (ja) 衝撃吸収エアバック
KR100604398B1 (ko) 도시철도용 선로 작업자 및 공중인명 구명장치
KR10050350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US200800678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Damage to Vehicles Due to Impact
KR20220132484A (ko) 헬륨가스를 주입한 풍선을 이용한 자동 팽창식 사고예방 경고 장치
JPH10109538A (ja) バスの非常脱出装置
CN101372216A (zh) 空气气囊缓冲垫
KR101040370B1 (ko) 선로 점유자 보호 장치
JP3617730B2 (ja) 衝撃吸収エアバック用排気弁
JPH10281201A (ja) 衝撃吸収エアバック
US5312012A (en) Vapor space water hammer eliminator system for liquid transport apparatuses
CN105922963A (zh) 一种汽车侧面防撞缓冲装置
RU224464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ыш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людей, находящихся внут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9969621U (zh) 一种安全气囊和车辆
KR100767764B1 (ko)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