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327B1 -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327B1
KR100765327B1 KR1020060041153A KR20060041153A KR100765327B1 KR 100765327 B1 KR100765327 B1 KR 100765327B1 KR 1020060041153 A KR1020060041153 A KR 1020060041153A KR 20060041153 A KR20060041153 A KR 20060041153A KR 100765327 B1 KR100765327 B1 KR 10076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ontact
signal
lines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5460A (ko
Inventor
이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트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트랩
Priority to KR1020060041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32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5460A/ko
Priority to JP2008556259A priority patent/JP2009527842A/ja
Priority to US12/297,391 priority patent/US20090095541A1/en
Priority to PCT/KR2007/001692 priority patent/WO2007129811A1/en
Priority to CNA2007800107613A priority patent/CN101410775A/zh
Priority to TW096113313A priority patent/TW200810495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pressure sensitive conductive elements delivering a boolean signal and located between crossing sensing lines, e.g. located between X and Y sensing line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장치를 공개한다.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 n보다 큰 m개의 그룹을 구성하여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과 각각 서로 다른 연결을 가지는 m개 그룹의 n개씩의 제2 입력 라인들, m개 그룹의 n개씩의 제2 입력 라인들에 대응하여 연결된 m개 그룹의 n개씩의 접촉 수단들을 구비하는 입력 수단, 및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의 신호를 디코딩 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신호 판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하나의 입력 패드로 접촉을 감지하는 전기적 접촉 센서를 이용하여 적은 입력 라인으로 많은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일부 접촉 센서를 대신하여 압력 센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많은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력 장치{Input device}
도1a 와 도1b 는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 접촉 센서를 입력 수단으로 구비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는 하나의 입력 패드 구비하는 전기적 접촉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a 내지 도3b 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의 일 실시 예이다.
도4a 내지 도4b 는 도3a 와 도3b 에 나타난 입력 패드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5 는 도3a 와 도3b 에 나타난 입력 신호 판별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6 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7 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8 은 하나의 압력 패드 구비하는 압력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 는 본 발명에 접촉 센서와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입력 장치의 실시 예이다.
도10a 내지 도10c 도9 의 압력 패드를 이용하는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은 입력 라인으로 많은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수많은 전자 제품을 사용한다. TV, 라디오, 세탁기, 냉장고 등의 가전 기기로부터 컴퓨터, 핸드폰 등의 정보기기 및 게임기, MP3 플레이어 등의 각종 오락기기까지 무수히 많은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제품들은 제품의 설계 시에서부터 각각의 용도와 기능에 맞추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결정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전자 제품에 명령을 인가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에게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제품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조작의 편의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는 전자 제품의 기능이 뛰어나다 할지라도 사용자가 제품을 조작하기 어려우면 상품성이 떨어져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자 제품 제조업체는 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최대한 사용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편의성을 도모하여 설계를 하게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다른 고려할 점은 전자 제품이 나날이 소형화 되고 있다는 점이다. 전자 제품의 소형화에 힘입어 다양한 용도의 휴대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들은 종래에는 하나의 용도로 개발된 제품들이 많았으나, 근래에는 하나의 제품에 여러 가지 기능을 구비한 복합 기능의 제품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전자 제품이 소형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제품에 명령을 인가할 버튼이나 입력 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구비할 공간이 협소해지고, 제품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입력해야 하는 명령의 수가 점차로 늘어나게 되어 전자 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매우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근래의 휴대기기는 대부분 버튼이나 패드를 짧게 선택하는 경우와 길게 선택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전자 제품의 소형화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제품 내부의 레이아웃에도 영향을 주어 최소의 면적으로 레아아웃이 될 수 있도록 반드시 필요한 배선만으로 설계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또 다른 고려할 점은 디자인이다. 근래의 전자 제품은 제품 자체의 기능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의 일부로서 미려한 외관을 필요로 한다. 이는 사용자의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결과이다. 따라서 제품의 외부로 드러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도 디자인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 수단으로서 종래의 버튼을 대신하여 접촉 센서나 터치스크린이 사용되는 경우가 점차로 늘어나고 있다. 접촉 센서는 빠른 동작 속도와 디자인이 우수하며,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터치스크린의 경우에는 별도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 제품 설계 시에 중요한 부분으로 신중하게 검토되어 설계된다. 이렇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신중히 설계된다 하더라도 설계의 오류, 소비자들의 기호 변화에 따른 요구, 새로운 기능의 추가 등으 로 인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수정되는 경우 입력 수단이 줄어드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있다 하더라도 이 경우는 기존의 레이아웃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변경되는 경우는 기능의 추가로 인한 입력 수단이 추가되는 경우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 수단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버튼 등의 외부 표시부 뿐만 아니라 내부 입력 라인에 대한 레이아웃까지 변경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 비용적으로 큰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최악의 경우에는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입력 수단을 추가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도1a 와 도1b 는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로 접촉 센서를 입력 수단으로 구비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접촉 센서는 접촉 물체가 닿는 부분인 입력 패드와 접촉 여부를 판단하는 접촉 감지부로 구성된다. 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도시하지 않는다.
도1a 는 2개의 입력 신호를 인가 받기 위한 것으로 2개의 입력 라인 쌍(line1, line2, line3, line4)에 각각 연결된 입력 패드(PAD11, PAD12)를 구비한다. 입력 패드(PAD11, PAD12)는 두 개의 접촉 패드가 한 쌍으로 되어, 전도성이 있는 접촉 물체가 동시에 두 개의 접촉 패드에 접촉되면 전기적으로 연결 상태가 된다. 입력 패드(PAD11, PAD12)가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가 되면, 입력 신호 판별부(10)에 구비된 접촉 감지부는 이에 따른 접촉 신호를 발생한다. 입력 신호 판별부(10)는 또한 접촉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접촉 신호를 판별하여 선택된 입력 패 드(PAD11, PAD12)를 확인하고 해당 입력 신호를 출력한다.
도1a 에서는 2개의 입력 신호가 발생할 수 있으며, 추가의 입력 신호가 필요한 경우 도1b 와 같은 구성이 되어야 한다. 도1b 는 3개의 입력 신호를 인가 받기 위한 것으로 3개의 입력 라인 쌍(line1, line2, line3, line4, line5, line6)에 3쌍의 입력 패드(PAD21, PAD22, PAD23)를 구비하여 연결된다. 입력 신호 판별부(11)는 6개의 입력 라인(line1, line2, line3, line4, line5, line6)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인가 받아 해당 명령을 판별한다. 그리고 입력 신호가 4개가 필요한 경우에는 또다시 입력 패드와 추가의 입력 라인 쌍이 필요하다. 즉 입력 신호가 추가되기 위해서는 입력 패드뿐만 아니라 입력 라인 쌍도 동일한 개수로 추가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레이아웃의 변경이 불가피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입력 라인으로 많은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의 일 실시 예는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 n보다 큰 m개의 그룹을 구성하여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과 각각 서로 다른 연결을 가지는 m개 그룹의 n개씩의 제2 입력 라인들, m개 그룹의 n개씩의 제2 입력 라인들에 대응하여 연결된 m개 그룹의 n개씩의 접촉 수단들을 구비하는 입력 수단, 및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의 신호를 디코딩 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신호 판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입력 수단은 m개 그룹의 접촉 수단으로 최대 2n-1개 그룹의 접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입력 라인들은 m개 그룹의 n개씩의 접촉 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1부터 2n-1까지 n자리수 2진수에서 각 숫자의 1이 위치하는 자리에 대응하는 접촉 수단과 제1 입력 라인을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입력 신호 판별부는 n개의 제1 입력 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입력이 입력 수단에 인가되는 지를 감지하는 n개의 접촉 감지부, 및 n개의 접촉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접촉 신호를 디코딩 하여 복수개의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딩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접촉 감지부는 하나의 접촉 수단에 접촉이 발생하여도 접촉 물체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의 다른 실시 예는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 n보다 큰 m개의 그룹을 구성하여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과 각각 서로 다른 연결 가지는 m개 그룹의 n개씩의 제2 입력 라인들,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3 입력 라인들,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3 입력 라인들과 각각 연결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4 입력 라인들, m개 그룹의 n개씩의 제2 입력 라인들에 대응하여 연결된 m개 그룹의 n개씩의 접촉 수단들을 구비하는 제1 입력 수단,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4 입력 라인들에 대응하여 연결된 압력 수단을 구비하는 제2 입력 수단, 및 n 개의 제1 입력 라인들의 신호를 디코딩 하여 제1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3 입력 라인들에 대응하여 제2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신호 판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입력 수단은 압력이 인가되면 임피던스의 변화가 발생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압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입력 신호 판별부는 n개의 제1 입력 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입력이 입력 수단에 인가되는지를 감지하는 n개의 접촉 감지부, 제3 입력 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압력이 압력 수단에 인가되는 지를 감지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압력 감지부, 및 n개의 접촉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접촉 신호를 디코딩 하여 제1 입력 신호를 출력하고,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압력 감지부에서 출력 되는 압력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제2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딩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압력 감지부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압력 수단에 압력이 인가되면 발생하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감지하여 압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입력 장치는 제2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를 설정하여 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지정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모드를 디스플레이 하고, 제1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표시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부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입력 장치는 제2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를 설정하여 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지정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모드와 현재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키를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입력이 인가되면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을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는 하나의 접촉 패드 구비하는 전기적 접촉 센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2005년 11월 28일에 출원된 출원 번호 10-2005-0114414호에 기재되어 있다.
전기적 접촉 센서는 하나의 접촉 패드(PAD)와 접촉 감지부(100)를 구비한다. 접촉 감지부(100)는 기준 신호 발생부(110)와 제1 신호 발생부(120), 제2 신호 발생부(130), 접촉 신호 발생부(140) 및 필터(150)를 구비한다.
기준신호 발생부(110)는 기준신호(ref_sig)를 생성한다.
제1 신호 발생부(120)는 기준신호(ref_sig)를 지연하여 제1 신호(sig1)를 발생한다.
제2 신호 발생부(130)는 접촉 패드(PAD)를 구비하여 접촉 패드(PAD)에 접촉이 없으면 기준신호(ref_sig)를 제1 신호(sig1)보다 작게 지연하여 제2 신호(sig2)를 발생하고, 접촉 패드(PAD)에 접촉이 있으면 접촉 물체의 정전 용량에 의해 기준 신호(ref_sig)를 제1 신호(sig1)보다 많이 지연하여 제2 신호(sig2)를 발생한다.
접촉 신호 발생부(140)는 제1 신호(sig1)에 동기 되어 제2 신호(sig2)를 수신하여 접촉 신호(touch_sig)를 발생하여 접촉 패드(131)에 접촉 여부를 판별하여 출력한다. 접촉 신호 발생부의 간단한 예로는 D 플립 플롭(D Flip-flop)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즉 제1 신호(sig1)를 D 플립 플롭의 클럭 신호로 인가하고, 제2 신호(sig2)를 D 플립 플롭의 데이터 신호로 인가한다. D 플립 플롭은 클럭 신호가 "하이"이고, 데이터가 "하이"인 경우에만 "하이"레벨의 출력을 가지므로 접촉이 없는 경우에는 "로우"로 출력하고, 접촉이 있으면 "하이"로 출력한다.
필터(150)는 접촉 신호(touch_sig) 발생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잡음을 제거한다.
도2 의 접촉 센서는 하나의 접촉 패드(PAD)만을 구비하며, 접촉이 있으면 접촉 물체의 정전 용량에 의해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 신호(touch_sig)를 출력한다. 즉 전도성이 아닌 정전 용량에 의하여 접촉을 감지하며, 접촉 센서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3a 와 도3b 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의 일 실시 예이다.
도3a 와 도3b 에서는 입력 수단으로서 도2 에 나타난 접촉 센서를 이용하였다. 따라서 도1a 와는 달리 2개의 입력 신호를 인가 받기 위해 2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만을 구비하여도 된다. 그러나 도3a 와 도3b 에서는 2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으로 3개의 입력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도록 확장된 입력 장치가 도시 되어 있다.
도3a 에서 하나의 접촉 패드로 접촉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입력 패드(PAD31, PAD32)로서의 접촉 패드는 각각 제2 입력 라인으로 2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에 연결된다. 입력 패드(PAD33)는 접촉 패드를 두 개를 구비하여 각각 2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에 연결된다.
입력 신호 판별부(200)는 도2 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과 동일한 수의 접촉 감지부(100)를 구비하여 입력 패드(PAD31, PAD32, PAD33)에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입력 신호 판별부(200)는 발생한 접촉 신호를 디코딩 하여 3개의 입력 신호(T1, T2, T3)를 출력한다.
이렇게 도2 의 접촉 센서로 입력 수단을 구성하면, 2개의 입력 라인(line1, line2)에 3개의 입력 패드(PAD)를 연결하여 3개의 입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첫 번째 입력 패드(PAD31)가 선택되면 입력 신호 판별부(200)는 제1 입력 라인(line1)을 통하여 접촉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T1)를 출력하고, 두 번째 입력 패드(PAD32)가 선택되면 입력 신호 판별부(200)는 제1 입력 라인(line2)을 통하여 접촉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T2)를 출력하고, 세 번째 입력 패드(PAD33)가 선택되면 입력 신호 판별부(200)는 두 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을 통하여 접촉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T3)를 출력한다.
도3b 는 도3a 와 마찬가지로 2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을 통하여 3개의 입력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b 는 도3a 에서와는 달리 모든 입력 패드(PAD41, PAD42, PAD43)가 도3a 의 입력 패드(PAD33)와 같이 도2 의 접촉 패드(PAD)를 두 개씩 구비한다. 그리고 입력 신호 판별부(200)는 도3a 와 동일하다.
도3b 와 같이 입력 패드(PAD41, PAD42, PAD43)를 구성하는 것이 각각의 접촉 센서를 개별로 제작하는 것보다 대칭성을 유지하기가 용이하므로 비용면에서나 구성면에서 더욱 이익이다. 또한 입력 신호 판별부(200)의 접촉 감지부는 입력 패드(PAD41, PAD42, PAD43)에 접촉된 접촉 물체의 정전 용량을 감지하므로 입력 패드(PAD41, PAD42, PAD43)를 동일한 모양으로 구성하면, 접촉 물체가 접촉되는 면적이 모든 입력 패드(PAD41, PAD42, PAD43)에서 동일하므로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을 통하여 접촉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임피던스(impedance)의 변화에 편차가 작다. 따라서 어떤 입력 패드(PAD41, PAD42, PAD43)가 선택되더라도 접촉 감지부에는 유사한 수준의 임피던스의 변화가 감지되므로 접촉 감지부의 민감도를 설정하기에 유리하다.
도4a 와 도4b 는 도3a 와 도3b 에 나타난 입력 패드(PAD31, PAD32, PAD33, PAD41, PAD42, PAD43)에서 패드를 두 개씩 구비한 입력 패드(PAD33, PAD41, PAD42, PAD4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력 패드는 접촉 물체가 접촉이 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접촉을 인식하여야한다. 그러나 도3a 나 도3b 에 도시된 입력 패드(PAD33, PAD41, PAD42, PAD43)와 같이 2개의 접촉 패드를 구비하고도 접촉 패드가 개별로 배치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입력 패드(PAD33, PAD41, PAD42, PAD43)를 선택하여도 2개의 접촉 패드 모두에 접촉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접촉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2개의 접촉 패드 중 하나에만 접촉이 되면 접촉 센서가 접촉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 문에 어떠한 입력 신호도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에 하나의 접촉 패드로 접촉을 인식하는 도3a , 도3b 의 입력 패드(PAD33, PAD41, PAD42, PAD43)중에서 특히 두 개의 제1 입력 라인에 모두 제2 입력 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는 입력 패드(PAD33, PAD43)의 경우에는 2개의 접촉 패드 중에서 하나만 접촉이 되면 입력 신호 판별부(200)에서는 다른 입력 패드(PAD31, PAD32, PAD41, PAD42)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입력 신호(T1, T2)를 발생한다. 이렇게 잘못된 입력 신호(T1, T2)가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가 하고자 하는 동작이 아닌 다른 오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오동작은 일반적으로 아무런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보다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 예로서 저장 장치에서 오동작이 수행되어 중요한 데이터가 삭제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면 제품의 신뢰성에 큰 문제가 된다.
따라서 도4a 와 도4b 에서는 접촉 물체가 접촉되는 경우에 두 개의 접촉 패드(PAD1, PAD2)에 모두 접촉 될 수 있도록 패드를 배치한 모양이다.
도4a 에서는 두 개의 접촉 패드(PAD1, PAD2)를 2개씩으로 분할하여 대각선으로 배치한 것이다. 제1 접촉 패드(PAD1)는 우측 상단과 좌측 하단에 분리하여 배치하고, 제2 접촉 패드(PAD2)는 좌측 상단과 우측 하단에 분리하여 배치하였다. 그리고 제1 접촉 패드(PAD1)는 제2 입력 라인을 통하여 제1 입력 라인(line1)과 연결되고, 제2 접촉 패드(PAD2)는 제2 입력 라인을 통하여 제1 입력 라인(line2)과 연결된다.
도4a 와 같이 구성된 접촉 패드(PAD1, PAD2)는 접촉 물체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반드시 두 개의 패드에 동시에 닿게 되어 잘못된 입력 신호가 발생되 지 않도록 한다. 만일 예상되는 접촉 물체의 크기가 분리되어 배치된 접촉 패드(PAD1, PAD2)의 일부분에만 닿을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경우에는 도4a 에서 2개로 분리된 접촉 패드(PAD1, PAD2)를 더 많이 분리하여(예를 들어 각각의 패드를 8등분) 접촉 물체가 반드시 두 개의 접촉 패드(PAD1, PAD2)에 접촉 되도록 한다.
도4b 는 도4a 와는 달리 접촉 패드(PAD1, PAD2)를 분리하지 않고, 접촉 패드(PAD1, PAD2)의 패턴을 복잡하게 하고 각각의 접촉 패드(PAD1, PAD2)의 패턴이 서로 얽히도록 하여 접촉 물체가 반드시 두 개의 접촉 패드(PAD1, PAD2)에 접촉 되도록 한다.
도4a 와 도4b 에 도시된 접촉 패드(PAD1, PAD2)는 일 예로서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 패드(PAD1, PAD2)를 구성할 수 있으며,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또한 도4a 와 도4b 에서는 2개의 접촉 패드(PAD1, PAD2)를 구비하는 입력 패드를 도시하였으나 더 많은 접촉 패드를 구비하여도 같은 방법으로 배치 가능하다.
도5 는 도3a 와 도3b 에 나타난 입력 신호 판별부(200)의 상세도이다.
입력 판별부(200)는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과 연결되어 입력 패드에 접촉 물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접촉 감지부(210, 220) 및 제1 및 제2 접촉 감지부(210, 220)에서 인가되는 접촉 신호를 디코딩 하여 입력 신호(T1, T2, T3)를 출력하는 디코딩 부(230)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접촉 감지부(210, 220)는 도2 의 접촉 감지부(100)이며 도5에서는 2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있다. 도2 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접촉 감지부(210, 220)는 각각 기준 신호 발생부(110)와 제1 신호 발생부(120), 제2 신호 발생부(130), 접촉 신호 발생부(140) 및 필터(150)를 구비한다.
제1 접촉 감지부(210)는 제1 입력 라인(line1)에 연결된 입력 패드(PAD31, PAD33, PAD41, PAD43)에 소정의 정전 용량을 가지는 물체가 접촉되면 접촉 신호를 발생하며, 제2 접촉 감지부(220)는 제1 입력 라인(line2)에 연결된 입력 패드(PAD32, PAD33, PAD42, PAD43)에 소정의 정전 용량을 가지는 물체가 접촉되면 접촉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디코딩 부(230)는 제1 및 제2 접촉 감지부(210, 220)에서 출력되는 접촉 신호를 디코딩 하기 위한 3개의 논리곱 게이트(AND1, AND2, AND3)와 두 개의 인버터(INV1, INV2)를 구비한다. 디코딩 부(230)는 제1 접촉 감지부(210)에서 접촉 신호가 출력되면 입력 신호(T1)를 출력하고, 제2 접촉 감지부(220)에서 접촉 신호가 출력되면 입력 신호(T2)를 출력하고, 제1 및 제2 접촉 감지부(210, 220)에서 모두 접촉 신호가 출력되면 입력 신호(T3)를 출력한다.
따라서 도3a 와 도3b 의 입력 패드(PAD31, PAD32, PAD33, PAD41, PAD42, PAD43)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입력 패드가 선택되면, 입력 신호 판별부(200)에서는 2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을 통해 3개의 입력 신호(T1, T2, T3)중에 하나의 입력 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 도3b 에서 입력 패드(PAD41)에 접촉이 있으면 접촉된 물체의 정전 용량으로 인하여 제1 입력 라인(line1)에 임피던스의 변화가 발생한다. 제1 입력 라인(line2)은 입력 패드(PAD41)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피던스가 변화하지 않는다.
입력 신호 판별부(200)의 제1 접촉 감지부(210)는 제1 입력 라인(line1)의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발생하고, 제2 접촉 감지부(220)는 제1 입력 라인(line2)의 임피던스 변화가 없으므로 접촉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디코딩 부(230)는 제1 접촉 감지부(210)에서 접촉 신호가 발생되고, 제2 접촉 감지부(220)에서 접촉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입력 신호(T1)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입력 패드(PAD42)에 접촉이 있으면, 입력 신호(T2)가 출력되고, 입력 패드(PAD43)에 접촉이 있으면, 입력 신호(T3)가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도3a 와 도3b 는 두 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을 이용하여 3개의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
도6 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6 에서는 3개의 제1 입력 라인이 있는 경우에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3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 line3)과 3개의 접촉 패드가 한 단위를 이루는 7개의 입력 패드(PAD51 ~ PAD57)와 3개의 입력 라인이 한 단위를 이루는 7개의 제2 입력 라인 및 입력 신호 판별부(300)를 구비한다.
입력 패드(PAD51)는 제1 입력 라인(line1)에만 연결되고, 입력 패드(PAD52)는 제1 입력 라인(line2)에만 연결되고, 입력 패드(PAD53)는 두 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에만 연결되고, 입력 패드(PAD57)는 세 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에 모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 구성은 3 자리수를 가지는 2진수 에서 숫자가 "001" 부터 "111"로 올라가는 배치와 동일하다. 즉 각각의 자리수는 입력 라인에 대응하며 "0" 또는 "1"의 숫자는 각각의 입력 라인과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0"이 배치되는 자리는 제1 입력 라인과 제2 입력 라인이 연결되지 않고, "1"이 배치되는 자리만 제1 입력 라인과 제2 입력 라인이 연결된다. 첫째 자리는 제1 입력 라인(line3)에 대응하고, 둘째 자리는 제1 입력 라인(line2)에 대응하며, 셋째 자리는 제1 입력 라인(line1)에 대응한다. 그러나 2진수 "000"에 대응하는 연결은 없다. 2진수 "000"에 대응하려면 모든 입력 패드가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 line3)에 연결되지 않으므로 접촉 되지 않은 것과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 line3)이 3개이면 입력 패드는 2의 3승 (23)개에서 1개가 빠진 7개까지의 입력 패드(PAD51 ~ PAD57)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 신호 판별부(300)는 도5 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지만 각각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 line3)에 대하여 접촉 감지부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3개의 접촉 감지부가 필요하다. 그리고 디코딩 부 또한 추가의 구성이 필요하다.
도6 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line2, line3)을 이용하여 최대 7개까지의 입력 신호(T1 ~ T7)가 출력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 입력 라인(line1 ~ linen)이 n개인 경우가 도7 에 도시 되어 있다.
제1 입력 라인(line1 ~ linen)이 n개이면 접촉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검출 가능한 최대의 입력 패드 개수는 2n-1개이다. 따라서 출력 가능한 입력 신호(T1 ~ T2n-1)도 2n-1개 이다.
즉 도7 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적은 입력 라인으로 많은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장치는 입력 라인 개수에 대하여 2의 승수로 비례하여 입력 신호를 감지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입력 라인이 n 개이면 입력 패드(PAD61 ~ PAD6(2n-1))는 각각 n개씩의 접촉 패드를 구비해야 하게 되며, 제2 입력 라인 또한 각각 n개씩으로 구비된다. 이 경우 도4a 와 도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접촉 패드가 한 번에 접촉되게끔 패턴을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워지게 된다. 따라서 입력 패드의 모든 접촉 패드가 한꺼번에 접촉 될 수 있는 수준까지만 접촉 패드를 배치하여야 하며 가급적이면 2개 이상의 접촉 패드가 동시에 선택되어야 하는 경우는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1 은 4개의 제1 입력 라인을 가지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입력 신호를 사용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표1
line1 line2 line3 line4 입력 신호 사용 여부
0 0 0 1 T1
0 0 1 0 T2
0 0 1 1 T3
0 1 0 0 T4
0 1 0 1 T5
0 1 1 0 T6
0 1 1 1 T7 X
1 0 0 0 T8
1 0 0 1 T9
1 0 1 0 T10
1 0 1 1 T11 X
1 1 0 0 T12
1 1 0 1 T13 X
1 1 1 0 T14 X
1 1 1 1 T15 X
표1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4개의 제1 입력 라인을 가지는 경우 입력 패드의 개수는 최대 15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입력 신호의 개수도 최대 15개가 사용 가능하다. 제1 입력 라인이 4개이므로 입력 패드는 각각 4개씩의 접촉 패드를 구비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시에 접촉되어야 하는 접촉 패드의 개수가 많아지게 되면 접촉 패드의 패턴을 만들기가 어려울뿐더러 접촉 물체가 모든 접촉 패드에 동시에 접촉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표1 에서는 3개 이상의 접촉 패드가 동시에 접촉되어야 하는 경우의 입력 신호(T7, T11, T13, T14, T15)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3개 이상의 접촉 패드가 동시에 접촉되는 경우를 사용하지 않도록 배제하면 사용하는 입력 신호(T1 ~ T6, T8 ~ T10, T12)에 대한 입력 패드는 2개씩의 접촉 패드만을 구비하도록 하여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T6)에 대한 입력 패드를 2개의 접촉 패드로 구성하고 각각의 입력 패드는 2개의 제1 입력 라인(line2, line3)에만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입력 패드도 2개의 접촉 패드로 구성하고 해당 제1 입력 라인(line1 ~ line4)에만 연결하도록 한다.
2개의 접촉 패드를 가진 입력 패드들로만 접촉을 인가 받도록 배치하여도 4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 line4)을 통하여 최대 10개의 입력 신호(T1 ~ T6, T8 ~ T10, T12)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n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 linen)에 대하여 2개의 접촉 패드를 가진 입력 패드들로만 접촉을 인가 받도록 배치하면 n개의 제1 입력 라인(line1 ~ linen)에 대하여 각각 하나의 접촉 패드만 연결되는 조합으로 n개와 2개의 접촉 패드 모두 연결되는 조합으로 n*(n-1)/2 개의 합이 된다. 예들 들어 제1 입력 라인이 6개이면 6+(6*5/2)의 개수로 최대 21개의 입력 신호를 발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적은 입력 라인으로 많은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장치로 1개의 접촉 패드로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를 이용하여 접촉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접촉 신호를 디코딩 하여 많은 입력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였다.
도8 은 2005년 11월 28일에 출원된 출원 번호 10-2005-0114414호에 개재된 압력 센서로서 도2 의 접촉 센서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압력 패드만으로 압력을 측정한다.
도8 의 압력 센서는 압력 패드(531)와 압력 감지부(500)를 구비한다.
도2 를 참조로 하여, 도8 의 압력 센서를 설명하면 기준 신호 발생부(510)는 도2 의 기준 신호 발생부(110)와 동일한 장치로 기준 신호(ref_sig)를 발생한다.
압력 패드(531)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에 응답하여 가변 되는 임피던스(Impedance) 값을 갖는 모든 종류의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제4 신호 발생부(530)는 기준 신호(ref_sig)를 압력 패드(531)의 임피던스 값의 변화에 따라 가변 지연하여 제4 신호(sig4)를 출력한다. 제4 신호(sig4)는 압력 패드(531)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짧은 지연시간을 가지며 압력이 크게 인가될수록 더 긴 지연시간을 갖는다.
제3 신호 발생부(520)는 압력 패드(531)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제4 신호 발생부(530)에서 기준 신호(ref_sig)가 지연되는 시간과 동일한 지연시간을 갖는 제3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구성되고, 따라서 제3 신호 발생부(520)는 압력 패 드(531)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의 임피던스 값과 제4 신호 발생부(530)의 임피던스 값을 합한 것과 같은 임피던스의 값을 가진다.
이때 가변 되는 임피던스의 값으로는 정전용량, 저항치, 및 유도용량 중 어떤 것이 변하여도 무관하나 가변 되는 임피던스의 종류에 따라 제3 신호 발생부(520)와 제4 신호 발생부(530)의 구성이 결정된다.
즉 가변 되는 임피던스가 정전용량인 경우, 제4 신호 발생부(530)는 도2 의 제2 신호 발생부(130)와 같이 기준 신호(ref_sig)에 RC지연을 발행하기 위한 저항을 구비하며, 제3 신호 발생부(520)는 도2 의 제1 신호 발생부(120)와 같이 저항과 접지전압에 연결된 캐패시터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3 신호 발생부(520)는 제3 신호(sig3)를 압력 패드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제4 신호 발생부(530)에서 발생하는 제4 신호(sig4)와 동일한 지연시간을 갖게 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일 예로 제3 신호 발생부(520)의 저항은 제4 신호 발생부(530)의 저항과 동일한 저항치를 가지며 제3 신호 발생부(520)의 캐패시터는 압력 패드(531)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의 정전용량과 동일한 정전용량을 갖게 한다.
마찬가지로 압력 패드(531)의 임피던스 값으로 저항치가 가변 되는 경우에 제4 신호 발생부(530)는 접지전압과 연결되는 캐패시터를 구비하며, 제3 신호 발생부(520)는 제4 신호 발생부(530)의 캐패시터와 동일한 정전용량의 캐패시터와 압력 패드(531)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의 저항치와 같은 저항치를 갖는 저항을 구비한다.
또한 압력 패드(531)의 임피던스 값으로 유도용량이 가변 되는 경우에 제4 신호 발생부(530)는 접지전압과 연결되는 저항을 구비하며, 제3 신호 발생부(520)는 제4 신호 발생부(530)의 저항과 동일한 저항치의 저항과 압력 패드(531)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의 유도용량과 같은 유도용량을 갖는 리액턴스를 구비한다.
압력 데이터 발생부(540)는 제3 신호(sig3)에 대한 제4 신호(sig4)의 지연시간 차이를 측정하여 측정된 지연시간 차이에 상응하는 값을 압력데이터(pre_data)로 출력한다. 압력 패드(531)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3 신호(sig3)와 제4 신호(sig4)의 지연시간은 동일하므로 압력데이터의 값은 "0"이 출력이 되고, 압력 패드(531)에 압력이 인가되면 압력 패드(531)의 임피던스 값이 증가하여 제4 신호(sig4)의 지연시간이 더 길어져서 지연시간 차이가 발생하므로 압력데이터의 값은 "0" 이상의 값이 출력된다.
여기서 기준 신호 발생부(510)에서 발생되는 기준 신호(ref_sig)의 주기가 길수록 그리고 압력 패드(531)에 가변 되는 임피던스 값의 폭이 클수록 더욱 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9 는 본 발명에 접촉 센서와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입력 장치의 실시 예이다. 도9 에서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도3b 의 입력 장치에 제3 입력 라인(lineP)과 압력 패드(P_PAD)를 구비하고, 제3 입력 라인(lineP)과 압력 패드(P_PAD)는 제4 입력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 신호 판별부(600)에는 도8 의 압력 감지부(500)가 추가되어 압력 데이터(P_data)를 출력한다.
도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압력 센서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입력 신호 판별부(600)에 접촉 감지부를 대신하여 압력 감지부(500)를 사용하거나 접촉 감지부와 압력 감지부를 병행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5 에 나타난 디코딩 부는 단순히 논리 신호인 "하이"와 "로우"만을 구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압력 감지부(500)에서 출력되는 압력 데이터(p_data)는 디코딩 부에 인가되지 않고 별도로 출력되어야 한다.
도10a 내지 도10c 는 도9 의 압력 패드를 이용하여 적은 입력 라인으로 많은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a 내지 도7 에서는 전기적 접촉 센서를 이용하여 적은 입력 라인으로 많은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장치를 나타내었으나 실제 전자 제품에 적용 시에는 입력 신호가 많이 추가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각각의 제품이 기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장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초의 설계 시부터 레이아웃의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적은 입력 라인으로 많은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장치를 사용하거나, 도3b 또는 도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라인들 중에 2개 내지 3개의 입력 라인에만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종 휴대기기의 발달은 많은 부가기능의 발생으로 작은 휴대기기에 많은 입력 신호가 인가되도록 되어야 한다. 특히 문자의 입력을 받는 휴대폰이나 PDA등의 장치는 숫자, 한글, 영문자 등의 다양한 입력을 받아야 하므로 많은 입력 신호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자 입력 시에 현재는 주로 터치스크린에 문자를 표시하여 선택하거나 입력 키를 선택하여 입력을 한다. 특히 문자 입력 시에는 해당키를 복수번 선택하여 숫자, 한글, 영문 순으로 변환하거나, 별도의 모드 전환 키를 두고, 이 모드 전환 키를 복수번 선택하여 숫자, 한글, 영문자순으로 변환한다. 또한 한글에서도 평상음과 격음에 대해 구분되며, 영문자에서는 대문자와 소문자가 구분되어야 한다.
도10a 내지 도10c 에서는 적은 입력 라인으로 많은 입력 신호를 입력 장치로 압력 센서가 추가되었다.
도10a 내지 도10c 는 휴대용 기기에 압력 센서를 추가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710)을 사용하는 기기를 나타낸다. 도10a 내지 도10b 에서와 같이 압력 패드(720)를 별도의 키로 키패드나 터치스크린이 아닌 휴대용 기기(700)를 잡는 손가락이 닿는 곳에 배치한다.
사용자는 특정 문자를 입력하고자 할 때 손가락으로 압력 패드(720)에 압력을 가한다. 압력의 강도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현재 압력에 대응하는 문자 입력 모드가 숫자, 한글 순음, 한글 격음, 영문 대문자, 영문 소문자 중에 하나로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710)에 나타난 문자를 선택하여 해당 문자를 입력 할 수 있다.
도10a 는 압력 패드(720)에 압력을 인가하지 않았을 때 숫자 입력 모드로 표시되고 있다. 도10b 는 압력 패드(720)에 1단계 정도의 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한글 순음 입력 모드로 표시되고 있다. 그리고 도10c 는 압력 패드(720)에 3단계 정도의 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영문 대문자 입력 모드로 표시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를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의 보조 입력 수단으로 이용하게 되면 적은 입력 라인으로 많은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3a 내지 도7에서 설명한 접촉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과 더불어 도10a 내지 도10c 에서 설명한 압력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을 병합하여 사용하면 적은 입력 라인으로 많은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하나의 입력 패드로 접촉을 감지하는 전기적 접촉 센서를 이용하여 n개의 입력 라인에 대하여 2n-1 개의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더불어 일부 접촉 센서를 대신하여 압력 센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많은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라인의 개수가 적으므로 제품의 설계 시에 레이아웃 면적을 줄여주므로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특히 기 설계된 전자 제품에 추가의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 레이아웃의 변경을 최소화하여 입력 신호를 추가로 발생할 수 있다.

Claims (18)

  1.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
    n보다 큰 m개의 그룹을 구성하여 상기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과 각각 서로 다른 연결을 가지는 m개 그룹의 n개씩의 제2 입력 라인들;
    상기 m개 그룹의 n개씩의 제2 입력 라인들에 대응하여 연결된 m개 그룹의 n개씩의 접촉 수단들을 구비하는 입력 수단; 및
    상기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의 신호를 디코딩 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신호 판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m개 그룹의 접촉 수단으로 최대 2n-1개 그룹의 접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라인들은
    상기 m개 그룹의 n개씩의 접촉 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1부터 2n-1까지 n자리수 2진수에서 각 숫자의 1이 위치하는 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접촉 수단과 상기 제1 입력 라인을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인가 받을 시에 상기 n개씩의 접촉 수단 모두에 접촉이 되도록 각각의 접촉 수단을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접촉 수단을 분산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인가 받을 시에 상기 n개씩의 접촉 수단 모두에 접촉이 되도록 각각의 접촉 수단의 패턴이 서로 얽히게끔 구성하여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6. 제4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각각의 접촉 수단의 면적이 동일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인가 받을 시에 상기 접촉 수단 모두에 용이하게 접촉이 되도록 복수개의 2개씩의 접촉 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라인들은
    상기 m개 그룹의 각각 2개씩의 접촉 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과 각각 서로 다른 연결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판별부는
    상기 n개의 제1 입력 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입력이 상기 입력 수단에 인가되는 지를 감지하는 n개의 접촉 감지부; 및
    상기 n개의 접촉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접촉 신호를 디코딩 하여 복수개의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딩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부는
    상기 접촉 수단에 접촉이 하면 접촉 물체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1.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
    n보다 큰 m개의 그룹을 구성하여 상기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과 각각 서로 다른 연결을 가지는 m개 그룹의 n개씩의 제2 입력 라인들;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3 입력 라인들;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3 입력 라인들과 각각 연결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4 입력 라인들;
    상기 m개 그룹의 n개씩의 제2 입력 라인들에 대응하여 연결된 m개 그룹의 n 개씩의 접촉 수단들을 구비하는 제1 입력 수단;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4 입력 라인들에 대응하여 연결된 압력 수단을 구비하는 제2 입력 수단; 및
    상기 n개의 제1 입력 라인들의 신호를 디코딩 하여 제1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3 입력 라인들에 대응하여 제2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신호 판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수단은
    압력이 인가되면 임피던스의 변화가 발생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압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라인들은
    상기 m개 그룹의 n개씩의 접촉 수단에 각각 연결되어 1부터 2n-1까지 n자리수 2진수에서 각 숫자의 1이 위치하는 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접촉 수단과 상기 제1 입력 라인을 각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판별부는
    상기 n개의 제1 입력 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입력이 상기 입력 수단에 인가되는 지를 감지하는 n개의 접촉 감지부;
    상기 제3 입력 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한 압력이 상기 압력 수단에 인가되는 지를 감지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압력 감지부; 및
    상기 n개의 접촉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접촉 신호를 디코딩 하여 제1 입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압력 감지부에서 출력 되는 압력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제2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딩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부는
    상기 접촉 수단에 접촉이 발생하면 접촉 물체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개의 압력 수단에 압력이 인가되면 발생하는 임피던스의 변화를 감지하여 압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를 설정하여 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지정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모드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1 입력 신 호에 대응하는 표시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부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제2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모드를 설정하여 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설정된 모드에 따라 지정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모드와 현재 모드에 대응하는 입력 키를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의 입력이 인가되면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을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입력 장치.
KR1020060041153A 2006-05-08 2006-05-08 입력 장치 KR10076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153A KR100765327B1 (ko) 2006-05-08 2006-05-08 입력 장치
JP2008556259A JP2009527842A (ja) 2006-05-08 2007-04-06 入力装置
US12/297,391 US20090095541A1 (en) 2006-05-08 2007-04-06 Input device
PCT/KR2007/001692 WO2007129811A1 (en) 2006-05-08 2007-04-06 Input device
CNA2007800107613A CN101410775A (zh) 2006-05-08 2007-04-06 输入装置
TW096113313A TW200810495A (en) 2006-05-08 2007-04-16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153A KR100765327B1 (ko) 2006-05-08 2006-05-08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5460A KR20070005460A (ko) 2007-01-10
KR100765327B1 true KR100765327B1 (ko) 2007-10-09

Family

ID=3787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153A KR100765327B1 (ko) 2006-05-08 2006-05-08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095541A1 (ko)
JP (1) JP2009527842A (ko)
KR (1) KR100765327B1 (ko)
CN (1) CN101410775A (ko)
TW (1) TW200810495A (ko)
WO (1) WO2007129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997B1 (ko) * 2008-11-11 2011-05-11 주식회사 애트랩 터치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입력 장치
JP2011022744A (ja) * 2009-07-15 2011-02-03 Sanyo Electric Co Ltd 静電容量型タッチセンサ用の信号処理回路
JP5197521B2 (ja) * 2009-07-29 2013-05-15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KR101304321B1 (ko) 2010-01-22 2013-09-11 전자부품연구원 싱글 터치 압력에 기반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DE102011006344B4 (de) 2010-03-31 2020-03-12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Insassenmesssystem
JP5805974B2 (ja) 2010-03-31 2015-11-10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センサ
JP5759230B2 (ja) 2010-04-02 2015-08-05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手センサを有する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FR2965944B1 (fr) * 2010-10-06 2013-02-15 Thales Sa Procede de mesure d'effort pour un dispositif a ecran tactile multimode
WO2013154720A1 (en) 2012-04-13 2013-10-17 Tk Holdings Inc. Pressure sensor including a pressure sensitive material for use with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DE112013004512T5 (de) 2012-09-17 2015-06-03 Tk Holdings Inc. Einzelschicht-Kraftsensor
KR20150117120A (ko) * 2014-04-09 2015-10-19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입력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CN105306994A (zh) * 2015-11-12 2016-02-03 深圳市丰巨泰科电子有限公司 一种触摸屏遥控器
CN107145289A (zh) * 2016-03-01 2017-09-0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可切换输入法的电子装置及其输入法切换方法、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163B1 (ko) * 1994-07-26 1999-01-15 김동주 수기문자 및 도형입력 겸용 키입력장치와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수첩
JP2001027919A (ja) 1999-07-14 2001-01-30 Fujitsu Ltd レシーバ回路
JP2002041216A (ja) 2000-07-27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入力装置
KR20020066044A (ko) * 2001-02-08 2002-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28249A (ko) * 2002-09-30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시 수신자번호의 입력 방법
KR20070055909A (ko) * 2005-11-28 2007-05-31 주식회사 애트랩 압력센서 및 압력 측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5222U (ja) * 1991-12-27 1993-07-23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キーボードスイッチ方式
JPH08171447A (ja) * 1994-12-20 1996-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入力装置
JPH11108776A (ja) * 1997-10-02 1999-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力検出装置
JP2001142620A (ja) * 1999-11-10 2001-05-25 Nec Yamagata Ltd キーボード
JP2001337769A (ja) * 2000-05-26 2001-12-07 Sanyo Electric Co Ltd 通信装置
US7164087B2 (en) * 2002-05-10 2007-01-16 Digit Wireless, Llc Keypads with multi-function keys
JP4245512B2 (ja) * 2004-05-24 2009-03-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163B1 (ko) * 1994-07-26 1999-01-15 김동주 수기문자 및 도형입력 겸용 키입력장치와 이를 이용한 휴대용 전자수첩
JP2001027919A (ja) 1999-07-14 2001-01-30 Fujitsu Ltd レシーバ回路
JP2002041216A (ja) 2000-07-27 200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操作入力装置
KR20020066044A (ko) * 2001-02-08 2002-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28249A (ko) * 2002-09-30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시 수신자번호의 입력 방법
KR20070055909A (ko) * 2005-11-28 2007-05-31 주식회사 애트랩 압력센서 및 압력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95541A1 (en) 2009-04-16
KR20070005460A (ko) 2007-01-10
TW200810495A (en) 2008-02-16
JP2009527842A (ja) 2009-07-30
CN101410775A (zh) 2009-04-15
WO2007129811A1 (en)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5327B1 (ko) 입력 장치
US8786554B2 (en) Priority and combination suppression techniques (PST/CST) for a capacitive keyboard
US20060255971A1 (en) Keypad for enhancing input resolution and method for enhancing input resolution using the same
US116567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plurality of virtual buttons on a device
KR101455543B1 (ko) 모의 하드웨어 버튼 조작 방법 및 터치 스크린 단말
JP5625503B2 (ja) 入力装置
TW201525753A (zh) 具有多功能感測器的電子裝置及運作方法
KR2009002292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
US6975307B2 (en) Method for detecting touch-point coordinate for use in a resistive touch panel
US8928611B2 (en) Touch sensor usability enhancement on clamshell notebook
CN105045422A (zh) 按键装置的操控方法、按键装置及终端
CN102203697B (zh) 小键盘装置
US20070124674A1 (en) Motion detection system and motion detection method
KR20030073477A (ko)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JP5623054B2 (ja) 入力装置
KR100706706B1 (ko) 기계적 접촉 신호와 전기적 접촉 신호를 동시에 받아들이는스위치 매트릭스 장치
US20120154182A1 (en) Keys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keys
CN106210948A (zh) 一种开关电路、耳机插座、移动终端及方法
TWI574193B (zh) 觸碰感測裝置
KR20060022984A (ko) 키패드 글러브 장치
KR101018459B1 (ko) 터치센싱이 가능한 복합형 버튼장치
CN100353306C (zh) 触摸式信号输入装置及方法、具有该输入装置的电子设备
KR20130130531A (ko) 터치 감지 장치를 이용한 키보드
EP1411420B1 (en) Method for detecting touch-point coordinate for use in a resistive touch panel
CN109213358B (zh) 邻近传感器及其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