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6044A -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044A
KR20020066044A KR1020010006220A KR20010006220A KR20020066044A KR 20020066044 A KR20020066044 A KR 20020066044A KR 1020010006220 A KR1020010006220 A KR 1020010006220A KR 20010006220 A KR20010006220 A KR 20010006220A KR 20020066044 A KR20020066044 A KR 20020066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ssage
mobile terminal
phone number
called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860B1 (ko
Inventor
안성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860B1/ko
Priority to US09/974,380 priority patent/US7024210B2/en
Priority to CNB011375728A priority patent/CN1186955C/zh
Priority to JP2001379221A priority patent/JP2002262362A/ja
Publication of KR2002006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Scrolling o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Abstract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이 있으면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과정과, 착신측 전화번호에 대응된 사용자의 단축 다이얼링 요구가 있으면 요구된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전송요구에 의해 상기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의 착신측 이동단말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 사용자들은 기본적인 통화 기능 이외에 부가적으로 구현된 복수의 기능들 중의 하나인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기능을 이용해 문자 등의 메시지를 자신이 원하는 상대측 이동단말로 송신할 수 있으며, 임의의 이동단말에 의해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동단말에서의 SMS기능은 이동 단말 사용자의 메시지 서비스에 편의를 도모하였으며 점차 이동단말 사용자에 있어서 보편화된 기능으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동단말 사용자가 SMS기능을 이용해 메시지를 전송하고자할 경우 이동단말 상의 키입력부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메시지를 작성하여야 하며, 더불어 착신측 전화번호 및 발신측 전화번호도 함께 입력하여야 한다. 입력할 발신측 전화번호는 자신의 이동단말의 전화번호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사용자가 발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에는 큰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하지만 메시지 전송시의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에 대해서 사용자는 상당한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느낀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입력할 착신측 전화번호를 숙지하고 있거나 아니면 메모지와 같은 기록 장소에 그 전화번호를 기록해 놓아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의 개선된 메시지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이 사용자에 의해 신속하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시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을 이용한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이 있으면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과정과, 착신측 전화번호에 대응된 사용자의 단축 다이얼링 요구가 있으면 요구된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전송요구에 의해 상기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의 착신측 이동단말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이 있으면 발신측 전화번호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전화번호 입력이 있으면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착신측 전화번호에 대응된 단축 다이얼링 요구가 있으면 요구된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전송요구에 의해 상기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의 착신측 이동단말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이 있으면 단축 다이얼링 메시지 전송 가능함을 포함하는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 요구 메시지를 이동단말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착신 전화번호 직접 입력 및 전송 요구, 착신측 전화번호에 대응된 단축 다이얼링 메시지 전송 요구, 착신측 전화번호 검색 요구 중의 하나의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적용한 이동단말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과정을 사용자 입장에서 설명한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과정에서의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상태들 각각을 수순에 따라 보여주는 일 예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적용한 이동단말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20)는 이동단말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부(22)는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음성처리부(24)는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무선부(22)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 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22)로 출력한다. 키입력부(26)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데이터를 제어부(20)로 출력한다. 표시부(28)는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부(30)는 휴대폰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을 저장하는 전화번호부(phone book) 저장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이 사용자에 의해 신속하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을 사용자가 직접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전화번호 검색으로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숫자키를 이용한 단축 다이얼링으로도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바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과정을 사용자 입장에서 설명한 개요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a단계에서와 같이 이동단말의 키입력부(26)를 이용해서 자신이 원하는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고, b단계에서와 같이 발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발신측 전화번호는 본인의 이동단말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사용자가 별도로 발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게 이동단말의 제어부(20)가 발신측 전화번호를 본인의 이동단말 전화번호로 해서 표시부(28)상에 디스플레이해 주고 사용자는 그 전화번호를 선택만 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c단계에서와 같이 제어부(20)가 표시부(28)를 통해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세 가지 방법 ①,②,③으로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메모리부(30)내 전화번호부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단문 메시지를 착신측 가입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가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존의 메시지 전송방법과 다른 점을 먼저 설명한다. 기존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작성하게 되면 그 다음으로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이 되게 하고 그 후에 발신측 전화번호 입력이되게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발신측 전화번호 입력이 먼저 되게 하고 그 후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선택)이 되도록 한다. 이는 메시지 전송하고자 하는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선택)을 전화번호 검색으로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숫자키를 이용한 단축 다이얼링으로도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바로 착신측 전화번호의 이동단말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가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3가지의 메시지 전송방법 중 첫 번째(①) 방법은 기존의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착신측 전화번호를 d단계에서 직접 입력하고 키를 이용해 확인함으로써 e단계에서 단문 메시지가 전송되게 하는 것이다. 3가지 메시지 전송방법중 두 번째(②)방법은 숫자키를 이용한 단축 다이얼링으로도 사용자가 작성한 메시지를 바로 착신측 전화번호의 이동단말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도 2의 f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메시지 단축다이얼링을 위해 원하는 숫자키를 길게 누르면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숫자키에 대응된 기억번지의 착신측 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착신측 전화번호가 자신이 원하는 전화번호로 인식하고 키를 이용해 확인하게 되고 h단계에서와 같이, 작성된 단문 메시지는 제어부(20)에 의해서 착신측 전화번호에 대응된 이동단말로 전송된다.
3가지 메시지 전송방법중 마지막 세 번째(③)방법은 전화번호 검색을 통한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 및 메시지 전송이다. 도 2의 i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키입력부(26)에 구비된 메뉴키를 이용해 자신이 원하는 착신측 전화번호 찾기를 전화번호부 검색을 통해 수행한다. 착신측 전화번호를 찾는 방법은 j단계와 같이 이름으로 찾기가 있고 k단계와 같이 번지로 찾기가 있다. j단계와 k단계를 통해서 사용자가 l단계와 같이 착신측 전화번호를 찾게 되면 키를 이용해 확인하게 되고, m단계에서와 같이, 작성된 단문 메시지는 제어부(20)에 의해서 착신측 전화번호에 대응된 이동단말로 전송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 제어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과정에서의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상태들 각각을 수순에 따라 보여주는 일 예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의 제어부(20)가 수행하는 이동단말의 메시지 전송 제어 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키입력부(26)의 예컨대 메뉴키를 이용해서 메시지 전송요구를 하게 되면 제어부(20)는 도 3의 100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도 3의 102단계로 진행하여 단문 메시지 전송모드가 된다. 메시지 전송모드가 되면 제어부(20)는 도 3의 104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문 메시지 작성을 수행한다. 도 4의 참조번호 410의 화면상태는 도 3의 102단계의 단문 메시지 전송모드로 진입하였을 경우의 디스플레이 결과의 예시로서, "1: 새문장 작성"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4의 참조번호 412의 화면상태는 도 3의 104단계의 동작 수행에 따른 표시 결과이며, "새문장 작성"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 문자를 작성해 놓은 상태를 보여 주고 있다.
사용자가 도 2의 a단계에서와 같이 자신이 원하는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고확인에 대응된 키를 입력하면 제어부(20)는 도 3의 106단계로 진행한다. 106단계에서 제어부(20)는 발신측 전화번호 입력 요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제어부(20)는 발신측 전화번호를 본인의 이동단말 전화번호로 해서 표시부(28)상에 디스플레이해 주고 사용자가 그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아니면 자신이 원하는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참조번호 414의 화면상태는 도 3의 106단계에서의 발신측 전화번호 입력 요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예시이다. 도 4의 참조번호 414의 화면에서 발신측 전화번호 "001-222-3333"은 디폴트 설정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발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입력완료에 대응된 확인키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20)는 도 3의 108단계로 진행한다. 108단계에서 제어부(20)는 표시부(28)를 통해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도 2의 c단계). 예컨대, 도 4의 416의 화면상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측 전화번호를 입력하세요. 단축다이얼링 메시지 전송도 가능"이라는 메시지를 표시부(28)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세 가지 방법 ①,②,③중 하나로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 및 메시지 전송 요구를 수행할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도 2의 도시된 ①의 메시지 전송방법으로 착신측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을 하고 전송요구(전송요구는 확인에 대응된 키 입력임)를 하게 되면 제어부(20)는 도 3의 도 3의 112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114단계로 진행한다. 도 3의114단계에서 제어부(20)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된 착신측 전호번호에 대응된 이동단말로 기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약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②의 메시지전송 방법으로 숫자키를 이용하여 단축 다이얼링을 요구하게 되면, 예컨대 해당 숫자키를 숫자 입력시의 키누름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누르면 제어부(20)는 도 3의 124단계에서 이를 메시지 단축 다이얼링 전송으로 인식하여 126단계로 진행한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각 숫자키에 대응된 단축 다이얼번호가 무엇인지를 인지할 수 있어야 가능하다. 제어부(20)는 도 3의 126단계에서 입력 숫자키에 대응된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를 표시부(28)상에 디스플레이한다(도 4의 418 상태). 그 후 제어부(20)는 도 3의 128단계의 판단에서 사용자로부터 전송요구가 있으면(예컨대 확인에 대응된 키 입력), 130단계로 진행하여 디스플레이된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에 대응된 이동단말로 기 작성된 단축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4의 418, 420, 422, 424의 화면상태는 도 3의 126단계 및 130단계 수행시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상태들로서,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에 대응된 이동단말로 단문 메시지가 전송됨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만약 사용자가 도 2에 도시된 ③의 메시지전송 방법으로 전화번호부 검색을 요구하면(도 4의 416상태에서의 검색에 대응된 키 입력) 제어부(20)는 도 3의 116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118단계로 진행한다. 도 3의 118단계에서 제어부(20)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화번호부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개의 전화번호들중 사용자가 원하는 착신자 전화번호 검색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착신자 전화번호 검색을 도 2의 j단계와 같이 이름 찾기로 할 수 있고 k단계와 같이 번지 찾기로 할 수있다. j단계와 k단계를 통해서 사용자가 l단계와 같이 착신측 전화번호를 찾게 되면 사용자는 검색한 전화번호로 전송요구를 하게 된다. 예컨대 확인에 대응된 키를 입력하는 것이다. 키입력부(26)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검색된 전화번호로 전송요구가 있으면 제어부(20)는 이를 도 3의 120단계에서 판단하고 122단계로 진행한다. 도 3의 122단계에서 제어부(20)는 검색된 착신측 전호번호에 대응된 이동단말로 기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신측 이동단말로의 메시지 전송을 단축 다이얼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착신측 전화번호 검색을 통해 착신측 전화번호를 선택 입력할 수 있으며, 선택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된 이동단말로 기작성된 메시지 전송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Claims (4)

  1.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이 있으면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과정과,
    착신측 전화번호에 대응된 사용자의 단축 다이얼링 요구가 있으면 요구된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전송요구에 의해 상기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의 착신측 이동단말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축 다이얼링 요구는 단축 다이얼링에 대응된 숫자키를 숫자 입력시의 키 누름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누름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3.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이 있으면 발신측 전화번호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측 전화번호 입력이 있으면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과정과,
    착신측 전화번호에 대응된 사용자의 단축 다이얼링 요구가 있으면 요구된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전송요구에 의해 상기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의 착신측 이동단말로 상기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4.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의 메시지 작성이 있으면 단축 다이얼링 메시지 전송 가능함을 포함하는 착신측 전화번호 입력 요구 메시지를 이동단말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착신 전화번호 직접 입력 및 전송 요구, 착신측 전화번호에 대응된 단축 다이얼링 메시지 전송 요구, 착신측 전화번호 검색 요구 중의 하나의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KR1020010006220A 2001-02-08 2001-02-08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0365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220A KR100365860B1 (ko) 2001-02-08 2001-02-08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US09/974,380 US7024210B2 (en) 2001-02-08 2001-10-10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CNB011375728A CN1186955C (zh) 2001-02-08 2001-10-30 在移动终端中发送消息的方法
JP2001379221A JP2002262362A (ja) 2001-02-08 2001-12-12 移動端末でのメッセージ伝送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220A KR100365860B1 (ko) 2001-02-08 2001-02-08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044A true KR20020066044A (ko) 2002-08-14
KR100365860B1 KR100365860B1 (ko) 2002-12-26

Family

ID=1970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220A KR100365860B1 (ko) 2001-02-08 2001-02-08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24210B2 (ko)
JP (1) JP2002262362A (ko)
KR (1) KR100365860B1 (ko)
CN (1) CN1186955C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441A (ko) * 2002-05-28 2003-12-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축 다이얼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방법과 이를 이용한휴대폰
KR20040028249A (ko) * 2002-09-30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시 수신자번호의 입력 방법
KR20050007898A (ko) * 2003-07-12 2005-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기록 및 전송방법
KR20050022467A (ko) * 2003-09-01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의 에스엠에스메시지 입력관리방법
KR100487229B1 (ko) * 2001-08-25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송신할 때 그 수신처를지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31022B1 (ko) * 2006-05-04 200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스크롤기능 구현방법
KR100765327B1 (ko) * 2006-05-08 2007-10-09 주식회사 애트랩 입력 장치
KR100850991B1 (ko) * 2001-02-28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100863442B1 (ko) * 2002-07-26 2008-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전화번호 입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999A (ko) * 2001-08-06 2003-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US20040203610A1 (en) * 2002-04-25 2004-10-14 Douglas Deeds Creating and transmitting a text message from a terminal
FR2844133A1 (fr) * 2002-08-30 2004-03-05 Over The Air Ota Appareil radiotelephonique portable a touche pre-programmee ou programmable declenchant une action specifique a travers un canal de type"sms"
US7623878B2 (en) * 2005-04-13 2009-11-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message to two or more associ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00464552C (zh) * 2003-06-18 2009-02-25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手机快速输入短消息的方法
KR100557125B1 (ko) * 2003-09-01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네이버 리스트 생성방법 및 장치
MY141613A (en) * 2003-10-14 2010-05-31 Redtone Technology Sdn Bhd Method of providing sms callback
US20050136893A1 (en) * 2003-12-22 2005-06-23 Timo Ala-Lehtimaki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lectronic message with user-defined contents
US20060246873A1 (en) * 2005-04-29 2006-11-02 Siemens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making calling card telephone calls using a mobile telephone
WO2007036760A1 (en) * 2005-09-28 2007-04-05 Nokia Corporation Speed di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from a remote service
US7688967B2 (en) * 2006-05-31 2010-03-30 Cisco Technology, Inc. Dynamic speed dial number mapping
TWI381709B (zh) * 2007-10-29 2013-01-01 Htc Corp 藉由顯示聯絡人資訊來實現快速撥號的方法與使用該方法的行動通訊裝置
EP2487597A4 (en) * 2009-10-05 2013-05-08 Nec Corp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LECTRONIC MAIL TRANSMISSION FUNCTIONALITY, ELECTRONIC MAIL TRANSMISS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8825001B2 (en) 2011-09-06 2014-09-02 Tangoe Canada, Inc. Confirmation based mobile messaging platform
CN104469717B (zh) * 2014-12-25 2018-07-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短信发送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2520A1 (en) * 1991-07-22 1993-02-04 Motorola, Inc. Radio telephone interface apparatus
JP3450865B2 (ja) 1992-01-08 2003-09-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電話装置
KR0185613B1 (ko) 1995-05-27 1999-05-15 김광호 이동 무선전화기의 다이알링방법
GB2301987B (en) * 1995-06-05 2000-01-12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telephone text transmission system
FI102869B1 (fi) * 1996-02-26 1999-02-26 Nokia Mobile Phones Ltd Laite, menetelmä ja järjestelmä eri sovelluksiin liittyvien tietojen lähettämiseksi ja vastaanottamiseksi
US5878397A (en) * 1996-07-10 1999-03-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transporting short message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JP3041244B2 (ja) * 1996-09-26 2000-05-15 株式会社東芝 メッセージ通信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11713A (ko) * 1997-07-25 1999-02-18 윤종용 시나리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문자 정보 전송
KR100247010B1 (ko) * 1997-08-28 2000-03-15 윤종용 쇼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 디지털 이동 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전송방법
FI106282B (fi) * 1997-09-22 2000-12-29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ja järjestelmä lyhytsanoman lähettämiseksi tietoliikenneverkossa
JP3842405B2 (ja) 1997-10-06 2006-11-08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端末
JP3942281B2 (ja) 1998-08-05 2007-07-11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携帯電話機
KR100308663B1 (ko) 1999-02-13 2001-09-26 윤종용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US6625460B1 (en) * 1999-12-21 2003-09-23 Nokia Corporation Unified messaging protocol using SMS
US6574486B1 (en) * 2000-02-08 2003-06-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mong calling op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991B1 (ko) * 2001-02-28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100487229B1 (ko) * 2001-08-25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송신할 때 그 수신처를지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30091441A (ko) * 2002-05-28 2003-12-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축 다이얼을 이용한 메시지 전송방법과 이를 이용한휴대폰
KR100863442B1 (ko) * 2002-07-26 2008-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 전화번호 입력방법
KR20040028249A (ko) * 2002-09-30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시 수신자번호의 입력 방법
KR20050007898A (ko) * 2003-07-12 2005-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기록 및 전송방법
KR20050022467A (ko) * 2003-09-01 2005-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의 에스엠에스메시지 입력관리방법
KR100731022B1 (ko) * 2006-05-04 200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스크롤기능 구현방법
KR100765327B1 (ko) * 2006-05-08 2007-10-09 주식회사 애트랩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07051A1 (en) 2002-08-08
JP2002262362A (ja) 2002-09-13
US7024210B2 (en) 2006-04-04
KR100365860B1 (ko) 2002-12-26
CN1186955C (zh) 2005-01-26
CN1368832A (zh)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860B1 (ko) 이동 단말에서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1154997B1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단축번호를 이용한 발신 방법
US20030129975A1 (en) Method of performing communication function with hot ke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2005004900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one-touch message transmission
US706902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SMS in mobile telephone
JP3741025B2 (ja) 電話システム、電話機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48677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문자메시지의 음성 제공 방법
JP5119813B2 (ja) 通話中に電話帳機能を操作出来る電話装置
US20020078156A1 (en) Display data transmi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20030091834A (ko) 음성데이터와 문자데이터 상호 변환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단말기에서의 음성 데이터와 문자데이터 상호 변환 방법
KR100862142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메시지에 포함된 단어의 부가정보 표시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1806507B1 (ko) 인터넷전화 기능을 갖는 일체형 컴퓨터 장치
KR100506282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편집방법
JP2008053937A (ja) 音声認識/応答型携帯電話、携帯電話の操作方法、及び携帯電話の操作プログラム
KR100679312B1 (ko) 음성 녹음을 이용한 상대방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및 장치
KR101063809B1 (ko) 메트로놈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97768A (ko) 전자펜을 이용한 입력데이터의 전송 시스템
JP2001127888A (ja) 音声出力メールシステム
KR100413270B1 (ko) 농아자의 의사소통을 위한 휴대전화기와 방법
KR100598064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서비스방법
KR2002001761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편집 및 전송방법
KR100663741B1 (ko) 음성 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JP3570997B2 (ja) 通信システム、電話交換機及び通信装置
KR100874096B1 (ko) 특정키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전송 장치, 그 방법 및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