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4110B1 - 펌프유닛의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한 펌프장치 - Google Patents

펌프유닛의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한 펌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4110B1
KR100764110B1 KR1020060009290A KR20060009290A KR100764110B1 KR 100764110 B1 KR100764110 B1 KR 100764110B1 KR 1020060009290 A KR1020060009290 A KR 1020060009290A KR 20060009290 A KR20060009290 A KR 20060009290A KR 100764110 B1 KR100764110 B1 KR 100764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asing
noise
unit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4409A (ko
Inventor
마사키 오니시
이사무 요시무라
히사오 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가와사키 프리시젼 머시너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가와사키 프리시젼 머시너리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가와사키 프리시젼 머시너리
Publication of KR20070004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5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D2260/962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means of "anti-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펌프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하는 펌프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2개의 펌프유닛과 밸브유닛이 체결용 볼트로 체결되어 구성되는 펌프장치의 상기 펌프유닛이 구비되는 펌프 케이싱(20)은, 차음벽(40)을 구비한다. 이러한 차음벽(40)을 설치함으로써, 펌프 케이싱(20)은 체결부재 삽입공(35)을 삽입 관통하여 설치되는 체결용 볼트(36)를, 체결용 볼트(36)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 가능하도록 덮을 수 있다. 차음벽(40)은 체결용 볼트(36)를 단순히 덮을 뿐만 아니라, 체결용 볼트(36)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덮는 구성이다. 이에 의하여 체결용 볼트(36)가 원인이 되는 소음이 외부로 방사되어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펌프, 케이싱, 체결부재, 소음, 차음벽

Description

펌프유닛의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한 펌프장치{Casing of pump unit and pump device hav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펌프 케이싱(20)을 구비하는 펌프장치(2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좌측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우측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상측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하측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지면 안쪽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절단면선 A-A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절단면선 B-B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6의 절단면선 C-C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펌프 케이싱(20)의 체결부재 삽입공(35)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차음벽(40)에 의한 차음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종래기술의 펌프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27 : 펌프 케이싱 21 : 펌프장치
22, 23 : 펌프유닛 24 : 밸브유닛
25, 26 : 서보유닛 30 : 밸브 케이싱
35 : 체결부재 삽입공 36 : 체결용 볼트
40 : 차음벽 44 : 수용공간
60 : 케이싱 본체 61 : 통형부
본 발명은 펌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의 펌프유닛의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도 16은 종래기술의 펌프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본 잡지 「유공압기술 10월 증간호」(일본공업출판, 평성 12년 10월 5일, 제39권, 제12호)에 개시된 펌프장치(1)는 2개의 사판식(斜板式) 피스톤 펌프가 축선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 는 탠덤(tandem)형 펌프 등으로 불리는 복합형 펌프장치이다. 펌프장치(1)는 2개의 펌프유닛(2, 3)과, 밸브유닛(4)을 가진다. 각 펌프유닛(2, 3)은 각각 펌프 케이싱(5, 6)을 구비하며, 각 펌프 케이싱(5, 6) 내에 실린더 로드, 피스톤 및 사판 등이 각각 수용되어 구성된다. 밸브유닛(4)은 밸브 케이싱(7)을 구비하며, 밸브 케이싱(7) 내에 각 펌프유닛(2, 3)의 실린더 로드에 각각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2개의 밸브판이 수용되어 구성된다.
각 펌프유닛(2, 3)과 밸브유닛(4)은, 복수의 체결용 볼트(10)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각 체결용 볼트(10)가 펌프의 기본 주파수의 n차 주파수 성분에 대하여 공진하여 고주파 진동함으로써 소음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각 체결용 볼트(10)는 펌프 케이싱(5, 6)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발생하는 소음은 그대로 외부로 방사되어 버린다.
도 16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복합형 펌프장치(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용 볼트(10)가 소음을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 이러한 체결용 볼트(10)가 원인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펌프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한 펌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펌프유닛이 밸브유닛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며, 일단부가 펌프유닛에 잠겨지고 또한 타단부가 밸브유닛에 잠겨지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각 펌프유닛 및 밸브유닛이 체결되는 펌프장치의 상기 펌프유닛이 구비되는 케이싱으로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체결부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 가능하게 덮는 차음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펌프유닛의 케이싱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펌프유닛과 밸브유닛이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구성되는 펌프장치의 상기 펌프유닛이 구비되는 케이싱은 차음벽을 가진다. 이러한 차음벽을 설치함으로써, 케이싱은 체결부재를, 체결부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 가능하게 덮을 수 있다. 차음벽은 체결부재를 단순히 덮을 뿐만 아니라, 체결부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체결부재가 원인인 소음이 외부로 방사되어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음벽이 적어도 2 kHz 이상 6 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차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음벽에 의하여 2 kHz 이상 6 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소음이 차단된다. 2 kHz 이상 6 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은 사람의 귀에 거슬리는 소음으로서, 이러한 귀에 거슬리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단순히 차단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귀에 거슬리는 주파수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음벽이, 펌프유닛의 케이싱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 로 연결되어, 펌프 케이싱에는 체결부재를 덮는 통형부가 형성됨으로써, 펌프유닛의 케이싱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음벽과 케이싱의 나머지 부분에 의하여, 체결부재를 덮는 통형부가 형성되어, 케이싱의 강성이 향상된다. 이에 의하여 차음벽을 포함하여 케이싱 자체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음벽이 상기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을 외부로부터 빈틈없이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음벽에 의하여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이 외부로부터 빈틈없이 차단된다. 이에 의하여 빗물을 포함한 물이 펌프장치에 닿더라도, 그 물이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에 체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펌프유닛의 케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이 작아 바람직한 펌프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펌프 케이싱(20)을 구비하는 펌프장치(2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펌프 케이 싱(20)을, 좌측면, 평면 및 배면이 보이도록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는 펌프 케이싱(20)을 정면, 좌측면 및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는 펌프 케이싱(20)을 우측면, 배면 및 저면이 보이도록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는 펌프 케이싱(20)을 제외한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펌프장치(21)는, 예를 들어 산업기계 및 건설기계에 설치되는 펌프장치로서, 탠덤형 펌프 등으로 불리는 2개의 펌프부가 조합되어 구성되는 복합형 펌프장치이다. 조합되는 2개의 펌프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사판식 피스톤 펌프이다. 이러한 사판식 피스톤 펌프는 정용량형(定容量形) 펌프이어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용량형 펌프이다.
펌프장치(21)는 2개의 펌프유닛(22, 23)과, 밸브유닛(24)을 구비하며, 아울러 2개의 서보유닛(25, 25)을 구비한다. 각 펌프유닛(22, 23)은 밸브유닛(24)을 사이에 두도록 축선방향으로 동축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며, 밸브유닛(24)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각 서보유닛(25, 26)이 각 펌프유닛(22, 23)의 상부에 설치되며, 각 펌프유닛(22, 23)에 연결되어 있다.
각 펌프유닛(22, 23)은 펌프 케이싱(20, 27)을 각각 구비하며, 각 펌프 케이싱(20, 27) 내에 실린더 로드, 피스톤 및 사판(斜板) 등의 구성부가 각각 수용되어 구성된다. 각 펌프 유닛(22, 23)의 펌프 케이싱(20, 27)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축선방향으로 대칭하게 배치되고, 펌프 케이싱(20, 27) 내에 수용되는 구성부도, 축선방향으로 대칭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4에서는 도면 중 우측에 배치되는 펌프 케이싱(20)의 좌측면 및 배면이 보이고, 도면 중 좌측에 배치되는 펌프 케이 싱(27)의 저면이 보이고 있다.
밸브유닛(24)은 밸브 케이싱(30)을 가지며, 밸브 케이싱(30) 내에 각 펌프유닛(22, 23)의 각 실린더 로드에 각각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2개의 밸브판이 수용되어 구성된다. 각 서보유닛(31, 32)은 서보 케이싱(31, 32)을 각각 가지며, 각 서보 케이싱(31, 32) 내에 사판을 경전(傾轉)시키기 위한 서보기구가 수용되어 구성된다.
각 펌프케이싱(20, 27)에는 복수의,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체결부재 삽입공(35)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펌프 케이싱(20)은, 각 삽입공(35)에 4개의 체결부재로서 체결용 볼트(36)가 각각 삽입되며, 각 체결용 볼트(36)의 일단부가 펌프 케이싱(20)에 잠기고, 또 각 체결용 볼트(36)의 타단부가 밸브 케이싱(30)에 잠기어, 밸브 케이싱(30)에 체결된다. 각 체결용 볼트(36)의 양단부의 펌프 케이싱(20) 및 밸브 케이싱(30)으로의 잠김 구조는, 예를 들어 체결용 볼트(36)의 머리부를 잠그는 구성, 체결용 볼트(36)를 펌프 케이싱(20) 및 밸브 케이싱에 직접 나사 결합시키는 구성, 및 체결용 볼트(36)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재를 잠그는 구성 중 어느 구성에 의하여 실현된다.
또한 다른 쪽의 펌프 케이싱(27)은, 한쪽의 펌프 케이싱(20)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하여, 밸브 케이싱(30)에 체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각 펌프유닛(22, 23)과, 밸브유닛(24)은 일단부가 펌프유닛(22, 23)에 잠기고 또한 타단부가 밸브유닛(24)에 잠기는 체결용 볼트(36)에 의하여, 서로 체결된다. 체결용 볼트(36)는 양단부 사이의 중간부가 펌프 케이싱(20, 21)의 일부에 의하여 구성되는 차음벽(40)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덮여져 있다.
펌프유닛(22)은 회전축을 가지며, 이 회전축은 베어링을 통하여 펌프 케이싱(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에는 실린더 블록이 회전축에 대한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에 형성되는 복수의 피스톤실에는, 피스톤이 신축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각 피스톤은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돌출측의 단부가 슈(shoe)를 통하여 사판의 지지면에 접촉되어, 지지면을 따라 변위한다. 사판의 지지면은 회전축선에 수직한 가상 평면에 대하여 경사되어, 실린더 블록의 회전에 따라 각 피스톤은 신장 및 축퇴(縮退)하도록 왕복 변위한다.
밸브유닛(24)에 설치되는 밸브판에는, 작동유체인 작동유가 저장되는 유원(油源)인 예를 들어 탱크에 연결되는 흡입포트와, 작동유의 공급처인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에 접속되는 토출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판은 신장행정에 있는 피스톤이 끼워져 있는 피스톤실이 흡입포트에 접속되고, 축퇴행정에 있는 피스톤이 끼워져 있는 피스톤실이 토출포트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에 원동기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어, 실린더 블록이 회전하면, 각 피스톤의 왕복변위에 의하여 작동유가 탱크로부터 퍼 올려져 액추에이터로 공급된다.
또한 서보유닛(25)에 설치되는 서보기구는, 펌프유닛(22)의 사판의 지지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도록 사판을 기울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펌프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쪽의 펌프유닛(22)과, 이에 연결되는 서보유닛(26)과, 밸브유닛(24)의 다른 일부 구성에 의하여, 바로 1개의 펌프부가 실현되며, 더 1개의 펌프부는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쪽의 펌프유닛(22)을 가지는 펌프부의 회전축은, 펌프 케이싱(20)으로부터 돌출하여, 그 회전축에 원동기로부터 동력이 전달된다. 다른 쪽의 펌프유닛(23)을 가지는 펌프부의 회전축은, 한쪽의 펌프유닛(22)을 가지는 펌프부의 회전축에 밸브유닛 내에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2개의 펌프부가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좌측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우측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상측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하측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지면 안쪽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절단면선 A-A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절단면선 B-B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6의 절단면선 C-C에서 본 펌프 케이싱(2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펌프 케이싱(20, 27)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대표로서 한쪽의 펌프 케이싱(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펌프 케이싱(20)에는 수용공간(44)이 형성되어, 이 수용공간(44)에 회전축, 실린더 로드, 각 피스톤 및 사판을 포함하는 구성부가 수용된다. 이러한 수용공간(44)은 축선방향으로 관통하여 있고, 펌프 케이싱(20)의 축선방향 일단부가 되는 좌측면부(45)에 형성되는 개구부(48) 및 펌프 케이싱(20)의 축선방향 타단부가 되는 우측면부(46)에 형성되는 개구부(49)에 의해 개방되어 있다. 펌프 케이싱(20) 은 우측면부(46)를 대향시켜, 밸브 케이싱(30)에 체결된다. 수용공간(44)이 축선방향으로 관통되고, 각 측면부(45, 46)에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을 부분적으로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으며, 원동기로부터의 동력의 전달, 2개의 펌프의 회전축끼리의 연결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실린더 로드와 밸브판을 미끄럼 접촉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용공간(44)은 펌프 케이싱(20)의 상단부가 되는 평면부(47)에 형성되는 개구부(50)에 의해 개방되어 있어, 사판을 부분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보유닛(25)의 서보기구로 사판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펌프 케이싱(20)의 정면부(51) 및 배면부(52)에는, 수용공간(44)으로 이어지는 구멍(53, 5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구멍(53, 54)은 실린더 블록, 피스톤 등으로부터 누설되는 작동유를 배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탱크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포트(drain port)이다.
펌프 케이싱(20)에는 수용공간(44)의 주위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수용공간으로부터 독립한 4개의 채결부재용 삽입공(35)이 형성되어 있다. 각 체결부재 삽입공(35)은 축선방향으로 관통되어, 각 측면부(45, 46)에서 개방되어 있다. 이들 체결부재 삽입공(35)에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용 볼트(36)가 삽입되어, 펌프 케이싱(20)이 밸브 케이싱(30)에 체결된다. 따라서 펌프 케이싱(20)은 체결용 볼트(36)를 덮는 차음벽(40)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펌프 케이싱(20)은 수납공간(44)이 형성되는 케이싱 본체(60)와, 차음벽(40)을 가지고 있다.
종래기술의 항에서 설명한 것처럼, 체결용 볼트(36)는 펌프부의 기본 주파수 의 n차 주파수 성분에 대하여 공진하여 주파수 진동을 일으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 케이싱(20)이 체결용 볼트(36)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 가능한 차음벽(40)을 가지고 있어, 체결용 볼트(36)에서 소음이 발생하더라도 그 소음이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펌프 케이싱(20)의 체결부재 삽입공(35)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차음벽(40)은 둘레방향 양단부(66, 67)에서 펌프 케이싱(20)의 차음벽(4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케이싱 본체(6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펌프 케이싱(20)에는 체결용 볼트(36)를 덮는 통형부(61)가 형성된다. 따라서 펌프 케이싱(20)은 강성을 크게 하여, 특히 체결용 볼트(36)가 설치되는 부분의 강성을 향상시켜 크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차음벽(40)은 그 두께 치수 T1∼T4, t1∼t4가, 펌프 케이싱(40)의 축선방향 치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2 kHz 이상 6 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차단 가능한 치수로 결정된다. 또한 차음벽(40)은 케이싱 본체(60)와 일체로 연결되어, 체결용 볼트가 배치되는 공간, 즉 체결부재 삽입공(35)을 외부로부터 빈틈없이 막는 구성이다.
각 체결부재 삽입공(35)은 대략 원기둥 형상의 구멍이며, 축선방향 중간부(35a)가 축선방향 양단부(35b, 35c)에 비하여 큰 내경을 가지고 있다. 역으로 차음벽(40)에 대하여 보면, 차음벽(40)은 축선방향에 대하여 중간부(70)의 두께 치수 T1∼T4가, 양단부(72, 73)의 두께 치수 t1∼t4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음벽(40)은 케이싱 본체(60)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둘레방향의 중간부(65) 두께 치 수 T2, T3, t2, t3이, 케이싱 본체(60)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둘레방향의 양단부(66, 67) 두께 치수 T1, T4, t1, t4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각 체결부재 삽입공(35)은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주조 인발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주조 인발에 의해 형성하면, 소재 양을 적게 할 수 있으며, 가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2개의 펌프유닛(22, 23)과 밸브유닛(24)이 체결부재인 체결용 볼트(36)로 체결되어 구성되는 펌프장치(21)의 펌프 케이싱(20, 27)은 차음벽(40)을 가지고 있다. 차음벽(40)은 체결용 볼트(36)를 체결용 볼트(36)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 가능하게 외측으로부터 덮을 수 있다. 차음벽(40)은 체결용 볼트(36)를 단순하게 덮는 것뿐만 아니라, 체결용 볼트(36)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덮는 구성이다. 이에 의하여 체결용 볼트(36)가 원인이 되는 소음이 외부로 방사되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장치(21)의 저소음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5는 차음벽(40)에 의한 차음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에 있어서, 횡축은 소음의 주파수이며, 종축은 미리 정해진 관측점에서의 소음의 음압 레벨이다. 또한 도 15에는 차음벽(40)이 설치되는 구성에서의 소음의 음압 레벨을 실선(70)으로 나타내었으며, 차음벽(40)이 없는 체결용 볼트가 노출된 구성에서의 음압 레벨을 점선(71)으로 나타내었다. 도 15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차음벽(40)은 체결용 볼트(36)를 단지 덮을 뿐만 아니라, 체결용 볼트(36)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 가능한 것임이 분명하다.
또한 차음벽(40)은, 도 15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2 kHz 이상 6 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2 kHz 이상 6 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은, 인간에게는 귀에 거슬리는 소음으로서, 이러한 귀에 거슬리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용 볼트(36)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단순히 차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귀에 거슬리는 주파수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5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차음벽(40)은 6 kHz를 초과하는 주파수 대역의 소음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장치(21) 주위의 환경을 매우 양호하게 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작업자에 의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차음벽(40)과 펌프 케이싱(20, 27)의 나머지 부분인 케이싱 본체(60)는, 일체로 형성되어, 체결용 볼트(36)를 덮는 통형부(61)가 형성되므로, 펌프 케이싱의 강성, 특히 체결용 볼트(36)가 설치되는 부분의 강성을 향상시켜 높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차음벽(40)을 포함하여 펌프 케이싱(20) 자체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2 kHz 이상의 고차 주파수의 소음뿐만 아니라, 1 kHz 이상 2 kHz 미만의 저차 주파수의 소음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차음벽(40)은 축선방향에 대하여 중간부의 두께 치수 T1∼T4가 양단부의 두께 치수 t1∼t4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차음벽(40)은 케이싱 본체(60)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둘레방향의 중간부의 두께 치수 T2, T3, t2, t3이 케이싱 본체(60)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둘레방향의 양단부 두께 치수 T1, T4, t1, t4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전체의 두께 치수를 일률적으로 하는 경우에 비하여, 차음벽(40)의 체적을 가능한 작게 할 수 있어, 가능한 만큼 높은 강성 이 얻어진다. 따라서 경량으로 펌프장치의 저소음화에 기여할 수 있는 펌프 케이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차음벽(40)은 체결용 볼트(36)가 배치되는 공간, 즉 체결부재 삽입공(35)을 외부로부터 빈틈없이 막는다. 이에 의하여 빗물을 포함한 물이 펌프장치(21)에 닿더라도, 그 물이 체결부재 삽입공(35)에서 체류하는 것이 방지되어, 방청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음벽(40)을 가지는 펌프 케이싱(20, 27)을 구비함으로써, 소음이 작아지는 바람직한 펌프장치(21)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구성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부재가 원인이 되는 소음이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펌프장치의 저소음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부재로부터 방사되는 소음을 단순히 차단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귀에 거슬리는 2 kHz 이상 6 kHz 이하의 주파수의 소음을 차단하기 때문에, 펌프장치의 주위 환경을 매우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음벽을 포함하여 케이싱 자체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차음벽을 포함하여 케이싱 자체가 진동하는 것에 의한 소음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이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에 체류하는 것을 막아, 방청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음이 작아 바람직한 펌프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5)

  1. 2개의 펌프유닛이 밸브유닛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되며, 일단부가 펌프유닛에 잠겨지고 또한 타단부가 밸브유닛에 잠겨지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각 펌프유닛 및 밸브유닛이 체결되는 펌프장치의 상기 펌프유닛이 구비되는 케이싱으로서,
    상기 체결부재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재를 덮는 차음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유닛의 케이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벽은, 적어도 2 kHz 이상 6 k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차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유닛의 케이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 케이싱에서 상기 차음벽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케이싱 본체와 상기 차음벽이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펌프유닛의 케이싱에 체결부재를 덮는 통형부가 형성되고, 펌프유닛의 케이싱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유닛의 케이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부는, 상기 체결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인 체결부재삽입공을 외부로부터 빈틈없이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유닛의 케이싱.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펌프유닛의 케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장치.
KR1020060009290A 2005-07-04 2006-01-31 펌프유닛의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한 펌프장치 KR100764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95226 2005-07-04
JP2005195226A JP4149469B2 (ja) 2005-07-04 2005-07-04 ポンプユニットのケーシングおよびそれを備えるポン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409A KR20070004409A (ko) 2007-01-09
KR100764110B1 true KR100764110B1 (ko) 2007-10-09

Family

ID=3759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290A KR100764110B1 (ko) 2005-07-04 2006-01-31 펌프유닛의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한 펌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49469B2 (ko)
KR (1) KR100764110B1 (ko)
CN (1) CN10040672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2237A (zh) * 2020-03-06 2020-06-23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油泵壳体降噪吸振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346A (ja) 1998-10-27 2000-05-12 Fujikura Rubber Ltd 電磁式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2001115961A (ja) 1999-10-18 2001-04-27 Orion Mach Co Ltd 真空発生装置の防音機構
KR20040051456A (ko) * 2002-12-12 2004-06-18 임락복 플로우팅 기어하우징을 갖는 저소음 외접기어펌프
KR200354620Y1 (ko) 2004-04-09 2004-06-30 (주)씨에스이 방진 스프링을 구비한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68B2 (ja) * 1985-03-11 1994-05-02 日東工器株式会社 電磁往復動式ポンプ
CN1062404A (zh) * 1990-12-10 1992-07-01 东北重型机械学院秦皇岛分校 串联多级开路式轴向柱塞泵
GB2314593B (en) * 1996-06-28 1999-11-10 Thomas Industries Inc Two-cylinder air compressor
CN2546655Y (zh) * 2002-04-11 2003-04-23 大连海密梯克密封泵有限公司 串联式屏蔽泵
SK12512002A3 (sk) * 2002-09-02 2004-05-04 Miloš Kopecký Hydraulické čerpadlo s vlastnou pohonnou jednotkou
CN2690620Y (zh) * 2004-04-13 2005-04-06 吴泰 静音型压缩机机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346A (ja) 1998-10-27 2000-05-12 Fujikura Rubber Ltd 電磁式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2001115961A (ja) 1999-10-18 2001-04-27 Orion Mach Co Ltd 真空発生装置の防音機構
KR20040051456A (ko) * 2002-12-12 2004-06-18 임락복 플로우팅 기어하우징을 갖는 저소음 외접기어펌프
KR200354620Y1 (ko) 2004-04-09 2004-06-30 (주)씨에스이 방진 스프링을 구비한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409A (ko) 2007-01-09
CN1892026A (zh) 2007-01-10
CN100406729C (zh) 2008-07-30
JP2007009882A (ja) 2007-01-18
JP4149469B2 (ja)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1379A (ko) 압축기의 토출맥동 감쇠장치
KR100764110B1 (ko) 펌프유닛의 케이싱 및 이를 구비한 펌프장치
US20080145247A1 (en) Hermetic compressor
JP2006077766A (ja) 多気筒往復圧縮機
KR20070095484A (ko) 압축기
WO2019171759A1 (ja) 内燃機関用バランサ装置
KR101379610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EP1647713B1 (en) Fluid pumping apparatus with Helmholtz-resonator
EP2049798A1 (en) Discharging noise system of a hermetic compressor
KR200426768Y1 (ko) 유압 펌프용 보조 펌프의 장착 구조
JP2017190761A (ja) 内燃機関
KR19990013248A (ko) 고압 연료펌프의 리조네이터 장치
JP7001951B1 (ja) タンク一体型ポンプ
US20020127118A1 (en) Compressor
KR101379639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KR100310350B1 (ko) 전동모터가 내장된 유압펌프장치
JP6738152B2 (ja) 圧縮機
US20220275792A1 (en) Hydraulic pump motor
JP2010116786A (ja) ロータリ圧縮機
KR102515117B1 (ko) 사판식 압축기
JP5713493B2 (ja) 斜板式ピストンポンプ
JP2006336561A (ja) 可変容量型斜板式ポンプ・モータ
JP2015113808A (ja) ロータリ圧縮機
KR20038293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핀 설치구조
JP2006177315A (ja) 往復動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