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574B1 - 출력 광색 가변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과 이것을 이용한 조명기구 및 그 점등 방법 - Google Patents

출력 광색 가변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과 이것을 이용한 조명기구 및 그 점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574B1
KR100762574B1 KR1020047020245A KR20047020245A KR100762574B1 KR 100762574 B1 KR100762574 B1 KR 100762574B1 KR 1020047020245 A KR1020047020245 A KR 1020047020245A KR 20047020245 A KR20047020245 A KR 20047020245A KR 100762574 B1 KR100762574 B1 KR 100762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front substrate
voltag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0905A (ko
Inventor
카와시마야스키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Discharge-Lamp Control Circuits And Pulse- Fe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평면 희박 가스 방전등은 이면 기판과, 그에 대면하여 위치하는 광추출측 기판을 갖는 외위기(enclosure)를 갖고 있다. 이면 기판과 광추출측 기판의 내면에는, 서로 다른 색의 가시광을 발광하는 제 1의 형광체막과 제 2의 형광체막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면 기판에는 서로 사이를 두고 배설된 제 1의 전극과 제 2의 전극이 형성되고, 광 취출측 기판에는, 제 1의 전극 및 제 2의 전극의 양쪽을 마주보는 제 3의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전극과 제 2의 전극과의 사이, 또는 제 1 및 제 2의 전극과 제 3의 전극과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외위기 내의, 각각 이면 기판 부근 또는 중앙 부근에 유전체 배리어 방전에 의거하는 글로 방전이 생기고, 글로 방전에 의해 생긴 자외선이 제 1 및 제 2의 형광체에 의해서 가시광으로 변환된다.
희유 기체 방전

Description

출력 광색 가변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과 이것을 이용한 조명기구 및 그 점등 방법{FLAT RARE GAS DISCHARGE LAMP WITH VARIABLE OUTPUT LIGHT COLOR, ILLUMINATION INSTRUMENT COMPRISING IT, AND ITS OPERATING METHOD}
본 발명은, 평면형 희유 기체(rare gas) 방전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평면형 희유가스 방전등으로 발광색을 복수의 색으로 바꿀 수 있는 출력 광색 가변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에 관한 것이다.
형광 램프와 같은 형광 물질의 루미네선스를 이용한 방전등은, 기본적으로 저압 가스를 봉입한 기밀의 방전 공간 내에 글로 방전을 발생시키고, 그 글로 방전에 의해 방사되는 자외선을 용기의 내벽에 마련한 형광체의 막에 의해 시광(視光)으로 변환하고, 용기의 투광성의 부분으로부터 밖으로 취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전등으로는, 단독의 방전등으로 출력광의 색을 복수의 색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가변색 방전등이 있다.
방전등의 출력광은, 주로, 글로 방전에 의해 생기는 자외선의 파장과, 그 자외선에 의해 여기(勵起)되는 형광체에 의해서 그 색이 정해진다. 그래서, 종래의 가변색 방전등에 대하여 글로 방전에 의해 생기는 자외선의 파장에 영향을 받는 봉입 가스, 형광체 및 출력 광색의 전환에 관련되는 전극 구조 및 점등 방법을 보면, 지금까지 이하와 같은 가변색 방전등이 알려져 있다.
우선, 형광체로 발광색이 다른 복수의 형광체를 이용한 가변색 방전등이 있다. 복수의 형광체는 혼합하여 이용되는 것도 있고, 겹쳐서 중층(重層) 구조로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방전 공간 내의 다른 장소에 별개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특개2O01-2668O1호 공보에는, 형광체에 수은 발광용의 형광체와 크세논 발광용의 형광체의 2종류의 형광체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고, 방전 가스에 수은 증기와 크세논 가스의 혼합 가스를 이용한 가변색 방전등이 기재되어 있다(종래예 1). 이 방전등에서는 전극 사이의 인가 전압의 파형을 정현파로 하거나 펄스파로 하는가에 따라, 수은을 많이 여기시키거나 또는 크세논을 많이 여기시켜, 2종류의 형광체를 여기하는 정도를 변화시켜 출력광의 색을 전환하고 있다. 이 가변색 방전등에서는 2종류의 형광체와, 2종류의 가스 혼합 가스를 이용하고 있고, 전극은 한 쌍이다. 방전의 형성부위는 방전등 중에서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동 공보에는, 용기를 외관과 그 내부에 삽입한 내관의 이중관 구조로 하여, 외관의 내측에는 적색 발광의 형광체를 도포하고, 내관의 내측에는 녹색 발광의 형광체를 도포하고, 전극 사이의 인가 전압의 파형을 정현파로 하거나 펄스파로 하는가에 따라, 방전의 양광주(陽光柱)를 외관과 내관의 사이에 생기게 하거나, 또는, 내관의 내측에 생기게 하는지를 전환하고, 외부로 취출하는 광의 색을 가변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종래예 2).
이 가변색 방전등은 2종류의 형광체를 이용하는 점과, 전극이 한 쌍인 점에서 종래예 1과 같지만, 봉입 가스로서는 크세논의 단독 가스를 이용하고 있는 점에 서 종래예 1과 다르다. 또한, 2종류의 형광체가 방전 용기 내의 다른 장소에 별개로 마련되어 있는 점 및 전극 구조를 궁리하여, 인가 전압의 파형에 따라 방전의 양광주 형성 부위가 방전 용기 내에서 변화하도록 하고 있는 점에서 작용 원리가 다르다. 이 방전등의 전극은 쌍을 이루는 전극중 한쪽은, 종래예 1과 같은 내부 전극이고, 또한쪽의 전극은 외관의 외측에 나선 형상으로 감긴 가느다란 끈 모양의 도체로 이루어지는 외면 전극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개평7-O85843호 공보에는 마찬가지로, 발광색이 다른 2종류의 형광체를 이용한 가변색 방전등이 개시되어 있다(종래예 3). 이 방전등은 봉입 가스는 크세논의 단독 가스이고, 전극은 종래예 1과 같은 구조의 한 쌍의 내부 전극이지만, 전극 사이의 펄스 인가 전압의 파고치(波高値)를 바꿈에 의해, 출력광에 대한 각 형광체 기여의 정도를 변화시키고 있다.
종래예 3과 마찬가지로, 다른 파장의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는 2종류의 형광체를 이용하고, 전극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의 조건을 바꿈에 의해, 출력광에 대한 각 형광체의 기여의 정도를 변화시키도록 한 가변색 방전등이, 특개평6-O768O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종래예 4). 이 종래예 4의 방전등에서는 인가 펄스의 듀티비를 바꾸어, 봉입 가스 중 수은이 방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의 분포를 바꾸어, 각 형광체의 발광 강도를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형광체를 1종류밖에 이용하지 않는 가변색 방전등도 알려져 있다. 상술한 종래예 1 내지 4에서는 어느 것에 있어서도, 발광색이 다른 복수 종류의 형광체를 이용하고 있지만, 특개평7-029549호 공보나, 특개평6-31O099호 공보, 또는 특 개평7-0O6734호 공보에는 1종류의 형광체를 이용하고 있으면서 출력광의 색을 바꿀 수 있도록 한 방전등이 개시되어 있다(종래예 5). 이들의 방전등은 2쌍의 전극을 이용하고, 봉입 가스로서도 2종류의 가스의 혼합 가스를 이용하여 방전시키는 전극 쌍을 전환함에 의해 출력광의 색을 바꾸고 있는 점에서 공통된다.
예를 들면, 특개평6-31OO99호 공보에 기재된 가변색 방전등은, 직관형상의 벌브 내부의 길이 방향의 양 단에, 한 쌍의 내부 전극을 갖고 있다. 또한, 그 내부 전극과는 별도로, 벌브의 외면에도 한 쌍의 외면 전극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벌브의 내부에는 수은과 네온 등의, 방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이 다른 2종류의 가스의 혼합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이 방전등에 있어서, 내부 전극 사이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면, 내부 전극의 사이에 생기는 양광주 중에서 수은 증기가 전리, 여기되어 자외선이 생기고, 이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가 여기되어 형광체의 특성에 따른 색의 가시광이 출력된다. 한편, 외면 전극 사이에 고주파 전력을 입력하면, 외면 전극의 사이에 유전체 배리어 방전에 의한 글로 방전이 생기고, 그 부(負)글로의 부분에서 네온이 전리되고, 여기되어, 네온에 특유한 적색의 가시광이 발생하고, 외부로 취출된다.
종래예 5와 마찬가지로 전극 쌍을 2쌍 이용하여 방전시키는 전극 쌍을 전환함에 의해 출력광의 색을 넓은 범위에서 조색(調色)할 수 있도록 한 희유 기체 방전등(종래예 6)이, 특개평1O-0O388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전등은 상술한 종래예 1 내지 5와는 다르게 평면형의 희유 기체 방전등이다. 이 희유 기체 방전등에서는, 평판형상의 이면 기판의 방전 공간측의 내벽에, 제 1의 전극과 이와는 전기 절연 상태에 있는 제 2의 전극이 교대로 복수 나열되고, 한편, 이면 기판에 대면하는 광추출 측의 기판에는, 그 외면에 이면 기판의 제 1의 전극 및 제 2의 전극이 나열된 영역 전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제 3의 전극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면 기판의 제 1의 전극의 상부에는 제 1의 형광체의 막이 마련되고, 제 2의 전극의 상부에는 제 1의 형광체의 막과는 발광색이 다른 제 2의 형광체의 막이 마련되어 있고, 방전 공간에는 크세논 단독의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이 종래예 6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에서는, 이면 기판의 제 1의 전극과 광추출측 기판의 제 3의 전극과의 사이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는 점등 동작과, 이면 기판의 제 2의 전극과 광추출측 기판의 제 3의 전극과의 사이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는 점등 동작이 시분할로 실시된다. 그리고, 각 점등 동작을 행하는 기간의 사이의 길이의 비율이나, 각 점등 동작에 있어서의 인가 전압의 주파수나 전압치 등을 제어함에 의해 출력광의 색을 다양하게 조색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종래예 6의 희유 기체 방전등은, 상술한 종래예 1 내지 5에 기재된 방전등의 벌브가 모두 직관형상이던 것에 대해, 평판 구조의 벌브를 이용한 평면형의 희유 기체 방전등인 점에서 구조가 전혀 다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독의 방전등으로 출력광의 색을 복수의 색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발광색 가변의 방전등은, 종래 몇가지 알려져 있지만, 특히, 종래예 6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은 벌브가 평판형상이기 때문에, 원통형상의 직관 벌브를 이용한 종래예 1 내지 5의 가변색 방전등에 비하여, 박형의 면광원을 얻는데 적합하다. 게다가, 출력광의 색을 무단계라고도 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예 6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은, 이면 기판 및 광추출측 기판의 각각에, 1장마다 발광색이 다른 2종류의 형광체를 각각 소정의 패턴으로 칠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게 되어 그 만큼 제조가 어려워진다. 또한, 조색하기 위해 2개의 전원 장치를 시분할 동작시켜야 하고, 게다가, 시분할 동작시킬 때의 각 전원 장치의 동작 기간, 즉 제 1의 전극과 제 3의 전극에 의한 점등 기간과, 제 2의 전극과 제 3의 전극에 의한 점등 기간을, 눈으로 보아 어른거리지 않을 정도로 단시간에 전환하여야 하는데다 각 점등 기간중에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의 주파수나 전압치도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전원 장치나 점등 제어가 복잡하게 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예 6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에서는, 출력광의 색을 비약적으로 다양하게 전환 가능하게 할 수 있지만,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부작용이 생기는 것을 감수하여야 한다.
이에 대해,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을 조명기구의 광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출력광의 색의 변화는 기껏해야 2색, 많은 경우에도 4색 정도로 충분하며, 더구나, 무단계로 조색할 수 있을 필요는 없고, 단지 전환 가능하다면 좋고, 오히려, 구조나 제조 공정이 복잡하게 되지 않고도 끝나는 쪽이 바람직한 경우가 고려된다. 예를 들면, 조명기구의 발광색을 아침이나 한낮에는 주광색으로 하고 밤에는 전구색으로 전환하거나, 여름에는 냉량감이 강한 푸른기를 띈 색으로 하고, 한편, 겨울에는 따뜻한 색 계열의 붉은기를 띈 색으로 하거나 등으로 하면, 시간대나 계절의 변화에 따라 조명색을 그 때마다 어울리는 색으로 전환하여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방전등을 이와 같은 용도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조명색은 그다지 많은 색으로 전환 가능하게 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전원 장치의 전환으로서도, 예를 들면 기계적인 스위치를 수동으로 전환하는 정도의 구성으로 실시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색 가변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에 있어서, 출력광의 색을 2색 또는 4색 정도로 전환 가능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간편한 제조 공정으로 제작 가능한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은, 평판형상의 배면 기판과 상기 배면 기판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대면하는 평판형상의 전면(前面) 기판을 갖는, 기밀로 된 내부에 가스가 봉입된 외위기(外圍器 : enclosure)를 갖고 있다. 배면 기판과 전면 기판에는 발광하는 가시광의 색이 다른 제 1의 형광체의 막과 제 2의 형광체의 막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배면 기판과 전면 기판에는 복수의 전극이 마련되고, 이들의 전극은 그들중 어느 하나끼리를 조합함에 의해 구성되는 전극 쌍으로서, 그 전극 쌍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생기는 글로 방전의 위치가, 배면 기판으로부터 전면 기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서 다른 위치가 되는 2종류의 전극 쌍을, 조합 방식을 바꿈에 의해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에서는 2종류의 전극 쌍중 어느쪽에 전압을 인가하는지를 전환함에 의해 글로 방전을 발생시키는 위치를 바꾸어 제 1의 형광체와 제 2의 형광체의 각각을 여기하는 정도를 바꾸고, 결과적으로 취출되는 가시광에 있어서의, 제 1의 형광체로부터 발생하는 광과 제 2의 형광체로부터 발생하는 광의 비율을 변화시켜 취출되는 가시광의 색을 2색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이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은, 배면 기판과 전면 기판에는 각각 단일 종류의 형광체의 막을 형성하면 좋기 때문에, 전술한 종래 기술에 보여지듯이, 복수종류의 형광체의 막을 겹쳐 형성하거나, 단일의 기판상의 다른 영역에 형성하거나 하는 것에 비하여 제조 공정은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에 있어서, 글로 방전은 유전체 배리어 방전에 의거하여 발생시키기 때문에, 그를 위한 유전체가 필요해진다. 이 유전체는, 전극을 외위기의 내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극상에 유전체막으로 형성하면 좋고, 또한, 전극을 외위기의 외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배면 기판 또는 전면 기판을,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전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후자의 구성으로는 유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복수의 전극 쌍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면 기판에, 서로 사이를 두고 배설된 제 1의 전극 및 제 2의 전극과, 제 1의 전극 및 제 2의 전극에 마주 보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마련된 제 3의 전극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의 전극과 제 2의 전극을 전극 쌍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배면 기판에 가까운 위치에서 글로 방전을 발생시키고, 제 2의 형광체에 비하여 제 1의 형광체를 강하게 여기할 수 있다. 한편, 제 1의 전극 및 제 2의 전극과 제 3의 전극을 전극 쌍으로 하여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배면 기판과 전면 기판과의 사이의 중앙 부근에 글로 방전을 생기게 하여, 제 1의 형광체와 제 2의 형광체를 같은 정도로 여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위기 내에 봉입한 가스는 수은을 포함하지 않는 희유 기체로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온도의 변화에 수반하는 발광 강도의 변동이 적고, 점등 직후에 있어서의 발광 강도의 상승 특성이 양호한 방전등을 얻을 수 있다.
외위기 내에 봉입하는 가스로서, 여기되는 글로 방전을 생기게 하는 데 필요한, 전극 쌍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 및 여기되었을 때 방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이 서로 다른 2종류의 희유 기체의 혼합 가스를 이용하면, 또한, 전극 쌍에 인가하는 전압을 전환함에 의해, 취출되는 가시광의 색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전극 쌍에 인가하는 전압을, 2종류의 희유 기체중 어느 하나를 강하게 여기하는 고(高), 저(低)의 2개의 전압 사이에서 전환하면, 희유 기체로부터 발생하는 자외선, 따라서 형광체를 여기하는 자외선의 파장이 변하고, 형광체로부터 발생하는 가시광의 색이 변한다. 그리고, 이 인가 전압의 전환과, 상술한 전압을 인가한 전극 쌍의 전환을 조합하여 실시함에 의해, 방전등의 발광색을 4색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기되는 글로 방전을 생기게 하는데 필요한, 전극 쌍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 및 여기되었을 때 방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이 서로 다른 2종류의 희유 기체로서는, 특히 Xe와 Kr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a, 1b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의 단면도로서, 각각 2종류의 점등 방법에 대응하는 결선 방법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c는, 도 1a, 도 1b의 각 결선 방법의 경우에 얻어지는 색의 색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 1의 실시예의 조명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 2의 실시예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의 단면도.
도 4는 제 3의 실시예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의 단면도.
도 5는 제 4의 실시예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의 단면도.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의 단면도이다. 이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은, 글라스 등의 전기 절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평판형상의 이면 기판(1)과, 이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대면하는, 역시 평판형상의 광추출측 기판(2)과, 이들 2장의 기판의 주연부(周緣部)에 양자의 사이에 마련된 액자형상의 테두리(3)를 가지며, 이들에 의해 편평하고 내부에 중공의 방전실(4)이 형성된 상자형의 외위기가 형성되어 있다. 광 취출측 기판(2)은 예를 들면 투명한 글라스판과 같은, 전기 절연성이며, 또한 투광성의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이면 기판(1) 및 광 취출측 기판(2)의 각각과 테두리(3)는, 사이에 끼워진 접착층(5)에 의해 기밀로 밀봉하여 접착되어 있고, 그로 인하여 기밀로 유지된 방전실(4) 내에는, 저압의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이 봉입 가스는 수은 증기를 포함하지 않는 희유 기체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Xe가 15kPa의 압력으로 봉입되어 있다. 봉입 가스에 수은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온도의 변화에 수반하는 발광 강도의 변동이 적고, 점등 직후에 있어서의 발광 강도의 상승 특성이 양호한 방전등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일도 없다.
이면 기판(1)의 방전실(4)측의 내벽에는 제 1의 전극(6A)과 제 2의 전극(6B)의 2개의 전극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열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전극(6A, 6B)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 상태에 있고, 양자 사이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2개의 전극(6A, 6B)은 방전실(4)의 안쪽 방향(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면 기판(1)의 방전실(4) 내에 면하는 면의 거의 단(端)으로부터 단에 걸쳐 늘어나 있다. 전극(6A, 6B)상에는 이면 기판(1)의 방전실(4) 내에 면하는 면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예를 들면 글라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의 유전체막(7)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 1의 유전체막(7)의 표면의 거의 전면을 제 1의 형광체막(8)이 밀착하여 덮고 있다.
한편, 광 취출측 기판(2)의 방전실(4)에 면하는 면에는, 제 3의 전극(6C)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제 3의 전극(6C)은, 예를 들면 ITO와 같은 투광성의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1개이지만, 이면 기판(1)상의 제 1의 전극(6A) 및 제 2의 전극(6B)의 전체에 대향하는 영역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 1의 전극(6A) 및 제 2의 전극(6B)과는 별개로, 독립으로 전위를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제 3의 전극(6C)의 표면에는 그 거의 전면에 걸쳐서 제 2의 유전체막(9)이 밀착하여 마련되어 있고, 또한, 제 2의 유전체막(9) 표면의 거의 전면에 걸쳐서 제 2의 형광체막(1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의 형광체막(8)과 제 2의 형광체막(10)은, 글로 방전시에 방전실(4) 내의 Xe 가스에 의해 방사되는 자외선을 가시광으로 변환하는 작용을 하는 것인데, 제 1의 형광체막(8)과 제 2의 형광체막(10)에는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 는 형광체가 이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면 기판(1)상의 제 1의 형광체막(8)에는 적색의 가시광을 발광하는 형광체 (Y, Gd)BO3 : Eu를 이용하고, 광추출측 기판(2)상의 제 2의 형광체막(10)에는 적색 발광 형광체 (Y, Gd)BO3 : Eu와, 녹색 발광 형광체 LaPO4 : Tb와, 청색 발광 형광체 BaMgAl10O17 : Eu를 혼합한, 백색의 가시광을 발광하는 형광체를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방전등을 점등시킬 때는, 제 1의 전극(6A), 제 2의 전극(6B), 제 3의 전극(6C)을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한 전극 쌍 사이에, 예를 들면 주파수 : 40kHz 정도, 전압 : 1000VP-P 정도의 고주파의 정현파 전압이나 정부(正負) 2극성의 펄스 전압을 인가한다. 전극 쌍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제 1의 유전체막(7)이나 제 2의 유전체막(9)을 통하여 방전실(4) 내에 유전체 배리어 방전에 의거한 글로 방전이 생기고, 주로 글로 방전의 양광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제 1의 형광체막(8)과 제 2의 형광체막(10)이 여기되고, 각 형광체막(8, 10)으로부터 광이 방사된다.
이 때, 방전시키는 전극의 조합 방식, 즉 전극 쌍의 만드는 방법으로는 2종류의 방법이 있다. 제 1의 방법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 기판(1)상의 제 1의 전극(6A)과 제 2의 전극(6B)만을 이용하고, 양자 사이에 전원 장치(11)에 의해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이하, 점등법(A)으로 부른다)이다. 이 점등법(A)으로 점등한 경우, 2개의 전극(6A, 6B)중 어느 쪽이나 이면 기판(1)의 내벽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전체 배리어 방전은 이면 기판(1)에 따라 생기고, 글로 방전은 이 면 기판(1)의 극히 근방에 발생한다. 그 결과, 광추출측 기판(2)상의 제 2의 형광체막(10)보다도 이면 기판(1)상의 제 1의 형광체막(8)의 쪽이 강하게 여기되고, 광 취출측 기판(2)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되는 광의 색은, 제 1의 형광체막(8)의 발광색에 강하게 의존한 색으로 된다.
한편, 제 2의 방법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 기판(1)의 제 1의 전극(6A)과 제 2의 전극(6B)을 동전위가 되도록 하고, 그 동전위로 한 제 1의 전극(6A) 및 제 2의 전극(6B)과 광 취출측 기판(2)의 제 3의 전극(6C)과의 사이에, 전원 장치(11)에 의해 전압을 인가하는 방법(이하, 점등법(B)으로 기재한다)이다. 이 점등법(B)으로 점등한 경우, 고주파의 전압이 광 취출측 기판(2)의 제 3의 전극(6C)과 이면 기판(1)의 제 1의 전극(6A) 및 제 2의 전극(6B)과의 사이에 인가된다. 따라서 유전체 배리어 방전은 광추출측 기판(2)과 이면 기판(1)과의 사이에 생기고, 글로 방전의 양광주는 광추출측 기판(2)부터 이면 기판(1)까지의 사이의 거의 중앙에 발생한다. 그 결과, 이면 기판(1)상의 제 1의 형광체막(8)과 광추출측 기판(2)상의 제 2의 형광체막(10)은 같은 정도로 여기되고, 외부로 취출되는 광의 색은, 제 1의 형광체막(8)과 제 2의 형광체막(10)의 쌍방에 의존한 색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점등법(A)(도 1a)에 의해 방전등을 점등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의 전극(6A)과 제 2의 전극(6B) 사이에 주파수 : 40kHz, 전압 : 200OVP-P의 2극성의 펄스파를 가한 경우, 도 1c의 CIE 색도도(色度圖)중에 속이 하얀 동그라미 표시(a)로 타점한 바와 같은 색의 출력광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점등 법(B)(도 1b)에 의해 방전등을 점등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의 전극(6A) 및 제 2의 전극(6B)과 제 3의 전극(6C)의 사이에 주파수 : 40kHz, 전압 : 20O0VP-P의 2극성 펄스파를 가한 경우, 도 1c의 CIE 색도도중에 속이 하얀 동그라미 표시(b)로 타점한 바와 같은 색의 출력광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의 전극(6A), 제 2의 전극(6B) 및 제 3의 전극(6C)의 조합 방식을 전환 가능하게 하고, 조합 방식을 변화시킴에 의해 글로 방전의 형성 위치를 이면 기판(1)과 광 취출측 기판(2)과의 사이에서 변화시킴에 의해 외부로의 출력광에 있어서의 제 1의 형광체막(8)과 제 2의 형광체막(10)의 기여의 정도를 변화시켜 출력광의 색을 2색의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a 및 도 1b는, 점등법(A) 및 점등법(B)의 각각을 단독의 결선도로 표현한 것이지만,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6A, 6B, 6C)의 조합을 전환하는 수단을 조립한 전기 회로를 마련함에 의해, 단일의 전원 장치(11)를 이용하여 출력광의 색을 전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제 1의 전극(6A)의 외부 단자(방전실(4)의 외부에 마련된 단자)(T1)와 제 2의 전극(6B)의 외부 단자(T2)와의 사이에 온·오프 스위치(SW1)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단자(6A)는, 전원 장치(11)의 한쪽 출력 단자(T4A)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전원 장치(11)의 또한쪽의 출력 단자(T4B)와 제 2의 전극(6B)의 외부 단자(T2) 및 제 3의 전극(6C)의 외부 단자(T3)와의 사이에, 전극(6B, 6C)의 어느측에 출력 단자(T4B)를 접속하는지를 전환 가능한 전환 스위치(SW2)가 삽입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광원인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을 점등법(A)으로 점등시키는 경우는, 온·오프 스위치(SW1)를 「오프」측으로 변하게 하고, 전환 스위치(SW2)를 제 2의 전극(6B)의 외부 단자(T2)측으로 변하게 한다. 이로써, 전원 장치(11)로부터의 고주파 전압은, 제 1의 전극(6A)과 제 2의 전극(6B)의 사이에 인가된다. 또한, 점등법(B)으로 점등시킬 때에는, 온·오프 스위치(SW1)를 「온」측으로 변하게 하고, 전환 스위치(SW2)를 제 3의 전극의 외부 단자(T3)측으로 변하게 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를 전환함에 의해,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은, 전원 장치(11)로부터의 고주파 전압이 제 1의 전극(6A) 및 제 2의 전극(6B)과 제 3의 전극(6C)의 사이에 인가되도록 전환된다. 상술한 스위치(SW1, SW2)에 있어서의 전환 조작은, 종래예 6에 있어서의 것과는 달라, 눈에도 띄지 않을 정도의 속도의 시분할 조작으로 전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이 전환 조작은, 기계적인 스위치를 수동으로 전환하여 실시 가능하게 하면 충분하고, 전자 회로 등의 제어를 행하는 복잡한 제어계는 전혀 필요없다.
본 실시예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을 제조하는데 특히 곤란한 공정은 없고, 예를 들면 이하에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 공지의 제조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 가능하다. 즉, 우선, 소다라임 글라스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이면 기판(1)을 준비하고, 그 한쪽의 표면상에, 은(銀) 페이스트를 제 1의 전극(6A)과 제 2의 전극(6B)의 패턴으로 스크린 인쇄하고, 소정의 온도로 소성하여, 제 1의 전극(6A)과 제 2의 전극(6B)을 얻는다.
다음에, 제 1의 전극(6A) 및 제 2의 전극(6B)을 포함하는 이면 기판(1)의 거 의 전면에, 납(鉛) 글라스를 포함한 페이스트 형상의 물건을 제 1의 유전체막(7)의 패턴으로 스크린 인쇄하고, 소정의 온도로 소성하여, 제 1의 유전체막(7)을 얻는다.
그리고, 제 1의 유전체막(7)상에 제 1의 형광체막(8)을 형성한다. 그를 위해, 형광체와, 바인더와, 용제를 혼합한 페이스트 형상 물건을, 제 1의 유전체막(7)상에 제 1의 형광체막(8)의 패턴으로 스크린 인쇄하고, 소정의 온도로 소성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의 형광체막(8)에 적색 형광체를 이용하였다.
그 후, 이면 기판(1)의 테두리(3)를 접착하는 부분(기판의 주연부)에, 프릿 실 글라스의 페이스트 형상 물건을 액자형상의 패턴으로 스크린 인쇄하고, 소정의 온도로 소성하여 접착층(5)을 얻는다.
한편, 이면 기판(1)에 대한 가공과는 별도로, 미리, 광 취출측 기판(2)에 제 3의 전극(6C), 제 2의 유전체막(9), 제 2의 형광체막(10)을 형성한다. 그를 위해, 우선, 투명한 소다라임 글라스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광 취출측 기판(2)을 준비하고, 그 기판(2) 한쪽의 표면 전체에, 스퍼터링법에 의해 ITO의 박막을 퇴적시킨다. 그리고, 이 박막을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제 3의 전극(6C)의 패턴으로 에칭하여 제 3의 전극(6C)을 얻는다.
다음에, 이면 기판(1)의 가공과 마찬가지로, 납 글라스를 포함한 페이스트 형상 물건을 제 3의 전극(6C)을 형성한 부분을 포함하는 광추출측 기판(2)의 거의 전체에 제 2의 유전체막(9)의 패턴으로 스크린 인쇄하고, 소정의 온도로 소성하여 제 2의 유전체막(9)을 얻는다.
그리고, 제 2의 유전체막(9)상에 제 2의 형광체막(10)을 형성한다. 그를 위해, 형광체와, 바인더와, 용제를 혼합한 페이스트 형상 물건을 제 2의 유전체막(9)상의 전체에 제 2의 형광체막(10)의 패턴으로 스크린 인쇄하고, 소정의 온도로 소성한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 2의 형광체막(10)에 적, 녹, 청의 3색을 혼합한 백색 발광의 형광체를 이용하였다.
그 후, 이면 기판(1)에 있어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광 취출측 기판(2)의 테두리(3)를 접착하는 부분에, 플릿 실 글라스의 페이스트 형상 물건을 액자형상의 패턴으로 형성하고, 소정의 온도로 소성하여 접착층(5)을 얻는다.
그리고, 이상의 공정으로 전극, 유전체막 및 형광체막을 각각 소정의 패턴으로 성막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소성을 끝마친 이면 기판(1)과 광 취출측 기판(2)을, 양자의 사이에 액자형상의 테두리(3)를 끼워 대면시켜 소정의 온도로 소성한다. 이로써, 이면 기판(1)과 테두리(3) 및 광 취출측 기판(2)과 테두리(3)를 기밀로 밀봉되도록 접착하여 방전실(4)이 형성된다.
그 후, 방전실(4)의 내부에 저압의 희유 기체를 봉입하여, 본 실시예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을 완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봉입 가스로서 Xe 가스를 이용하고, 15kPa의 압력으로 봉입하였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전등의 제조에는 2종류의 형광체를 이용하고 있지만, 각각의 형광체는 1종류씩 제각기, 이면 기판(1)과 광 취출측 기판(2)의 각각에 도포하고, 패턴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면 기판(1) 및 광 취출측 기판(2)의 각각에 있어서의 형광체막(8 또는 10)의 형성에는, 종래의 작업의 방식을 거의 그대로 답습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2종류의 형광체를 덧칠하거나, 1장의 기판에 2종류의 형광체를 각각 다른 패턴으로 형성하거나 한다는, 종래의 작업의 방식으로는 실시할 수 없는 새로운 작업 방법을 이용할 필요는 없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방전등의 제조는, 종래의 방전등의 제조에 비하여, 자재의 관리 공수 등이 다소 증가하지만, 종래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작업은 거의 복잡화하는 것은 없다.
상술한 제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출력광의 색을 2색으로 전환 가능한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은, 이하에 나타내는 제 2, 제 3 및 제 4의 실시예의 구조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도 3은 제 2의 실시예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면 기판(1)에 배설하는 제 1의 전극(6A) 및 제 2의 전극(6B)의 2개의 전극을 이면 기판(1)의 외측에 마련하여, 이른바 외면 전극 구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전체로서 이면 기판(1) 그 자체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의 실시예에서 필요하던 제 1의 유전체막(7)(도 1a 또는 도 1b 참조)을 마련할 필요없게 되고, 또한, 보다 안정한 방전을 얻을 수 있다. 제 1의 유전체막(7)을 형성하지 않고 종료하는 만큼, 제조 공정이 적어지기 때문에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면 기판(1)이나 광 취출측 기판(2)을,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전체로서 이용한 다른 예로서, 도 4에, 광 취출측 기판(2)에 마련하는 제 3의 전극(6C)을 외면 전극 구조로 하여, 제 1의 실시예에서는 필요하던 제 2의 유전체막(9)을 생략한 제 3의 실시예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5에, 이면 기판(1)측도 광추출측 기판(2)측도 외면 전극 구조로 하여, 유전체막을 일체 불필요하게 한 제 4의 실시예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들 제 3, 제 4의 실시예에서도 제 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제조 공정을 줄이고,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제 1 내지 4의 실시예는, 모두 방전실(4)에 1종류의 희유 기체(Xe 가스)를 봉입하고, 발광색을 2색의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한 예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봉입 가스를 2종류의 희유 기체의 혼합 가스로 함에 의해, 출력광의 색을 4색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한 제 5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은, 구조 자체는 도 1a(또는, 도 1b)에 도시한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과 같지만, 방전실(4) 내의 봉입 가스의 조성이 다르다. 본 실시예에 이용한 봉입 가스는 Xe와 Kr의 혼합 가스이고, 전압 : 2OkPa, Xe의 분압 : 10kPa, Kr의 분압 : 10kPa로 하였다.
Xe와 Kr에서는 여기 에너지가 다르기 때문에, 방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이 다르고, Kr은 주로 파장 146㎚의 자외선을 방사하고, Xe는 주로 파장 173㎚의 자외선을 방사한다. 따라서 같은 형광체라도, Kr로부터의 방사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발광하였을 때와, Xe가 방사하는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발광한 경우에서는, 발광색은 다른 것으로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장치(11)의 출력 전압을 Kr을 여기시키는 낮은 전압과, Xe를 여기시키는 높은 전압의 고, 저 2종류의 전압 사 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하고, 전원 장치의 출력 전압치를 전환함에 의해, 방전등의 출력광의 색을 2색의 사이에서 전환한다. 또한, 이 출력 전압의 전환과, 제 1 내지 4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3종류의 전극(6A, 6B, 6C)의 조합 방식을 바꾸어, 글로 방전의 형성 부위를 전환하는 것을 조합함으로써, 발광색을 합계 4색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의 형광체막(8)과 제 2의 형광체막(10)에, 제 1의 실시예에서 이용한 것과 같은 형광체를 이용하고, 제 1의 전극(6A)과 제 2의 전극(6B) 사이에 주파수 : 4OkHz, 전압 : 50OVP-P의 2극성 펄스파를 인가한 경우, 짙은 적색의 발광이 얻어졌다. 또한, 주파수를 그대로 하고 전압을 1000VP-P로 올리면, 적색의 광이 얻어졌다. 또한, 제 1의 전극(6A)과 제 2의 전극(6B)을 동일 전위로 하고, 제 1의 전극(6A) 및 제 2의 전극(6B)과 제 3의 전극(6C)과의 사이에 주파수 : 40kHz, 전압 : 500VP-P의 2극성 펄스파를 인가하면, 주(晝)광색의 발광이 얻어졌다. 또한, 주파수를 그대로 하고 전압을 100OVP-P로 올리면, 전구색의 발광이 얻어졌다.
본 실시예에서는, 봉입 가스로서 2종류의 가스의 혼합 가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단독 가스를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하게 되지만, 봉입 가스를 혼합 가스로 하는 것은 예를 들면 특개평6-31OO9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공지의 것이며, 제조 공정에 그다지 곤란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이상의 어느 실시예에서도, 제 1의 형광체막(8)에 적색 발광의 형광체 를 이용하고, 제 2의 형광체막에는 적, 녹, 청 3색 혼합의 백색 발광의 형광체를 이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의 형광체막(8)과 제 2의 형광체막(10)상에, 각각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는 형광체를 이용하기만 하면, 발광색을 2색 또는 4색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제조 공정이나 제어도 용이하다고 한, 각 실시예로 설명한 것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그 어느것에 있어서도, 이면 기판(1)측에 제 1의 전극(6A), 제 2의 전극(6B)의 2개의 전극을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의 전극(6A)과 제 2의 전극(6B)에 상기하는 전극, 즉, 양자 사이에 전압을 인가 가능하며, 또한 양자 사이를 동전위로 하는 것도 가능한 2종의 전극을 각각 복수개씩, 하나 걸러 교대로 나열하여 형성한 전극 패턴으로 하여도, 물론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색 가변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에 있어서, 출력광의 색을 2색 또는 4색 정도로 전환 가능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간편한 제조 공정으로 제작 가능한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평판형상의 배면 기판과 상기 배면 기판에 서로 거리를 두고 대면하는 평판형상의 전면 기판을 가지며, 기밀로 된 내부에 가스가 봉입된 외위기와, 상기 외위기의 내벽에 마련된 형광체 막과, 상기 배면 기판 및 상기 전면 기판의 쌍방에 마련된 복수의 전극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극 중의 어느 하나의 쌍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상기 외위기 내에 유전체 배리어 방전에 의거한 글로 방전이 생기고, 상기 글로 방전에 의해 방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형광체 막에 의해 가시광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면 기판을 통하여 외부에 취출하는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 막으로서, 상기 배면 기판에 마련된 제 1의 형광체 막과, 상기 전면 기판에 마련된 상기 제 1의 형광체와는 다른 색의 가시광을 발광하는 제 2의 형광체 막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극으로서, 상기 배면 기판에 서로 거리를 두고 배설된 제 1의 전극 및 제 2의 전극과, 상기 전면 기판의,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에 마주 보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마련된 제 3의 전극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 1의 전극과 상기 제 2의 전극은 하나의 전극 쌍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과 상기 제3의 전극은 상기 전극 쌍과 다른 하나의 전극 쌍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은 상기 배면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면 기판상에는,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을 덮는 제 1의 유전체 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의 형광체 막은 상기 제 1의 유전체 막을 덮어 형성되고,
    상기 제 3의 전극은 상기 전면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기판상에는, 상기 제 3의 전극을 덮는 제 2의 유전체 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의 형광체 막은 상기 제 2의 유전체 막을 덮어 형성되고,
    상기 배면 기판 또는 상기 전면 기판의 적어도 한쪽의 기판이, 상기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전체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평판형상의 배면 기판과 상기 배면 기판에 서로 거리를 두고 대면하는 평판형상의 전면 기판을 가지며, 기밀로 된 내부에 가스가 봉입된 외위기와, 상기 외위기의 내벽에 마련된 형광체 막과, 상기 배면 기판 및 상기 전면 기판의 쌍방에 마련된 복수의 전극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극중의 어느 하나의 쌍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상기 외위기 내에 유전체 배리어 방전에 의거한 글로 방전이 생기고, 그것에 의해 방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형광체 막에 의해 가시광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면 기판을 통하여 외부에 취출하는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 막으로서, 상기 배면 기판에 마련된 제 1의 형광체 막과, 상기 전면 기판에 마련된, 상기 제 1의 형광체와는 다른 색의 가시광을 발광하는 제 2의 형광체 막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극으로서 상기 배면 기판에 서로 거리를 두고 배설된 제 1의 전극 및 제 2의 전극과, 상기 전면 기판의,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에 마주 보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마련된 제 3의 전극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 1의 전극과 상기 제 2의 전극은 하나의 전극 쌍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과 상기 제3의 전극은 상기 전극 쌍과 다른 하나의 전극 쌍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은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면 기판은 상기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전체로서 작용하고,
    상기 제 3의 전극은 상기 전면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기판상에는, 상기 제 3의 전극을 덮는 유전체 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의 형광체 막은 상기 유전체 막을 덮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
  6. 평판형상의 배면 기판과 상기 배면 기판에 서로 거리를 두고 대면하는 평판형상의 전면 기판을 가지며, 기밀로 된 내부에 가스가 봉입된 외위기와, 상기 외위기의 내벽에 마련된 형광체 막과, 상기 배면 기판 및 상기 전면 기판의 쌍방에 마련된 복수의 전극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극중의 어느 하나의 쌍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상기 외위기 내에 유전체 배리어 방전에 의거한 글로 방전이 생기고, 그것에 의해 방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형광체 막에 의해 가시광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면 기판을 통하여 외부에 취출하는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 막으로서, 상기 배면 기판에 마련된 제 1의 형광체 막과, 상기 전면 기판에 마련된, 상기 제 1의 형광체와는 다른 색의 가시광을 발광하는 제 2의 형광체 막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극으로서, 상기 배면 기판에, 서로 거리를 두고 배설된 제 1의 전극 및 제 2의 전극과, 상기 전면 기판의,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에 향하여 마주 보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마련된 제 3의 전극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은 상기 배면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배면 기판상에는,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을 덮는 유전체 막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의 형광체 막은 상기 유전체 막을 덮어 형성되고,
    상기 제 1의 전극과 상기 제 2의 전극은 하나의 전극 쌍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과 상기 제3의 전극은 상기 전극 쌍과 다른 하나의 전극 쌍을 형성하고,
    상기 제 3의 전극은 상기 전면 기판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기판은 상기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전체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
  7. 평판형상의 배면 기판과 상기 배면 기판에 서로 거리를 두고 대면하는 평판형상의 전면 기판을 가지며, 기밀로 된 내부에 가스가 봉입된 외위기와, 상기 외위기의 내벽에 마련된 형광체 막과, 상기 배면 기판 및 상기 전면 기판의 쌍방에 마련된 복수의 전극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극중 어느 하나의 쌍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상기 외위기 내에 유전체 배리어 방전에 의거한 글로 방전이 생기고, 그것에 의해 방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형광체 막에 의해 가시광으로 변환하고, 상기 전면 기판을 통하여 외부에 취출하는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 막으로서, 상기 배면 기판에 마련된 제 1의 형광체 막과, 상기 전면 기판에 마련된, 상기 제 1의 형광체와는 다른 색의 가시광을 발광하는 제 2의 형광체 막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극으로서, 상기 배면 기판에 서로 거리를 두고 배설된 제 1의 전극 및 제 2의 전극과, 상기 전면 기판의,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에 마주 보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마련된 제 3의 전극을 또한 가지며,
    상기 제 1의 전극과 상기 제 2의 전극은 하나의 전극 쌍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과 상기 제3의 전극은 상기 전극 쌍과 다른 하나의 전극 쌍을 형성하고,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은 상기 배면 기판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3의 전극은 상기 전면 기판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기판 및 상기 배면 기판은 상기 유전체 배리어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전체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위기 내에 봉입된 상기 가스는, 수은을 포함하지 않은 희유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위기 내에 봉입된 상기 가스는, 여기된 글로 방전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상기 전극 쌍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 및 여기되었을 때 방사한 자외선의 파장이 서로 다른 2종류의 희유 기체를 포함하는 혼합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위기 내에 봉입된 상기 가스는 Xe와 Kr의 혼합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
  11. 제 1항, 제 5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과,
    교류 전압 또는 정부 2극성의 펄스 전압을 출력하는 전원 장치와,
    상기 복수의 전극과 상기 전원 장치를 접속하는 전기 회로를 가지며,
    상기 전기 회로는, 상기 복수의 전극에 의해 구성되는,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생기는 상기 글로 방전의 위치가, 상기 배면 기판으로부터 전면 기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서, 다른 위치가 되는 상기 전극 쌍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쌍에 상기 전원 장치의 전압을 인가하는지를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으로서, 상기 배면 기판에 서로 사이를 두고 배설된 제 1의 전극 및 제 2의 전극과, 상기 전면 기판의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에 마주 보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마련된 제 3의 전극을 가지며,
    상기 전기 회로는, 상기 전원 장치의 전압을 상기 제 1의 전극과 상기 제 2의 전극과의 사이에 인가하는 상태와,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과 상기 제 3의 전극과의 사이에 인가하는 상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위기 내에 봉입된 상기 가스는, 여기되는 글로 방전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상기 전극 쌍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 및 여기되었을 때 방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이 서로 다른 2종류의 희유 기체를 포함한 혼합 가스이고,
    상기 전원 장치는, 출력 전압을 상기 서로 다른 2종류의 희유 기체 중 어느 하나의 기체를 여기시키는 높은 전압과, 상기 희유 기체 중 어느 하나의 기체와 다른 기체를 여기시키는 낮은 전압에 의해 글로 방전을 발생시키도록 고, 저의 2단계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기구.
  14. 제 1항, 제 5항 내지 제 10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을 점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에 의해 구성되는,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생기는 상기 글로 방전의 위치가, 상기 배면 기판으로부터 전면 기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서 다른 위치가 되는, 상기 전극 쌍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쌍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공정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전극 쌍과 다른 전극 쌍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공정의 어느 한 공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 방법.
  15. 제 1항, 제 5항 내지 제 10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을 점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전극과 제 2의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의 전극과 상기 제 2의 전극을 동전위로 하고,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과 상기 제 3의 전극 사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공정의 어느 한 공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외위기 내에 봉입된 상기 가스로서, 여기되는 글로 방전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상기 전극 쌍 사이에 인가하는 전압 및 여기되었을 때 방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이 서로 다른 2종류의 희유 기체를 포함하는 혼합 가스를 이용한 상기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을 이용하고,
    상기 제 1의 전극과 상기 제 2의 전극과의 사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제 1의 공정과, 상기 제 1의 전극과 상기 제 2의 전극과의 사이에, 상기 제 1의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교류 전압과는 다른 전압치의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제 2의 공정과, 상기 제 1의 전극과 상기 제 2의 전극을 동전위로 하고,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과 상기 제 3의 전극과의 사이에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제 3의 공정과, 상기 제 1의 전극과 상기 제 2의 전극을 동전위로 하고 상기 제 1의 전극 및 상기 제 2의 전극과 상기 제 3의 전극과의 사이에, 상기 제 3의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교류 전압과는 다른 전압치의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제 4의 공정의 어느 한 공정을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등 방법.
KR1020047020245A 2002-06-14 2003-06-13 출력 광색 가변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과 이것을 이용한 조명기구 및 그 점등 방법 KR1007625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74380A JP3996450B2 (ja) 2002-06-14 2002-06-14 出力光色可変の平面型希ガス放電灯と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および点灯方法
JPJP-P-2002-00174380 2002-06-14
PCT/JP2003/007528 WO2003107391A1 (ja) 2002-06-14 2003-06-13 出力光色可変の平面型希ガス放電灯と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およびその点灯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905A KR20050010905A (ko) 2005-01-28
KR100762574B1 true KR100762574B1 (ko) 2007-10-01

Family

ID=2972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245A KR100762574B1 (ko) 2002-06-14 2003-06-13 출력 광색 가변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과 이것을 이용한 조명기구 및 그 점등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93363B2 (ko)
JP (1) JP3996450B2 (ko)
KR (1) KR100762574B1 (ko)
TW (1) TWI239550B (ko)
WO (1) WO2003107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3026B2 (en) * 2003-10-30 2009-09-01 Panasonic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having a protective layer preventing an increase in firing voltage
US7230629B2 (en) 2003-11-06 2007-06-12 Behr Process Corporation Data-driven color coordinator
KR20060003164A (ko) * 2004-07-05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형 형광램프
KR100682927B1 (ko) * 2005-02-01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발광소자
JP2006236623A (ja) * 2005-02-22 2006-09-07 Lecip Corp 誘電体バリア放電管を用いた表示装置
FR2889886A1 (fr) * 2005-08-19 2007-02-23 Saint Gobain Lampe uv plane a decharge coplanaire et utilisations
FR2890232A1 (fr) * 2005-08-23 2007-03-02 Saint Gobain Lampe plane a decharge coplanaire et utilisations
US7750375B2 (en) * 2006-09-30 2010-07-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ower line layout techniques for integrated circuits having modular cells
WO2009069015A1 (en) * 2007-11-28 2009-06-04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KR100943185B1 (ko) * 2008-04-24 2010-0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TWI362053B (en) * 2008-04-30 2012-04-11 Applied Green Light Taiwan Inc Flat discharge lamp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TW201103360A (en) * 2009-07-09 2011-01-16 Chunghwa Picture Tubes Ltd Flat light sour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557649B2 (ja) * 2010-01-25 2014-07-23 昭和電工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及び照明装置
DE102012017779A1 (de) * 2012-09-07 2014-03-13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s-Lampe
DE102012018854B4 (de) * 2012-09-25 2018-02-15 Berger GmbH & Co.KG Flächige Gasentladungslampe für dielektrisch behinderte Entladungen mit drei Elektroden und zwei Gasräumen
US9338852B2 (en) * 2013-06-26 2016-05-10 Vizio, Inc FIPEL panel light bulb with tunable col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887A (ja) * 1996-06-17 1998-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変色平面型放電発光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0651U (ko) * 1981-05-27 1982-12-03
JPH076734A (ja) 1992-05-01 1995-01-10 Oyo Kagaku Kenkyusho 放電装置
JPH0676801A (ja) 1992-08-31 1994-03-18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可変色けい光ランプ装置
JPH06310099A (ja) 1993-04-23 1994-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可変色放電灯装置
JPH0729549A (ja) 1993-07-15 1995-01-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可変色放電灯装置
JPH0785843A (ja) 1993-09-14 1995-03-31 Hitachi Ltd 可変光色蛍光ランプ及びその点灯方法
DE19928438A1 (de) * 1999-06-23 2000-12-28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Entladungslampe
JP2001266801A (ja) 2000-03-24 2001-09-28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可変色蛍光ランプおよび可変色蛍光ランプ点灯装置
JP2002020745A (ja) * 2000-07-13 2002-01-23 Nec Kansai Ltd 弗化物蛍光体及びこれを使用した蛍光ランプ
JP2002351397A (ja) * 2001-05-24 2002-12-06 Ne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887A (ja) * 1996-06-17 1998-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変色平面型放電発光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9550B (en) 2005-09-11
US7193363B2 (en) 2007-03-20
JP3996450B2 (ja) 2007-10-24
WO2003107391A1 (ja) 2003-12-24
JP2004022289A (ja) 2004-01-22
US20050242739A1 (en) 2005-11-03
KR20050010905A (ko) 2005-01-28
TW200410288A (en)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574B1 (ko) 출력 광색 가변의 평면형 희유 기체 방전등과 이것을 이용한 조명기구 및 그 점등 방법
US5479071A (en) Flat form device for creating illuminated patterns
KR20010093057A (ko) 저압 가스 방전 램프
JPH0316739B2 (ko)
US6452323B1 (en) Luminous gas discharge display having dielectric sealing layer
US5919070A (en) Vacuum microelectronic device and methodology for fabricating same
JPH076734A (ja) 放電装置
JP3411156B2 (ja) 可変色平面型放電発光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3100258A (ja) 蛍光ランプおよび電球形蛍光ランプ
JPH047542B2 (ko)
JPH0729549A (ja) 可変色放電灯装置
JPH0822804A (ja) 低圧放電灯およびこの点灯装置
JPH08190899A (ja) 無電極蛍光ランプ
JPS62172658A (ja) 無電極放電ランプ
JPH047541B2 (ko)
JP2563012B2 (ja) 表示用発光素子
KR2004009096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47543B2 (ko)
JPS5951452A (ja) 表示用蛍光ランプ
JPH09219178A (ja) 放電管
JPH04319292A (ja) 発光装置
JPH02160362A (ja) 表示用けい光ランプ装置
KR20030005683A (ko) 플라즈마 방전 평면 광원
JP2001068058A (ja) 電球形蛍光灯
JPS61107651A (ja) 平板状光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