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647B1 -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647B1
KR100761647B1 KR1020010088004A KR20010088004A KR100761647B1 KR 100761647 B1 KR100761647 B1 KR 100761647B1 KR 1020010088004 A KR1020010088004 A KR 1020010088004A KR 20010088004 A KR20010088004 A KR 20010088004A KR 100761647 B1 KR100761647 B1 KR 100761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ilicon layer
layer
memory cell
polysilicon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7901A (ko
Inventor
박은정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8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647B1/ko
Publication of KR2003005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2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loating gate

Landscapes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고 채널 폭 방향으로 1차 패터닝을 실시한 후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소정 깊이까지 식각하고 반도체 기판이 식각된 영역 상부의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실리콘층 사이를 절연물로 매립함으로써, 폴리실리콘층간에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패터닝 공정 후의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실리콘층에 의해 발생되는 단차를 완화시켜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플래시 메모리 셀, 소자격리, HLD, 단차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cell}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31 : 반도체 기판 12, 32 : 게이트 산화막
13, 33 : 제 1 폴리실리콘층(제 1 플로팅 게이트)
14, 34 : 질화막 15, 35 : 제 1 산화막
16, 36 : 제 2 폴리실리콘층(제 2 플로팅 게이트)
17, 37 : 유전체막
18, 38 : 제 3 폴리실리콘층(콘트롤 게이트)
19, 39 : 제 2 산화막 20, 40 : 스페이서
21, 41 : 터널 산화막
22, 42 : 제 4 폴리실리콘층(소거 게이트)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iMP 플래시 메모리 셀에서 플로팅 게이트간의 절연을 위하여 형성되는 산화막에 의하여 발생되는 단차를 제거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1) 상부에 게이트 산화막(12), 제 1 폴리실리콘층(13) 및 질화막(1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접합 영역이 형성될 영역의 질화막(14), 제 1 폴리실리콘층(13) 및 게이트 산화막(12)을 제거하여 반도체 기판(11)을 노출시킨다. BN+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기판(11)상의 소정 영역에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으로 작용하는 접합 영역(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질화막(14)을 제거한 후 제 1 폴리실리콘층(13)을 채널 폭 방향으로 패터닝하여 제 1 폴리실리콘층(13)으로 이루어진 제 1 플로팅 게이트 를 형성한다. 셀의 폭 방향으로의 격리를 위하여 제 1 산화막(15)을 형성한 후 소정 영역을 식각하여 제 1 폴리실리콘층(13)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킨다. 전체 구조 상부에 제 2 폴리실리콘층(16)을 형성한 후 접합 영역(도시안됨)과 수평한 방향으로 패터닝한다. 그리고, 전체 구조 상부에 유전체막(17)을 형성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전체 구조 상부에 제 3 폴리실리콘층(18) 및 제 2 산화막(19)을 형성한다. 제 2 산화막(19)을 패터닝한 후 이를 마스크로 제 3 폴리실리콘층(18) 및 제 2 폴리실리콘층(16)을 식각하여 제 3 폴리실리콘층(18)으로 이루어진 콘트롤 게이트 및 제 2 폴리실리콘층(16)으로 이루어진 제 2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한다. 콘트롤 게이트 측벽에 스페이서(20)를 형성하되, 제 2 플로팅 게이트의 일측면은 스페이서(20)에 의해 폐쇄되며, 일측면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한다.
도 1d를 참조하면, 제 2 플로팅 게이트로 작용하는 제 2 폴리실리콘층(16)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 터널 산화막(21)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4 폴리실리콘층(22)을 형성한 후 터널 산화막(21)을 경계로 제 2 플로팅 게이트와 접촉하도록 패터닝하여 제 4 폴리실리콘층(22)으로 이루어진 소거 게이트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SiMP 플래시 메모리 셀의 경우 플로팅 게이트가 2개의 폴리실리콘층(13 및 1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폴리실리콘층(13)과 제 2 폴리실리콘층(16)을 격리하기 위하여 제 1 산화막(15)을 형성하는데, 제 1 산화막(15)에 의해 단차가 발생되어 제 2 폴리실리콘층(16)의 상부에도 단차에 의해 굴곡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후속 공정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고 채널 폭 방향으로 1차 패터닝을 실시한 후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소정 깊이까지 식각하고 반도체 기판이 식각된 영역 상부의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실리콘층 사이를 절연물로 매립함으로써, 폴리실리콘층간에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패터닝 공정 후의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실리콘층에 의해 발생되는 단차를 완화시켜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산화막 및 제1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1 폴리실리콘층 및 게이트 산화막을 패터닝하면서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는 단계, 제1 폴리실리콘층 사이를 제1 산화막으로 채우는 단계, 패터닝된 제1 폴리실리콘층 및 제1 산화막 상에 제2 폴리실리콘층, 유전체막, 제3 폴리실리콘층 및 제2 산화막을 형성한 후 제2 산화막, 제3 폴리실리콘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유전체막 및 제2 폴리실리콘층을 패터닝한 후 상기 패터닝된 제2 폴리실리콘층의 일측면은 폐쇄되고, 일측면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패터닝된 제2 폴리실리콘층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스페이서에 의해 패터닝된 제3 폴리실리콘층과 절연되고 터널 절연막에 의해 패터닝된 제2 폴리실리콘층과 절연되는 제4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31) 상부에 게이트 산화막(32), 제 1 폴리실리콘층(33) 및 질화막(3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접합 영역이 형성될 영역의 질화막(34), 제 1 폴리실리콘층(33) 및 게이트 산화막(32)을 제거하여 반도체 기판(31)을 노출시킨다. BN+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반도체 기판(31)상의 소정 영역에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으로 작용하는 접합 영역(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질화막(34), 제 1 폴리실리콘층(33) 및 게이트 산화막(32)을 채널 폭 방향으로 패터닝하여 제 1 폴리실리콘층(33)으로 이루어진 제 1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한다. 이후, 제 1 폴리실리콘층(33)이 패터닝되면서 노출된 반도체 기판(31)을 소정의 깊이까지 식각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셀의 폭 방향으로의 격리를 위하여 반도체 기판(31)이 식각된 영역 상부의 제 1 폴리실리콘층(33) 사이를 제 1 산화막(35)으로 매립한다.
제 1 산화막(35)은 고온 저압에서 화학기상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 고온 저압 산화막(High-temperature Low-pressure Dielectric; HLD)으로 형성된다. 고온 저압에서 화학기상 증착법으로 고온 저압 산화막을 증착한 후에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를 실시하여 제 1 폴리실리콘층(33) 상부의 고온 저압 산화막 및 질화막(34)을 제거한다. 이로써, 고온 저압 산화막이 반도체 기판(31)이 식각된 영역 상부의 제 1 폴리실리콘층(33) 사이에만 잔류되어 제 1 산화막(35)이 형성된다.
도 2d를 참조하면, 전체 구조 상부에 제 2 폴리실리콘층(36)을 형성한 후 접합 영역(도시안됨)과 수평한 방향으로 패터닝한다. 그리고, 전체 구조 상부에 유전체막(37)을 형성한다.
도 2e를 참조하면, 전체 구조 상부에 제 3 폴리실리콘층(38) 및 제 2 산화막(39)을 형성한다. 제 2 산화막(39)을 패터닝한 후 이를 마스크로 이용한 식각 공정으로 제 3 폴리실리콘층(38)을 식각하여 제 3 폴리실리콘층(38)으로 이루어진 콘트롤 게이트가 형성된다. 이후 유전체막(37) 및 제 2 폴리실리콘층(36)을 식각하여 제 2 폴리실리콘층(36)으로 이루어진 제 2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한 후 스페이서(40)를 형성하되, 제 2 플로팅 게이트의 일측면은 스페이서(40)에 의해 폐쇄되며, 일측면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한다.
도 2f를 참조하면, 제 2 플로팅 게이트로 작용하는 제 2 폴리실리콘층(36)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 터널 산화막(41)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4 폴리실리콘층(42)을 형성한 후 스페이서(40)에 의해 콘트롤 게이트와 절연되고, 터널 산화막(41)에 의해 제 2 플로팅 게이트와 절연되도록 패터닝하여 제 4 폴리실리콘층(42)으로 이루어진 소거 게이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SiMP 플래시 메모리 셀의 구동 방법은 종래와 동일하며, 그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방법은 콘트롤 게이트와 드레인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채널에서 발생된 고온 열전자를 플로팅 게이트로 주입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때 고온 열전자의 발생은 플로팅 게이트에 걸리는 전압, 즉 커플링비에 의해 조절되는데, 플로팅 게이트에 많은 전압이 걸릴수록 열전자가 많이 발생하고 이들을 플로팅 게이트로 주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소거 방법은 소거 게이트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플로팅 게이트와 터널 산화막을 통한 파울러-노드하임 터널링을 이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로팅 게이트 사이를 산화막으로 매립하여 플로팅 게이트간에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후속 공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

  1.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산화막 및 제1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실리콘층 및 상기 게이트 산화막을 패터닝하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실리콘층 사이를 제1 산화막으로 채우는 단계;
    상기 패터닝된 제1 폴리실리콘층 및 상기 제1 산화막 상에 제2 폴리실리콘층, 유전체막, 제3 폴리실리콘층 및 제2 산화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산화막, 상기 제3 폴리실리콘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유전체막 및 상기 제2 폴리실리콘층을 패터닝한 후 상기 상기 패터닝된 제2 폴리실리콘층의 일측면은 폐쇄되고, 일측면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된 제2 폴리실리콘층의 외부로 노출된 면에 터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패터닝된 제3 폴리실리콘층과 절연되고 상기 터널 절연막에 의해 상기 패터닝된 제2 폴리실리콘층과 절연되는 제4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KR1020010088004A 2001-12-29 2001-12-29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KR100761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004A KR100761647B1 (ko) 2001-12-29 2001-12-29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004A KR100761647B1 (ko) 2001-12-29 2001-12-29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901A KR20030057901A (ko) 2003-07-07
KR100761647B1 true KR100761647B1 (ko) 2007-09-27

Family

ID=3221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004A KR100761647B1 (ko) 2001-12-29 2001-12-29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6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699A (ko) * 1996-12-16 1998-09-15 문정환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10036044A (ko) * 1999-10-05 2001-05-07 윤종용 자기 정렬된 트랜치를 갖는 플레시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55525A (ko) * 1999-12-10 2001-07-04 윤종용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699A (ko) * 1996-12-16 1998-09-15 문정환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20010036044A (ko) * 1999-10-05 2001-05-07 윤종용 자기 정렬된 트랜치를 갖는 플레시 메모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55525A (ko) * 1999-12-10 2001-07-04 윤종용 얕은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901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5235B1 (ko) 에스.오.엔.오.에스 플래시 기억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072991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68594B1 (ko) 스플릿 게이트형 플래쉬 메모리소자
KR20100080240A (ko) 플래시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5530357A (ja) 導電スペーサで拡張された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
KR100672723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761647B1 (ko)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US6642111B1 (en) Memory device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65835B1 (ko) 스플리트 게이트형 플래시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KR20060136077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907902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290909B1 (ko) 반도체 메모리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49781A (ko)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KR100862145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51661B1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KR100628245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94693B1 (ko) 비휘발성메모리및그의제조방법
KR100654558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플로팅 게이트 형성 방법
KR0123782B1 (ko) Eprom반도체 장치 및 이의 형성방법
KR20030051035A (ko)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KR19990057083A (ko) 플래쉬 메모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59771B1 (ko) 이이피롬 제조 방법
KR20000044855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50031299A (ko) 플래시 메모리의 컨트롤 게이트 제조방법
KR100368303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