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910B1 - 공통 컨택을 갖는 에스램 메모리 소자 - Google Patents

공통 컨택을 갖는 에스램 메모리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910B1
KR100760910B1 KR1020050133288A KR20050133288A KR100760910B1 KR 100760910 B1 KR100760910 B1 KR 100760910B1 KR 1020050133288 A KR1020050133288 A KR 1020050133288A KR 20050133288 A KR20050133288 A KR 20050133288A KR 100760910 B1 KR100760910 B1 KR 100760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region
well
contact
nmos
pmo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0590A (ko
Inventor
김대균
Original Assignee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3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910B1/ko
Priority to US11/616,276 priority patent/US7737499B2/en
Publication of KR2007007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0/00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0/00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 H10B10/12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comprising a MOSFET load el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7/00Active solid-state devices, e.g. transistors, solid-state diodes
    • Y10S257/903FET configuration adapted for use as static memory cell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램 소자에 관한 것으로, 웰 분리법을 적용하여 N-웰과 P-웰을 서로 떨어지게 하고 마주보는 측면에 반대 도전형의 웰 벽을 형성한다. 또한, NMOS와 PMOS의 활성 영역을 서로 연결하고 PMOS 드레인과 NMOS 소스의 컨택을 하나로 통합하여 컨택의 위치를 넓은 부위의 활성 영역으로 옮긴다. 공통 컨택은 설계규칙에서 정한 컨택 크기의 1~2배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활성 영역은 꺾인 부위 형태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통 컨택끼리는 서로 비대칭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성 영역과 컨택의 공정 마진을 확보할 수 있고 누설전류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활성 영역의 전위를 방지할 수 있고 기존의 열처리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 단순화 및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에스램, 셀 레이아웃, 컨택 마진, 웰 분리법, 공통 컨택, 웰 벽

Description

공통 컨택을 갖는 에스램 메모리 소자{SRAM Device Having Common Contac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스램 소자의 셀 레이아웃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램 소자의 셀 레이아웃 개략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스램 소자의 셀 레이아웃 개략도.
<도면에 사용된 참조 번호의 설명>
10a, 20a: NMOS 트랜지스터 10b, 20b: PMOS 트랜지스터
11a, 21a: N-웰 11b, 21b: P-웰
12, 22: 소자 분리막 13, 23: 활성 영역
14, 24: 게이트 15a, 25a: 소스
15b, 25b: 드레인 16a, 16b, 16c, 26a, 26c: 컨택
17, 27: 금속 배선 18, 28: 실리사이드막
21: 실리콘 기판 29a, 29b: 웰 벽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셀 레이아웃을 변경하여 NMOS와 PMOS의 활성 영역을 서로 연결하고 PMOS 드레인과 NMOS 소스의 컨택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컨택 공정 마진을 확보하고 누설전류 특성을 개선한 에스램 소자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일종인 에스램(SRAM) 소자는 디램(DRAM) 소자와 달리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저장된 정보가 그대로 남아 있어 주기적인 재충전(refresh)이 필요 없고, 디램에 비해 집적도는 작지만 소비전력이 적고 처리속도가 빠르다. 에스램 셀(cell)은 일반적으로 모두 여섯 개의 트랜지스터, 즉 두 개의 풀-다운(pull-down) 트랜지스터, 두 개의 풀-업(pull-up) 트랜지스터, 두 개의 액세스(access)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스램 소자의 셀 레이아웃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풀-다운 NMOS 트랜지스터(10a)와 풀-업 PMOS 트랜지스터(10b)를 형성하기 위하여 실리콘 기판에는 N-웰(11a)과 P-웰(11b)이 형성된다. 실리콘 기판에 형성된 소자 분리막(12)에 의하여 활성 영역(13, active area)이 정해지며, 활성 영역(13)을 가로지르도록 게이트(14)가 실리콘 기판상에 형성된다. 소스/드레인(15a/15b)은 게이트(14) 양쪽의 활성 영역(13) 안에 각각 형성된다. 소스/드레인(15a/15b)과 게이트(14)는 각각 컨택(16a, 16b, 16c)을 통해 상부의 금속 배선(17)과 연결되며, 소스/드레인(15a/15b)과 게이트(14)의 상부면에는 각각 실리사이드막(18)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에스램 셀에서, PMOS 드레인(15b)의 컨택(16b) 형성 지역과 NMOS 소스(15a)의 컨택(16a) 형성 지역은 에스램의 리드/메모리(read/memory) 동작과 관련하여 누설전류를 유발할 수 있는 취약 부위이다. 그러나 종래의 에스램 소자는 레이아웃(layout) 상에서부터 야기되는 공정 마진(margin) 부족을 피할 수가 없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MOS(10b)의 경우는 활성 영역(13)의 양쪽 끝 부위에 컨택(16b)이 위치하고, NMOS(10a)의 경우는 활성 영역(13)의 꺾인 부위에 컨택(16a)이 위치하기 때문에, 활성 영역과 컨택 관련 공정의 마진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특히, 활성 영역(13)의 꺾인 부위에 컨택(16a)이 위치하는 NMOS(10a)의 경우, 조금이라도 컨택 정렬이 잘못되거나 컨택 크기가 커지게 되면 에스램 소자의 누설전류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활성 영역(13)의 꺾인 부위에 컨택(16a)이 위치하는 경우, 활성 영역(13)은 컨택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모난(sharp)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응력이 집중되어 활성 영역(13)의 전위(dislocation)에 영향을 주는 취약한 구조이므로, 이를 해결하려면 후속 열처리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더구나, PMOS 드레인(15b)의 컨택(16b)과 NMOS 소스(15a)의 컨택(16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배선(17)을 통해 함께 묶여 있음에도 넓은 소자 분리막(12)을 이용하여 분리시킴으로써 금속 배선 공정의 마진을 감소시키고 있다. 이 또한 컨택 정렬 및 크기 문제로 누설전류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종래의 에스램 소자에서 풀-업 PMOS와 풀-다운 NMOS의 컨택이 함께 묶여 있는 것을 고려할 때, 넓은 소자 분리막을 제거하고 웰 분리(well isolation)법을 이용하면 활성 영역과 컨택의 공정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웰 분리법을 통해 에스램 셀 레이아웃을 변경함으로써 컨택 공정 마진을 확보하고 누설전류, 대기전류(standby current)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며 에스램 소자의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성 영역의 모난 형태를 개선함으로써 응력 집중을 완화하고 활성 영역의 전위를 방지하며 후속 열처리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 단순화 및 원가 절감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의 에스램 소자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램 소자는 NMOS 트랜지스터와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며, 실리콘 기판에 형성되는 N-웰과 P-웰; 활성 영역을 정하기 위하여 실리콘 기판에 형성되는 소자 분리막; 활성 영역을 가로질러 실리콘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게이트 양쪽의 활성 영역 안에 각각 형성되는 소스/드레인; 소스/드레인과 게이트에 각각 연결되는 컨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NMOS의 활성 영역과 PMOS의 활성 영역이 서로 연결되며, PMOS의 드레인과 NMOS의 소스가 하나의 공통 컨택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에스램 소자 구조에서, N-웰과 P-웰은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반대 도전형의 웰 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에스램 소자 구조에서, 공통 컨택은 설계규칙에서 정한 컨택 크기의 1~2배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활성 영역은 꺾인 부위 형태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통 컨택은 서로 비대칭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램 소자의 셀 레이아웃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에스램 소자의 풀-다운 NMOS 트랜지스터(20a)와 풀-업 PMOS 트랜지스터(20b)를 형성하기 위하여 실리콘 기판(21)에는 각각 N-웰(21a)과 P-웰(21b)이 형성된다. 또한, 실리콘 기판(21)에는 예컨대 얕은 트렌치 분리법(STI)을 이용하여 소자 분리막(22)이 형성된다. 소자 분리막(22)에 의하여 활성 영 역(23)이 정해지며, 실리콘 기판(21) 상에는 게이트(24)가 활성 영역(23)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또한, 소스/드레인(25a/25b)은 게이트(24) 양쪽의 활성 영역(23) 안에 각각 형성된다. 소스/드레인(25a/15b)과 게이트(24)는 각각 컨택(26a, 26c)을 통해 상부의 금속 배선(27)과 연결되며, 소스/드레인(25a/25b)과 게이트(24)의 상부면에는 각각 실리사이드막(28)이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에스램 소자는 종래의 넓은 소자 분리막을 제거하고 웰 분리법을 적용하며, NMOS(20a)와 PMOS(20b)의 활성 영역(23)을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활성 영역(23)의 양쪽 끝 부위 또는 꺾인 부위에 있던 종래의 컨택을 넓은 부위의 활성 영역(23)으로 옮길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성 영역과 컨택의 공정 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누설전류, 대기전류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여 에스램 소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웰 분리법을 적용함에 따라 N-웰(21a)과 P-웰(21b)은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지게 되며,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반대 도전형의 웰 벽(29a, 29b)이 형성된다. 웰 벽(29a, 29b)은 NMOS의 N-웰(21a)과 PMOS의 N형 드레인(25b) 사이의 단락 및 PMOS의 P-웰(21b)과 NMOS의 P형 소스(25a)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웰과 웰(21a, 21b) 사이의 이격 거리는 기존의 소자 분리막 폭에 해당하도록 정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소자의 특성에 맞춰 정할 수 있다.
PMOS 드레인(25b)의 컨택과 NMOS 소스(25a)의 컨택은 하나의 공통 컨택(26a)으로 통합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PMOS 드레인과 NMOS 소스를 동시에 작동시킨다. 공통 컨택(26a)의 크기는 설계규칙(design rule)에서 정한 컨택 크기의 1~2배 의 범위에서 소자의 특성에 따라 선택하여 정할 수 있다.
한편, NMOS(20a)와 PMOS(20b)의 활성 영역(23)을 서로 연결하고 PMOS 드레인(25b)과 NMOS 소스(25a)의 컨택(26a)을 하나로 통합하여 컨택(26a)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활성 영역(23)의 형태를 모나게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활성 영역(23)의 꺾인 부위 형태를 둥글게 형성하여 응력 집중을 완화하고 활성 영역(23)의 전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속 열처리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 단순화 및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스램 소자의 셀 레이아웃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공정 마진을 확보하기 위해 두 공통 컨택(26a)의 위치를 서로 비대칭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단위 셀을 반복하여 그리는 에스램 설계에서 컨택 공정 마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스램 소자 구조는 웰 분리법을 적용하여 NMOS와 PMOS의 활성 영역을 서로 연결하고 PMOS 드레인과 NMOS 소스의 컨택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컨택의 위치를 넓은 부위의 활성 영역으로 옮길 수 있고 활성 영역의 모난 형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컨택끼리는 서로 비대칭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스램 소자 구조는 활성 영역과 컨택의 공정 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누설전류, 대기전류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여 에스램 소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활성 영역의 전위를 방지할 수 있고, 기존 의 열처리 공정을 생략하여 공정 단순화 및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6)

  1. NMOS 트랜지스터와 PMOS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에스램 소자로서,
    실리콘 기판에 형성되는 N-웰과 P-웰;
    활성 영역을 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리콘 기판에 형성되는 소자 분리막;
    상기 활성 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실리콘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상기 게이트 양쪽의 상기 활성 영역 안에 각각 형성되는 소스/드레인; 및
    상기 소스/드레인과 상기 게이트에 각각 연결되는 컨택;
    을 포함하며, 상기 NMOS의 활성 영역과 상기 PMOS의 활성 영역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PMOS의 드레인과 상기 NMOS의 소스가 하나의 공통 컨택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램 소자.
  2. 제1항에서,
    상기 N-웰과 상기 P-웰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램 소자.
  3. 제1항에서,
    상기 N-웰과 상기 P-웰은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반대 도전형의 웰 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램 소자.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활성 영역은 꺾인 부위 형태가 둥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램 소자.
  6. 제1항에서,
    상기 공통 컨택은 서로 비대칭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램 소자.
KR1020050133288A 2005-12-29 2005-12-29 공통 컨택을 갖는 에스램 메모리 소자 KR100760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288A KR100760910B1 (ko) 2005-12-29 2005-12-29 공통 컨택을 갖는 에스램 메모리 소자
US11/616,276 US7737499B2 (en) 2005-12-29 2006-12-26 SRAM device having a common cont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288A KR100760910B1 (ko) 2005-12-29 2005-12-29 공통 컨택을 갖는 에스램 메모리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590A KR20070070590A (ko) 2007-07-04
KR100760910B1 true KR100760910B1 (ko) 2007-09-21

Family

ID=3826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288A KR100760910B1 (ko) 2005-12-29 2005-12-29 공통 컨택을 갖는 에스램 메모리 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37499B2 (ko)
KR (1) KR100760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3577A1 (en) * 2008-02-01 2011-07-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iques for Pattern Process Tuning and Design Optimization for Maximizing Process-Sensitive Circuit Yields
KR102268704B1 (ko) 2017-04-11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쓰기 보조 회로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407A (ko) * 1996-06-29 1998-03-30 김주용 에스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42391A (ko) * 1998-12-24 2000-07-15 김영환 풀 씨모스 에스램 셀 제조 방법
KR20010004301A (ko) * 1999-06-28 2001-01-15 김영환 래치업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풀 씨모스 에스램 셀
KR20010063596A (ko) * 1999-12-23 2001-07-09 박종섭 에스램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17752A (ko) * 2000-08-31 2002-03-07 박종섭 다이리스터형 에스램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2193B2 (ja) * 2001-02-06 2010-12-0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570811B2 (ja) * 2001-04-27 2010-10-27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407A (ko) * 1996-06-29 1998-03-30 김주용 에스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42391A (ko) * 1998-12-24 2000-07-15 김영환 풀 씨모스 에스램 셀 제조 방법
KR20010004301A (ko) * 1999-06-28 2001-01-15 김영환 래치업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풀 씨모스 에스램 셀
KR20010063596A (ko) * 1999-12-23 2001-07-09 박종섭 에스램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17752A (ko) * 2000-08-31 2002-03-07 박종섭 다이리스터형 에스램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37499B2 (en) 2010-06-15
KR20070070590A (ko) 2007-07-04
US20070164368A1 (en)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7134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7368788B2 (en) SRAM cells having inverters and access transistors therein with vertical fin-shaped active regions
US6924560B2 (en) Compact SRAM cell with FinFET
KR100577610B1 (ko) 반도체 장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에스램 장치,에스램 장치 제조 방법.
JP4507119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85002B2 (ja) Soi基板に形成されるsramデバイス
JP2002329798A (ja) 半導体装置
JP2004096065A (ja)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050044B2 (en) Static random-access memory device
US9589966B2 (en) Static random access memory
US20170077105A1 (en) Semiconductor device
US9368503B2 (en) Semiconductor SRAM structures
KR20080082426A (ko) 스태틱 메모리 소자
KR100760910B1 (ko) 공통 컨택을 갖는 에스램 메모리 소자
JP5386819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7187036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SOI devices
US8134213B2 (en) Static random access memo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31080B1 (ko) 에스램 소자의 구조
KR100769132B1 (ko) 좁은 소자 분리막을 갖는 에스램 메모리 소자
JP2000031300A (ja) スタティック型半導体記憶装置
KR100384782B1 (ko) 에스램의 제조방법
US20070241370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02672B1 (ko) 풀 씨모스 에스램 셀
US20070152279A1 (en) Sram device
KR100694477B1 (ko) 에스램셀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