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0355B1 -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0355B1
KR100760355B1 KR1020050031641A KR20050031641A KR100760355B1 KR 100760355 B1 KR100760355 B1 KR 100760355B1 KR 1020050031641 A KR1020050031641 A KR 1020050031641A KR 20050031641 A KR20050031641 A KR 20050031641A KR 100760355 B1 KR100760355 B1 KR 100760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faucet
cold water
bas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532A (ko
Inventor
김윤규
Original Assignee
김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규 filed Critical 김윤규
Priority to KR1020050031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0355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품 코스트를 낮출 수 있도록 된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단부에 배관(12c,14c)과 연통되는 유입구(12,14)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하향으로 개구된 토출구(16)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12,14)와 토출구(16)에 연통되는 수로(18)가 형성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토출구(16)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홀(22,24)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외측의 손잡이(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로(18)를 개폐하는 볼밸브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도꼭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도꼭지{Faucet}
도 1은 종래 수도꼭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사용되는 수도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꼭지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된 정단면도
도 6은 도 4의 주요부인 베이스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디 20. 볼밸브체
30. 손잡이 40. 냉수조절밸브
45. 온수조절밸브 50. 노즐
55. 수량조절부재 80. 베이스
본 발명은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제품 코스트를 낮출 수 있도록 된 수도꼭지에 관한 것이다.
수도꼭지에는 하나의 레버를 상하로 작동시켜 용수의 공급량을 제어하고, 상기 레버를 좌우로 작동시켜 수온을 조절하는 수도꼭지가 있다. 그리고, 수도꼭지의 전방 상면에는 용수의 공급량과 온도를 제어하는 수도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레버에 연결된다. 도 1은 이러한 수도꼭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사용된 수도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상기 수도꼭지는 세면대의 후방 상면으로 관통된 급수관 연결공에 설치되어 이 급수관 연결공을 통해 급수관에 연결되도록 된 바디(102)와, 이 바디(102)의 전방 상면에 설치된 수도밸브(100)와, 이 수도밸브(100)를 개폐 작동시키는 레버(104)와, 상기 수도밸브(100)를 수용하여 수도꼭지에 장착시키는 하우징(108,109)과 링체(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02)의 전방 상측에는 노즐(107)이 설치되고, 상기 바디(102)의 내부에는 노즐(107)을 개폐하는 밸브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며, 이 밸브체는 보조레버(106)에 의해 작동된다.
또한, 도 2에 의하면, 상기 수도밸브(100)는 케이스(110)와, 이 케이스(110) 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단부가 수도꼭지의 레버(104)에 의해 힌지부(122)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회동축(124)이 설치된 작동부재(120)와, 상기 작동부재(120)의 하측에 결합된 전달부재(130)와, 이 전달부재(130)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용수통로(142)가 형성된 조절부재(140)와, 이 조절부재(140)의 저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 및 제2 개구부(152,154)와 용수유입구(156)가 형성된 베이스부재(150)와, 이 베이스부재(150)에 결합되며 냉수 및 온수공급구(162,164)와 용수배출구(166)가 형성된 배출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축(124)을 힌지부(122)를 중심으로 ab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조절부재(140)의 용수통로(142)와 배출부재(160)의 냉온수 공급구(162,164)의 개폐정도가 조절되므로, 상기 용수배출구(166)를 통해 배출되는 용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축(124)을 cd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부재(140)의 용수통로(142)에 대한 상기 냉수공급구(162)와 온수공급구(164)의 개폐정도가 상대적으로 적거나 크게 되므로, 상기 용수배출구(166)를 통해 배출되는 용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수도꼭지는 전술한 바와 같은 매우 복잡한 구조의 수도밸브(100)와, 이 수도밸브(100)를 바디(102)의 전방 상면에 장착시키는 하우징(108,109)과 링체(111)와 같은 많은 부품이 요구되기 때문에, 제품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품 코스트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2)의 전방 상측에는 수도꼭지의 상측으로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노즐(107)이 설치되고, 상기 바디(102)의 내부에는 노즐(107)을 개폐하는 밸브 체가 설치되며, 이 밸브체는 보조레버(106)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므로, 이 또한 부품수가 많이 들고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 손으로 보조레버(106)를 누른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품 코스트를 낮출 수 있도록 된 수도꼭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단부에 배관(12c,14c)과 연통되는 유입구(12,14)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하향으로 개구된 토출구(16)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12,14)와 토출구(16)에 연통되는 수로(18)가 형성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토출구(16)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홀(22,24)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외측의 손잡이(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로(18)를 개폐하는 볼밸브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10)의 유입구(12,14)는 냉수유입구(12)와 온수유입구(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수 및 온수유입구(12,14)의 상측에는 격벽(11)에 의해 구획되는 냉수유입공간(12a)과 온수유입공간(14a)이 구비되고, 상기 냉수 및 온수유입공간(12a,14a)을 구획하는 상기 격벽(11)에는 상기 바디(10)의 수로(18)와 연통되는 구멍(12b,14b)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의 양측 둘레부에는 상기 격벽(11)의 각 구멍(12a,14a)에 일단부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는 냉수 및 온수조절밸브(40,45)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볼밸브체(30)의 홀(22,24)은 직각 방향으로 관통된 제1 및 제2홀(22,24)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10)의 선단부 상면에는 상향으로 개방된 상향토출구(4)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10)의 상향토출구(4)에는 노즐(50)이 설치되고, 이 노즐(50)의 내부에는 하단부가 상기 바디(10)의 상향토출구(4)에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수량조절부재(55)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수량조절부재(55)의 상측 내부에는 상기 바디(10)의 상향토출구(4)와 노즐(50)을 연통시키는 유로(5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볼밸브체(20)의 둘레부와 상기 바디(10)의 수로(18)의 내벽면 사이에는 실링부재(60)가 개재되고, 상기 바디(10)의 선단부에는 상기 실링부재(60)에 일단부가 접촉되는 조임부재(65)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조임부재(65)를 조여서 상기 실링부재(60)에 의해 상기 바디(10)의 수로(18)와 볼밸브체(2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둘레부에 측벽(82)이 형성되고 이 측벽(82)에는 관통공(84)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저면으로 삽입공(86,88)이 관통되어 세면대(70)의 배관 연결공(72)에 설치되는 베이스(80)와, 이 베이스(80)에 기단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측벽(82)의 관통공(84)과 대응되는 둘레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홈(13)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연통되는 수로(18)가 형성된 바디(10)와, 상기 베이스(80)의 측벽(82)의 관통공(84)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10)의 가이드홈(13)에 끼워지도록 스프링(94)에 의해 탄지되는 볼(96) 또는 상기 측벽(82)의 관통공(84)에 나사결합되어 선단부가 상기 바디(10)의 가이드홈(13)에 결합되는 가이드로드(9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디(10)의 기단부에는 냉수배관(12c)과 온수배관(14c)에 각각 연결되는 냉수유입구(12)와 온수유입구(14)가 형성되고, 상기 냉수 및 온수배관(12c,14c)은 플렉시블한 호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80)의 삽입공(86,88)은 냉수배관 삽입공(86)과 온수배관 삽입공(8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80)의 삽입공(86,88)은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꼭지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주요부인 베이스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수도꼭지는 내부에 수로(18)가 형성된 바디(10)와, 이 바디(10)의 수로(18)에 설치된 볼밸브체(20)와, 이 볼밸브체(20)를 작동시켜 바디(10)의 수로(18)를 개폐시키는 손잡이(30)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10)는 일측에 배관과 연결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하측으로 개방된 토출구(16)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12)와 토출구(16)에 연통되는 수로(18)가 형성된다. 상기 볼밸브체(20)는 상기 바디(10)의 토출구(16) 측에 위치되도록 바디(10)의 수로(18)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제1 및 제2홀(22,24)이 직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볼밸브체(20)의 양측에는 바디(10)의 외측에 구비된 손잡이(30)가 연장되어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30)의 작동에 따라 볼밸브체(20)의 제1 및 제2홀(22,24)이 각각 바디(10) 내의 수로(18)와 토출구(16) 또는 후술되는 상향토출구(4)에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유입구(12,14)는 냉수유입구(12)와 온수유입구(14)로 구성되고, 상기 냉수 및 온수유입구(12,14)의 상측에는 격벽(11)에 의해 구획되는 냉수유입공간(12a)과 온수유입공간(14a)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1)에는 바디(10) 내부의 수로(18)와 연통되는 구멍(12b,14b)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수 및 온수유입구(12,14)의 하단에는 냉수관(12c)과 온수관(14c)이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양측 둘레부에는 상기 격벽(11)의 각 구멍(12b,14b)에 일단부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냉수조절밸브(40) 및 온수조절밸브(45)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바디(10)의 타측 상면에는 상향으로 개방된 상향토출구(4)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10)의 상향토출구(4)에는 노즐(50)이 설치되고, 이 노즐(50)의 내부에는 하단부가 상기 바디(10)의 상향토출구(4)에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수량조절부재(55)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수량조절부재(55)의 상측 내부에는 바디(10)의 상향토출구(4)와 노즐(50)을 연통시키는 유로(5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밸브체(20)의 둘레부와 바디(10)의 수로(18)의 내벽면 사이에는 볼밸브체(20)의 제1 및 제2홀(22,24)과 연통되는 구멍(62a,64a)이 형성된 실링부재(60)가 개재되고, 상기 바디(10)의 둘레부에는 실링부재(60)에 일단부가 접촉되도록 조임부재(65)가 설치되며, 상기 조임부재(65)를 작동시켜 실링부재(60)에 의해 바디(10)의 수로(18)와 볼밸브체(20) 사이를 밀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바디(10) 외측의 손잡이(30)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볼밸브체(20)의 제1 및 제2홀(22,24)이 각각 바디(10)의 토출구(16) 또는 상향토출구(4)와 연통 또는 폐쇄되며,이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볼밸브체(20) 내에 형성된 "ㅏ"형상의 제1 및 제2홀(22,24)은 수로(18)를 차단한 상태이며, 상기 손잡이(30)의 좌우회전에 의해 "ㅗ" 또는 "ㅜ" 형상으로 회전되어 상기 토출구(16) 또는 상향토출구(4) 측으로 연통된다.
또한, 상기 상향토출구(4)는 바디(10)의 상부로 물을 토출시켜 양칫물 등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 상향토출구(4)에는 노즐(50)이 설치되고, 이 노즐(50)의 내부에는 수량조절부재(55)가 나사 결합되고, 수량조절부재(55)의 상측 내부에는 바디(10)의 상향토출구(4)와 노즐(50)을 연통시키는 유로(5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량조절부재(55)의 조임 혹은 풀림에 의해 쐐기형상의 밸브체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상향토출구(4)를 연통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바디(10)의 유입구(12,14)는 냉수유입구(12)와 온수유입구(14)로 구성되고, 냉수 및 온수유입구(12,14)는 바디(10) 내부의 냉수 및 온수유입공간(12a,14a)에 연통되며, 상기 냉수 및 온수유입공간(12a,14a)에 형성된 구멍(12b,14b)은 냉수조절밸브(40) 및 온수조절밸브(45)에 의해 개폐정도가 조절되므로, 상기 냉수조절밸브(40)나 온수조절밸브(45)를 작동시켜 물의 온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70)의 후방 상면으로 관통된 배관 연결공(72)에 베이스(80)가 설치되고, 이 베이스(80)에 상기 바디(10)의 기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상기 베이스(80)는 둘레부에 측벽(82)이 형성되고 이 측벽(82)에는 관통공(84)이 관통되며 상면에는 저면으로 삽입공(86,88)이 관통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기단부는 하향으로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80)에 기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측벽(82)의 관통공(84)과 대응되는 둘레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홈(13)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유로(1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80)의 측벽(82)의 관통공(84)에는 상기 바디(10)의 가이드홈(13)에 끼워지도록 스프링(94)에 의해 탄지되는 볼(96)이 설치된다. 또한, 부호 98은 스프링(94)과 볼(96)이 빠지지 않도록 나사 결합된 캡(98)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82)의 관통공(84)에는 선단부가 상기 바디(10)의 가이드홈(13)에 결합되도록 가이드로드(99)가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10)가 회전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볼(96) 또는 가이드로드(99)에 의해 지지되므로, 베이스(8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80)의 삽입공(86,88)은 냉수관 삽입공(86)과 온수관 삽입공(88)으로 이루어져, 이 냉수관 삽입공(86)과 온수관 삽입공(88)을 통해 냉수관(12c)과 온수관(14c)이 통과되어 상기 바디(10)의 냉수유입구(12)와 온수유입구(14)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냉수관(12c)과 온수관(14c)은 플랙시블한 호스(12d,14d)로 이루어진다.
삭제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를 옆으로 돌리면, 이 바디(10)의 냉수유입구(12)와 온수유입구(14)에 연결된 냉수관(12c)과 온수관(14c)이 베이스(80)의 호형상의 냉수관 삽입공(86)과 온수관 삽입공(8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냉수관(12c)과 온수관(14c)은 플렉시블한 호스로 구성되므로, 상기 바아(10)의 회전에 따라 냉수관(12c)과 온수관(14c)이 회전식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바디(10)를 옆으로 돌려서 세면대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세면대 사용중에 수도꼭지에 머리가 걸리는 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10)의 상면에는 지지대에 의해 별도의 비누받침대와 물품대가 설치되어, 비누받침대에 비누를 비치하고 물품대에 화장 제거용 화장품을 비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매우 많은 부품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도꼭지의 상측으로 물을 토출할 수 있도록 노즐과, 이 노즐을 개폐하는 밸브체와 이 밸브체에 의해 노즐을 개폐하도록 작동시키는 보조레버가 별도로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 또한 부품수가 많이 줄어들어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밸브체와 실링부재 사이 가 수압에 의해 밀봉 상태가 이완되면, 상기 바디의 둘레부에 설치된 조임부재를 조여서 볼밸브체와 실링부재를 밀봉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도꼭지의 상측으로 물이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한 손으로 보조레버를 누른 상태에서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하기 간편할 뿐만 아니라 바디의 양측에 손잡이가 구비되므로 좌측 혹은 우측 손이 불편한 사람들이 보호자의 도움 없이고 쉽게 물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수도꼭지의 바디가 세면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바디를 옆으로 돌려서 세면대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중에 수도꼭지에 머리가 걸리는 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기단부에 배관(12c,14c)과 연통되는 유입구(12,14)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하향으로 개구된 토출구(16)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12,14)와 토출구(16)에 연통되는 수로(18)가 형성된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토출구(16)측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홀(22,24)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외측에 구비된 손잡이(3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로(18)를 개폐하는 볼밸브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볼밸브체(30)의 홀(22,24)은 직각 방향으로 관통된 제1 및 제2홀(22,24)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10)의 타측 상면에는 상향으로 개방된 상향토출구(4)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10)의 상향토출구(4)에는 노즐(50)이 설치되고, 이 노즐(50)의 내부에는 하단부가 상기 바디(10)의 상향토출구(4)에 근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수량조절부재(55)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수량조절부재(55)의 상측 내부에는 상기 바디(10)의 상향토출구(4)와 노즐(50)을 연통시키는 유로(5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유입구(12,14)는 냉수유입구(12)와 온수유입구(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수 및 온수유입구(12,14)의 상측에는 격벽(11)에 의해 구획되는 냉수유입공간(12a)과 온수유입공간(14a)이 구비되고, 상기 냉수 및 온수유입공간(12a,14a)을 구획하는 상기 격벽(11)에는 상기 바디(10)의 수로(18)와 연통되는 구멍(12b,14b)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의 양측 둘레부에는 상기 격벽(11)의 각 구멍(12a,14a)에 일단부가 근접되거나 이격되는 냉수 및 온수조절밸브(40,45)가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밸브체(20)의 둘레부와 상기 바디(10)의 수로(18)의 내벽면 사이에는 실링부재(60)가 개재되고, 상기 바디(10)의 선단부에는 상기 실링부재(60)에 일단부가 접촉되는 조임부재(65)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조임부재(65)를 조여서 상기 실링부재(60)에 의해 상기 바디(10)의 수로(18)와 볼밸브체(20) 사이를 밀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5. 둘레부에 측벽(82)이 형성되고 이 측벽(82)에는 관통공(84)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저면으로 삽입공(86,88)이 관통되어 세면대(70)의 배관 연결공(72)에 설치되는 베이스(80)와, 이 베이스(80)에 기단부가 삽입 결합되고 상기 측벽(82)의 관통공(84)과 대응되는 둘레부에는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홈(13)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연통되는 수로(18)가 형성된 바디(10)와, 상기 베이스(80)의 측벽(82)의 관통공(84)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10)의 가이드홈(13)에 끼워지도록 스프링(94)에 의해 탄지되는 볼(96) 또는 상기 측벽(82)의 관통공(84)에 나사결합되어 선단부가 상기 바디(10)의 가이드홈(13)에 결합되는 가이드로드(99)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기단부에는 냉수배관(12c)과 온수배관(14c)에 각각 연결되는 냉수유입구(12)와 온수유입구(14)가 형성되고, 상기 냉수 및 온수배관(12c,14c)은 플렉시블한 호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80)의 삽입공(86,88)은 냉수배관 삽입공(86)과 온수배관 삽입공(88)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80)의 삽입공(86,88)은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KR1020050031641A 2005-04-15 2005-04-15 수도꼭지 KR100760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641A KR100760355B1 (ko) 2005-04-15 2005-04-15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641A KR100760355B1 (ko) 2005-04-15 2005-04-15 수도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532A KR20060109532A (ko) 2006-10-23
KR100760355B1 true KR100760355B1 (ko) 2007-09-20

Family

ID=3761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641A KR100760355B1 (ko) 2005-04-15 2005-04-15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0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109Y1 (ko) 2008-03-13 2009-12-23 최창훈 위생용 수전금구
KR200491154Y1 (ko) * 2019-10-16 2020-02-26 김문회 수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90U (ko) * 2019-02-28 2019-04-08 (주) 비엠비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90U (ko) * 2019-02-28 2019-04-08 (주) 비엠비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109Y1 (ko) 2008-03-13 2009-12-23 최창훈 위생용 수전금구
KR200491154Y1 (ko) * 2019-10-16 2020-02-26 김문회 수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532A (ko)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672B1 (en) Flow dividing device for gardening pipes
US7188641B2 (en) Water valve assembly for bathroom faucets
KR100760355B1 (ko) 수도꼭지
JP4976664B2 (ja) 混合水栓
KR200444870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유로선택 조절장치
JP4266303B2 (ja) 吐水金具
JP3370287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水栓
JP4334039B2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を備えた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200391526Y1 (ko) 수도밸브
KR200198098Y1 (ko)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
JP2001132032A (ja) 吐水具
KR102305480B1 (ko) 다용도 수도전
JP4266301B2 (ja) 吐水金具
KR200444965Y1 (ko) 비데용 콘트롤밸브의 수압조절장치
JP4583941B2 (ja) 切替部材
KR200343395Y1 (ko) 수온조절 기능을 갖는 샤워헤드
JPS6329008Y2 (ko)
JP2005336758A (ja) 埋込式水栓
JP3594913B2 (ja) 横向き分岐口をもつシングルレバ−式湯水混合栓
JP4516667B2 (ja) 給水栓部品の組付構造
JP4643831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水栓
KR200358028Y1 (ko) 개량형 샤워기
JP5931808B2 (ja) 2口の吐水口を有する水栓柱
KR101154608B1 (ko) 족답식 수전금구
JPH04342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