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098Y1 -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 - Google Patents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098Y1
KR200198098Y1 KR2020000013108U KR20000013108U KR200198098Y1 KR 200198098 Y1 KR200198098 Y1 KR 200198098Y1 KR 2020000013108 U KR2020000013108 U KR 2020000013108U KR 20000013108 U KR20000013108 U KR 20000013108U KR 200198098 Y1 KR200198098 Y1 KR 200198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water purifier
purifier
connec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1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구
Original Assignee
김찬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구 filed Critical 김찬구
Priority to KR20200000131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0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2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providing a continuous small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16K31/504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the actuating means being rotable, rising, and having internal threads which co-operate with threads on the outside of the valv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배관과 수도전의 사이에 개재되어 정수기로 급수하기 위한 급수구조와 그 급수구조의 개페를 위한 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도배관과 수도전의 사이에 위치되는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본체 일측에 형성된 정수기급수부결합공에 결합되는 정수기연결부에는 상기 정수기의 급수호스가 결합되는 정수기연결부재와 그 정수기연결부재로의 급수로를 개폐하기 위한 스핀들에 의한 급수로개폐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정수기연결부의 본체가 결합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VALVE FOR CONNECTING A PURIFIER}
본 고안은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배관에 결합되어 정수기로 수도수를 분배하여 급수하기 위한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냉수/온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냉/온 정수기가 널리 보급되는 추세인 바, 그 냉/온 정수기에는 수도배관에 흐르는 수도수를 분배받아서 정수하여 냉수 또는 온수로 토출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분리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본체(10)의 일단 외주면에는 수도관(도시 생략)에 결합하기 위한 수도관결합나사부(12)가 형성되고, 그 본체(10)의 타단 내면에는 예컨대 수도전(水道栓)을 결합하기 위한 수도전결합나사부(14)가 형성된다.
또, 상기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본체(10)에는 분기된 형태로 정수기를 연결하기 위한 정수기연결구조(16)가 갖추어지는 바, 그 정수기연결구조(16)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상측면에 관통적으로 형성된 그랜드결합공(18)에는 그랜드(20)의 일단이 수밀적으로 결합되는 바, 상기 그랜드(20)의 일단 외주변에는 상기 그랜드결합공(18)과의 치합이 가능하도록 본체결합나사부(20a)가 형성되고, 그 그랜드(20)의 내부에는 상기 그랜드결합공(18)과 연통되도록 측벽면이 나사형상으로 정의되는 관통공(20b)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정수기연결구조(16)에는 상기 그랜드(20)의 관통공(20b)과 상기 그랜드결합공(18)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10)로부터 정수기측으로의 급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스핀들(22)이 포함되는 바, 그 스핀들(22)의 상단에는 그 스핀들(22)을 승강시키기 위한 핸들노브(22a)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스핀들(22)의 외주변에는 상기 그랜드(20)의 관통공(20b)과 상기 본체(10)의 그랜드결합공(18)에 치합되어 상기 핸들노브(22a)의 회전에 따라 그 스핀들(22)이 승강되도록 하기 위한 스핀들나사부(22b)가 형성된다.
그와 더불어, 정수기측으로의 급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상기 스핀들(22)의 선단(22c)과 환형상 링지지부(22d)의 사이에는 정수기측으로의 급수구에 대한 수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O-링(24)이 개재된다.
또, 상기 정수기연결구조(16)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에서 상기 그랜드결합공(18)과 대향되는 측면에는 정수기측으로의 급수구(10a)가 개구되고, 그 급수구(10a)에 대해서는 정수기결합부재(26)의 선단 외주변에 형성되면서 그 내부는 정수기로 수도수가 분배되도록 중공화된 본체결합나사부(26a)가 스크류결합 및 수밀적으로 용접된다.
상기 정수기결합부재(26)의 하단(26b)의 외주변에는 정수기에서 연설되는 급수호스(도시 생략)가 외삽되면서 그 급수호스의 외측에는 호스결합나사(28)가 체결되어 급수호스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연결형 급수부재에서는 그 본체(10)를 수도배관과 수도전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수도배관으로부터의 수도수가 그 본체(10)의 중공내부를 통해 수도전측으로 공급되고, 상기 정수기연결구조(16)의 핸들노브(22a)를 회동시킴에 따라 그 핸들노브(22a)가 결합된 스핀들(22)이 승강작용하면서 상기 정수기로의 급수구(10a)를 개폐시키게 됨에 따라 정수기로의 급수가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에서는 정수기로 수도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구(10a)를 개페하기 위한 상기 정수기연결구조(16)가 그 본체의 내부를 횡단하도록 설계되어 불리하게 된다. 즉, 상기 정수기연결구조(16)를 구성하면서 상기 핸들노브(22a)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급수구(10a)를 개폐하기 위한 스핀들(22)이 상기 급수밸브의 본체(10)의 내부 중앙을 횡단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수도전으로 전달되는 수도수의 유동에 지장을 주게 된다.
또한, 그 스핀들(22)은 상기 본체(10)의 직경에 의존하여 그 길이가 결정됨과 더불어 그 본체(10)에 상기 스핀들(22)이 경유하는 상기 그랜드결합공(18)과 상기 급수구(26)의 천공형성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상의 불리함도 초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도배관으로부터의 수도수를 정수기에 급수하기 위한 급수구의 최근접위치에 정수기연결구조와 그 정수기연결구조에 연통되는 급수로를 개페하기 위한 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도배관과 수도전의 사이에 개재되어 정수기로 급수하기 위한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의 일측에 형성된 정수기급수부결합공에 결합되는 정수기연결부에 상기 정수기의 급수호스가 결합되는 정수기연결부재와 그 정수기연결부재로의 급수로를 개폐하기 위한 스핀들에 의한 급수로개폐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가 제공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에 의하면,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본체에 결합되는 정수기연결부에는 정수기로의 급수를 위한 정수기연결부재와 그 정수기연결부재로 연통되는 급수로를 개폐하기 위한 스핀들을 포함하는 급수로개폐구조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핀들의 회전조작에 의해 정수기로의 급수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분리사시도 및 조립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조립단면도 및 정수기로부터의 급수호수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설치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급수밸브의 본체, 16: 정수기연결구조,
20: 그랜드, 22: 스핀들,
40: 급수밸브의 본체, 42: 정수기연결부,
46: 스핀들, 50: 정수기연결부재.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조립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설치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도배관과 수도전의 사이에 개재되는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본체(40)의 일단에는 수도배관(도 5의 60)에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나사부(40a)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본체(40)의 타단에는 수도전(도 5의 62)이 연결되는 수도전연결나사부(40b)가 형성되고, 그 본체(40)의 일측면에는 정수기급수구조와 그 개폐를 위한 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정수기급수부(42)의 결합을 위한 정수기급수부결합공(40c)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정수기급수부(42)에 따르면, 내부가 중공형태인 급수부본체(44)가 갖추어지는 바, 그 급수부본체(44)의 일단의 외주연에는 상기 본체(40)의 정수기급수부결합공(40c)에 결합하기 위한 본체결합나사부(44a)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타단에는 핸들노브(46a)가 구비된 스핀들(46)이 삽입되는 스핀들관통구(44b)가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46)의 하부 외주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O-링(48)이 결합된다.
또, 상기 급수부본체(44)의 측면에는 정수기로의 급수를 위한 급수구(44c)가 관통형성되고, 그 급수구(44c)에는 정수기연결부재(50)의 일단(50a)이 결합된다.
상기 정수기연결부재(50)의 타단에는 정수기로부터 연결되는 급수호스(52)가 결합되고, 그 급수호수(52)의 외측에는 그 급수호스(5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정수기연결부재(50)의 외연에 나사결합되는 호스결합너트(54)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에 의하면 상기 본체(40)의 일측에 형성된 정수기급수부결합공(40c)에 결합되는 정수기급수부(42)의 급수부본체(44)에 정수기로 급수하기 위한 정수기연결부재(50)가 결합되고, 그 정수기연결부재(50)가 결합되는 상기 급수부본체(44)의 내부에 형성되는 급수로를 핸들노브(46a)의 조작에 의해 승강되는 스핀들(46)이 승강하면서 개폐하게 되며, 그러한 정수기로의 급수구조와 그 급수구조를 개페하기 위한 구조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본 고안의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일예에 따른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에 비해 그 조작상의 구조가 간단해지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에 의하면,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의 일측에 정수기로 급수하기 위한 급수로와 그 급수로를 개폐하기 위한 구조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스핀들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 그 급수로의 개폐조작성이 양호해지게 된다.

Claims (1)

  1. 수도배관과 수도전의 사이에 개재되어 정수기로 급수하기 위한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의 일측에 형성된 정수기급수부결합공에 결합되는 정수기연결부에 상기 정수기의 급수호스가 결합되는 정수기연결부재와 그 정수기연결부재로의 급수로를 개폐하기 위한 스핀들에 의한 급수로개폐구조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
KR2020000013108U 2000-05-09 2000-05-09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 KR200198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108U KR200198098Y1 (ko) 2000-05-09 2000-05-09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108U KR200198098Y1 (ko) 2000-05-09 2000-05-09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098Y1 true KR200198098Y1 (ko) 2000-10-02

Family

ID=19655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108U KR200198098Y1 (ko) 2000-05-09 2000-05-09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0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8928A (en) Faucet of a sink
US6449784B1 (en) Easy operating diverter tub spout
KR200191907Y1 (ko) 수전금구용 자폐식 절수장치
KR200198098Y1 (ko) 정수기연결형 급수밸브
KR100760355B1 (ko) 수도꼭지
US20080060709A1 (en) Adjustable water-dispersing device for a faucet
KR200409417Y1 (ko) 수전 배관연결 밸브
KR200388676Y1 (ko) 개수대용 급수전의 방향절환장치
KR200284898Y1 (ko) 수도꼭지
KR200141075Y1 (ko) 정수 및 온,냉수 전환 밸브 장치
KR200152836Y1 (ko) 싱글 레버식 혼합수전
KR910003125Y1 (ko) 분수 헤드조립체
KR200359770Y1 (ko) 탁상형 정수기연결구조를 갖춘 급수밸브
KR200341861Y1 (ko) 원형 단수전
KR200247662Y1 (ko) 세탁기용 급수호스의 연결구를 갖춘 수도꼭지
KR200247669Y1 (ko) 수도전의 잠금장치
KR960007324Y1 (ko) 수도꼭지의 분사구
JP3972268B2 (ja) 二重吐水管の吐水ヘッドの取付構造
KR200213458Y1 (ko) 밸브 구조물
JP2002228071A (ja) 管継手
KR200395245Y1 (ko) 욕실 급수용 중간밸브
KR200223334Y1 (ko) 탕수혼합수전의 역류방지장치_
KR200374734Y1 (ko) 샤워 헤드
KR200179157Y1 (ko) 3유로 연결밸브
KR200187889Y1 (ko) 수도꼭지의 회전식 호스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