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066B1 - 하울링 캔슬러를 구비한 확성 장치 - Google Patents

하울링 캔슬러를 구비한 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066B1
KR100758066B1 KR1020060003600A KR20060003600A KR100758066B1 KR 100758066 B1 KR100758066 B1 KR 100758066B1 KR 1020060003600 A KR1020060003600 A KR 1020060003600A KR 20060003600 A KR20060003600 A KR 20060003600A KR 100758066 B1 KR100758066 B1 KR 100758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microphone
signal
sound sourc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3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435A (ko
Inventor
히라꾸 오꾸무라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2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9/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not involving centralised switching
    • H04M9/08Two-way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signal, e.g. for suppressing echoes for one or both directions of traffic
    • H04M9/082Two-way loud-speaking telephone systems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signal, e.g. for suppressing echoes for one or both directions of traffic using echo cancell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50Miscellaneous
    • G10K2210/506Feedback, e.g. howl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021/02082Noise filtering the noise being echo, reverberation of the spee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에 접속되는 확성 장치에서, 확성 회로부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에 입력한다. 하울링 캔슬러는 스피커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잔차 신호에 기초하여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으로의 귀환 전달계를 모의하는 필터 계수가 설정되는 적응 필터를 갖고, 스피커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적응 필터로 처리하여 모의 신호를 생성한다. 잔차 신호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모의 신호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지며 확성 회로부에 공급된다. 내부 음원은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여 이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에 입력한다. 음원 판정부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으로 귀환한 오디오 신호 이외에 외부 음원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해당 판정 결과에 따라서 적응 필터의 필터 계수의 갱신을 제어한다.
확성 장치, 하울링 캔슬러, 귀환 전달계, 적응 필터

Description

하울링 캔슬러를 구비한 확성 장치{AUDIO AMPLIFICATION APPARATUS WITH HOWLING CANCEL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가라오케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터 계수 산출부와 그 연관 컴포넌트들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가라오케 장치가 실행하는 판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판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주요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가라오케 장치(확성 장치에 대응)
2: 마이크로폰
3: 스피커
5: 연주 처리부(내부 음원에 대응)
9: 하울링 캔슬러
92: 적응 필터
10: 가창 음성 판정부(외부 음원 판정부의 일례)
D2: 가사 데이터
do: 모의 신호
d: 귀환음신호
본 발명은, 하울링을 방지하기 위한 하울링 캔슬러를 갖춘 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확성 장치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에 입력한다. 이 확성 장치에서,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에 이르는 경로로 폐 루프가 형성된다. 스피커로부터 출력되어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귀환 음 신호가 반복하여 증폭됨으로써 하울링이 발생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하울링을 방지하기 위해, 적응 필터를 이용하여 귀환 음 신호를 모의한 모의 신호를 생성하여,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로부터 모의 신호를 제외하는 하울링 캔슬러를 확성 장치에 이용하는 것은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비특허 문헌1을 참조). 이 하울링 캔슬러에서는, 스피커에 입력하는 신호가 지연부에 입력되고, 이 신호가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에 이르는 전달 시간(traveling time)에 대응한 지연 시간만큼 지연부에 의해서 지연된다. 이 지연된 신호를 적응 필터 계수로 승산-및-누산 연산(convolution)을 행함으로써, 적응 필터에 의해서 모의 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로부터 모의 신호 가 가산부에 의해서 제외된 잔차 신호(residual signal)가 증폭부에 출력된다. 그리고, 증폭부에서 증폭된 잔차 신호가 음(sound)을 생성하는 스피커에 입력된다. 여기서, 적응 필터에는, 잔차 신호가 레퍼런스 신호로서 입력된다. 이 잔차 신호가 최소가 되도록 주지의 적응 알고리즘(예를 들면 LMS(Least Mean Squar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적응 필터 계수가 산출되어 갱신된다. 이것에 의해서, 모의 신호를 귀환 음 신호에 근사시킴으로써 하울링의 방지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확성 장치로서 가라오케 장치에서, CD 등의 음원으로부터의 음 신호와 마이크로폰으로부터의 입력 신호와의 상관 연산을 행하여,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까지의 귀환 전달계(feedback transmission path)의 상관 함수를 구한다. 가라오케 장치는 이 상관 함수를 이용하여 하울링 발생의 위험도를 감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가라오케 장치에서는, 하울링이 발생할 위험성이 소정 레벨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그 위험성을 유저에게 통지하거나, 또는 하울링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은 주파수의 게인을 내린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을 참조).
[비특허 문헌 1] Inazumi, Imai, Konishi:“LMS 알고리즘을 이용한 확성계의 하울링 방지(Prevention of howling in the audio amplification system using the LMS algorithm)", 일본 음향 학회 강연 논문집 pp.417-418(1991,3)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8-33091호 공보
종래의 적응 필터를 이용한 하울링 캔슬러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잔차 신호를 이용하여 모의 신호와 귀환 음 신호와의 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적응 필터 계수를 산출한다. 이것에 의해서 모의 신호를 귀환 음 신호에 근사시키고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는 화자의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기 때문에, 적응 필터에 레퍼런스로서 입력되는 잔차 신호에는 귀환 음 신호와 모의 신호와의 차분뿐만 아니라 외부 오디오 신호가 포함된다. 이러한 잔차 신호를 레퍼런스로서 이용하면 귀환 음 신호에 근접하는 모의 신호를 산출하는 산출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충분히 하울링을 방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하울링의 위험성을 감시하는 종래의 가라오케 장치에서는, 하울링의 위험도를 통지할 뿐인 구성이기 때문에, 하울링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하울링의 위험성이 있는 주파수의 게인을 내리는 구성에서는, 스피커로부터 방음되는 재생음의 음질이 열화할 가능성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효과적으로 하울링을 방지할 수 있는 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으로서는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1)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에 접속되는 확성 장치로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에 입력하는 확성 회로부와, 스피커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잔차 신호에 기초하여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으로의 귀환 전달계를 모의하는 필터 계수를 자기 설정하는 적응 필터를 갖고, 적응 필터로 처리한 모의 신호를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감산하여 구한 잔차 신호를 확성 회로부에 공급하는 하울링 캔슬러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스피커로부터 귀환한 오디오 신호 이외의 외부 음원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해당 판정 결과에 따라서 적응 필터의 필터 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음원 판정부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에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하울링 캔슬러는 이 입력된 신호로부터 모의 신호를 감산하여 잔차 신호를 생성하고 잔차 신호를 확성 회로부에 공급한다. 확성 회로부는 잔차 신호를 증폭하고 스피커에 입력하여, 스피커로부터 음이 생성된다. 여기서, 모의 신호는, 적응 필터에 의해서 처리된 것이다. 적응 필터는, 스피커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잔차 신호에 기초하여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으로의 귀환 전달계를 모의하는 필터 계수를 자기 설정(self-configures)한다. 모의 신호는 귀환 전달계에 의해서 스피커로부터 마이크로폰에 귀환되는 귀환 음을 모의한다. 입력 신호로부터 모의 신호가 감산됨으로써 하울링이 방지된다.
잔차 신호는, 귀환 음 신호와 모의 신호와의 차분만을 포함할 때가 필터 계수를 정확하게 연산하기 위한 이상적인 상태이다. 따라서,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신호에 외부 음원으로부터 발생된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적응 필터에 입력되는 잔차 신호가, 귀환 음 신호와 모의 신호와의 차분 외에 외부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기 때문에, 적응 필터의 계수를 정확하게 연산하기 위한 이상적인 상태가 아니다.
상기 구성에서는, 외부 음원 판정부에 의해서, 스피커로부터 귀환한 오디오 신호 이외에 외부 음원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이 판정 결과에 따라서 적응 필터의 필터 계수의 갱신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적응 필터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한 이상적인 상태인지의 여부를 반영시켜 적응 필터의 갱신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응 필터가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음원 판정부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스피커로부터 귀환한 오디오 신호만이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그와 반대로 판정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적응 필터의 적응적 갱신 속도를 빠르게 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적응 필터는, 적응 필터 계수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한 이상적인 상태인 경우에는 빠른 적응 속도로 적응될 수 있다. 이것은 필터 계수의 적응적 갱신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2) 전술한 확성 장치에서, 상기 적응 필터는, 갱신 전의 적응 필터 계수에 망각 계수(leakage factor)를 승산한 것과, 수정량에 스텝 사이즈 파라미터를 승산한 것을 가산하여 적응 필터 계수를 산출하고, 이 산출한 적응 필터 계수로 적응 필터 계수를 갱신한다. 상기 음원 판정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외부 음원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판정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스텝 사이즈의 값을 크게 설정한다.
여기서, 스텝 사이즈가 클수록, 많은 수정량이 적응 필터 계수에 반영된다. 이 때문에, 스텝 사이즈가 클수록, 적응 필터의 적응 속도가 빠르게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외부 음원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반대로 판정하는 경우에 비해, 값이 큰 스텝 사이즈를 이용하여 상기 적응 필터 계수가 산출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외부 음원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된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비해, 적응 필터의 적응 속도가 빠르게 된다.
(3) 전술한 확성 장치는, 가라오케 곡을 연주하는 연주 처리부를 내부 음원으로 하고, 가창자의 가창을 외부 음원으로 하는 가라오케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라오케 장치에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가창자의 가창의 음성 신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적응 필터의 갱신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전술한 가라오케 장치에서, 연주 처리부는, 가라오케 곡의 진행에 맞춰 가사를 표시하기 위해 가사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한다. 음원 판정부는, 연주 처리부가 가사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을 때,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외부 음원인 가창자의 가창의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여기서, 가창자는 통상 표시된 가사를 보면서 가창하기 때문에, 가라오케 곡의 진행에 맞춰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가사 데이터가 표시부에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창자의 가창의 오디오 신호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음원 판정부에 의해서, 스피커에 입력되는 반주 음 신호에 대응한 가사 데이터가 표시부에 공급되는 경우에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이 가사 데이터가 표시부에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창의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다. 가사 데이터의 표시부로의 출력의 유무를 판단하는 이러한 간단한 처리를 이용하여 가창의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5) 전술한 확성 장치에서는, 음원 판정부는, 연주 처리부가 가사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도,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 레벨을 넘는 때에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가창의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가사 데이터가 표시부에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도,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 레벨을 넘을 때는,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가사가 표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예를 들면, 가창자에 따라서는 가창을 행하거나, 가창자의 주위의 청음자가 소음을 내어 마이크로폰에 오디오가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가창의 음성이 입력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응 필터 계수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한 이상적인 상태가 아니다.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소정 레벨을 초과할 때 가창의 음성 신호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된다. 이러한 경우는 가창의 음성 신호가 실제로 입력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가사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는 때에 한해서 신호 레벨을 판단하면 되기 때문에, 비교적 처리 부하가 가볍게 가창의 음성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가라오케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가라오케 장치(1)는 실내에 배치되는 마이크로폰(2), 스피커(3) 및 표시부(4)에 접속된다. 가라오케 장치(1)는 연주 처리부(5)와, 오디오 처리부(6)와, 가산부(7)와, 오디오 재생 처리부(8)와, 하울링 캔슬러(9)와, 가창 음성 판정부(10)와, 화상 재생 처리부(11)를 구비한다.
마이크로폰(2)은, 장치 외부로부터 음을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로서 입력한다.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는, A/D(Analog/Digital) 컨버터(도면 생략)에 의해서 A/D 변환된다. 이 A/D 변환된 신호는 하울링 캔슬러(9)를 통과하여 오디오 처리부(6)에 출력된다. 마이크로폰(2)에 입력되는 음에는, 가창자(외부 음원에 대응)가 가창하고 있을 때에는 가창음이 포함된다. 이 가창음은 전기 신호, 즉 가창 음성 신호(외부 음원으로부터 공급된 오디오 신호에 대응)로 변환된다. 가창 음성 신호는 입력 신호에 포함된다.
스피커(3)는, 가라오케 장치(1)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바꾸고 음을 생성하는 것이다. 표시부(4)는, 예를 들면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형태로 제공된다.
연주 처리부(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부에 의해서 구성된다. 연주 처리부(5)는 가라오케 연주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주 처리부(5)는 가라오케 반주음 데이터 D1과 가사 데이터 D2를 기억한다. 연주 처리부(5)는 본원 발명의 내부 음원에 대응한다. 연주 처리부(5)는, 가라오케 반주 음 데이터 D1에 기초하여, 이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를 생성하여 순차적으로 가산부(7)에 출력한다. 이와 함과 함께, 연주 처리부(5)는 이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의 출력에 맞추어 가사 데이터 D2를 순차적으로 화상 재생 처리부(11)에 출력한다. 가라오케 반주 음 데이터 D1은 가라오케곡의 반주 음을 재생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가사 데이터 D2는,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를 이용하여 연주되는 가라오케 곡의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가사 데이터 D2에 따라, 표시부(4)가 가사를 표시하고, 가라오케 반주곡의 진행에 따라서 그 문자 색을 변경하여 간다. 즉, 가사 데이터 D2는 가사의 문자 데이터와 문자 색 변경 데이터를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6)는, 이퀄라이저(Equalizer) 등을 포함하고, A/D 컨버터(도면 생략)와 하울링 캔슬러(9)를 통하여 공급된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하거나, 디지털적으로 증폭하는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가산부(7)는, 연주 처리부(5)로부터 출력된 가라오케 반주음 신호와 오디오 처리부(6)에 의해서 처리된 신호를 믹싱하는 처리(믹싱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가산부(7)는, 믹싱 처리된 오디오 신호(합성 오디오 신호 x(k))를 오디오 재생 처리부(8)와 하울링 캔슬러(9)에 출력한다.
오디오 재생 처리부(8)는, 가산부(7)로부터 입력된 합성 오디오 신호 x(k)에 대하여 D/A(Digita1/Analog) 변환을 행하고,이 변환 후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3)에 입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6)와 오디오 재생 처리부(8)로 본원 발명의 확성 회로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하울링 캔슬러(9)는, 지연부(91), 적응 필터(92) 및 가산부(93)를 갖춘다. 지연부(91) 및 적응 필터(92)는, 스피커(3)로부터 마이크로폰(2)에 이르는 음향 전달 경로인 귀환 전달계(100)를 모의(simulate)한다. 도면에서, 귀환 전달계(100)는 점선 블럭으로 표시된다. 즉, 하울링 캔슬러(9)에서, 지연부(91)는 귀환 전달계(100)를 통한 귀환 음의 지연 시간 τ를 모의한다. 적응 필터(92)는 귀환 전달계(100)의 음성 전파 특성인 전달 함수를 모의한다.
구체적으로는, 지연부(91)는 입력된 합성 오디오 신호 x(k)를 지연 시간 τ만큼 지연시켜, 이 지연시킨 합성 오디오 신호 x(k-τ)를 적응 필터(92)에 출력한다. 적응 필터(92)는, 디지털 필터(92a)(전형적으로는 FIR: Finite Impulse Response Filter 필터) 및 이 디지털 필터(92a)의 필터 계수를 결정하는 필터 계수 산출부(92b)를 갖고 있다. 디지털 필터(92a)는, 입력된 합성 오디오 신호 x(k-τ)를 필터 계수로 컨볼루션 연산을 행함으로써 모의 신호 do(k)를 생성한다. 디지털 필터(92a)는 생성한 모의 신호 do(k)를 가산부(93)에 출력한다.
필터 계수 산출부(92b)는, 가산부(93)로부터 출력된 신호인 잔차 신호와 지연부(91)로부터 입력된 합성 오디오 신호 x(k-τ)에 기초하여, 귀환 전달계(100)의 전달 함수를 추정한다. 필터 계수 산출부(92b)는 이 전달 함수를 모의하여 디지털 필터(92a)의 필터 계수를 보정함으로써, 필터 계수를 자기 설정한다. 이 보정은, 잔차 신호가 될 수 있는 한 작아지도록 행해지고,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예를 들면, 수μsec ∼ 수백μsec 마다) 행해진다. 귀환 전달계(100)의 전달 함수의 추정 및 필터 계수의 보정은, 적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행해진다(자세히는 후술한다). 적응 알고리즘으로서는, 예를 들면, 학습 동정법, LMS법, 사영법 및 RLS 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합성 오디오 신호 x(k)가, 스피커(3)로부터 출력되는 것과 동시에 지연부(91)와 적응 필터(92)에 공급된다. 이것은 적응 필터(92)로부터 출력되는 모의 신호 do(k)를 귀환 음 신호 d(k)에 근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가산부(93)에는 모의 신호 do(k)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가 입력된다. 가산부(93)는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로부터 모의 신호 do(k)를 제외한 잔차 신호를 오디오 처리부(6)에 출력함과 함께, 레퍼런스 신호로서 필터 계수 산출부(92b)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서,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로부터 귀환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하울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창 음성 판정부(1O)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실행되는 판정 프로그램으로 구현된다. 가창 음성 판정부(1O)는 마이크로폰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판정 처리)를 실행한다. 가창 음성 판정부(10)는, 가산부(7)에 출력되는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에 대응한 가사 데이터 D2가 연주 처리부(5)로부터 화상 재생 처리부(11)를 통하여 표시부(4)에 대하여 출력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가사 데이터 D2가 출력되는 경우에, 가창 음성 판정부(1O)는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통상적으로, 가창자는 표시되는 가사를 보면서 가창을 행한다. 이 때문에,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에 대응한 가사 데이터 D2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는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2)에 입력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게 한다.
가창 음성 판정부(10)는, 이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적응 필터(92)의 갱신을 제어한다.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필터 계수 산출부(92b)에 입력되는 잔차 신호는, 가창 음성 신호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귀환 음 신호 d(k)와 모의 신호 do(k)의 차분에 가까운 상태로 된다. 여기서, 잔차 신호가 귀환 음 신호 d(k)와 모의 신호 do(k)와의 차분에 가까울수록, 적응 필터(92)의 필터 계수의 동정(同定)의 오차를 작게 하는 데 이상적이다. 가창 음성 판정부(10)는,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포함된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비해 적응 필터(92)의 갱신의 비율의 정도를 올려, 적극적으로 적응 필터(92)의 갱신을 행한다. 이 때문에, 동정의 오차가 작게 적응 필터(92)를 구성할 수 있다.
화상 재생 처리부(11)는, 예를 들면 비디오 메모리 및 영상 처리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화상 재생 처리부(11)에는 가사 데이터 D2가 연주 처리부(5)로부터 입력된다. 가사 데이터 D2는 가산부(7)에 출력되는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에 대응한다. 화상 재생 처리부(11)는 연주 처리부(5)로부터 출력되는 가사 데이터 D2에 기초하여 문자 패턴을 생성하고, 스피커(3)로부터 음이 생성되는 가라오케 반주의 내용에 맞추어 가사를 표시부(4)에 표시한다. 또한, 가사 데이터 D2에 대응하는 배경 화상이 연주 처리부(5)에 기억되어 있다. 화상 재생 처리부(11)는 이 배경 화상이 연주 처리부(5)로부터 입력되는 경우에, 입력된 배경 화상을 가사 데이터 D2와 합성하여 이 합성 화상을 표시한다.
도 2는, 도 1이 나타내는 필터 계수 산출부(92b)와 그 주변의 구성을 도시하 는 블록도이다. 필터 계수 산출부(92b)는, 갱신전 필터 계수 취득부(921), 망각 계수 승산부(922), 수정량 산출부(923), 스텝 사이즈 승산부(924) 및 가산부(925)를 포함한다.
갱신전 필터 계수 취득부(921)는 갱신전의 적응 필터 계수를 기억하고,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망각 계수 승산부(922)에 갱신전의 적응 필터 계수를 출력한다. 망각 계수 승산부(922)는, 갱신전 필터 계수 취득부(921)로부터 출력된 갱신전 적응 필터 계수에 망각 계수를 승산하여 가산부(925)에 출력하는 것이다.
수정량 산출부(923)는, 가산부(93)로부터 출력된 잔차 신호와 지연부(91)로부터 출력된 합성 오디오 신호 x(k-τ)로부터, 공지의 적응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정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수정량 산출부(923)는, 갱신전 필터 계수 취득부(921)의 출력 간격과 동기한 소정 시간 간격마다, 수정량을 스텝 사이즈 승산부(924)에 출력한다. 스텝 사이즈 승산부(924)는 입력한 수정량과 스텝 사이즈 파라미터를 승산하여, 이에 의해 구한 값을 가산부(925)에 출력한다.
여기서, 스텝 사이즈 파라미터는 적어도 두 개의 값, 즉 큰 값과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사이즈는, 가창 음성 판정부(10)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가창 음성 판정부(10)에 의해서 작은 쪽의 값이 설정된다. 가창 음성 판정부(10)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가창 음성 판정부(10)에 의해서 큰 쪽의 값이 설정된다.
가산부(925)는, 망각 계수 승산부(922)로부터 출력된 값과 스텝 사이즈 승산 부(924)로부터 출력된 값을 가산하여 적응 필터 계수를 구한다. 즉, 적응 필터 계수는, (a) 갱신 전의 적응 필터 계수에 망각 계수를 승산한 값과, (b) 잔차 신호와 입력 신호로부터 구한 수정량에 스텝 사이즈를 승산한 값을 가산하여 구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텝 사이즈가 크게 설정되는 경우, 적응 필터 계수에 수정량이 많이 반영되어, 적극적으로 적응 필터 계수의 갱신이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스텝 사이즈는, 가창 음성 판정부(10)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판정이 긍정인 경우에 비해 큰 쪽의 값이 설정된다. 이 때문에, 가창 음성 판정부(10)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경우, 즉 적응 필터(92)의 필터 계수를 적절하게 정하는 데 이상적인 상태인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적응 필터 계수의 갱신이 행하여진다.
가산부(925)는, 산출한 적응 필터 계수로 필터(92a)의 적응 필터 계수의 값을 갱신함과 함께, 갱신전 필터 계수 취득부(921)에 기억되는 갱신전 적응 필터 계수의 값을 갱신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가라오케 장치(1)가 실행하는 판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처리는, 예를 들면 오디오 재생 처리부(8)의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가 가산부(7)에 판독된 것을, 가창 음성 판정부(1O)가 검지한 경우에 실행 개시된다. 우선, 가창 음성 판정부(1O)는, 출력되는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에 대응한 가사 데이터 D2가 연주 처리부(5)로부터 표시부(4)에 대해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
출력되는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에 대응한 가사 데이터 D2가 표시부(4)에 대하여 출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S1에서 "Y"), 가창 음성 판정부(10)는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다(S2). 그 후, 가창 음성 판정부(10)는, 스텝 사이즈 승산부(924)의 스텝 사이즈를 작은 쪽으로 설정한다(S3). 그 후, 가창 음성 판정부(10)는 후술의 단계 6을 실행한다.
한편, 출력되는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에 대응한 가사 데이터 D2가 표시부(4)에 대하여 출력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S1으로 "N"), 가창 음성 판정부(10)는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S4). 그리고, 가창 음성 판정부(10)는, 스텝 사이즈 승산부(924)의 스텝 사이즈를 큰 쪽으로 설정한다(S5).
단계 S1에서, 출력되는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에 대응한 가사 데이터 D2가 표시부(4)에 대하여 출력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가사 데이터 D2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또한, 가사 데이터 D2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다. 통상적으로, 가창자는 표시된 가사를 보면서 가창을 한다. 가사 데이터가 표시부(4)에 대하여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사의 표시가 없고, 이 때문에 가창자는 가창을 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비교적 정밀도 좋게 판정할 수 있다.
그 후, 가창 음성 판정부(10)는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의 출력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의 출력이 종료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S6에서 "N"), 가창 음성 판정부(10)는 처리를 단계 S1로 되돌아 간다.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의 출력이 종료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S6에서 "Y"), 본 처리를 종료시킨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비해, 스텝 사이즈가 작게 설정된다. 여기서, 스텝 사이즈가 크게 설정될수록, 적응 필터 계수를 갱신하기 위한 수정량의 성분이 더 많이 반영된다. 따라서, 적응 필터(92)의 갱신이 적극적으로(적응 필터의 적응 속도가 빠르게) 행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창 음성 신호가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적응 필터(92)에 레퍼런스 신호로서 입력되는 잔차 신호는 귀환 음 신호 d(k)와 모의 신호 do(k)와의 차분일 뿐이다. 이 때문에, 잔차 신호는 모의 신호 do(k)를 귀환 음 신호 d(k)에 근사시키기 위한 적응 필터 계수를 산출하는 것에 이상적인 것으로 되어, 적응 필터(92)의 계수 식별의(identification) 오차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적극적으로 적응 필터(92)의 갱신을 행함으로써, 모의 신호 do(k)를 정밀도 좋게 귀환 음 신호 d(k)에 근사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하울링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도 1 및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되는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에 대응한 가사 데이터 D2가 표시부(4)에 대하여 출력되지 않는 때에, 가창 음성 판정부(10)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지만, 제2 실시 형태에서는,이러한 경우에도,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가 소정 레벨을 넘는다면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창 음성 판정부(10)에는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가 공급된다. 가창 음성 판정부(10)는 이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의 신호 레벨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판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도면에 있어서는, 도 3에서 나타낸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되는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병기한다.
단계 S1에서, 출력되는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에 대응한 가사 데이터 D2가 표시부(4)에 대하여 출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N"), 가창 음성 판정부(10)는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신호 레벨이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S11에서 "Y"), 단계 S2에서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그 후는 도 3에 나타낸 처리와 마찬가지로 단계 S3 및 단계 S6이 실행된다. 한편, 신호 레벨이 임계값보다 크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S11에서 "N"), 단계 S4에서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다. 그 후는 도 3에 나타낸 처리와 마찬가지로 단계 S5 및 단계 S6이 실행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출력되는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에 대응한 가사 데이터 D2가 연주 처리부(5)로부터 표시부(4)에 출력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입력 신호 레벨이 임계값보다 클 때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다. 가창자 중에는 가사의 표시가 없더라도 가창을 하는 사람이 있고, 가창자의 주위의 시청자가 큰 소리로 소음을 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신호나 소음 소리의 음성 신호가 포함되고, 적응 필터(92)를 정밀도 좋게 적응시키기 위한 이상적인 상태가 아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소정의 임계값을 설정하여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가 그 임계값을 초과할 때,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이 상태는, 가창 음성 신호가 실제로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취급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 실시 형태에 비해 적응 필터(92)의 필터 계수의 식별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출력되는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에 대응한 가사 데이터 D2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만,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의 신호 레벨의 판단을 행하면 되기 때문에, 비교적 처리 부하가 작게,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이하의 변형예를 채용할 수 있다.
(1) 전술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사이즈만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가에 따라 그 값이 다르게 설정되지만, 스텝 사이즈 외에 망각 계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설정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망각 계수에 대해서도 크고 작은 두 값이 설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가창 음성 판정부(10)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가창 음성 판정부(10)에 의해서 큰 쪽의 값이 설정된다. 한편, 가창 음성 판정부(10)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작은 쪽의 값이 설정된다. 이 망각 계수가 크게 설정되는 경우, 갱신되는 필터 계수에 갱신전의 필터 계수 성분이 많이 반영되어, 소극적으로 적응 필터 계수의 갱신이 행해지게 된다.
(2) 전술한 실시 형태로서는 오디오 재생 처리부(8)에 출력되는 합성 오디오 신호 x(k)와 동일한 것이 지연부(91)에 출력되지만, 이것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형태들에서는, 연주 처리부(5)가 발생한 가라오케 반주 음 신호를 하울링 캔슬러(9)에 출력하고 있지만, 가산부(7)를 하울링 캔슬러(9)보다도 후방측(스피커(3)측)에 배치하여, 가라오케 반주 신호를 하울링 캔슬러(9)에 입력하지 않고 스피커(3)로부터 음을 생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3)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라오케 장치(1)가, 마이크로폰(2), 스피커(3) 및 표시부(4)를 외부 부착으로 부착하는 구성이지만, 이들을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가라오케 장치(1)에 적용하였지만 이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면, 오디오 기기나, AV 기기 등과 같이 오디오 신호를 내부 음원으로 발생하여 스피커에 입력하는 기능을 갖춘 확성장치로 있으면 좋다.
(4) 또한, 연주 처리부(5) 등의 내부 음원에서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는 가라오케곡 반주 음 신호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는 가창이나 악기의 연주음, 합창음의 음성 신호 등이어도 된다. 또한, 외부 음원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가창 음성 신호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이야기 소리, 악기(외부 음원에 대응)의 연주음이나 오디오 기기, AV 기기(외부 음원에 대응)로 발생한 사운드 등의, 마이크로폰(2)을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이면 된다. 이 경우에는, 가사 데이터가 표시부(4)에 출력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의 신호 레벨을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외부 음원으로부터 마이크로폰(2)에 입력된 오디오 신호가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포함되는지 판정한다.
(5)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에 가창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비해 스텝 사이즈를 크게 함과 동시에 망각 계수를 작게 함으로써 적응 필터(92)의 적응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지만, 이것으로만 한정되지는 않고, 적응 필터(92)의 갱신 간격을 빠르게 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6)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임계값을 넘는지(임계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지만, 그 대신 「마이크로폰 입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가 판정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음원 판정부에 의해서 외부 음원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적응 필터가 갱신된다. 여기서, 외부 음원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잔차 신호에는 외부 음원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지 않고 실질상 귀환 음 신호와 모의 신호와의 차분에 근접하기 때문에, 잔차 신호는 적응 필터를 정확하게 구성하기 위한 이상적인 상태로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적응 필터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한 이상적인 상태인지의 여부를 반영시켜 적응 필터 계수를 갱신할 수 있고, 적응 필터 계수는 적절하게 식별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하울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에 입력되지 않는 기간, 즉 적응 필터를 정확하게 구성하기에 이상적인 기간에는 적극적으로 적응 필터를 식별하고, 가창 음성 신호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되는 동안에는, 갱신 속도의 정도를 감소시킨다(스텝 사이즈의 값을 감소시킨다).

Claims (9)

  1. 오디오 신호의 귀환 전달계(feedback transmission path)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에 접속되는 확성 장치로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입력하는 확성 회로부와,
    상기 스피커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잔차 신호(residual signal)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귀환 전달계를 모의(simulate)하도록 필터 계수가 설정되는 적응 필터를 구비하여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적응 필터로 처리하여 모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모의 신호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잔차 신호를 상기 확성 회로부에 공급하는 하울링 캔슬러와,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피커에 입력하는 내부 음원과,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귀환한 오디오 신호 이외에 외부 음원으로부터 입력된 외부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해당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적응 필터의 필터 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음원 판정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필터는, 갱신 전의 필터 계수에 망각 계수(leakage factor)를 승산한 것과 수정량에 스텝 사이즈 파라미터를 승산한 것을 가산하여 필터 계수를 갱신하고,
    상기 음원 판정부는,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상기 외부 음원으로부터의 외부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상기 외부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스텝 사이즈 파라미터의 값을 크게 설정하는 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라오케 곡을 연주하는 연주 처리부를 내부 음원으로 이용하고, 상기 가라오케 곡에 맞춰 소리나는 가창음을 외부 음원으로 하는 가라오케 장치를 구성하는 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처리부는, 가라오케 곡의 진행에 맞춰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가사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음원 판정부는, 상기 연주 처리부가 가사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을 때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외부 음원으로서의 가창음 형태의 외부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판정부는, 상기 연주 처리부가 가사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 레벨을 넘을 때에는,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상기 가창음 형태의 외부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판정부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 레벨을 넘을 때에는,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외부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확성 장치.
  7. 오디오 신호의 귀환 전달계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에 접속되는 확성 장치에서 실행되는 하울링 캔슬 방법으로서,
    상기 확성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에 입력하는 확성 회로부와, 상기 스피커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잔차 신호(residual signal)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의 귀환 전달계를 모의하도록 필터 계수가 설정되는 적응 필터를 구비하여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적응 필터로 처리하여 모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모의 신호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지는 상기 잔차 신호를 상기 확성 회로부에 공급하는 하울링 캔슬러와,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피커에 입력하는 내부 음원과, 음원 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울링 캔슬 방법은 상기 음원 판정부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상기 스피커로부터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귀환한 오디오 신호 이외에 외부 음원으로부터 제공된 외부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적응 필터의 필터 계수의 갱신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울링 캔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성 장치는 가라오케 곡을 연주하는 연주 처리부를 내부 음원으로 이용하고, 상기 가라오케 곡에 맞춰 소리나는 가창음을 외부 음원으로 하는 가라오케 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연주 처리부가 가라오케 곡의 진행에 맞춰 가사를 표시하기 위한 가사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할 때,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상기 외부 음원으로부터의 가창음 형태의 외부 오디오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하울링 캔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단계는, 상기 연주 처리부가 가사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신호 레벨이 소정 레벨을 넘을 때에는,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가창음 형태의 외부 음성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하는 하울링 캔슬 방법.
KR1020060003600A 2005-01-12 2006-01-12 하울링 캔슬러를 구비한 확성 장치 KR100758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04983 2005-01-12
JP2005004983A JP4297055B2 (ja) 2005-01-12 2005-01-12 カラオ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435A KR20060082435A (ko) 2006-07-18
KR100758066B1 true KR100758066B1 (ko) 2007-09-11

Family

ID=3620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600A KR100758066B1 (ko) 2005-01-12 2006-01-12 하울링 캔슬러를 구비한 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97696B2 (ko)
EP (1) EP1681899B1 (ko)
JP (1) JP4297055B2 (ko)
KR (1) KR100758066B1 (ko)
DE (1) DE602005006720D1 (ko)
TW (1) TWI3175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1923A (ja) * 2007-04-10 2008-10-30 Yamaha Corp エコーキャンセル装置及びカラオケ装置
GB2449083B (en) 2007-05-09 2012-04-04 Wolfson Microelectronics Plc Cellular phone handset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WO2009028023A1 (ja) * 2007-08-24 2009-03-05 Fujitsu Limited エコー抑制装置、エコー抑制システム、エコー抑制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056805A (ja) * 2008-08-27 2010-03-11 Ari:Kk 拡声装置
TWI423686B (zh) * 2009-10-27 2014-01-11 Univ Nat Chiao Tung Parameter identification method and its optimization method for electret speaker simulation platform
US9280964B2 (en) * 2013-03-14 2016-03-08 Fishman Transducers, In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associated with sound
JP5588054B1 (ja) * 2013-09-06 2014-09-10 リオン株式会社 補聴器、拡声器及びハウリングキャンセラ
JP6948609B2 (ja) * 2018-03-30 2021-10-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騒音低減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7791A (ja) * 2003-03-12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コーキャンセル装置、エコーキャンセル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6925175B2 (en) * 2002-03-29 2005-08-02 Nms Communications Corporation Long-haul path length delay estimator and compensator for an echo cancell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7132A (en) * 1984-04-09 1988-05-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owling canceller
US4894820A (en) 1987-03-24 1990-01-16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Double-talk detection in an echo canceller
NL9002790A (nl) 1990-12-18 1992-07-16 Philips Nv Echocompensator met verbeterde dubbelspraak detectie.
US5442712A (en) * 1992-11-25 1995-08-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und amplifying apparatus with automatic howl-suppressing function
JP2538176B2 (ja) 1993-05-28 1996-09-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エコ―制御装置
JPH0832494A (ja) 1994-07-13 1996-02-02 Mitsubishi Electric Corp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US5535194A (en) 1994-07-14 1996-07-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cho canceling with double-talk immunity
JPH0833091A (ja) 1994-07-18 1996-02-02 Roland Corp ハウリング予知装置
JP2773656B2 (ja) * 1994-09-09 1998-07-09 ヤマハ株式会社 ハウリング防止装置
JPH08292782A (ja) 1995-04-21 1996-11-05 Taito Corp 曲の間や間奏中に音量を下げるカラオケ装置
JP2918025B2 (ja) * 1996-04-24 1999-07-12 日本電気株式会社 2線式音声会議装置
JP3414150B2 (ja) 1996-09-03 2003-06-09 ヤマハ株式会社 コーラス効果付与装置
US5692055A (en) * 1996-09-24 1997-11-2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ctive noise-suppressiv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3358463B2 (ja) 1996-10-03 2002-12-16 ヤマハ株式会社 拡声装置
JPH10257583A (ja) * 1997-03-06 1998-09-25 Asahi Chem Ind Co Ltd 音声処理装置およびその音声処理方法
JP3361724B2 (ja) * 1997-06-11 2003-01-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エコーキャンセラ装置
JP3516227B2 (ja) 1997-11-10 2004-04-05 ヤマハ株式会社 ハウリング抑止装置
US6434247B1 (en) * 1999-07-30 2002-08-13 Gn Resound A/S Feedback cancellation apparatus and methods utilizing adaptive reference filter mechanisms
US20020041678A1 (en) * 2000-08-18 2002-04-11 Filiz Basburg-Er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echo cancellation and noise reduction for fixed subscriber terminals
JP4681163B2 (ja) * 2001-07-16 2011-05-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ハウリング検出抑圧装置、これを備えた音響装置、及び、ハウリング検出抑圧方法
TW549781U (en) 2002-08-22 2003-08-21 You-Fen Hu Hand-free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the feedback yell and background ech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5175B2 (en) * 2002-03-29 2005-08-02 Nms Communications Corporation Long-haul path length delay estimator and compensator for an echo canceller
JP2004297791A (ja) * 2003-03-12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コーキャンセル装置、エコーキャンセル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72272A1 (en) 2006-08-03
DE602005006720D1 (de) 2008-06-26
JP2006197076A (ja) 2006-07-27
EP1681899A1 (en) 2006-07-19
EP1681899B1 (en) 2008-05-14
KR20060082435A (ko) 2006-07-18
TW200703890A (en) 2007-01-16
US7697696B2 (en) 2010-04-13
JP4297055B2 (ja) 2009-07-15
TWI317574B (en) 200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066B1 (ko) 하울링 캔슬러를 구비한 확성 장치
US8204241B2 (en) Sound outputting apparatus, sound outputting method, sound output processing program and sound outputting system
WO2009107227A1 (ja) 音響信号処理装置及び音響信号処理方法
CN100525101C (zh) 使用波束形成算法来记录信号的方法和设备
EP2410763A1 (en) Howling canceller
JP2504203B2 (ja) 楽音合成装置
US8259961B2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01230645A (ja) オーディオ用適応イコライザ及びフィルタ係数の決定方法
JP4400485B2 (ja) 適応型音場支援装置
JP5217875B2 (ja) 音場支援装置、音場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08505A (ko) 사용자 개개인의 청력에 맞추어 오디오 기기의 음질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8113686A (ja) 音声信号の周波数を歪ませるための方法
JP2006074409A (ja) 音声出力装置
WO2022071188A1 (ja) 音響処理方法および音響処理システム
JPH10228283A (ja) 楽音合成装置
JP3585647B2 (ja) 効果装置
JP2017173677A (ja) カラオケ装置
JP3534572B2 (ja) 音場制御装置
JP4600105B2 (ja) ハウリングキャンセラ
JP3931901B2 (ja) 音声変換装置
KR20220128780A (ko) 출력 음량을 제어하는 음성 인식 장치, 음성 인식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0056805A (ja) 拡声装置
JP4929134B2 (ja) スピーカ装置及び制御方法
JP5118517B2 (ja) 音場空間制御システム
JP2012244336A (ja)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および音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