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216B1 -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 Google Patents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216B1
KR100755216B1 KR1020060095673A KR20060095673A KR100755216B1 KR 100755216 B1 KR100755216 B1 KR 100755216B1 KR 1020060095673 A KR1020060095673 A KR 1020060095673A KR 20060095673 A KR20060095673 A KR 20060095673A KR 100755216 B1 KR100755216 B1 KR 100755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rical member
fixed shaft
cylindrical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393A (ko
Inventor
다카시 나카조
무네노리 야마구치
야스마사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7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9/00Machines or devices for sawing with straight reciprocating saw blades, e.g. hacksaws
    • B23D49/10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ith straight saw blades
    • B23D49/16Hand-held or hand-operated sawing devices with straight saw blades actuated by electric or magnetic power or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9/00Other reciprocating saws with power drive; Fret-saws
    • B27B19/02Saws with a power- driven blade chucked at both ends or at one end only, e.g. jig saws, scroll saws
    • B27B19/04Saws with a power- driven blade chucked at both ends or at one end only, e.g. jig saws, scroll saws characterised by power drive, e.g. by electromagnet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Abstract

(과제)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에 있어서, 선단에 유지된 공구에 횡 하중이 가해져도 원활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하우징 (12) 내에서 그 하우징의 후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샤프트 (14) 와, 고정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통 형상의 제 1 피스톤 (18) 과, 제 1 피스톤의 전단측에 설치된 제 2 피스톤 (20) 과, 제 2 피스톤에 구동 연결된 공구 유지 부재 (22) 와, 고정 샤프트를 통과하고, 제 1 및 제 2 피스톤간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로를 갖는다. 제 1 피스톤 (18) 이, 고정 샤프트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걸어맞춰진 내주면을 갖는 제 1 통 형상 부재 (18a) 와, 제 1 통 형상 부재와 그 축선 방향에서 정합되고, 제 2 피스톤과 슬라이딩 걸어맞춰져 있는 제 2 통 형상 부재 (18b) 와, 제 1 및 제 2 통 형상 부재 사이에 설정되고, 그들 사이의 밀봉을 도모하는 O 링을 갖는다.

Description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PNEUMATIC RECIPROCATING TOOL}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왕복운동 공구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된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의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종단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12: 하우징
14: 고정 샤프트 18: 제 1 피스톤
18a: 제 1 통 형상 부재 18b: 제 2 통 형상 부재
18c: O 링 18a-1: 제 1 환상면
18b-1: 제 2 환상면 20: 제 2 피스톤
20a (통 형상 부분): 통 형상벽 20b (제 2 실시 형태): 배기구
20b-1∼20b-4 : 제 1 내지 제 4 배기구 22: 공구 유지 부재
24: 제 1 탄성지지 수단(코일 스프링)
26: 제 2 탄성지지 수단(코일 스프링)
28: 후단 부재 30: 압축 공기 도입로
32: 압축 공기 공급로 34: 밸브체
36: 압축 스프링 38: 밸브 개폐 조작부
40: 하우징 내부 공간 42: 배기 통로
44: 배기구 폐지 부재 46: 관통 긴 구멍
50: 연결핀 52: 조절 슬리브
53: 환상홈 55: O 링
59: 쿠션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05514
본 발명은, 압축 공기에 의해 구동하도록 한 휴대식 톱 등의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는, 다양한 구조의 것이 개발되어 오고 있지만, 그 일례로서는, 통 형상의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후단에서부터 당해 하우징의 축선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샤프트와, 그 고정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제 1 피스톤과, 그 제 1 피스톤의 전단측에 설치되고, 제 1 피스톤을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오목부를 갖는 제 2 피스톤과, 그 제 2 피스톤에 구동 연결된 공구 유지 부재를 가지고, 고정 샤프트의 그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압축 공기 공급로를 통하여 압축 공기를 제 1 및 제 2 피스톤간에 공급하여 양 피스톤을 구동시키도록 한 공구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왕복운동 공구에서는, 고정 샤프트에 대한 제 1 피스톤의 슬라이딩 걸어맞춤 및, 그 제 1 피스톤에 대한 제 2 피스톤의 슬라이딩 걸어맞춤에 의해, 고정 샤프트에 대한 이들의 조심(調芯) 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예를 들어, 선단에 유지된 공구가 톱인 경우에는, 고정 샤프트의 축선에 대해서 직각 방향에서의 횡 하중이 톱을 통해 제 2 피스톤, 제 1 피스톤 및, 고정 샤프트에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공구에서는, 이 횡 하중에 의해, 제 1 피스톤과 제 2 피스톤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이나 제 1 피스톤과 고정 샤프트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이 과대해져, 이들 엘리먼트간에서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실시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선단에 유지되는 공구에 횡 하중이 가해져도, 제 1 및 제 2 피스톤, 그리고, 고정 샤프트의 각각의 사이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통 형상의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후단측으로부터 그 하우징 내를 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샤프트와, 그 고정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해진 통 형상의 제 1 피스톤과, 그 제 1 피스톤의 전단(前端) 측에 그 고정 샤프트의 축선 방향에서 그 제 1 피스톤에 정합하여 설치된 제 2 피스톤과, 그 제 2 피스톤에 구동 연결되고, 그 하우징의 전단측에서 공구를 유지하는 공구 유지 부재와, 그 제 1 피스톤을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1 탄성지지 수단과, 그 제 2 피스톤을 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2 탄성지지 수단과, 그 고정 샤프트를 통과하고, 그 제 1 및 제 2 피스톤간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로를 가지고, 그 제 1 및 제 2 피스톤이, 그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춰지고, 그들 사이에 공급된 압축 공기에 의해, 각각, 그 제 1 및 제 2 탄성지지 수단에 저항하여, 후방 및 전방으로 구동되고, 제 1 및 제 2 피스톤이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시점에서, 그 제 1 및 제 2 피스톤간에 공급된 압축 공기를 그 하우징의 외부로 배기하도록 배치된 배기 통로를 가지고, 그 제 1 피스톤이, 그 고정 샤프트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걸어맞춤하는 내주면을 갖는 제 1 통 형상 부재와, 그 제 1 통 형상 부재에 대해서 그 제 2 피스톤측에 배치되고, 그 제 1 통 형상 부재와 그 축선 방향에서 정합되며, 그 고정 샤프트에 대해서 그 반경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설정된 제 2 통 형상 부재를 가지고, 그 제 1 및 제 2 피스톤의 그 축선 방향에서의 슬라이딩 걸어맞춤이, 그 제 1 피스톤의 그 제 2 통 형상 부재와 그 제 2 피스톤 사이에서 실시되도록 되어 있고, 그 제 1 탄성지지 수단은, 제 1 통 형상 부재를, 그리고, 그 제 1 통 형상 부재를 통하여 제 2 통 형상 부재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도록 되고, 그 압축 공기는 그 제 2 통 형상 부재를, 그리고, 그 제 2 통 형상 부재를 통하여 제 1 통 형상 부재를 후방으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 왕복 운동 공구를 제공한다.
즉, 이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에 있어서는, 제 1 피스톤의 그 고정 샤프트의 축선에 대한 슬라이딩 부분에서의 조심을 그 제 1 통 형상 부재의 내주면과 고정 샤프트의 외주면의 슬라이딩 걸어맞춤에 의해 유지하게 되므로, 제 2 피스톤에 횡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도, 제 1 피스톤의 제 2 통 형상 부재는, 그 횡 하중에 대응하여 제 2 피스톤과 함께 경사져 그들 사이의 원활한 슬라이딩은 유지됨과 함께, 그들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피스톤의 제 1 통 형상 부재는, 횡 하중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정 샤프트와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개의 구체예에서는, 그 제 1 및 제 2 통 형상 부재 사이에 설정되고, 그들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링을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그 제 1 및 제 2 통 형상 부재는, 그 축선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환상면을 각각 가지고, 그 밀봉링이 그 제 1 및 제 2 환상면 사이에 협착되도록 한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제 1 피스톤에서의 제 1 통 형상 부재의 전방 부분과 제 2 통 형상 부재의 후방 부분이 그 축선 방향에서 끼워맞춰지도록 하고, 그 밀봉링이, 끼워맞춰져서 서로 반경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는 그 전방 부분과 그 후방 부분의 둘레면 사이에 협착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제 1 피스톤의 그 제 2 통 형상 부재가 그 제 1 통 형상 부재의 내주면보다 큰 직경의 내주면을 가지고, 그 고정 샤프트의 주위에 그 고정 샤프트와 동심상(同芯狀) 으로 하여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통 형상 부재의 내경을 크게 함으로써, 횡 하중이 가해졌 을 경우에, 그 제 2 통 형상 부재와 제 2 피스톤이 함께 경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양태로는, 그 제 1 피스톤의 그 제 2 통 형상 부재가 고정 샤프트의 전단 위치에서부터 또는 그 전단 위치보다 전방의 위치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2 통 형상 부재를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그 제 2 통 형상 부재의 고정 샤프트에 대한 끼워맞춤은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그 제 2 통 형상 부재가 경사져도 고정 샤프트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을 톱에 적용했을 경우의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10) 는, 통 형상의 하우징 (12) 과, 그 하우징의 후단에서부터 당해 하우징의 축선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샤프트 (14) 와, 그 고정 샤프트 (14) 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통 형상의 제 1 피스톤 (18) 과, 그 제 1 피스톤의 전단측에 설치된 제 2 피스톤 (20) 과, 그 제 2 피스톤 (20) 에 연결되고, 그 하우징 (12) 의 전단을 삽입 통과하여 축선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단에 공구 (도시 생략) 를 유지하는 공구 유지 부재 (22) 를 갖는다.
제 1 피스톤 (18) 은, 고정 샤프트 (14) 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걸어맞춤하는 내주면을 갖는 제 1 통 형상 부재 (18a) 와, 그 제 1 통 형상 부재와 그 축선 방향 에서 정합되고, 도 2 에 명료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통 형상 부재 (18a) 의 내주면보다 직경이 크고, 고정 샤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간격을 두어 형성된 내주면을 갖는 제 2 통 형상 부재 (18b) 와, 제 1 및 제 2 통 형상 부재 (18a, 18b) 사이에 형성되고, 그들 사이의 밀봉을 도모하는 O 링 (18c) 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O 링 (18c) 은, 그 축선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통 형상 부재 (18a, 18b) 의 제 1 및 제 2 환상면 (18a-1, 18b-1) 사이에 협착되어 있다. 그 제 1 피스톤 (18) 은, 제 1 탄성지지 수단 (코일 스프링 ; 24) 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있고, 제 2 피스톤 (20) 은 제 2 탄성지지 수단 (코일 스프링 ; 26) 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지지되며, 도 1 에 나타내는 압축 공기가 도입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피스톤 (18, 20) 은, 이들 제 1 및 제 2 탄성지지 수단에 의해 서로 가까워진 상태가 된다.
고정 샤프트 (14) 는, 하우징 (12) 의 후단을 폐지하고 있는 후단 부재 (28) 에 고정되어 있고, 그 후단 부재 (28) 내를 연장하여, 도시하지 않는 컴프레서에 연통되어 있는 압축 공기 도입로 (30) 로부터 압축 공기를 받아들이고, 제 1 및 제 2 피스톤 (18, 20) 간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로 (32) 를 가지고 있다. 압축 공기 공급로 (32) 내에는 볼상의 밸브체 (34) 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압축 공기 공급로 (32) 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도 1) 와 그 개방 위치보다 그 하우징의 전단측에서 당해 압축 공기 공급로 (32) 의 전단 부분에 밀봉 걸어맞춰 그 압축 공기 공급로 (32) 를 폐쇄하는 폐지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밸브체 (34) 는 압축 공기 공급로 (32) 내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 (36) 에 의해, 폐지 위치 를 향해 탄성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그 제 2 피스톤 (20) 에 고정된 공구 유지 부재 (22) 는, 그 후단이 압축 공기 공급로 (32) 에 정합되고 제 2 피스톤 (20)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피스톤 (18, 20) 의 움직임에 따라 밸브체 (34) 의 개폐를 조작하는 밸브 개폐 조작부 (38) 로 되어 있다.
제 2 피스톤 (20) 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통 형상벽 (20a) 를 가지고 있고, 제 1 피스톤 (18) 의 제 2 통 형상 부재 (18b) 가 삽입되어, 그 통 형상벽 (20a) 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걸어맞춰져 있다. 그 통 형상벽 (20a) 에는 직경 방향에서 관통하는 제 1 내지 제 4 배기구 (20b-1∼20b-4) 가 서로 축선 방향에서 간격을 두어 형성되어 있다. 압축 공기 공급로 (32) 를 통해, 제 1 및 제 2 피스톤 (18, 20) 사이에 압축 공기가 공급되면, 그 제 1 및 제 2 피스톤 (18, 20) 은, 각각, 그 제 1 및 제 2 탄성지지 수단 (24, 26) 에 저항하여, 후방 및 전방으로 구동되지만, 그 구동이 진행됨에 따라 제 1 배기구 (20b-1) 에서부터 제 2, 제 3, 제 4 배기구 (20b-2∼20b-4) 로 순서대로 제 1 및 제 2 피스톤 (18, 20) 간의 공간에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 (12) 의 내주면과, 제 2 피스톤 (20) 의 외주면 사이에는, 통 형상의 배기구 폐지 부재 (44) 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12) 의 축선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배기구 폐지 부재 (44) 에는 연결핀 (50) 이 고정되어 있고, 그 연결핀 (50) 은, 하우징 (12) 에 그 축선 방향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통 긴 구멍 (46) 을 관통하여 하우징 (12) 의 외주면 상에 부착된 통 형상의 조절 부재 (52) 의 환상홈 (53) 에 슬라이딩 걸어맞춰져 있다. 그 조절 부 재 (52) 는, 하우징 (12) 의 외주면 상에 나사 걸어맞춰져 있고, 그 하우징 (12) 상에서 나선 회전함으로써, 연결핀 (50) 을 통하여 배기구 폐지 부재 (44) 를 하우징 (12) 의 축선 방향에서 변위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배기구 폐지 부재 (44) 는, 압축 공기에 의해 제 1 및 제 2 피스톤 (18, 20) 이 구동될 때에, 제 2 피스톤 (20) 이 전방으로 구동됨에 따라 배기구 (20b-1∼20b-4) 를 순서대로 폐지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그 배기구 폐지 부재 (44) 의 축선 방향에서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 1 및 제 2 피스톤 (18, 20) 간의 공간으로부터 압축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구를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배기구 폐지 부재 (44) 를 좌측 위치에 설정할수록, 제 1 내지 제 4 배기구 (20b-1∼20b-4) 의, 보다 좌측의 배기구를 통해 압축 공기의 배기가 실시되게 되고, 따라서, 그 압축 공기에 의한 구동이 빨리 종료되어, 구동 스트로크 길이가 짧아진다.
또한, 배기구로부터 배기된 압축 공기는, 하우징 (12) 과 고정 샤프트 (14) 사이의 내부 공간 (40) 및 후단 부재 (28) 에 형성되어 있는 배기 통로 (42) 를 통하여 하우징 (12) 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10) 에 있어서는, 선단에 부착되는 공구, 예를 들어, 톱을 피가공물에 가압하여 횡 하중이 가해졌다고 해도, 고정 샤프트 (14) 와 슬라이딩 걸어맞추고 있는 제 1 피스톤 (18) 의 제 1 통 형상 부재 (18a) 에는 그 횡 하중이 가해지지 않고, 따라서 그 제 1 통 형상 부재 (18a) 의 고정 샤프트 (14) 상에서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유지됨과 함께, 제 1 피스톤 (18) 의 제 2 통 형상 부재 (18b) 는 제 2 피스톤 (20) 과 함께 횡 하중에 따라 모두 경사지게 되므 로, 그들 사이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유지된다.
또한, 도 1 및 도 2 에서, 참조 번호 55 는 O 링, 참조 번호 44a 는 배기구 폐지 부재 (44) 의 덜커덕거림을 막기 위한 탄성지지 수단 (코일 스프링), 참조 번호 57 은 후단 부재 (28) 상에서 축선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고, 압축 공기 도입로 (30) 의 개폐를 실시하기 위한 개폐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관련된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의 다른 실시 형태의 주요부가 나타나 있다.
이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10) 에 있어서는, 제 1 피스톤 (18) 에서의 제 1 통 형상 부재 (18a) 의 전방 부분과 제 2 통 형상 부재 (18b) 의 후방 부분이 그 축선 방향에서 끼워맞춰져 있고, 그 O 링 (18c) 이, 끼워맞춰져 서로 반경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는 그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의 둘레면 사이 (18a-2, 18b-2) 에 협착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기술한 제 1 의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도 4 에는, 본 발명에 관련된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의 또 다른 실시 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10) 에 있어서는, 제 1 피스톤 (18) 의 제 2 통 형상 부재 (18b) 가 고정 샤프트 (14) 의 전단 부근에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왕복운동 공구에서는, 제 1 피스톤 (18) 의 제 2 통 형상 부재 (18b) 가 고정 샤프트 (14) 에 대해서 상기와 같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그 제 2 통 형상 부 재의 고정 샤프트에 대한 끼워맞춤은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횡 하중에 의해 제 2 피스톤 (20) 이 경사지고, 그에 따라 그 제 2 통 형상 부재 (18b) 가 경사진다고 해도, 고정 샤프트 (14) 와의 간섭은 발생하지 않는다. 제 1 의 실시 형태의 것과 비교하여, 피스톤 (20) 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점 및, 배기구 (20b) 가 하나뿐이고, 따라서, 배기구 폐지 부재 (44) 가 없는 점, 또한 볼 형상의 밸브체 (34) 가 없는 점, 제 2 피스톤과 제 1 피스톤 사이에 쿠션 (59) 이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단에 부착된 공구에 횡 하중이 가해져도, 고정 샤프트와 슬라이딩 걸어맞춰져 있는 제 1 피스톤의 제 1 통 형상 부재에는 그 횡 하중이 가해지지 않고, 따라서 그 제 1 통 형상 부재의 고정 샤프트 상에서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유지됨과 함께, 제 1 피스톤의 제 2 통 형상 부재는 제 2 피스톤과 함께 횡 하중 에 따라 함께 경사지게 되므로, 그들 사이의 원활한 슬라이딩이 유지된다.

Claims (6)

  1.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고정 샤프트와,
    상기 고정 샤프트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통 형상의 제 1 피스톤과,
    상기 제 1 피스톤의 전단측에 상기 고정 샤프트의 축선 방향에서 상기 제 1 피스톤에 정합하여 설치된 제 2 피스톤과,
    상기 제 2 피스톤에 구동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단측에 있어서 공구를 유지하는 공구 유지 부재와,
    상기 제 1 피스톤을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1 탄성지지 수단과,
    상기 제 2 피스톤을 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제 2 탄성지지 수단과,
    상기 고정 샤프트를 통과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간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로를 가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이, 상기 축선 방향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춰지고, 그들의 사이에 공급된 압축 공기에 의해,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지지 수단에 저항하여, 후방 및 전방으로 구동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이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시점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간에 공급된 압축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기하도록 배치된 배기 통로를 가지고,
    상기 제 1 피스톤이, 상기 고정 샤프트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걸어맞춤하는 내주면을 갖는 제 1 통 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에 대해서 상기 제 2 피스톤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와 상기 축선 방향에서 정합되며, 상기 고정 샤프트에 대해서 그 반경 방향에서 변위 가능하게 설정된 제 2 통 형상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피스톤의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슬라이딩 걸어맞춤이, 상기 제 1 피스톤의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피스톤 사이에서 실시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1 탄성지지 수단은, 제 1 통 형상 부재를, 그리고,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를 통하여 제 2 통 형상 부재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압축 공기는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그리고,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를 통하여 제 1 통 형상 부재를 후방으로 구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 형상 부재의 사이에 설정되고, 그들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 형상 부재는, 상기 축선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환상면을 각각 가지고, 상기 밀봉링이 상기 제 1 및 제 2 환상면 사이에 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톤에서의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의 전방 부분과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의 후방 부분이 상기 축선 방향에서 끼워맞춰져 있고, 상기 밀봉링이, 끼워맞춰져서 서로 반경 방향에서 대향하고 있는 상기 전방 부분과 상기 후방 부분의 둘레면 사이에 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톤의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가 상기 제 1 통 형상 부재의 내주면보다 큰 직경의 내주면을 가지고, 상기 고정 샤프트의 주위에 상기 고정 샤프트와 동심상으로 하여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스톤의 상기 제 2 통 형상 부재가 고정 샤프트의 전단 위치로부터 또는 상기 전단 위치보다 전방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는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KR1020060095673A 2005-09-30 2006-09-29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KR100755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87573A JP4551302B2 (ja) 2005-09-30 2005-09-30 空気圧式往復動工具。
JPJP-P-2005-00287573 2005-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393A KR20070037393A (ko) 2007-04-04
KR100755216B1 true KR100755216B1 (ko) 2007-09-04

Family

ID=38025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673A KR100755216B1 (ko) 2005-09-30 2006-09-29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51302B2 (ko)
KR (1) KR100755216B1 (ko)
CN (1) CN100475458C (ko)
TW (1) TW2007266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33386B2 (ja) 2014-12-25 2019-06-19 日東工器株式会社 エア工具
DE112018001806T5 (de) * 2017-03-29 2020-02-13 Nitto Kohki Co., Ltd. Druckluftbetriebener meiss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2557A (ko) * 1989-12-26 1991-08-08 킹 케이. 컬프 공압식 동력 밸브 작동기
KR200233200Y1 (ko) 2001-03-08 2001-10-06 송완근 배부식 엔진을 이용한 말뚝박기용 타격망치
JP2005205514A (ja) * 2004-01-21 2005-08-04 Nitto Kohki Co Ltd 空気圧式往復動工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16901C (sv) * 1979-03-30 1985-03-10 Atlas Copco Ab Pneumatisk slagmekanism
JPS5837537Y2 (ja) * 1979-12-28 1983-08-24 室本鉄工株式会社 金切鋸等の気動工具
JPS60106701U (ja) * 1983-12-24 1985-07-20 日東工器株式会社 のこぎり機
JPH0744302Y2 (ja) * 1990-09-04 1995-10-11 花園工具株式会社 気動工具
DE19746447C2 (de) * 1997-10-21 2002-11-07 Biax Maschinen Gmbh Steckborn Handwerkzeug mit einem Linear-Schwingantrieb
US6065216A (en) * 1999-02-01 2000-05-23 S.P. Air Kabusiki Kaisha Reciprocating pneumatic saw
CN2496607Y (zh) * 2001-08-07 2002-06-26 黄幸滋 往复式气动工具结构
JP2003083306A (ja) * 2001-09-10 2003-03-19 Kuken:Kk エアーソ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2557A (ko) * 1989-12-26 1991-08-08 킹 케이. 컬프 공압식 동력 밸브 작동기
KR200233200Y1 (ko) 2001-03-08 2001-10-06 송완근 배부식 엔진을 이용한 말뚝박기용 타격망치
JP2005205514A (ja) * 2004-01-21 2005-08-04 Nitto Kohki Co Ltd 空気圧式往復動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0242A (zh) 2007-05-30
JP4551302B2 (ja) 2010-09-29
TWI324099B (ko) 2010-05-01
KR20070037393A (ko) 2007-04-04
CN100475458C (zh) 2009-04-08
TW200726604A (en) 2007-07-16
JP2007098478A (ja)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1923B2 (ja) 空気圧式駆動工具
CN1099932C (zh) 带直线振动驱动装置的手工工具
KR100755216B1 (ko) 공기압식 왕복운동 공구
EP2012977B1 (en) Pneumatically operable fastener-driving tool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6490962B1 (en) Hydraulic tool with an OC/CC selector
US10006474B2 (en) Flow passage unit and switching valve
JP2007302232A (ja) 油圧式動力補助操向装置のシーリング部構造
US7370570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JP4564456B2 (ja) 空気圧式往復動工具。
US6036416A (en) Apparatus for driving a cutter holder in a machining tool
JP4828200B2 (ja) 空気圧式駆動工具。
JP6106493B2 (ja) シャトル弁及びそれを備えたポンプユニット
JP2005169563A (ja) クランプ装置
TW200505641A (en) Driving tool having piston and driver blade
JP5006301B2 (ja) 流体圧シリンダ
WO2004072487A1 (en) Control valve for a pneumatic cylinder
AU2003201236A1 (en) Spool valve
JPS62129579A (ja) 高圧プランジヤポンプ
KR200364147Y1 (ko) 유압 실린더의 실 구조
CN112780822A (zh) 电磁切换阀
EP1798422A3 (de) Sensoreinrichtung für ein Kolben-Zylinderaggregat
JPH0942225A (ja) 尺取虫型アクチュエータ
JP2001271807A (ja) 流体圧シリンダ
ES1036317U (es) Valvula hidraul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