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653B1 - 관이음 - Google Patents

관이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653B1
KR100753653B1 KR1020050105329A KR20050105329A KR100753653B1 KR 100753653 B1 KR100753653 B1 KR 100753653B1 KR 1020050105329 A KR1020050105329 A KR 1020050105329A KR 20050105329 A KR20050105329 A KR 20050105329A KR 100753653 B1 KR100753653 B1 KR 10075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lamp ring
slit
piece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5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806A (ko
Inventor
히로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Self-locking elastic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7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hose being introduced into or onto the connecting member and automatically lock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파이프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관이음을 제공한다.
피접속용 파이프(1)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3)를 갖는 이음 본체(2)와, 삽입 통부(3)의 외측으로 끼워진 파이프(1)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51) 있는 클램프 링(5)과, 클램프 링(5)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클램프 링(5)을 직경 확장하도록 슬릿(51)에 외경 방향으로 튕겨져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6, 擴怪片) 및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클램프 링(5)의 외측으로 삽입되는 규제 슬리브(10A)를 구비한다. 파이프(1)가 소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온 것을 감지하여 상기 규제를 해제하는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K)을 구비한다.
관이음, 확경편, 파이프, 삽입 통부, 이음 본체,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 슬릿.

Description

관이음{PIPE JOI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간략한 단면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X-X 단면도이고,
도 3a는 확경편에 작용하는 힘의 설명도이고,
도 3b는 힘의 합력을 나타낸 벡터도이고,
도 4는 요부(要部) 확대 단면 정면도이고,
도 5는 설명용 요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6은 설명용 요부 사시도이고,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설명도이고,
도 8은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 정면도이고,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작용 설명도이고,
도 10은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한 단면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P-P 단면도이고,
도 12는 설명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S-S 단면도이고,
도 14는 설명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T-T 단면도이고,
도 16은 설명도이고,
도 17은 설명도이고,
도 18은 제3 실시 형태의 작용 설명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Q-Q 단면도이고,
도 20은 제3 실시 형태의 작용 설명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R-R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피접속용) 파이프 1b : 선단부
1c : 외주면 2 : 이음 본체
3 : 삽입 통부 5 : 클램프 링
6 : 확경편 10A : 규제 슬리브
10B : 규제 슬리브 17 : 내주면
18 : 릴리프용 오목부 19 : 수 걸어맞춤부(걸음 볼록부)
20 : 회전 방지 링 21 : 단면
24 : 암 걸어맞춤부(피 걸음 오목부) 51 : 슬릿
E : 축심 내방향 F : 힘
K, K' :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
본 발명은 관이음에 관한 것이다.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급수나 급탕용 등의 파이프를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은, 종래의,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를 갖는 이음 본체와, 삽입 통부의 외측으로 끼워진 파이프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 있는 클램프 링, 및 클램프 링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걸고리체(締付環體)를 직경 확장하도록 상기 슬릿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됨과 동시에 파이프의 삽입시에 이탈되는 확경편을 구비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관이음에서는, 파이프가 비스듬히 절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맨끝 부분이 확경편에 조금 빨리 닿게 되어 확경편이 튕겨나가 버리므로, 파이프의 삽입이 불충분한 불량 공사가 행해질 우려가 있었다. 또는, 확경편을 클램프 링의 축심 방향 내단부에 끼워 지지시키므로, 파이프의 삽입 깊이가 과도하게 작아져 파이프의 인발 저항력이 감소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없었다. 또한 확경편을 클램프 링의 축심 방향 내단부에 끼워 지지시키므로 (파이프가 삽입되는) 축심 방향 외단부의 내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클램프 링의 직경이 확장되어 파이프의 선단부를 삽입하기가 어려워지거나, 혹은 미리 클램프 링을 약간 굵게 확경시켜 둘 필요가 있으므로, 확경편의 끼움 지지 작업(끼워 넣기 작업)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2-31282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파이프의 삽입공사의 미스가 발생하기 쉬운 점, 용 이하게 파이프를 접속할 수 없는 점 및 파이프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없는 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관이음은, 피접속용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를 갖는 이음 본체와, 상기 삽입 통부의 외측으로 끼워진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 있는 클램프 링과, 이 클램프 링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이 클램프 링을 직경 확장하도록 상기 슬릿에 외경 방향으로 튕겨져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 및 이 확경편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클램프 링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규제 슬리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가 소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온 것을 감지하여 상기 규제를 해제 또는 해제 가능으로 하는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피접속용 파이프(1)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를 갖는 이음 본체와, 상기 삽입 통부의 외측으로 끼워진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 있는 클램프 링과, 이 클램프 링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이 클램프 링을 직경 확장하도록 상기 슬릿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 및 이 확경편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클램프 링의 외측으로 끼워져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의 선단부에 맞닿아 축심 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확경편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허용하는 규제 슬리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클램프 링의 슬릿을 형성하는 개구 양 단면이 축심 방향에서 보아 외 경 방향으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단면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상기 확경편이 외경 방향으로 튕김 동작을 일으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확경편을 클램프 링의 슬릿의 축심 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 끼워 지지시킨 것이다.
또한, 피접속용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를 갖는 이음 본체와, 상기 삽입 통부의 외측으로 끼워진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 있는 클램프 링과, 이 클램프 링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이 클램프 링을 직경 확장하도록 상기 슬릿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 및 이 확경편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상기 클램프 링의 외측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내주면의 일부에 상기 튕김 동작을 허용하는 릴리프용 오목부를 갖는 수동 회전 가능한 규제 슬리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피접속용 파이프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를 갖는 이음 본체와, 상기 삽입 통부의 외측으로 끼워진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 있는 클램프 링과, 이 클램프 링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이 클램프 링을 직경 확장하도록 상기 슬릿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 및 이 확경편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상기 클램프 링의 외측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내주면의 일부에 상기 튕김 동작을 허용하는 릴리프용 오목부를 갖는 수동 회전 가능한 규제 슬리브(10B)를 구비하고, 더욱이 파이프 미삽입 상태에서는 상기 클램프 링과 상기 규제 슬리브의 일체형 회전을 허용하고, 파이프가 삽입되어 오면 상기 클램프 링의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규제 슬리브에만 수동 회전을 허용하 는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또한,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은 상기 규제 슬리브의 내부로서, 상기 클램프 링보다 축심 방향 안쪽에 설치되어, 삽입되어 오는 피접속용 파이프의 선단부의 외주면과 소정의 회전 방향 저항력을 가지고 끼워지는 회전 방지 링 및 이 회전 방지 링과 상기 클램프 링을 상대 회전 불가능한 형상으로 서로 걸어맞춤하는 암수 걸어맞춤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클램프 링의 슬릿을 형성하는 개구 양 단면이 축심 방향에서 보아 외경 방향으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단면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상기 확경편이 외경 방향으로 튕김 동작을 일으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확경편을 클램프 링의 슬릿의 축심 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 끼워 지지시킨 것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며, 이 관이음은 합성 수지제 피접속용 파이프(1)의 단부(1a)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3)를 갖는 금속제 이음 본체(2)와, 삽입 통부(3)의 외측으로 끼워진 파이프(1)의 단부(1a)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51) 있는 클램프 링(5)을 구비한다. 클램프 링(5)은 금속제로서, 예를 들어 스프링 강으로 이루어진다. 삽입 통부(3)의 외주면(3a)에는 파이프(1)를 빠짐 방지 상태로 걸음하기 위한 복수 단의 원주형상 테이퍼를 갖는 죽순 모양의 빠짐 방지 걸음부(15)가 형성되어 있다.
6은 클램프 링(5)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클램프 링(5)을 직경 확장하도록 슬 릿(51)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점퍼 핀)을 나타낸다. 확경편(6)은 금속제로서, 예를 들어 고강성의 강재로 이루어진다. 10A는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클램프 링(5)의 외측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삽입되는 파이프(1)의 선단부(1b)에 맞닿아 축심 내방향(E)으로 슬라이딩하여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허용하는 규제 슬리브를 나타낸다. 규제 슬리브(10A)는 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규제 슬리브(10A)는 원통 벽부(10a)와 축심 직교 방향의 직교 벽부(10b)로 이루어진다.
즉, 파이프(1)가 소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온 것을 감지하여, 상기 규제를 해제하는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K)을 구비한다.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K)은 직교 벽부(10b)로 이루어진다.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 링(5)의 슬릿(51)을 형성하는 개구 양 단면(21, 21)이 축심 방향에서 보아 외경 방향으로 확대되는 형상(구배면)으로 형성되고, 단면(21, 21)으로부터 받는 힘(F)에 의해 확경편(6)이 외경 방향으로 튕김 동작을 일으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 단면(21)은 축심 방향에서 보아 상방으로부터 10°<α<60°를 만족시키는 각도(α)만큼 경사져 있다. 각도(α)가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 확경편(6)이 클램프 링(5)의 단면(21, 21)으로부터 적절한 힘(F)을 받는다. 그리고, 각도(α)가 상기 범위 밖에 있는 경우, 적절한 힘(F)을 받을 수 없다. 힘(F)은 확경편(6)이 슬릿(51)을 형성하는 개구 양 단면(21, 21)으로부터 받는 힘(F1, F2)의 합력이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 1에서는 생략한 클램프 링 지지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다. 즉, 클램프 링(5)(도 1 참조)은 이음 본체(2)에 맞닿아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 방지용 돌출 레버(4)를 갖는다. 이동 방지용 돌출 레버(4)는 끝단에 원주 오목 홈(4a)을 갖는다. 7 은 U자형 선재로 이루어지는 잠금쇠를 나타낸다. 이음 본체(2)는 잠금쇠(7)의 양단(7a, 7a)을 밀착상태로 형상으로 삽입가능한 구멍(8, 8)을 갖는다. 잠금쇠(7)를 원주 오목 홈(4a)에 끼워 맞춘 형상으로 하면서, 잠금쇠(7)의 양단(7a, 7a)을 구멍(8, 8)에 삽입하여 이음 본체(2)에 장착함으로써 클램프 링(5)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클램프 링(5)은 직경 방향(직경 축소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가능해지면서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되어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 링(5)(의 슬릿(51))의 축심 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 확경편(6)을 끼워 지지시켰다(배열 설치하였다). 즉, 날밑(sword guard) 모양의 직교 벽부(10b)를 갖는 원통형상의 규제 슬리브(10A)를 통하여 확경편(6)의 튕겨나감(튕김 동작)을 규제하고 있으므로, 이 확경편(6)을 클램프 링(5)의 내단부로부터 충분히 떨어진(축심 대략 중앙) 위치에 배열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클램프 링(5)이 (테이퍼 형상으로 직경 확장되지 않고) 축심 방향으로 동일한 직경으로 확대하게 되어 파이프(1)의 선단부(1b)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클램프 링(5)을 (종래와 같이) 과도하게 직경 확장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클램프 링(5)의 축심 방향 길이를 충분히 길게 설정가능하게 되어, 파 이프(1)를 안정된 자세로 조일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설명도이다. 즉, 도 1의 상태에서 피접속용 파이프(1)를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파이프(1)의 선단부(1b)가 규제 슬리브(10A)(의 직교 벽부(10b))에 맞닿아 축심 내방향(E)으로 슬라이딩한다. 규제 슬리브(10A)가 확경편(6)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면,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받고 있던 확경편(6)이 상술한 바와 같이 단면(21, 21)으로부터 힘(F)을 받고 있으므로, 외경 방향(도 7의 화살표 Z방향)으로 튕김 동작을 일으킨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관이음은 합성 수지제 투명 커버(9)를 갖는다. 투명 커버(9)는 규제 슬리브(10A)를 내포하는 동시에, 슬릿(51)으로부터 이탈한 확경편(6)을 수납하기 위한 릴리프 공간(16)을 형성한다. 이음 본체(2)는 볼트부(11)를 갖는다. 클램프 링(5)은 그 외주면(5a)에 원주 오목 홈(12)을 갖는다. 투명 커버(9)는 그 일단(9a)에 수 나사부(11)와 나사 결합하는 암 나사부(13)를 가지며, 타단(9b)에 클램프 링(5)의 원주 오목 홈(12)에 끼워 맞춤 형상으로 걸음하는 걸음 벨트부(14)를 갖는다. 이들 구성에 따르면, 클램프 링(5), 확경편(6) 및 규제 슬리브(10A)를 이음 본체(2)와 일체형으로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피접속용 파이프(1)를 접속할 때 클램프 링(5)이 축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작용 설명도이다. 즉, 도 8의 상태에서 피접속용 파이프(1)를 도 8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파이프(1)의 선단부(1b)가 규제 슬리브(10A)에 맞닿아 축심 내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규제 슬리브(10A)가 확경편(6)으로부터 떨어지면, 확경편(6)이 외경 방향(도 9의 화살표 Y방향)으로 튕김 동작을 일으킨다. 튕겨진 후의 확경편(6)은 투명 커버(9) 내에 있게 되므로, 확경편(6)이 작업자의 얼굴 등으로 튕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다.
도 10 및 도 11은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에서 이음 본체(2)를 도시 생략하였다(후술하는 도 19 및 도 21에서도 동일하게 이음 본체(2)를 도시 생략하였다.). 10B는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클램프 링(5)의 외측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내주면(17)의 일부에 튕김 동작을 허용하는 릴리프용 오목부(18)를 갖는 수동 회전 가능한 규제 슬리브를 나타낸다. 규제 슬리브(10B)는 투명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 링(5)은 축심 방향 내단면(25)의 일부에 수 걸어맞춤부(걸음 볼록부)(19)를 갖는다. 이 수 걸어맞춤부(걸음 볼록부)(19)의 원주 방향의 위치는 슬릿(51)의 약 180° 반대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 및 도 15는(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슬리브(10B)의 내부로서, 클램프 링(5)보다 축심 방향 안쪽에 설치되어 삽입되어 오는 피접속용 파이프(1)의 선단부(1b)의 외주면(1c)에 소정의 회전 방향 저항력을 가지고-즉, 피접속 파이프(1)에 회전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 소정의 회전 방향 저항력이 작용하도록- 끼워지는 투명한 합성 수지제 회전 방지 링(20)을 나타낸다. 즉, 회전 방지 링(20)은 내주면(22)에 축심 방향으로 평행한 복수 개의 돌기(23)를 갖는다. 돌기(23)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 방지 링(20)은 클램프 링(5)의 수 걸어맞춤부(걸음 볼록부)(19)(도 12 및 도 13 참조)가 걸음하는 암 걸어맞춤부(피 걸음 오목부)(24)를 갖는다.
도 10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 링(5)과 회전 방지 링(20)은 상대 회전 불가능한 형상으로 걸어맞춤되어 있다. 즉, 도 17의 화살표 G로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 링(5)의 수 걸어맞춤부(19)와 회전 방지 링(20)의 암 걸어맞춤부(24)가 서로 걸어맞춤되도록 조립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1)가 소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온 것을 감지하여 상기 규제를 해제 가능한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K')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파이프 미 삽입 상태(도 10 및 도 11 참조)에서는 클램프 링(5)과 규제 슬리브(10B)의 일체형 회전을 허용하고-클램프 링(5)과 규제 슬리브(10B)가 함께 돌다가-, 파이프(1)가 삽입되어 오면(도 18~도 21 참조) 클램프 링(5)의 회전을 저지하여 규제 슬리브(10B)만의 수동 회전-회전 방향(W)(도 19 참조)으로의 슬라이딩-을 허용하는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K')을 구비한다.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K')은 회전 방지 링(20)과 암수 걸어맞춤부(19, 2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제 가능」이란 하나의 동작(제3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슬리브(10B)의 수동 회전)으로 해제할 수 있는 정도로 해제 용이성이 높다는 것으로 정의한다.
제3 실시 형태의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다음,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파이프 미 삽입 상태에서는 클램프 링(5)과 규제 슬리브(10B)가 함께 회전하므로 확경편(6)이 튕김 동작을 규제받고 있다.
도 10의 상태에서 피접속용 파이프(1)를 도 10의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1)의 선단부(1b)의 외주면(1c)에 회전 방지 링(20)의 돌기(23)가 파고 들어간 모양으로 걸음한다. 이 상태(파이프(1)가 회전 방지 링(2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방지 링(20)에 회전 방향의 힘이(규제 슬리브(10B)로부터) 가해져도, 회전 방지 링(20)은 파이프(1)에 대하여(돌기(23)의 파이프(1)의 외주면(1c)으로의 침입에 의한 회전 방향 저항력에 의해) 회전을 억제받고 있다.
그런 다음, 규제 슬리브(10B)만을 도 19의 회전 방향(W)으로 회전(슬라이딩)시키면,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받고 있던 확경편(6)이 상술한 바와 같이 단면(21, 21)으로부터 힘(F)(도 11)을 받고 있으므로,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 방향(도 20 및 도 21의 화살표 N방향)으로 튕김 동작을 일으킨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 변경 가능하며, 예를 들어 클램프 링(5), 확경편(6), 규제 슬리브(10A, 10B)의 형상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 클램프 링(5)이 암 걸어맞춤부(피 걸음 오목부)(24)를 가짐과 동시에, 회전 방지 링(20)이 수 걸어맞춤부(걸음 볼록부)(19)를 가 짐으로써 클램프 링(5)과 회전 방지 링(20)을 상대 회전 불가능한 형상으로 걸어맞춤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접속용 파이프(1)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3)를 갖는 이음 본체(2)와, 삽입 통부(3)의 외측으로 끼워진 파이프(1)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51) 있는 클램프 링(5)과, 클램프 링(5)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클램프 링(5)을 직경 확장하도록 슬릿(51)에 외경 방향으로 튕겨져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6), 및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클램프 링(5)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규제 슬리브(10A, 10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파이프(1)가 소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온 것을 감지하여 규제를 해제 또는 해제 가능으로 하는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K)을 구비하였으므로, 용이하게 파이프(1)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링(5)(과 빠짐 방지 걸음부(15))에 의해 확실하게 빠짐 방지가 되므로 내주측에 복수 개의 이빨부를 갖는 빠짐 방지 링을 생략할 수 있어 파이프(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접속용 파이프(1)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3)를 갖는 이음 본체(2)와, 삽입 통부(3)의 외측으로 끼워진 파이프(1)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51) 있는 클램프 링(5)과, 클램프 링(5)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클램프 링(5)을 직경 확장하도록 슬릿(51)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6), 및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클램프 링(5)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동시에 삽입되는 파이프(1)의 선단부(1b)에 맞닿아 축심 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허용하는 규제 슬리브(10A)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 용이하게 파이프(1)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규제 슬리브(10A)의 축심 방향의 길이를 변경하거나, 또는 한 세트의 규제 슬리브(10A)로부터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파이프(1)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1)를 충분히 삽입하지 않으면 확경편(6)이 튕기지 않으므로 파이프(1)를 확실하게 접속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고, 파이프(1)의 삽입 공사의 미스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링(5)(과 빠짐 방지 걸음부(15))에 의해 확실하게 빠짐 방지가 되므로, 내주측에 복수 개의 이빨부를 갖는 빠짐 방지 링을 생략할 수 있어 파이프(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링(5)의 슬릿(51)을 형성하는 개구 양단면(21, 21)이 축심 방향에서 봐서, 외경 방향으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면(21, 21)으로부터 받는 힘(F)에 의해 확경편(6)이 외경 방향으로 튕김 동작을 일으키도록 구성되므로, 확경편(6)을 쐐기를 박아 넣는 느낌으로 클램프 링(5)에 끼워 지지시킬(장착할) 수 있다. 특히, 각도(α)를 선택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확경편(6)을 클램프 링(5)의 슬릿(51)의 축심 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 끼워 지지시켰으므로, 클램프 링(5)은 (테이퍼 형상이 되지 않도록) 축심 방향으로 균등하게 직경 확장할 수 있어 파이프(1)를 삽입하기가 쉽고, 또한 파이프(1)를 안정적으로 조일 수 있다. 게다가 클램프 링(5)의 축심 방향의 길이를 충분히 크게 설정가능하게 된다.
또한 피접속용 파이프(1)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3)를 갖는 이음 본체 (2)와, 삽입 통부(3)의 외측으로 끼워진 파이프(1)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51) 있는 클램프 링(5)과, 클램프 링(5)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클램프 링(5)을 직경 확장하도록 슬릿(51)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6), 및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클램프 링(5)의 외측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내주면(17)의 일부에 튕김 동작을 허용하는 릴리프용 오목부(18)를 갖는 수동 회전 가능한 규제 슬리브(10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므로, 용이하게 파이프(1)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링(5)(과 빠짐 방지 걸음부(15))에 의해 확실하게 빠짐 방지되므로, 내주측에 복수 개의 이빨부를 갖는 빠짐 방지 링을 생략할 수 있어 파이프(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전체의 축심 방향 길이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피접속용 파이프(1)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3)를 갖는 이음 본체(2)와, 삽입 통부(3)의 외측으로 끼워진 파이프(1)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51) 있는 클램프 링(5)과, 클램프 링(5)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클램프 링(5)을 직경 확장하도록 슬릿(51)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6), 및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클램프 링(5)의 외측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내주면(17)의 일부에 튕김 동작을 허용하는 릴리프용 오목부(18)를 갖는 수동 회전 가능한 규제 슬리브(10B)를 구비하고, 더욱이, 파이프 미 삽입 상태에서는 클램프 링(5)과 규제 슬리브(10B)의 일체형 회전을 허용하고, 파이프(1)가 삽입되어 오면 클램프 링(5)의 회전을 저지하여 규제 슬리브(10B)만의 수동 회전을 허용하는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K)을 구비하였으므로, 용이하게 파이프(1) 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K)에 의해 파이프(1)를 충분히 삽입하지 않으면 규제 슬리브(10B)를 수동 회전시킬 수 없으므로(확경편(6)이 튕기지 않으므로), 파이프(1)를 확실하게 접속한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파이프(1)의 삽입 공사의 미스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링(5)(과 빠짐 방지 걸음부(15))에 의해 확실하게 빠짐 방지가 되므로, 내주측에 복수 개의 이빨부를 갖는 빠짐 방지 링을 생략할 수 있어 파이프(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전체의 축심 방향 길이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K)은 규제 슬리브(10B)의 내부로서, 클램프 링(5)보다 축심 방향 안쪽에 설치되어 삽입되어 오는 피접속용 파이프(1)의 선단부(1b)의 외주면(1c)에 소정의 회전 방향 저항력을 가지고 끼워지는 회전 방지 링(20)과, 회전 방지 링(20)과 클램프 링(5)을 상대 회전 불가능한 형상으로 걸어맞춤하는 암수 걸어맞춤부(19, 24)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체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규제 슬리브(10B)와 회전 방지 링(20)을 투명한 합성 수지제로 형성하면, 파이프(1)의 삽입 위치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어 용이하게 파이프(1)의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링(5)의 슬릿(51)을 형성하는 개구 양 단면(21, 21)이 축심 방향에서 보아 외경 방향으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면(21, 21)으로부터 받는 힘(F)에 의해 확경편(6)이 외경 방향으로 튕김 동작을 일으키도록 구성되었으므로, 확경편(6)을 쐐기를 박아 넣는 느낌으로 클램프 링(5)에 끼워 지지시킬 (장착할) 수 있다. 특히, 각도(α)를 선택함으로써 작은 힘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확경편(6)을 클램프 링(5)의 슬릿(51)의 축심 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 끼워 지지시켰으므로, 클램프 링(5)은 (테이퍼 형상이 되지 않도록) 축심 방향으로 균등하게 직경 확장할 수 있어 파이프(1)를 삽입하기 쉽고, 또한 파이프(1)를 안정적으로 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이음에 따르면 용이하게 파이프를 접속할 수 있다. 그래서, 배관 접속 공사의 미스를 확실하게 체크할 수 있어 공사 미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링은 (테이퍼 형상이 되지 않도록) 축심 방향으로 균등하게 직경 확장할 수 있어 파이프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Claims (9)

  1. 피접속용 파이프(1)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3)를 갖는 이음 본체(2);
    상기 삽입 통부(3)의 외측으로 끼워진 상기 파이프(1)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51) 있는 클램프 링(5);
    이 클램프 링(5)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이 클램프 링(5)을 직경 확장하도록 상기 슬릿(51)에 외경 방향으로 튕겨져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6); 및
    이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클램프 링(5)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규제 슬리브(10A)(10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1)가 소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온 것을 감지하여, 상기 규제를 해제 또는 해제 가능으로 하는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K)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2. 피접속용 파이프(1)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3)를 갖는 이음 본체(2);
    상기 삽입 통부(3)의 외측으로 끼워진 상기 파이프(1)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51) 있는 클램프 링(5);
    이 클램프 링(5)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이 클램프 링(5)을 직경 확장하도록 상기 슬릿(51)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6); 및
    이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클램프 링(5)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동시에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1)의 선단부(1b)에 맞닿아 축심 내 방향(E)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허용하는 규제 슬리브(10A);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3. 제2항에 있어서,
    클램프 링(5)의 슬릿(51)을 형성하는 개구 양 단면(21)(21)이 축심 방향에서 보아 외경 방향으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단면(21)(21)으로부터 받는 힘(F)에 의해 상기 확경편(6)이 외경 방향으로 튕김 동작을 일으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편(6)을 클램프 링(5)의 슬릿(51)의 축심 방향 중앙 위치에 끼워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5. 피접속용 파이프(1)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3)를 갖는 이음 본체(2);
    상기 삽입 통부(3)의 외측으로 끼워진 상기 파이프(1)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51) 있는 클램프 링(5);
    이 클램프 링(5)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이 클램프 링(5)을 직경 확장하도록 상기 슬릿(51)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6); 및
    이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상기 클램프 링(5)의 외측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내주면(17)의 일부에 상기 튕김 동작을 허용하는 릴 리프용 오목부(18)를 갖는 수동 회전 가능한 규제 슬리브(10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6. 피접속용 파이프(1)의 단부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3)를 갖는 이음 본체(2);
    상기 삽입 통부(3)의 외측으로 끼워진 상기 파이프(1)의 단부를 탄발적인 조임력으로 조이기 위한 슬릿(51) 있는 클램프 링(5);
    이 클램프 링(5)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이 클램프 링(5)을 직경 확장하도록 상기 슬릿(51)에 이탈 가능하게 끼워 지지된 확경편(6); 및
    이 확경편(6)의 외경 방향으로의 튕김 동작을 규제하도록 상기 클램프 링(5)의 외측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내주면(17)의 일부에 상기 튕김 동작을 허용하는 릴리프용 오목부(18)를 갖는 수동 회전 가능한 규제 슬리브(10B);를 구비하고,
    파이프 미삽입 상태에서는 상기 클램프 링(5)과 상기 규제 슬리브(10B)의 일체형 회전을 허용하고, 파이프(1)가 삽입되어 오면 상기 클램프 링(5)의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규제 슬리브(10B)만의 수동 회전을 허용하는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K')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7. 제6항에 있어서,
    파이프 삽입 감지 수단(K')은 상기 규제 슬리브(10B)의 내부로서, 상기 클램프 링(5)보다 축심 방향 안쪽에 설치되어, 삽입되어 오는 피접속용 파이프(1)의 선단부(1b)의 외주면(1c)과 회전 방향 저항력을 가지고 끼워지는 회전 방지 링(20); 및
    이 회전 방지 링(20)과 상기 클램프 링(5)을 상대 회전 불가능한 형상으로 서로 걸어맞춤하는 암수 걸어맞춤부(19)(2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8.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프 링(5)의 슬릿(51)을 형성하는 개구 양 단면(21)(21)이 축심 방향에서 보아 외경 방향으로 확대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단면(21)(21)으로부터 받는 힘(F)에 의해 상기 확경편(6)이 외경 방향으로 튕김 동작을 일으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9.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편(6)을 클램프 링(5)의 슬릿(51)의 축심 방향 중앙 위치에 끼워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KR1020050105329A 2004-11-29 2005-11-04 관이음 KR100753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4599 2004-11-29
JP2004344599A JP3754059B1 (ja) 2004-11-29 2004-11-29 管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806A KR20060059806A (ko) 2006-06-02
KR100753653B1 true KR100753653B1 (ko) 2007-08-30

Family

ID=35999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5329A KR100753653B1 (ko) 2004-11-29 2005-11-04 관이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55324B2 (ko)
EP (1) EP1662190B1 (ko)
JP (1) JP3754059B1 (ko)
KR (1) KR100753653B1 (ko)
CN (1) CN100529503C (ko)
CA (2) CA2663163A1 (ko)
ES (1) ES2522576T3 (ko)
SG (1) SG122907A1 (ko)
TW (1) TWI2949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9176B2 (ja) * 2007-03-28 2011-07-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継手
KR100819372B1 (ko) 2007-05-03 2008-04-04 문영달 관이음
DE102007025931B3 (de) * 2007-06-02 2009-01-15 Uponor Innovation Ab Klemmfitting für ein Rohr
US20090026758A1 (en) * 2007-07-24 2009-01-29 Sanzone Brian D Tube fitting with indication of fit
JP5150190B2 (ja) * 2007-10-04 2013-02-20 Jfe継手株式会社 管継手
KR100922520B1 (ko) * 2008-08-26 2009-10-20 민운기 파이프 연결구
AT507565B1 (de) * 2009-04-28 2010-06-15 Ke Kelit Kunststoffwerk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kunststoffrohr an einem anschlussnippel
US20100314869A1 (en) * 2009-06-11 2010-12-16 Wen-Pin Kuo Pipe connector
DK2341273T3 (da) * 2010-01-05 2012-08-20 Geberit Int Ag Rørklemme
EP2603725B1 (en) * 2010-08-10 2017-03-22 Netafim Ltd. Fitting assembly
JP4906973B1 (ja) * 2011-03-22 2012-03-28 井上スダレ株式会社 管継手
JP5611247B2 (ja) * 2012-01-10 2014-10-22 井上スダレ株式会社 管継手
EA201491949A1 (ru) * 2012-04-24 2015-01-30 Коэс Кампани Срл Составная скользящая прокладка для соединений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EP2669563A1 (en) 2012-06-01 2013-12-04 Uponor Innovation AB Pipe connector
ES2548185T3 (es) * 2012-11-28 2015-10-14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Unidad de automóvil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unidad de automóvil
CN112357144B (zh) * 2020-10-27 2022-03-01 四川极智朗润科技有限公司 一种软液袋软管的高速灌装密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192U (ja) * 1992-11-26 1994-06-14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KR100394908B1 (ko) 2000-02-07 2003-08-19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관 이음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6445A (en) * 1978-10-20 1980-10-07 Armaturenfabrik Hermann Voss Gmbh & Co. Hose and pipe coupling
US4278279A (en) * 1979-06-07 1981-07-14 Zimmerman Harry M Cam-lock fitting
US4635966A (en) * 1985-09-20 1987-01-13 Chrysler Motors Corporation Hose connector
DE3931126A1 (de) * 1989-09-18 1991-03-28 Yokohama Aeroquip Rohrkupplung
DE3936102C1 (ko) * 1989-10-30 1991-01-17 Karl Dipl.-Ing. 4040 Neuss De Weinhold
JP2779866B2 (ja) * 1990-03-23 1998-07-23 ニッタ・ムアー株式会社 管継手
DE19707371A1 (de) * 1997-02-25 1998-08-27 Voss Armaturen Druckmittel-Steckkupplung
JP3411546B2 (ja) 2000-07-11 2003-06-03 東尾メック株式会社 管継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192U (ja) * 1992-11-26 1994-06-14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KR100394908B1 (ko) 2000-02-07 2003-08-19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관 이음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54059B1 (ja) 2006-03-08
CA2527638C (en) 2012-01-03
US7455324B2 (en) 2008-11-25
JP2006153142A (ja) 2006-06-15
TW200622132A (en) 2006-07-01
CN100529503C (zh) 2009-08-19
ES2522576T3 (es) 2014-11-17
EP1662190B1 (en) 2014-08-13
EP1662190A2 (en) 2006-05-31
KR20060059806A (ko) 2006-06-02
CA2663163A1 (en) 2006-05-29
EP1662190A3 (en) 2010-02-17
SG122907A1 (en) 2006-06-29
TWI294952B (en) 2008-03-21
CA2527638A1 (en) 2006-05-29
CN1818450A (zh) 2006-08-16
US20060113790A1 (en)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3653B1 (ko) 관이음
KR102534555B1 (ko) 고정부를 갖는 단일 동작의 푸시 연결식 도관 피팅
US6964435B2 (en) Coupling for connecting hydraulic ducts
KR100348850B1 (ko) 이탈방지파이프이음매
KR20150042141A (ko) 튜브에 연결되는 커넥터
JP2009275881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JP4906499B2 (ja) コネクタ
JP4636963B2 (ja) 継手
TW201026984A (en) Lock ring for pipe joint, and pipe joint
JP2001193883A (ja) 差し込み継手
JPH11108278A (ja) 管継手
JP2009144740A (ja) アダプターを備えた継手
JP5581079B2 (ja) 管継手
CN107042862B (zh) 包括密封件破坏构件的接头装配件及其液压软管联接组件
US5687962A (en) Bearing locking mechanism, work support
JP4166775B2 (ja) 管継手
JP4326198B2 (ja) パイプ継手構造
JP3403149B2 (ja) 可撓管継手
JP6490910B2 (ja) 取外し冶具
RU2349826C1 (ru) Удерж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орного шланга
JP2007224957A (ja) ワイヤクランプ
JP2010007853A (ja) 誤接続防止装置及び誤接続防止構造
JP4550691B2 (ja) 釣具の釣糸保持構造
JP6497140B2 (ja) 保持具
GB2395991A (en) A tube coupling arrangement including a stiffen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