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323B1 - 봉제장치 - Google Patents

봉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323B1
KR100753323B1 KR1020020010885A KR20020010885A KR100753323B1 KR 100753323 B1 KR100753323 B1 KR 100753323B1 KR 1020020010885 A KR1020020010885 A KR 1020020010885A KR 20020010885 A KR20020010885 A KR 20020010885A KR 100753323 B1 KR100753323 B1 KR 10075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display
setting item
display form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0870A (ko
Inventor
토시노부 시노주카
마사히코 오카무라
게이코 야마타니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0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8Arrangements for inputting stitch or pattern data to memory ; Editing stitch or pattern data
    • D05B19/085Physical layout of switches or displays; Switches co-operating with the displa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 D05B3/12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 D05B3/14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ornamental pattern seams, for sewing buttonholes, for reinforcing openings, or for fastening articles, e.g. buttons, by sewing for fastening articles by sewing perforated or press butt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205/00Interface between the operator and the machine
    • D05D2205/02Operator to the machine
    • D05D2205/08Buttons, e.g. for pattern selection; Keyboards
    • D05D2205/085Buttons, e.g. for pattern selection; Keyboards combined with a display arrangement, e.g. touch sensitive control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표시형태를 간단히 개별화할 수 있어, 봉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봉제장치를 제공한다.
각종 봉제 파라미터(52a∼52l)의 설정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조작패널이 설치된다. 이 조작패널의 설정화면은 봉제물의 종류나, 조작패널을 재봉기의 어느 위치에 설정할지 또는 복잡하게 설정할지 등의 사용조건에 따라 각각 개별화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봉제 파라미터 등의 설정항목을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봉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봉제장치{DEVICE FOR SEWING}
도 1은 본 발명의 봉제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봉제장치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봉제장치의 제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표시형태를 정하는 재봉기의 사용조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표시형태의 데이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재봉기의 사용조건에 따라 저장되는 표시 레이아웃 패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재봉기의 사용조건에 따라 저장되는 표시 레이아웃 패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재봉기의 사용조건의 선택화면을 나타낸 표시도이다.
도 9는 조작 패널의 배치를 상세히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6 : 조작 패널 6a : 모니터
40a : CPU 40d : 비휘발성 메모리
40i : 표시제어회로
본 발명은 봉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봉제에 관한 각종 설정을 수행하는 조작패널을 구비한 봉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봉제장치는 봉제물의 종류, 봉제 파라미터, 봉제 데이터 등에 따라 소정의 봉제 동작을 하여 원하는 바늘땀을 형성한다. 봉제장치에는 모니터를 구비한 조작패널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조작패널을 통해 봉제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봉제 파라미터를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봉제장치로서, 봉제물의 종류가 증대되어 봉제에 필요한 다수의 봉제 파라미터를 입력하기 위하여, 봉제조건에 따라 모니터의 표시형태를 개별화(customizing)하여,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표시형태는 조작패널의 위치 등 조작패널의 사용형태에 따라서도 개별화된다.
그러나, 종래의 봉제장치에서는 개별화가 곤란하거나 혹은, 가능하더라도 봉제 파라미터의 수가 증대되면 그에 비례하여 개별화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일단 개별화가 종료되어도 봉제조건의 변동, 혹은 조작 패널의 위치변경으로 인해 다시 개별화의 필요성이 발생하므로 봉제효율 저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형태를 간단히 개별화할 수 있어 봉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봉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봉제에 관한 각종 설정을 수행하는 조작 패널을 구비한 봉제장치로서,
봉제에 관한 설정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봉제장치의 사용조건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봉제장치의 사용조건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사용조건에 대응되는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표시형태로 설정항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봉제에 관한 각종 설정을 수행하는 조작 패널을 구비한 봉제장치로서,
봉제에 관한 설정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봉제장치의 사용조건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봉제장치의 사용조건의 각각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설정항목의 표시형태 중에서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사용조건에 대응되는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통신회선을 통해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취득한 표시형태로 설정항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구 비하는 구성도 채용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봉제에 관한 각종 설정을 수행하는 조작 패널을 구비한 봉제장치로서,
봉제에 관한 설정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봉제장치의 사용조건 각각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통신회선을 통해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취득한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봉제장치의 사용조건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사용조건에 대응되는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상기 기억수단에서 판독하여, 상기 표시형태로 설정항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구성도 채용한다.
상기 모든 구성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봉제장치의 사용조건에 따라 설정화면을 개별화할 수 있으므로, 봉제 파라미터 등의 설정항목을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으로 나타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봉제장치(이하, 재봉기라 함)의 일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재봉기(10)의 바늘대(1)에는 바늘(1′)이 지지되고, 바늘(1′)은 전원 스위치(4)가 온됨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는 주 모터(2)가 회전하여 그 회전이 벨트(8)에 의해 재봉기의 주축에 전달됨으로써, 상하로 운동한다. 이러한 바늘의 움직임에 따라 천 이송장치(7)에 의해 천을 소정의 천 이송 피치(봉제 피치)로 이송함으로써 봉제가 이루어진다. 봉제는 각종 명령, 봉제 파라미터, 봉제 데이터 및 기타 제어 데이터에 따라서 페달(5)의 움직임에 따라 봉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내장한 제어박스(3)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박스(3)에는 봉제조건, 봉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설정 스위치(9)가 설치된다.
또한, 재봉기(10)에는 조작 패널(6)이 부착되어 있으며, 조작 패널(6)에는 액정, CRT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로서의 모니터(6a), 및 봉제 파라미터 등 봉제에 관한 각종 설정을 수행하는 설정버튼(6b)이 설치되어 있고, 설정된 정보, 설정항목이 모니터(6a)에 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기(10)는 봉제공장(20)에 배치되어 봉제공장측의 단말 컴퓨터(21)와 LAN 등으로 접속되며, 재봉기(10)에는 각종 봉제 파라미터의 초기 설정치, 봉제 데이터 및 봉제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등이 단말 컴퓨터(21)로부터 공급되고, 단말 컴퓨터(21)에는 재봉기의 가동상황을 나타내는 각종 데이터가 재봉기(10)로부터 공급된다.
이러한 봉제공장(20) 및 봉제공장(23)에는 재봉기(10)와 구성이 동일한 재봉기(11, 12, 13)가 배치되며, 재봉기(11, 13)는 단말 컴퓨터(22, 24)와 LAN 등으로 접속되며, 재봉기(12)는 단말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직접 다른 단말 컴퓨터(21, 22)와 LAN 접속되어 있다.
봉제공장측의 각 단말 컴퓨터(21, 22, 24) 및 재봉기(12)는 통신 네트워크, 가령 인터넷의 통신 회선망(14)을 통해, 고장의 진단, 유지 관리, 기타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이커 서비스 부문(25)의 단말 컴퓨터(26, 27), 데이터 서버(28)와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통신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TCP/IP)이 이용되며 필요에 따라 ID 번호, 패스워드가 설정되고, 송/수신되는 데이터도 필요에 따라 암호화되어 WEB 서버(15)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3은 각 재봉기(10∼13)의 제어박스(3)내부의 제어장치(40)의 블록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어장치(40)는 재봉기 제어, 통신 제어, 입출력 제어 등 각종 제어를 관장하는 CPU(40a)와, 각종 제어 프로그램, 재봉기의 기종명, 제조번호, 출하일, 제어프로그램 버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40b)와, 작업영역을 제공하는 RAM(40c)과, 각종 봉제 파라미터의 설정치, 고장 데이터, 봉제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40d)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40d)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종 재봉기의 각각의 사용조건에 따라 봉제에 관한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대응시켜 저장한다.
통신제어회로(40e)는 봉제공장의 단말 컴퓨터(21 ; 22, 24)와의 통신을 CPU(40a)의 제어 하에 제어하여, 각종 데이터를 수신(취득)하고 송신하는 수단을 구성한다. 재봉기 제어회로(40f)는 비휘발성 메모리(40d)에 저장되어 있는 봉제 파라미터나 봉제 데이터와, 재봉기 회전수 검출센서, 피치 검출센서 등 각종 센서(42)의 신호, 설정버튼(6b), 설정 스위치(9)로 설정된 값에 따라서, 출력신호 제어회로(40h)를 통해 주 모터(2)와 피치설정 액추에이터 등 각종 액추에이터(45)를 구동하여 재봉기의 봉제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입력신호 제어회로(40g)는 각종 센서(42), 설정버튼(6b), 설정 스위치(9)의 신호 취득을 제어한다.
더욱이, 표시제어회로(40i)는 CPU(40a)와 함께 표시제어수단을 구성하며, 모니터(6a)의 화면표시를 제어한다.
도 4 및 도 5에는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비휘발성 메모리(40d)에 저장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재봉기는 재봉기로 무엇을 재봉할지, 조작패널을 어떠한 형태로 사용할지 혹은 재봉기의 사용자 레벨 등 각종 사용조건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효율적인 봉제를 위해서는 봉제물의 종류, 조작 패널의 사용형태, 사용자 레벨 등의 사용조건으로 조작 패널의 모니터 표시형태를 개별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 Y셔츠, 기타 봉제물의 종류나, 모니터(6a)의 표시를 종방향(세로길이) 혹은 횡방향(가로길이)으로 할지, 혹은 도 1의 실선과 같이 조작 패널(6)을 재봉기의 우측에 둘지 혹은 일점 쇄선과 같이 재봉기의 좌측에 둘지 등의 조작 패널의 사용형태, 및 사용자 레벨(1, 2, 3) 등의 사용조건으로 계층 구조화하여 각각의 재봉기의 사용조건에 따라 코드(1),(2),(3),……를 부여한다. 그리고, 상기 코드에 따라 도 5와 같이, 각각의 사용조건에 최적으로 개별화된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레이아웃 패턴)가 비휘발성 메모리(40d)에 저장된다. 설정항목이 가령 봉제 파라미터일 때, 단추달기 및 뿌리감기 봉제의 경우에는, 단추달기 형상, 단추 형상 및 봉제 형상, 단추구멍 간격(세로), 단추구멍 간격(가로), 단추달기 바느질 수, 뿌리감기 바느질 수, 감침량, 실기둥 높이, 실기둥 폭 등이다.
가령, 슈트를 봉제할 때, 종방향 사용, 우측 배치, 사용자 레벨 1의 경우에는 코드(1)가 되며, 이 코드에 대응하여 도 6(A)와 같은 단추구멍 간격(세로와 가 로)의 설정항목(봉제 파라미터)을 표시하는 아이콘(50a), 및 실기둥 높이의 설정항목을 표시하는 아이콘(50b)으로 이루어진 레이아웃 패턴(50)이 비휘발성 메모리(40d)에 저장되며, 또한 셔츠를 봉제할 때, 횡방향 사용, 좌측 배치, 사용자 레벨 2의 경우에는 코드(23)가 되며, 이 코드에 대응하여 도 6(B)와 같이 아이콘(50a, 50b)과 동일한 아이콘(51a, 51b)외에, 단추달기 바느질 수, 단추위치 조정, 박음질 등 4개의 봉제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아이콘(51c∼51f)으로 이루어진 레이아웃 패턴(51)이 비휘발성 메모리(40d)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슈트를 봉제할 경우, 종방향 사용, 우측배치, 사용자 레벨 3일 때에는 코드(3)가 되며, 이 코드에 대응하여 도 7(A)와 같이 사용자 레벨(1)보다는 다수의 봉제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는 아이콘(52a∼52l)으로 이루어진 레이아웃 패턴(52)이 비휘발성 메모리(40d)에 저장되고, 또한 셔츠를 봉제할 경우, 횡방향 사용, 좌측 배치, 사용자 레벨 1일 때에는 코드(22)가 되며, 이 코드에 대해서는 도 7(B)와 같이 아이콘(51a, 51b)과 동일한 설정항목을 표시하는 아이콘(53a, 53b)으로 이루어진 레이아웃 패턴(53)이 비휘발성 메모리(40d)에 저장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재봉기의 사용자는 비휘발성 메모리(40b)에 저장되어 있는 재봉기 사용조건의 선택 프로그램을 시작하면, 도 8(A)와 같은 메뉴화면이 모니터(6a)에 나타나므로, 이 때 각 선택버튼(선택수단)을 조작한다. 「봉제물의 선택」버튼을 조작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Y셔츠」,「기타」의 선택화면이 모니터(6a)에 나타나고, 「사용방향의 선택」버튼을 조작하면 도 8(C)와 같이 종방향 사용을 나타내는 아이콘(60)과, 횡방향 사용을 나타내는 아이콘(61)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모니터(6a)에 나타나며, 또한 「설치위치의 선택」버튼을 조작하면 도 8(D)와 같이 조작 패널을 재봉기의 좌측에 설치함을 나타내는 아이콘(62)과, 우측에 설치함을 나타내는 아이콘(63)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그리고 「사용자 레벨의 선택」버튼을 조작하면 도 8(E)와 같이 사용자 레벨 1, 2, 3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각각 모니터(6a)에 나타난다.
재봉기 사용자가 가령 슈트를 봉제할 경우, 종방향 사용, 우측 배치와 단순한 설정을 원할 때에는, 각각 「슈트」,아이콘(60, 63), 사용자 레벨 1을 선택하고 「결정」버튼을 누른다. 이것은 사용조건이 코드(1)에 대응되며, 이 코드에 대응하여 비휘발성 메모리(40d)에 저장되어 있는 도 6(A)와 같은 레이아웃 패턴(50)이 판독되어, 이 레이아웃 패턴에 대응되는 표시형태로 각 설정항목(50a, 50b)이 조작 패널(6)의 모니터(6a)에 표시된다.
또한, 셔츠를 봉제할 경우, 횡방향 사용, 좌측 배치와 약간 복잡한 설정을 원할 때에는, 「Y셔츠」, 아이콘(61, 62), 사용자 레벨 2를 선택하고 「결정」버튼을 누른다. 이는 사용조건이 코드(23)에 대응되며, 이 코드에 대응하여 비휘발성 메모리(40d)에 저장되어 있는 도 6(B)와 같은 레이아웃 패턴(51)이 판독되어, 이 레이아웃 패턴에 대응되는 표시형태로 각 설정항목(51a∼51f)이 조작 패널(6)의 모니터(6a)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슈트를 봉제할 경우, 종방향 사용, 우측 배치와 복잡한 봉제 설정을 원할 때에는, 「슈트」, 아이콘(60, 63), 사용자 레벨 3을 선택하여 「결정」버튼을 누르면, 사용조건 코드(3)에 대응하여 비휘발성 메모리(40d)에 저장되어 있 는 도 7(A)와 같은 레이아웃 패턴(52)이 판독되고, 그 레이아웃 패턴에 대응되는 표시형태로 각 설정항목(52a∼52l)이 모니터(6a)에 표시되며, 또한 셔츠를 봉제할 경우, 횡방향 사용, 좌측 배치와 단순한 봉제설정을 원할 때에는, 「Y셔츠」, 아이콘 (61, 62), 사용자 레벨 1을 선택하여 「결정」버튼을 누른다. 이로써, 사용조건 코드(22)에 대응하여 비휘발성 메모리(40d)에 저장되어 있는 도 7(B)와 같은 레이아웃 패턴(53)이 판독되며, 이 레이아웃 패턴에 대한 표시형태로 각 설정항목(53a, 53b)이 모니터(6a)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재봉기의 사용자는 원하는 사용조건에 따라 설정화면을 개별화할 수 있으므로, 도 9에 도시된 조작패널(6)의 모니터(6a)에는 도 6(A),(B), 도 7(A),(B)와 같은 개별화된 화면이 표시된다. 따라서, 각 아이콘을 화살표 키(6c)로 선택하여 그 아이콘에 대응되는 봉제 파라미터의 설정항목을 변경하거나, 혹은 수치 키(6d)를 이용하여 입력함으로써 봉제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봉제 파라미터를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개별화에 따라 설정치의 취득 신호를 정합시켜 취득하도록 한다.
또한, 각 레이아웃 패턴(50∼53)의 하방부에 나타내어진 아이콘(54)을 조작하면 실통과의 준비가 이루어지며, 아이콘(55)을 조작하면 단추가 공급되는데, 이들 아이콘도 조작 패널을 우측 배치로 할지 혹은 좌측 배치로 할지에 따라 화면위치의 좌우가 달라지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한 사용형태가 된다.
상기한 각 사용조건에 대응된 설정항목의 레이아웃 패턴의 데이터는, 공장측 단말 컴퓨터(21 ; 22, 24)에서 작성하여 재봉기(10 ; 11, 12, 13)가 이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할 수도 있고, 메이커 서비스 부문(25)에서 작성하여 재봉기가 직접 혹은 단말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14)을 통해 취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이들 취득된 레이아웃 패턴은, 재봉기의 비휘발성 메모리(40d)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사용조건에 따라 판독된다. 그러나, 재봉기의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레이아웃 패턴의 데이터를 메이커측 데이터 서버(28)의 데이터 베이스에 보존하여, 사용조건을 인터넷을 통해 메이커 서비스 부문(25)으로 송신하고, 그 사용조건에 대응되는 레이아웃 패턴을 데이터 서버(28)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인터넷을 통해 취득함으로써 모니터에 표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재봉기의 사용자가, 원하는 재봉기의 사용조건에 따라 설정화면을 개별화할 수 있으므로, 봉제 파라미터 등의 설정항목을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봉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봉제에 관한 각종 설정을 수행하는 조작 패널을 구비한 봉제장치로서,
    봉제에 관한 설정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봉제장치의 사용조건의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봉제장치의 사용조건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그리고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사용조건에 대응되는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표시형태로 설정항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2. 봉제에 관한 각종 설정을 수행하는 조작 패널을 구비한 봉제장치로서,
    봉제에 관한 설정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봉제장치의 사용조건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봉제장치의 사용조건의 각각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설정항목의 표시형태중에서,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사용조건에 대응되는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통신회선을 통해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그리고
    취득한 표시형태로 설정항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3. 봉제에 관한 각종 설정을 수행하는 조작 패널을 구비한 봉제장치로서,
    봉제에 관한 설정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봉제장치의 사용조건 각각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통신회선을 통해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취득한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봉제장치의 사용조건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그리고
    상기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사용조건에 대응되는 설정항목의 표시형태를 상기 기억수단에서 판독하여, 상기 표시형태로 설정항목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장치의 사용조건이, 봉제물의 종류, 조작 패널의 사용형태 혹은 조작자의 사용레벨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형태는, 봉제장치의 사용조건에 따라서 화면에 표시되는 설정항목의 수와 위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
KR1020020010885A 2001-02-28 2002-02-28 봉제장치 KR100753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53804A JP4485086B2 (ja) 2001-02-28 2001-02-28 縫製装置
JPJP-P-2001-00053804 2001-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870A KR20020070870A (ko) 2002-09-11
KR100753323B1 true KR100753323B1 (ko) 2007-08-29

Family

ID=1891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885A KR100753323B1 (ko) 2001-02-28 2002-02-28 봉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85086B2 (ko)
KR (1) KR100753323B1 (ko)
CN (1) CN123162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2834B2 (ja) 2016-07-21 2021-07-14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363A (ko) * 1992-04-23 1994-03-21 제임스 조셉 드롱 로보트 조립체
KR940010386A (ko) * 1992-10-30 1994-05-26 김광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940005363B1 (ko) * 1987-09-02 1994-06-17 프랑클 운트 킬히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파브릭 휘어 엘렉트로모토렌 운트 엘렉트리쉐 아파라테 공업용 재봉기
US5333560A (en) * 1992-04-22 1994-08-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grammed lock stitch sewing machine having display
US5347940A (en) * 1992-08-28 1994-09-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ewing machine and pattern selection apparatus
KR940010386B1 (ko) * 1987-07-14 1994-10-22 도까이고교미싱 기부시기가이샤 자수기(미싱)에 있어서의 데이타 설정장치
US5921194A (en) * 1996-11-13 1999-07-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with display for displaying control information of sewing machines
US5924374A (en) * 1997-03-11 1999-07-20 Brother Kogyo Kabushibi Kaisha Sewing data process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16348B (it) * 1986-11-20 1990-02-22 Necchi Spa Macchina per cucire elettronica.
JPH07171279A (ja) * 1993-12-20 1995-07-11 Juki Corp ボタン縫製ミシン
JP4009879B2 (ja) * 1995-12-28 2007-11-21 株式会社バルダン 刺繍ミシン用制御装置
JPH10165677A (ja) * 1996-12-13 1998-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ログラム設定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386B1 (ko) * 1987-07-14 1994-10-22 도까이고교미싱 기부시기가이샤 자수기(미싱)에 있어서의 데이타 설정장치
KR940005363B1 (ko) * 1987-09-02 1994-06-17 프랑클 운트 킬히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파브릭 휘어 엘렉트로모토렌 운트 엘렉트리쉐 아파라테 공업용 재봉기
US5333560A (en) * 1992-04-22 1994-08-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grammed lock stitch sewing machine having display
KR940005363A (ko) * 1992-04-23 1994-03-21 제임스 조셉 드롱 로보트 조립체
US5347940A (en) * 1992-08-28 1994-09-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ewing machine and pattern selection apparatus
KR940010386A (ko) * 1992-10-30 1994-05-26 김광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5921194A (en) * 1996-11-13 1999-07-1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with display for displaying control information of sewing machines
US5924374A (en) * 1997-03-11 1999-07-20 Brother Kogyo Kabushibi Kaisha Sewing data process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73247A (zh) 2002-10-09
JP4485086B2 (ja) 2010-06-16
JP2002253885A (ja) 2002-09-10
CN1231624C (zh) 2005-12-14
KR20020070870A (ko) 2002-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543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operation program
US824026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sewing processes
EP1184502A1 (en) Computerized sew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058564B2 (ja) ミシン
US7878133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sewing machine operation program
US20110168070A1 (en) Sewing machine modification tools
US5044291A (en) Stitch pattern select/input system in sewing machine
US7089079B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 program
KR100753323B1 (ko) 봉제장치
US6457429B1 (en) Display apparatus for sewing machine
JPS5925788A (ja) 電子制御多模様ミシン
JP2008079899A (ja) 縫製データ処理装置、縫製データ処理装置を備えたミシン、縫製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及び、縫製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CN1847500B (zh) 差动送料缝纫机
JP4626359B2 (ja) ミシン
US5390615A (en) Embroidery machine
JP5227812B2 (ja) ミシンの縫いデータ作成装置
JPH05293266A (ja) ロックミシン
JP4782469B2 (ja) ミシンの縫製制御装置
US5957070A (en) Programmable electronic sewing machine
JP2000140464A (ja) ジグザグミシン
JP4625297B2 (ja) ミシン
JP4281176B2 (ja) ミシン
JP4093424B2 (ja) コンピュータミシン
JPH11239685A (ja) 刺繍データ処理装置
US7962239B2 (en) Sewing machine and sewing machine operating program recorded o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