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161B1 - 출입구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 - Google Patents

출입구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161B1
KR100753161B1 KR1020050079767A KR20050079767A KR100753161B1 KR 100753161 B1 KR100753161 B1 KR 100753161B1 KR 1020050079767 A KR1020050079767 A KR 1020050079767A KR 20050079767 A KR20050079767 A KR 20050079767A KR 100753161 B1 KR100753161 B1 KR 100753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or
spiral
guide
opening
pus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7889A (ko
Inventor
홍영태
Original Assignee
홍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태 filed Critical 홍영태
Priority to KR102005007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161B1/ko
Priority to CNA2006800319754A priority patent/CN101252854A/zh
Priority to PCT/KR2006/003413 priority patent/WO2007027047A1/en
Publication of KR2007002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7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뚜껑이 없이 상부외피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내장된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밀대는 제2수용체에, 제2수용체는 제1수용체, 그리고 제1수용체는 하부외피에 차례로 수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직선운동하는 상기 하부외피와 결합된 상기 제1수용체가 직선운동할 경우 제2수용체는 공회전되고 상기 밀대는 전방으로 직선운동을 하도록 상기 제1수용체와 제2수용체의 나선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부에 결합되어 상기 나선을 따라 승하강되는 부재는 나사돌기가 아니라 단순하게 돌출 형성된 돌기여서 나사돌기를 형성할 경우 필요한 높이가 불필요 하여 그만큼 케이스의 축소가 가능하므로 보다 짧은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어 재료 소모량이 줄어 비용점감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브러시 케이스는 전방에 투입구를 갖는 하부외피; 후방에 투입구를 갖고, 전방에 내외경이 차츰 축소되어 절두(切頭) 원뿔형을 이루는 협소부 및 상기 협소부 전단에 형성된 출입구를 갖는 상부외피; 내부에 형성된 나선부 및 외주면 전방에 치우쳐 대칭되게 형성된 두 고정홈을 갖고, 상기 하부외피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제1수용체; 상기 제1수용체의 나선홈에 위치하고 후방에 치우쳐 형성된 나선결합돌기 및 상기 제1수용체의 나선부와 반대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된 나선부를 포함하는 제2수용체; 상기 제2수용체의 나선홈에 위치하고 후방에 치우쳐 형성된 나선결합돌기를 포함하는 밀대; 상기 밀대의 전방에 배열된 화장브러 시; 상기 제2수용체를 공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수용하는 수용부 및 전후진하는 상기 밀대 외주면과 접촉하여 안내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돌출되어 있는 두 안내편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외피 내면에 고정된 안내체; 및 상기 상부외피의 출입구 내경을 분반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개폐헤드, 상기 제1수용체의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 그리고 상기 개폐헤드와 상기 고정돌기를 잇고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연결봉을 포함하는 개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화장, 브러시, 케이스, 나선부, 수용체, 밀대, 안내체, 개폐체, 외피

Description

출입구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MAKEUP BRUSH CASE EQUIPPED WITH OPEN AND SHUT MEMBER FOR IN AND OUT HOLE}
도 1은 실용신안등록 제0072709호의 브러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특허등록 제0393302호의 다용도 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브러시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브러시 케이스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케이스
10: 하부외피 11: 투입구
20: 상부외피 21: 투입구
23: 협소부 25: 출입구
30: 제1수용체 31: 나선부
33: 고정단부 35: 고정홈
40: 제2수용체 41: 나선부
43: 나선결합돌기 45: 결합환턱
50: 밀대 51: 나선결합돌기
53: 피안내돌기 55: 결합단부
57: 브러시 57a: 고정관
60: 안내체 61: 수용부
61a: 활주부 61b: 멈춤턱
61c: 결합환홈 63: 안내편
63a: 안내홈 63b: 협소부
65: 절개부 67: 피수용돌기
70A,70B: 개폐체 71: 개폐헤드
73: 연결봉 75: 고정돌기
77: 멈춤부
본 발명은 별도의 뚜껑이 없이 상부외피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내장된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밀대는 제2수용체에, 제2수용체는 제1수용체, 그리고 제1수용체는 하부외피에 차례로 수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직선운동하는 상기 하부외피와 결합된 상기 제1수용체가 직선운동 할 경우 제2수용체는 공회전되고 상기 밀대는 전방으로 직선운동을 하도록 상기 제1수용체와 제2수용체의 나선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부에 결합되어 상기 나선을 따라 승하강되는 부재는 나사돌기가 아니라 단순하게 돌출 형성된 돌기여서 나사돌기를 형성할 경우 필요한 높이가 불필요 하여 그만큼 케이스의 축소가 가능하므로
보다 짧은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어 재료 소모량이 줄어 비용점감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화장용 브러시는 단순하게 브러시가 상시 노출되어 있는 형태에서, 휴대의 편리성과 브러시의 오염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브러시에 뚜껑을 덮는 형태를 거쳐,
한편으로는 화장분말을 브러시 본체에 내장한 형태로 개량되거나,
다른 한편으로는 보다 편리하게 뚜껑이 결합되는 형태, 심지어는 뚜껑을 덮을 필요가 없이 브러시 본체 내에서 개폐체가 전진하여 브러시를 덮는 형태이거나, 브러시 자체가 원터치식으로 자동 인출되고 수납되는 형태 등으로 개량 변화되어 왔다.
예를 들어 특허등록 제0456267호(2004.10.29) 『화장용 브러시기구』에는 분말상태의 화장품이 내장되어 있는 브러시에서 외부케이스에 부분 내장되어 있는 중간케이스의 노출부로부터 보호캡을 잡아 뽑을 경우, 상기 보호캡 내부 중앙에 형성 된 압박돌기에 의하여 상기 중간케이스 내부에 텔레스코픽 타입(telescopic type)으로 다단 절첩되어 있던 브러시 지지체가 펼쳐지면서 브러시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 브러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보호캡을 닫을 경우 상기 압박돌기가 브러시 사이에 위치한 걸림부재에 정확기 결합되도록 하는데 많은 주의를 요하는 점을 해결하고 있지 못하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0319261호(2003.06.27) 『화장용 브러시 조립체』에는 통상의 필기구(특히 볼펜)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식과 같이 푸셔를 한번 누르면 브러시가 노출되고 다시 누르면 브러시가 수납되는 형태의 브러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브러시의 휴대 중에 노출공을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어 브러시가 오염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지 못하며,
만약 별도의 뚜껑을 도입할 경우에는 부지중에 푸셔를 누를 경우 브러시와 뚜껑의 충돌로 화장실이 꺾이고 파손될 위험이 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0072709호(1993.06.02) 『휴대용 화장브러쉬』에는 다단으로 걸림홈이 구비된 유도관에 의해 길이조절 및 개폐에 따른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브러시가 기재되어 있다.
도시한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브러시의 뚜껑(1)을 열면 브러시(4)이 노출되고 뚜껑을 닫을 때에는 하부케이스(7)에 결합된 슬립관(2)을 올려 브러시(4)을 모은 다음, 뚜껑을 닫을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상기 슬립관(2)의 내주면 하부에는 걸림봉(2a)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러시(4)이 단부에 배열된 유도관(6)에는 상기 걸림봉(2a)을 위하여 다단 걸림홈(5a)(5b)(5c)이 구비된 유도로(5)를 형성하고,
상기 유도관(6)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3)이 끼워져 있어, 상기 스프링(3)이 상기 걸림봉(2a)을 탄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립관(2)을 회전함에 따라 슬립관이 상기 스프링(3)의 탄성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다단 걸림홈에 상기 걸림봉이 걸리는 위치에 따라 상기 브러시(4)의 노출정도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다단으로 브러시(4)이 노출되는 형태로 하여 필요에 따라 솔의 노출정도를 조정하고자 하는 의도이지만,
실제 화장법에서는 화장부위에 따라 브러시의 굵기 및 형태(납작형 또는 원기둥형 등)가 다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실을 고려할 때 효용성이 떨어지고,
화장용 브러시 보다는 립스틱에 적합한 인출구조이다.
또 본 발명과 가장 유사한 구조의 것으로, 뚜껑을 덮을 필요가 없이 브러시 본체 내에서 개폐체가 전진하여 브러시를 덮는 형태와 관련된 특허등록 제0393302호(2003.07.21) 『다용도 케이스』가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의 공보 도 10을 나타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특허는 상단 케이스(13)와, 중단 케이스(12)와, 하단 케이스(15)와, 심지(18)와, 심지로드(8)와, 이동로드(9)와, 클립(45)과, 캡(16), 그리고 개폐부재(30,32)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개폐부재(30,32)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중단 케이스(12)와 고정패킹(14)의 사이에 한 쌍의 개폐부재(30,32)를 끼우고, 상기 개폐부재(30,32)의 하끝단에 형성된 돌기(34)를 캡로드(10)의 끼움홈(42)에 고정시켜서 상기 캡로드(10)와 함께 움직이도록 설치한다.
상기 개폐부재(30,32)에서 단면이 반원형인 커버(36)는 상기 캡(16) 및 하단 케이스(15)를 아래로 밀어 화장용품을 인출할 때에는 심의 두께만큼 분리되도록 탄력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졌으며, 반대로 상기 캡(16) 및 하단 케이스(15)를 위로 밀어 필기구를 수납시에는 상기 개폐부재(30,32)가 상단 케이스(13)로 접근함과 동시에 그 커버(36)가 서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이물질의 유입 및 심부재(33)의 손상을 방지하고 자동개폐가 이루어지며 뚜껑이 필요 없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또 상단 케이스(13)의 암나사부(19)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41)가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에는 내주면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원형의 고정홈(57)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세로방향의 안내홈(114)이 길게 형성되어 있는 고정패킹(14)에 상기 개폐부재(30,32)가 끼워지도록 세로방향의 끼움홈(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방향의 슬라이딩홈(47)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 외측으로는 수나사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부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는 캡로드(10)에 상기 개폐부재(30,32)가 고정되도록 끼움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등록특허의 케이스에서
상기 하단케이스(15)의 후진 직선운동은 상기 캡로드(10)의 직선운동으로 이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로드(9)의 공회전운동이 발생하고, 이어 상기 심지로드(8)의 전진 직선운동이 발생하여,
결국 상기 심지(18)의 전진 직선운동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상기 캡로드(10)에 결합되는 상기 이동로드(9)의 나선회전운동부(112)와, 상기 이동로드(9)의 나선홈(221)에 결합되는 상기 심지로드(8)의 심상하하운동나선부(322)로 인하여
그 수나사 형성부분의 길이만큼 케이스가 더 길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케이스를 보다 짧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휴대 편리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각종 화장브러시 케이스에서 브러시가 진퇴하여 노출되고 수납되는 출입구의 자동 개폐를 위한 것으로 , 특히 특허등록 제0393302호에서 수나사부 로 인하여 예상되는 케이스 길이 축소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회전운동을 위하여 제1 및 제2 수용체에 형성된 나선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2수용체 및 밀대의 대응부재를 수나사가 아니라 단순하게 돌출 형성된 돌기로 구성하여 그만큼 케이스의 축소가 가능하므로 보다 짧은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어 재료 소모량이 줄어 비용점감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 화장브러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부외피의 출입구 밖으로 노출된 화장브러시가 부지중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수납되어 사용의 불편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도입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특정 형태의 안내체를 통하여 밀대의 전후진 동작의 확실성 및 안정성과, 개페체의 후전진 동작의 안정성을 모두 보장하도록 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각 구성요소의 긴밀한 연결 결합을 통하여 반복된 동작에도 고장이 방지되는 화장브러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브러시 케이스는 전방에 투입구를 갖는 하부외피; 후방에 투입구를 갖고, 전방에 내외경이 차츰 축소되어 절두(切頭) 원뿔형을 이루는 협소부 및 상기 협소부 전단에 형성된 출입구를 갖는 상부외피; 내부에 형성된 나선부 및 외주면 전방에 치우쳐 대칭되게 형성 된 두 고정홈을 갖고, 상기 하부외피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제1수용체; 상기 제1수용체의 나선홈에 위치하고 후방에 치우쳐 형성된 나선결합돌기 및 상기 제1수용체의 나선부와 반대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된 나선부를 포함하는 제2수용체; 상기 제2수용체의 나선홈에 위치하고 후방에 치우쳐 형성된 나선결합돌기를 포함하는 밀대; 상기 밀대의 전방에 배열된 화장브러시; 상기 제2수용체를 공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수용하는 수용부 및 전후진하는 상기 밀대 외주면과 접촉하여 안내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돌출되어 있는 두 안내편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외피 내면에 고정된 안내체; 및 상기 상부외피의 출입구 내경을 분반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개폐헤드, 상기 제1수용체의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 그리고 상기 개폐헤드와 상기 고정돌기를 잇고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연결봉을 포함하는 개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브러시 케이스(C)를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 3 및 도 4a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화장솔브러시(57)가 배열된 쪽을 전방 또는 상부, 그 반대쪽을 후방 또는 하부로 정한다.
먼저 도 3 및 도 4a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브러시 케이스(C)는 크게 하부외피(10) 및 상부외피(20)에 내장되는 제1수용체(30), 제2수용체(40), 밀대(50), 안내체(60), 그리고 개폐체(70A)(70B)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외피(10)는 전방에 투입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외피(20)는 후방에 투입구(21)를 갖고, 전방에 내외경이 차츰 축소되어 절두(切頭) 원뿔형을 이루는 협소부(23) 및 상기 협소부(23) 전단에 형성된 출입구(25)를 가져, 두 외피(10)(20) 모두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도면에서 상기 상부외피(20)는 상기 하부외피(10) 내부에 밀착 수용되어 일정 길이가 중첩되도록 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두 외피(20)의 외경은 동일한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체(30)는 내부에 특정방향, 도면에서는 오른나사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전방으로 치우쳐서는 대칭되게 두 고정홈(3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개폐체(70A)(70B)의 고정돌기(75)가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1수용체(30)의 하단부에는 외경이 확장된 고정단부(33)가 형성되 어 있어 상기 하부외피(10) 하단부에서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제1수용체(30)와 상기 하부외치(10)의 고정방식은 접착제에 의한 결합이나 나사못에 의한 결합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수용체(30)의 고정홈(35) 전방으로는 깊이가 보다 낮은 부고정홈(37)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고정홈(37)에는 상기 개폐체(70A)(70B)의 연결봉(73)이 수용되어 있어,
상기 제1수용체(30)와 상기 개폐체(70A)(70B)가 결합된 상태는 결합부위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그 단면이 매끈한 원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제2수용체(40)는 상기 제1수용체(30)의 나선홈(31)에 결합되는 나선결합돌기(43)가 후방에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데, 도면에서 상기 나선결합돌기(43)는 서로 같은 높이에 형성된 두 개 이지만 필요에 따라 하나이거나, 서로 같은 높이 또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 셋 이상의 돌기로도 변형될 수 있는데,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돌기(43)인 것이 안정되게 상기 제1수용체(30)의 나선홈(3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수용체(40)의 공회전 동작의 안정성을 보장하면서도 제조비용 절감을 충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수용체(40)의 내면에는 상기 제1수용체(30)의 나선부(31)와 반대방향(도면에서는 왼나사 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된 나선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선부(41) 상단에는 상기 밀대(50)의 나선결합돌기(51)가 머물 수 있도록 요입된 체류부(41A)가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외피(20)의 출입구(25)를 거쳐 전방에 노출된 화장브러시(57)가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다시 상기 상부외피(20) 내부로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수용체(40)의 전방에 치우친 위치에서 외주면에는 결합환턱(4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내체(60)의 수용부(61)에 형성된 결합환홈(61c)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외피(10) 및 상기 제1수용체(30)의 전후진시 상기 제2수용체(40)의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밀대(50)는 상기 제2수용체(40)의 나선홈(41)에 위치하고 후방에 치우쳐 형성된 나선결합돌기(51)를 갖는데, 도면에서 상기 돌기(51)는 두 개이지만 역시 상기 제2수용체(40)의 돌기(43)와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 상기 밀대(50)의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는 피안내돌기(5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내체(60)의 안내편(63) 각각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홈(63A)에 결합되어 상기 밀대의 안정된 승하강을 보장하고,
상기 제1수용체(30)가 상기 하부외피(10)와 함께 전후진시 발생되는 상기 제2수용체(40)의 공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밀대가 회전되지 않고 직선운동만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밀대(50)의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는 화장브러시(57)가 배열되는데,
두 부재의 결합 용이성 확보를 통한 생산성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밀대(50)의 전단에는 결합단부(5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장브러시(57)는 고정관(57A)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정관은 상기 결합단부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수용체(30)의 나선부(31) 및 상기 제2수용체(40)의 나선부(41)와 각각 결합되는 상기 제2수용체(40)의 나선결합돌기(43) 및 상기 밀대(50)의 나선결합돌기(51)로 인하여,
종래, 특히 특허등록 제0393302호에서와 같이 수나사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그만큼 제2수용체와 밀대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결국 케이스(C) 전체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인 케이스(C)의 길이 축소 정도는 상기 상부외피(20)가 상기 하부외피(10) 투입구(11)를 통하여 중첩되도록 되어 있는 형태로 인하여 더욱 커지게 된다.
상기 안내체(60)는 상기 제2수용체(40)를 공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수용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환홈(61c)이 형성된 수용부(61)와,
전후진하는 상기 밀대(50) 외주면과 접촉하여 안내하도록, 특히 상기 밀대(50)의 피안내돌기(53)를 수용하여 밀대가 회전되지 않고 전후진만 하도록 안내홈(6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61)의 전방에 돌출되어 있는 두 안내편(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내체(60)는 상기 수용부(61) 및 상기 안내편(63)에 걸쳐 피수용돌기(67)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외피(20)의 내주면의 상응한 위치에 형성된 수용홈(27)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 고정되어
상기 안내체(60)와 상기 상부외피(20)의 확고한 결합상태를 보장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각 안내편(63)의 전단부에는 상기 상부외피(20)의 협소부(23)에 상응하게 형성된 협소부(6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안내편(63) 사이에는 안내편의 길이에 상응하는 두 절개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개폐체(70A)(70B)는 상기 상부외피(20)의 출입구(25) 내경을 분반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개폐헤드(71),
상기 제1수용체(30)의 고정홈(35)에 결합되는 고정돌기(75),
그리고 상기 개폐헤드(71)와 상기 고정돌기(75)를 잇고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연결봉(73)을 포함한다.
특히 특허등록 제0393302호의 개폐부재(30,32)(도 2 참조)는 단순히 납작한 철판을 가공한 것이어서 그 얇은 두께로 인하여 부주의로 외부에서 전후진을 위한 힘을 가하는 경우(특히 외피의 전후진을 통하여 작동시키는 사용법이 익숙하지 않을 경우에는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가 뒤틀려 고장이 발생되는 사례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폐체(3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의 사출품으로 조금 두껍게 제작하여 사용방법 미숙에 의하여 외피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뒤틀려 케이스가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개폐체(70A)(70B)가 상기 제1 수용체(30)의 고정홈(35)과 부고정홈(37)에 결합된 상태의 횡단면이 원형인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개폐체는 상기 안내체(60)의 수용부(61)를 지나 상기 안내편(63) 측면, 즉 상기 절개부(65)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안내체 수용부(61)에 트인 형태로 형성된 두 활주부(61a)와 상기 절개부(65)로 인하여
상기 개폐체(70A)(70B)와 상기 안내체(60)의 결합상태를 횡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그 단면은 대체로 원형을 이루고, 특히 상기 수용부(61) 부분에서는 매끈한 원형을 이루게 되어,
상기 안내체(60) 및 상기 개폐체(70A)(70B)는 상기 상부외피(20)의 내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게 되어, 상기 상부외피 내주면에 밀착 수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안내체(60)에서 상기 수용부(61)와 상기 안내편(63)의 접면에는 상기 하부외피(10) 및 상기 제1수용체(30)의 후진에 따라 연동되어 후진하는 상기 개폐헤드(71)가 걸려 더 이상 후진하지 못하도록 하는 멈춤턱(6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체에서 개폐헤드(71)의 후단에는 대략 절두형 화살촉 형상과 같은 멈춤부(77)를 이루어, 이 멈춤부가 상기 멈춤턱(61b)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브러시 케이스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도 4a, 도 4b에서, 상기 하부외피(10), 상기 하부외피 하단에서 고정되어 있는 상기 제1수용체(30), 그리고 상기 제1수용체 고정홈(35)에 고정돌기(75)를 통하여 결합 고정되어 있는 상기 두 개폐체(70A)(70B)는 같이 전후진 운동을 하고,
상기 상부외피(20), 상기 상부외피의 수용홈(27)에 피수용돌기(67)를 통하여 결합 고정되어 있는 상기 안내체(60), 그리고 상기 안내체의 결합환홈(61c)에 결합환턱(45)을 통하여 결합 고정되어 있는 상기 제2수용체(40)는 함께 거동하며,
상기 밀대(50)와, 상기 밀대의 전단 결합단부(55)에 고정관(57a)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는 화장브러시(57)는 함께 거동하여 상기 [하부외피(10)-제1수용체(30)-개폐체(70A)(70B) 세트]의 전진시에는 후진하고 후진시에는 전진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상부외피(20)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상기 하부외피 (10) 잡고 후진시키면 도 4a의 상태에서 도 4b의 상태로 작동되는데,
구체적으로 [하부외피(10)-제1수용체(30)-개폐체(70A)(70B) 세트]가 후진하면 상기 제1수용체(30)의 나선부(31)를 따라 나선결합돌기(43)가 이동하면서 상기 제2수용체(40)가 공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즉 상기 제2수용체(40)는 [상부외피(20)-안내체(60)-제2수용체(40) 세트] 중 상기 안내체(60)의 수용부(61) 결합환홈(61c)과 상기 제2수용체의 결합환턱(45)의 결합상태로 인하여 후진이 방지되므로 공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2수용체(40)의 공회전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선부(31)(41)로 인하여 상기 제2수용의 나선부(41)를 따라 이동하는 나선결합돌기(51)를 갖는 밀대(40)는 상기 안내체(60)의 안내편(63) 안내홈(63a)와 결합된 피안내돌기(53)로 인하여 회전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하부외피(10)-제1수용체(30)-개폐체(70A)(70B) 세트]와 반대로 전진하고,
결국 [밀대(50)-화장브러시(57) 세트]는 전진하게 된다.
후진하는 [하부외피(10)-제1수용체(30)-개폐체(70A)(70B) 세트]로 인하여 상기 두 개폐체(70A)(70B)는 상기 안내체(60) 수용부(61)의 활주부(61a) 및 절개부(65)를 타고 후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외피(20) 협소부(23)에 밀착되어 접촉하여 있던 각 개폐 체의 개폐헤드(71)는 구속이 없어지므로 상기 협소부(23)를 지나면서 떨어져 벌어지고,
결국 상기 상부외피(20)의 출입구(25)는 개방된다.
그러므로 전진하는 [밀대(50)-화장브러시(57) 세트]에서 화장브러시(57)는 노출된다.
[하부외피(10)-제1수용체(30)-개폐체(70A)(70B) 세트]는 후진하다가 상기 안내체(60)의 멈춤턱(61b)에 상기 개폐체(70A)(70B)의 멈춤부(77)가 걸리면서 더 이상의 후진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3 및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밀대(50)의 나선결합돌기(51)는 상기 제2수용체(40)의 나선부(41) 전단부의 체류부(41a)에 위치하게 되므로
부지중에 발생하는 일정 정도의 충격으로는 화장브러시(57)가 상부외피(20)의 출입구(25)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정 정도 이상의 힘을 가하여 상기 상부외피를 잡고 상기 하부외피를 전진시키면,
[하부외피(10)-제1수용체(30)-개폐체(70A)(70B) 세트]는 전진하고,
[상부외피(20)-안내체(60)-제2수용체(40) 세트]는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수용체(40)만이 이전과는 반대 방향으로 공회전하고,
[밀대(50)-화장브러시(57) 세트]는 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외피(10)-제1수용체(30)-개폐체(70A)(70B) 세트]에서 상기 개폐체(70A)(70B)의 개폐헤드(71)는 다시 상기 상부외피(20)의 협소부(23)에 의하여 구속되므로 상기 연결봉(73)이 가압되므로 휘게 되고,
결국 도 4a와 같이 상기 두 개폐헤드(71)는 서로 맞물려 상기 상부외피(20)의 출입구(25)를 폐쇄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브러시 케이스는 회전운동을 위하여 제1 및 제2 수용체에 형성된 나선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2수용체 및 밀대의 대응부재를 수나사가 아니라 단순하게 돌출 형성된 돌기로 구성하여 그만큼 케이스의 축소가 가능하므로 보다 짧은 케이스를 구현할 수 있어 재료 소모량이 줄어 비용점감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 화장브러시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또 본 발명은 상부외피의 출입구 밖으로 노출된 화장브러시가 부지중에 발생되는 충격에 의하여 수납되어 사용의 불편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2수용체의 나선부 전단부에 체류부 형성하였고,
아울러 본 발명은 특정 형태의 안내체를 통하여 밀대의 전후진 동작의 확실성 및 안정성과, 개페체의 후전진 동작의 안정성을 모두 보장하였으며, 나아가 각 구성요소의 긴밀한 연결 결합을 통하여 반복된 동작에도 고장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화장브러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전방에 투입구를 갖는 하부외피;
    후방에 투입구를 갖고, 전방에 내외경이 차츰 축소되어 절두(切頭) 원뿔형을 이루는 협소부 및 상기 협소부 전단에 형성된 출입구를 갖는 상부외피;
    내부에 형성된 나선부 및 외주면 전방에 치우쳐 대칭되게 형성된 두 고정홈을 갖고, 상기 하부외피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제1수용체;
    상기 제1수용체의 나선홈에 위치하고 후방에 치우쳐 형성된 나선결합돌기 및 상기 제1수용체의 나선부와 반대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된 나선부를 포함하는 제2수용체;
    상기 제2수용체의 나선홈에 위치하고 후방에 치우쳐 형성된 나선결합돌기를 포함하는 밀대;
    상기 밀대의 전방에 배열된 화장브러시;
    상기 제2수용체를 공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수용하는 수용부 및 전후진하는 상기 밀대 외주면과 접촉하여 안내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돌출되어 있는 두 안내편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외피 내면에 고정된 안내체; 및
    상기 상부외피의 출입구 내경을 분반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개폐헤드, 상기 제1수용체의 고정홈에 결합되는 고정돌기, 그리고 상기 개폐헤드와 상기 고정돌기를 잇고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연결봉을 포함하는 개폐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브러시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체의 나선부 상단에는 상기 밀대의 나선결합돌기가 머물 수 있도록 요입된 체류부가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외피의 출입구를 거쳐 전방에 노출된 상기 화장브러시가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다시 상기 상부외피 내부로 수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브러시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체의 수용부에는 결합환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수용체에는 상기 결합환홈에 결합되는 결합환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외피 및 상기 제1수용체의 전후진시 상기 제2수용체가 공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브러시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내편의 전단부는 상기 상부외피의 협소부에 상응하게 형성된 협소부를 이루고,
    상기 각 안내편 내면에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밀대에는 상기 안내홈에 결합되는 피안내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브러시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체의 수용부 둘레에는 상기 개폐체 각각의 연결봉이 결합될 수 있도록 트인 두 활주부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안내편의 접면에는 상기 하부외피 및 상기 제1수용체의 후진에 따라 연동되어 후진하는 상기 개폐헤드가 걸려 더 이상 후진하지 못하도록 하는 멈춤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브러시 케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외피는 상기 하부외피 내부에 밀착 수용되고,
    상기 안내체 및 상기 개폐체는 상기 상부외피 내주면에 밀착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브러시 케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의 전단에는 결합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장브러시는 고정관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정관은 상기 결합단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브러시 케이스.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외피의 내주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체에는 상기 수용홈에 결합되는 피수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브러시 케이스.
KR1020050079767A 2005-08-30 2005-08-30 출입구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 KR100753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767A KR100753161B1 (ko) 2005-08-30 2005-08-30 출입구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
CNA2006800319754A CN101252854A (zh) 2005-08-30 2006-08-30 具备出入口开闭件的化妆刷盒
PCT/KR2006/003413 WO2007027047A1 (en) 2005-08-30 2006-08-30 Makeup brush case equipped with open and shut member for in and out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9767A KR100753161B1 (ko) 2005-08-30 2005-08-30 출입구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889A KR20070027889A (ko) 2007-03-12
KR100753161B1 true KR100753161B1 (ko) 2007-08-30

Family

ID=3780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9767A KR100753161B1 (ko) 2005-08-30 2005-08-30 출입구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53161B1 (ko)
CN (1) CN101252854A (ko)
WO (1) WO2007027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275B1 (ko) * 2014-09-05 2015-05-14 주식회사 보승엘티디 화장용 브러시 케이스
CN107772752B (zh) * 2016-08-25 2024-05-10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环保高利用率口红
KR101762853B1 (ko) 2017-04-07 2017-07-28 주식회사 페어그린 자동 개폐되는 밀폐모듈 및 밀폐모듈을 이용한 화장품케이스
US11357307B2 (en) 2017-08-21 2022-06-14 Sinwa Corporation Cosmetic applica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9052A (en) * 1999-05-20 2000-03-21 Choi; Man Su Cosmetic brush assembly
KR20010000225A (ko) * 2000-08-25 2001-01-05 김종출 다용도 케이스
US6234181B1 (en) * 2000-01-06 2001-05-22 Jia Hsing Enterprises Co., Ltd. Rouge powder brush structure
US6418939B1 (en) * 2000-10-07 2002-07-16 Young Kwang Byun Cosmetic brush
KR20040079231A (ko) * 2003-03-07 2004-09-14 김종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US20040250833A1 (en) * 2003-06-16 2004-12-16 Ki Hong Jang Cosmetic Brush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9052A (en) * 1999-05-20 2000-03-21 Choi; Man Su Cosmetic brush assembly
US6234181B1 (en) * 2000-01-06 2001-05-22 Jia Hsing Enterprises Co., Ltd. Rouge powder brush structure
KR20010000225A (ko) * 2000-08-25 2001-01-05 김종출 다용도 케이스
US6418939B1 (en) * 2000-10-07 2002-07-16 Young Kwang Byun Cosmetic brush
KR20040079231A (ko) * 2003-03-07 2004-09-14 김종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US20040250833A1 (en) * 2003-06-16 2004-12-16 Ki Hong Jang Cosmetic Brush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10-2004-0079231호
공개특허 특2001-0000225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7889A (ko) 2007-03-12
WO2007027047A1 (en) 2007-03-08
CN101252854A (zh)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5588B1 (en) Hand-held multipurpose casing with structure for reversibly extending functional tipped device
US6497524B1 (en) Hand-held multipurpose casing with structure for reversibly extending functional tipped device
EP1838537B1 (en) Screw-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function
KR100360817B1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KR100753161B1 (ko) 출입구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
US6022161A (en) Variable-length applicator
JP3202178B2 (ja) 化粧料塗布容器
CN210363090U (zh) 手持伸缩笔
KR101289707B1 (ko) 작동신뢰성이 증진된 개폐부재를 갖는 다용도 케이스
KR100494640B1 (ko)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JP4307670B2 (ja) 棒状化粧材繰出容器
JP5452753B1 (ja)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容器
WO2000025626A1 (fr) Receptacle de produit cosmetique et cartouche pour receptacle de produit cosmetique
KR20080062157A (ko)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KR100834449B1 (ko) 화장용 브러시
US8657514B2 (en) Multipurpose case
JP2000041733A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KR102067015B1 (ko) 펜슬형 화장 도구
JP2648693B2 (ja) 棒状化粧材繰出容器のカートリッジ。
JPH0535813Y2 (ko)
JP2001231629A (ja) 棒状化粧料繰り出し容器
JPH0712285Y2 (ja) 自動開閉蓋体付き容器
JP4584396B2 (ja) 化粧材容器及び化粧材容器のカートリッジ
JP2595951Y2 (ja) 化粧品繰出容器
JP4252920B2 (ja) ペンシル型容器及びペンシル型容器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