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640B1 -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 Google Patents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640B1
KR100494640B1 KR20030014233A KR20030014233A KR100494640B1 KR 100494640 B1 KR100494640 B1 KR 100494640B1 KR 20030014233 A KR20030014233 A KR 20030014233A KR 20030014233 A KR20030014233 A KR 20030014233A KR 100494640 B1 KR100494640 B1 KR 100494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od
wick
ca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14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9231A (ko
Inventor
김종출
Original Assignee
김종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출 filed Critical 김종출
Priority to KR20030014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6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7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8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 rotating action, e.g. effected by a screw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에 사용되는 화장용구 또는 필기구 등의 문방용구에 적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실린더 방식 또는 스크류 방식을 이용하여 심부재를 인출 및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개폐부재를 설치하여 그 개폐부재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 용기와; 상기 상단 용기와 하부 내측에 결합되는 중단 용기와; 상기 중단 용기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고,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단 용기와; 일단에 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납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하면서 인출 및 수납되도록 설치되는 심지로드를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단 용기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단부에 양측으로 끼움홈이 형성된 캡과; 상기 캡을 하부 외측으로 일방향의 나선결합을 하여 캡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고, 상기 심지로드를 상부 내주면에 반대방향으로 나선결합하여 바뀐 회전운동을 다시 심지로드의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심받침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HAND-HELD MULTIPURPOSE CASE WITH STRUCTURE FOR REVERSIBLY EXTENDING FUNCTIONAL TIPPED DEVICE}
본 발명은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화장에 사용되는 화장용구 또는 필기구 등의 문방용구에 적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실린더 방식 또는 스크류 방식을 이용하여 심부재를 인출 및 수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개폐부재를 설치하여 그 개폐부재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터치 브러시, 립스틱, 립 브러시, 아이 브러시 등의 화장용구는 여성의 미를 가꾸기 위해서 사용되거나 배우들의 분장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용구는 대부분 사용의 편리성과 휴대보관의 용이성을 위하여 수동적인 방법 즉, 손으로 열고 닫는 뚜껑을 구비하고 있으며, 화장용구는 일체의 나선이 형성된 바 또는 로드와 용기들로 구성하여 그 바 또는 로드가 서로 동작하여 나선을 따라 상하로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브러시가 동시에 인출되어 지는 구성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화장용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매 사용시마다 뚜껑을 열고 닫아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왔고, 뚜껑을 열었을 때 관리소홀의 부실로 뚜껑을 분실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는 뚜껑을 자주 잃어버리는 상황에 직면하면서도 그 문제점을 개선하려고 하는 의지가 약하였던 바, 본 출원인은 뚜껑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용기 내부에 뚜껑을 설치하여서 분실을 방지하고, 뚜껑의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개폐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고안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장용구의 개폐부재를 자동적으로 열리고 닫히도록 용기에 설치함으로써 뚜껑의 분실을 방지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의 화장용구에 비하여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더 길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린더 방식의 용기로 구성하여 화장용구의 부품수를 줄여서 작업공정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장용구 뿐만 아니라 문방용구에도 쉽게 적용하여 필기구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동시에, 화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단 용기와; 중단 용기와; 하단 용기로 이루어지고 심부재가 설치되어 인출 및 수납되는 다용도 용기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를 직선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는 스크류를 각각 반대(역)방향으로 형성시킨 역스크류 방식과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단 용기와; 상기 상단 용기와 하부 내측에 결합되는 중단 용기와; 상기 중단 용기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고,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단 용기와; 일단에 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납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하면서 인출 및 수납되도록 설치되는 심지로드를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단 용기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단부에 양측으로 끼움홈이 형성된 캡과; 상기 캡을 하부 외측으로 일방향의 나선결합을 하여 캡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고, 상기 심지로드를 상부 내주면에 반대방향으로 나선결합하여 바뀐 회전운동을 다시 심지로드의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심받침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화장용구)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용기, 즉, 단부가 원뿔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상단 용기(13)와,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중단 용기(12)와,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하단 용기(15)가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단 용기(15)의 하부에는 캡(16)이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단 용기(15)는 상기 중단 용기(12)의 하부에 끼워져서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단 용기(15)가 이동함에 따라 심지로드(31)는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단 용기(13)의 내부 심지로드(31)의 선단에 설치된 심부재(33)가 상단 용기(13)의 개구로 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의 작동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하부에는 나선홈(111)이 있는 나선회전운동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내면에 나선홈(2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결합홈(131)이 형성된 접시부(124)를 구비하는 이동로드(9)와, 원통관의 구조로서 그 외면 양측에 수평의 일직선 끼움홈(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로드(9)의 결합홈(131)과 끼워지는 결합돌기(122)가 하부 외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면에 세로방향의 안내홈(114)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패킹(120)과, 상기 접시부(124)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상기 접시부(124)의 나선홈(221)과 나선조립되도록 나선돌기(321)가 있는 심상하운동나선부(322)가 형성되어 있는 심지로드(31)와, 상기 심지로드(31)의 좌우측에 대칭하도록 설치되되 상하 직선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지고, 고정패킹(120)의 끼움홈(211)과 캡(16)의 끼움홈(42)에 설치되는 한 쌍의 안내부재(115)와, 상기 심지로드(31)의 상부에 결합되되 그 끝단에 부착 결합되는 심부재(33)를 구비하는 심지(18)와, 상기 이동로드(9) 하부의 나선회전운동부(112)의 나선홈(111)과 나선조립되도록 내면에 연결돌기(51)가 형성되고 외면 상부에는 직각하여 내부로 끼움홈(도 5에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 하부에는 받침돌기(59)가 형성되어 있는 캡(16)과, 상부는 일단이 천공된 원뿔형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단 용기(13)와, 상부 외면은 상단 용기(13) 하부의 내면에 부착 결합되어 있고 그 내부에 고정패킹(120) 및 이동로드(9) 상부 및 중간부를 내장하도록 전체적으로 원통관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단 용기(12)와, 내면 상부는 상기 중단 용기(12)의 중간부 또는 하부의 외면과 밀착되고 내면 하부는 상기 캡(16)의 받침돌기(59) 상부와 부착결합되어 상기 캡(16)과 함께 움직이는 하단 용기(1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심지로드(31)의 나선돌기(321)와 상기 이동로드(9)의 나선홈(111)은 역스크류로 형성한다.
상기 이동로드(9) 하부의 나선회전운동부(112)의 나선홈(111)과 상기 캡(16) 내면의 연결돌기(51)는 서로 나선조립되어 인출 및 수납을 위해 캡(16)을 상기 하단 용기(15)와 함께 상하운동시킬 때, 그 상하운동을 상기 이동로드(9)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케하며, 상기 변환된 이동로드(9)의 회전운동은 이동로드 상부 접시부(124) 내면의 나선홈(221)과 상기 심지(18)의 심상하운동나선부(322)의 나선돌기(321)와의 나선조립에 의해 심지의 상하운동으로 변환케됨으로써 심부재(33)의 인출 및 수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패킹(120)의 하부 외면의 결합돌기(122)는 상기 이동로드(9) 상부의 결합홈(131)과 끼움 결합되어 상기 이동로드(9)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하단 용기(15)의 상하운동이 이동로드(9)의 회전운동으로 완전히 100% 변환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접시부(124) 상부 내면의 중앙에는 결합홈(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관의 구조인 고정패킹(120)은 결합돌기(122)가 있는 하부의 외경이 고정패킹(120)의 패킹 본체의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왜냐하면, 결합돌기(122)는 상기 이동로드(9)의 결합홈(131)과 끼워지므로 인출 및 수납을 위해 심지로드(31)가 상하로 왕복운동을 할 때, 그에 따른 마찰이 작도록 하기 위함이다.
캡(16)은 그 단면이 대체로 유(U)자형으로서 그 내면에는 상기 이동로드(9)의 하부에 형성된 나선회전운동부(112) 외면의 나선홈(111)과 나선조립되도록 연결돌기(51)가 좌우에 2개 형성되어 있고, 그 외면의 하부에는 받침돌기(5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돌기(59)의 상부에는 하단 용기(15)가 함께 움직이도록 부착되어 있다.
한편, 캡(16) 외면 상부에는 직각방향의 내부로 끼움홈(42)이 형성되어 있고상기 중단 용기(15)의 내면과 밀착되고 상기 끼움홈(42)과 일단이 결합되는 안내부재(115)가 심지로드(31)의 상하운동시 심부재(33)의 인출 및 수납이 흔들리지 않고 직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게 된다.
캡(16)은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좀 더 가볍고 촉감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러버 및 실리콘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단 용기(13)는 그 상부 일단이 천공된 원뿔형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고, 전체적으로는 원통관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내면 하부에는 상기 중단 용기(12)의 외면상부가 부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중단 용기(12)는 전체적으로 원통관의 형상으로서 그 외면 상부는 상단 용기(13) 내면 하부에 부착 결합되어 있다.
한편, 중단 용기(12) 하부의 외경은 하단 용기(15)의 내경과 비교할 때 작으며, 이는 심부재의 인출 및 수납을 위한 상하운동에 있어 하단 용기(15)와의 마찰을 줄이고자 함이다. 즉, 하단 용기(15)의 내면과 밀착되어 있기는 하나 부착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심부재(33)의 인출시에는 그 외면이 밖으로 보일 수 있도록 나타나지만 수납시에는 상단 용기(13)와 하단 용기(15)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도록 작동된다.
하단 용기(15)와 후술하는 원통형상의 슬라이더(92)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면 상부는 상단 용기의 하부에 설치하고 중단 용기(12)의 내면과 하단 용기(15)의 상부 내면 사이에 밀착되어 진다.
상기 슬라이더(92)는 상기 하단 용기(15)와 상기 중단 용기(12) 사이에끼워져서 인출 및 수납시 마찰에 따른 상기 중단 용기(12) 외면의 기스를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92)는 크롬에 의해 도금이 됨으로써 경도가 센 물질간의 마찰에 따른 기스 등을 예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립스틱, 립브러시, 볼터치 브러시 등의 심부재(33)가 담기는 부품인 심지(18)가 별개로 있으며, 상기 심지(18)의 하부에는 상기 접시부(124) 내면의 나선홈(221)과 나선조립되어지도록 나선돌기(321)가 있는 심상하운동나선부(322)가 형성되어 있는 심지로드(31)가 부착 결합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한 손으로는 상단 용기(13)를 붙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캡(16) 또는 하단 용기(12)를 잡은 다음 캡(16)을 아래로 내리면 캡(16)과 나선조립되어 있는 이동로드(9)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로드(9) 상부의 접시부(124) 내면의 나선홈(221)과 나선조립되어 있는 심상하운동나선부(322)가 상승하면서 심부재(33)가 상단 용기(13)의 외부로 돌출되어 나오므로서 립브러시, 립스틱(L), 볼터치 브러시 등이 결합된 심부재(33)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립브러시, 립스틱, 볼터치 등의 심부재(33)를 사용하지 아니할 때에는 한 손으로 상단 용기(13)를 붙잡고, 다른 한 손으로 캡(16) 또는 하단 용기(12)를 위로 올리면 심상하운동나선부(322)가 하강하면서 심부재(33)가 상단 용기(13)의 안으로 들어가서 보관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는 캡(16)을 책상 등에 대고 눌러서 심부재(33)가 상단 용기(13) 내부로 들어가게 하여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보관상태를 이룰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용기(15)는 캡(16)과 일체로 움직이므로 상하운동에 의한 인출시에는 캡(16)과 하단 용기(15)가 함께 아래로 이동되어 중단 용기(12) 외면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용기 전체 길이가 최대로 증가되며, 상하운동에 의한 수납시에는 중단 용기(12) 외면이 상단 용기(13) 및 하단 용기(15)에 의해 가려지면서 용기 전체길이가 최소로 감소되어 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실린더 방식을 적용한 다용도(화장용구) 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는 실린더(2)와 그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심지로드(8)와 캡로드(10)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2)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실린더(2)의 중간에는 격판(3)이 설치되어 있고, 그 격판에 의해서 좌우로 실린더(2)의 내부가 나뉘어지는 바, 좌측에는 심지로드(8)가 결합되는 제 1챔버(4)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캡로드(10)가 결합되는 제 2챔버(5)로 구획되어진다.
상기 심지로드(8) 및 캡로드(10)의 단부에는 고무패킹, 실리콘 등으로 시일(24) 처리하여 실린더(2)에 결합되어 이동할 때 실린더(2)내의 공기압이 새지 않도록 한다.
실린더(2)의 내주면에는 제 1챔버(4)의 내부에서 제 2챔버(5)의 내부로 연결되는 제 1공기통로(6)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측에는 제 2챔버(5)의 내부에서 제 1챔버(4)의 내부로 연결되는 제 2공기통로(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공기통로(6,7)는 실린더(2)에 결합된 심지로드 및 캡로드(8,10)의 이동시 로드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흐르게 되는 통로로서 제 1챔버(4) 및 제 2 챔버(5)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도 6과 같이 심지로드(8)와 캡로드(10)가 실린더(2)에 결합된 상태(심지로드와 캡로드가 모두 전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느 일측의 로드 바람직하게는 캡로드(10)를 당기게 되면, 제 2챔버(5)에 있던 공기가 압축됨과 동시에 제 2공기통로(7)를 통해서 제 1챔버(4)로 유입되면서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심지로드(8)가 밀려진다. 즉, 심지로드(8)가 상단 용기(13)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실린더(2)의 외주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슬롯(26)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도 동일한 폭의 슬롯(26)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할 본 발명의 개폐부재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실린더(2)의 좌우측부에는 심지로드 및 캡로드의 이동시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시일(24)을 구비한 각각의 패킹마개(21,23)가 설치된다.
상기 시일(24)은 고무, 실리콘 등의 오링(O-Ring)을 사용한다.
계속해서, 심지로드(8)의 일단에는 중심 내측방향으로 결합홈(9)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홈(9)에는 심부재(33)가 구비되는 심지(18)가 결합된다. 심지로드(8)의 타단(헤드부분)은 실린더(2)의 제 1챔버(4)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캡로드(10)의 일단에도 중심 내측방향으로 결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홈(11)에는 캡(16)의 돌부(17)가 결합된다. 캡로드(10)의 타단(헤드부분)은 실린더(2)의 제 2챔버(5)에 삽입되어 진다.
이와 같은 심지로드(8)와, 캡로드(10)와, 실린더(2)의 연결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실린더(2)의 제 1챔버(4)와 제 2챔버(5)에 각각의 심지로드(8)와, 캡로드(1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캡로드(10)가 움직이게 되면, 상기 심지로드(8)는 상기 캡로드(10)와 반대방향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캡로드(10)가 당겨지면 이와 동시에 압축된 공기가 심지로드(8)를 밀어주어 심지(18)가 나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캡로드(10)의 잡아 당기는 동작은 상기 심지로드(8)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심지로드(8)에 결합된 심지(18)가 위로 나오게 된다.
상술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구조의 외측 즉, 실린더(2)의 외주면에는 원통형의 중단 용기(12)가 끼워져 고정되고, 이 중단 용기(12)는 탄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실린더(2)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 구비되며, 제 1공기통로(6)와 제 2공기통로(7)를 통과하는 공기가 실린더(2) 외측으로 새지 않도록 도와준다.
중단 용기(12)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단 용기(13)가 끼워져서 고정 결합되고, 상기 중단 용기(12)의 하부 외주면에는 하단 용기(15)가 끼워지고, 외주면을 따라 움직인다.
이때, 하단 용기(15)의 하부 단부에는 캡(16)이 결합되며, 상기 캡(16)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부(17)가 캡로드(10)의 결합홈(11)에 끼워지게 되어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심지로드(8)의 결합홈(9)에는 심지(18)의 일단이 결합되어 진다. 상기 심지(18)의 타단에는 화장용 브러시- 예를들어 립브러시, 아이 브러시, 립스틱 등 - 이 끼워져 사용될 수 있으며, 볼펜심, 연필심, 싸인펜 등의 문구용 필기구가 끼워져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부재에 사용되는 필기구로서 화필을 사용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살펴보면, 실린더(2)와, 중단 용기(12)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중단 용기(12)와 상단 용기(13)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2)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캡로드(10)가 캡(16)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캡(16)은 하단 용기(15)와 고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단 용기(15)는 상기 중단 용기(12)와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상기 하단 용기(15) 또는 캡(16)을 잡고 당김으로써 실린더(2) 내에 설치된 캡로드(10)가 아래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그와는 반대로 심지로드(8)가 인출되어 지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심부재(18)가 결합된 심지(33) -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부재 - 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한 손으로는 상단 용기(13)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하단 용기(15)를 잡고 외측으로 당기게 되는바, 이와 같이 하면 하단 용기(15)가 아래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캡로드(10)의 내측 단부가 제 2챔버(5)의 개구측으로 이송된다.
이와 동시에, 캡로드(10)의 내측 단부(헤드부분)에 의해 압축되는 공기는 제 2공기통로(7)를 통해서 심지로드(8)의 내측단부와 제 1챔버(4)의 내측 공간 사이로 압송된다.
즉, 제 2챔버(5)에 있던 공기가 압축되면서 제 2공기통로(7)를 따라서 제 1챔버(4)로 들어가면서 심지로드(8)를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제 2챔버(5)내의 공기가 제 1챔버(4)측으로 이송되면서 그 공기압에 의해 심지로드(8)의 단부가 제 1챔버(4)의 개구측으로 밀리게 되고, 결국 심지로드(8)에 연결된 심지(18)가 상부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기 심지(18)에 결합된 심부재(33)가 인출된다.
여기서 심지로드(8)의 내측 단부가 개구측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제 1챔버(4) 내에 존재하던 공기는 서서히 압축되면서 제 1공기통로(6)로 이송이 이루어지고, 결국 그 통로를 따라 제 2챔버(5) 내측으로 이송되므로 캡로드(10)의 내측 단부가 개구측으로 원할하게 이송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심지(18)를 인출하여 사용한 후, 심지(18)를 내측으로 넣기 위해서는 다시 상단 용기(13)와 하단 용기(15)를 잡고 가볍게 밀면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의 이동이 반대로 이루어지면서 심지로드(8)가 초기의 보관상태와 같이 인입된 상태로 복귀된다.
공기의 이동을 상술하면, 상기 하단용기(15)와 결합된 캡로드(10)의 단부가 제 2챔버(5) 쪽으로 이송되면서 그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게 되고 압축된 공기는 제 2공기통로(7)를 통해 심지로드(8)의 단부측으로 이송되어지며, 이와 같이 이송된 공기압은 심지로드(8)의 단부를 제 1챔버(4)의 개구측으로 밀어준다.
이때는 심지로드(8)의 내측 단부가 제 1챔버(4)의 개구측으로 밀리면서 제 1챔버(4)에 존재하던 공기를 압축시키게 되는데, 압축된 공기가 제 1공기통로(6)를 통해 캡로드(10)의 단부측으로 다시 이송되므로 캡로드(10)가 제 2챔버(5)의 개구측으로 원할하게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심지로드(8)와 심부재(18)는 상승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는 심부재(33)와 심지(18)의 인출 및 인입작업이 자동적으로 행해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를 필기구로 사용할 때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의 내부가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하부 내측에는 암나사부(19)가 형성되어 있는 상단 용기(13)와, 상단에 심부재(33)가 결합되고, 하단 내측에 암나사부(19)가 형성되어 있는 심지(18)와, 상기 상단 용기(13)의 암나사부(19)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41)가 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에는 고정홈(57)이 형성되어 있고 세로방향의 안내홈(114)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패킹(14)과, 상기 심지(18)의 암나사부(19)부와 체결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 수나사부(41)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나선돌기(321)를 구비한 심상하운동나선부(3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의 로드 좌우측에 세로방향으로 안내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는 심지로드(8)와, 상단부 외주면에 상기 고정패킹(14)의 고정홈(57)에 고정되는 결합돌기(43)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에는 나선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상단부에는 밀림방지홈(44)이 형성됨과 동시에 하단부에는 나선돌기(321)가 구비된 나선회전운동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로드(9)와, 세로방향의 슬라이딩홈(47)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 외측으로는 수나사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부에는 나선홈(111)이 형성되어 있는 캡로드(10)와, 상방향의 외측 표면에 상기 상단 용기(13)와 하단 용기(15)를 분리하도록 분리턱(5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홈(47)과 결합되어 좌우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으로 볼록하게 슬라이딩턱(46)이 형성되어 있는 중단 용기와(12)와, 상기 중단 용기(12)와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단 용기(15)와, 상기 하단 용기(15)의 하부에 부착 결합되고, 상기 캡로드(10)의 수나사부(41)와 결합되는 암나사부(19)가 형성되어 있는 캡(16)과, 상기 하단 용기(15)의 밑면과 캡(16)의 상면 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통공(56)이 형성되어 있는 클립(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심부재(33)는 필기구로서 크레파스, 싸인펜 등의 심을 사용한다.
상기 이동로드(9)의 나선돌기(321)와 상기 심지로드(8)의 나선돌기(32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역스크류로 돌기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로드(9)의 나선돌기(321)가 캡로드(10)의 내측에 형성된 나선홈(111)과 결합되어 나선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심지로드(8)의 심상하운동나선부(322)가 상기 이동로드(9)의 내측에 형성된 나선홈(111)과 결합되어 나선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동로드(9)의 상부 외측에 고정패킹(14)이 끼워져 상기 고정홈(57)이 상기 결합돌기(43)와 결합되어 지고, 상기 심지로드(8)의 상단에 형성된 수나사부(41)에 심지(18)의 암나사부(19)가 체결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캡로드(10)의 외주면에는 중단 용기(12)가 끼워지며, 상기 중단 용기(12)의 분리턱(53)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는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단 용기(15)가 끼워지고, 상기 분리턱(53)의 상방향으로는 상단 용기(13)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상단 용기(13)는 고정패킹(14)과 체결되어 지므로, 상기 심지로드(8)가 나선이동하면서 심지(18)를 인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심지로드(8)의 안내돌기(113)와 고정패킹(14)의 안내홈(114)이 결합되어 상하로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되면, 상기 캡로드(10)의 슬라이딩홈(47)과 중간 용기(12)의 슬라이딩턱(46)이 결합되어 좌우 회전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동작을 기술하면, 하단 용기(15) 또는 캡(16)을 잡고 당기게 되면, 상기 캡(16)과 체결되어 있는 캡로드(10)가 당겨지게 되고, 상기 하단 용기(15)는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진다.
이때, 상기 캡로드(10)의 내측에 결합된 이동로드(9)가 일정방향(시계방향)으로 나선운동하며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로드(9) 내측에 결합된 심지로드(8)는 상기 이동로드(9)가 회전(시계방향)함에 따라 안내홈(114)에 결합된 안내돌기(113)에 의해 직선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심지로드(8)에 고정된 심지(18)가 상기 상단 용기(13)의 개구로 인출되어 진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와 분해사시도로서, 심부재(33)로서 길이가 긴 볼펜심을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의 구조와 동작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심부재의 인출 작동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에 기술된 동작을 참조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길이가 긴 볼펜심 등의 심부재(33)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심부재(33)의 상단부 양측으로 고정턱(101)을 형성하고, 심부재(33)의 고정턱(101) 상부에 스프링(100)을 끼워서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심부재(33)의 하단부는 심지로드(8)의 내측에 끼워서 고정한다.
상기 심지로드(8)는 그 내측 하부 밑면에 쐐기(52)가 형성되어 있어 볼펜심 심부재(33)를 끼워서 고정시킨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로서 실린더 방식을 사용한 다용도(필기구) 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설명을 참조한다.
또한, 그 구성에 따른 동일부호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심지(18)에 결합되는 심부재(33)로서 화장용구를 사용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긴 볼펜심과 같은 심부재(33)를 심지로드(8)를 그 내측에 깊숙하게 꽂아서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심지로드(8)의 내측에 상기 볼펜심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가늘고 긴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심부재(33)를 끼워서 고정시킨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로서 스크류 방식의 다용도(화장용구) 용기에 개폐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단부가 원뿔형으로 이루어지고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상단 용기(13)와, 중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상단 용기(13) 하부 내측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중단 용기(12)와, 중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단 용기(12)의 하부 외측에 끼워지는 하단 용기(15)가 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하단 용기(15)의 하부에는 캡(16)이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하단 용기(15)는 상기 중단 용기(12)의 하부에 끼워져서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단 용기(15)가 이동함에 따라 상단 용기(13)는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용기의 내부의 심지(18)에 설치된 심부재(33)가 상단 용기(13)의 개구로 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용기의 내부에는 용기 내부로 먼지 또는 이물질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뚜껑 또는 커버 역할을 하는 개폐부재(30,32)가 설치되어 자동적으로 개폐된다.
도 17은 도 15의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A부 확대도이고,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20은 도 1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본 발명은 하부에는 나선홈(111)이 있는 나선회전운동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내면에 나선홈(2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 결합홈(131)이 형성된 접시부(124)를 구비하는 이동로드(9)와, 원통관의 구조로서 그 외면 양측에 수직한 일직선의 끼움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로드(9)의 결합홈(131)과 끼워지는 결합돌기(122)가 하부외면에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 세로방향의 안내홈(114)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패킹(120)과, 상기 접시부(124)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고 하부에는 상기 접시부(124)의 나선홈(221)과 나선조립되도록 나선돌기(321)가 있는 심상하운동나선부(3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의 로드 좌우측에 대칭하도록 세로방향의 안내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는 심지로드(31)와, 상기 심지로드(31)의 상부에 결합되되 그 끝단에 부착 결합되는 심부재(33)를 구비하는 심지(18)와, 상기 이동로드(9) 하부의 나선회전운동부(112)의 나선홈(111)과 나선조립되도록 내면에 연결돌기(51)가 형성되고 외면 상부에는 직각하여 내부로 끼움홈(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 하부에는 받침돌기(59)가 형성되어 있는 캡(16)과, 상부는 일단이 천공된 원뿔형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단 용기(13)와, 일단에는 화장용품의 인출시 그 상부 일단이 서로 분리되며 화장용품의 수납시에 상기 분리된 일단이 서로 접촉하도록 반원형의 커버(36)가 형성되고 중간부는 상기 고정패킹(120)의 일직선 끼움홈(211)에 끼워지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캡(16)의 끼움홈(42)과 끼워져서 회전을 방지하도록 돌기(34)가 직각하여 내부로 형성되어 있는 개폐부재(30,32)와, 상부는 일단이 천공된 원뿔형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고 중간부 및 하부는 상기 개폐부재(30,32)의 상부 및 중간부를 내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상단 용기(13)와, 상부 외면은 상단 용기(13) 하부의 내면에 부착 결합되어 있고 내면은 상기 개폐부재(30,32)의 중간부와 밀착되어 그 내부에 상기 고정패킹(120) 및 이동로드(9) 상부 및 중간부를 내장하도록 전체적으로 원통관으로 형성되어 있는 중단 용기(12)와, 내면 상부는 상기 중단 용기(12)의 중간부 또는 하부의 외면과 밀착되고 내면 하부는 상기 캡(16)의 받침돌기(59) 상부와 부착결합되어 상기 캡(16)과 함께 움직이는 하단 용기(1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동로드(9) 하부의 나선회전운동부(112)의 결합홈(111)과 상기 캡(16) 내면의 연결돌기(51)는 서로 나선조립되어 인출 및 수납을 위해 캡(16)을 상기 하단 용기(15)와 함께 상하운동시킬 때, 그 상하운동을 상기 이동로드(9)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케하며, 상기 변환된 이동로드(9)의 회전운동은 이동로드 상부 접시부(124) 내면의 결합홈(221)과 상기 심지(18)의 심상하운동나선부(322)의 나선돌기(321)와의 나선조립에 의해 심지의 상하운동으로 변환케됨으로써 본 발명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심부재(33)의 인출 및 수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패킹(120)의 하부 외면의 결합돌기(122)는 상기 이동로드(9) 상부의 결합홈(131)과 끼움 결합되어 상기 이동로드(9)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하단 용기(15)의 상하운동이 이동로드(9)의 회전운동으로 완전히 100% 변환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접시부(124) 상부의 내면에는 결합홈(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관의 구조인 고정패킹(120)은 결합돌기(122)가 있는 하부의 외경은 패킹 본체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왜냐하면, 결합돌기(122)는 상기 이동로드(9)의 결합홈(131)과 끼워지므로 끼워진 상태의 두께가 상기 개폐부재(30,32)의 내경에서 심지로드(31)의 두께를 뺀 것과 거의 같거나 작도록 함으로써 인출 및 수납을 위해 심지로드(31)가 상하로 왕복운동을 할 때 그에 따른 마찰이 작도록 하기 위함이다.
캡(16)은 그 단면이 대체로 유(U)자형으로서 그 내면에는 상기 이동로드(9)의 하부에 형성된 나선회전운동부(112) 외면의 나선홈(111)과 나선조립되도록 연결돌기(51)가 좌우에 2개 형성되어 있고, 그 외면의 하부에는 받침돌기(5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돌기(59)의 상부에는 하단 용기(15)가 함께 움직이도록 부착되어 있다.
개폐부재(30,32)에서 단면이 반원형인 커버(36)는 상기 캡(16) 및 하단 용기(15)를 아래로 밀어 화장용품을 인출할 때에는 심의 두께만큼 분리되도록 탄력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졌으며, 반대로 상기 캡(16) 및 하단 용기(15)를 위로 밀어 화장용품을 수납시에는 상기 개폐부재(30,32)가 상단 용기(13)로 접근함과 동시에 그 커버(36)가 서로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인 이물질의 유입 및 심부재(33)의 손상을 방지하고 자동개폐가 이루어지며 뚜껑이 필요없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개폐부재(30,32)의 중간부는 상기 고정패킹(120)의 일직선 끼움홈(211)에 끼워지도록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캡(16)의 끼움홈(42)과 결합되어 회전을 방지하도록 돌기(34)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기(34)는 다단으로 절곡할 수 있고, 한쌍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고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형태로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한편, 캡(16) 외면 상부에는 직각방향의 내부로 끼움홈(42)이 형성되어 있어 개폐부재(30,32) 하부의 돌기(34)와 끼워지므로서 상기 하단 용기(15) 및 그에 끼워진 개폐부재(30,32)를 회전시키려고 시도할 때 상기 개폐부재(30,32)의 내면과 밀착되어 있는 고정패킹(120)에 의해 그 회전이 저지되고, 심지로드(31)에 의해 상하운동함에 따라 인출 및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캡(16)은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좀 더 가볍고 촉감을 우수하게 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러버 및 실리콘 등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단 용기(13)는 그 상부 일단이 천공된 원뿔형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고 중간부 및 하부는 상기 개폐부재(30,32)의 상부 및 중간부를 내장하도록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원통관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내면 하부에는 상기 중단 용기(12)의 외면상부가 부착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중단 용기(12)의 내경은 상기 개폐부재(30,32)가 결합되는 외경과 거의 같거나 미세하게 크게 한다.
상기 중단 용기(12)는 전체적으로 원통관의 형상으로서 그 외면 상부는 상단 용기(13) 내면 하부에 부착 결합되어 있고, 내면은 상기 개폐부재(30,32)의 중간부와 밀착되어 있다.
한편, 하부의 외경은 하단 용기(15)의 내경과 비교할 때 아주 미세하게 작으며, 이는 심부재의 인출 및 수납을 위한 상하운동에 있어 하단 용기(15)와의 마찰을 줄이고자 함이다. 즉, 하단 용기(15)의 내면과 밀착되어 있기는 하나 부착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심부재(33)의 인출시에는 그 외면이 밖으로 보일 수 있도록 나타나지만 수납시에는 상단 용기(13)와 하단 용기(15)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도록 작동된다.
하단 용기(15)와 후술하는 원통형상의 슬라이더(92)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면 하부가 상기 하단 용기(15)의 받침돌기 상부와 부착되어져 결합됨으로써 상기 캡과 함께 움직이도록 되어 있으며, 내면 상부는 중단 용기의 중간부 및 하부의 외면과 밀착되어 진다.
상기 하단 용기(15)와 상기 중단 용기(12) 사이에는 인출 및 수납시 마찰에 따른 상기 중단 용기(12) 외면의 기스를 방지하도록 원통형의 슬라이더(92)가 상기 하단 용기(15) 내면 상부에 부착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92)는 크롬에 의해 도금이 됨으로써 경도가 센 물질간의 마찰에 따른 기스 등을 예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립스틱 등의 내용물이 담기는 부품인 심지(18)가 별개로 있으며, 상기 심의 하부에는 상기 접시부 내면의 나선홈(221)과 나선조립되어지도록 나선돌기(321)가 있는 심상하운동나선부(3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지(18)의 상부에는 심부재(33)가 부착 결합되어 있다.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손으로 상단 용기(13)를 붙잡고, 다른 한 손으로 캡(16)를 잡은 다음 캡(16)을 아래로 내리면 캡(16)과 나선조립되어 있는 이동로드(9)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로드(9) 상부의 접시부(124) 내면의 나선홈(221)과 나선조립되어 있는 심상하운동나선부(322)가 상승하면서 심부재(33)가 상단 용기(13)의 외부로 돌출되어 나오므로서 립브러시, 립스틱(L), 볼터치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립브러시, 립스틱, 볼터치 등의 심부재(33)를 사용하지 아니할 때에는 한 손으로 상단 용기(13)를 붙잡고, 다른 한 손으로 캡(16)을 위로 올리면 심상하운동나선부(322)가 하강하면서 심부재(33)가 상단 용기(13)의 안으로 들어가게 되며, 이와 동시에 개폐부재(30,32) 상부 일단의 커버(36)가 서로 접촉되므로서 보관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는 캡(16)을 책상 등에 대고 눌러서 심부재(33)가 상단 용기(13) 내부로 들어가게 하여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보관상태를 이룰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용기(15)는 캡(16)과 일체로 움직이므로 상하운동에 의한 인출시에는 캡(16)과 하단 용기(15)가 함께 아래로 이동되어 중단 용기(12) 외면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용기 전체 길이가 최대로 증가되며, 상하운동에 의한 수납시에는 중단 용기(12) 외면이 상단 용기(13) 및 하단 용기(15)에 의해 가려지면서 용기 전체길이가 최소로 감소되어 진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개폐부재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개폐부재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패킹(120)과, 개폐부재(30,32)와, 상부, 중부 및 하단 용기(13,12,15)와, 원통형의 슬라이더(92)와, 심지(18)의 구조는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나, 단지 이동로드(9) 하부와 캡(16) 상부의 구조에 있어서 약간의 형태상의 차이가 있다.
즉, 캡(16)의 상하운동을 이동로드(9)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케하는 구성으로서 전술한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이동로드(9) 하부에 별도로 나선홈이 있는 길쭉한 나선회전운동부(112)를 형성함이 없이 단순히 이동로드(9)를 원통관의 구조로 한다. 이때에는 원통관의 내면과 외면에 형성되는 나선홈(221,222)을 각각 역스크류로 형성한다.
그리고, 이동로드(9) 외면에는 이동로드 중심으로부터 반경이 큰 나선홈(221)을 형성하고 대신 도 21의 B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면의 반경이 큰 나선홈(221)과 조립되도록 캡(16)의 나선돌기(55)의 반경을 크게 하기 위하여 캡(16)을 2단으로 형성하고 그 최상부에 나선돌기(55)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 외에도 그 외부에 단계적 인출 및 수납을 위한 걸림장치 등의 구성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뚜껑 및 커버 역할을 하는 한 쌍의 개폐부재(30,32)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단에는 반원형의 커버(36)가 형성되어 있어 서로 마주보면서 닫혀지게 되어 있고, 약간 휘어지듯이 형성하여 상하이동시 상단 용기의 내부와 접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형성하며, 그 중단은 가늘고 얇은 스트립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하단부에는 심지로드(8)에 고정되는 돌기(34)가 절곡되어 기역자(ㄱ)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를 살펴보면,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커버(37)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하단부는 이중돌기(35) 구조로 되어 있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진다.
상기 반원형의 커버(36,3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접촉되는 부분의 단면을 일자형으로 형성하였으나 라운드형, 세모형, 네모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스크류 방식에 적용되는 이동로드와 이동로드 안내관과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6은 도 25의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사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로드(9)는 상단에 접시부(124)가 형성되고, 그 외주면 상부에 돌출턱(60)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슬릿이 형성된 쐐기형상의 고정팁(6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다수의 나선돌기(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시부(124) 내측에는 나선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나선홈(미도시)의 끝단부에는 밀림방지홈(4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림방지홈(44)은 심부재로 사용되는 브러시가 강제적으로 밀려서 내려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나선돌기(64)와 나선홈(미도시)은 서로 반대방향인 역스크류로로 형성시킨다.
상기 이동로드(9)와 결합되는 캡로드(77)은 그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딩홈(47)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 외주면에는 한쌍의 홈(68)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그 내측면에는 상기 나선돌기(64)가 결합되는 나선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로드(9)는 상기 캡로드(77)의 내측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로드(9)의 나선돌기(64)가 상기 캡로드(77)의 나선홈(미도시)과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캡로드(77)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로드(9)가 회전하게 된다.
또한, 중단 용기(12)의 하부 내측으로는 슬라이딩턱(46)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캡로드(77)의 슬라이딩홈(47)과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좌우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세로 방향의 슬라이딩턱(46)이 형성된 구성을 채택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좌우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용기 또는 용기 내부를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 모두 가능하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극히 용이한 형상변경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쐐기형상의 고정팁(62)은 상기 캡로드(77)와 결합되어 이동로드(9)를 당김으로써 상기 캡로드(77)를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로드(9)는 심부재 안내바(80)의 하측에 끼워지는데 이때에는 그 하다 내측에 형성된 원형의 고정홈(61)에 상기 이동로드(9)의 원형의 돌출턱(60)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심부재 안내바(80)는 상부에 심부재로 사용하는 브러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세로홈(미도시함)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바(84)를 구비하고, 그 하단에는 슬롯(8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은 도면상에서는 일견 다르게 보일수 있으나 기능상으로는 본 발명의 화장용품 용기에 적용되는 구성이므로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서와 같은 이동로드(9)에 형성된 밀림방지홈(44)과, 캡로드(77)에 형성된 슬라이딩턱(46) 및 슬라이딩홈(47)등은 화장용품 용기외에도 문방용구, 화필류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에 실린더 방식을 이용한 다용도(화장용구) 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29는 도 27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는 도 27 내지 도 2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와 그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심지로드(8)와 캡로드(10)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2)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실린더(2)의 중간에는 격판(3)이 설치되어 있고, 그 격판에 의해서 좌우로 실린더(2)의 내부가 나뉘어지는 바, 좌측에는 심지로드(8)가 결합되는 제 1챔버(4)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캡로드(10)가 결합되는 제 2챔버(5)로 구획되어진다.
상기 심지로드(8) 및 캡로드(10)의 단부에는 고무패킹, 실리콘 등으로 시일(24) 처리하여 실린더(2)에 결합되어 이동할 때 실린더(2)내의 공기압이 새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실린더(2)의 내주면에는 제 1챔버(4)의 내부에서 제 2챔버(5)의 내부로 연결되는 제 1공기통로(6)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측에는 제 2챔버(5)의 내부에서 제 1챔버(4)의 내부로 연결되는 제 2공기통로(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공기통로(6,7)는 실린더(2)에 결합된 심지로드 및 캡로드(8,10)의 이동시 로드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흐르게 되는 통로로서 제 1챔버(4) 및 제 2 챔버(5)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도 8과 같이 심지로드(8)와 캡로드(10)가 실린더(2)에 결합된 상태(심지로드와 캡로드가 모두 전진되어 있는 상태)에서 어느 일측의 로드 바람직하게는 캡로드(10)를 당기게 되면, 제 2챔버(5)에 있던 공기가 압축됨과 동시에 제 2공기통로(7)를 통해서 제 1챔버(4)로 유입되면서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심지로드(8)가 밀려진다. 즉, 심지로드(8)가 상단 용기(13)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실린더(2)의 외주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슬롯(26)이 길게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도 동일한 폭의 슬롯(26)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롯(26)에는 한쌍의 개폐부재(30,32)가 끼워져서 고정되는데, 일단이 캡로드(10)와 연결되어서 상기 캡로드(10)와 함께 미끄러지면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실린더(2)의 좌우측부에는 심지로드 및 캡로드의 이동시 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시일(24)을 구비시켜서 각각의 패킹마개(21,28)를 설치한다.
한쌍의 개폐부재(30,32)는 그 일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져 돌기(34)가 형성되어 있고, 그 타측에는 커버(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36)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져 개폐부재(30,32)가 상승하였을 때 서로 닫혀져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커버(36)는 바람직하게는 반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커버(36)가 닫혀져서 서로 마주치는 부분의 단면은 일자형, 톱니형, 라운드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심지로드(8)의 일단에는 중심 내측방향으로 결합홈(9)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홈(9)에는 심부재(33)가 구비되는 심지(18)가 결합된다. 심지로드(8)의 타단(헤드부분)은 실린더(2)의 제 1챔버(4)에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캡로드(10)의 일단에도 중심 내측방향으로 결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홈(11)에는 캡(16)의 돌부(17)가 결합된다. 캡로드(10)의 타단(헤드부분)은 실린더(2)의 제 2챔버(5)에 삽입되어 진다.
이와 같은 심지로드(8)와, 캡로드(10)와, 실린더(2)와, 개폐부재(30,32)의 연결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실린더(2)의 제 1챔버(4)와 제 2챔버(5)에 각각의 심지로드(8)와, 캡로드(10)가 결합되어 있고, 실린더(2)의 외주면에 형성된 슬롯(26)에는 개폐부재(30,32)가 끼워져서 고정되며, 개폐부재(30,32)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34)는 상기 캡로드(10)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홈(25)에 각각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캡로드(10)가 움직이게 되면, 상기 개폐부재(30,32)가 상기 실린더(2)에 형성된 슬롯(26)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심지로드(8)는 상기 캡로드(10)와 반대방향으로 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캡로드(10)가 당겨지면 개폐부재(30,32)가 함께 당겨져서 열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압축된 공기가 심지로드(8)를 밀어주어 심지(18)가 나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개폐부재(30,32)의 동작은 상기 심지로드(8)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심지로드(8)에 결합된 심지(18)가 위로 나올 때, 상기 개폐부재(30,32)는 반대쪽인 밑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단 용기(13)의 개구가 열리게 된다.
상술한 구조의 외측으로는 즉, 실린더(2)의 외주면에는 원통형의 중단 용기(12)가 끼워져 고정되고, 이 중단 용기(12)는 탄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서 실린더(2)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 구비되며, 제 1공기통로(6)와 제 2공기통로(7)를 통과하는 공기가 실린더(2) 외측으로 새지 않도록 방지한다.
중단 용기(12)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단 용기(13)가 끼워져서 고정 결합되고, 상기 중단 용기(12)의 하부 외주면에는 하단 용기(15)가 끼워지고, 외주면을 따라 움직인다.
이때, 하단 용기(15)의 하부 단부에는 캡(16)이 결합되며, 상기 캡(16)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부(17)가 캡로드(10)의 결합홈(11)에 끼워지게 되어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심지로드(8)의 결합홈(9)에는 심지(18)의 일단이 결합되어 진다. 상기 심지(18)의 타단에는 화장용 브러시- 예를들어 립브러시, 아이 브러시, 립스틱 등 - 이 끼워져 사용될 수 있으며, 볼펜심, 연필심, 싸인펜 등의 문구필기류가 끼워져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개폐부재가 닫혀진 상태에서 보관되고,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한 손으로는 상단 용기(13)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하단 용기(15)를 잡고 외측으로 당기게 되는바, 이와 같이 하면 하단 용기(15)가 아래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캡로드(10)의 내측 단부가 제 2챔버(5)의 개구측으로 이송된다.
이와 동시에, 캡로드(10)의 내측 단부(헤드부분)에 의해 압축되는 공기는 제 2공기통로(7)를 통해서 심지로드(8)의 내측단부와 제 1챔버(4)의 내측 공간 사이로 압송된다.
즉, 제 2챔버(5)에 있던 공기가 압축되면서 제 2공기통로(7)를 따라서 제 1챔버(4)로 들어가면서 심지로드(8)를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제 2챔버(5)내의 공기가 제 1챔버(4)측으로 이송되면서 그 공기압에 의해 심지로드(8)의 단부가 제 1챔버(4)의 개구측으로 밀리게 되고, 결국 심지로드(8)에 연결된 심지(18)가 상부 방향으로 이송되며, 상대적으로 개폐부재(30)의 커버(36)가 벌려지며 내측으로 인입되어지고, 상기 심지(18)에 결합된 심부재(33)가 인출된다.
여기서 심지로드(8)의 내측 단부가 개구측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제 1챔버(4) 내에 존재하던 공기는 서서히 압축되면서 제 1공기통로(6)로 이송이 이루어지고, 결국 그 통로를 따라 제 2챔버(5) 내측으로 이송되므로 캡로드(10)의 내측 단부가 개구측으로 원할하게 이송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심지(18)를 인출하여 사용한 후, 심지(18)를 내측으로 넣기 위해서는 다시 상단 용기(13)와 하단 용기(15)를 잡고 가볍게 밀면 되는데, 이와 같이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의 이동이 반대로 이루어지면서 개폐부재를 초기의 보관상태와 같이 닫혀진 상태로 복귀시킨다. 상술하면, 상기 하단용기(15)와 결합된 캡로드(10)의 단부가 제 1챔버(5) 쪽으로 이송되면서 그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게 되고 압축된 공기는 제 1공기통로(6)를 통해 개구측 제 1챔버(4)로 이송되어지며, 이와 같이 이송된 공기압은 심지로드(8)의 단부를 제 2챔버(5)의 내측으로 밀어준다.
이는 심지로드(8)의 내측 단부가 제 1챔버(4)의 내측으로 밀리면서 제 1챔버(4)에 존재하던 공기를 압축시키게 되는데, 압축된 공기가 제 2공기통로(7)를 통해 개구측 제 2챔버(5)로 이송되므로 캡로드(10)가 제 2챔버(5) 내측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동작시 상기 캡(18)과 캡로드(10) 사이에 고정된 개폐부재(30,32)는 상승하면서 끝단부의 커버(36)가 상단 용기(13)의 개구측을 막아주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는 심부재(33)와 심지(18)의 인출 및 인입작업이 자동적으로 행해지게 되며, 이물질의 침입을 막아주는 뚜껑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게 된다.
도 30은 본 발명의 각각의 로드 동작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 확대도이다.
실린더 챔버 내에 심지로드(8) 및 캡로드(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캡로드(1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공기가 제 2공기통로(7)를 따라 이동하고, 제 1챔버(4)로 들어가면서 상기 심지로드(8)를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낸다.
좀 더 구체적인 실린더(2)의 공기압 이동동작은 도 27 및 도 28에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로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다용도(필기구) 용기에 개폐부재가 설치되었을 때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스크류 방식을 이용했을 때의 다용도(필기구) 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분해 사시도이다.
우선,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9 및 도 10의 구성과 동일하며, 상기 상단 용기(13)과 고정패킹(14)의 사이에 한 쌍의 개폐부재(30,32)를 끼우고, 상기 개폐부재(30,32)의 하끝단에 형성된 돌기(34)가 캡로드(10)의 끼움홈(42)에 고정되어 상기 캡로드(10)와 함께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심부재(33)로서 볼펜심을 이용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11 및 도 12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물질이 용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부재(30,32)가 더 설치되어 진다.
상기 개폐부재(30,32)는 상술된 구성요소인 캡로드(10)에 그 단부가 고정되어 캡로드(10)와 함께 이동되어 진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로서 스크류 방식을 대칭으로 설치하였을 때의 다용도(화장용구) 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실린더 방식을 대칭으로 설치하였을 때의 다용도(화장용구) 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7은 도 3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패킹(120)과, 개폐부재(30,32)와, 상부, 중부 및 하단 용기(13,12,15)와, 원통형의 슬라이더(92)와, 심지(18)의 구조는 도 19에 도시된 스크류 방식으로서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나, 단지 이동로드(9) 하부와 캡(16) 상부의 구조에 있어서 약간의 형태상의 차이가 있다. 이는 도 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그 구조를 캡(16)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하였을 뿐이다.
다시한번 기술하여 보면, 캡(16)의 상하운동을 이동로드(9)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케하는 구성으로서 전술한 일실시예의 이동로드(9) 하부에 별도로 나선홈이 있는 길쭉한 나선회전운동부(112)를 형성함이 없이 단순히 이동로드(9)를 원통관의 구조로 한다. 그 내주면과 외주면의 나선홈을 역스크류로 형성한다.
이동로드(9) 외면에는 이동로드 중심으로부터 반경이 큰 나선홈(221)을 형성하고 대신 도 21의 B부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면의 반경이 큰 나선홈(221)과 조립되도록 캡(16)의 나선돌기(55)의 반경을 크게 하기 위하여 캡(16)을 2단으로 형성하고 그 최상부에 나선돌기(55)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조를 상기 캡(16)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제조함으로써 양측 모두를 활용한다. 다시말하면, 일측을 화장부재로 사용하고, 타측을 필기구로 사용할 수 있고, 양측 모두를 크기 또는 종류가 다른 화장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양측에 서로 다른 필기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 외에도 그 외부에 단계적 인출 및 수납을 위한 뚜껑 또는 커버 또는 걸림장치 등의 구성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도 21의 실시예를 대칭으로 구성하였을 때의 예를 들었으나 타 실시예에 의한 대칭적인 구성 역시도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이어서,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실린더 방식일 경우, 상기 실린더(2)를 한 개 이용했을 경우의 싱글타입(Single type)에 있어서는 심지로드 및 캡로드가 실린더(2)에 각각 끼워져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린더를 대칭을 이루도록 양측으로 각각 설치하여 이용한 듀얼타입(Dual type)에 있어서는 일단에 각각의 암나사부가 형성된 캡로드(10)를 양방향으로 배열하고, 캡로드(10)의 중간에는 연결구(27)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구(27)의 외주면이 하단용기(15)와 결합 고정되어 캡로드(1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구(27)에는 양단에 수나사부(23)를 형성하여 상기 캡로드(10)의 단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체결하여 연결한다.
상기 연결구(27)는 상기 캡로드(10)의 끝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심지로드(8) 및 캡로드(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연결구(27)에 고정된 개폐부재(30,32)가 심지로드(8)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심지(18)가 인출입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2)의 공기압 이동 동작은 도 27 내지 도 30에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30,32)는 일단에 각각의 돌기(34)를 구비하고, 타단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커버(36)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은 도면상에서는 일견 다르게 보일수 있으나 기능상으로는 본 발명의 화장용품 용기에 적용되는 구성이므로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로드(9)에 형성된 밀림방지홈(44)과, 캡로드(77)에 형성된 슬라이딩홈(47) 및 중간 용기(12)의 슬라이딩턱(46) 등을 동일한 위치 또는 유사한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회전 방지 및 밀림을 방지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는 역스크류 방식 또는 실린더 방식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므로 비교적 적은 수의 부품수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부품 생산공수, 조립공수 및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다른 용기와는 달리 뚜껑을 손으로 열고 닫을 필요가 없이 자동적으로 개폐시키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화장품이 손에 묻을 염려가 없으며, 별도의 뚜껑이 필요없어 분실염려가 없고, 이물질이 낄 염려가 거의 없으며, 한손만으로도 보관상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각 부품의 훼손이 적으므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는 화장용구로서 뿐만 아니라 문구류를 사용하는데에도 전혀 문제가 없으므로 필기류에 적용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효과는 첫째, 뚜껑이 필요없는 등 부품수가 감소되고, 용이하게 조립이 가능하며, 화장용품의 수납시 이물질이 전혀 낄 염려가 없고, 사용시 그 부품의 기스 등의 훼손염려가 없으며, 캡의 상하운동으로 각종 심부재를 용이하게 나올수 있도록 한다.
둘째, 두 손이 아닌 한 손만으로도 보관상태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사용 및 분해조립에 따른 각 부품의 훼손이 없으므로 재활용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다.
셋째, 심부재의 인출 및 수납시 경도가 센 물질간의 마찰에 따른 기스 등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출 수납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넷째, 하단 용기와 캡이 일체로 움직임으로써 상하운동에 의한 인출시에는 용기 전체길이가 늘어나고, 수납시에는 감소되어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다섯째, 본 발명의 스크류방식을 이용한 화장용구 또는 필기구는 역스크류 방식을 이용하여 인출하게 되므로 고장이 적고, 안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화장용구) 용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실린더 방식을 적용한 다용도(화장용구) 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를 필기구로 사용할 때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로서 실린더 방식을 사용한 다용도(필기구) 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로서 스크류 방식의 다용도(화장용구) 용기에 개폐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A부 확대도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0은 도 15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개폐부재를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개폐부재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로서 스크류 방식에 적용되는 이동로드와 이동로드 안내관과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동작을 보여주는 동작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실린더 방식을 이용한 다용도(화장용구) 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8은 도 27의 동작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9는 도 27의 분해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각각의 로드 동작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 확대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로서 스크류 방식을 이용한 다용도(필기구) 용기에 개폐부재가 설치되었을 때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2는 도 31의 분해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스크류 방식을 이용했을 때의 다용도(필기구) 용기의 구조로 심부재로 볼펜심을 이용했을 때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4는 도 33의 분해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로서 스크류 방식을 대칭으로 설치하였을 때의 다용도(화장용구) 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실린더 방식을 대칭으로 설치하였을 때의 다용도(화장용구) 용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7은 도 36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실린더 8 : 심지로드
10 : 캡로드 12 : 중단 용기
13 : 상단 용기 15 : 하단 용기
16 : 캡 18 : 심지
30,32 : 개폐부재

Claims (22)

  1. 상단 용기와; 상기 상단 용기와 하부 내측에 결합되는 중단 용기와; 상기 중단 용기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고,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단 용기와; 일단에 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납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하면서 인출 및 수납되도록 설치되는 심지로드를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단 용기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단부에 양측으로 끼움홈이 형성된 캡과;
    상기 캡을 하부 외측으로 일방향의 나선결합을 하여 캡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고, 상기 심지로드를 상부 내주면에 반대방향으로 나선결합하여 바뀐 회전운동을 다시 심지로드의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심받침대를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끼움홈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는 커버가 구비되어 캡과 함께 이동하면서 용기의 구멍을 개폐해주는 한 쌍의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외면 양측에 개폐부재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하부 외면에 돌출되도록 원형으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접시부의 결합홈과 끼워지는 고정패킹을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킹의 안내홈(114)과 결합되어 직선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세로방향의 안내돌기(113)가 외측에 형성된 심지로드를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용기(15)와 상기 중단 용기(12) 사이에 끼워져서 인출 및 수납시 마찰에 따른 상기 중단 용기(12) 외면의 기스를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는 화장품 용구로서 립스틱, 립브러시, 아이 브러시, 볼터치 브러시 중의 하나를 구비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포켓에 꽂을 수 있는 클립을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8. 상단 용기와; 상기 상단 용기와 하부 내측에 결합되는 중단 용기와; 상기 중단 용기의 하부 외측에 결합되고,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하단 용기와; 일단에 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의 내부에 수납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하면서 인출 및 수납되도록 설치되는 심지와; 상기 심지를 용기의 내외로 인출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일방향을 갖는 나선홈(221)이 일단의 내측에 형성되고, 그 타측에는 상기 나선홈(221)과는 다른 반대방향으로 타단의 외측에 나선돌기(321)가 형성된 이동로드와;
    상기 나선홈(221)과 결합되는 일방향의 나선돌기(321)가 일단의 외측에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심지(18)와 체결되는 수나사부(41)를 구비하는 심지로드와;
    상기 이동로드의 나선돌기(321)가 결합되는 나선홈(111)이 내측에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 수나사부(41)가 형성되며, 세로방향의 슬라이딩홈(47)이 형성된 캡로드를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단에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커버를 구비하고, 하단에는 상기 캡의 끼움홈과 고정되는 고정돌기(34)가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10.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외주면에 수나사부(41)가 형성되고, 내측에 세로방향의 안내홈이 형성되는 고정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11.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로드가 아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나선홈의 끝단에 밀림방지홈이 구비된 이동로드를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12.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로드의 수나사부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하단 내측부에 형성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13.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킹의 수나사부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하부 내측에 형성되는 상단 용기를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14.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캡로드의 수나사부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내측에 형성된 캡을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킹의 안내홈과 결합되어 직선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안내돌기가 좌우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심지로드를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16.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로드의 슬라이딩홈과 결합되어 좌우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슬라이딩턱이 형성되는 중단 용기를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킹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과 결합되어 이동로드의 승강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이동로드를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18.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내측 하단 밑면에 쐐기가 형성되는 심지로드를 포함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19.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는 필기구로서 상단부에 스프링을 구비한 볼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2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는 필기구로서 펜슬, 볼펜, 싸인펜 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2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로는 크레용, 동양화붓, 서양화붓 중의 하나를 화필용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22.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를 인출 및 수납하기 위한 캡로드 및 심지로드를 양방향으로 각각 대칭되도록 설치하고 양측의 상단 용기 외부로 인출되는 심부재를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KR20030014233A 2003-03-07 2003-03-07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KR100494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4233A KR100494640B1 (ko) 2003-03-07 2003-03-07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4233A KR100494640B1 (ko) 2003-03-07 2003-03-07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231A KR20040079231A (ko) 2004-09-14
KR100494640B1 true KR100494640B1 (ko) 2005-06-13

Family

ID=37364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14233A KR100494640B1 (ko) 2003-03-07 2003-03-07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64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364A1 (en) * 2008-05-26 2009-12-03 Joung Chul Kim Multipurpose case
KR101067005B1 (ko) * 2010-10-20 2011-09-22 김종출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WO2013157674A1 (ko) * 2012-04-17 2013-10-24 이복례 다용도 케이스
KR101374230B1 (ko) 2012-04-17 2014-03-13 이복례 개폐부재가 장착된 터치펜
KR20170010475A (ko) 2015-07-20 2017-02-01 남 영 김 스마트 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161B1 (ko) * 2005-08-30 2007-08-30 홍영태 출입구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
KR101289707B1 (ko) * 2007-01-03 2013-07-26 김종출 작동신뢰성이 증진된 개폐부재를 갖는 다용도 케이스
RU2734739C2 (ru) * 2016-07-07 2020-10-22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Выда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364A1 (en) * 2008-05-26 2009-12-03 Joung Chul Kim Multipurpose case
KR101067005B1 (ko) * 2010-10-20 2011-09-22 김종출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WO2013157674A1 (ko) * 2012-04-17 2013-10-24 이복례 다용도 케이스
KR101374230B1 (ko) 2012-04-17 2014-03-13 이복례 개폐부재가 장착된 터치펜
KR20170010475A (ko) 2015-07-20 2017-02-01 남 영 김 스마트 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231A (ko) 2004-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2816B2 (ja) 引出及び収納自在の多用途ケース
US7237973B1 (en) Cosmetic structure
KR102469148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KR100494640B1 (ko)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KR200388883Y1 (ko) 립스틱 용기
CN109393711A (zh) 按压式液体化妆笔
US8985881B2 (en) Lipstick tube
KR100393302B1 (ko) 다용도 케이스
US6382860B1 (en) Safety knock-type writing utensil
CN110169644B (zh) 一种化妆品收纳容器的中束装置
JP2011024772A (ja) 化粧品用容器
KR100753161B1 (ko) 출입구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
US11058206B2 (en) Double-spiral lipstick tube
KR20080062157A (ko)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KR200219581Y1 (ko) 다용도 케이스
KR101289707B1 (ko) 작동신뢰성이 증진된 개폐부재를 갖는 다용도 케이스
KR100453143B1 (ko) 다용도 케이스
KR20090008298U (ko) 샤프뚜껑에 샤프심통이 내장된 샤프펜슬
CN218527989U (zh) 一种防分离的弹跳式口红
CN216135352U (zh) 一种旋出式化妆笔
CN211459162U (zh) 一种可替换笔芯的化妆笔
CN221059842U (zh) 一种使用便捷的眉笔
KR102045054B1 (ko) 화장품 손상 방지구조를 가지는 양방향 동작이 가능한 누름 작동식 화장품 용기
KR102045053B1 (ko) 스크류 분리 방지 기능을 구비한 양방향 동작이 가능한 누름 작동식 화장품 용기
CN218869657U (zh) 双头多功能眉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