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005B1 -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 Google Patents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005B1
KR101067005B1 KR1020100102281A KR20100102281A KR101067005B1 KR 101067005 B1 KR101067005 B1 KR 101067005B1 KR 1020100102281 A KR1020100102281 A KR 1020100102281A KR 20100102281 A KR20100102281 A KR 20100102281A KR 101067005 B1 KR101067005 B1 KR 101067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ouch
pen
stylus pen
low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출
Original Assignee
김종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출 filed Critical 김종출
Priority to KR1020100102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의 단부에 마련된 터치팁이 인출되는 구조를 가지되, 사용자가 편리하게 터치팁을 인출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와 같은 인출구조가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
상부캡과. 하부캡과, 그리고 상기 하부캡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부캡 또는 하부캡의 당김 또는 회전 동작에 의해 외부로의 인출이 이루어지는 터치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치펜부는 도전성 연질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본 발명은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타일러스 펜의 단부에 마련된 터치팁이 인출되는 구조를 가지되, 사용자가 편리하게 터치팁을 인출시킬 수 있으면서도 이와 같은 인출구조가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은 PDA(Personal Digital Assi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셀룰러 폰(Cellular Phone), 타블릿 피시(Tablet PC) 등과 같이 터치스크린이 설치된 단말기(전자 또는 통신기기)dlm 입력장치로 사용된다.
스타일러스 펜의 일단에 형성된 터치팁(Touch tip)이 터치스크린에 접축되면, 입력신호가 발생되고 그 신호에 따라 단말기가 동작하게 된다. 즉 터치스크린 상에는 아이콘, 메뉴 화면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실행시키고자 하는 아이콘, 메뉴 등을 스타일러스 펜으로 누르면 단말기는 해당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스타일러스 펜은 사용자가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거나 단말기에 내장형으로 장착될 수 있는데, 각종 통신기기 등의 전자 기기의 화면이 대부분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사용자들은 전자 기기 개별적으로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스타일러스 펜을 휴대·소장하면서 이를 통해 각종 전자 기기에 대한 명령을 입력을 위한 터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실제로 터치가 이루어지는 가장 중요한 부분은 스타일러스 펜의 전단에 마련된 터치팁인데, 스타일러스 펜을 휴대할 경우 빈번한 사용이 이루어지는 터치팁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
이에 기존 개시된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살펴보면 터치팁을 가리는 별도의 뚜껑이 마련된다던가 아니면 터치팁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인입출되는 구조들이 대부분인데,
특히 기존 인입출식 구조는 인입출 작동에 대한 작동관계가 지나치게 복잡하다던가 부품수가 상당히 많이 들어가고, 또는 작동관계가 간편한 스타일러스 펜의 경우에는 인입출되는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스타일러스 펜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팁의 보호를 위해 터치팁이 인·입출되는 구조로 스타일러스 펜을 구성하되 인입출이 용이하고 인입출시의 각 부품간의 작동 관계 역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휴대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작은 크기로 휴대가 되면서도 사용시에는 간단한 인출작업으로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부품들이 전방으로 인출되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을 잡고 원하는 터치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도성 카본으로 이루어진 붓 타입형을 비롯한 전도성 연질로 이루어지는 터치팁을 도입하여 터치작업시 스크린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위험성을 제거하고 나아가 터치 시 강한 자극에 의해 단말기가 고장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터치팁을 보호하기 위해 분리되는 별도의 뚜껑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팁 인입출 동작에 연대하여 케이스의 입구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차단부재를 구비하여 터치팁을 보호하면서도 휴대성을 강화시킨 스타일러스 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은,
상부캡과. 하부캡과, 그리고 상기 하부캡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부캡 또는 하부캡의 당김 또는 회전 동작에 의해 외부로의 인출이 이루어지는 터치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치펜부는 도전성 연질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상부캡에는 터치펜부가 노출되는 출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캡에는 상기 출입공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개폐부재는 하부캡 일측에 형성되어 전후진에 의해 출입공을 개폐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은,
하부캡에 끼움고정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회동나선홈이 형성되는 장착캡과,
상기 장착캡 내부에 수용되며 외주면에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나선홈을 타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펜부는 상기 회동부재 내부에 수용되고, 외주면에 제2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나선돌기가 상기 회동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회동나선홈을 타면서 이동이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부재와 결합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안내로드가 형성된 로드캡에 의해 상기 터치펜부의 이동은 회전 승하강 이동에서 직선 승하강 이동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는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하부캡은 상부캡 후단을 수용하면서 회전운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상기 하부캡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는 내주면에 제2 회동나선홈이 형성되어 승하강되는 터치펜부를 수용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 하부에 개폐부재가 타고 이동할 수 있는 회동나선돌기가 외주면에 형성된 회동나선돌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의 터치펜부는 상부캡의 당김 작용에 연동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상부캡의 제1 홈부와 끼움결합되는 제1 돌기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하부캡의 제2 홈부와 끼움결합되는 제2 돌기가 구비되되, 제1 돌기와 제1 홈부 간의 끼움결합력이 제2 돌기와 제2 홈부 간의 끼움결합력보다 강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캡 또는 하부캡의 회전 또는 전후진 운동에 연계되어 터치팁이 인·입출되는 조로 스타일러스 펜을 구성하였기에 터치팁에 대한 보호가 가능하면서도 안정된 터치팁 인·입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나아가 티치팁의 구조를 기존 고형물에서 전도성 카본으로 이루어진 붓 타입형을 비롯한 연질의 터치팁으로 구성하였기에 스크린에 대한 터치 작업시 스크래치 발생이 억제되고 고가의 터치스크린이 파손되는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인·입출구조에서 터치팁을 보호하기 위해 분리되는 별도의 뚜껑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팁 인입출 동작에 연대하여 케이스의 입구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차단부재를 구비하였기에 보다 안정된 터치팁 보호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 설명시의 방향성과 관련하여, 터치펜부(70)가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을 전방, 전진, 내지 상부로 표현을 하고, 그 반대 방향 즉, 터치펜부가 스타일러스 펜의 내부로 수용되는 방향을 후방, 후진, 내지 하부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터치펜 즉, 스타일러스 펜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형물로 터치팁을 구성하였던 기존 스타일러스 펜에서 벗어나 전도성을 가지는 유연한 재질로 터치팁을 형성한다.
즉 기존 터치팁에 대응되는 구성의 터치펜부(70)를 우선 살펴보면,
이는 터치부(710)와 상기 터치부를 지지하면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받침부(720)로 구성되고,
본 발명의 제1 및 제 2 실시예의 경우 상기 터치부(710)는 터치팁(711)과 터치대(712)로 구분된다.
특히, 터치팁(711)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데, 다만 터치스크린에 일정 압력으로 눌러주는 힘이 가해져야 하기에 일정 부분 굳기를 가지는 터치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솔 구조로 터치팁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은
하부캡(20)과 상부캡(10)으로 나뉘어 형성되고,
상부캡(10)을 잡고서 하부캡(20)을 후방으로 끌어당기면 상부캡에 형성된 출입공(10a)으로 앞서 언급된 터치펜부(70)가 인출되는 구조이고,
반대로 상부캡(10)을 잡은 상태에서 끌어당겨진 하부캡(20)을 다시 상부 방향으로 밀어주면 인출된 터치펜부(70)가 상부캡 내부로 수용되는 형태이다.
그리고 하부캡 내부에 수용되어 터치펜부를 인·입출시키는 구조를 살펴보면,
하부캡(20)에는 원통형상의 장착캡(30)이 삽입 고정되고(장착캡은 하부캡에 억지끼움 즉 강제삽입되어 하부캡에 고정된다),
상기 장착캡(30) 내부로 회동부재(40)와 터치펜부(70), 그리고 로드캡(50)이 삽입 장착되는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장착캡(30)의 내주면에는 회동나선홈(32)이 형성되고,
장착캡 내부에 삽입되는 회동부재(40)의 나선돌기(42)가 상기 회동나선홈(32)을 타고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참고로, 원통형상의 장착캡 저부 단부에는 하부캡과의 억지끼움시 사용되고 또한 상부캡과의 결합 후 상부캡과의 이동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확장턱(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 역시 회전 운동에 의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회동부재(40)의 내주면에는 제2 회동나선홈(44)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2 회동나선홈(44)은 회동부재에 삽입되는 터치펜부(70)의 제2 나선돌기(74)가 타고 올라가기 위한 로드인 것으로,
하부캡(20)의 후방 인출시 티치펜부(70)의 전방 인출을 위해서 상기 제2 회동나선홈(44)은 장착캡 내주면에 형성된 회동나선홈(32)의 형성 방향과는 반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 상단에는 로드캡(50)이 장착되는데,
상기 로드캡 내주의 하단에는 회동홈(50a)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홈(50a)에 회동부재 상단에 형성된 회동돌기(40a)가 삽입되어 로드캡을 중심으로 회동부재의 360도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제2 회동나선홈(44)을 따라 터치펜부의 제2 나선돌기(74)가 타고 올라가게 되는데,
회동부재(40)에 연동되어 터치펜부(7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변환시키기 위해서 상기 로드캡(50) 내주에는 터치펜부의 안내돌기(75)가 수용되어 이동되기 위한 로드를 제공하는 안내로드(54)가 형성되어 있다.
즉, 터치펜부의 경우 터치부(710)와 받침부(7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치부는 전도성 카본 등과 같은 도전성의 연질로 이루어진 터치팁(711)과 터치대(712)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받침부(720)의 외주면 하단에는 제2 나선돌기(74)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나선돌기는 회동부재 내주면에 형성된 제2 회동나선홈(44)을 타면서 이동되고,
그리고 터치부의 터치대(712) 외주면에는 안내돌기(75)가 구비되는데, 상기 안내돌기(74)는 로드캡 내주면에 형성된 안내로드(54)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로드를 따라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터치팁(711)이 출입공(10a)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회동부재의 최상단에는 걸림턱(미도시)을 형성하여 터치펜부의 제2 나선돌기가 회동부재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나선돌기를 타고 올라가더라도 최종적으로 상기 걸림턱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회동부재의 제2 회동나선홈 상단에는 터치펜부의 제2 나선돌기가 머무를 수 있는 홈 형태의 체류공간(미도시)을 더 마련하여 상기 상부캡 출입공을 거쳐 전방에 노출된 터치펜부가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다시 상부캡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와 같은 걸림턱 내지 체류공간의 구조는 이미 공지된 구조여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 및 도면 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원통형상의 장착캡(30)의 상단에는 개폐부재(60)가 구비되는데,
이는 장착캡과 개폐부재의 재질에 따라 이들을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개폐부재(60)는 상하 이동을 하면서 상부캡에 형성된 출입공(10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재(60)는
장착캡(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개패공(10a)을 막았다 열었다 해주는 개폐헤드(61)와 상기 개폐헤드를 장착캡의 상단까지 연결시키는 슬라이딩판(62)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개폐부재는 장착캡 일측에서만 형성되어 상부캡의 출입공을 차단 내지 개방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헤드는 출입공(10a) 전체를 막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슬라이딩판의 상하 이동시 원활한 출입공(10a)에 대한 개폐를 위해 쉽게 굽힘이 이루어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드캡(5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폐부재 슬라이딩판(62)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슬라이딩로드(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0)에 대한 하부캡(20)의 전·후진 이동에 있어 장착캡에 대한 회동부재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하면서 하부캡(20)의 직진 운동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하부캡의 내주면 상단에는 돌기(20b)를 마련하고,
상부캡에는 즉, 하부캡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캡 부분에는 상기 돌기의 직진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일자형 이동로드(10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b)부분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은 사용자가 상부캡을 잡고서 하부캡을 후방으로 인출시키게 되면, 하부캡과 강제끼움으로 고정장착되어 있는 장착캡(30)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장착캡에 수용되어 있던 회동부재(40)의 나선돌기(42)가 장착캡 내주면에 형성된 회동나선홈(32)을 타고 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됨에 따라 회동부재가 회전을 하면서 전진 이동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터치펜부의 제2 나선돌기(74)가 회동부재 내주면에 형성된 제2 회동나선홈(44)을 타고 전방으로 이동을 하되, 로드캡의 안내로드(54)를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어 있는 터치펜부의 안내돌기(75)에 의해서 전방으로 직진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장착캡에 연결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개폐헤드에 의해 출입공(10a)을 막고 있던 개폐부재(60)는, 장착캡이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출입공을 열게 되고, 열린 출입공으로 터치펜부의 터치팁이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타일러스 펜 사용이 끝나게 되면 사용자는 상기 상부캡을 잡고 하부캡을 반대 방향으로 상부로 밀어주게 되면,
앞서 언급된 운동과는 반대로 작동을 하면서 터치펜부의 터치팁이 후진하면서 스타일러스 펜 내부로 수용되게 된다(도 3 및 4에 도시된 (a) 부분 도면 참조).
다음으로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하부캡을 후방으로 잡아당겨서 터치펜부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는 구조인데 반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하부캡(20)을 회전시킴으로서 터치펜부(70)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터치펜부(70)를 전방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하부캡의 작동은 서로 상이하지만 내부 구조에 있어 공통되는 부분이 다수 있는바, 터치펜부(70) 구조를 비롯하여 이하 설명에서 겹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상부캡(10)과, 상기 상부캡 후단을 수용하며 회전운동을 하는 하부캡(20)과, 상기 상부캡에 수용되며 하부캡의 회전운동에 따라 인출되는 터치펜부(70)와, 터치펜부를 수용하며 하부캡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동부재(40)와, 그리고 하부캡(2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하 이동되면서 상부캡의 출입공(10a)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부재(40)는 그 내주면에 제2 회동나선홈(44)을 형성하여 승하강하는 터치펜부(70)를 수용하는 회동부(420)와, 상기 회동부와 연결되고 외주면에 회동나선돌기(45)가 형성된 회동나선돌기부(4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동나선돌기부 저부는 하부캡(20)의 저면에 고정되는 구조여서, 결국 하부캡을 회전시키면 회동부재 회전 역시 함께 이루어진다.
또한 회동부재의 회동부(420) 외주면 상단에는 회동돌기(40a)가 형성되고 이는 상부캡 내주면에 형성된 회동홈(150a)에 결합되어 하부캡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부캡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부재만의 공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 제2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로드캡 구성이 별도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캡 내부에 로드캡 구조가 도입된다.
즉 상부캡 내부에는 터치펜부의 이동 로드를 제공하는 안내로드(154)가 형성되는바, 터치펜부의 안내돌기(75)가 상기 안내로드(154)를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기에 회동부재는 회전운동을 하지만 회동부재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터치펜부는 직선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제1 실시예의 장착캡 내주면에 형성된 회동홈 역시 제2 실시예에서는 상부캡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60)를 살펴보면,
상기 개폐부재는 상부캡의 출입공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헤드(61)와, 상기 개폐헤드에 연결되는 슬라이딩판(62)과,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판 하단에 결합되는 개폐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개폐대의 내주면에는 회동부재의 회동나선돌기(45)에 대응되는 제3 회동나선홈(65)이 형성되어 개폐대가 회동나선돌기부(440)를 타면서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캡(20)의 회전시 상기 개폐대(63)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고 직선 방향으로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해, 개폐대의 외주면에는 회전방지돌기(67)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캡 내주면에는 회전방지돌기(67)가 수용되어 이동하기 위한 회전방지로드(17)가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나선돌기부가 회전되더라도 회전방지돌기(67)가 회전방지로드(17)를 타면서 직선운동을 유도하여 개폐대는 인위적으로 직선 방향의 승하강 운동을 하게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역시 기존의 스타일러스 펜 구조에서 탈피하여 터치팁에 대응되는 부분을 전도성 카본을 이용한 연질의 구조 내지 솔 구조로 구성한 것으로,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은 하부캡(20)과, 상기 하부캡을 덮는 상부캡(10)과, 일부는 상기 하부캡에 수용되고 일부는 상기 상부캡에 수용되는 것으로 하단이 하부캡에 끼움결합되고 상단이 상부캡에 끼움결합되어 있는 터치펜부(7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터치펜부(70)의 경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전성의 연질 구주로 내지 전도성 카본으로 이루어진 솔 구조로 형성되는 터치부(710)와 상기 터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7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 역시 알루미늄 등의 전도성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720)를 살펴보면, 상단에 제1 돌기(1A)가 형성되어 이는 상부캡(10) 내주면에 형성된 제1 홈부(1B)에 끼움결합(제1 끼움결합)되고,
그리고 받침부 하부에 제2 돌기(2A)가 형성되는데 이는 하부캡(20) 내주면에 형성된 제2 홈부(2B)에 끼움결합(제2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하부캡의 상단은 상부캡과의 결합을 위해 외경이 다른 부분에 비해 축소된 형태이고,
상기 상단에는 상부캡과의 끼움 결합을 위해 제3 돌기(3A)가 형성되고, 이와 접하는 상부캡의 내주면에는 제3 홈부(3B)가 형성되어 이들 역시 끼움결합(제3 끼움결합)된다.
그런데 상기 제1 내지 제3 끼움의 결합정도를 서로 다르게하여 하부캡에 대한 상부캡 분리시 하부캡에 수용되어 있던 터치펜부를 안정적으로 인출시키도록 하는데,
즉, 결합력 정도를 제3 끼움결합, 제2 끼움결합, 그리고 제1 끼움결합 순으로 강하게 하여 사용자가 하부캡을 잡고 상부캡을 잡아당기는 경우,
결합력 정도 차이에 의해
우선 제3 끼움결합이 먼저 해제되면서 상부캡(10)과 하부캡(20)이 분리되고,
다음으로 제2 끼움결합이 해제되면서 이보다 강한 결합력으로 끼움되어 있는 제1 끼움에 의해 터치펜부(70)는 상부로 끌어올려지게되고,
최종적으로 제1 끼움결합이 해제되면서 상부캡이 터치펜부로부터 완전 이탈이 된다.
이때, 상기 하부캡 내주면 상단에는 고정홈(4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돌기(2)가 고정홈에 끼워져 인출된 터치펜부가 고정위치하게 되고 스타일러스 펜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각 끼움결합의 결합력 정도에 차등을 두는 방식은 다양하게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돌기와 홈의 크기에 차등을 두어 결합력 차등을 유도할 수 있는데 가장 큰 결합력이 요구되는 제1 끼움결합의 경우 제1 돌기와 제1 홈부를 가장 크게 구성하고, 나머지 순서대로 작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돌기와 홈 형성 모양에 의해서 결합력 차등을 유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사용자는 손으로 터치펜부를 하부캡 내부로 강제 삽입시킨 후(이때 제2 돌기가 멈춤홈에 삽입 끼움되어 있도록 하는 압력 이상만을 가하면 내부로 이동된다), 상부캡을 하부캡에 결합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스타일러스 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될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부캡 10a; 출입공 10b: 이동로드
150a: 회동홈 154: 안내로드 17: 회전방지로드
20: 하부캡 20b; 돌기
30: 장착캡 31: 확장턱 32: 회동나선홈
40; 회동부재 40a: 회동돌기
42: 나선돌기 44: 제2 회동나선홈
420: 회동부 440: 회동나선돌기부 45: 회동나선돌기
50: 로드캡 50a: 회동홈
52: 슬라이딩로드 54: 안내로드
60: 개폐부재
61: 개폐해드 62: 슬라이딩판 63: 개폐대
65: 제3 회동나선홈 67: 회동방지돌기
70: 터치펜부 74; 제2 나선돌기 75: 안내돌기
710: 터치부 720: 받침부
1A: 제1 돌기 2A: 제2 돌기 3A: 제3 돌기
1B: 제1 홈부 2B: 제2 홈부 3B: 제3 홈부
4B: 고정홈

Claims (9)

  1. 상부캡;
    하부캡; 그리고
    상기 하부캡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부캡 또는 하부캡의 당김 또는 회전 동작에 의해 외부로의 인출이 이루어지는 터치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캡에는 터치펜부가 노출되는 출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캡에는 상기 출입공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개폐부재는 하부캡 일측에 형성되어 전후진에 의해 출입공을 개폐시키는 스타일러스 펜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하부캡에 끼움고정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회동나선홈이 형성되는 장착캡과,
    상기 장착캡 내부에 수용되며 외주면에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나선홈을 타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펜부는
    상기 회동부재 내부에 수용되고,
    외주면에 제2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나선돌기가 상기 회동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회동나선홈을 타면서 이동이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부재와 결합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안내로드가 형성된 로드캡에 의해 상기 터치펜부의 이동은 회전 승하강 이동에서 직선 승하강 이동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캡의 외주면에는 개폐부재의 원활한 상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슬라이딩로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 내주면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캡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가 타고 이동되는 로드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부의 터치팁은 도전성의 연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KR1020100102281A 2010-10-20 2010-10-20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KR101067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281A KR101067005B1 (ko) 2010-10-20 2010-10-20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281A KR101067005B1 (ko) 2010-10-20 2010-10-20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650A Division KR20120041101A (ko) 2011-07-25 2011-07-25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KR1020110073651A Division KR20120041102A (ko) 2011-07-25 2011-07-25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005B1 true KR101067005B1 (ko) 2011-09-22

Family

ID=4495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281A KR101067005B1 (ko) 2010-10-20 2010-10-20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0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674A1 (ko) * 2012-04-17 2013-10-24 이복례 다용도 케이스
KR101374228B1 (ko) * 2012-04-17 2014-03-13 이복례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
KR101374230B1 (ko) 2012-04-17 2014-03-13 이복례 개폐부재가 장착된 터치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640B1 (ko) * 2003-03-07 2005-06-13 김종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KR100691359B1 (ko) 2005-11-07 2007-03-12 박관혁 원터치 개폐 스타일러스펜
KR20100082410A (ko) * 2009-01-09 2010-07-19 (주)쉘라인 스타일러스 펜
KR20100007569U (ko) * 2010-07-01 2010-07-26 이호선 감응식 스타일러스 터치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4640B1 (ko) * 2003-03-07 2005-06-13 김종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KR100691359B1 (ko) 2005-11-07 2007-03-12 박관혁 원터치 개폐 스타일러스펜
KR20100082410A (ko) * 2009-01-09 2010-07-19 (주)쉘라인 스타일러스 펜
KR20100007569U (ko) * 2010-07-01 2010-07-26 이호선 감응식 스타일러스 터치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7674A1 (ko) * 2012-04-17 2013-10-24 이복례 다용도 케이스
KR101374228B1 (ko) * 2012-04-17 2014-03-13 이복례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
KR101374230B1 (ko) 2012-04-17 2014-03-13 이복례 개폐부재가 장착된 터치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0044A1 (en) Universal Dock for Portable Phone
KR101067005B1 (ko)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WO2012115460A2 (ko) 립스틱 용기
KR20060052102A (ko) 컴퓨팅 디바이스의 타블릿 모드와 랩탑 모드 간의 전환을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8600044B2 (en) Supporting device and telephone device
CN102193656A (zh) 笔帽及应用该笔帽的触控笔
EP2543276A1 (en) Lipstick tube
CN204722510U (zh) 带无线充电装置的阅读桌
CN209659530U (zh) 易于翻转充电盒及耳机装置
KR200465348Y1 (ko) 롤 이어폰 및 예비배터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120041101A (ko)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KR20120041102A (ko)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CN107968300A (zh) 一种计算机硬件防尘防水usb插槽
CN205304916U (zh) 一种可拆卸式自拍杆
CN206093413U (zh) 显示装置
CN101605438A (zh) 旋盖机构
CN206657934U (zh) 便携式插排
CN207133778U (zh) 一种带有保护套的键盘
CN206918609U (zh) 一种新型指环扣
CN204682904U (zh) 带有线充电装置及无线充电装置的阅读桌
CN206684619U (zh) 一种触控笔支架及电子设备
CN219499688U (zh) 一种便携式数据采集器
CN214003702U (zh) 一种平板电脑接线端口用防缠绕机构
CN206686362U (zh) 一种便捷式音响
KR101065103B1 (ko) 터치펜이 구비된 휴대단말기 젠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