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228B1 -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 - Google Patents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228B1
KR101374228B1 KR1020120039926A KR20120039926A KR101374228B1 KR 101374228 B1 KR101374228 B1 KR 101374228B1 KR 1020120039926 A KR1020120039926 A KR 1020120039926A KR 20120039926 A KR20120039926 A KR 20120039926A KR 101374228 B1 KR101374228 B1 KR 101374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pening
touch
closing
touch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134A (ko
Inventor
윤선호
윤수성
이복례
Original Assignee
이복례
윤수성
윤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례, 윤수성, 윤선호 filed Critical 이복례
Priority to KR1020120039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228B1/ko
Priority to PCT/KR2012/002937 priority patent/WO2013157674A1/ko
Publication of KR2013011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지하고 다니는 필기구를 휴대폰 및 각종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을 작동시킬 수 있는 터치펜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필기구는 제2케이스를 회전하여 볼펜심을 인출하여 필기구로 사용함과 동시에 제2케이스를 당김 및 올림 동작에 의하여 터치펜의 입구가 개폐되면서 터치팁이 돌출되게 하여 작동의 안정성과 터치팁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케이스;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케이스를 인출 또는 회전시에 터치펜 받침부에 장착된 터치팁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작동부재; 상기 제2케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제3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와 제3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케이스를 회전시켜 볼펜심 받침부에 장착된 볼펜심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Frindle}
본 발명은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지하고 다니는 필기구에 휴대폰 및 각종 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을 작동시킬 수 있는 터치펜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필기구는 제2케이스를 회전하여 볼펜심을 인출하여 필기구로 사용함과 동시에 제2케이스를 당김 및 올림 동작에 의하여 터치펜의 입구가 개폐되면서 터치팁이 돌출되게 하여 작동의 안정성과 터치팁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필기구 특히 볼펜은 뚜껑을 열어서 사용하거나 하단부위를 회전시켜 볼펜심을 인출시켜 사용하거나 버튼을 눌러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볼펜의 경우 단순히 필기구 역할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현재사회에서는 각종 화면을 직접 터치하여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터치식 입력장치가 그 편의성으로 인해 근래 각광받고 있고, 그에 따라 급속히 다양한 터치식 입력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터치식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손이나 터치펜을 이용해 각종 입력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을 터치하면 그 터치위치를 찾아내어 해당하는 명령이 수행되도록 하는 입력장치로서, 현재 스마트폰, MP3, PDA, PMP, 네비게이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터치식 입력장치에서 터치 포인트를 찾아내는 방식에는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정정용량식, 초음파식, 적외선식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중 정전용량식은 유전체를 사이에 두고 있는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에 형성(충전)되어 있는 정전용량이 사용자가 손이나 터치펜으로 상부 전극을 터치시에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포인트를 찾아내는 방식이며, 정전용량식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터치하는 터치펜에 대한 개발이 현재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의 터치펜은 도전성 고무팁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무팁으로는 필기구 역할을 하지 못하므로 단순히 터치펜 기능을 할 뿐이다.
따라서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볼펜의 개발이 시급할 실정이다.
또한, 현재 개발된 터치펜의 경우 단순히 로드에 단부에 도전성 재질의 흑연이 함유된 고무 터치팁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고무 터치팁을 장기관 외부에 노출될 경우 이물질이 달라붙게 되어 작동성능을 떨어트리거나 고무 터치팁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전성 터치팁을 보호하기 위하여 뚜껑 등을 끼워서 사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 경우 터치펜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뚜껑을 분리해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 뚜껑 분실의 문제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필기구에 터치펜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필기와 스마트폰 등 각종 터치스크린을 터치펜으로 조작할 수 있는 터치펜 기능을 부가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제1케이스를 잡고 제2케이스를 회전시 개폐부재가 아래로 하강하고, 필기구의 볼펜심이 상승하여 인출되는 작업이 안정적인 터치펜 기능을 부가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도전성 터치팁이 장착된 터치펜에서 터치팁을 보호하기 위한 뚜껑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터치펜 기능을 부가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4목적은 제2케이스를 회전 내지 인출할 경우에 터치팁이 정확히 외부로 인출되게금 하여 터치펜의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터치펜 기능을 부가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터치팁의 진행 방향과 개폐부재의 진행방향을 반대로 하여 터치팁과 개폐부재의 충돌을 방지하여 터치팁의 청결 및 보관 상태를 우수하게 할 수 있는 터치펜 기능을 부가한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제1케이스;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케이스를 인출 또는 회전시에 터치펜 받침부에 장착된 터치팁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작동부재; 상기 제2케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제3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와 제3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케이스를 회전시켜 볼펜심 받침부에 장착된 볼펜심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부재와 제2케이스 사이에 마련되어 터치팁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진행하면서 제1케이스의 입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부재와 제2케이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볼펜심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진행하면서 제3케이스의 입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부재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펜심 받침부에 형성된 회동돌기가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승하강 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하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가 더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로드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제2개폐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부재가 제2개폐부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개폐부재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터치펜 받침부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면서 터치펜 받침부를 수용하는 로드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부재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터치펜 받침부에 형성된 회동돌기가 상기 회동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승하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작동부재의 외주면에는 회동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의 회동부재가 승하강 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간케이스가 더 포함되어 제2케이스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개폐부재는 상기 제1케이스의 입구를 개폐하는 연질의 개폐부, 상기 개폐부에 연장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 하단에 연장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는 승하강부재가 제2케이스와 중간케이스 사이에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승하강부재의 내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케이스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드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부재는 제1개폐부재의 개폐부를 가이드하는 개폐부 가이드, 상기 연결부를 가이드하는 연결부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부 가이드는 로드케이스 상단까지 연장 형성되어 로드케이스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필기구에 터치펜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별도로 터체펜을 들고 다니는 등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둘째, 필기구의 볼펜심을 개폐부재를 사용하여 볼펜심을 인출시에는 개폐부재가 아래로 내려가고 볼펜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개폐부재가 케이스의 입구를 닫아 볼펜심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볼펜심의 청결상태를 좋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세째, 터치펜의 도전성 터치팁을 보호하는 뚜껑을 구비하지 않고 터치팁과 반대로 운동하는 개폐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뚜껑의 분실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네째, 터치팁의 인출정도와 개폐부재의 이동간격이 동일하게 하여 작동의 신뢰성을 극복할 수 있으며,
다섯째, 터치팁을 사용중에만 외부로 노출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케이스 입구를 개폐부재를 사용하여 닫음으로써 터치팁의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터치팁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섯째, 개폐부재가 각종 작동부재 및 터치펜 받침부의 운동을 간섭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터치펜 받침부 및 작동부재의 작동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필기구의 결합상태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결합 및 작동상태도.
도 3는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필기구의 결합상태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결합 및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3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필기구(20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0); 상기 제1케이스(10)에 삽입설치되는 로드케이스(20); 상기 로드케이스(20)에서 승하강 하는 터치펜 받침부(30); 상기 터치펜 받침부(30)를 승하강시키면서 터치펜 받침부(30)를 수용하는 작동부재(40); 상기 작동부재(40)를 승하강시키면서 작동부재(40)를 수용하는 중간케이스(50); 상기 로드케이스(20)의 외주연에서 승하강 하면서 수용부재(70)에 고정되는 제1개폐부재(60); 상기 중간케이스(50)와 결합하는 제2케이스(80); 상기 제2케이스 (80)하부에 위치하는 제3케이스(210); 상기 제3케이스(210)에 수용되는 로드케이스(220); 상기 로드케이스(220)에 수용되면서 승하강 되는 볼펜심 받침부(230); 상기 볼펜심 받침부(230)를 수용하면서 볼펜심 받침부(230)를 승하강 시키는 회전부재(240); 상기 회전부재(240)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246a)이 형성된 로드(246)에서 승하강하는 제2개폐부재(260); 상기 회전부재(240)의 로드(246)는 제2케이스(80)에 고정 결합된다.
이하에서, 터치펜(100)을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로드케이스(20)의 외주연에는 후술할 제1개폐부재(60)의 개폐부(62)와 연결부(64)를 가이드하기 위한 개폐부 가이드(22), 연결부 가이드(2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케이스(20)의 내부는 터치펜 받침부(30)를 수용하면서 터치펜 받침부(30)를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 가이드(22)는 로드케이스(20) 상단까지 연장형성되어 개폐부(62)에 의해 로드케이스(20)의 입구가 개폐된다.
또한, 상기 로드케이스(20)의 내주면에는 단턱부(26)가 형성되어 있어 터치펜 받침부(30)의 상승폭을 제한한다,
상기 터치펜 받침부(30)의 상단에는 터치팁(34)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편(37)의 하부에는 돌기(32)가 형성되어 상기 터치펜 받침부(30)가 로드케이스(20)에서 안정적으로 승하강함과 상기 로드케이스(20)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부(26)에 돌기(32)가 걸려 터치펜 받침부(30)가 외부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터치팁(34)은 고무에 흑연 분말을 혼합한 재질로 이루어져 도전성을 띄고 있어, 정전용량식 스크린에 터치할 경우 전류가 감지되어 정보가 출력되게 된다.
또한, 상기 터치펜 받침부(30)의 하단에는 회동돌기(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돌기(36)는 후술할 작동부재(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2)과 결합하여 승하강을 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재(40)의 하단에는 회동부재(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는 후술할 중간케이스(50)의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산(52)과 결합하여 승하강을 하게 된다.
상기 터치펜 받침부(30) 하단에 형성된 회동돌기(36)와 상기 작동부재(40) 하단에 형성된 회동부재(44)는 회전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어 상기 터치펜 받침부(30)가 상승할 경우에는 상기 중간케이스(50)는 하강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케이스(50)는 내주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산(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에는 제1개폐부재(60)와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 홈(54)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하부케이스(8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개폐부재(60)는 제1케이스(10)의 입구를 개폐하는 연질의 개폐부(62), 상기 개폐부(62)에 연장 형성된 연결부(64), 상기 연결부(64) 하단에 연장 형성된 체결부(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66)와 결합하는 수용부재(70)가 중간케이스(50) 외주연에 형성된 가이드 홈(54)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특히 수용부재(70)의 내주면에는 돌기(72)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72)가 가이드 홈(54)에 결합되면서 제1개폐부재(60)의 체결부(66)를 중간케이스(50)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개폐부재(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70)가 중간케이스(50) 외주연에 결합 고정되어 제1케이스(10)와 로드케이스(20) 사이의 빈 공간에서 승하강하는데, 상기 개폐부(62)는 로드케이스(20)에 형성된 개폐부가이드(22), 상기 연결부는 연결부가이드(24)에 의하여 가이드되며, 상기 중간케이스(50)와 강제 조립된 제2케이스(80)에 대한 당김 및 올림 동작에 의하여 승하강되며 제1케이스(10)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개폐부(62)는 상기 제1케이스(10)의 입구보다 단면적이 넓은 연질의 재질을 사용하는데, 상기 제2케이스(80)를 당길 때에는 당김 정도만큼 제1개폐부재(60)가 아래로 하강하여 제1케이스(10)의 입구를 막고 있던 연질의 개폐부(62)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로드케이스(20)와 제1케이스(10)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하여 개폐부(62)가 펴지게 되고,
상기 제2케이스(80)를 올릴 경우에는 터치펜 받침부(30)가 로드케이스(20)의 단턱부(26)에 의하여 상승 운동이 제한될 때까지 개폐부(62)는 상승을 하게 되고, 연질의 개폐부(62)가 상기 로드케이스(20)의 입구에서 구부러져서 상기 제1케이스(10)의 입구를 막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 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0)를 잡고 제2케이스(80)를 아래로 당기면 제2케이스(80)와 강제 조립된 중간케이스(50)와 중간케이스(50) 외주연에 고정된 제1개폐부재(60)는 아래로 내려오면서 제1케이스(10)의 입구를 막고 있던 제1개폐부재(60)가 아래로 하강하면서 제1케이스(10)의 입구가 열림 상태로 되고,상기 중간케이스(5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2)에 결합된 작동부재(40)의 회동부재(44)가 나사산(52)을 타고 중간부재(50)가 아래로 하강하고, 터치펜 받침부(30)의 회동돌기(36)가 상기 작동부재(40)에 형성된 나사산(42)을 타고 위로 상승하게 되면서 터치팁(34)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 것이다.
도 2b 상태에서 제2케이스(80)를 위로 올리면 도 2a의 상태가 되는 것이고, 제1케이스(10)를 잡고 제2케이스(80)를 위로 올리면 제2케이스(80)와 강제조립된 중간케이스(50)와 중간케이스(50) 외주연에 고정된 제1개폐부재(60)는 위로 올라오면서 터치펜 받침부(30)가 하강하게 되면서 제1개폐부재(60)가 제1케이스(10)의 입구를 막게 되고, 상기 터치펜 받침부(30)의 하강동작은 상기 중간케이스(5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2)에 결합된 작동부재(40)의 회동부재(44)가 나사산을 타고 위로 상승하게 되고, 터치펜 받침부(30)의 회동돌기(36)가 상기 작동부재(40)에 형성된 나사산(42)을 타고 아래로 하강하면서 도 2a의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제1케이스를 잡고 제2케이스를 회전시킨 경우 터치펜 받침부가 상승하면서 개폐부재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태는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4에 의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설명에서 제외되는 부분은 도 1 및 2의 실시예와 구성상태가 동일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10), 상기 제1케이스(10)에 수용되는 로드케이스(20), 상기 로드케이스(20) 내부에서 승하강 하는 터치펜 받침부(30), 상기 터치펜 받침부(30) 하단에 형성된 회동돌기(36)와 결합하면서 터치펜 받침부(30)를 승하강시키는 작동부재(40); 상기 작동부재(40)와 강제조립되는 제2케이스(80); 상기 작동부재(40)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승하강 되면서 제2케이스(80)에 수용되는 제1개폐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부재(40)의 하부에는 나사산(46a)이 형성된 로드(46)가 더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개폐부재(60)의 하단에는 작동부재(40)의 로드(46)의 나사산(46a)과 결합하면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재(6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부재(68)의 내주면에는 작동부재(40)의 로드(46)의 나사산(46a)과 결합하여 승하강 하기 위한 돌기(68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근거한 작동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10)를 잡고 제2케이스(8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개폐부재(60)의 승하강부재(68)의 돌기(68a)가 작동부재의 로드(46)의 나사산(46a)을 타고 내려오면서 제1케이스(10)의 입구가 열리게 되고, 상기 터치펜 받침부(300의 회동돌기(36)가 상기 작동부재(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2)을 타고 오르면서 상승하게 되어 터치팁(34)의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도 4b 상태에서 제1케이스(10)를 잡고 제2케이스(8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1개폐부재(60)의 승하강부재(68)가 작동부재(40)의 로드(46)의 나사산(46a)을 타고 올라오면서 제1케이스(10)의 입구가 닫게 되고, 상기 터치펜 받침부(30)의 회동돌기(36)가 상기 작동부재(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42)을 타고 내려오면서 하강하게 되어 터치팁(34)의 상기 로드케이스(20) 내로 위치되어 도 4a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필기구, 특히 볼펜(200)을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볼펜심 받침부(230) 상단에는 돌기(232)가 형성되어 로드케이스(220) 내에서 볼펜심 받침부(230)가 안정적으로 승하강 할 수 있으며, 하단에는 회동돌기(236)가 형성되어 회전부재(2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42)을 타면서 승하강된다.
상기 로드케이스(220) 외주연에는 제2개폐부재(260)의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가이드 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볼펜심 받침부(230)의 회동돌기(236)와 결합하여 승하강하고, 상기 회전부재(240)의 하단에는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42)과 반대 방향의 나사산(246a)이 형성된 로드(2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드(246)의 나사산(246a)은 제2개폐부재(260)의 승하강부재(268)에 형성된 돌기(268a)와 체결되어 제2개폐부재(260)가 승하강 할 수 있다.
상기 제2개폐부재(260)의 상단에는 제3케이스(210)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2개의 개폐편(262); 상기 개폐편(262)과 연결된 연결편(264), 상기 연결편(264) 하단에 형성된 원형의 승하강부재(268)가 한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개폐부재(260)의 연결편(262)은 상기 로드케이스(20)의 외주연에 형성된 가이드 홈(222)을 타고 회전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되어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2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42)과 회전부재(240)의 하단에 형성된 로드(246)의 나사산(246a) 방향을 반대로 함으로써 볼펜심 받침부(230)가 상승할 경우에는 제2개폐부재(260)가 하강하고, 상기 볼펜심 받침부(230)가 하강할 경우에는 제2개폐부재(260)가 상승되어 제3케이스(210)의 입구를 막게 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케이스(210)를 잡고 제2케이스(8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개폐부재(260)의 승하강부재(268)가 회전부재(240)의 로드(246)의 나사산(246a)을 타고 올라가면서 제3케이스(210)의 입구가 열리게 되고, 상기 볼펜심 받침부(230)의 회동돌기(236)가 상기 회전부재(2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42)을 타고 내려오면서 상승하게 되어 볼펜심(234)의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도 2b 상태에서 제3케이스(210)를 잡고 제2케이스(8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2개폐부재(260)의 승하강부재(268)가 회전부재(240)의 로드(246)의 나사산(246a)을 타고 내려오면서 제3케이스(210)의 입구가 닫히게 되고, 상기 볼펜심 받침부(230)의 회동돌기(236)가 상기 회전부재(2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42)을 타고 올라가면서 승강하게 되어 볼펜심(234)이 상기 로드케이스(220) 내로 위치되게 되어 도 2a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터치펜(100) 기능이 부가된 볼펜(2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볼펜(200) 및 터치펜(100)의 순서를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볼펜 및 터치펜 순서가 반대로 된 구성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스타일러스 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될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터치펜
10: 제1케이스
20: 로드케이스 22: 개폐부가이드
24: 연결부가이드 26: 단턱부
30: 터치펜 받침부 32: 돌기
34: 터치팁 36: 회동돌기
37: 고정편 40: 작동부재
42: 나사산 44: 회동돌기
46: 로드 46a: 나사산
50: 중간케이스 52: 나사산
54: 가이드 홈 56: 결합부
60: 제1개폐부재 62: 개폐부
64: 연결부 66: 체결부
68: 승하강부재 68a: 돌기
70: 수용부재 72: 돌기
80: 제2케이스
200: 볼펜 210: 제3케이스
220: 로드케이스 222: 가이드 홈
230: 볼펜심 받침부 232: 돌기
234: 볼펜심 236: 회동돌기
240: 회전부재 242: 나사산
246: 로드 246a: 나사산
260: 제2개폐부재 262: 개폐편
264: 연결편 268: 승하강부재
268a: 돌기

Claims (10)

  1. 제1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케이스 당김시 터치펜 받침부 상단에 장착된 터치팁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작동부재;
    상기 작동부재와 제2케이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터치팁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진행하면서 제1케이스의 입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
    상기 제1개폐부재와 터치펜 받침부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면서 터치펜 받침부를 수용하는 로드케이스;
    상기 작동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회동부재가 승하강 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간케이스;
    상기 제2케이스 하부에 위치하는 제3케이스;
    상기 제3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케이스를 회전시켜 볼펜심 받침부 하단에 장착된 볼펜심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제2케이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볼펜심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진행하면서 제3케이스의 입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볼펜심 받침부에 형성된 회동돌기가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승하강 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로드가 더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로드의 나사산에 결합되어 제2개폐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승하강부재가 제2개폐부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작동부재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터치펜 받침부에 형성된 회동돌기가 상기 작동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승하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개폐부재는 제1케이스의 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제1 케이스의 입구보다 단면적이 넓은 연질의 개폐부, 상기 개폐부에 연장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 하단에 연장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는 수용부재가 제2케이스와 중간케이스 사이에 더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재의 내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중간케이스 외주연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결합되면서 상기 체결부를 중간케이스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중간케이스의 하단에는 제2 케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로드케이스 외주면에는 상기 개폐부를 가이드하는 개폐부 가이드, 상기 연결부를 가이드하는 연결부 가이드가 형성되되,
    상기 개폐부 가이드는 로드케이스 상단까지 연장 형성되어 로드케이스의 입구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터치펜 받침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터치펜 받침부가 로드케이스에서 안정적으로 승하강함과 동시에 로드케이스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부에 걸려 상승 정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터치펜 받침부의 상단에는 터치팁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터치팁은 고무에 흑연 분말을 혼합한 재질로 이루어져 도전성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39926A 2012-04-17 2012-04-17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 KR101374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926A KR101374228B1 (ko) 2012-04-17 2012-04-17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
PCT/KR2012/002937 WO2013157674A1 (ko) 2012-04-17 2012-04-18 다용도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926A KR101374228B1 (ko) 2012-04-17 2012-04-17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134A KR20130117134A (ko) 2013-10-25
KR101374228B1 true KR101374228B1 (ko) 2014-03-13

Family

ID=4963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926A KR101374228B1 (ko) 2012-04-17 2012-04-17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2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1281A1 (de) * 2016-02-04 2017-08-10 C. Josef Lamy Gmbh Schreibgerä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25A (ko) * 2000-08-25 2001-01-05 김종출 다용도 케이스
KR20080062157A (ko) * 2006-12-29 2008-07-03 김종출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KR20100008451U (ko) * 2009-02-17 2010-08-26 송용복 터치펜 겸용 필기구
KR101067005B1 (ko) * 2010-10-20 2011-09-22 김종출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225A (ko) * 2000-08-25 2001-01-05 김종출 다용도 케이스
KR20080062157A (ko) * 2006-12-29 2008-07-03 김종출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KR20100008451U (ko) * 2009-02-17 2010-08-26 송용복 터치펜 겸용 필기구
KR101067005B1 (ko) * 2010-10-20 2011-09-22 김종출 안정된 터치팁 인출구조를 가진 스타일러스 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134A (ko) 201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07696U (zh) 手写笔
US20190160853A1 (en) Knock type pen
TWI546647B (zh) 可閉合之電子裝置
KR101374228B1 (ko)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
KR101374230B1 (ko) 개폐부재가 장착된 터치펜
JP2014128458A (ja) 電子機器収納ケース及び電子機器収納ケースセット
KR200469825Y1 (ko) 터치펜
US10369836B2 (en) Knock type pen
CN203366248U (zh) 一种电容触控笔的笔头结构
US8248390B2 (en) Electronic device
CN101670733A (zh) 触控笔
ITRM20130660A1 (it) Penna magnetica.
CN202795258U (zh) 触控笔
CN220607628U (zh) 一种手写板文具盒
US9684391B1 (en) Telescopic mechanism and touch tool for writing instrument or the like
KR101063376B1 (ko) 터치 펜
CN217386320U (zh) 一种多功能触控笔
KR200356746Y1 (ko) 다용도 필기구
WO2013157674A1 (ko) 다용도 케이스
CN202615334U (zh) 一种触控笔
CN205485994U (zh) 一种具有触摸书写功能的笔
CN214954762U (zh) 基于防摔设计的新型平板电脑
CN202225605U (zh) 一种控制方便的录音笔
KR200447062Y1 (ko) 스타일러스 펜을 갖는 필기구
KR20110002410U (ko)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