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410U -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 - Google Patents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410U
KR20110002410U KR2020090011519U KR20090011519U KR20110002410U KR 20110002410 U KR20110002410 U KR 20110002410U KR 2020090011519 U KR2020090011519 U KR 2020090011519U KR 20090011519 U KR20090011519 U KR 20090011519U KR 20110002410 U KR20110002410 U KR 201100024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button
space
receiving space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예람
Original Assignee
오예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예람 filed Critical 오예람
Priority to KR2020090011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410U/ko
Publication of KR20110002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4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4Arrangements for feeding ink to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8Movable closure or g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14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coreless tubular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16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tubular writing-points comprising a movable cleaning element
    • B43K8/18Arrangements for feeding the ink to the writing-point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상분필 액체수용공간에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버튼(1)이 눌리면 이에 연결되어있는 하부마개가 내려가게 되고, 외부케이스(2)에 있는 통로를 통해 액체수용공간으로 공기가 들어가게 되는 구조이다.
액상분필

Description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The cap of the liquid chalk that can control the liquid expropriation space airpressure}
액상분필은 잉크수용공간(본 고안의 액체수용공간과 동일한 공간, 이하동일)에 수용된 잉크가 필기를 할 수 있는 촉심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칠판 필기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액상분필은 기존의 칠판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가루 등이 발생하지 않아서 앞으로 그 이용이 확대될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24341호(고안의 명칭 : 잉크의 누설을 방지하는 액상분필)에 의하면 촉심에 압력이 가해지면 잉크의 이동유로가 개방되어 촉심에 잉크가 공급되고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잉크의 이동유로가 폐쇄되어 촉심을 통한 잉크의 공급이 중단되는 기술이다.
그러므로 촉심으로의 잉크의 공급은 촉심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액상분필은 잉크수용공간에 수용된 잉크가 필기를 할 수 있는 촉심으로 이동 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칠판 필기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액상분필은 기존의 칠판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가루 등이 발생하지 않아서 앞으로 그 이용이 확대될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런데, 잉크수용공간의 잉크는 필기를 하다 보면 잘 나오지 않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24341호(고안의 명칭 : 잉크의 누설을 방지하는 액상분필)에 의하면 촉심에 압력이 가해지면 잉크의 이동유로가 개방되어 촉심에 잉크가 공급되고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잉크의 이동유로가 폐쇄되어 촉심을 통한 잉크의 공급이 중단되는 기술이다.
그러므로 촉심으로의 잉크의 공급은 촉심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잉크수용공간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낮으면 촉심으로 내려오게 되는 잉크의 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흡수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필기자가 오랜시간동안 칠판에 필기를 할 수 없을 뿐더러, 옅고 얇게 나옴으로써 보는사람에게 잘 보이지 않게 된다.
게다가 외부로부터 촉심을 통해 들어오는 공기로 인하여 촉심 내부에는 잉크의 찌꺼기가 남아있게 되고, 그로 인하여 위와 같은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잉크수용공간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낮을 경우 오랜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촉심에 압력을 가해줘야 하는 불편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 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체수용공간과 외부의 기압을 맞추어 액체가 보다 더 잘 나올 수 있도록 하고 촉심으로의 잉크의 공급이 빠르고 한번에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촉심의 내부에 찌꺼기가 가능한한 느리게 형성되게 하고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잘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액상분필의 뒷부분의 마개로 사용하되 외부케이스(2)에는 액체수용공간으로 통할 수 있는 구멍이 세 개 존재하며, 외부케이스(2)에는 버튼(1)이 들어가 고정이 될 수 있도록 낮은 턱이 있으며, 턱의 높이는 스프링(3)을 돌려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낮게 형성한다.
본 고안은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과 외부의 기압을 맞춰주는 역할을 함은 물론이고 촉에 생기는 찌꺼기가 보다 더 느리게 형성되게 해줌으로써 촉의 수명을 연장시켜줌은 물론이고 필기자로 하여금 번거로움을 없애줄 수 있다. 액체가 더욱 짙게 나올 수 있게 해줌으로써 보는 사람은 필기 내용을 더욱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액상분필은, 잉크가 수용되는 본체관; 상기 본체관에 수용된 잉크를 공급받아 필기를 할 수 있는 촉심; 상기 본체관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기 촉심이 삽입 배치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촉심을 지지하는 촉심지지체; 상기 촉심지지체에 결합되어 상기 촉심을 보호하는 뚜껑; 상기 마개가 상기 본체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1)이 눌리면 액체수용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외부와의 기압을 맞추고, 상기마개가 상기 본체관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1)이 눌리지 않으면 액체수용공간과 외부의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1)은 사람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아래로 눌리게 되면 상기 하부마개가 상기 하부통로보다 아래로 내려감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액체수용공간으로 유입되고 사람의 누르는 힘이 더이상 작용하지 않게 되면 상기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위로 올라오게 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하부마개가 올라와 외부케이스(2)의 상기 하부통로를 다시 막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3)의 탄성력은 상기 버튼(1)이 상기 외부케이스(2)의 턱을 넘게 할만한 힘을 가지지 않고, 상기 버튼(1)이 눌림으로써 상기 스프링(3)이 압축되어 상기 외부케이스(2)의 외부와 통하는 통로를 막지 않도록 하는 것을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1)의 턱은 상기 외부케이스(2)의 턱의 높이와 같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3)을 상기 외부케이스(2)의 내부에 넣을시 나선의 방향대로 돌려서 넣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케이스(2)의 턱은 상기 버튼(1)과 상기 스프링(3)이 원활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꾸로 떨어져 버튼이 눌려 액체가 새는 경우에는 최대한 적게 나오게 하기 위해 상기 하부마개의 크기를 최대한 적게 하되 상기 버튼(1)과 상기 하부마개를 연결해주는 상기 니들(Needle)보다는 지름을 크게 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1)과 상기 니들(Needle), 상기 하부마개는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1)의 상기 하부마개와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기 하부통로의 지름은 같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기구의 외형을 나타내기 위한 입체도로 도 3, 도 4 및 도 5의 단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기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도 1의 도 3 방향에서 본 수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액상분필의 크기에 따른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부 구멍의 크기에 맞춰 상기 버튼(1)과 상기 스프링(3)을 상기 외부케이스(2) 안에 넣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의 턱과 상기 버튼(1)의 턱의 높이는 같게 하도록 하고 그 높이는 낮게 하도록 한다.
도 3의 빗금친 부분은 빈 공간이다.
도 4는 본 고안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기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 한 도 1의 도 4 방향에서 본 수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빗금친 부분은 빈 공간이다.
도 5는 본 고안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기구의 상기 버튼(1)이 눌렸을 경우의 모습을 도 1의 도 5방향에서 본 수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1)이 눌렸을 경우 이에 연결되어있는 상기 하부마개가 아래로 내려감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2)의 외부 공기와 통하는 통로를 거쳐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기 하부 통로를 거쳐 액체수용공간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도 5의 빗금친 부분은 빈 공간이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할 것이다.
도 1 - 본 고안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의 외형 및 도 3, 도 4, 도 5 의 시점을 나타내기 위한 입체도.
도 2 - 본 고안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도.
도 3 - 본 고안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수평단면도.
도 4 - 본 고안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수평단면도.
도 5 - 본 고안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 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의 작동시 단면을 나타내기 위한 수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버튼
2 : 외부케이스
3 : 스프링

Claims (1)

  1. 본 고안은 액상분필의 뒷부분의 마개로 사용하되 상기 외부케이스(2)에는 액체수용공간으로 통할 수 있는 구멍이 세 개 존재하며, 액체수용공간에 상기 버튼(1)이 들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낮은 턱이 있으며, 턱의 높이는 상기 스프링(3)을 돌려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낮게 형성한다.
    상기 스프링(3)의 탄성력은 상기 버튼(1)을 바깥으로 밀어낼 만큼 큰 탄성력을 지니지 않는다.
    상기 외부케이스(2)에는 외부와 통하는 통로 두개, 액체수용공간과 통하는 통로 하나를 지니고 있다.
    상기 버튼(1)과 상기 니들(Needle), 상기 스프링(3)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되어있어 다같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
KR2020090011519U 2009-09-02 2009-09-02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 KR201100024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519U KR20110002410U (ko) 2009-09-02 2009-09-02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519U KR20110002410U (ko) 2009-09-02 2009-09-02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410U true KR20110002410U (ko) 2011-03-09

Family

ID=4420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519U KR20110002410U (ko) 2009-09-02 2009-09-02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241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662B1 (ko) * 2011-08-23 2013-03-27 최선웅 구부러진 액상분필
DE112012001373T5 (de) 2011-03-23 2013-12-19 In Soo Hwang Leicht erkennbarer industrieller Luftschlau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2001373T5 (de) 2011-03-23 2013-12-19 In Soo Hwang Leicht erkennbarer industrieller Luftschlauch
KR101246662B1 (ko) * 2011-08-23 2013-03-27 최선웅 구부러진 액상분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6381B1 (ko) 마커펜
US5518331A (en) Refillable ink pen
KR20110002410U (ko) 액상분필의 액체수용공간기압조절이 가능한 마개
KR101403576B1 (ko) 가루 볼펜
KR200495581Y1 (ko) 노크식 펜
JP2009029028A (ja) ノック式筆記具
KR100854649B1 (ko) 필기 보드용 잉크펜
KR101092117B1 (ko) 민속공예 필기구
KR20120119723A (ko) 액상백묵의 액체 수용공간의 기압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더
US20060013636A1 (en) Pen
KR200351023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KR20110004723U (ko) 샤프심 투입구가 스위치로 되어있는 샤프
KR200356746Y1 (ko) 다용도 필기구
CN201808319U (zh) 多功能多色笔
CN201268170Y (zh) 新式钢笔
KR20170098420A (ko) 손잡이 부분에 볼펜 누르개가 달려있는 원버튼식 볼펜
KR20110005187A (ko) 수정액 볼펜
KR20110009675U (ko) 보드마카
KR200172652Y1 (ko) 안전볼펜
KR200299415Y1 (ko) 필기구 결합형 악세서리용 풍선
KR101952839B1 (ko) 보드용 펜
CN203014908U (zh) 一种两用手机笔
KR200482575Y1 (ko) 마커펜
KR200351024Y1 (ko) 필기구용 스타일러스펜 구조
KR200277826Y1 (ko) 개량 샤프펜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