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2157A -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 Google Patents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2157A
KR20080062157A KR1020060137592A KR20060137592A KR20080062157A KR 20080062157 A KR20080062157 A KR 20080062157A KR 1020060137592 A KR1020060137592 A KR 1020060137592A KR 20060137592 A KR20060137592 A KR 20060137592A KR 20080062157 A KR20080062157 A KR 20080062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opening
core member
upper cap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출
Original Assignee
김종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출 filed Critical 김종출
Priority to KR102006013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2157A/ko
Publication of KR2008006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2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2Devices for holding brushes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8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 rotating action, e.g.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케이스 내부에 개폐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뚜껑 없이 심부재의 인출 및 수납을 비롯한 보호가 가능한 케이스에 있어서, 특정된 형태만이 아니라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심부재에 대한 사용을 가능케 하여 케이스의 활용도를 높이며, 부품수를 줄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특히, 케이스 하부를 간단히 돌려줌으로써 심부재의 인출 및 수납을 가능케 하는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케이스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 후단을 수용하며, 회전운동을 하는 하부캡과, 상기 상부캡에 수용되며 상기 하부캡의 회전운동에 따라 인출되는 심부재와, 상기 심부재를 수용하며 하부캡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동부재, 그리고 상기 상부캡에 수용되며 상기 상부캡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다용도케이스, 화장도구, 개폐부재, 회전운동, 직선운동, 브러시

Description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MULTIPURPOSE CA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심부재의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심부재의 수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캡 20: 개폐부재 30: 회동부재
40: 캡부재 50: 심부재
11: 안내홈 13: 회동홈 15: 회전방지홈
220: 개폐헤드 240: 슬라이드판 260: 끼움부
22: 회동나선홈 25: 회전방지돌기
320: 회동부 340: 회동나선돌기부 360: 걸림턱
33: 회동돌기 34: 나선홈
51: 안내돌기 54: 나선돌기
본 발명은 볼터치 브러시, 립 브러시 등 화장에 사용되는 화장용구 또는 필기구 등의 문방용구에 적용하여 사용되는 다용도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스 내부에 개폐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뚜껑 없이 심부재의 인출 및 수납을 비롯한 보호가 가능한 케이스에 있어서, 특정된 형태만이 아니라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심부재에 대한 사용을 가능케 하여 케이스의 활용도를 높이며, 부품수를 줄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특히, 케이스 하부를 간단히 돌려줌으로써 심부재의 인출 및 수납을 가능케 하는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볼터치 브러시, 립 브러시, 아이 브러시 등의 화장용구는 여성의 미를 가꾸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화장을 하는 여성에게는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하는 소위 필수품이라 할 것인데,
이러한 화장 용구는 단순하게 브러시가 노출되어 있는 형태에서, 휴대의 편리성과 브러시의 오염 방지를 위하여 브러시에 뚜껑을 덮는 형태를 거쳐,
최근에는 별도 부품으로 케이스에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이 불편하고 분실우려가 있는 뚜껑 자체를 없애고,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어 브러시를 감싸는 개폐부재에 의해서 뚜껑의 역할을 하도록 하는 형태로까지 개량 변화되어 오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실용신안등록 제0175523호(2000.01.07)『뚜껑이 필요없는 화장용품 케이스』, 특허등록 제0393302호(2003.07.21) 『다용도 케이스』, 그리고 특허등록 제0494640호(2005.06.01)『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를 들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0175523호에 개시된 화장용품 케이스는, 『심받침대와, 고정패킹과, 심상하운동나선부가 형성되어 있는 심과, 내면에 연결돌기가 형성되고 외면 상부에는 직각으로 내부로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면 하부에는 받침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조작부와, 상부는 화장용품의 인출 그 상부 일단이 서로 분리되며 수납시엔 상기 분리된 일단이 서로 접촉되도록 반원형의 절곡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된 상·하 심덮개와, 상부 외장케이스와, 중간부 외장케이스와, 크롬도금이 된 원통형의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175523호에 개시된 화장용품 케이스는 이를 이 루는 내부 구성의 부품수만이 아니라 케이스가 상부, 중간부, 그리고 하부로 나뉘어진 3단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많고, 분해 및 조립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러시를 외부로 개폐시키는 심덮개가 조작부에 별도로 끼움결합되는 형식으로 구성되기에 사용시 필요 이상의 힘을 주어 브러시를 인출시키는 경우 심덮개가 조작부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후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0393302호에 개시된 다용도 케이스 및 특허등록 제0494640호에 개시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용기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175523호에 개시된 화장용품 케이스의 구성을 보완한 것이지만,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은 케이스 내부 단면이 원형에만 한정되는 것이어서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구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다양한 단면 형상 구현이 어렵기에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가진 브러시를 수용하여 이를 케이스로부터 인출 또는 순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화장시 화장성분이 손에 묻게 되어 손이 미끄러운 상태가 흔하다 할 것인데, 상기 종래기술들은 사용자가 케이스 일정 부분을 당겨서 사용하게 되는 구성인바, 사용시 손이 미끄러져 브러시 인출 및 수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케이스 내부에 개폐부재를 구비하여 자동적으로 브러시의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여 별도의 뚜껑이 필요 없는 사용이 편리한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더 나아가,
잡아당겨서 브러시를 개폐하는 구성에서 탈피하여 간단히 하부를 회전시킴으로 인하여 브러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심부재의 전후진 동작 및 개폐부재의 후전진 동작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사용상 편리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중간케이스를 없애 상부캡과 하부캡인 2단으로 구성하고, 상부캡에서 심부재 및 회동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여 전체적인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이 간편하도록 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케이스 외형을 원형에만 한정시키지 않고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의 구현이 가능한 구조로 하여,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가지는 심부재를 구비할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부품 수를 줄일 뿐만 아니라 각 부품의 구성요소끼리의 긴밀한 연결을 보장하여 반복 사용시에도 고장이 나지 않는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 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브러시 등의 화장용구만이 아니라 필기구 등의 문방용구로도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케이스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 후단을 수용하며, 회전운동을 하는 하부캡과, 상기 상부캡에 수용되며 상기 하부캡의 회전운동에 따라 인출되는 심부재와, 상기 심부재를 수용하며 하부캡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동부재, 그리고 상기 상부캡에 수용되며 상기 상부캡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동부재는 하부캡과 결합되어 하부캡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함께 회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개폐부재 외주면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직선형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하부캡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회전방지홈을 타면서 개폐부재의 인위적인 직선 승하강 운동을 가능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캡은 외곽 단면이 원형(圓形)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를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2 및 도3를 참고하여 특정하며, 심부재(50)가 배열된 쪽을 전방 또는 상부, 그 반대쪽을 후방 또는 하부로 정한다.
먼저 도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장 케이스(캡)가 복잡한 다단 구성이 아닌 2단으로 구성되고,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캡의 외형이 종래기술에서 개시된 케이스처럼 원기둥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하부캡은 그 외형을 원기둥 형상으로 하더라도 그 상부는 단면을 사각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원형, 나아가 삼각형 등 여러 다양한 단면 형상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케이스의 외형이 다양한 형태로 쉽게 구현 가능한 이유는, 본 발명이 케이스 일부를 잡아당겨서 브러시 등의 심부재를 인출하는 방식이 아니라 케이스 하단 부분을 단순히 회전시켜 심부재를 인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되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들의 외곽은 그 단면이 원에 한정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케이스 외장을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으로 하지 않고 타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등 각이 있는 다양한 형상을 할 수 있게 됨으로서 사용자는 케이스 사용시 손에 잡기 쉽고, 또한 케이스를 바닥에 떨어뜨리더라도 쉽게 굴러가지 않는 등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캡의 다양한 외장 형상에 의해서,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케이스는 다양한 종류의 심부재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심부재를 브러시로 한정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러시는 사용자의 신체에 터치되는 부분에 따라서 그 형상이 다양하다 할 것인데, 솔(520a)이 많고 솔받침대(520b)가 두꺼운 볼터치용 브러시를 비롯하여 상기 볼터치용 브러시보다 솔받침대(520b)의 두께가 얇으나 솔받침대(520b)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찌그러진 타원형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이쉐도용 브러시, 또는 솔(520a)이 적고 솔받침대(520b)의 두께 또한 얇은 립브러시 등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브러시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볼터치용 또는 아이쉐도용 브러시는 솔도 많고, 그 솔받침대의 단면 형상이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어서 종래 케이스 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 외장 중 특히 심부재(50)가 수용되는 부분의 상부캡(10) 단면을 원형에 한정하지 않고 심부재의 종류에 따라 사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심부재가 수용되는 공간 또한 넓혀질 수 있어 다양한 심부재 수용이 가능해졌고 종래 케이스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의 외장을 이루는 캡이 상부캡과 하부캡 2단으로만 구성되었기 때문에 쉽게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장 캡을 다단이 아닌 2단으로 구성하여 부품수를 줄여 제조 단가를 낮추고자 하였으며, 2단 구성 또한 잡아당겨서 심부재를 인출하는 방식이 아닌 하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심부재를 인출하는 방식의 구성을 취하고 있기에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케이스 내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부캡(10)과, 상기 상부캡 후단을 수용하며, 회전운동을 하는 하부캡(40)과, 상기 상부캡에 수용되며, 상기 하부캡의 회전운동에 따라 인출되는 심부재(50)와, 상기 심부재를 수용하며 하부캡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동부 재(30)와, 상기 상부캡에 수용되며, 상기 상부캡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20)로 그 구성 부품이 이루어지는데,
즉, 본 발명에서의 상부캡(10) 내부에는 심부재(50)와 회동부재(30)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여 심부재(50)와 회동부재(30)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 부품이 필요하던 종래 다용도 케이스와는 차이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발명을 구성하는 부품 수는 5가지로 되어,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은 종래기술들보다는 제조 단가가 낮아지고, 제조 및 조립 작업 또한 간단해 진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회동부재(30)는 그 내주면에 나선홈(34)이 형성되어 승하강되는 심부재(50)를 수용하는 회동부(320)와, 상기 회동부(320)에 연결되고 외주면에 회동나선돌기(32)가 형성된 회동나선돌기부(3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회동나선돌기부(340)는 하부캡(40)과 결합되어 하부캡(40)의 회전에 의하여 함께 회전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30)의 회동부(320) 외주면에는 회동돌기(33)가 형성되고 이는 상부캡(10) 내주에 형성된 회동홈(13)에 결합되어, 하부캡(40)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부캡(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만이 공회전(空回轉)되도록 한다. 구성에 따라서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부(320) 외주면에는 회동홈을 형성하고 상부캡(10) 내주면에 회동돌기를 형성하여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으나,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서는 회동부(320)의 외주면에 회동돌기를 형성하고, 상부캡(10)의 내주면에 회동홈을 형성하여 이들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심부재(50)는 심(520)과 밀대(540)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케이스가 화장용 브러시를 위한 케이스인 경우 상기 심(520)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솔(520a)과 솔받침대(52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케이스가 문방구용 필기구의 케이스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솔(520a) 대신 볼펜 심 또는 연필 심 등이 구성된다.
상기 심부재(50)의 밀대(540) 하부 외주면에는 나선돌기(54)가 형성되고 이를 수용하는 회동부재(30)의 회동부(320) 내주면에는 나선홈(34)이 형성되어, 하부캡(40)이 회전되는 경우 회동부재(30)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나선돌기(54)는 나선홈(34)을 타면서 심부재(5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회동부재(30)가 회전되더라도 이와 연결된 심부재(50)는 직선운동을 하면서 승하강되는데,
이는 상부캡(10) 내부에는 상기 심부재(50)의 이동로드를 제공하는 안내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심부재(50), 특히 밀대(540) 상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내홈(11)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안내돌기(51)가 형성되어, 회동부재에 의한 회전운동을 심부재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심부재의 밀대(540) 하부에 형성된 나선돌기(54)는 회동부재(30)의 회동부(320)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홈(34)을 타고 회동부 내부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캡에 형성된 직선형의 안내홈(11)으로 인하여 회동부재(30)는 회전하게 되지만 심부재(50)는 상기 회동부재의 나선홈(34)을 타면서 그리고 안내돌기(51)는 상부캡(10)의 안내홈(11)을 타면서 결국 심부재는 직선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심부재(50)가 출입구(18)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회동부재(30)의 최상단에는 걸림턱(360)을 형성하여 상기 심부재의 나선돌기(54)가 회동부재의 회동부(320)를 거치더라도 최종적으로 상기 걸림턱(360)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부재(30)의 나선홈(34) 상단에는 심부재의 나선돌기(54)가 체류할 수 있는 홈 형태의 체류공간(미도시)을 더 마련하여 상기 상부캡 출입구(18)를 거쳐 전방에 노출된 심부재(50)가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다시 상부캡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부재의 안내돌기(51)와 나선돌기(54)는 상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심부재를 회동부재와 상부캡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도 최종적으로는 나선돌기(54)가 상기 걸림턱(360)에 걸려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종래 케이스의 뚜껑 역할을 하는 개폐부재(20)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개폐부재(20)는 상기 상부캡 출입구(18)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단면을 갖는 개폐헤드(220)와, 상기 개폐헤드에 연결되는 슬라이드판(240)과,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판 하단에 결합되는 끼움부(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끼움부(260)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동부재(30)의 회동나선돌기(32)에 대응되는 회동나선홈(22)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260)가 회동나선돌기부(340)을 타면서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회동나선돌기부(340)의 회전으로 인하여 이와 연결되는 끼움부(260) 또한 회전되는 구성이어서, 끼움부(260)의 회전을 방지하고 직선 방향으로의 승하강을 유도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는데,
상기 끼움부(260) 외주면에는 회전방지돌기(25)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캡(10)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25)의 수용을 위한 직선형의 회전방지홈(15)을 형성하여,
회동나선돌기부(34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회전방지돌기(25)가 회전방지홈(15)을 타면서 직선운동을 하게끔 유도하여 상기 개폐부재 즉, 끼움부(260)는 인위적으로 직선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개폐헤드가 상부캡의 출입구(18)를 효율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서는 상기 상부캡(10)은 전방으로 내외경이 차츰 축소되어 절두(切頭)된 원뿔형을 이루어 출입구(18)를 형성하는 형태가 바람직할 것이고, 상기 출입구(18)는 상기 개폐헤드(220)에 의해서 폐쇄되고,
이후 상기 하부캡(40) 및 회동부재(30)가 회전되면 상기 개폐부재(20)의 회전방지돌기(25)가 상부캡 내주면의 회전방지홈(15)을 타면서 자연스럽게 하강되고 상기 출입구는 개방된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화장용 브러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케이스는 필기구의 케이스로도 활용가능한데, 이 경우 인출된 상태에서의 안정된 심부재 고정을 위하여 심부재(5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장용 브러시보다는 필기구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보다 큰 압력이 케이스 또는 심부재에 전달되어 안정된 필기구를 제공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심부재 외주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나선돌기(54) 상부인 밀대(540) 외주면에 2번 정도 감긴 스프링을 구비하여 심부재(50)의 나선돌기(54)가 체류홈(미도시)에 걸려 심부재가 인출된 상태에 있는 경우 나선돌기 상부와 회동부재의 걸림턱(360) 하부에 위치한 스프링으로 인하여 보다 탄력적으로 심부재가 고정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케이스의 작용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은 심부재가 인출된 상태로써, 하부캡(40)을 회전시킴으로 인하여 이와 연동되는 회동부재(30)가 상부캡(10) 회동홈(13)에 끼워진 상태로 공회전하게 되고 이로써 회동부재의 회동부(320) 내주면에 수용된 심부재(50)의 나선돌기(54)는 나선홈(34)을 타면서, 그리고 심부재의 안내돌기(51)는 상부캡의 안내홈(11)을 타면서 직선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심부재는 상부캡 출입구(18)를 관통하여 외부로까지 인출된다.
이 경우, 개폐부재(20)는 상기 심부재의 이동방향과는 반대로 하강되는데, 개폐부재(20)의 끼움부(260) 내주면에 형성된 회동나선홈(22)이 회동부재의 회동나선돌기(32)를 타면서 하강하게 되고, 개폐헤드(220) 또한 하강하면서 상부캡의 출입구를 개방하게 되고, 그리고 심부재(50)는 외부로 인출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 또한 회전방지돌기(25)와 상부캡 내주면에 형성된 회전방지홈(15)에 의하여 직선운동을 하면서 하강된다.
반대 방향으로 하부캡(40)을 회전시키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부재는 하강하게 되고, 개폐부재는 끼움부(260)가 회동나선돌기(32)를 타면서 상승하게 되어 상기 상부캡의 출입구(18)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고려할 때, 다양한 심부재를 수용하고자 하고 사용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분캡의 단면을 원형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분은 원형으로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즉, 다시 말하면, 각 부품이 결합하여 회전이 일어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는상부캡(10)에서 회동부재가 수용되는 부분, 회동부재(30), 그리고 상기 회동나선돌기부에 대응하는 개폐부재의 끼움부(260) 내주면은 회전의 특성상 단면 형태가 원형에 한정되어야 하며,
이를 제외한 다른 부분들은 심부재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 그리고 사용시의 외관 및 편리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단면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케이스는 잡아당겨서 브러시를 개폐하는 구성에서 탈피하여 간단히 하부를 회전시킴으로 인하여 브러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심부재의 전후진 동작 및 개폐부재의 후전진 동작의 안정성을 보장하면서 사용상 편의성을 높이게 되었으며,
중간케이스를 없애 상부캡과 하부캡인 2단으로 구성하고. 나아가 상부캡에서 심부재 및 회동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여 전체적인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이 간편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부품의 구성요소끼리의 긴밀한 연결을 보장하여 반복 사용시에도 고장이 나지 않는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케이스 외형을 원형에만 한정시키지 않고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의 구현이 가능한 구조로 하여, 다양한 종류와 크기를 가지는 심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브러시 등의 화장용구만이 아니라 필기구 등의 문방용구로도 응용할 수 있는 다용도 케이스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상부캡;
    상기 상부캡 후단을 수용하며, 회전운동을 하는 하부캡;
    상기 상부캡에 수용되며, 상기 하부캡의 회전운동에 따라 인출되는 심부재;
    상기 심부재를 수용하며 하부캡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상부캡에 수용되며, 상기 상부캡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로 이루어져 회전 운동을 통하여 개폐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내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승하강되는 심부재를 수용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 하부에는 개폐부재가 타고 이동할 수 있는 회동나선돌기가 외주면에 형성된 회동나선돌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통하여 개폐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하부캡과 결합되어 하부캡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함께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통하여 개폐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동부재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회동돌기와 대응하는 회동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캡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재의 공회전(空回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통하여 개폐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의 내부에는 상기 심부재의 이동로드를 제공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심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드 되는 안내돌기가 형성되어,
    회동부재의 회전운동이 심부재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통하여 개폐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 하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동부의 나선홈을 타면서 승하강되도록 하게 위한 나선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통하여 개폐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돌기는 상기 안내돌기와 어긋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심부재가 인출되는 경우 회동부재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회동부 재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회전 운동을 통하여 개폐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의 나선홈 상단에는 상기 심부재의 나선돌기가 머무를 수 있는 체류홈이 형성되어, 외부로 인출된 심부재가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만 다시 내부로 수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통하여 개폐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상부캡의 출입구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단면을 갖는 개폐헤드;
    상기 개폐헤드에 연결되는 슬라이드판; 및
    상기 슬라이드판 하단에 결합되는 끼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부의 내주면에는 개폐부재의 승하강을 가능케하는 회동나선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통하여 개폐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 외주면에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캡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직선형의 회전방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캡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전방지돌기는 회전방지홈을 타면서 개 폐부재의 인위적인 직선 승하강 운동을 가능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통하여 개폐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은 외곽 단면이 원형(圓形)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통하여 개폐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재 외주면에는 스프링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통하여 개폐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KR1020060137592A 2006-12-29 2006-12-29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KR20080062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92A KR20080062157A (ko) 2006-12-29 2006-12-29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92A KR20080062157A (ko) 2006-12-29 2006-12-29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2157A true KR20080062157A (ko) 2008-07-03

Family

ID=39814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592A KR20080062157A (ko) 2006-12-29 2006-12-29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21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364A1 (en) * 2008-05-26 2009-12-03 Joung Chul Kim Multipurpose case
WO2012087087A2 (ko) * 2011-08-29 2012-06-28 김윤회 원 핸드 마스카라 용기
KR101374228B1 (ko) * 2012-04-17 2014-03-13 이복례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
KR20170010475A (ko) 2015-07-20 2017-02-01 남 영 김 스마트 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364A1 (en) * 2008-05-26 2009-12-03 Joung Chul Kim Multipurpose case
US8657514B2 (en) 2008-05-26 2014-02-25 Joung Chul Kim Multipurpose case
WO2012087087A2 (ko) * 2011-08-29 2012-06-28 김윤회 원 핸드 마스카라 용기
WO2012087087A3 (ko) * 2011-08-29 2012-12-27 김윤회 원 핸드 마스카라 용기
KR101231628B1 (ko) * 2011-08-29 2013-02-08 김태연 원 핸드 마스카라 용기
KR101374228B1 (ko) * 2012-04-17 2014-03-13 이복례 터치펜 기능이 부가된 필기구
KR20170010475A (ko) 2015-07-20 2017-02-01 남 영 김 스마트 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5023C (en) Multi-unit cosmetic applicator
KR200175523Y1 (ko) 뚜껑이 필요없는 화장용품 케이스
CN104886914B (zh) 具有杆状化妆品容器的粉盒容器
KR20080062157A (ko)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KR200444386Y1 (ko) 화장품용기의 브러시기구
CN208274328U (zh) 一种拉拔式口红包装管
KR200473460Y1 (ko) 출몰식 화장도구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결합구조
KR100753161B1 (ko) 출입구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
KR102644985B1 (ko) 슬라이딩 버튼이 구비된 립스틱 용기
KR102315494B1 (ko) 펜타입 사물 출몰기구
JP2000041733A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US8657514B2 (en) Multipurpose case
KR200458129Y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화장용 브러시
KR102009375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
CN201073072Y (zh) 一种化妆用笔具
KR102019460B1 (ko) 화장 도구
US20170042310A1 (en) Case for a stick of material to be applied by friction rubbing and product comprising the stick in such a case
KR100834449B1 (ko) 화장용 브러시
KR20080062158A (ko) 뚜껑이 필요없는 다용도 케이스
KR102101828B1 (ko) 거울이 구비된 립스틱 보호케이스
KR100768075B1 (ko) 자동개폐가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KR200495616Y1 (ko) 화장품 용기
CN108433326A (zh) 一种拉拔式口红包装管
KR102076650B1 (ko)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고형 내용물 승강장치
KR200438024Y1 (ko) 푸쉬레버에 의한 커버의 자동 오픈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