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449B1 - 화장용 브러시 - Google Patents

화장용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449B1
KR100834449B1 KR1020050078536A KR20050078536A KR100834449B1 KR 100834449 B1 KR100834449 B1 KR 100834449B1 KR 1020050078536 A KR1020050078536 A KR 1020050078536A KR 20050078536 A KR20050078536 A KR 20050078536A KR 100834449 B1 KR100834449 B1 KR 100834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rush
piece
guide body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048A (ko
Inventor
홍영태
Original Assignee
홍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태 filed Critical 홍영태
Priority to KR102005007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449B1/ko
Priority to CNA2006101113623A priority patent/CN1919100A/zh
Publication of KR20070024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A45D33/04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with spring bott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3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46B7/044Sliding connections for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솔의 노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뚜껑을 덮기 전에, 뚜껑에 의하여 솔이 꺾이고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장솔 후방에서 화장솔쪽으로 전진하는 보호관체를 도입함에 있어, 상기 보호관체가 격발체에 의하여 스프링의 탄발력의 작용으로 원터치형태로 자동 격발 전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화장용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는 파이프 형상의 외피; 안내봉, 상기 안내봉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피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수용부, 그리고 상기 안내봉에서 수용부쪽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쐐기편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에 내장되어 있는 안내체; 상기 안내체의 안내봉에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안내체의 쐐기편에 걸려 장전될 수 있는 걸림돌기를 갖는 걸림편, 그리고 상기 안내봉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안내체의 수용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탄발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피안내체; 상기 안내체의 쐐기편에 결합된 상기 피안내체의 걸림편 걸림돌기를 격발하여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피안내체가 전진하도록 하는 격발체; 상기 안내체의 안내봉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화장솔을 포함하는 집모체(集毛體); 및 상기 피안내체의 본체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격발체가 작동될 경우 상기 외피에서 벗어나 상기 집모체를 덮게 되는 보호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화장, 브러시, 안내, 격발, 화장솔, 집모, 보호관체, 뚜껑

Description

화장용 브러시{BRUSH FOR MAKEUP}
도 1은 실용신안등록 제0072709호의 브러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안내체의 사시도,
도 3b는 피안내체의 사시도,
도 3c는 격발체의 사사도,
도 4a 및 도 4b는 서로 다른 형태의 집모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화장용 브러시의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브러시
10: 외피 11: 환턱
20: 안내체 21: 안내봉
23: 쐐기편 25: 수용부
25a: 수용홈 25b: 관통공
25c: 안내홈
30: 피안내체
31: 본체 31a: 끼움공
33: 걸림편 35: 걸림돌기
37: 스프링
40: 보호관체 41: 지름축소부
43: 스톱링 45: 뚜껑
50: 격발체 51: 누름부
53: 안치부 55: 격발편
57: 스프링
60: 집모체(集毛體) 61: 고정부재
63,163: 화장솔 65,165: 솔고정관
본 발명은 화장솔의 노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뚜껑을 덮기 전에, 뚜껑에 의하여 솔이 꺾이고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장솔 후방에서 화장솔쪽으로 전진하는 보호관체를 도입함에 있어, 상기 보호관체가 격발체에 의하여 스프링의 탄발력의 작용으로 원터치형태로 자동 격발 전진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화장용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화장용 브러시는 단순하게 화장솔이 상시 노출되어 있는 형태에서, 휴대의 편리성과 화상솔의 오염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화장솔에 뚜껑을 덮는 형태를 거쳐,
한편으로는 화장분말을 브러시 본체에 내장한 형태로 개량되거나,
다른 한편으로는 보다 편리하게 뚜껑이 결합되는 형태, 심지어는 뚜껑을 덮을 필요가 없이 브러시 본체 내에서 덮개가 전진하여 화장솔을 덮는 형태이거나, 화장솔 자체가 원터치식으로 자동 인출되고 수납되는 형태 등으로 개량 변화되어 왔다.
예를 들어 특허등록 제0456267호(2004.10.29) 『화장용 브러시기구』에는 분말상태의 화장품이 내장되어 있는 브러시에서 외부케이스에 부분 내장되어 있는 중간케이스의 노출부로부터 보호캡을 잡아 뽑을 경우, 상기 보호캡 내부 중앙에 형성된 압박돌기에 의하여 상기 중간케이스 내부에 텔레스코픽 타입(telescopic type)으로 다단 절첩되어 있던 브러시 지지체가 펼쳐지면서 화장솔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 브러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보호캡을 닫을 경우 상기 압박돌기가 화장솔 사이에 위치한 걸림부재에 정확기 결합되도록 하는데 많은 주의를 요하는 점을 해결하고 있지 못하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0319261호(2003.06.27) 『화장용 브러시 조립체』에는 통 상의 필기구(특히 볼펜)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식과 같이 푸셔를 한번 누르면 화장솔이 노출되고 다시 누르면 화장솔이 수납되는 형태의 브러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브러시의 휴대 중에 노출공을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어 화장솔이 오염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지 못하며,
만약 별도의 뚜껑을 도입할 경우에는 부지중에 푸셔를 누를 경우 화장솔과 뚜껑의 충돌로 화장실이 꺾이고 파손될 위험이 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0072709호(1993.06.02) 『휴대용 화장브러쉬』에는 다단으로 걸림홈이 구비된 유도관에 의해 길이조절 및 개폐에 따른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브러시가 기재되어 있다.
도시한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브러시의 뚜껑(1)을 열면 화장솔(4)이 노출되고 뚜껑을 닫을 때에는 하부케이스(7)에 결합된 슬립관(2)을 올려 화장솔(4)을 모은 다음, 뚜껑을 닫을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상기 슬립관(2)의 내주면 하부에는 걸림봉(2a)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장솔(4)이 단부에 배열된 유도관(6)에는 상기 걸림봉(2a)을 위하여 다단 걸림홈(5a)(5b)(5c)이 구비된 유도로(5)를 형성하고,
상기 유도관(6) 외주면에는 코일스프링(3)이 끼워져 있어, 상기 스프링(3)이 상기 걸림봉(2a)을 탄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립관(2)을 회전함에 따라 슬립관이 상기 스프링(3)의 탄성에 의하여 상승하여 상기 다단 걸림홈에 상기 걸림봉이 걸리는 위치에 따라 상기 화장솔(4)의 노출정도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다단으로 화장솔(4)이 노출되는 형태로 하여 필요에 따라 솔의 노출정도를 조정하고자 하는 의도이지만,
실제 화장법에서는 화장부위에 따라 화장솔의 굵기 및 형태(납작형 또는 원기둥형 등)가 다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실을 고려할 때 효용성이 떨어지고,
화장용 브러시 보다는 립스틱에 적합한 인출구조이다.
또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슬립관(2)의 회전에 의하여 화장솔이 노출되거나 숨겨지는 형태이므로, 화장솔의 수납시에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어느 정도 쉽게 수납동작이 가능하나,
화장솔의 노출시에는 뚜껑(1)을 열고 스프링을 가압하면서 상기 슬립관을 회전 하강시켜야 하므로 많은 주의를 요하고, 특히 땀이나 화장품으로 인하여 손이 미끄러울 경우에는 브러시를 놓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문제는 차량 내부에서나 이동 중에 급하게 화장을 할 경우에 더욱 심하여 화장솔의 수납 과정이 더욱 불편해진다.
본 발명은 종래 화장용 브러시에서 화장솔에 뚜껑을 덮어 보호하기 전에 화 장솔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진하여 화장솔을 미리 모아 덮는 보호관체의 전진동작을 자동화 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보호관체와 연결된 피안내체, 상기 피안내체의 활주 및 장전을 위한 안내체, 그리고 상기 피안내체를 원터치식으로 격발하여 상기 안내체 및 피안내체 사이에 개제된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하여 피안내체와 상기 보호관체가 전진하여 화장솔을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화장용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격발체가 상기 안내체와 상기 피안내체를 수용하는 외피 후방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격발체를 손으로 누르거나 화장대에 충돌되도록 하여 상기 피안내체의 격발 동작, 결국은 상기 보호관체가 상기 화장솔을 덮는 동작이 편리하도록 한 화장용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안내체와 상기 피안내체의 특정 결합구조를 통하여 안정된 격발 활주 동작과 장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화장용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는 파이프 형상의 외피; 안내봉, 상기 안내봉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피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수용부, 그리고 상기 안내봉에서 수용부쪽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쐐기편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에 내장되어 있는 안내체; 상기 안내체의 안내봉에 끼 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안내체의 쐐기편에 걸려 장전될 수 있는 걸림돌기를 갖는 걸림편, 그리고 상기 안내봉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안내체의 수용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탄발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피안내체; 상기 안내체의 쐐기편에 결합된 상기 피안내체의 걸림편 걸림돌기를 격발하여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피안내체가 전진하도록 하는 격발체; 상기 안내체의 안내봉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화장솔을 포함하는 집모체(集毛體); 및 상기 피안내체의 본체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격발체가 작동될 경우 상기 외피에서 벗어나 상기 집모체를 덮게 되는 보호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B)를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5a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화장솔(63)이 배열된 쪽을 전방,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정한다.
먼저 도 2 및 도 5a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B)의 핵심을 이루는 안내체(20), 피안내체(30), 그리고 격발체(50)는 모두 파이프 형상의 외피(10)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안내체(20)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횡단면이 사각 형상인 안내봉(21)과,
상기 안내봉(21) 후방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외피(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는 수용부(25), 그리고
상기 안내봉(10) 외주면에 상기 수용부(25)쪽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쐐기편(23)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봉(21)의 전방 단부에는 횡단면이 원형인 결합돌기(21b)가 구비되어 있어, 이하에서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화장솔(63)을 위한 고정부재(61)로 이루어진 집모체(60)에서 상기 고정부재(61)의 결합홈(61a)에 상기 안내봉(21)의 결합돌기(21b)가 억지끼움될 수 있다.
상기 안내봉(21)의 외주면에는 양측에 안내봉의 전체 길이에 걸쳐 대칭된 위치에 두 요홈부(21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피안내체(30) 본체(31)의 끼움공(31a) 내면과의 접촉이 상기 요홈부(21A)로 인하여 돌출부(21B)와만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피안내체(30)의 슬라이드 전후진시 마찰저항이 줄어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상기 안내봉(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쐐기편(23)의 전방 위치에 상기 피안내체(30)가 더 이상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21a)가 형성되어 있는데,
특히 상기 스토퍼(21a)는 상기 요홈부(21A)가 형성되지 않은 타면의 두 평탄부(21C)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안내체(20)와 상기 피안내체(30)의 결합시 상기 요홈부(21A)쪽에 위치하는 상기 피안내체(30)의 걸림편(33)이 격발 및 장전시 전후진됨에 있어 상기 스토퍼(21a)에 의하여 방해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안내체(20) 수용부(25)는 상기 외피(10)의 후단부에 치우쳐 내장됨에 있어, 조립의 편리성을 위하여 상기 외피(10)의 횡단면 형상인 원형에 상응하도록 그 횡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외피(10)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외피의 후단부에서 억지끼움되는 형태이다. 물론 접착제나 볼트에 의한 결합방식도 가능할 것이다.
또 상기 수용부(25)의 후방에는 그 중심에 상기 격발체(50)가 결합되는 수용홈(2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발체(50)의 격발편(55)이 끼워져 안내될 수 있는 관통공(25b)이 상기 수용홈(25a)이 끝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쐐기편(23)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승되다가 후방 끝지점에서 중심을 향하여 수직으로 꺾인 형태이며,
상기 안내봉(21)의 요홈부(21A) 쪽에 형성되어 있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형태인데,
각각 일측에 형성된 쐐기편(23)은 일정 간격 떨어진 두 분편(23a)(23b)이 한 세트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 두 분편(23a)(23b) 사이로는 상기 격발체(50)의 격발편(55)이 통과된다.
다음으로 도 2, 도 3b, 도 5a에서, 상기 피안내체(30)는 원통형태로 되어 있는 본체(31)에 두 걸림편(33)이 후방으로 돌설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기 본체(31)에는 상기 안내체(20)의 안내봉(21) 삽입되도록 끼움공, 특히 횡단면이 사각형인 끼움공(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31)의 외주면 후방에 치우친 위치에는 멈춤턱(31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 외면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보호관체(40)가 더 이상 후방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외어 있다.
상기 두 걸림편(33)은 상기 본체(31) 후단의 외곽에 치우쳐 결합되어 있고, 그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35)로 갈수록 두 걸림편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형태로,
탄성을 갖는 소재(예:합성수지)로 되어 있으며, 두 걸림편(33) 사이의 거리가 보다 급격하게 가까워지면서 탄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중간쯤에 꺾임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피안내체(30)의 걸림편(33)은 상기 안내체(20) 안내봉(21)의 요홈부(21A)를 타고 후진하여 상기 쐐기편(23)에 이르러서는 상기 걸림편(33)이 차츰 들려 최종적으로는 상기 쐐기편(23)의 후단부에 상기 걸림돌기 (35)가 걸려 장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쐐기편(23) 후단부의 형상과는 반대로 상기 걸림돌기(35)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차츰 높아져 그 전방 끝지점에서 외측을 향하여 수직으로 꺾인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35)의 폭은 상기 쐐기편(23)의 두 분편(23a)(23b)에 모두 걸쳐져 결합될 수 있는 크기이다.
또 상기 안내체(20)와 상기 피안내체(30) 사이에는 스프링(37)이 개재되어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37)은 상기 안내체(20) 안내봉(21)에 끼워져 있고,
후단에서는 상기 안내체(20)의 수용부(25) 전단부와 접촉하고,
전단에서는 상기 피안내체(30) 본체(31)의 멈춤턱(31b) 후단부와 접촉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또 도 2 및 도 5a에서, 상기 피안내체(30)의 본체(31) 외주면에 결합 고정되는 상기 보호관체(40)는 그 후단 내경이 상기 본체(31)의 외경에 상응하고 전체적인 외경은 상기 외피(10)의 내경에 상응하며,
상기 보호관체(40) 외면과 상기 외피(10)의 내면 사이에는 가능한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보호관체(40)의 전후진 이동시 흔들림이 없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관체(40)의 전단에는 상기 화장솔(63)을 덮기 위한 뚜껑(45)이 결합되는데, 상기 뚜껑(45)이 일정 정도 이상 후진되지 못하도록 상기 보호관체(40)의 전방에 치우친 부분에는 스톱링(4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톱링(43)의 내경은 상기 보호관체(40)의 외경에 상응하며, 그 길이와 결합 위치는 상기 뚜껑(45)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상기 보호관체(40)의 전후진 변위를 보장하는 것이어야 한다.
특히 상기 보호관체(40)의 스톱링(43) 결합부위는 지름축소부(41)를 형성하여, 상기 스톱링(43)의 억지끼움식 결합 고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스톱링(43)은 상기 보호관체(40)의 파지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외관이 매끄럽게 광택 가공되어 있거나 특정 문양이나 문자가 새겨질 수 있는 등의 장식부 역할을 한다.
도 2, 도 3c, 그리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발체(50)는 후방의 누름부(51)와, 상기 누름부(51) 전단부에서 외곽에 치우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두 격발편(55)을 포함한다.
상기 격발체(50)의 누름부(51)와 상기 격발편(55)의 접면에는 상기 누름부 외주면에 걸림턱(51a)이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누름부(51)에는 전단부에서 후단으로 형성된 안치부(53)가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57)이 내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격발체(50)는 상기 외피(10)의 후단부에 위치한 상기 안내체(20) 의 수용부(25) 수용홈(25a)에 장착되는데, 가압될 경우 상기 스프링(57)이 수축하면서 전진하고 가압력이 없을 경우 상기 스프링(57)에 의하여 후진 복귀되는 형태로 작동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피(10) 후단부에 안내공(13)으로는 상기 격발체의 누름부(51)가 삽입되어 노출되고, 상기 외피(10)의 환턱(11)과 상기 누름부(51)의 걸림턱(51a)에 의하여 격발체(50)의 후방 이탈이 방지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환턱(11)의 외경은 상기 안내체 수용부(25)의 수용홈(25a)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여서 격발체의 안정된 전후진 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격발체(50)의 격발편(5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체(20) 수용부(25)의 관통공(25b)에 끼워져 상기 안내봉(21) 후방 요홈부(21A)와 접촉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격발편(55)의 폭은 상기 쐐기편(23)의 두 분편(23a)(23b) 사이의 안내홈(25c) 폭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져 상기 안내홈을 따라 활주할 수 있다.
또 상기 격발편(55) 각각은 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줄어든 웨지(wedge)부(55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외피(10) 후단에 노출된 격발체(50)의 누름부(51)를 가압할 경우 상기 스프링(57)이 수축하면서 상기 격발편(55a)이 상기 안내체(20) 수용부(25)의 안내홈(25c)을 따라 활주 전진되고,
이때 상기 안내체(20)의 쐐기편(23)에 걸려 장전되어 있던 상기 피안내체 (30) 걸림편(33)의 걸림돌기(35)와 상기 안내홈(25c)의 저면부 사이를 상기 격발체(50)의 웨지부(55a)가 비집고 들어가면서
상기 걸림돌기(35), 결국은 상기 걸림편(33)을 들어 올려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쐐기편의 결합 상태를 풀어 상기 피안내체(30)가 스프링(37)의 탄성에 의하여 격발되어 전진하고,
이에 따라 상기 피안내체(30)의 본체(31)에 결합되어 있던 보호관체(40) 또한 전진하여 상기 화장솔(63)을 덮어 상기 뚜껑(45)이 상기 보호관체(40)에 결합되기 쉽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도시된 격발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데, 일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안내체(20)의 쐐기편(23) 자체가 안내봉(21)의 중심축을 향하여 가압될 수 있고 탄성수단에 의하여 원상복귀되는 구조일 경우, 상기 쐐기편의 가압으로 상기 피안내체 걸림편(33)의 걸림돌기(35)와의 결합이 풀려 격발될 수 있는 형태를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쐐기편의 가압을 위한 푸셔(pusher)는 상기 외피(10)의 측면에 노출될 형태일 수 있다.
이어서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체(20)의 안내봉(21) 전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피(10) 외부로 노출되는 화장솔(63)을 포함하는 집모체(集毛體)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봉(21) 전단부의 결합돌기(21b)를 위한 결합부로서 상호 억지끼움될 수 있는 결합홈(61a)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재(61)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재(61)와 상기 화장솔(63)의 결합은 상기 화장솔이 전단부에 구비되어 있고 후단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재(61)에 결합되는 솔고정관(65)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61)의 중간 정도에는 상기 고정관(65)이 접촉되어 걸릴 수 있는 걸림환턱(61c)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참조부호 61b는 상기 고정부재(61) 전방에 형성된 홈으로 재료 절감을 위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화장솔을 꽂는 부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솔고정관을 통하여 화장솔을 고정할 경우 다양한 솔의 굵기 및 형태(납작형 또는 원기둥형 등) 모두 하나의 고정부재에 결합할 수 있어 규격화된 브러시 양산이 가능하여 편리하다.
즉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하고 얇은 화장솔(63)을 위해서는 전방으로 갈수록 차츰 좁아지는 절두(切頭) 원뿔형 솔고정관(65)을 사용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굵고 둥근 화장솔(63)을 위해서는 원통형 화장솔(163) 고정관(165)을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화장용 브러시(B)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상 브러시(B)의 보호관체(40) 로부터 뚜껑(45)을 분리하여 브러시를 화장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장솔(63)은 노출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보호관체(40)의 스톱링(43) 후방 부분은 상기 외피(10)에 내장되어 있어 상기 스톱링의 후단은 상기 외피(10) 전단부와 맞닿아 있다.
또 외피(10) 내부에서는 상기 피안내체(30)의 걸림편(33) 걸림돌기(35)가 상기 안내체의 쐐기편(23)과 결합되어 장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37)은 수축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37)의 탄성, 상기 보호관체(40)의 스톱링(43) 후단이 상기 외피(10) 전단부와 맞닿아 있는 상태, 그리고 상기 안내체(20) 안내봉(21)의 평탄부(21)에 성형된 스토퍼(21a)와 상기 피안내체(30)의 본체(31)가 맞닿아 있어 후진이 방해되는 상태가 총체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피안내체(30) 및 상기 보호관체(40)는 더 이상 후진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격발체(50)는 스프링(57)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누름부(51)의 걸림턱(51a)이 상기 외피(10) 환턱(11)과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안내체(20) 수용부(25)의 수용홈(25a)에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 도 3b, 그리고 도 5a에서와 같이, 화장솔(63)을 사용한 화장을 마친 후 뚜껑(45)을 닿으려고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보호관체(40)를 전진시켜 상기 화장솔(61)을 덮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격발체(50)의 누름부(51)를 직접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또 는 외피를 쥔 상태에서 누름부를 바닥에 살짝 쳐 충격을 가하면 상기 스프링(57)은 수축하고,
상기 안내체(20) 수용부(25)의 관통공(25b)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격발편(55)의 웨지부(55a)는 상기 쐐기편(23)의 분편(23a)(23b) 사이의 안내홈(25c)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상기 피안내체(30) 걸림편(33)의 걸림돌기(35)를 들어올리고,
이어 상기 걸림돌기(35)가 상기 쐐기편(23)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스프링(37)의 탄발력에 의하여 격발되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안내체(30)가 전진하며, 결국 상기 피안내체(30) 본체에 결합되어 있던 상기 보호관체(40)가 전진하여
도 5b에서와 같이 보호관체(40)는 상기 화장솔(63)을 덮게 되고, 상기 뚜껑(45)을 상기 보호관체(40)의 스톱링(43) 전방 부분에 결합하면 되므로 뚜껑 결합동작으로 인하여 브러시의 화장솔(63)이 꺾이고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0)의 직경 이상으로 퍼지는 굵은 화장솔(163)의 경우 더욱 두드러진다.
상기 피안내체(30)가 과도하게 전진하여 상기 외피(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외피(10)의 전방에 치우친 부분과 사이 보호관체(40) 후단부 또는 상기 피안내체(30) 사이에 상호 걸릴 수 있는 돌기를 형성하거나,
상기 스프링(37)의 양단이 상기 안내체(20)의 안내봉(21) 후단 및 상기 피안 내체(30)의 본체(31)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여서 스프링(37)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의 길이가 상기 보호관체(40)가 상기 집모체(60) 화장솔(63)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하는 길이를 갖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뚜껑(45)을 상기 보호관체(40)의 스톱링(43) 전방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뚜껑(45)을 역시 직접 손으로 밀거나 뚜껑 전단부를 바닥에 대거 누르는 방식으로 후진시키면
상기 보호관체(40)는 차츰 상기 외피(10) 내부로 들어가고, 이에 따라 상기 피안내체(30)는 상기 안내체(20)의 안내봉(21)을 따라 후진하면서 상기 스프링(37)을 수축시키고,
상기 피안내체(30)의 걸림편(33) 걸림돌기(35)가 다시 상기 안내체(20)의 쐐기편(23)에 결합 장전되어 다음 격발에 대비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시는 화장용 브러시에서 화장솔에 뚜껑을 덮어 보호하기 전에 화장솔 후방에서 전방으로 전진하여 화장솔을 미리 모아 덮는 보호관체의 자동화된 전진동작을 위하여,
상기 보호관체와 연결된 피안내체, 상기 피안내체의 활주 및 장전을 위한 안내체, 그리고 상기 피안내체를 원터치식으로 격발하여 상기 안내체 및 피안내체 사 이에 개제된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하여 피안내체와 상기 보호관체가 전진하여 화장솔을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편리하고, 구성요소간의 긴밀한 결합관계로 인하여 안정된 격발 활주 동작과 장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화장용 브러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파이프 형상의 외피;
    안내봉, 상기 안내봉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피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수용부, 그리고 상기 안내봉에서 수용부쪽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쐐기편을 포함하고, 상기 외피에 내장되어 있는 안내체;
    상기 안내체의 안내봉에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안내체의 쐐기편에 걸려 장전될 수 있는 걸림돌기를 갖는 걸림편, 그리고 상기 안내봉 외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안내체의 수용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는 탄발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피안내체;
    상기 안내체의 쐐기편에 결합된 상기 피안내체의 걸림편 걸림돌기를 격발하여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피안내체가 전진하도록 하는 격발체;
    상기 안내체의 안내봉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화장솔을 포함하는 집모체(集毛體); 및
    상기 피안내체의 본체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격발체가 작동될 경우 상기 외피에서 벗어나 상기 집모체를 덮게 되는 보호관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용 브러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체의 안내봉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피안내체의 걸림편 이 상기 안내체의 쐐기편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체의 중간에는 스톱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톱링 전방의 상기 보호관체에는 뚜껑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모체는
    상기 화장솔을 위한 고정부와 상기 안내체의 안내봉 단부를 위한 결합부를 갖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다양한 굵기와 형태의 화장솔이 채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체는 웨지부를 갖는 격발편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격발편이 상기 안내체의 쐐기편과 상기 피안내체의 걸림편 사이로 투입되어 상기 쐐기편과 상기 걸림편의 결합상태를 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체의 격발편은 안치부가 형성된 누름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안내체의 수용부에는 상기 격발체의 누름부를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발체 본체의 안치부와 상기 안내체의 수용부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체의 수용부에는 상기 수용홈을 거쳐 상기 쐐기편 쪽으로 상기 격발체의 격발편이 활주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브러시.
KR1020050078536A 2005-08-26 2005-08-26 화장용 브러시 KR10083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536A KR100834449B1 (ko) 2005-08-26 2005-08-26 화장용 브러시
CNA2006101113623A CN1919100A (zh) 2005-08-26 2006-08-25 化妆用刷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536A KR100834449B1 (ko) 2005-08-26 2005-08-26 화장용 브러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048A KR20070024048A (ko) 2007-03-02
KR100834449B1 true KR100834449B1 (ko) 2008-06-09

Family

ID=3777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536A KR100834449B1 (ko) 2005-08-26 2005-08-26 화장용 브러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34449B1 (ko)
CN (1) CN19191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186B1 (ko) 2016-11-28 2018-05-25 공도윤 치간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930B1 (ko) 2010-12-14 2013-05-06 주식회사 모리스 자동 밀폐 구조를 갖는 원터치식 양면 브러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261Y1 (ko) 2003-02-07 2003-07-07 최계동 화장용 브러시 조립체
KR100456267B1 (ko) 2002-04-30 2004-11-09 최만수 화장용 브러시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67B1 (ko) 2002-04-30 2004-11-09 최만수 화장용 브러시기구
KR200319261Y1 (ko) 2003-02-07 2003-07-07 최계동 화장용 브러시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1186B1 (ko) 2016-11-28 2018-05-25 공도윤 치간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048A (ko) 2007-03-02
CN1919100A (zh)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7233B2 (ja) 格納式分配要素を有する液体状、固体状、ペースト状または粉末状化粧品用容器
US6889696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spring-biased mirror
EP1095588B1 (en) Hand-held multipurpose casing with structure for reversibly extending functional tipped device
US11317697B2 (en) Cosmetic stick case using magnetic force
WO2008079801A2 (en) Capless cosmetic applicator
JPH0614836Y2 (ja) 塗布具のキヤツプ構造
KR100688328B1 (ko) 화장용 브러시
KR100834449B1 (ko) 화장용 브러시
KR200456827Y1 (ko) 콤팩트 케이스
KR100753161B1 (ko) 출입구 개폐체를 구비한 화장브러시 케이스
KR101289707B1 (ko) 작동신뢰성이 증진된 개폐부재를 갖는 다용도 케이스
KR20080062157A (ko)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KR102644985B1 (ko) 슬라이딩 버튼이 구비된 립스틱 용기
KR200471805Y1 (ko)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JP2000041733A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材繰出容器
JP2007061392A (ja) ノック式化粧容器
KR20190131662A (ko) 립스틱 인출이 편리한 립스틱 보호케이스
US8657514B2 (en) Multipurpose case
US6886571B2 (en) Make-up set and cosmetic storage case
KR101312411B1 (ko) 화장 브러시용 케이스
JP3932147B2 (ja) 棒状化粧品容器
JP2007061393A (ja) ノック式化粧容器
KR200495616Y1 (ko) 화장품 용기
JPS5913096Y2 (ja) 筆記具の芯の保護パイプ
JPH011853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