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015B1 - 펜슬형 화장 도구 - Google Patents

펜슬형 화장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015B1
KR102067015B1 KR1020180003725A KR20180003725A KR102067015B1 KR 102067015 B1 KR102067015 B1 KR 102067015B1 KR 1020180003725 A KR1020180003725 A KR 1020180003725A KR 20180003725 A KR20180003725 A KR 20180003725A KR 102067015 B1 KR102067015 B1 KR 102067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keup
cosmetic
pencil
tool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5631A (ko
Inventor
정인용
전정훈
전은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Priority to KR1020180003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0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0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means for controlling duration, e.g. time of brus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0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a controlling brush technique device, e.g. stroke movement measur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an acoustic signalling means, e.g. noi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light signa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vibrating signa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8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 rotating action, e.g.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슬형 화장 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 안료심 및 화장용 브러시가 내장된 펜슬형 화장 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펜슬형 화장 도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부와, 몸체부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 인출홀이 형성되는 제2회전부와, 몸체부에 수용되며, 화장 안료심이 마련된 제1메이크업부와, 몸체부에 수용되며, 화장용 브러시가 마련된 제2메이크업부를 포함하고, 제1메이크업부 및 제2메이크업부는 제1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출홀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제1메이크업부가 상기 인출홀의 외측으로 노출된 경우, 상기 제2회전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화장 안료심이 인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펜슬형 화장 도구{PENCIL TYPE MAKE-UP TOOL}
본 발명은 펜슬형 화장 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 안료심 및 화장용 브러시가 내장된 펜슬형 화장 도구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은 얼굴이 아름답게 보일 수 있도록 피부색, 착용한 옷의 디자인 및 외출장소에 따라 어울리는 화장품을 선택해 화장을 한다.
화장품은 화장안료의 상태에 따라 크림, 분말, 펜슬, 액상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태에 따라 알맞은 화장품 용기에 보관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는 하나의 화장안료만이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화장안료의 도포에 필요한 화장용 브러시를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하나의 화장품 용기에 화장안료 및 화장용 브러시가 내장되어, 간편하게 휴대 사용할 수 있는 소형화된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으며, 이에 관한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539757호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안료 및 화장용 브러시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뚜껑이 구비되어야 했으며, 뚜껑은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로 인해 분실의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별도의 뚜껑 없이도 화장안료 및 화장용 브러시의 보호가 가능한 펜슬형 화장 도구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뚜껑 없이도 화장안료 및 화장용 브러시의 보호가 가능한 펜슬형 화장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부와, 몸체부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 인출홀이 형성되는 제2회전부와, 몸체부에 수용되며, 화장 안료심이 마련된 제1메이크업부와, 몸체부에 수용되며, 화장용 브러시가 마련된 제2메이크업부를 포함하고, 제1메이크업부 및 제2메이크업부는 제1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인출홀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제1메이크업부가 인출홀의 외측으로 노출된 경우, 제2회전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화장 안료심이 인출되는 펜슬형 화장 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메이크업부는 중공형 내부를 가지며, 내부에 화장안료심이 수용되는 심수용부재와, 심수용부재에 수용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동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마련된 제1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심수용부재는 내주면의 일영역을 따라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이동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제1나사산에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며, 제2회전부의 회전 시, 이동부재는 화장 안료심 측으로 이동되어, 심수용부재에 수용된 화장안료심을 밀어 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출홀은 다각형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메이크업부의 외부 노출 시, 인출홀과 맞닿는 심수용부재의 외주면의 일영역은 인출홀과 동일한 다각형형사으로 형성되고, 심수용부재는 제2회전부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회전부는 기둥형상의 파지부재와, 파지부재에 결합되며, 몸체부로 삽입되는 내부가 빈 원기둥 형상의 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삽입부재는 일지점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고, 제1메이크업부 또는 제2메이크업부는, 경사면과 맞닿으며, 맞닿는 경사면의 높이만큼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부재는 일지점에 함몰홈이 형성되고, 제1메이크업부 및 제2메이크업부는 함몰홈에 삽입 가능한 돌기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는 내주면에 돌기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제1메이크업부 및 제2메이크업부가 삽입 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블록부재와, 제1메이크업부 및 제2메이크업부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탄성부재는 블록부재와 돌기 사이에 위치하여 제1메이크업부 및 제2메이크업부를 길이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메이크업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내측을 향해 함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지지부재와, 일영역이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화장용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화장 안료심 및 화장용 브러시가 직선운동하며 외부로 노출되거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기 때문에, 화장 안료심 및 화장용 브러시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뚜껑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2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화장 안료심의 인출 정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호에 따라 화장 안료심 및 화장 브러시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 및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 도구의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 도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 도구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 도구의 제1메이크업부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 도구의 제2메이크업부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 도구의 제2회전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 도구의 제1회전부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 도구(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 도구(1)의 분해도이다.
펜슬형 화장 도구(1)는 몸체부(10), 제1회전부(20), 제2회전부(30),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를 포함한다. 이때, 몸체부(10), 제1회전부(20) 및 제2회전부(30)는 펜슬형 화장 도구(1)의 하우징으로서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몸체부(10)는 내부에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를 수용하는 구성요소로서,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부(10)는 상단에 제1회전부(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에 제2회전부(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부(20) 및 제2회전부(30)는 외력에 의해 몸체부(10)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제1회전부(20) 및 제2회전부(30)를 분리하여 내부에 위치한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를 교체할 수 있다.
제1회전부(20)는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메이크업부(40) 또는 제2메이크업부(50)를 인출홀(300, 도 8 참조)의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파지부재(200) 및 삽입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재(200)는 펜슬형 화장 도구(1)의 외관을 이루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어 회전될 수 있고, 삽입부재(210)는 파지부재(200)의 일면에 결합되어, 파지부재(2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재(210)는 몸체부(10)의 중공으로 삽입되어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와 맞닿아, 제1메이크업부(40) 또는 제2메이크업부(50)를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 시킬 수 있다.
파지부재(20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부재(210)는 내부가 빈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재(210)는 일지점(T)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경사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부재의 일지점(T)은 경사면(211)의 최고 지점일 수 있으며, 일지점과 대칭되는 위치의 타지점(B)은 경사면(211)의 최저 지점일 수 있다.
한편,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는 경사면(211)과 맞닿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경사면(211)의 높이만큼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파지부재(200)를 회전하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와 맞닿는 경사면(211)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으며,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의 길이방향으로의 이동 정도가 변화될 수 있다.
삽입부재(210)의 일지점(T)의 높이는 일지점(T)과 맞닿는 제1메이크업부(40) 또는 제2메이크업부(50)가 인출홀(30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지점(B)의 높이는 타지점(B)과 맞닿는 제1메이크업부(40) 또는 제2메이크업부(50)가 제2회전부(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10)는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의 이탈을 방지하며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블록부재(100, 도 9참조)가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블록부재(10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0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록부재(100)의 일영역은 몸체부(10)의 중공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는 관통공(101)에 직선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회전부(20)의 가압에 따라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는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직선운동할 수 있다.
제2회전부(30)는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를 보호하며, 회전에 따라 제1메이크업부(40)에 수용된 화장 안료심(421, 도 6 참조)을 인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제2회전부(30)는 일단에 인출홀(300)이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몸체부(10)의 중공과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는 일영역이 제2회전부(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제1회전부(20)에 의한 직선운동에 따라 인출홀(300)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제2회전부(30)는 타단에서 일단으로 갈수록 중공의 단면 넓이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회전부(30)가 중공의 단면의 넓이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제1메이크업부(40) 또는 제2메이크업부(50)의 하단은 하측을 향하는 직선운동 시에 내주면과 맞닿아 휘어지면서 인출홀(300)로의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제1메이크업부(40)는 내부에 화장 안료심(421)을 수용하며, 회전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화장 안료심을 인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심수용부재(420), 이동부재(410, 도 6 참조) 및 제1지지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심수용부재(420)는 화장 안료심(421)을 보관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화장 안료심(421)이 수용될 수 있다.
이동부재(410)는 심수용부재(420)에 수용된 화장 안료심(421)을 인출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회전에 따라 심수용부재(420)의 중공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심수용부재(420)의 내주면의 일영역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부재(410)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심수용부재(420)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재(410)는 심수용부재(420)의 중공을 따라 화장 안료심(421) 측으로 이동되어, 화장 안료심(421)을 밀어 인출시킬 수 있다.
한편, 제1메이크업부(40)의 외부 노출 시, 제2회전부(30)의 인출홀(300, 도 8 참조)과 맞닿는 심수용부재의 외주면의 일영역(422)은 제2회전부(30)의 인출홀(3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심수용부재(420)는 제2회전부(3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인출홀(300) 및 심수용부재의 외주면의 일영역(422)은 다각형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회전부(30)가 헛돌아 회전력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제1지지부재(400)는 삽입부재(210)와 맞닿으며, 제1회전부(20)의 회전에 따라 삽입부재의 경사면(2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400)는 하단에 이동부재(410)가 수용되는 수용홈(미도시)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용홈에 수용된 이동부재(410)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지지부재(400)의 외주면에는 돌기(40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401)는 삽입부재(210)와 맞닿아, 삽입부재(210)의 경사면(2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돌기(401)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밑각은 삽입부재의 경사면(211)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지지부재(400) 및 이동부재(41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탄성변형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제2메이크업부(50)는 화장용 브러시(510)가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메이크업부(50)는 제2지지부재(500) 및 화장용 브러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재(500)는 삽입부재(210)와 맞닿으며, 제1회전부(20)의 회전에 따라 삽입부재의 경사면(2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돌기(501)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밑각은 삽입부재의 경사면(211)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재(500)는 하단에 화장용 브러시(510)가 결합되는 삽입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지지부재(50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으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탄성변형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다.
화장용 브러시(510)는 일영역이 삽입홈에 삽입되어 제2지지부재(5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화장용 브러시(51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제2메이크업부(50) 전체가 아닌 화장용 브러시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은 화장용 브러시(510)로서 스크류 브러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10)의 내주면에는 제1메이크업부의 돌기(401) 및 제2메이크업부의 돌기(501)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홈(110, 도 9 참조)이 각각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기(501)는 이동안내홈(110)에 삽입되어, 제1회전부(20)의 가압에 따라 이동안내홈(110)을 따라 직선운동 한다. 한편, 한 쌍의 이동안내홈(110)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재(210)는 일지점(T)에 돌기(401, 501)의 적어도 일영역이 삽입되는 함몰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삽입부재의 일지점(T)에 함몰홈(212)을 형성됨으로써, 외측으로 노출된 제1메이크업부(40) 또는 제2메이크업부(50)가 사용 중에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중에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가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펜슬형 화장 도구(1)는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가 외측으로 노출된 후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각 지지부재(400, 50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430, 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430, 520)는 블록부재(100, 도 9 참조)와 돌기(401, 501) 사이에 위치하여, 돌기(401, 501)를 삽입부재(210)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즉,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는 탄성부재(430, 520)에 의해 경사면(211)과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 도구(1)의 단면도이다.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는 돌기(401, 501)가 삽입부재(210)의 경사면(211)과 맞닿은 상태로, 경사면(211)의 높이만큼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도 3은 제1메이크업부(40)가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메이크업부(40)는 삽입부재의 일지점(T)과 맞닿아 일영역이 인출홀(3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제2메이크업부(50)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지점(B)과 맞닿아 인출홀(3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가 모두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3의 상태에서 제1회전부(20)가 회전한 상태일 수 있다.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는 일지점(T)과 타지점(B) 사이에 위치한 경사면(211)에 맞닿아, 인출홀(3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회전부(20)를 회전하며, 제1메이크업부(40) 또는 제2메이크업부(50)를 외측으로 노출시켜 화장을 진행하고, 화장을 완료한 후에는 제1회전부(20)를 회전하여, 제1메이크업부(40) 및 제2메이크업부(50)를 내부로 인입해, 제1메이크업부(40)와 제2메이크업부(5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슬형 화장 도구(1)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메이크업부(40)는 삽입부재의 일지점(T)과 맞닿아 일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때, 제1메이크업부의 돌기(401)는 삽입부재(210)의 일지점(T)에 형성된 함몰홈(212)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제1회전부(20)를 회전하지 않는 이상 유동되지 않는다.
한편, 제1메이크업부(40)가 노출된 상태 즉, 심수용부재(420)의 일영역이 인출홀(300)에 맞닿은 상태에서 제2회전부(30)가 회전하는 경우, 제2회전부(30)의 회전에 따라 심수용부재(42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410)는 심수용부재(420)의 회전에 따라 화장 안료심(421) 측으로 이동되어, 화장 안료심(421)을 밀어 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화장 안료심 또는 화장용 브러시가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제2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화장 안료심을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뚜껑 없이도 화장 안료심 및 화장용 브러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화장 안료심 및 화장 브러시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펜슬형 화장 도구
10 : 몸체부
20 : 제1회전부
30 : 제2회전부
40 : 제1메이크업부
50 : 제2메이크업부

Claims (8)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회전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에 다각형 형상의 인출홀이 형성되는 제2회전부와,
    상기 몸체부에 수용되며, 화장 안료심이 마련된 제1메이크업부와,
    상기 몸체부에 수용되며, 화장용 브러시가 마련된 제2메이크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메이크업부 및 상기 제2메이크업부는, 상기 제1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인출홀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 메이크업부는,
    중공형 내부를 가지고, 내부에 화장안료심이 수용되며, 외주면의 일영역은 상기 인출홀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의 일영역을 따라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심수용부재와,
    상기 심수용부재에 수용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마련된 제1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심수용부재는, 상기 제1메이크업부가 상기 인출홀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2회전부가 회전 시 함께 회전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나사산에 치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심수용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화장안료심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화장안료심을 밀어 인출시키는, 펜슬형 화장 도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는,
    기둥형상의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로 삽입되는 내부가 빈 원기둥 형상의 삽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재는, 일지점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메이크업부 또는 상기 제2메이크업부는, 상기 경사면과 맞닿으며, 맞닿는 경사면의 높이만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화장 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일지점에 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메이크업부 및 상기 제2메이크업부는, 상기 함몰홈에 삽입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화장 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주면에 상기 돌기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화장 도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1메이크업부 및 상기 제2메이크업부가 삽입 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블록부재와,
    상기 제1메이크업부 및 상기 제2메이크업부의 외주면에 각각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블록부재와 상기 돌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메이크업부 및 상기 제2메이크업부를 길이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화장 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이크업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에 내측을 향해 함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제2지지부재와,
    일영역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화장용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슬형 화장 도구.
KR1020180003725A 2018-01-11 2018-01-11 펜슬형 화장 도구 KR102067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725A KR102067015B1 (ko) 2018-01-11 2018-01-11 펜슬형 화장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725A KR102067015B1 (ko) 2018-01-11 2018-01-11 펜슬형 화장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631A KR20190085631A (ko) 2019-07-19
KR102067015B1 true KR102067015B1 (ko) 2020-01-16

Family

ID=6751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725A KR102067015B1 (ko) 2018-01-11 2018-01-11 펜슬형 화장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0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261B1 (ko) * 2022-06-08 2022-08-23 강진아 다기능 눈썹 화장용 도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7803A (ja) 2007-06-15 2008-12-25 Pilot Corporation 両頭回転繰出式多芯筆記具
JP2015042215A (ja) * 2013-08-26 2015-03-05 株式会社トキワ 化粧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693Y1 (ko) * 1988-11-18 1991-04-26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봉상물 송출용구
JP2606588Y2 (ja) * 1993-12-06 2000-11-27 三菱鉛筆株式会社 複式筆記具
KR20160063940A (ko) * 2014-11-27 2016-06-07 이정민 펜타입 화장품 케이스
KR20170081975A (ko) * 2016-01-05 2017-07-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7803A (ja) 2007-06-15 2008-12-25 Pilot Corporation 両頭回転繰出式多芯筆記具
JP2015042215A (ja) * 2013-08-26 2015-03-05 株式会社トキワ 化粧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631A (ko) 2019-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4193B1 (en) Multi-unit cosmetic applicator
KR101126906B1 (ko) 비연계 운동을 갖는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
TWI623284B (zh) Coating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ing container
KR20140082668A (ko) 액상 화장료 용기
CN107568878A (zh) 双头化妆品容器
JP5779307B2 (ja) 複数の化粧品の収納缶
KR102067015B1 (ko) 펜슬형 화장 도구
US20190281954A1 (en) Wheel actuated cosmetic stick
JP7122369B2 (ja) 自動的に開閉するシールモジュール及びシールモジュールを用いた化粧品ケース
KR200488671Y1 (ko) 화장용 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US11317697B2 (en) Cosmetic stick case using magnetic force
JP3202178B2 (ja) 化粧料塗布容器
CN210363090U (zh) 手持伸缩笔
KR20180035463A (ko) 아이라이너
WO2007027047A1 (en) Makeup brush case equipped with open and shut member for in and out hole
KR101754514B1 (ko) 복수 개의 브러쉬가 구비된 펜슬형 화장기구
KR102123425B1 (ko) 다중 브러쉬
KR20080062157A (ko) 회전 운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스
KR102019460B1 (ko) 화장 도구
JP7376391B2 (ja) 塗布具付キャップ及び塗布容器
KR200233910Y1 (ko) 화장용 펜슬
EP3636101B1 (en) Compact cosmetic case
JP3126222U (ja) 筒形状化粧道具構造
KR102311515B1 (ko) 화장 도구
KR102464088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