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906B1 - 비연계 운동을 갖는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 - Google Patents

비연계 운동을 갖는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906B1
KR101126906B1 KR1020097006271A KR20097006271A KR101126906B1 KR 101126906 B1 KR101126906 B1 KR 101126906B1 KR 1020097006271 A KR1020097006271 A KR 1020097006271A KR 20097006271 A KR20097006271 A KR 20097006271A KR 101126906 B1 KR101126906 B1 KR 101126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ght
groove
base
cap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1104A (ko
Inventor
에르베 부아
프란시스 코르벨리니
Original Assignee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filed Critical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90051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2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pstick holders or with other toiletry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23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1Features of the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2040/225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lid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부, 기부 내에 배치되는 화장 용품 캐리어 및 캡부를 포함하는 증가된 안정성의 화장품 콤팩트에 관한 것이다. 기부에 대해, 캡부는 종종 병진될 수 있고 종종 회전될 수 있지만, 캡부는 캡부 및 기부의 상대 배향에 따라 한번에 하나의 방식의 운동만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병진 또는 회전 중 어느 한쪽을 실행할 수 있지만 동시에는 실행할 수 없는 기부에 대한 캡부의 하나의 배향이 있다. 선택 회전 기구가 회전 운동으로부터 캡부의 병진 운동을 비연계시킨다. 이와 같이, 기부에 대한 캡부의 복합 운동이 가능하지 않다. 기부에 대한 캡부의 병진이 용품 캐리어의 병진을 유발시킨다. 캐리어의 우발적인 운동이 방지되는데, 장치가 사용을 위한 배향 상태에 있는 때, 캐리어의 병진이 금지되기 때문이다.
화장품 콤팩트, 기부, 캡부, 용품 캐리어, 병진, 회전

Description

비연계 운동을 갖는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 {UNITARY COSMETIC COMPACT WITH DECOUPLED MOTION}
본 발명은 화장 또는 피부 관련 제품 등의 다양한 개인 관리 용품(personal care article) 및 브러시 또는 다른 도포구 등의 보조 물품(ancillary item)의 포장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부품이 사용을 위해 화장 용품을 노출시키도록 사용자에 의해 배향될 수 있는 일체형 구성의 개선된 콤팩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캡부 및 기부가 사용을 위해 수용된 용품을 노출시키도록 사용자에 의해 재배향될 수 있는 많은 용기가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기부에 대해 병진 및 회전될 수 있는 캡부를 갖는 어떤 방식의 용기로서, 용품 캐리어가 용품을 노출 또는 은폐시키도록 기부 내에서 병진되는 용기이다.
다음의 모든 특허(US234,280호, US238,959호, US947,198호, US1,693,151호, US1,734,117호, US D148,294호, US2,556,500호, US3,033,258호, US D197,368호, US4,915,527호, US D360,057호, US5,391,011호 및 US6,200,051호)에서, 캡부는 동시에 회전 및 병진될 수 있다. 이 특징은 불리하다. 캡부가 복합 운동(동시의 병진 및 회전)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은 콤팩트가 개방 및 폐쇄 중인 때에 뿐만 아니 라 사용자가 사용 중에 콤팩트를 조작 중인 때에도 사용자 손 안에서의 콤팩트의 안정성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작은 파지 면적을 갖는 경향이 있는 비교적 작은 화장품 콤팩트에 대해 특히 적용될 수 있다. 화장품 및 다른 콤팩트에 대해, 캡부가 복합 운동을 수행할 수 없으면 즉 병진(수직) 및 회전 운동이 비연계되고 연속적으로 수행되지만 동시에는 수행되지 않으면 더 양호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동시에 캡부를 병진 및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본 발명에서의 경우이다.
US1,639,151호에 대해, 동시에 캡부를 병진 및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캡부의 이 복합 운동을 억제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수단이 제공된 때에도, 복합 운동이 단지 억제되고 방지되지는 않고, 이것은 단지 일부의 시간에 걸쳐 억제되고 모든 시간에 걸쳐 억제되지는 않는다. 이것은 캡부의 복합 운동이 가능하지 않은 본 발명과 다르다. 이 참조물에서의 장치의 하나의 단점에 따르면, 캡부가 기부 아래에 놓여 있도록 180˚만큼 회전된 때, 캡부의 병진 이동이 여전히 가능하다. 또 다른 단점에 따르면, 캡부가 기부 아래에 놓여 있도록 180˚만큼 회전된 때, 사용자의 그 부분 상에서의 추가의 힘이 캡부가 콤팩트의 상부를 향해 회전될 수 있도록 기부에 대한 캡부의 스냅 결합(snap engagement)을 극복하는 데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들 단점을 갖지 않는다.
나아가, 다음의 모든 특허(US234,280호, US238,959호, US947,198호, US1,693,151호, US1,734,117호, US1,793,192호, US1,904,364호, US D145,286호, US D148,294호, US2,556,500호, US D197,368호, US4,915,527호 및 US D360,057호)에서, (예컨대, 사용 중에) 노출된 용품에 직접적으로 인가되는 압력이 용품의 위치 를 변경시키며 그에 의해 불안정한 상황을 유발시키는 것이 일부의 경우에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일부의 경우에, 이것은 사용자가 콤팩트를 파지하는 방법에 의존한다. 사용자가 콤팩트를 파지하는 방법과 무관하게 용품 캐리어가 용품에 인가되는 축 방향 압력의 결과로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더 양호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화장 용품에 직접적으로 인가되는 압력의 결과로서 화장 용품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것이 임의의 적절한 사용에서 가능하지 않은 본 발명에서의 경우이다.
나아가, 다음의 참조물(US947,198호, US1,693,151호, US1,734,117호, US D148,294호, US2,556,500호, US D197,368호, US4,915,527호 및 US D360,057호)에서, 용품이 그 최종의 수직 위치에 도달되기 전에 화장 용품을 최대로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용품이 여전히 사용을 위해 소정 위치로 조작되는 중인 동안에도 캡부가 화장 용품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회전되며 그에 의해 용품을 노출시키기 때문에 발생된다. 이것은 용품이 또 다른 표면과 우발적으로 접촉되지 않으면 불리하다. 예컨대, 용품이 화장 스틱 제품인 경우에 콤팩트가 사용하기-용이한 배향으로 조작 중에 스틱이 노출되면 스틱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 또는 사용자의 의복 또는 다른 표면과 우발적으로 접촉될 기회가 증가된다. 용품 캐리어가 사용하기-용이한 위치에 있게 될 때까지 화장 용품이 최대로 노출되지 않으면 더 양호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화장 용품이 최종의 위치로 병진되고 그 다음에만 캡부가 용품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피벗되는 본 발명에서의 경우이다.
일부의 피벗-캡부 콤팩트(US234,280호, US2,540,304호, US2,678,459호, US5,391,011호, US6,200,051호, 및 US2004/0187885호)는 사용자의 측면에서의 1회 초과의 수고를 요구한다. "1회 이상의 수고"는 사용자가 개방 및 폐쇄 조작을 완료하기 위해 콤팩트의 일부를 파지 및 재파지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끔 이것은 콤팩트가 일체형 장치가 아닌 결과이고 가끔 이것은 장치의 복잡성의 결과이다. 콤팩트가 일체형 장치가 아닌 때, 콤팩트의 부품이 분실될 수 있다는 추가의 단점이 있다. 콤팩트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한 단지 1회의 유연한 운동(fluid motion)을 요구하는 일체형 콤팩트가 더 양호할 것이다.
일부 참조된 구성(즉, US947,198호 및 US1,904,364호)에서, 캡부는 주로 기부의 저부에 대해 그 주위에서 180˚만큼 회전될 수 없다.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은데, 캡부가 공간 내에 돌출되며 그에 의해 사용자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일부의 장치는 예컨대 US1,904,364호 및 US2,540,304호에 개시된 것들과 같이 본 발명보다 상당히 더 복잡하다.
위에서 인용된 문헌 중에서, 기부, 캡부 및 용품 캐리어를 포함하는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로서, 캡부는 기부와 동축 배향 상태로부터 벗어나도록 회전되면 더 이상 병진될 수 없도록 기부에 대해 병진 및 회전될 수 있고, 병진 및 회전의 양쪽 모두가 가능한 기부에 대한 캡부의 단지 하나의 배향이 단지 1개이고, 캡부는 동시에 피벗 및 병진되는 것이 방지되는 화장품 콤팩트를 어느 것도 개시하지 않고 있다. 나아가, 그 출원인은 여기에서 개시된 것과 같은 선택 회전 기구를 포함하는 어떠한 콤팩트도 인식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기부, 기부 내에 배치되는 화장 용품 캐리어 및 캡부를 포함하는 증가된 안정성의 사용하기-편리한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이다. 기부에 대해, 캡부는 종종 병진 이동될 수 있고 종종 회전 이동될 수 있지만, 캡부는 한번에 단지 하나의 방식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캡부가 실행할 수 있는 이동의 방식(병진 또는 회전)이 캡부 및 기부의 상대 배향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에서 선택의 여지를 갖지 못한다. 이 규칙에는 하나의 예외가 있다. 사용자가 병진 또는 회전 중 어느 한쪽을 실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택의 여지가 있지만 양쪽 모두가 동시에는 실행되지 않는 기부에 대한 캡부의 정확하게 하나의 배향이 있다. 임의의 다른 배향에서, 캡부는 그에 이용 가능한 단지 하나의 방식의 이동을 갖는다. 항상, 기부에 대한 캡부의 병진이 기부의 저부 또는 상부 중 어느 한쪽을 향한 화장 용품 캐리어의 병진을 유발시킨다. 기부에 대한 캡부의 회전이 화장 용품 캐리어의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캡부는 적어도 180˚만큼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독특한데, 이는 캡부의 병진(또는 수직) 운동이 캡부의 회전(또는 피벗) 운동으로부터 비연계되기 때문이다. 즉, 기부에 대한 캡부의 복합 이동이 가능하지 않다. "복합 운동"은 동시에 발생되는 2개 이상의 방식의 운동 즉 병진 및 회전을 의미한다. 나아가, 압력이 (예컨대, 사용 중에) 화장 용품에 인가된 때, 화장 용품 및 캐리어가 기부에 대해 이동될 수 없다. 캐리어의 우발적인 이동이 방지되는데 장치가 사용을 위해 어떤 배향 상태에 있는 때에 캐리어의 병진 이동이 금지되기 때문이다. 이들 특징은 사용 중의 더 큰 안정성을 발생시킨다. 사용자가 장치와 관련하여 실수하거나 사용 중에 우발적으로 장치를 이동시킬 가능성이 적다. 장치는 사용자에 의한 1회의 유연한 운동으로써 조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의 기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의 화장 용품 캐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의 캡부의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의 개방의 순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콤팩트는 스틱-방식의 개인 관리 용품을 수납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기부가 캡부를 회전시키는 3개의 위치를 갖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의 측면-접근 버전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화장 용품이 브러시인 실시예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캡부의 근접 필드 부분이 절결된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의 하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각각의 피벗부는 하나의 직선형 모서리를 갖는다.
도 9a 내지 도 9e는 캡부의 근접 필드 부분이 절결된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의 하나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각각의 피벗부는 2개의 직선형 모서리를 갖는다.
이 명세서 전체에 걸쳐, 용어 "포함"은 객체의 집합이 구체적으로 인용된 객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일관되게 의미할 것이다.
"일체형 콤팩트"는 청구된 발명의 부품이 사용 중에 항상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품들 사이의 연결은 서로에 대한 부품의 자유도를 제한한다. 그래서, 예컨대 사용 중에 분리되는 콤팩트 또는 도포구가 종종 사용 중에 연결되더라도, 일체형 콤팩트를 형성하지는 않는다.
"병진" 및 관련 파생 형태는 요소의 회전과 상이한 요소의 선형 운동을 말한다. "회전" 및 관련 파생 형태는 요소의 병진과 상이한 물리적 피벗부 주위에서의 요소의 운동을 말한다.
기부
도 1을 참조하면, 중공 기부(10)는 일반적으로 콤팩트의 최대 또는 주요 부품이다.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직사각형과는 매우 상이한 기부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기부는 저부 벽(11), 전방 및 후방 벽(12, 12'), 및 2개의 측방 벽(13, 13')을 갖는다. 기부의 상부(14)는 개방되어 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해, 용어 "수직"은 기부의 저부 벽이 지면에 가장 가까운 상태에서의 도 1에 도시된 배향으로의 기부를 지칭한다. "전방", "후방" 및 "측방"으로서의 벽의 지정은 임의적이다. 기부에는 그 1개 이상의 벽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는 1개 이상의 홈(20)이 제공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홈은 기부의 측방 벽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홈은 내부측의 용품 캐리어로의 접근을 가능케 하도록 기부의 측방 벽을 완전히 통과한다. 기부는 통상적으로 임의의 종래의 수단에 의해 1개 이상의 플라스틱으로부터 성형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 도 6 및 도 7을 비교함으로써, 콤팩트의 상대 치수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엄격하게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기부(10)의 측방 벽(13, 13')의 폭에 대한 어떤 실질적인 하한이 있는데 이들 벽이 홈(20) 및/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리세스를 수용할 정도로 충분히 넓어야 하기 때문이다. 연구에서, 3/4 ㎝ 정도로 작은 기부 폭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가 어떠한 심각한 문제점도 없이 구성되었다. 일부의 지점에서 장치가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없을 정도로 과도하게 작아지지만 기부의 측방 벽이 3/4 ㎝보다 좁을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실질적인 문제로서, 대략 1/2 ㎝가 기부의 측방 벽의 폭에 대한 하한 또는 홈을 포위하는 그 특징부의 폭에 대한 하한이다. 나아가, 1/4 ㎝가 홈의 폭의 대략적인 하한이다.
용품 캐리어
도 2에서, 용품 캐리어(30)는 장치 내에 수납 중인 용품을 위한 리셉터클이다. 캐리어는 화장 용품을 확실하게 보유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구성일 수 있다. "확실하게 보유"는 용품이 통상의 사용 중에 용품 캐리어 내에 보유되고 용품 캐리어가 당업자에게 공지된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용품을 확실하게 보유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캐리어는 화장 스틱을 보유하는 내부 스플라인(internal spline)을 갖는 컵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또는, 캐리어는 브리슬 섬유(bristle fiber)를 확실하게 보유하는 주름형 페룰(crimped ferrule)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브러시 또는 빗 내로 전체의 장치를 회전시킨다. 또는, 캐리어는 사전-충전된 화장 용기를 수용 및 보유할 수 있는 외부 리셉터클로서 작용할 수 있고, 예컨대, 가압 분말을 보유하는 데 사용되는 콤팩트 팬이 용품 캐리어 내로 접착된다. 도 5c에서 화장 용품(50)은 캐리어의 상부(34) 내에 고정되고, 반면에 도 6b에서 이것은 캐리어의 전방 벽(32) 내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화장 용품은 캐리어의 상부, 전방, 후방 또는 측방 측면 중 임의의 측면과 관련된다. 캐리어는 통상적으로 임의의 종래의 수단에 의해 1개 이상의 플라스틱으로부터 성형될 수 있다.
캐리어(30)는 기부(10) 내부측에 위치되고 기부 내에서 수직으로(상하로) 활주(병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어의 외부는 이것이 활주되는 기부의 내부에 상보적으로 성형된다. 이 근접 끼워맞춤(close fit)은 상하 운동이 아닌 운동을 감소시킬 것이다. 이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는 전방 및 후방 벽(32, 32'), 및 2개의 측방 벽(33, 33')을 갖는다. 캐리어의 각각의 측방 벽에는 캡부(40)로의 부착부가 제공된다. 부착부는 캐리어의 측방 벽 내에 제공되는 1개 이상의 슬롯(35)을 통해 성취되고, 예컨대 스냅-끼움 결합 상태로 캐리어 및 캡부를 연결하는 홈을 통해 연장되는 1개 이상의 피벗 요소(45)일 수 있다. 피벗 요소는 캡부의 내부 벽으로부터 상승 또는 돌출될 수 있고 캐리어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대체예에서, 캐리어의 각각의 측방 벽에는 캡부를 향해 연장되는 피벗부가 제공될 수 있다. 많은 등가 수단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어느 경우에나, 캐리어는 기부 내의 홈(들)(20)을 통해 캡부에 연결된다. 연결은 캡부가 수직으로 병진될 때에 캐리어가 또한 수직으로 병진되도록 되어 있다.
캐리어는 기부의 저부(11)에 가장 가까운 최대 후퇴 위치와 기부의 상부(14)에 가장 가까운 최대 연장 위치 사이에서 활주된다. 최대 연장 위치에서, 용품 캐리어는 기부 위로 돌출될 수 있거나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도 6b에서 용품 캐리어(30)는 거의 최대로 노출되고, 도 5c에서 이것은 약 1/2만큼 노출되고, 도 7에서 용기 캐리어는 거의 전혀 노출되지 않는다. 화장 용품이 캐리어의 상부(34)를 통해 고정된 때(예컨대, 도 5c), 용품 캐리어의 노출 정도가 크게 제어 가능하고, 심미적 이유로 용품 캐리어의 어떠한 부분도 노출되지 않거나 용품 캐리어의 거의 일부만이 노출될 수 있다. 그러나, 도 6b의 구성에서, 용품 캐리어의 상당 부분이 반드시 기부로부터 돌출된다. 이 경우에, 용품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미세한 마무리 또는 심미적으로 수용 가능한 외관을 갖는다.
캡부
본 발명에 따른 캡부(40)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조립될 때, 캡부가 기부(10)의 외부에 위치되고 기부의 일부를 포위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캡부는 2개의 측방 섹션(43, 43') 및 하나의 중앙 섹션(44)을 갖는 대체로 U자형이지만, U자형은 엄격한 요건이 아니다. 캡부는 기부 상에서 상하로 활주(병진)될 수 있다. 캡부의 각각의 측방 섹션은 기부의 측방 섹션(13, 13') 위에서 또는 그를 따라 활주된다. 캡부가 기부에 대해 완전히 장착될 때, 캡부의 중앙 섹션이 기부의 개방 단부를 덮는다. 캡부는 통상적으로 임의의 종래 수단에 의해 1개 이상의 플라스틱으로부터 성형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캡부(40)의 측방 섹션(43, 43')은 기부(10)의 측방 벽(13, 13')에 상보적으로 성형된다. 이것은 깔끔한 외관 및 더 용이하게 조작되는 콤팩트를 가능케 한다. 이 근접 끼워맞춤은 또한 캡부의 외인성 이동을 감소시킬 것이다. 각각의 측방 섹션에는 용품 캐리어(30)에 부착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부착부는 예컨대 각각이 각각의 측방 섹션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1개 이상의 피벗부(45)일 수 있다. 피벗부는 스냅-끼움 결합 상태로 용품 캐리어의 측방 벽 내에 제공되는 리세스(35) 내로 연장된다. 대체예에서, 캐리어의 각각의 측방 벽에는 캡부의 측방 섹션의 내부 상에 제공되는 리세스로 연장되는 피벗부가 제공될 수 있다. 많은 등가 수단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어느 경우에나, 캡부는 기부의 홈(들)(20)을 통해 캐리어에 부착된다. 캐리어로의 캡부의 부착은 캡부가 수직으로 병진될 때에 캐리어가 또한 수직으로 병진되는 것을 보증한다. 이와 같이, 캡부의 중앙 섹션(44)이 기부의 개방 단부(14)에 대해 장착될 때, 캡부가 최저 위치에 있고 화장 용품 캐리어가 기부 내로 최대로 후퇴된 최저 위치에 있다. 캡부의 중앙 섹션이 피벗부(45)가 이들의 최고 수직 한계에 있게 되도록 상승된 때, 화장 용품 캐리어 및 캡부가 또한 이들의 최고 위치에 있거나 최대로 연장된다.
캡부가 도 4a,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위치들 중 임의의 위치에 있는 때, 캡부가 "수직 상태"이고/이거나 기부에 대해 회전되지 않은 것으로 언급된다. 도 4d, 도 4e 및 도 4f는 기부에 대해 회전되는 캡부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4f에서, 캡부는 기부에 대해 180˚만큼 회전되어 있다. 언급된 것과 같이, 피벗부(45)가 이들의 최고 수직 한계에 있는 때에만(또는 동등하게, 캡부 또는 용품 캐리어가 그 최대 수직 한계에 있는 때에만), 캡부(40)가 회전될 수 있다. 피벗부가 이들의 최고 수직 한계보다 낮으면, 캡부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것을 성취하는 특정 예가 설명될 것이다. 예는 홈(20)의 기하 형상 그리고 홈 내에서 이동되는 부착부(즉, 피벗부)의 기하 형상과 관련된다. 그러나, 본 발명 내에 수반되는 일반 원리는 "선택 회전 기구"가 다음의 3개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배열로서 한정되는 임의의 선택 회전 기구이다:
1. 선택 회전 기구는 피벗부가 이들의 최대 수직 한계 아래에 있는 때에 캡부의 회전을 방지하고,
2. 선택 회전 기구는 피벗부가 이들의 최대 수직 한계에 있는 때에 캡부의 회전을 허용하고,
3. 선택 회전 기구는 캡부가 수직 상태인 때에만(즉, 기부에 대해 회전되지 않은 때에만) 캡부의 병진을 허용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선택 회전 기구는 캡부가 기부에 대해 최대로 연장된 때에만 캡부의 회전을 허용하고, 캡부가 기부에 대해 회전되지 않은 때에만 캡부의 병진을 허용한다. 합쳐서 생각하면, 이들 요건은 또한 캡부가 동시에 병진 및 회전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캡부는 복합 운동을 수행할 수 없거나 등가적으로 콤팩트의 운동은 비연계된다.
선택 회전 기구의 예
실시예 1.
하나의 실시예(도 1)에서, 기부(10)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형 섹션(15) 및 리세스 내의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부는 그 각각의 측방 벽(13, 13') 상의 2개의 리세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리세스는 2개의 섹션으로 되어 있다. 하나의 섹션은 기부의 측방 벽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는 비교적 긴 직선형 리세스(16)이다. 기부의 상부에 접근함에 따라, 직선형 리세스가 원형 리세스(17) 내로 개방된다. 원형 리세스는 직선형 리세스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전체의 리세스는 그 경계를 설정하는 리세스 벽에 의해 형성된다. 직선형 리세스는 리세스 벽의 직선형 평행 섹션(18)에 의해 양쪽 측면 상에서 경계가 설정된다. 원형 리세스는 리세스 벽의 원형 섹션(19)에 의해 경계가 설정된다. 각각의 리세스 내에는 홈(20)이 있다. 홈은 실질적으로 직선형이고 홈의 상부 단부에서 원형 부분을 가질 수 있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홈은 직선형 홈 및 원형 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직선형 홈(21)은 직선형 리세스 내에 보유된 상태로 기부의 측방 벽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다. 원형 리세스에 도달된 때, 직선형 홈이 원형 홈(22) 내로 개방된다.
원형 홈(22) 및 원형 리세스(17)는 실질적으로 동심이고, 직선형 홈(21)의 중심선은 원형 홈 및 원형 리세스의 중심을 통과한다. 그러나, 직선형 리세스(16)의 중심선은 직선형 홈의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된다(논의를 위해 아래 참조). 이와 같이, 직선형 리세스의 중심선은 원형 홈 및 원형 리세스의 중심을 통과하지 않는다. 피벗부(45)는 각각의 피벗부의 중심이 직선형 홈의 중심선을 따라 이동되도록 홈(20)을 따라 이동된다.
캡부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또한 돌출되는 피벗부 바로 근처에는 1개 이상의 직선형 모서리(46, 도 3)가 있다. 직선형 모서리는 직선형 리세스(16) 내에서 이동되고 직선형 리세스의 어느 한쪽의 측면 상의 리세스 벽(18)과 밀착된다. 이와 같이, 직선형 모서리는 직선형 리세스와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형 홈(21, 21')에 대해 오프셋된다. 직선형 모서리는 리세스 벽에 평행하고, 리세스 벽에 대한 직선형 모서리의 맞닿음이 캡부의 실질적인 회전을 방지하도록 직선형 리세스의 폭에 비해 충분히 길다. 이와 같이, 직선형 모서리가 원형 리세스(17) 아래에 있는 때, 캡부는 기부(10)에 대해 병진될 수 있지만 회전될 수 없다.
도 3에 도시된 직선형 모서리(46)는 피벗부(45)의 기부를 포위하는 플랜지(47)로서 작용한다. 플랜지는 직선형 모서리(들)를 구체화하는 1개 이상의 직선형 부분을 제외하면 원형일 수 있다. 2개 이상의 직선형 모서리가 제공된 때, 각각의 직선형 모서리는 직선형 리세스의 각각의 측면 상의 리세스 벽(18)과 밀착된다. 직선형 모서리는 동일 또는 상이한 길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랜지의 원형 부분은 원형 리세스의 직경보다 단지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 근접 끼워맞춤은 기부에 대한 캡부의 외인성 운동을 억제할 것이고 더 확실하게 보유하는 장치를 만든다. 플랜지가 어떠한 원형 부분도 갖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의 직선형 모서리의 길이가 원형 리세스의 직경에 최대한 근접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직선형 모서리는 원형 리세스 내로 끼워지고 그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 리세스의 직경보다 짧아야 한다. 이와 같이, 직선형 모서리가 원형 리세스 내로 진입된 때, 직선형 모서리가 회전될 수 있고 물론 캡부가 또한 회전된다.
직선형 모서리의 대체 실시예는 피벗부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측면 상에 제공되는 1개 이상의 직선형 리지이다. 그러나, 플랜지가 리지보다 선호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완전히 구체화된 플랜지가 얇은 리지보다 강력할 수 있고 우수한 내마모성 및 내파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직선형 모서리가 원형 리세스(17) 아래에 있는 때, 캡부가 기부(10)에 대해 병진될 수 있지만 회전될 수 없다.
직선형 모서리(46)가 원형 리세스(17) 내로 진입되고 캡부(40)가 수직 상태로부터 벗어나도록 회전되면, 동일한 직선형 모서리가 직선형 리세스(16) 내로 재진입될 수 없는데, 직선형 모서리가 직선형 리세스의 폭보다 길기 때문이다. 이것은 피벗부(45)가 직선형 홈 내로 재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캡부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캡부가 180˚만큼 회전되면, 직선형 모서리는 어떤 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으면 다시 수직 상태가 되고 직선형 리세스 내로 재진입될 수 있다.
언급된 것과 같이, 직선형 리세스(16)의 중심선은 직선형 홈(21)의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된다. 또한, 직선형 모서리(들)(46)는 직선형 리세스와 동일한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바꿔 말하면, 플랜지에는 직선형 홈의 하나의 측면을 향하는 더 큰 부분이 있고 직선형 홈의 다른 측면을 향하는 더 작은 부분이 있다. 나아가, 기부(10)의 대향 측면 상에서 직선형 리세스의 오프셋 상태가 서로에 대해 반대 또는 역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선형 리세스의 오프셋 상태가 서로에 대해 역전되면, 기부의 어느 한쪽의 측면 상에서의 플랜지 오프셋 상태가 또한 서로에 대해 역전된다. 이 구성은 사용 중인 때에 콤팩트에 대해 훨씬 더 큰 안정성을 가능케 할 것으로 예측된다.
캡부가 상승됨에 따라, 플랜지가 직선형 홈의 중심선에 평행하지만 그로부터 오프셋 상태로 이동된다. 직선형 홈으로부터 진출되고 원형 리세스(17) 내로 진입되고 180˚만큼 캡부를 회전시킬 때, 플랜지의 더 큰 부분이 직선형 리세스의 대향 측면을 향해 이동된다. 그러나, 플랜지가 피벗부에 대해 오프셋 상태인 것으로 인해, 플랜지의 더 큰 부분이 직선형 리세스의 상부를 넘어 측방으로 연장된다. 이 위치로부터 캡부를 하강시키려고 하면, 플랜지의 더 큰 부분이 원형 리세스의 벽과 접촉되고 직선형 홈 아래로 병진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캡부(40)가 180˚ 미만만큼 회전된 때, 직선형 모서리(46)의 치수가 직선형 리세스(16) 내로 끼워질 수 없을 정도로 과도하게 크다. 그리고, 캡부가 실질적으로 180˚만큼 회전된 때, 직선형 모서리가 직선형 리세스 내로 재진입되는 정렬 상태로부터 이탈된다. 어느 경우에나, 회전된 캡부가 직선형 리세스 내로 재진입될 수 없거나 병진될 수 없다.
이와 같이, 피벗부(45)가 이들의 최대 수직 한계 아래에 있는 때, 직선형 모서리(46)는 캡부(40)의 병진을 허용하지만, 캡부의 회전을 방지한다. 나아가, 피벗부가 이들의 최대 수직 한계에 있는 때, 캡부가 콤팩트 위에서 수직 상태로 있는 때를 제외하면, 직선형 모서리는 캡부의 회전을 허용하지만 병진을 방지한다. 캡부가 콤팩트 위에서 수직 상태로 있는 때에만, 사용자가 캡부를 이동시키는 방식(병진 또는 회전)에 대한 선택의 여지를 갖는다. 그러나, 한번에 하나의 운동만이 가능하다. 이러한 특징 조합은 종래 기술에서와 달리 실시하기 간단하면서 안정성 및 편의성을 부여한다.
실시예 2.
다음의 예는 이전의 예보다 약간 간단하고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 세부 사항을 밝히기 위해, 도 8은 캡부(140)의 일부가 절결된 상태에서의 콤팩트의 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다시, 홈(200)은 2개의 부분 즉 직선형 홈(210) 및 오프셋 상태의 원형 홈(22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원형 홈(또는 기능적 등가물)이 요구된다. 직선형 홈은 기부(110)의 측방 벽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고 오프셋 상태의 원형 홈 내로 개방된다. 이전의 예와 달리, 홈을 포위하는 어떠한 리세스도 없다. 원형 홈은 직선형 홈의 하나의 모서리가 원형 홈의 주변부에 실질적으로 정접되도록 직선형 홈의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된다. 나아가, 기부의 하나의 측면 상에서의 원형 홈의 오프셋 상태는 기부의 다른 측면 상에서의 오프셋 상태에 반대된다. 이것에 대한 이유가 아래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피벗부(145)는 캡부(140)의 측방 섹션의 각각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홈(200)을 따라 이동된다. 피벗부는 직선형 모서리(146)를 구체화하는 평탄형 부분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각각의 직선형 모서리는 이것이 이동되는 원형 홈의 오프셋 상태와 동일한 방향을 향한다. 이와 같이, 캡부의 하나의 측면 상의 직선형 모서리는 캡부의 다른 측면 상의 직선형 모서리에 반대인 방향을 향한다. 피벗부의 상대 위치는 각각의 피벗부의 중심이 직선형 홈의 중심선을 따라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직선형 모서리는 홈의 벽에 대해 꼭 맞게 끼워지고 그 에 평행하고, 각각의 피벗부의 둥근 부분은 홈의 대향 벽과 접촉된다. 바람직하게는, 피벗부의 폭은 직선형 홈의 폭에 매우 근접한다. 이것은 캡부의 임의의 외인성 이동을 제한할 것이다. 직선형 모서리는 홈 벽에 대한 직선형 모서리의 맞닿음이 캡부의 실질적인 회전을 방지하도록 직선형 홈의 폭에 비해 충분히 길다. 이와 같이, 직선형 모서리가 원형 홈 아래에 있는 동안에, 캡부는 기부(110)에 대해 병진될 수 있지만 회전될 수 없다.
직선형 홈(210)으로부터 진출되고 원형 홈(220) 내로 진입되고 180˚만큼 캡부를 회전시킬 때(도 8e), 피벗부(145)의 둥근 부분이 원형 홈의 대향 측면 내로 회전된다. 그러나, 원형 홈의 그 측면이 직선형 홈에 대해 오프셋 상태인 것으로 인해, 피벗부의 둥근 부분이 직선형 홈의 상부를 넘어 측방으로 연장된다. 이 위치로부터 캡부를 하강시키려고 하면, 캡부가 피벗부의 둥근 부분이 원형 홈의 벽과 접촉됨으로써 병진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피벗부의 대향 측면[즉, 피벗부의 직선형 모서리(146)]은 어느 것과도 맞닿지 않고, 측방 압력이 직선형 홈과의 정렬 상태로 다시 피벗부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캡부의 병진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부의 하나의 측면 상에서의 원형 홈의 오프셋 상태는 기부의 다른 측면 상에서의 오프셋 상태에 반대이다. 이와 같이, 캡부가 직선형 홈 아래로 다시 병진되기 위해, 양쪽 모두의 피벗부는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가압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우연히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나아가, 피벗부는 용품 캐리어(130)에 연결되고 기부 내에서의 캐리어의 꼭 맞는 끼움은 피벗부의 측방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이와 같이, 원형 홈의 반대 오프셋 상태는 기부 내에서 의 캐리어의 꼭 맞는 끼움이 피벗부의 측방 이동을 방지할 정도로 충분하여 캡부의 병진을 방지한다면 선택 특징일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의 예는 실시예 2와 매우 유사하고 도 9a 내지 도 9e에 도시되어 있다. 아래에서 세부 사항을 밝히기 위해, 도 9는 캡부(140)의 일부가 절결된 상태에서의 콤팩트의 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다시, 홈(200)은 2개의 부분, 즉 직선형 홈(210) 및 오프셋 상태의 원형 홈(320)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원형 홈(또는 기능적 등가물)이 요구된다. 직선형 홈은 기부(110)의 측방 벽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고 오프셋 상태의 원형 홈 내로 개방된다. 다시, 홈을 포위하는 어떠한 리세스도 없다. 원형 홈은 직선형 홈의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되지만, 실시예 2에서와 같은 정도로 크게 오프셋된 상태에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직선형 홈의 모서리는 원형 홈의 주변부에 정접되지 않는다. 이전과 같이, 기부의 하나의 측면 상에서의 원형 홈의 오프셋 상태는 기부의 다른 측면 상에서의 오프셋 상태와 반대이다.
피벗부(245)는 캡부(140)의 측방 섹션의 각각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홈(200)을 따라 이동된다. 피벗부는 직선형 모서리를 구체화하는 하나의 긴 평탄형 부분(146) 및 하나의 짧은 평탄형 부분(147)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각각의 긴 직선형 모서리는 이것이 이동되는 원형 홈의 오프셋 상태와 동일한 방향을 향한다. 이와 같이, 캡부의 하나의 측면 상의 긴 직선형 모서리는 캡부의 다른 측면 상의 긴 직선형 모서리에 반대인 방향을 향한다. 피벗부의 상대 위 치는 각각의 피벗부의 중심이 직선형 홈의 중심선을 따라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긴 직선형 모서리 및 짧은 직선형 모서리는 홈의 벽에 대해 꼭 맞게 끼워지고 그에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피벗부의 폭은 직선형 홈의 폭에 매우 근접한다. 이것은 캡부의 임의의 외인성 이동을 제한할 것이다. 직선형 모서리는 홈 벽에 대한 직선형 모서리의 맞닿음이 캡부의 실질적인 회전을 방지하도록 직선 홈의 폭에 비해 충분히 길다. 이와 같이, 직선형 모서리가 원형 홈 아래에 있는 동안에, 캡부는 기부(110)에 대해 병진될 수 있지만 회전될 수 없다.
직선형 홈(210)으로부터 진출되고 원형 홈(320) 내로 진입되고 180˚만큼 캡부를 회전시킬 때(도 8e), 피벗부(245)의 짧은 직선형 모서리가 원형 홈의 대향 측면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원형 홈의 그 측면이 직선형 홈에 대해 오프셋 상태인 것으로 인해, 피벗부가 직선형 홈의 상부를 넘어 측방으로 연장된다. 이 위치로부터 캡부를 하강시키려고 하면, 캡부가 피벗부의 둥근 부분이 원형 홈의 벽과 접촉됨으로써 병진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피벗부의 대향 측면[즉, 피벗부의 긴 직선형 모서리(146)]은 어느 것과도 맞닿지 않고, 측방 압력이 직선형 홈과 정렬 상태로 다시 피벗부를 가압할 수 있으므로, 캡부의 병진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부의 하나의 측면 상에서의 원형 홈의 오프셋 상태는 기부의 다른 측면 상에서의 오프셋 상태에 반대이다. 이와 같이, 캡부가 직선형 홈 아래로 다시 병진되기 위해, 양쪽 모두의 피벗부는 반대 방향으로 동시에 가압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우연히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나아가, 피벗부는 용품 캐리어(130)에 연결되고 기부 내에서의 캐리어의 꼭 맞는 끼움은 피벗부의 측방 이동 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이와 같이, 원형 홈의 반대 오프셋 상태는 기부 내에서의 캐리어의 꼭 맞는 끼움이 피벗부의 측방 이동을 방지할 정도로 충분하여 캡부의 병진을 방지한다면 선택 특징일 수 있다.
요약하면, 캡부(140)가 180˚ 미만만큼 회전된 때, 직선형 모서리(146)의 치수가 직선형 홈(210) 내로 진입될 수 없을 정도로 과도하게 크므로, 캡부의 병진이 불가능하다. 캡부가 실질적으로 180˚만큼 회전된 때, 직선형 모서리가 방금 설명된 수단들 중 1개에 의해 또는 당업자가 착상 가능한 등가 수단에 의해 직선형 홈 내로 재진입되는 것이 또한 방지된다.
이와 같이, 피벗부(145 또는 245)가 이들의 최대 수직 한계 아래에 있는 때, 직선형 모서리(146)는 캡부(140)의 병진을 가능케 하지만, 캡부의 회전을 방지한다. 나아가, 피벗부가 이들의 최대 수직 한계에 있는 때, 직선형 모서리는 캡부의 회전을 허용하지만, 캡부가 콤팩트 위에서 수직 상태에 있는 때를 제외하면, 병진을 방지한다. 캡부가 콤팩트 위에서 수직 상태에 있는 때에만, 사용자가 캡부를 이동시키는 방식(병진 또는 회전)에 대한 선택의 여지를 갖는다. 그러나, 그 때에도, 한번에 하나의 운동만이 가능하다. 이 특징 조합은 종래 기술에서의 어느 것과도 달리 실시하기 간단하면서 안정성 및 편의성을 부여한다.
선택 특징 및 선호도
변형된 선택 회전 기구
선택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다중의 원형 홈 및/또는 원형 리세스가 각각 직선형 홈 및/또는 직선형 리세스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도 5a는 다중의 원형 리세스를 갖는 콤팩트를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그 최대 한계 미만으로 화장 용품을 연장시키는 선택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변형예는 다음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유지한다:
1. 캡부의 회전 및 병진의 양쪽 모두가 발생될 수 있지만 그 상태에서도 양쪽 모두가 동시에 발생될 수 없는 콤팩트의 극히 소수의 명확한 구성부가 있고,
2. 캡부는 여전히 복합 운동을 수행할 수 없다.
"변형된 선택 회전 기구"는 다음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배열로서 한정된다:
1. 변형된 선택 회전 기구는 홈을 따라 불연속의 명확한 위치를 제외하면 캡부의 회전을 방지하고,
2. 선택 회전 기구는 캡부가 수직 상태에 있는(즉, 기부에 대해 회전되지 않은) 때에만 캡부의 병진을 허용한다.
합쳐서 생각하면, 이들 요건은 캡부가 동시에 병진 및 회전될 수 없다는 것을 또한 의미한다. 즉, 캡부가 복합 운동을 수행할 수 없거나 등가적으로 콤팩트의 운동이 비연계된다.
선택적으로, 피벗부(45)의 단부에는 피벗부가 화장 용품 캐리어(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승 특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부(10) 및 캡부(40) 상에 위치되는 스냅 끼움부(23, 48)가 각각 폐쇄 또는 개방 위치에서 캡부를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피벗부(45)가 원형 홈(19) 내에 있는 때, 캡부(40)가 회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캡부는 하나의 방향으로 180˚만큼 회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캡부는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 180˚만큼 회전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캡부는 사용자가 콤팩트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해 방향을 선택할지 생각할 필요가 없도록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 최대 360˚만큼 회전될 수 있다. 캡부가 기부(10)에 대해 회전되면, 캡부가 병진을 수행할 수 없는데 선택 회전 기구(또는 변형된 선택 회전 기구)가 이것을 금지하기 때문이다. 캡부를 병진시키기 위해, 캡부는 기부 위에서 수직 상태로 복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피벗부가 원형 홈 내에 있는 때에만, 캡부가 회전될 수 있다.
나아가, 캡부(40)의 회전 및 병진의 양쪽 모두가 발생될 수 있는 콤팩트의 단지 하나의 구성부(또는 변형된 선택 회전 기구의 경우에, 소수의 불연속 구성부)가 있다. "단지 하나의 구성부" 또는 "소수의 불연속 구성부"는 부품의 끼움부 내에서의 약간의 간극으로 인해 상승되는 구성부의 약간의 변형을 배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플라스틱 부품 제조의 분야에서 관례적인 공차를 유지하는 것은 본 발명의 사상이 추종되는 것을 보증할 것이다. 더 엄격한 공차는 단지 약간의 개선을 추가할 수 있다.
이처럼 설명된 실시예에서, 캡부(40)의 수직 병진은 사용자가 기부(10) 및 캡부를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분리하여 또는 합쳐서 이들을 가압함으로써 수행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신을 변형시키지 않고도, 더 복잡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콤팩트의 캡부가 립스틱 분야에서 주지된 것과 같은 상승 기구에 끼워질 수 있으며, 그에 의해 기구의 저부를 회전시키는 것이 캡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또는, 캡부는 래칫 기구의 일부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콤팩트의 측 면 상의 버튼을 반복적으로 누르는 것이 캡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상승 및 하강 수단과 관계 없이, 캡부의 병진 및 회전이 동시에 발생될 수 없으며, 그에 의해 본 발명의 장점을 유지한다.
도 4f에서, 화장 용품(50)은 그 대부분이 노출되도록 화장 용품 캐리어(30)의 상부(34)로부터 돌출된다. 도 6은 화장 용품의 대부분이 보호되고 단지 하나의 측면 또는 부분이 노출되는 대체 실시예이다. 이 구성은 피부를 횡단하여 제품을 그리는 것에 적합하지 않고 장치로부터 피부로 제품을 전달하는 도포구 예컨대 아이섀도 또는 브러시에 사용하는 데 더 적절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실시예(또는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도포구(51) 또는 보조 화장 용품은 콤팩트가 폐쇄 위치에 있는 때에 콤팩트로부터 이탈될 수 없는 화장 용품 캐리어(30)의 측면(또는 다른 부분)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사실상,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 용품은 캡부가 수직 상태로부터 벗어나도록 회전될 때까지 콤팩트로부터 이동 또는 이탈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폐쇄된 콤팩트가 화장 용품(50)의 관찰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부 내에 창(52)을 제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콤팩트 외부의 1개 이상의 부분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거울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5와 같은 실시예에서, 기부(10)의 전방부(12) 또는 후방부(12')는 거울을 위치시키는 편리한 장소를 제공한다. 도 6과 같은 실시예에서, 용품 캐리어의 후방부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많은 이러한 개선예가 본 발명의 사상을 향상시키지 않고도 당업자에게 자명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기부, 캡부, 용품 캐리어 및 선택 회전 기구를 포함하는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로서, 캡부는 기부와 동축 배향 상태로부터 벗어나도록 회전되면 더 이상 병진될 수 없도록 기부에 대해 병진 및 회전될 수 있고, 병진 및 회전의 양쪽 모두가 가능한 기부에 대한 캡의 단지 하나의 배향이 있고, 캡부가 동시에 피벗 및 병진되는 것이 방지되는 화장품 콤팩트가 제공된다.

Claims (27)

  1. 삭제
  2. 적어도 하나의 벽 및 개방된 상부를 갖고, 벽은 상부로부터 더 먼 하부 단부 및 상부에 더 가까운 상부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갖는 중공 기부와,
    상부를 통해 기부 내에 배치되고, 기부에 대해 병진될 수 있는 용품 캐리어와,
    기부의 일부를 포위하고, 기부에 대해 병진 및 회전될 수 있는 캡부와,
    캡부, 부착부 및 용품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홈의 하부 단부와 관련되는 최대 후퇴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홈의 상부 단부와 관련되는 최대 연장 위치 사이에서 함께 병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과하며 캡부에 용품 캐리어를 부착하는 부착부와,
    용품 캐리어가 기부에 대해 최대로 연장된 때에만 캡부의 회전을 허용하고 캡부가 기부에 대해 회전되지 않은 때에만 캡부의 병진을 허용하는 선택 회전 기구를 포함하는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이며,
    이 때 각각의 홈은 기부의 적어도 하나의 벽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고 원형 홈 내로 개방되는 직선형 홈을 포함하며, 원형 홈은 직선형 홈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고,
    각각의 홈은 리세스 벽에 의해 형성되며 기부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고 원형 리세스 내로 개방되는 직선형 리세스를 포함하는 리세스에 의해 포위되고, 원형 리세스는 직선형 리세스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고,
    원형 홈 및 원형 리세스는 동심이며, 직선형 홈의 중심선은 원형 홈 및 원형 리세스의 중심을 통과하며,
    직선형 리세스의 중심선은 직선형 홈의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원형 리세스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는 것인,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
  3. 제2항에 있어서, 용품 캐리어는 브러시, 빗, 스틱 제품 또는 제품을 함유하는 팬과 같은 화장 용품을 확실하게 보유하는데 적합한 화장품 콤팩트.
  4. 제2항에 있어서, 부착부는 1개 이상의 피벗 요소를 포함하며, 피벗 요소는 캡부 또는 용품 캐리어로부터 상승되고 용품 캐리어 또는 캡부를 향해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해 각각 연장되는 화장품 콤팩트.
  5. 제2항에 있어서, 캡부는 최대 후퇴 위치에 있는 때에 중앙 섹션이 기부의 상부를 덮도록 최대 연장 위치와 최대 후퇴 위치 사이에서 병진되는 2개의 측방 섹션 및 하나의 중앙 섹션을 갖고, U자형인 화장품 콤팩트.
  6. 제5항에 있어서, 부착부는 캡부의 측방 섹션으로부터 상승되고 용품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홈을 통해 연장되는 1개 이상의 피벗 요소를 포함하는 화장품 콤팩트.
  7. 제6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피벗부는 용품 캐리어와 스냅-끼움 결합을 형성하는 화장품 콤팩트.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직선형 리세스의 오프셋 상태는 상이한 방향인 화장품 콤팩트.
  10. 제2항에 있어서, 캡부는 리세스 벽에 평행한 직선형 리세스 내에서 병진되는 1개 이상의 직선형 모서리를 추가로 포함하며,
    직선형 모서리가 직선형 리세스 내에 있는 때는 언제나 리세스 벽에 대한 직선형 모서리의 맞닿음이 캡부의 회전을 방지되도록, 직선형 모서리가 직선형 리세스의 폭에 비해 긴 화장품 콤팩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직선형 모서리는 원형 리세스 내에 끼워질 수 있고 그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 리세스의 직경보다 짧은 화장품 콤팩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직선형 모서리의 길이는 원형 리세스의 직경에 최대한 근접한 화장품 콤팩트.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직선형 모서리는 피벗부들 중 하나의 기부를 포위하는 플랜지로서 작용하며, 플랜지는 1개 이상의 직선형 부분을 제외하면 원형인 화장품 콤팩트.
  14.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홈은 홈 벽에 의해 형성되고, 기부의 적어도 하나의 벽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되고 원형 홈 내로 개방되는 직선형 홈을 포함하며, 원형 홈은 직선형 홈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갖고, 직선형 홈의 중심선은 원형 홈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는 화장품 콤팩트.
  15. 제14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직선형 홈의 오프셋 상태는 상이한 방향인 화장품 콤팩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캡부는 직선형 홈 벽에 평행한 직선형 홈 내에서 병진되는 1개 이상의 직선형 모서리를 추가로 포함하며,
    직선형 모서리가 직선형 홈 내에 있는 때는 언제나 리세스 벽에 대한 직선형 모서리의 맞닿음이 캡부의 회전을 방지되도록, 직선형 모서리가 직선형 홈의 폭에 비해 긴 화장품 콤팩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직선형 모서리는 원형 홈 내에 끼워질 수 있고 그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형 홈의 직경보다 짧은 화장품 콤팩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직선형 모서리의 길이는 원형 홈의 직경에 최대한 근접한 화장품 콤팩트.
  19.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직선형 모서리는 피벗부들 중 하나의 기부를 포위하는 플랜지로서 작용하며, 플랜지는 1개 이상의 직선형 부분을 제외하면 원형인 화장품 콤팩트.
  20. 제2항에 있어서, 캡부는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 최대 360˚만큼 회전될 수 있는 화장품 콤팩트.
  21. 제2항에 있어서, 용품 캐리어 내에 배치되는 화장품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품 콤팩트.
  22. 제21항에 있어서, 화장품의 모두 또는 대부분은 용품 캐리어의 벽 내로 위치되는 화장품 콤팩트.
  23. 제2항에 있어서, 보조 화장 용품, 및/또는 윈도우 및/또는 거울을 추가로 포함하는 콤팩트.
  24. 삭제
  25. 제14항에 있어서, 캡부는 어느 한쪽의 방향으로 최대 360˚만큼 회전될 수 있는 것인 화장용 콤팩트.
  26. 제14항에 있어서, 용품 캐리어 내에 배치된 화장품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품 콤팩트.
  27. 제14항에 있어서, 보조 화장 용품, 및/또는 윈도우 및/또는 거울을 추가로 포함하는 화장품 콤팩트.
KR1020097006271A 2006-09-29 2007-09-20 비연계 운동을 갖는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 KR101126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37,210 2006-09-29
US11/537,210 US7780037B2 (en) 2006-09-29 2006-09-29 Unitary cosmetic compact with decoupled motion
PCT/US2007/078981 WO2008042609A1 (en) 2006-09-29 2007-09-20 Unitary cosmetic compact with decoupled mo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104A KR20090051104A (ko) 2009-05-20
KR101126906B1 true KR101126906B1 (ko) 2012-03-19

Family

ID=3926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271A KR101126906B1 (ko) 2006-09-29 2007-09-20 비연계 운동을 갖는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80037B2 (ko)
EP (1) EP2073663B1 (ko)
JP (1) JP4943509B2 (ko)
KR (1) KR101126906B1 (ko)
AU (1) AU2007305081B2 (ko)
CA (1) CA2663010C (ko)
ES (1) ES2544865T3 (ko)
WO (1) WO20080426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430B1 (ko) * 2019-03-22 2020-07-30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회전식 터치부재 및 회전식 터치부재가 결합된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2911B1 (fr) 2009-11-25 2012-05-25 Dior Christian Parfums Dispositif applicateur de produit, recharge pour un tel dispositif applicateur, et kit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applicateur.
EP2471406B1 (en) 2010-12-28 2019-05-01 Albéa Services Casing for a cosmetic article
DE102011055647A1 (de) 2011-11-23 2013-05-23 Oekametall Oehlhorn Gmbh & Co. Kg Kosmetikbehältnis
US9434504B2 (en) * 2012-06-28 2016-09-06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Containers with reclosable lids
US9353561B2 (en) * 2013-06-10 2016-05-31 Ronnie GAENZLE 180 degree foldable locking hinge
GB2521842A (en) * 2014-01-03 2015-07-08 Tech 21 Licensing Ltd A case for a portable device with a screen
US10780022B2 (en) * 2014-08-19 2020-09-22 Mylan Inc. Medication packaging and dose regimen system
US20160081453A1 (en) * 2014-09-24 2016-03-24 World Wide Packaging, Inc. Fluid Container
US9700119B1 (en) * 2015-10-09 2017-07-11 Stewart Seidler Flip lip applicator
US10362853B2 (en) 2015-10-09 2019-07-30 Concept Workshop Worldwide, Llc Swivel lip applicator
FR3046141B1 (fr) * 2015-12-29 2020-08-14 Albea Services Articulation pour pot etanche pour la distribution d'un produit cosmetique
JPWO2021261130A1 (ko) * 2020-06-26 2021-12-30

Family Cites Families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678A (en) * 1886-06-15 tatum
US238959A (en) 1881-03-15 Simon b
US234280A (en) 1880-11-09 Anton hopfen
US947198A (en) * 1909-04-19 1910-01-18 Earl Herzstam Box for toilet preparations and the like.
US1247848A (en) * 1916-03-18 1917-11-27 Charles A Blades Paper box.
BE341056A (ko) * 1926-05-05
US1720274A (en) * 1926-06-09 1929-07-09 Royal Comb Company Covered box
US1678282A (en) * 1926-12-23 1928-07-24 Charles N Coryell Article holder
US1734116A (en) * 1927-01-06 1929-11-05 Charles N Coryell Holder for stick material
US1734117A (en) * 1927-01-06 1929-11-05 Charles N Coryell Holder for stick material
US1698750A (en) * 1927-03-05 1929-01-15 Charles N Coryell Holder for stick material
US1675496A (en) * 1927-12-16 1928-07-03 Majestic Metal Specialties Inc Cosmetic-stick holder
US1793192A (en) * 1928-01-20 1931-02-17 Saulen Mfg Co Inc Lip stick
US1904364A (en) 1931-05-07 1933-04-18 Bridgeport Metal Goods Mfg Co Holder for cosmetics and the like
US1925316A (en) * 1931-07-18 1933-09-05 Bridgeport Metal Goods Mfg Co Vanity box
US1997043A (en) * 1934-05-23 1935-04-09 Harry Jaffe Combined cigarette holder and ash tray
US2031933A (en) * 1935-04-29 1936-02-25 Harry B Clegg Vanity case or compact
US2441303A (en) * 1946-03-04 1948-05-11 Wesson Bernard Vanity case
US2485837A (en) 1946-03-14 1949-10-25 Nadelson Samuel Container for electrical apparatus
US2512476A (en) * 1946-11-12 1950-06-20 Betty W Birnkrant Lipstick holder
US2540304A (en) * 1946-11-18 1951-02-06 Thomsen Jack Warren Applicator stick container
US2556500A (en) 1947-11-13 1951-06-12 Jack C Levine Toothbrush
US2547971A (en) * 1949-08-15 1951-04-10 Polin Irving Cosmetic compact
US2678459A (en) * 1952-03-27 1954-05-18 Stuckey Sadie Collapsible toothbrush
US3033258A (en) * 1958-10-11 1962-05-08 Eastman Kodak Co Camera carrying case
US2983276A (en) * 1958-11-25 1961-05-09 Leon R Brown Lipstick container and applicator
US3333726A (en) * 1966-02-14 1967-08-01 Foster Grant Co Inc Hinge for container
US3783999A (en) * 1971-10-04 1974-01-08 Smith S K Co Display box with an attachable lid movable relative to the box
US4126145A (en) * 1977-03-11 1978-11-21 Raymond Boyd Lighted compact
US4388935A (en) * 1981-04-30 1983-06-21 Napolitane Andrew N Hingeless compact
FR2571698B1 (fr) * 1984-10-16 1987-02-27 Bourbon Fils Ets A Boitier destine notamment au rangement et a la presentation d'objets tels que fiches, disquettes, crayons
JPS61118508A (ja) 1984-11-14 1986-06-05 Hitachi Ltd 給水ポンプ再循環流量制御装置
US4615461A (en) * 1985-07-31 1986-10-07 Jackie Liu Accessory container structure
JPH0736577Y2 (ja) * 1988-04-22 1995-08-23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棒状化粧料の収納容器
US5054505A (en) * 1990-05-08 1991-10-08 Yoshida Industry Co., Ltd. Facial compact having a storage space
US5107871A (en) * 1990-06-28 1992-04-28 Revlon, Inc. Compact container
US5372249A (en) * 1993-01-22 1994-12-13 Warner-Lambert Company Device for keeping a razor
US5353947A (en) * 1993-01-28 1994-10-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se having a slidable and pivotable cover
FR2701196B1 (fr) 1993-02-09 1995-04-21 Oreal Applicateur de maquillage ou de produit capillaire.
US5437294A (en) * 1993-03-04 1995-08-01 Lir-Usa Manufacturing Co., Inc. Compact with rotatable panel in base and/or cover
US5411134A (en) * 1993-12-30 1995-05-02 Case Logic, Inc. Container for compact disks and the like
USD360057S (en) * 1994-03-14 1995-07-04 Anchor Advanced Products, Inc. Lipstick case
FR2730088B1 (fr) * 1995-01-26 1997-04-18 Plastiques Franc Des Boitier en matiere plastique, notamment pour disque compact
US5605167A (en) * 1995-08-02 1997-02-25 Risdon Corporation Compact with replaceable product tray
FR2738126B1 (fr) 1995-08-30 1997-10-03 Oreal Mascara transportable
US5568820A (en) * 1995-10-25 1996-10-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act case having a 360 degrees rotatable cover
US5638838A (en) * 1996-02-20 1997-06-17 Lombardi; Carl M. Cosmetic compact having snap-on hinge
US5732820A (en) * 1996-11-25 1998-03-31 Tsai; Hung Chic Stick object storage box
JP3047078U (ja) 1997-05-30 1998-03-31 株式会社ワット キャップ付き携帯用小物容器または携帯用小物
US5845658A (en) * 1997-10-06 1998-12-08 Sussman; Morris Cosmetic travel compact
US5842486A (en) * 1997-11-25 1998-12-01 Sussex Plastics Inc. Hermetically sealed cosmetic compact case
US6002651A (en) * 1998-07-09 1999-12-14 Baccaray; Stella Combination compact and watch
DE69930236D1 (de) * 1998-10-07 2006-05-04 Lir Usa Mfg Co Inc Dose mit dekoriertem Spiegel
US6196405B1 (en) * 1998-12-16 2001-03-06 Rhinoskin, Inc. Personal organizer case system
US6056465A (en) * 1998-12-28 2000-05-02 Kuo; Chen-Hui Lipstick case
FR2789658B1 (fr) * 1999-02-16 2001-05-04 Oreal Boitier de type boitier de maquillage
FR2790649B1 (fr) * 1999-03-12 2001-05-04 Oreal Ensemble de maquillage comportant au moins deux produits de type different
US6283291B1 (en) * 1999-05-24 2001-09-04 Maxtech Manufacturing Inc. Drill bit case with pivotable holders
US6199559B1 (en) * 1999-12-27 2001-03-13 Rexam Cosmetic Packaging, Inc. Hermetically sealed cosmetic compact case
US6173838B1 (en) * 2000-01-31 2001-01-16 Owens Illinois Closure Inc. Child-resistant medication compact
US6581774B1 (en) * 2000-11-13 2003-06-24 Tramontine Usa, Inc. Folding knife block apparatus
GB2377368A (en) 2001-07-11 2003-01-15 Teresa Strong Cosmetic device
US6769438B2 (en) * 2002-02-08 2004-08-03 Henlopen Manufacturing Co., Inc. Dual mirror compact
TW577275U (en) * 2002-05-06 2004-02-21 Rexam Der Kwei Cosmetic Packag Compact with double-wing cover
US20040056035A1 (en) * 2002-09-25 2004-03-25 Mars, Incorporated Dispenser with stowable cover
JP2004221048A (ja) * 2002-12-27 2004-08-05 Teac Corp 記憶装置
US20040221866A1 (en) * 2003-05-06 2004-11-11 Ronald Greenfield Cosmetics compact having spring-Loaded drawer
KR20050013279A (ko) 2003-07-28 2005-02-04 김동효 화장품 케이스
ATE366530T1 (de) * 2004-03-10 2007-08-15 Geka Brush Gmbh Puderdose
JP2005304914A (ja) 2004-04-23 2005-11-04 Yoshida Industry Co Ltd アイメイク用化粧料容器
US20060005853A1 (en) * 2004-07-08 2006-01-12 Chien-Hung Shen Cosmetic compact
US20060022164A1 (en) * 2004-07-28 2006-02-02 Hui-Chun Su Structure air compressor air (water) release valve
KR200369800Y1 (ko) 2004-09-01 2004-12-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립스틱 용기
JP4683201B2 (ja) 2005-05-26 2011-05-18 花王株式会社 コンパクト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430B1 (ko) * 2019-03-22 2020-07-30 주식회사 월드스폰지 회전식 터치부재 및 회전식 터치부재가 결합된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104A (ko) 2009-05-20
EP2073663B1 (en) 2015-06-17
US7780037B2 (en) 2010-08-24
EP2073663A4 (en) 2014-06-18
CA2663010C (en) 2012-06-12
AU2007305081A1 (en) 2008-04-10
ES2544865T3 (es) 2015-09-04
AU2007305081B2 (en) 2010-07-01
WO2008042609A1 (en) 2008-04-10
CA2663010A1 (en) 2008-04-10
EP2073663A1 (en) 2009-07-01
JP4943509B2 (ja) 2012-05-30
JP2010504831A (ja) 2010-02-18
US20080142532A1 (en)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906B1 (ko) 비연계 운동을 갖는 일체형 화장품 콤팩트
EP2310212B1 (en) Multi-unit cosmetic applicator
EP2114193B1 (en) Multi-unit cosmetic applicator
US10154720B2 (en) Dual end cosmetic container
US8783989B2 (en) Cosmetic applicator, in particular mascara applicator, and a cosmetic product
US11076681B2 (en) Adjustable applicator
US11317697B2 (en) Cosmetic stick case using magnetic force
KR102644985B1 (ko) 슬라이딩 버튼이 구비된 립스틱 용기
KR102067015B1 (ko) 펜슬형 화장 도구
CN111297034A (zh) 双端部化妆品容器
US10912371B2 (en) Dual end cosmetic container
JPH0535813Y2 (ko)
KR20240080730A (ko) 내용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