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668A - 액상 화장료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화장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668A
KR20140082668A KR1020147007850A KR20147007850A KR20140082668A KR 20140082668 A KR20140082668 A KR 20140082668A KR 1020147007850 A KR1020147007850 A KR 1020147007850A KR 20147007850 A KR20147007850 A KR 20147007850A KR 20140082668 A KR20140082668 A KR 20140082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container
valve seat
valve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7590B1 (ko
Inventor
유키카즈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ublication of KR20140082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13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dispensing by gravity or by sha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도포체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고, 모든 도포체에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용기 본체의 컴팩트화를 실현가능한 액상 화장료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작부(2)를 용기 본체(1)의 측면에 설치하고, 상기 조작부(2)가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되면, 밸브 시트부(6a)에 착좌(着座)되어 있는 밸브체(5)를, 밸브체 가압부(6h)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이동시켜 해당 밸브 시트부(6a)로부터 분리(離座)시킴으로써, 액상 화장료가 통과하는 유로를 개방시켜서, 액상 화장료를 도포체(4)에 공급가능하도록 하여, 도포체(4)를 용기 내로 밀어 넣을 필요를 없애는 동시에, 이와 같이, 조작부(2)에 대한 외측방향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밸브체(5)를 축선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유로의 개폐를 행함으로써, 용기 본체(1)의 직경을 종래에 비해 작게 한다.

Description

액상 화장료 용기{LIQUID MAKE-UP CONTAINER}
본 발명은, 액상 화장료(液狀化粧料)를 도포하기 위한 액상 화장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액상 화장료 등의 액체를 도포체에 의해 도포하는 펜슬 타입의 용기에 있어서, 도포체에 용기 내의 액체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용기 선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도포체를 용기 내로 밀어 넣음으로써, 용기 내부의 유로가 개방되어 용기 내의 액체가 도포체에 공급되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축선방향(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용기 본체의 측면에, 해당 축선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동 마개(밸브체)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 마개는 액체가 통과하는 선단측 유로와 액체 저류(貯留)측 유로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있어, 상기 가동 마개를 손가락에 의해 용기 내로 밀어 넣으면, 가동 마개에 설치된 관통 유로와 상기 유로가 서로 연결되며, 그 결과, 액체가 액체 저류측 유로, 가동 마개의 관통 유로, 및 선단측 유로를 통해 도포체에 공급되는 구성을 구비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25538호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S62-58683호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도포체를 용기 내로 밀어 넣음으로써 액체를 도포체에 공급하는 경우, 이러한 도포체의 밀어 넣기에 의해 도포체가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도포체를 밀어 넣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특히, 선단이 날카로운 형상을 가지는 도포체,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진 도포체, 또는 붓(筆) 형상의 도포체에는 적용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와 같이, 가동 마개를 용기 내부로 밀어 넣음으로써 액체를 도포체에 공급하는 경우, 상기 가동 마개는, 밀려 들어갔을 때, 용기의 축선방향(선단측 유로 및 액체 저류측 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로를 연결하기 때문에, 그 이동을 위한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있어, 용기 본체의 직경을 크게 할 수밖에 없으므로, 용기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포체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고, 모든 도포체에 적용가능하며, 또한, 용기 본체의 컴팩트화를 실현가능한 액상 화장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상 화장료 용기는, 액상 화장료를 수용가능한 수용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선단부분에 설치되어, 액상 화장료를 피(被)도포부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체와, 도포체와 용기 본체의 수용부를 연결하여, 수용부로부터 도포체로의 액상 화장료의 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유로와, 용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되는 조작부와, 용기 본체 내에 설치된 밸브 시트부(valve seat portion)와, 용기 본체 내에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밸브 시트부에 착좌(着座)됨으로써 유로를 폐쇄시키고, 밸브 시트부를 분리(離座)시킴으로써 유로를 개방시키는 밸브체와, 조작부가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됨으로써 밸브체를 축선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離座)시키는 밸브체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액상 화장료 용기에 의하면, 조작부가 용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가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되면, 밸브 시트부에 착좌되어 있는 밸브체가, 밸브체 가압부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 시트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액상 화장료가 통과하는 유로가 개방되어, 액상 화장료가 도포체에 공급된다. 따라서, 도포체를 용기 내로 밀어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포체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으며, 또한 모든 도포체에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부에 대한 외측방향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밸브체가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유로의 개폐를 행하므로, 용기 본체의 직경을 종래에 비해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액상 화장료 용기의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용을 바람직하게 나타내는 구성의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밸브체는, 밸브체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기 위한 직경확대부를 구비하며, 밸브체 가압부는, 조작부가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됨으로써 직경확대부를 밸브 시트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밸브체를 분리시키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밸브체는, 밸브체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기 위한 직경확대부를 구비하며, 밸브체 가압부는, 조작부가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됨으로써 직경확대부를 밸브 시트부측으로 이동시켜서 밸브체를 분리시키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가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되면, 밸브체의 직경확대부가 밸브체 가압부에 의해 밸브 시트부측으로 이동하여, 밸브 시트부와 직경확대부 사이의 액상 화장료가, 밸브체가 분리되어 있는 밸브 시트부로 밀려나온다. 따라서, 액상 화장료의 공급을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용이하게 액상 화장료 용기를 사용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용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구성으로서는, 구체적으로, 조작부가 탄성체인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와 조작부가, 2색(色)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면, 액상 화장료 용기의 제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직경확대부가, 축선방향으로 경사져서 조작부에 대한 가압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테이퍼부라면, 밸브체를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테이퍼부는, 축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막자사발(mort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밸브체 가압부의 밸브체와의 접촉면은, 테이퍼부와 동일한 구배(勾配)의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으면, 밸브체의 축선방향으로의 이동을 한층 더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의 내부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고, 밸브체는, 탄성 부재에 의해 밸브 시트부에 착좌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에 대한 외측방향으로부터의 가압이 사라지면, 상기 탄성 부재의 바이어스력(urged force)에 의해 밸브체는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 시트부에 착좌되어, 유로를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포체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모든 도포체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의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화장료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액상 화장료 용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종단(縱斷)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액상 화장료 용기의 조작부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 중의 밸브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5 중의 밸브 시트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밸브 시트 부재의 종단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밸브 시트 부재를 앞쪽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화장료 용기의 밸브 시트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화장료 용기의 도포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도포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화장료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 중의 밸브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일부를 파단(破斷)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료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 1∼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 13∼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1∼도 9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5는, 각각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화장료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밸브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도 9는, 각각 밸브 시트 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상 화장료 용기(100)는, 전체적인 형상이 필기구와 같이 길고 가느다란 둥근 막대형상(펜슬 형상)을 이루며 양호한 외관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속눈썹이 난 언저리에 화장료인 아이라이너액을 도포하여 눈의 윤곽을 강조하는 것이다. 참고로, 액상 화장료 용기(100)는, 아이라이너액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액상 화장료를 적용할 수도 있다.
액상 화장료 용기(100)는, 액상 화장료(L)를 수용가능한 수용부(1a)를 내부에 구비한 용기 본체(1)와, 상기 용기 본체(1)의 측면부에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가능하게 설치된 탄성체인 조작부(2)와, 용기 본체(1)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액상 화장료(L)를 예컨대 피부 등의 피도포부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체(4)와, 도포체(4)를 지지하며 용기 본체(1)에 장착된 선단부(3)를, 외형(外形)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용기 본체(1)는, 축선방향(도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후측(도면의 우측)의 단면(端面)이 단부 마개(尾栓; 1b)에 의해 폐쇄된 유저(有底)형의 원통 형상을 이룬다. 상기 용기 본체(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전술한 수용부(1a)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1a)보다 전측(前側)에 배치된 밸브 시트 부재(6)와, 용기 본체(1)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 시트 부재(6)에 대해 분리 또는 착좌되는 밸브체(5)와, 밸브체(5)를 전방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탄성 부재)(7)를 수용한다.
여기서, 용기 본체(1)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PP가 이용되며, 액상 화장료(L)의 색조나 충전(充塡)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나 액상 화장료(L)의 색을 입힌 착색재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용기 본체(1)의 내주면에는, 밸브 시트 부재(6)를 축선방향으로 걸림결합시키기 위한 환형 걸림결합부(1c)가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병설되어 있다.
조작부(2)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보았을 때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밸브체(5)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둘레방향으로 2등배(等配)로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2)는, 연질재(軟質材)에 의해 구성되며, 예컨대,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혹은 우레탄계의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 등이 이용된다. 또한, 조작부(2)는, 외주면의 주연(周緣)을 따라 오목부(2a)를 가지며, 이에 따라, 용기 본체(1)의 직경방향의 탄성이 보다 향상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2)와 상기의 용기 본체(1)는, 이른바 2색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6)는, 도 4,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축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밸브 시트 부재(6)는, 그 축선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있어서, 그 통 내부가 밸브 시트부(6a)에 의해 도면의 좌우로 구획지어져 있다. 상기 밸브 시트부(6a)의 중앙부분에는, 밸브체(5)가 축선방향으로 삽입통과하기 위한 개구(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시트부(6a)의 후단면에서 둘레방향으로 대향되는 한 쌍의 단차부(6f)가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단차부(6f)는 없어도 된다.
또한, 밸브 시트부(6a)의 후방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 부재(6)의 외벽이며 상기 단차부(6f)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한 쌍의 대향하는 부분은, 축선방향을 따라 잘라내어져 내외가 연통하는 공간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밸브 시트부(6a)의 단차부(6f)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후단면에는, 축선방향 후방의 공간으로 연장되는 아암 부재(6g)가 설치되어 있다.
아암 부재(6g)의 후단에는, 밸브체(5)를 가압하기 위한 밸브체 가압부(6h)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체 가압부(6h)는, 아암 부재(6g)에 대해 그 둘레방향의 양단부가 둘레방향으로 더욱 확대되는 동시에 밸브 시트 부재(6)의 축선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다. 밸브체 가압부(6h)의 내측의 면(축선측의 면)은, 밸브체(5)에 접촉하여 가압하기 위한 테이퍼면(6i)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이퍼면(6i)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함에 따라 밸브 시트 부재(6)의 축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 부재(6g)의 근원 부분(base part)이며, 아암 부재(6g)와 단차부(6f)의 경계선 부분에는, 밸브 시트부(6a)에 도달하도록 축선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외를 연통시키는 슬릿(6j)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아암 부재(6g)가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아암 부재(6g)의 근원 부분에 슬릿(6j)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아암 부재(6g)의 직경방향의 탄성력이 높아져서, 직경방향으로 용이하게 변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밸브 시트 부재(6)는, 그 후단부에, 축선 둘레에 환형(環狀)으로 형성되는 후단 환형부(6x)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후단 환형부(6x)에 대해, 스프링 부재(7)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부(6c)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 지지부(6c)는, 그 전체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밸브체(5)의 후단부가 삽입통과하기 위한 구멍부(6d)를 가지는 동시에, 그 후단에 플랜지부(6y)를 구비한다. 또한, 스프링 지지부(6c)의 플랜지부(6y)의 전측에 위치하는 둥근 고리(圓環) 형상 부분의 외주면의 반경은, 후단 환형부(6x)의 내주면의 반경보다 약간 작은 삽입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 지지부(6c)는, 그 전측으로부터 후단 환형부(6x)에 끼워져 들어가, 플랜지부(6y)의 전단면이 후단 환형부(6x)의 후단면에 접촉하여, 후단 환형부(6x)를 막도록 부착된다.
또한, 밸브 시트 부재(6)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부(6a)보다 전측의 외주면에는, 용기 본체(1)의 환형 걸림결합부(1c)에 축선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한 쌍의 환형 볼록부(6k)가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시트 부재(6)는, 용기 본체(1) 내에 삽입되어, 환형 볼록부(6k)가 용기 본체(1)의 환형 걸림결합부(1c)에 축선방향으로 걸림결합됨으로써, 용기 본체(1)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밸브 시트 부재(6) 내부에 있어서의 밸브 시트부(6a)보다 전측의 공간에는, 액상 화장료(L)를 유지하는 원통형의 유지 부재(8)가 밸브 시트 부재(6)의 내주면을 덮도록 충전되어 있다. 여기서, 유지 부재(8)로서는, 예컨대, 폴리우레탄 등으로 형성되는 스펀지, 파이프 형상의 안솜(inner cotton), 또는 몇 장의 둥근 고리형상의 판이 축선방향으로 겹치도록 병설된 어저스터(adjuster)를 이용할 수 있다. 둥근 고리형상의 판이 겹쳐지는 어저스터는, 그 겹쳐지는 둥근 고리 부분에 의해 주름관 형상(bellows-shaped)의 홈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홈에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상 화장료(L)가 유지된다. 이러한 유지 부재(8)에 의해 액상 화장료(L)를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양의 액상 화장료(L)를 도포체(4)에 흘려 넣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밸브체(5)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축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전방축부(5a) 및 후방축부(5b)와, 이러한 축부(5a, 5b) 사이의 코어부(5c)를 구비한다.
전방축부(5a) 및 후방축부(5b)는, 그 외주면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突條; 5d)를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여기서는 5개) 구비한다. 이러한 돌조(5d)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돌조(5d, 5d) 사이에, 액상 화장료(L)를 유통시키기 위한 요홈(凹溝; 5e)이 축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코어부(5c)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그 직경이 확대되는 직경확대부이며 축선방향으로 경사져 막자사발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5f)를 구비한다. 테이퍼부(5f)는, 밸브체 가압부(6h)의 테이퍼면(6i)에 접촉하기 위한 테이퍼면(5g)을 구비한다. 테이퍼면(5g)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직경이 확대되도록 축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테이퍼면(5g)의 경사각도는, 테이퍼면(6i)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구배로 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부(5f)와 전방축부(5a) 사이는 전방축(5h)이 되며, 테이퍼부(5f)와 후방축부(5b) 사이는 후방축(5j)이 된다.
전방축(5h)은, 그 전단에, 밸브 시트부(6a)의 개구(6b)를 개폐하기 위한 테이퍼면(5i)을 구비한다. 테이퍼면(5i)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직경이 확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축(5j)은, 스프링 부재(7)를 감아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밸브체(5)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 내에 삽입되며, 전방축부(5a)가 유지 부재(8)의 후반부에 진입하는 동시에 후방축부(5b)가 스프링 지지부(6c)의 구멍부(6d)를 삽입통과한 상태로 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7)는,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단(전단)이 테이퍼부(5f)의 후단에 고정지지되고, 그 타단(후단)이 밸브 시트 부재(6)의 스프링 지지부(6c)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7)에 의해 밸브체(5)는 전방으로 힘이 가해지고, 테이퍼면(5i)이 밸브 시트부(6a)에 착좌되는 동시에 테이퍼면(5g)이 테이퍼면(6i)과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선단부(3)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방향의 중간 정도의 외주면에 단차부(3a)를 가지는 단차진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차부(3a)보다 후측의 원통부가, 용기 본체(1)에 삽입되는 삽입부(3b)로 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3b)의 내주면에는, 도포체(4)를 지지하기 위한 환형 볼록부(3c)가 설치되어 있다. 참고로, 환형 볼록부(3c)는 도포체(4)를 지지할 수 있다면 삽입부(3b)의 내주면에 한정되지 않고, 어디에 설치되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선단부(3)는, 그 삽입부(3b)가 용기 본체(1)의 선단측에 내측으로 삽입되고, 그 단차부(3a)가 용기 본체(1)의 선단면에 맞닿아, 삽입부(3b)의 외주면과 용기 본체(1)의 내주면의 걸림결합부끼리가 축선방향으로 걸림결합됨으로써, 용기 본체(1)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참고로, 선단부(3)는, 용기 본체(1)와 일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도포체(4)는,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섬유의 수속체(收束體)이며, 예컨대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다. 상기 도포체(4)는, 그 축선방향 중앙부에, 선단부(3)의 환형 볼록부(3c)에 축선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환형 오목부(4a)를 가진다. 그리고, 도포체(4)는, 선단부(3)에 내측으로 삽입되며, 그 후단부가 유지 부재(8)의 전반부에 진입하는 동시에, 그 환형 오목부(4a)가 환형 볼록부(3c)에 걸림결합됨으로써, 선단부(3)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선단부(3)의 선단으로부터 도포체(4)가 전방 외부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액상 화장료 용기(100)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조작부(2)를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5)의 테이퍼면(5g)이 스프링 부재(7)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밸브체 가압부(6h)의 테이퍼면(6i)에 접촉하는 동시에, 테이퍼면(5i)이 밸브 시트부(6a)에 접촉하여 개구(6b)를 막아, 밸브체(5)가 밸브 시트부(6a)에 착좌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용기 본체(1)를 필기구를 쥐듯이 한 손으로 쥐고, 예컨대, 엄지와 검지로 각 조작부(2)를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한다. 그러면, 이러한 가압에 수반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암 부재(6g)의 근원을 지지점(支點)으로 하여 밸브체 가압부(6h)가 내측을 향해 변위하여, 밸브체 가압부(6h)가 테이퍼부(5f)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밸브체(5)의 테이퍼면(5g)이 테이퍼면(6i)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테이퍼면(5i)이 밸브 시트부(6a)로부터 멀어져 개구(6b)를 개방하여 밸브체(5)가 밸브 시트부(6a)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밸브 시트부(6a)의 후방에 존재하는 액상 화장료(L)가, 테이퍼면(5i)을 전단에 가지는 전방축(5h)의 그 전방에 위치하는 복수의 요홈(5e)을 경유하여 전방으로 이동해서, 유지 부재(8)측으로 진입하여, 유지 부재(8) 및 도포체(4)에 공급된다. 그리고, 도포체(4)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상 화장료(L)를 선단측으로 빨아올려, 그 선단으로부터 액상 화장료(L)의 도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부(2)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조작부(2)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조작부(2)가 그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그러면, 이러한 복원에 수반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 가압부(6h)가 스프링 부재(7)의 바이어스력에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밸브체 가압부(6h)의 테이퍼부(5f)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테이퍼면(5g)이 테이퍼면(6i) 상을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테이퍼면(5i)이 밸브 시트부(6a)에 접촉하여 개구(6b)를 막아, 밸브체(5)가 밸브 시트부(6a)에 착좌됨으로써, 도포체(4)와 용기 본체(1)의 수용부(1a) 간의 유로가 차단되어, 액상 화장료(L)의 유지 부재(8) 및 도포체(4)로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상 화장료 용기(100)에 의하면, 조작부(2)가 용기 본체(1)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부(2)가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되면, 밸브 시트부(6a)에 착좌되어 있는 밸브체(5)가, 밸브체 가압부(6h)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해당 밸브 시트부(6a)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액상 화장료(L)가 통과하는 유로가 개방되어, 액상 화장료(L)가 도포체(4)에 공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2)가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되면, 밸브체(5)의 테이퍼부(5f)가 밸브체 가압부(6h)에 의해 밸브 시트부(6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브체(5)가 밸브 시트부(6a)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액상 화장료(L)가 통과하는 유로가 개방되어, 액상 화장료(L)가 도포체(4)에 공급된다. 따라서, 도포체(4)를 용기 내로 밀어 넣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포체(4)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매우 부드러운 도포체도 포함하여 모든 도포체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조작부(2)에 대한 외측방향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밸브체(5)는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유로의 개폐를 행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1)의 직경을 종래에 비해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액상 화장료 용기의 컴팩트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액상 화장료 용기(100)에서는, 조작부(2)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2)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와 조작부(2)는, 2색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액상 화장료 용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5)는, 축선방향으로 경사져 조작부(2)에 대한 가압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테이퍼면(5g)을 가지므로, 밸브체(5)를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5)의 테이퍼부(5f)는, 축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시키는 막자사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밸브체 가압부(6h)의 밸브체(5)와의 접촉면이 밸브체(5)의 테이퍼부(5f)의 테이퍼면(5g)과 동일한 구배의 테이퍼면(6i)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체(5)의 축선방향으로의 이동을 한층 더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의 내부에 스프링 부재(7)가 설치되어, 밸브체(5)가 스프링 부재(7)에 의해 착좌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조작부(2)에 대한 외측방향으로부터의 가압이 사라지면, 상기 스프링 부재(7)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밸브체(5)는 축선방향(전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시트 부재(6)에 착좌된다. 따라서, 도포체(4)에 대한 액상 화장료(L)의 유로를 용이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조작부(2)를 가압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액상 화장료 용기(100)를 사용 가능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에 대한 가압에 의해, 도포체(4)에 대한 액상 화장료(L)의 함침량(含浸量)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바람직한 예로서, 용기 본체(1)와 조작부(2)가 2색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조작부(2)를, 미리 성형한 용기 본체(1)에 인서트 성형하도록 해도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화장료 용기의 밸브 시트 부재(16)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2 실시형태의 액상 화장료 용기가 제 1 실시형태의 액상 화장료 용기(100)와 다른 점은, 밸브 시트 부재(6)의 스프링 지지부(6c)를 후단 환형부(6x)와 일체로 한 점이다.
이러한 제 2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냄은 물론이며, 더욱이, 부품수의 삭감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화장료 용기의 도포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도포체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액상 화장료 용기가 제 1 실시형태의 액상 화장료 용기(100)와 다른 점은, 도포체(4)를 대신하여, 내부에 액상 화장료(L)가 유통되는 유로(14a)를 가지는 도포체(14)를 이용한 점이다.
도포체(14)의 유로(14a)는,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며, 예컨대, 둘레방향을 따라 8등배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유로(14a)가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동시에 복수 설치됨으로써, 도포체(14)에 대한 액상 화장료(L)의 공급을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으며, 더욱 용이하게 액상 화장료 용기를 사용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액상 화장료 용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밸브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일부를 파단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액상 화장료 용기(200)가 제 1 실시형태의 액상 화장료 용기(100)와 다른 점은, 조작부(2)를 대신하여, 내면에 돌기 형상의 밸브체 가압부(22b)를 가지는 조작부(22)를 이용한 점과, 밸브체 가압부(6h)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밸브체(5)를 대신하여, 밸브체 가압부(22b)의 가압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밸브체(25)를 이용한 점과, 밸브 시트 부재(6)를 대신하여, 후단부에 밸브 시트부(26a)를 가지는 밸브 시트 부재(26)를 이용한 점과, 밸브체(5)를 전측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7)를 대신하여, 밸브체(25)를 후측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27)를 이용한 점이다.
조작부(22)는, 밸브체 가압부(22b)를 가지는 점만이 조작부(2)와 상이하며, 그 이외의 점은 조작부(2)와 동일하다. 밸브체 가압부(22b)는, 그 돌기 형상이 산 형상의 단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밸브 시트 부재(26)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차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후단에 밸브 시트부(26a)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 시트부(26a)는, 그 중앙부분에, 밸브체(25)가 축선방향으로 삽입통과하는 개구(26d)를 가진다. 그리고, 밸브 시트부(26a)의 후단면은, 스프링 부재(27)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26f)로 되어 있다. 또한, 밸브 시트 부재(26) 내부의 밸브 시트부(26a)보다 전측인 부분은 개구(26d)보다 직경이 확대된 구멍을 가지는 직경확대구멍부(26g)로 되어 있고, 또한 그 전측에는 직경확대구멍부(26g)보다 직경이 확대된 구멍을 가지며 유지 부재(8)를 수용하기 위한 직경확대구멍부(26c)가 설치되고, 상기 직경확대구멍부(26c)에 상기 유지 부재(8)가 수용되어 있다. 직경확대구멍부(26c)의 외주면에는, 용기 본체(1)의 환형 걸림결합부(1c)에 축선방향으로 걸림결합되는 한 쌍의 환형 볼록부(26b)가 축선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 시트 부재(26)는, 용기 본체(1) 내에 삽입되며, 환형 볼록부(26b)가 용기 본체(1)의 환형 걸림결합부(1c)에 축선방향으로 걸림결합됨으로써, 용기 본체(1)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밸브체(25)는, 도 13∼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둥근 막대 형상으로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막대 형상 부재(25a)와, 막대 형상 부재(25a)의 후단부에 일체화되며, 막대 형상 부재(25a)보다 직경이 확대된 직경확대부(25f)를 구비한다.
직경확대부(25f)는,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그 직경이 서서히 축소되도록 축선방향으로 경사져서 막자사발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25t)를 구비한다. 테이퍼부(25t)는, 조작부(22)의 밸브체 가압부(22b)에 접촉하기 위한 테이퍼면(25g)을 구비한다. 테이퍼면(25g)의 경사각도는, 밸브체 가압부(22b)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구배로 되어 있다. 또한, 직경확대부(25f)의 전단에는, 막대 형상 부재(25a)를 꽂아 넣어 장착시키기 위한 삽입구멍(25s, insertion hole)이 도중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멍(25s)은, 그 전단측에 막대 형상 부재(25a)를 축선방향으로 걸림결합시키기 위해, 환형의 볼록부, 오목부가 축선방향으로 병설된 환형 요철(凹凸)부(25n)를 가진다.
막대 형상 부재(25a)는, 전단측의 머리부(25e)와, 머리부(25e)보다 직경이 축소되어 축 형상으로 연장형성되는 중앙부(25h)와, 외주면에 직경확대부(25f)의 환형 요철부(25n)에 축선방향으로 걸림결합되기 위해, 환형의 오목부, 볼록부가 축선방향으로 병설되는 환형 요철부(25m)가 설치된 후단부(25k)를 구비한다. 머리부(25e)와 중앙부(25h) 사이에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직경이 축소되도록 축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테이퍼면(25i)이 설치되어 있다. 테이퍼면(25i)은, 밸브 시트부(26a)의 개구(26d)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막대 형상 부재(25a)는, 직경확대부(25f)에 압입(壓入)되어, 그 후단부(25k)의 환형 요철부(25m)가 직경확대부(25f)의 환형 요철부(25n)에 걸림결합됨으로써, 직경확대부(25f)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일체화된다. 또한, 중앙부(25h)에는, 스프링 부재(27)가 감겨 부착된다.
스프링 부재(27)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단(전단)이 밸브 시트 부재(26)의 스프링 지지부(26f)에 고정지지되고, 그 타단(후단)이 직경확대부(25f)의 전단에 고정지지되며, 상기 스프링 부재(27)에 의해 밸브체(25)는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고, 테이퍼면(25i)이 밸브 시트부(26a)에 착좌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액상 화장료 용기(200)에 있어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조작부(22)를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밸브체(25)의 테이퍼면(25i)이 스프링 부재(27)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밸브 시트 부재(26)의 밸브 시트부(26a)에 접촉하여 개구(26d)를 막고, 밸브체(25)가 밸브 시트부(26a)에 착좌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부(22)를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하면, 상기 가압에 수반하여, 조작부(22)의 밸브체 가압부(22b)가 내측으로 변위하여, 상기 밸브체 가압부(22b)가 직경확대부(25f)의 테이퍼면(25g)을 가압한다. 상기 밸브체 가압부(22b)의 가압에 의해, 밸브체(25)의 직경확대부(25f)가 밸브체 가압부(22b)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테이퍼면(25i)이 밸브 시트부(26a)로부터 멀어져 개구(26d)를 개방하고 밸브체(25)가 밸브 시트부(26a)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밸브 시트부(26a)의 후방에 존재하는 액상 화장료(L)가, 밸브 시트부(26a)와 중앙부(25h) 사이, 및 직경확대구멍부(26g)와 머리부(25e) 사이를 경유하여 전방으로 이동해서, 유지 부재(8)측으로 진입하여, 유지 부재(8) 및 도포체(4)에 공급됨으로써,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포체(4)의 선단으로부터 액상 화장료(L)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밸브체(25)의 이동시에, 밸브체(25)의 직경확대부(25f)가 밸브 시트부(26a)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밸브 시트부(26a)와 직경확대부(25f) 사이의 액상 화장료(L)가, 밸브체(25)가 분리되어 있는 밸브 시트부(26a)로 밀려나온다. 따라서, 액상 화장료(L)의 공급을 보다 빠르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부(22)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조작부(22)가 그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그러면, 이러한 복원에 수반하여, 밸브체(25)가 스프링 부재(27)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테이퍼면(25i)이 밸브 시트부(26a)에 접촉하여 개구(26d)를 막고, 밸브체(25)가 밸브 시트부(26a)에 착좌됨으로써,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액상 화장료(L)의 유지 부재(8) 및 도포체(4)에 대한 공급이 정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상 화장료 용기(200)에 의하면, 조작부(22)가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되면, 밸브체(25)의 직경확대부(25f)가 밸브체 가압부(22b)에 의해 밸브 시트부(26a)측으로 이동하여, 밸브 시트부(26a)와 직경확대부(25f) 사이의 액상 화장료(L)가, 밸브체(25)가 분리되어 있는 밸브 시트부(26a)로 밀려나오기 때문에, 액상 화장료(L)의 공급을 보다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용이하게 액상 화장료 용기(200)를 사용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25)는, 그 막대 형상 부재(25a)와 직경확대부(25f)가 별체(別體)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막대 형상 부재(25a)의 중앙부(25h)에 스프링 부재(27)를 넣은 후에 직경확대부(25f)를 장착시킴으로써, 스프링 부재(27)를 용이하게 밸브체(25)와 밸브 시트 부재(26)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참고로, 제 4 실시형태의 액상 화장료 용기(200)에서는, 도포체(4)를 대신하여, 제 3 실시형태의 도포체(14)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액상 화장료 용기(200)에 있어서, 밸브체 가압부(22b)의 경사각도는, 테이퍼면(25g)의 경사각도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밸브체 및 밸브체 가압부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제 1 실시형태의 밸브체(5) 및 밸브체 가압부(6h)의 각 테이퍼면에 수나사 또는 암나사를 각각 형성하여, 이들 나사를 서로 나사결합시키고, 조작부(2)에 대한 가압에 의해, 밸브체(5)를 밸브 시트 부재(6)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테이퍼부(5f, 25t)를 대신하여, 예컨대, 조작부(2, 22)의 내면에 접촉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타원체를 마련하여, 조작부(2, 22)에 대한 가압에 의해, 밸브체를 축선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포체(4, 14)가 섬유의 수속체이며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포체의 종류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도포체가 브러시나 모필(毛筆)이어도 좋다.
1 : 용기 본체
1a : 수용부
2, 22 : 조작부
4, 14 : 도포체
5, 25 : 밸브체
5f, 25t : 테이퍼부
5g : 테이퍼면
6a, 26a : 밸브 시트부
6h, 22b : 밸브체 가압부
6i : 테이퍼면
7, 27 : 스프링 부재(탄성 부재)
25f : 직경확대부
L : 액상 화장료

Claims (8)

  1. 액상 화장료를 수용가능한 수용부를 가지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선단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액상 화장료를 피(被)도포부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체와,
    상기 도포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수용부를 연결하여,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도포체로의 상기 액상 화장료의 유통을 가능하게 하는 유로와,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되는 조작부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설치된 밸브 시트부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밸브 시트부에 착좌(着座)됨으로써 상기 유로를 폐쇄시키고, 상기 밸브 시트부를 분리(離座)시킴으로써 상기 유로를 개방시키는 밸브체와,
    상기 조작부가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됨으로써 상기 밸브체를 축선방향으로 이동시켜 분리(離座)시키는 밸브체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체 가압부에 가압되기 위한 직경확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체 가압부는, 상기 조작부가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됨으로써 상기 직경확대부를 상기 밸브 시트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밸브체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체 가압부에 가압되기 위한 직경확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체 가압부는, 상기 조작부가 외측방향으로부터 가압됨으로써 상기 직경확대부를 상기 밸브 시트부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밸브체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용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용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조작부는, 2색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용기.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확대부는, 축선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조작부에 대한 가압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테이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부는, 축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막자사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밸브체 가압부의 상기 밸브체와의 접촉면은, 상기 테이퍼부와 동일한 구배(勾配)의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용기.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 시트부에 착좌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료 용기.
KR1020147007850A 2011-09-27 2012-09-19 액상 화장료 용기 KR101677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1457 2011-09-27
JPJP-P-2011-211457 2011-09-27
JP2012195801A JP6127299B2 (ja) 2011-09-27 2012-09-06 液状化粧料容器
JPJP-P-2012-195801 2012-09-06
PCT/JP2012/073885 WO2013047280A1 (ja) 2011-09-27 2012-09-19 液状化粧料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668A true KR20140082668A (ko) 2014-07-02
KR101677590B1 KR101677590B1 (ko) 2016-11-18

Family

ID=4799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850A KR101677590B1 (ko) 2011-09-27 2012-09-19 액상 화장료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314087B2 (ko)
EP (2) EP2762031B1 (ko)
JP (1) JP6127299B2 (ko)
KR (1) KR101677590B1 (ko)
WO (1) WO20130472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421B1 (ko) * 2018-09-19 2020-02-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착색용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7299B2 (ja) 2011-09-27 2017-05-17 株式会社トキワ 液状化粧料容器
KR101556652B1 (ko) * 2013-04-10 2015-10-01 (주)연우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튜브용기
USD746513S1 (en) * 2013-07-08 2015-12-29 Benefit Cosmetics Llc Container for cosmetics with applicator
US9757551B2 (en) * 2013-10-04 2017-09-12 Carefusion 2200, Inc. Antiseptic applicator
CN104783479B (zh) 2014-01-21 2017-09-22 株式会社常盘 涂布材料压出式容器
US20160058155A1 (en) * 2014-09-02 2016-03-03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ntainer with dispensing tip
TWM514773U (zh) * 2015-06-23 2016-01-01 Chuen Churn Co Ltd 雙頭眼線筆
JP6697651B2 (ja) * 2015-10-23 2020-05-27 株式会社トキワ 液状化粧料容器
USD805688S1 (en) * 2016-06-08 2017-12-19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Cosmetic pencil
USD808822S1 (en) * 2016-07-22 2018-01-30 HCT Group Holdings Limited Cosmetics dispenser and applicator
USD842547S1 (en) * 2017-02-24 2019-03-05 Elc Management Llc Eyeliner applicator
USD848674S1 (en) * 2017-05-18 2019-05-14 Xupeng Zu Permanent make-up device
CN110891458B (zh) * 2017-10-26 2023-01-24 奥汀福图斯有限公司 眼线笔
US10667601B1 (en) * 2017-10-27 2020-06-02 Peter H. Newton Paint pen system and method
USD882178S1 (en) * 2017-12-18 2020-04-21 Ningbo Jieli Cosmetic Package Co., Ltd. Cosmetic pencil
USD889849S1 (en) * 2018-06-26 2020-07-14 Tokiwa Corporation Cosmetic applicator
JP7418222B2 (ja) * 2020-01-22 2024-01-19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JP7469907B2 (ja) * 2020-02-26 2024-04-17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2727U (ko) * 1975-03-28 1976-10-05
JPS6258683A (ja) 1985-09-06 1987-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S63118979U (ko) * 1987-01-23 1988-08-01
JPS63118978U (ko) * 1987-01-25 1988-08-01
JP2525538B2 (ja) 1992-12-25 1996-08-21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高強度裏金を有する銅合金すべり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90310Y1 (ko) * 2000-02-29 2000-07-15 주식회사네오퀸화장품 에어펌프를 이용한 공 자동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8423A (en) * 1955-05-12 1959-10-13 Wagner Guenter Containers having walls consisting of a flexible and elastic material
US4478358A (en) * 1982-07-19 1984-10-23 Lantry Gerald F Dispensing closure mechanism for resiliently squeezable receptacles
JPH083093B2 (ja) 1985-03-26 1996-01-17 旭硝子株式会社 強誘電性スメクチツク液晶組成物
JPS62583U (ko) 1985-06-18 1987-01-06
JPS6227509A (ja) 1985-07-26 1987-02-05 Nippon Kokan Kk <Nkk> 高炉操業方法
JPS6227509U (ko) * 1985-07-31 1987-02-19
US4960340A (en) * 1987-01-23 1990-10-02 Kabushiki Kaisha Sakurakurepasu Implement for applying liquid
JPH0184776U (ko) * 1987-11-27 1989-06-06
JP2525538Y2 (ja) 1990-03-02 1997-02-12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US6409406B1 (en) * 2001-08-27 2002-06-25 Gilbert Schwartzman Valved fluid applicator
JP2003072276A (ja) * 2001-08-31 2003-03-12 Masaaki Fukami 筆記具
JP4607697B2 (ja) * 2005-08-02 2011-01-05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防水型押釦スイッチ装置
JP2008039652A (ja) * 2006-08-09 2008-02-21 Yazaki Corp 流体計測装置
JP5280109B2 (ja) * 2008-05-30 2013-09-04 株式会社壽 サイドノック式液体繰出し装置
JP6127299B2 (ja) 2011-09-27 2017-05-17 株式会社トキワ 液状化粧料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2727U (ko) * 1975-03-28 1976-10-05
JPS6258683A (ja) 1985-09-06 1987-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JPS63118979U (ko) * 1987-01-23 1988-08-01
JPS63118978U (ko) * 1987-01-25 1988-08-01
JP2525538B2 (ja) 1992-12-25 1996-08-21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高強度裏金を有する銅合金すべり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90310Y1 (ko) * 2000-02-29 2000-07-15 주식회사네오퀸화장품 에어펌프를 이용한 공 자동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421B1 (ko) * 2018-09-19 2020-02-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착색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7590B1 (ko) 2016-11-18
EP2762031A4 (en) 2014-08-06
EP2888973A1 (en) 2015-07-01
JP6127299B2 (ja) 2017-05-17
EP2762031A1 (en) 2014-08-06
JP2013081761A (ja) 2013-05-09
EP2888973B1 (en) 2016-06-15
US20160166043A1 (en) 2016-06-16
EP2762031B1 (en) 2016-12-07
US9521893B2 (en) 2016-12-20
US20140328611A1 (en) 2014-11-06
US9314087B2 (en) 2016-04-19
WO2013047280A1 (ja)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590B1 (ko) 액상 화장료 용기
KR101833957B1 (ko) 화장품 디스펜서
CN107136728B (zh) 液态化妆品容器
CN107637949B (zh) 涂布容器及涂布容器的制造方法
JP2012235885A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6710829B2 (ja) 液状化粧料容器
JP2012075556A (ja) 化粧料塗布具及び化粧料容器
JP6175678B2 (ja) 化粧料容器
EP1295543B1 (en) Liquid applicator
CN107028328B (zh) 液状化妆品容器
JP6159590B2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液体塗布具
US8905666B2 (en) Liquid applicator
KR20170043817A (ko) 아이샤도우 펜슬
JP3169255U (ja) 揮発性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6425293B1 (ja) 塗布具
KR101749085B1 (ko) 푸시형 화장용 펜슬
KR102067015B1 (ko) 펜슬형 화장 도구
JP2017113163A (ja) 塗布具
FR3080009A1 (fr) Dispositif d&#39;application de produit cosmetique a habillage, kit et procede d&#39;habillage associes
US11696635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application member
KR200482249Y1 (ko) 아이라이너
WO2019230197A1 (ja) 多重成形体付き化粧料容器
CN116648167A (zh) 具有可收缩刷头的化妆用的物品
CN115476611A (zh) 书写工具
JPH091036A (ja) 筆記具、化粧具等の液体塗布具の尾端ノ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