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085B1 - 푸시형 화장용 펜슬 - Google Patents

푸시형 화장용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085B1
KR101749085B1 KR1020160156209A KR20160156209A KR101749085B1 KR 101749085 B1 KR101749085 B1 KR 101749085B1 KR 1020160156209 A KR1020160156209 A KR 1020160156209A KR 20160156209 A KR20160156209 A KR 20160156209A KR 101749085 B1 KR101749085 B1 KR 101749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inner circumferential
ring
circumferential groov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주)명신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신코스텍 filed Critical (주)명신코스텍
Priority to KR1020160156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형 화장용 펜슬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단(11), 전방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1내주홈(12) 및 상기 제1,2내주홈(12)(13)의 중앙측 내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턱링(14)을 가지는 후방홀더(10)와; 고형형의 화장안료심(P)이 끼어져 수납되도록 전체적으로 관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제1내주홈(12)에 끼어져 고정되는 끼움고정돌기(22)가 형성된 전방홀더(20)와; 턱링(14) 후방측의 후방홀더(10)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전방홀더(20) 내측으로 진입되어 화장안료심(P)을 밀기 위한 전단부(31)를 가지는 밀대(30)와; 밀대(30)에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턱링(14)에 밀착되는 제1스냅링(40)과; 제1스냅링(40)과 이격되게 상기 밀대(30)에 끼어지는 제2스냅링(50)과; 제1,2스냅링(40)(50) 사이의 밀대(30)에 끼어지는 스프링(60)과; 후방홀더(10)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스냅링(50)을 가압하는 버튼홀더(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시형 화장용 펜슬{Push cosmetic pencil}
본 발명은 푸시형 화장용 펜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성이 좋고 용이한 사용이 가능한 푸시형 화장용 펜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푸시형 화장용 펜슬, 예를 들면 아이라이너 펜슬은 눈에 아이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푸시형 화장용 펜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형 화장용 펜슬은, 개방된 전단부 및 개방된 후단부를 갖춘 원통형의 홀더(1)와, 홀더(1)의 후단부를 폐쇄시키는 플러그(2)와; 홀더(1)의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도포체(3)와, 홀더(1)의 내측에 결합되는 농도조절유닛(4)과, 농도조절유닛(4)과 플러그(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는 액상의 화장안료(5)와, 농도조절유닛(4)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화장안료(5)를 도포체(3)에 공급하는 연결코어(6)와, 홀더(1)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포체(3)를 외부환경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밀봉캡(7)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포체(3)는 다공성 스펀지로 구현되거나, 다수의 인조모가 끝이 뾰족하게 가공되어 구현된다. 농도조절유닛(4)은 외부의 온도나 습도환경에 관계없이 화장안료(5)가 연결코어(6)를 통하여 도포체(3)로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코어(6)는 일측단이 화장안료(5)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측단이 도포체(3)와 연결되며,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화장안료를 흡수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화장안료(5)는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연결코어(6)를 통하여 도포체(3)로 이송되고 도포체(3)로 눈화장을 하게 된다. 이와 관련된 아이라이너 펜슬에 관련된 선행기술이 실용신안등록 20-0281544호에 잉크조절기를 갖는 아이라이너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의 경우, 홀더(1)와 밀봉캡(7) 사이의 틈새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사용을 위하여 외부환경에 도포체(3)가 반복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도포체(3)에 흡수된 화장안료가 마르게 되었다. 이 경우 도포체가 딱딱하게 굳어 통한 아이라이너 화장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고형의 화장안료심을 사용함으로써 장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아이라이너 화장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식 아이라이너 펜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사용을 위하여 캡홀더를 열고 닫을 때 화장안료심이 자동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식 아이라이너 펜슬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푸시형 화장용 펜슬의 일 실시예는,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단(11)과, 전방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1내주홈(12)과, 후방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내주홈(13)과, 상기 제1,2내주홈(12)(13)의 중앙측 내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턱링(14)을 가지는 후방홀더(10); 고형의 화장안료심(P)이 끼어져 수납되도록 전체적으로 관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상기 제1내주홈(12)에 끼어져 고정되는 끼움고정돌기(22)가 형성된 전방홀더(20); 상기 턱링(14) 후방측의 상기 후방홀더(10)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홀더(20)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기 화장안료심(P)을 밀기 위한 전단부(31)를 가지는 밀대(30); 상기 밀대(30)에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턱링(14)에 밀착되는 제1스냅링(40); 상기 제1스냅링(40)과 이격되게 상기 밀대(30)에 끼어지는 제2스냅링(50); 상기 제1,2스냅링(40)(50) 사이의 상기 밀대(30)에 끼어지는 스프링(60); 및 상기 후방홀더(10)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스냅링(50)을 가압하는 버튼홀더(8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냅링(40)과 턱링(14) 사이에서 상기 밀대(30)에 밀착되게 끼어져, 그 턱링(14)과 밀대(3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실링부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스냅링(40)(50) 각각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41)(51)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돌기(41)(51)들이 형성하는 내직경(D1)은 상기 밀대(30)의 외직경(D2) 보다 작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70)는, 상기 제1스냅링(40)과 턱링(14) 사이에서 상기 밀대(30)가 끼어지는 관통공이 형성된 실링단(71)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선단으로 갈수록 내직경이 좁아지면서 상기 밀대(3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단(72)과, 상기 제1스냅링(40)의 돌기(41)가 끼어지는 끼움홈(73)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푸시형 화장용 펜슬의 다른 실시예는,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단(11)과, 전방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1내주홈(12)과, 후방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내주홈(13)과, 상기 제1,2내주홈(12)(13)의 중앙측 내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턱링(14)을 가지는 후방홀더(10); 고형의 화장안료심(P)이 끼어져 수납되도록 전체적으로 관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상기 제1내주홈(12)에 끼어져 고정되는 끼움고정돌기(22)가 형성된 전방홀더(20); 상기 턱링(14) 후방측의 상기 후방홀더(10)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홀더(20)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기 화장안료심(P)을 밀기 위한 전단부(31)를 가지는 밀대(30); 상기 밀대(30)에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턱링(14)에 밀착되는 제1스냅링(40); 상기 제1스냅링(40)과 이격되게 상기 밀대(30)에 끼어지는 제2스냅링(50); 상기 제1,2스냅링(40)(50) 사이의 상기 밀대(30)에 끼어지는 스프링(60); 및 상기 후방홀더(10)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스냅링(50)을 가압하는 버튼홀더(80);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홀더(80)는, 상기 후방홀더(10)의 후방측에 전후방으로 소정간격으로 제한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스냅링(5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스냅링가압단(81)과; 상기 밀대(30)의 가이드턱(32)이 가이드되게 끼어지는 가이드홈(82)과; 상기 버튼홀더(8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2내주홈(13)에 끼어지는 이탈방지돌기(83)와; 상기 후방홀더(10)의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손으로 눌려지는 버튼(84);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홀더(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후단에서 제1깊이(P1)를 가지는 제1내주홈(16a) 및 제2깊이(P2)를 가지는 제2내주홈(16c)과, 상기 제1내주홈(16a)과 제2내주홈(16b)을 연결하는 경사홈(16c)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홀더(8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버튼홀더(80)가 상기 후방홀더(10)에 대하여 정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내주홈(16a)에 걸치어지거나 제2내주홈(16b)에 걸치어지는 록킹돌기(8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끼움단(11)의 외주면에는 나사돌기(15)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돌기(15)에 나사결합되는 나사홈(95)이 내주면에 형성된 캡홀더(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캡홀더(90)의 내부에는 그 캡홀더(90)가 상가 나사돌기(15)에 나사결합될 대 상기 화장안료심(P)의 선단을 깎는 샤프너(100);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을 누를 때마다 화장안료심이 전방홀더로부터 자동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의 누름 정도에 따라 화장안료심의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버튼의 누름 정도에 따라 화장안료심(P)의 뾰족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얇은 화장이나 두꺼운 화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버튼홀더가 후방홀더를 기준으로 특정 위치에 있을때만 버튼홀더가 눌리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평소 버튼홀더가 눌리어지지 않는 위치에 있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의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눌리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를 채용함으로써, 시간이 지나더라도 외부공기가 화장안료심(P)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장안료심(P)을 항상 촉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아이라이너 펜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형 화장용 펜슬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푸시형 화장용 펜슬의 분해 부분단면도,
도 4는 도 3의 밀대에 실링부재, 스프링 및 제1,2스냅링이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제1,2스냅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의 실링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도 3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VIII-VI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3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푸시형 화장용 펜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푸시형 화장용 펜슬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형 화장용 펜슬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푸시형 화장용 펜슬의 분해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밀대에 실링부재, 스프링 및 제1,2스냅링이 결합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제1,2스냅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실링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 도 7은 도 3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VIII-V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3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형 화장용 펜슬은, 고형의 화장안료심(P)을 용이하게 돌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후방홀더(10), 전방홀더(20), 밀대(30), 제1,2스냅링(40)(50), 스프링(60), 실링부재(70), 버튼홀더(80), 캡홀더(90), 샤프너(100), 록킹부(110)를 포함한다.
후방홀더(10)는, 전체적으로 관형상으로 된 것으로서,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단(11)과, 전방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1내주홈(12)과, 후방홀더(10)의 후방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내주홈(13)과, 제1,2내주홈(12)(13)의 중앙측 내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턱링(14)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방측 외주면에는 후술할 캡홀더(90) 내주면의 나사홈(95)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돌기(15)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홀더(20)는, 턱링(14)의 후방측의 후방홀더(10)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고형의 화장안료심(P)이 끼어져 수납되도록 전체적으로 관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제1내주홈(12)에 끼어져 고정되는 끼움고정돌기(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방홀더(20)를 끼움단(11)에 끼우는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전방홀더(20)는 후방홀더(10)에 결합된다.
밀대(30)는, 턱링(14) 후방측의 후방홀더(10)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전방홀더(20) 내측으로 진입되어 화장안료심(P)을 밀기 위한 전단부(31)와, 후단측에 형성되어 후술할 버튼홀더(80)의 가이드홈(82)에 끼어져 가이드되는 가이드턱(32)을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턱(32)은 전단부(31)의 외직경보다 큰 외직경을 가진다.
제1스냅링(40)은, 밀대(30)에 끼어진 상태에서 턱링(14)에 밀착되어 밀대(30)를 전방홀더(20) 측으로만 이송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제1스냅링(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41)를 포함하고, 돌기(41)들이 형성하는 내직경(D1)은 밀대(30)의 외직경(D2) 보다 작다. 이에 따라 제1스냅링(40)이 밀대(30)에 끼어질 때 돌기(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홀더(20) 측으로 탄성적으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제1스냅링(40)에 끼어진 밀대(30)는 전방홀더(20)측으로만 움직이게 되고, 반대측으로 움직일 수 없다.
제2스냅링(50)은, 제1스냅링(40)과 이격되게 밀대(30)에 끼어지며, 후술할 버튼홀더(80)의 스냅링가압단(81)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러한 제2스냅링(50)은 밀대(30)가 전방홀더(20) 전방측으로만 이송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61)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돌기(61)들이 형성하는 내직경(D1)은 밀대(30)의 외직경(D2) 보다 작다. 이에 따라 제2스냅링(50)이 밀대(30)에 끼어질 때 돌기(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홀더(20) 측으로 탄성적으로 경사지게 된다. 따라서 제2스냅링(50)에 끼어진 밀대(30)는 전방홀더(20) 방향으로만 움직이고, 반대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다.
스프링(60)은, 제1,2스냅링(40)(50) 사이의 상기 밀대(30)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스냅링(40)(50)에 밀착되는 양측단(61) 및 상기 양측단(61) 사이의 중앙단(62)으로 구현되되, 양측단(61)의 외직경은 중앙단(62)의 외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장구 형태를 가진다. 이때 스프링(60)은 전체적으로 장구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제1,2스냅링(40)(50) 사이에서 스프링(60)은 편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60)에 의하여, 작은 외직경의 중앙단(62)은 밀대(30)에 끼어지고, 중앙단(62)보다 큰 외직경을 가지는 양측단(61)은 중앙단(62) 보다 헐거운 상태로 제1,2스냅링(40)(50)에 밀착되므로, 어떠한 경우라도 스프링(60)은 제1,2스냅링(40)(50) 사이에서 편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밀대(30), 제1,2스냅링(40)(50) 및 스프링(60)의 유기적인 결합동작에서 오작동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고, 또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실링부재(7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나더라도 외부공기가 화장안료심(P)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실링부재(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냅링(40)과 턱링(14) 사이에서 밀대(30)가 끼어지는 관통공이 형성된 실링단(71)과, 관통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선단으로 갈수록 내직경이 좁아지면서 밀대(3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단(72)과, 제1스냅링(40)의 돌기(41)가 끼어지는 끼움홈(73)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링부재(70)에 의하여, 실링부재(70)는 제1스냅링(40)과 턱링(14) 사이에서 밀대(30)에 끼어져, 그 밀대(30)가 움직이는 동안에도 턱링(14)과 밀대(30) 사이의 틈새를 완벽히 실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버튼홀더(80) 외주면과 후방홀더(10)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화장안료심(P)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함으로써 시간이 지나더라도 화장안료심(P)이 공기에 노출되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안료심(P)은 징시간이 지나더라도 초기의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버튼홀더(80)는, 후방홀더(10)의 후방측에 전후방으로 소정간격으로 제한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스냅링(5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스냅링가압단(81)과; 밀대(30)의 가이드턱(32)이 가이드되게 끼어지는 가이드홈(82)과; 버튼홀더(8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2내주홈(13)에 끼어지는 이탈방지돌기(83)와; 후방홀더(10)의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손으로 눌려지는 버튼(84);을 포함한다. 이때 버튼(84)의 외직경은 후방홀더의 내직경보다 커서, 버튼(84)이 후방홀더(10)의 단부에 밀착됨으로써 눌리어지는 범위를 제한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1,2스냅링(40)(50) 및 스프링(60)과, 제2스냅링(50)을 가압하는 버튼홀더(80)를 채용함으로써, 후방홀더(10)에 대하여 버튼(84)의 누름 정도에 따라 화장안료심(P)의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버튼(84)을 후방홀더(10) 측으로 완전히 누르면 전방홀더(20)에서 화장안료심(P)이 많이 돌출되고, 버튼(84)을 약간 누르면 전방홀더(20)에서 화장안료심(P)은 약간만 돌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의 푸시용 화장용 펜슬은 평소 휴대용 가방에 보관되는데, 가방을 휴대하는 도중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이나 부주의에 의하여 버튼홀더(80)가 눌리어질 수 있고, 이 경우 화장안료심(P)이 의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방홀더(20)로부터 과도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튼홀더(80)가 끼어지는 후방홀더(10)의 후방측 내주면에는, 후단에서 제1깊이(P1)는 가지는 제1내주홈(16a) 및 제2깊이(P2)를 가지는 제2내주홈(16b)과, 제1내주홈(16a)과 제2내주홈(16b)을 연결하는 경사홈(16c)로 구성되는 선택록킹홈(16)을 포함한다. 이때 제1내주홈(16a)의 제1깊이(P1)는 제2내주홈(16b)의 제2깊이(P2)보다 크다.
또한 버튼홀더(80)의 외주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버튼홀더(80)가 후방홀더(10)에 대하여 정역회전됨에 따라 제1내주홈(16a)에 걸치어지거나 제2내주홈(16b)에 걸치어지는 록킹돌기(86)가 형성된다. 이러한 록킹돌기(86)가 제1내주홈(16a)에 위치될 때 버튼홀더(80)는 후방홀더(10) 내측으로 눌리어질 수 있고, 제2내주홈(16b)에 위치될 때 눌리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선택록킹홈(16) 및 록킹돌기(86)에 의하여. 록킹돌기(86)가 제1내주홈(16a)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버튼홀더(80)는 눌리어질 수 있다. 그러나 버튼홀더(80)가 후방홀더(10)를 기준으로 약간 회전되어 록킹돌기(86)가 제2내주홈916b) 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버튼홀더(80)는 눌리어지지 않게 된다. 즉 버튼홀더(80)가 후방홀더(10)를 기준으로 특정 위치로 회전될 때 눌리어지는 것이다.
캡홀더(90)는, 후방홀더(10)의 끼움단(11)에 착탈 가능하게 끼어지며, 이를 위하여 입구측 내주면에는 상기 끼움단(11)의 나사돌기(15)에 나사결합되는 나사홈(95)이 형성된다.
샤프너(100)는, 캡홀더(90)의 내부 전방측에 고정되어 전방홀더(20)로부터 돌출되는 화장안료심(P)의 선단을 뾰족하게 깎는다. 이러한 샤프너(100)는 캡홀더(90) 내부 전방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화장안료심(P)의 외직경보다 작은 내직경의 돌출공을 가지는 선단몸체(101)와, 선단몸체(101)에 내주면에 형성된 커터(102)를 포함한다. 이러한 샤프너(100)는 캡홀더(90)에 고정되므로, 캡홀더(90)를 후방홀더 끼움단(11)에 나사결합시키기 위하여 회전시킬 때, 샤프너(100)는 후방홀더(10) 측으로 이동 및 회전되면서 전방홀더(20) 전방측으로 돌출된 화장안료심(P)의 선단을 뾰족하게 깎아준다.
다음, 본 발명의 푸시형 화장용 펜슬의 동작을 설명한다.
초기 상태에서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안료심(P)이 전방홀더(20)의 전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후 버튼홀더(80)의 버튼(84)을 누르게 되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홀더의 스냅링가압단(81)이 제2스냅링(50)을 가압하고, 그 제2스냅링(50)은 스프링(60)을 압축시키면서 밀대(30)의 전단부(31)가 전방홀더(20) 측으로 밀리게 한다. 이에 따라 전단부(31)는 화장안료심(P)을 전방홀더(20)에서 돌출되게 한다. 그리고 버튼(84)으로부터 손을 떼면,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60)이 팽창되면서 제2스냅링(50)은 초기 위치로 귀환되고, 제1스냅링(40)에 형성될 돌기(41)는 밀대(30)가 전방홀더(20) 반대측으로 밀리지 않게 위치 고정한다.
상기한 (a)(b)(c)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버튼(84)을 누를때마다. 화장안료심(P)은 전방홀더(20)로부터 자동으로 돌출되는 것이며, 버튼(84)의 누름 정도에 따라 화장안료심(P)의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84)을 누를 때마다 화장안료심(P)이 전방홀더(20)로부터 자동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84)의 누름 정도에 따라 화장안료심(P)의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화장안료심(P)이 전방홀더(20)에서 많이 돌출될 때 샤프너(100)는 화장안료심(P)을 뾰족하게 깎을 수 있고, 화장안료심(P)이 전방홀더(20)에서 약간만 돌출될 때 샤프너(100)는 화장안료심(P)을 뭉툭하게 깎을 수 있다. 즉 버튼(84)의 누름 정도에 따라 화장안료심(P)의 뾰족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얇은 화장 및 두꺼운 화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버튼홀더(80)가 후방홀더(10)를 기준으로 특정 위치에 있을때만 버튼홀더(80)가 눌리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평소 버튼홀더(80)가 눌리어지지 않는 위치에 있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의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눌리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링부재(70)를 채용함으로써, 시간이 지나더라도 외부공기가 화장안료심(P)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나더라도 화장안료심(P)을 초기의 촉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후방홀더 11 ... 끼움단
12 ... 제1내주홈 13 ... 제2내주홈
14 ... 턱링 15 ... 나사돌기
16 ... 선택록킹홈 16a ... 제1내주홈
16b ... 제2내주홈 16c ... 경사홈
20 ... 전방홀더 22 ... 끼움고정돌기
30 ... 밀대 31 ... 전단부
32 ... 가이드턱 40 ... 제1스냅링
41 ... 돌기 50 ... 제2스냅링
51 ... 돌기 60 ... 스프링
61 ... 양측단 62 ... 중앙단
70 ... 실링부재 71 ... 실링단
72 ... 밀착단 73 ... 끼움홈
80 ... 버튼홀더 81 ... 스냅링가압단
82 ... 가이드홈 83 ... 버튼이탈방지돌기
84 ... 버튼 86 ... 록킹돌기
90 ... 캡홀더 95 ... 나사홈
100 ... 샤프너 101 ... 선단몸체
102 ... 커터

Claims (7)

  1.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단(11)과, 전방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1내주홈(12)과, 후방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내주홈(13)과, 상기 제1,2내주홈(12)(13)의 중앙측 내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턱링(14)을 가지는 후방홀더(10);
    고형의 화장안료심(P)이 끼어져 수납되도록 전체적으로 관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상기 제1내주홈(12)에 끼어져 고정되는 끼움고정돌기(22)가 형성된 전방홀더(20);
    상기 턱링(14) 후방측의 상기 후방홀더(10)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홀더(20)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기 화장안료심(P)을 밀기 위한 전단부(31)를 가지는 밀대(30);
    상기 밀대(30)에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턱링(14)에 밀착되는 제1스냅링(40);
    상기 제1스냅링(40)과 이격되게 상기 밀대(30)에 끼어지는 제2스냅링(50);
    상기 제1,2스냅링(40)(50) 사이의 상기 밀대(30)에 끼어지는 스프링(60); 및
    상기 후방홀더(10)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스냅링(50)을 가압하는 버튼홀더(8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냅링(40)과 턱링(14) 사이에서 상기 밀대(30)에 밀착되게 끼어져, 그 턱링(14)과 밀대(3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실링부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형 화장용 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스냅링(40)(50) 각각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41)(51)가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돌기(41)(51)들이 형성하는 내직경(D1)은 상기 밀대(30)의 외직경(D2)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형 화장용 펜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70)는,
    상기 제1스냅링(40)과 턱링(14) 사이에서 상기 밀대(30)가 끼어지는 관통공이 형성된 실링단(71)과, 상기 관통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선단으로 갈수록 내직경이 좁아지면서 상기 밀대(3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단(72)과, 상기 제1스냅링(40)의 돌기(41)가 끼어지는 끼움홈(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형 화장용 펜슬.
  5. 삭제
  6.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단(11)과, 전방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1내주홈(12)과, 후방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내주홈(13)과, 상기 제1,2내주홈(12)(13)의 중앙측 내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턱링(14)을 가지는 후방홀더(10);
    고형의 화장안료심(P)이 끼어져 수납되도록 전체적으로 관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상기 제1내주홈(12)에 끼어져 고정되는 끼움고정돌기(22)가 형성된 전방홀더(20);
    상기 턱링(14) 후방측의 상기 후방홀더(10)에 끼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홀더(20) 내측으로 진입되어 상기 화장안료심(P)을 밀기 위한 전단부(31)를 가지는 밀대(30);
    상기 밀대(30)에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턱링(14)에 밀착되는 제1스냅링(40);
    상기 제1스냅링(40)과 이격되게 상기 밀대(30)에 끼어지는 제2스냅링(50);
    상기 제1,2스냅링(40)(50) 사이의 상기 밀대(30)에 끼어지는 스프링(60); 및
    상기 후방홀더(10)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스냅링(50)을 가압하는 버튼홀더(80);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홀더(80)는, 상기 후방홀더(10)의 후방측에 전후방으로 소정간격으로 제한된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스냅링(50)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스냅링가압단(81)과; 상기 밀대(30)의 가이드턱(32)이 가이드되게 끼어지는 가이드홈(82)과; 상기 버튼홀더(8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제2내주홈(13)에 끼어지는 이탈방지돌기(83)와; 상기 후방홀더(10)의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손으로 눌려지는 버튼(84);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홀더(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후단에서 제1깊이(P1)를 가지는 제1내주홈(16a) 및 제2깊이(P2)를 가지는 제2내주홈(16c)과, 상기 제1내주홈(16a)과 제2내주홈(16b)을 연결하는 경사홈(16c)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홀더(8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버튼홀더(80)가 상기 후방홀더(10)에 대하여 정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내주홈(16a)에 걸치어지거나 제2내주홈(16b)에 걸치어지는 록킹돌기(8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형 화장용 펜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단(11)의 외주면에는 나사돌기(15)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돌기(15)에 나사결합되는 나사홈(95)이 내주면에 형성된 캡홀더(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캡홀더(90)의 내부에는 그 캡홀더(90)가 상기 나사돌기(15)에 나사결합될 때 상기 화장안료심(P)의 선단을 깎는 샤프너(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형 화장용 펜슬.
KR1020160156209A 2016-11-23 2016-11-23 푸시형 화장용 펜슬 KR101749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209A KR101749085B1 (ko) 2016-11-23 2016-11-23 푸시형 화장용 펜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209A KR101749085B1 (ko) 2016-11-23 2016-11-23 푸시형 화장용 펜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085B1 true KR101749085B1 (ko) 2017-07-03

Family

ID=59357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209A KR101749085B1 (ko) 2016-11-23 2016-11-23 푸시형 화장용 펜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3342A1 (zh) * 2018-11-23 2020-05-28 共聚生化科技(昆山)有限公司 按压式液体化妆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931B1 (ko) 2006-09-28 2007-07-06 임효빈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KR101177411B1 (ko) 2011-04-20 2012-08-27 오세만 버튼 잠금수단을 갖는 펜슬형 립글루스 용기
KR101477963B1 (ko) 2014-10-02 2014-12-30 김명수 자동식 아이라이너 펜슬
KR101688507B1 (ko) * 2016-06-27 2016-12-22 (주)명신코스텍 화장용 펜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931B1 (ko) 2006-09-28 2007-07-06 임효빈 화장품 공급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KR101177411B1 (ko) 2011-04-20 2012-08-27 오세만 버튼 잠금수단을 갖는 펜슬형 립글루스 용기
KR101477963B1 (ko) 2014-10-02 2014-12-30 김명수 자동식 아이라이너 펜슬
KR101688507B1 (ko) * 2016-06-27 2016-12-22 (주)명신코스텍 화장용 펜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3342A1 (zh) * 2018-11-23 2020-05-28 共聚生化科技(昆山)有限公司 按压式液体化妆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2031B1 (en) Liquid make-up container
TWI635967B (zh) ball-point pen
US20210307486A1 (en) Nail Pen Nib
US9908362B2 (en) Liquid applying container
US10334934B2 (en) Liquid cosmetic container
US10021953B2 (en) Liquid cosmetic container
KR101477963B1 (ko) 자동식 아이라이너 펜슬
JP2013163016A (ja) 塗布具
KR101749085B1 (ko) 푸시형 화장용 펜슬
KR101688507B1 (ko) 화장용 펜슬
JP2006068297A (ja) 塗布具
CN107028328B (zh) 液状化妆品容器
KR20180134020A (ko) 대직경 화장심 푸시형 펜슬용기
US8905666B2 (en) Liquid applicator
JP6514480B2 (ja) インク充填具
JP6688335B2 (ja) 筆記具
JP2015006235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塗布具
US20200121059A1 (en) Fluid application container
US11696635B2 (en) Cosmetic container with application member
US20190344602A1 (en) Barrel assembly, writing instrument, and container
JPH0451707Y2 (ko)
JP2017177672A (ja) 芯繰出具
JP2006326903A (ja) 加圧式の筆記具
KR20010091787A (ko) 안전녹크식 필기구
JPH09135725A (ja) 化粧用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