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976B1 - 연료전지의 가스치환방법, 연료전지장치 및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의 가스치환방법, 연료전지장치 및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976B1
KR100751976B1 KR1020067012765A KR20067012765A KR100751976B1 KR 100751976 B1 KR100751976 B1 KR 100751976B1 KR 1020067012765 A KR1020067012765 A KR 1020067012765A KR 20067012765 A KR20067012765 A KR 20067012765A KR 100751976 B1 KR100751976 B1 KR 10075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fuel
switch
gas replacemen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119A (ko
Inventor
슈이치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25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during start-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31Purg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53Pressure; Flow of fuel cell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30Fuel cell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10Applications of fuel cells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연료전지를 구비한 연료전지장치에 연료 카트리지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에 의거해서 상기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이 제공된다. 이것에 의해,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전지장치에 혼입되는 연료 이외의 가스를 연료로 치환하는 간이한 가스치환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사용자가 수동으로 가스치환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고, 자동으로 가스치환이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의 가스치환방법,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GAS REPLACEMENT METHOD OF FUEL CELL, FUEL CELL SYSTEM AND DEVICE FOR FUEL CELL SYSTEM}
본 발명은 수소 등의 기체를 연료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연료전지장치의 내부를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에 의해 채우기 위해,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연료 이외의 가스를 연료로 치환하는 가스치환방법,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파괴가 문제로 되고 유해한 폐기물이 생기지 않는 청정한 에너지가 요구되고 있다. 또, 화석 연료의 고갈도 문제로 되어 새로운 에너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일렉트로닉스 분야에서는, 정보량이 증대함에 따라서, 정보처리능력이 비약적으로 확대되어 전자기기의 소비전력은 증대하는 경향에 있다.
그리고, 지구상에 무진장하게 있는 물에 함유되고, 큰 화학에너지를 지니며, 유해한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수소가 에너지원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직접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연료전지는 수소의 이용효율도 높고 대량의 전력을 끌어낼 수 있으므로, 자동차용, 및 노트북 컴퓨터, 이동전화 및 디지털 캠코더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의 응용이 진행되고 있다.
수소로부터 전기에너지를 끌어내는 소위 연료전지는 수소가 공급되는 수소전극과 산소가 공급되는 산화전극을 지니고, 수소전극에서 촉매반응에 의해 수소원자를 전자와 프로톤으로 분리하고, 프로톤은 전해질 막을 통과해서 산화전극에 도달하여 촉매반응에 의해 산소와 반응함으로써 물이 생성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전자의 흐름, 즉 전력이 생성되는 것이다.
종래의 전지와 달리, 연료전지에서는 충전할 필요가 없고, 연료를 사용한 후에는 연료를 보충하기만 하면 즉시 발전이 가능하여, 장시간의 기기 사용에 편리하다.
또, 연료전지장치 내에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전지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2-15802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연료전지는 어느 때나 어느 장소에서나 연료를 보급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끌어낼 수 있으나, 종래의 이차전지(즉, 충전지)와 달리 수소 등의 기체를 이용해야만 한다.
연료 카트리지를 교환할 때에는, 일시적으로 연료 카트리지를 연료전지장치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고, 그 경우에는 대기중의 공기가 연료전지장치에 혼입된다. 이때 연료전지의 출력이 현저하게 저하하거나, 많은 경우에는 연료전지의 반응이 정지한다. 따라서, 연료교환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연료가스로 치환하는 것은 필수이다.
또, 연료 카트리지 교환시 이외에도, 연료 가스 이외의 임의의 가스가 연료전지장치에 혼입한 때에는, 마찬가지로 가스치환이 필요해진다.
또한, 연료전지장치가 카트리지 방식이 아니라, 연료탱크를 일체적으로 갖추고 있는 경우에도, 연료전지장치 내에 연료 이외의 임의의 기체가 혼입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카트리지 혹은 연료전지장치 내에 구비된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전지장치에 혼입한 연료 이외의 가스를 연료 가스로 치환하기 위한 보다 간이한 가스치환방법,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가스치환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는 자동적인 가스치환방법,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의하면,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치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료전지를 구비한 연료전지장치에 연료 카트리지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에 의거해서 상기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은 소정 시간 동안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검출에 의거해서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퍼지 밸브(purge valve)로부터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 전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측면에 의하면,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치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면,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 전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측면에 의하면,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치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면,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 전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4측면에 의하면,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치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기기의 스위치가 온(ON) 상태로 절환되면,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전원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5측면에 의하면,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치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가 부착되어있는 기기의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절환되면,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6측면에 의하면,
연료전지;
연료 카트리지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 및
상기 연료 카트리지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한 검출에 의거해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7측면에 의하면,
연료전지;
연료 카트리지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 및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검출기가 검출하는 상기 출력전압이 제 1소정치 이하로 되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8측면에 의하면,
연료전지;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검출기가 검출하는 상기 출력전압이 제 1소정치 이하로 되면,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9측면에 의하면,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에 있어서,
연료전지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 및
상기 기기에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에 응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접속된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0측면에 의하면,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에 있어서,
연료전지와, 연료 카트리지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구비한 연료전지장치; 및
상기 기기에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에 응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접속된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1측면에 의하면,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에 있어서,
연료전지와 연료 탱크를 구비한 연료전지장치; 및
상기 기기에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에 응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의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에 의하면, 연료 카트리지 혹은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전지에 혼입되는 연료 이외의 가스를 연료 가스로 보다 용이하게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사용자가 수동으로 가스치환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고, 자동으로 가스치환이 수행될 수 있어, 연료전지가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도면과 관련해서 취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연료전지장치의 주요부분의 중앙단면도;
도 2는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 카트리지의 외관을 표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연료 카트리지 부분을 표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는 순서도를 표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는 순서도를 표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는 순서도를 표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는 순서도를 표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장치를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표시한 개략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 및 하부면을 표시한 개략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디지털 카메라에 본 발명의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 카트리지를 부착한 상태를 표시한 모식도.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연료전지의 가스치환방법은, 연료전지를 구비한 연료전지장치에 연료 카트리지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에 의거해서 상기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연료전지의 가스치환방법은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면,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의 가스치환방법은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치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면,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이다.
또, 본 발명의 연료전지의 가스치환방법은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치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기기의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절환되면,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전지의 가스치환방법은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치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가 부착되어있는 기기의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절환되면,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의 상기 가스치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의 연료전지의 출력 전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연료 카트리지가 연료전지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출해서, 자동으로 가스치환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연료전지의 출력을 검출해서, 소정의 전압이 발생되고 있지 않을 때는 가스치환을 행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캠코더 등의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과 동기해서 가스치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가스치환을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메인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과 동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메인 스위치는 대부분의 기기에 있어서는 주전원 스위치일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표시한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 카트리지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중앙 단면도이다. 도 2는 연료전지장치(1)와 연료 카트리지(2)가 서로 접속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연료전지장치(1)는 휴대용 전자기기,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다. 연료전지장치(1)는 상기 휴대용 기기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연료 카트리지(2)는 디지털 카메라의 외부로부터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은 연료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3)은 카트리지 케이스를 나타내며, 압축수소가 충전되어 있거나, 혹은 수소흡장합금, 예를 들면, Fe-Ti 합금 및 Ti-Mn 합금 등에 수소를 흡장시키는 구성을 지니고 있어도 된다. (3a)는 후술하는 커버 부재, (4b)는 밸브의 돌출부이다.
도 1에 있어서, (6)은 연료전지장치의 케이스이다. (6a)는 오목부(즉, 오목부(6a)는 연료 카트리지의 접속부가 접속되는 연료전지장치 쪽의 접속부임)로, 이 접속부 속에 연료 카트리지의 접속부가 삽입된다. (3a)는 밸브(4)의 볼록부(4b)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볼록부(4b)보다 돌출부가 크게 되어 있는 커버부재이다. 밸브(4)의 원추면(4a)은 연료 카트리지의 원추면(3b)과 접촉해서 연료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5)는 연료 카트리지 내의 부재(도시생략)에 도면에서의 오른쪽 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왼쪽 단부는 밸브(4)의 밑면(4c)을 누르도록 되어 있는 압축 스프링이다. 즉, 수소가스압과 압축 스프링(5)의 힘에 의해, 원추면(3b)과 (4a)이 서로 접촉해서 수소가스가 연료 카트리지 밖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의 밸브(4) 및 커버부재(3a)는 어린이의 손가락에 비해서 작게 만들어져, 커버부재의 구멍(3c) 내의 밸브(4)의 볼록부(4b)에 어린이의 손가락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와 같은 그러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6a)는 내부에 V자형 홈(6c)이 형성되고, 그 안에 시일(seal) 부재인 O링(7)이 배치되어 있는 오목부이다. (3g)는 커버부재(3a)에 설치된 나사부이다.
다음에, 도 1에 의거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연료 카트리지(2)가 삽입되면, 커버부재(3a)의 선단부에 형성된 모서리 깎은 부분(3e)이 시일 부재(7)와 맞닿아, 시일 부재(7)를 압축하면서 커버부재(3a)가 도 1중 왼쪽방향으로 이동한다. 시일 부재(7)는 커버부재(3a)의 외면(3d)과 밀착해서 연료 유로를 기밀하게 한다.
(6d)는 오목부(6a)에 설치된 나사부이다. 시일 부재(7)가 오목부(6a)와 커버부재(3a)에 의해서 압축되어 연료유로의 기밀이 확보된 후, 나사(3g)와 (6d)가 서로 맞물려 연료 카트리지의 케이스(3)를 연료전지장치의 케이스(6) 속으로 나사 고정함으로써, 밸브(4)와 핀(8)이 서로 맞닿아 연료가스압 및 압축스프링(5)의 힘에 대항해서 연료 카트리지(2)가 더욱 오목부(6a)에 삽입되므로, 원추면(3b), (4a) 간의 접촉이 해방되어 연료 카트리지의 케이스(3) 내부로부터 수소가스가 연료전지장치(1)에 공급된다.
연료 카트리지의 케이스(3)의 면(3f)과 연료전지장치의 케이스(6)의 면(6b)이 서로 맞닿아서 삽입이 종료되고, 연료전지장치(1)와 연료 카트리지(2)는 서로 고정된다.
(9)는 원반 형상을 지니고, 외주부(9a)가 레귤레이터(regulator) 본체의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있는 다이아프램(diaphragm)이다. 케이스(10)는 케이스(6) 내부의 고정 부재(도시생략)에 고정되어 있다. 다이아프램(9)은 중앙의 평면부(9b)에 핀(8)이 고정되고, 동심원 형상으로 파형의 요철이 형성되고, 스프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도면 중 오른쪽의 수소압력과 케이스(10) 내부의 가스압을 받 고 있다. 또, 다이아프램(9)은 상기 수소가스압력의 변화에 의해 자유롭게 도면 중 좌우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되어 있다.
핀(8)의 도면 중 오른쪽 단부는 구면(8a)으로 되어 있고, 밸브(4)의 볼록부(4b)와 맞닿도록 되어 있다. (11)은 일단부가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가 핀이 고정되어 있는 다이아프램(9)의 평면부(9b)의 핀과는 반대쪽의 면에 고정되어 있는 압축스프링이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연료 카트리지의 케이스(3)가 삽입되고, 나사부(3g), (6d)가 서로 맞물려 나사 고정되어 있고, 면(3f)과 (6b)이 서로 맞닿으면, 연료 카트리지 내부의 수소가스압과 압축 스프링(5)은 도면 중 왼쪽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킨다. 다이아프램의 케이스(10) 내부의 가스압과 압축스프링(11)은 도면 중 오른쪽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킨다. 연료전지장치의 케이스(6) 내부의 가스압은 다이아프램(9)에 대해서 도면 중 왼쪽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킨다. 이들 힘의 합력에 의해 핀(8) 및 밸브(4)의 위치가 결정된다. 즉, 연료전지장치의 케이스(6) 내의 수소가스압이 소정의 값으로 되어 있을 때에, 밸브(4)의 원추면(4a)과 연료 카트리지의 원추면(3b)이 맞닿아, 연료 카트리지 쪽으로부터 연료전지 본체 쪽에의 수소가스의 유입은 정지된다.
연료전지 반응의 발전 동안에 수소가스가 소비되면, 연료전지장치의 케이스(6) 내부의 수소가스압이 저하되므로, 다이아프램(9)이 도면 중 오른쪽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 결과, 핀(8)이 밸브(4)를 도면 중 오른쪽 방향으로 눌러서 변위시켜 원추면(4a)과 (3b)의 접촉이 해제되어 연료 카트리지의 케이스(3) 내부의 수소 가스가 연료전지장치 쪽에 유입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의 외주부는 레귤레이터의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있고, 따라서, 주위의 기압의 영향을 받는 일이 없다. 그러므로, 레귤레이터의 케이스(10) 내부의 가스압 및 압축 스프링(11)의 힘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소망의 수소가스압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본 실시형태에 표시된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레귤레이터의 케이스(10) 내부의 가스압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만으로 소망의 수소가스압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12)는 연료 카트리지가 연료전지장치 쪽의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본 예에서는, (12)는 마이크로스위치이고, 연료 카트리지가 연료전지장치에 고정되기 직전에 온 상태로 절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13)은 가스치환을 행하는 퍼지밸브이고, 원추면(13a)이 연료전지장치의 케이스(6)에 형성된 원추면(6e)과 맞닿도록 되어 있다. (14)는 퍼지밸브(13)를 도면 중 위쪽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압축스프링이다. 압축 스프링(14)에 의해 원추면(13a), (6e)은 항상 서로 접촉을 유지하므로, 연료전지장치 내의 가스는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다. (15)는 전자석이다. 2개의 리드선(15b)을 통전시킴으로써, 플런저(15a)가 압축스프링(14)의 힘에 대항해서 도면 중 아래쪽 방향으로 변위되어 원추면(13a), (6e) 간의 접촉을 해제하므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유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도이다.
도면 중, (12)는 도 1에 표시한 스위치이고, (15)는 도 1에 표시한 전자석이다. (16)은 연료전지장치 본체가 배치되는 기기,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의 내부에 있는 제어수단으로서의 마이크로컴퓨터이고, (17)은 디지털 카메라의 메인 스위치이다. (18)은 연료전지의 기동 등에 사용되는 디지털 카메라 내의 전원이다. (19)는 연료전지 출력전압 검출부이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연료 카트리지를 부착한 때에는 연료전지장치의 케이스(6)의 구멍(6a)으로부터 대기가 혼입된다. 이 상태에서는, 연료전지의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다. 연료 카트리지의 부착완료 직전에 스위치(12)가 온 상태로 절환되어,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16)에 입력된다. 마이크로컴퓨터(16)는 소정 시간 전자석(15)을 통전시켜 퍼지 밸브(13)를 개방시킴으로써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가 외부에 방출되어,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압력이 저하하며, 따라서,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가스가 공급되고, 그 결과로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가 연료가스로 치환된다. 이 경우, 주의해야할 점은 대기압보다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압이 높지 않으면 가스의 치환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고, 대신에 대기가 혼입될 것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압은 반드시 대기압보다 높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또,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퍼지 밸브에 의해 대기로 퍼지하는 대신에, 예를 들면, 회수용의 탱크에 의해 회수해도 된다.
도 5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순서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4 중의 디지털 카메라의 메인스위치(17)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에도, 마이크로컴퓨터(16)는 작동해서, 연료 카트리지의 탈착의 검출을 행한다.
마이크로컴퓨터(16)는 스위치(12)의 상태를 검출하고(101), 온 상태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16)는 루프(loop)를 행하여 스위치(12)의 검출을 계속한다.
마이크로컴퓨터(16)가 스위치(12)의 오프 상태를 검출하면(101), 스위치(12)가 온 상태로 될 때까지 루프해서 검출을 계속한다(102). 스위치(12)의 온 상태의 절환은 연료 카트리지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프로그램은 다음의 스텝으로 진행해서, 전자석이 소정 시간 통전되어(103), 가스의 치환을 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의 조작을 행하는 일없이, 자동으로 가스치환이 행해진다. 다음에, 프로그램은 개시로 복귀하고, 이상의 동작을 반복한다.
도 6은 별도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표시한 순서도에 도 4에 표시한 연료전지 출력 검출부(19)의 동작이 가해진 것이다. 도 5의 순서도에서 프로그램이 스텝(103)까지 진행한 후, 연료전지 출력전압 검출부(19)가 전압을 검출하여(104), 전압이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는, 가스치환이 불충분한 것으로 판단해서 스텝(103)으로 복귀하여, 전자석(15)이 소정 시간 통전되고, 퍼지밸브가 개방되어 가스치환이 행해진다. 상기 전압이 소정치 이상인 것으로 검출되면(104), 일련의 동작을 종료하고, 프로그램은 개시로 복귀하여 순서도의 동작을 계속한다.
또, 상기 도 5 및 도 6의 순서도의 동작은 디지털 카메라 메인 스위치(17)가 온 상태일 때만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 내 전원(18)의 소비가 삭감될 수 있다.
다음에,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포함된 디지털 카메 라는 메인 스위치(17)가 온 상태일 때, 연료전지 출력전압 검출부(19)에서 전압을 검출하고 있고, 해당 전압이 제 1소정치 이하로 되면, 퍼지밸브(13)를 소정 시간 개방하여 가스치환을 행한다.
혹은, 연료전지 출력전압 검출부(19)에서 검출되는 전압이 제 2의 소정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퍼지밸브(13)를 개방한다.
또, 이들 제 1소정치 및 제 2소정치는 연료전지의 특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하면 되고, 그 특성에 따라서 다른 값으로 해도 되고, 또는 같은 값으로 해도 된다.
도 7은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순서도를 기초로 해서 설명을 행한다. 디지털 카메라 작동시, 항상 혹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연료전지 출력전압 검출부(19)에 의해 전압을 검출하고, 해당 전압이 소정치 이하보다 작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01). 전압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는 해당 전압검출을 계속한다. 전압이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다음 스텝으로 진행하여 전자석(15)이 소정시간 통전되고(202), 이에 따라, 퍼지밸브(13)가 개방되어 가스치환이 행해진다. 그 후, 연료전지 출력전압 검출부(19)에서 전압을 검출하여 해당 전압이 소정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03). 전압이 소정치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는, 가스교환이 불충분하므로, 프로그램은 스텝(202)로 되돌아가, 전자석(15)이 소정시간 통전되고, 가스치환이 행해진다. 그 후, 해당 전압이 소정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203), 해당 전압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프로그램은 개시로 복귀하여, 마찬가지 수순이 반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하는 일 없이, 연료전지를 안정시켜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더욱 별도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지틀 카메라의 메인 스위치(17)가 온 상태로 절환되면 반드시 전자석(15)이 소정 시간 통전되고, 이에 따라, 퍼지밸브(13)가 개방되어 가스교환이 행해진다.
도 8은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순서도에 의거해서 설명을 행한다. 디지털 카메라 메인 스위치(17)가 온 상태로 절환되면(301), 전자석(15)이 소정 시간 통전되고(302), 퍼지밸브(13)가 개방되고, 이에 따라, 가스치환이 행해진다. 그 후, 연료전지 출력전압 검출부(19)에서 전압을 검출하여, 해당 전압이 소정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03). 전압이 소정치 미만인 경우에는, 가스교환이 불충분하므로, 프로그램은 스텝(302)로 되돌아가, 전자석(15)이 소정 시간 통전되고, 가스치환이 행해진다. 그 후, 해당 전압이 소정치 이상인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303), 전압이 소정치 이상이면 수순이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의식하는 일없이, 연료전지가 정상으로 작동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드시 연료전지 출력전압의 검출을 행하지 않고, 전자석(15)을 단지 소정시간 통전해도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연료전지장치를 사용하는 기기의 일례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중, (91)은 카메라 본체, (92)는 촬영 렌즈, (93)은 도 4에 표시한 디지털 카메라 메인 스위치(17)와 연동하고 있는 메인 스위치이다.
도 10은 도 9에 표시한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 및 밑면을 나타낸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표시된 디지털 카메라에 본 발명의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전지 카트리지를 부착한 상태를 표시한 모식도이다. (95)는 부착부(96)의 덮개, (96)은 연료전지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부착부("전지수용실"이라고도 칭함), (97)은 디지털 카메라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그리고 (98)은 디지털 카메라의 뷰파인더용 및 촬영상의 관람용 등을 위한 액정화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스치환동작에 동기하는 스위치로서 메인 스위치(93)를 예로서 들고 있으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기 쪽에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을 조작하는 점에 있어서는 메인 스위치(93) 이외의 조작 스위치(97)이어도 된다. 즉, 기기 쪽의 조작 스위치(97)의 조작에 의해 가스치환을 제어해도 된다. 물론, 기기의 전원 스위치 등의 메인 스위치를 가스치환에 동기하도록 하면, 기기를 사용할 때에 메인 스위치는 최초에 조작되는 스위치인 경우가 많으므로, 보다 간이하게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가스치환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고, 자동으로 가스치환하여, 연료전지를 기동시키는 일이 가능한 점에서 가스치환동작에 동기하는 스위치를 메인스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예에서는, 연료 카트리지식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연료 카트리지 대신에, 연료전지장치가 연료 탱크를 일체적으로 갖추고 있는 경우에도 적절하게 적용가능하다. 즉,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에 따라서 가스치환을 행하거나 기기 쪽의 스위치(특히 메인 스위치)의 온-절환에 대응해서 가스치환을 행하거나 해도 된다.
또, 본 예에서는 디지털 카메라에 설치된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스치환을 위한 제어수단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연료전지장치 쪽에 제어수단을 설치하고 그 제어수단에 의해 가스치환을 제어해도 된다.
연료전지의 가스치환방법, 연료전지장치 및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에 의하면, 연료 카트리지 혹은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전지에 혼입되는 연료 이외의 가스를 연료 가스로 보다 용이하게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사용자가 수동으로 가스치환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고, 자동으로 가스치환이 수행될 수 있어, 연료전지가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나, 노트북 컴퓨터, 휴대전화 및 디지털 캠코더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연료전지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3년 12월 2일자로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 2003-402841호를 우선권 주장하여 출원하는 것이며, 상기 일본국 특허출원의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Claims (67)

  1.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치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료전지를 구비한 연료전지장치에 연료 카트리지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에 의거해서 상기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은 소정 시간 동안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에 의거해서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퍼지 밸브(purge valve)를 통해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 전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5.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치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면,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 전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은 소정 시간 동안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면,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퍼지밸브를 통해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9.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치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면,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탱크로부 터 연료를 공급해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은 소정 시간 동안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면,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퍼지 밸브를 통해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 전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13.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치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기기의 스위치가 온(ON) 상태로 절환되면,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메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전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메인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전원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은 소정 시간 동안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퍼지 밸브를 통해 상기 연료 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21.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치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가 부착되어있는 기기의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절환되면,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메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전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메인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전원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2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은 소정 시간 동안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28.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설치된 퍼지 밸브를 통해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에 부착된 연료전지장치의 가스치환방법.
  29. 연료전지;
    연료 카트리지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 및
    상기 연료 카트리지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한 검출에 의거해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은 상기 연료전지장치가 부착되는 기기에 구비된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센서에 의한 검출에 의거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31. 제 29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센서에 의한 검출에 의거해서 가스치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32.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은 소정 시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33. 제 29항에 있어서, 퍼지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퍼지밸브는 상기 검출에 의거해서 개방되어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34.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치환은 상기 전압검출기가 검출하는 상기 출력전압이 소정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35. 연료전지;
    연료 카트리지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 및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검출기가 검출하는 상기 출력전압이 제 1소정치 이하로 되면,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은 상기 연료전지장치가 부착되는 기기에 구비된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센서에 의한 검출에 의거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37. 제 35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치환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센서에 의한 검출에 의거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38.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의 개시 후, 상기 가스치환은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이 제 2소정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39.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은 소정 시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40. 제 35항에 있어서, 퍼지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퍼지밸브는 상기 출력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면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41. 연료전지;
    연료 탱크; 및
    상기 연료전지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검출기가 검출하는 상기 출력전압이 제 1소정치 이하로 되면, 상기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은 상기 연료전지장치가 부착되는 기기에 구비된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센서에 의한 검출에 의거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43. 제 4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치환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센서에 의한 검출에 의거해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44.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의 개시 후, 상기 가스치환은 상기 연료전 지의 출력전압이 제 2소정치 이상으로 될 때까지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45.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치환은 소정 시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46. 제 41항에 있어서, 퍼지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퍼지밸브는 상기 출력전압이 소정치 이하로 되면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
  47.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에 있어서,
    연료전지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 및
    상기 기기에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에 응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접속된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48. 제 47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에 의거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접속된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49.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에 의거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접속된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50.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메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51.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전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52.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메인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53.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전원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54.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에 있어서,
    연료전지와, 연료 카트리지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구비한 연료전지장치; 및
    상기 기기에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에 응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접속된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55. 제 54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에 의거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접속된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56.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는 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에 의거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에 접속된 연료 카트리지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57.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메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58.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전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59.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메인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60.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전원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61.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에 있어서,
    연료전지와 연료 탱크를 구비한 연료전지장치; 및
    상기 기기에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에 응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의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62. 제 6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에 의거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의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63.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로의 절환에 의거해서 상기 연료전지장치의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시켜, 상기 연료전지장치 내부의 가스치환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64.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메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65.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전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66.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메인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67.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기기의 전원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KR1020067012765A 2003-12-02 2004-12-02 연료전지의 가스치환방법, 연료전지장치 및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KR100751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2841 2003-12-02
JPJP-P-2003-00402841 2003-12-02
PCT/JP2004/018337 WO2005055353A1 (en) 2003-12-02 2004-12-02 Gas replacement method of fuel cell, fuel cell system and device for fuel cel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119A KR20060096119A (ko) 2006-09-06
KR100751976B1 true KR100751976B1 (ko) 2007-08-28

Family

ID=3465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765A KR100751976B1 (ko) 2003-12-02 2004-12-02 연료전지의 가스치환방법, 연료전지장치 및연료전지장치용의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426080B2 (ko)
EP (1) EP1692738A4 (ko)
JP (1) JP2005191001A (ko)
KR (1) KR100751976B1 (ko)
CN (2) CN100590918C (ko)
WO (1) WO2005055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969B1 (ko) 2005-05-13 2010-10-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기기, 그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 및 전자기기를작동시키는 전지
US9005785B2 (en) * 2007-09-24 2015-04-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pen-loop system and method for fuel cell stack start-up with low-voltage source
JP4359856B2 (ja) * 2007-12-11 2009-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移動体
CN113555585B (zh) * 2021-06-15 2022-08-30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燃料电池汽车的燃料气体置换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645B2 (ja) 1998-01-30 2004-06-14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燃料電池の運転制御方法
US6242120B1 (en) 1999-10-06 2001-06-05 Idatech, Ll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fuel cell purge cycles
JP3685039B2 (ja) * 2000-10-31 2005-08-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システム
JP4655355B2 (ja) * 2000-11-20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発電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水素カートリッジ
JP3879429B2 (ja) * 2001-04-12 2007-02-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US6815101B2 (en) * 2001-07-25 2004-11-09 Ballard Power Systems Inc. Fuel cell ambient environment monitoring an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2003142131A (ja) 2001-08-23 2003-05-16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の排出水素処理装置
JP2003123817A (ja) 2001-10-16 2003-04-25 Sony Corp コネクタ機構
US6828049B2 (en) * 2001-10-29 2004-1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placeable fuel cell apparatus having information storage device
US6924054B2 (en) * 2001-10-29 2005-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el supply for a fuel cell
JP3622720B2 (ja) * 2001-12-04 2005-02-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3601516B2 (ja) * 2002-01-29 2004-12-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4119027A (ja) 2002-09-24 2004-04-15 Canon Inc 燃料電池用の燃料供給装置、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用の燃料供給システム
US6989210B2 (en) 2003-04-23 2006-01-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uel cartridge with thermo-degradable barrier system
US7897292B2 (en) * 2005-05-18 2011-03-01 Lilliputian Systems, Inc. Fuel cell apparatu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02980A1 (en) 2013-08-08
WO2005055353A1 (en) 2005-06-16
EP1692738A1 (en) 2006-08-23
JP2005191001A (ja) 2005-07-14
KR20060096119A (ko) 2006-09-06
CN100590918C (zh) 2010-02-17
US8426080B2 (en) 2013-04-23
US20070099036A1 (en) 2007-05-03
CN101232102A (zh) 2008-07-30
EP1692738A4 (en) 2010-01-20
CN1890831A (zh)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1333C (zh) 发电型电源和电子设备
KR20040022199A (ko) 수소 발생 장치 및 수소 발생 방법
US20080007200A1 (en) Power source system
JP2007035605A (ja) 電子機器
US20130202980A1 (en) Device for fuel cell system
US20050255361A1 (en)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ing method of fuel cell
WO2005093886A1 (en) Fuel supply device and fuel cell
JP5050354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TWI231618B (en) Module and fuel package
US20060110635A1 (en) Fuel cell system, gas replacement method for fuel cell system, and device for fuel cell system
JP4561030B2 (ja) 電子機器
JP2006278270A (ja) 燃料供給用カートリッジ及び燃料電池式携帯機器用置き台
US20080180565A1 (en) Electronic equipment system with fuel cells
JP2004288575A (ja) 携帯機器用燃料電池電源システムとその駆動方法
JP2006164957A (ja) 燃料電池装置、燃料電池装置のガス置換方法および燃料電池装置用の機器
JP5192639B2 (ja) 燃料電池内蔵型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071911A (ja) 燃料電池搭載機器
JPWO2007116693A1 (ja) 電子機器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4858180B2 (ja) 発電型電源及び電子機器
JP551728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003137B2 (ja) 発電モジュール
JP2005267893A (ja) 燃料電池用燃料供給装置および燃料電池
JP2007294293A (ja) 燃料電池装置
JP2007073319A (ja) 表示装置に搭載した燃料電池カートリッジの取り外し方法、取り外し装置、及び、取り外しのための操作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