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644B1 -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644B1
KR100751644B1 KR1020060055651A KR20060055651A KR100751644B1 KR 100751644 B1 KR100751644 B1 KR 100751644B1 KR 1020060055651 A KR1020060055651 A KR 1020060055651A KR 20060055651 A KR20060055651 A KR 20060055651A KR 100751644 B1 KR100751644 B1 KR 100751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assing
sealing device
coupled
ba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천수
Original Assignee
함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천수 filed Critical 함천수
Priority to KR102006005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 being arranged for insertion into, and withdrawal from, the mouth of a filled container and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means for sealing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65B35/205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linked to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 전면 내측에 장착되어 2단계로 작동되는 엑츄에이터와, 전면 돌출부 및 상향 돌출부 각각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내면에 만곡점이 형성되는 삿갓구조로 내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만곡점 하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요홈 및 상기 요홈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가이드부의 후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도로로 이루어지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후면 하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전면 돌출부에 핀 결합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이 전방으로 일정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판의 후면 상단부 및 상기 고정판의 상향 돌출부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수단과,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판의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걸림핀이 구비되며 양단 각각은 상기 엑츄에이터 및 가압수단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압박바를 가열수단에 밀착시키는 당김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밀봉장치, 엑츄에이터, 가이드판, 고정판, 당김쇠, 탈기노즐, 회동바, 작업대

Description

밀봉장치{Seal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의 주요 부분 결합 관계도.
도 2a 내지 도 2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의 작동 순서도.
도 3a 내지 도 3d 각각은 도 2a 내지 도 2d 각각에 있어서 주요 부분의 상세 작동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에 장착되는 탈기수단의 구성도.
도 4b는 도 4a의 슬라이드부 상세도.
도 5a 내지 도 5e 각각은 탈기수단의 작동 순서도.
도 6a 내지 도 6d 각각은 본 발명에 따라 탈기수단이 구비되는 밀봉장치의 작동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에 장착되는 탈기수단의 다른 구성도.
도 8a 및 도 8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에 장착되는 작업대의 외관도 및 내부 결합 관계도.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에 작업대를 장착한 측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10 : 가열수단
120 : 가압수단 130 : 엑츄에이터
140 : 고정판 150 : 가이드판
160 : 탄성수단 170 : 당김쇠
210 : 회동수단 220 : 회동바
230 : 가로바 240 : 판스프링
250 : 탈기노즐 260 : 탈기호스
300 : 작업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6509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89428호
본 발명은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단계로 작동되는 엑츄에이터를 이용하여 포장지 내부에 대한 탈기작업과 포장지 개봉부에 대한 밀봉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포장지 내부에 대한 탈기작업을 수행하는 탈기노즐의 전후진 운동을 회동수단의 1회전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밀봉장치는 음식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신선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포장지의 내부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개봉된 일면을 열 융착 등의 방법으로 밀봉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밀봉장치는, 종래 단순히 포장지를 밀봉시키던 장치에서 벗어나, 더욱 오랜 시간 동안 내용물의 맛과 향을 보관할 수 있도록 포장지 내부를 진공상태로 밀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89428호가 이러한 기술의 일례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89428호는, 내용물을 수용하고 있는 포장지 내부에 탈기노즐이 삽입되면, 압박바가 하강하여 포장지의 개봉 단부를 가열수단에 밀착시킨 다음 포장지 내부에 대한 탈기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탈기노즐에 의해 포장지 내부의 탈기작업이 완료되면 탈기노즐은 후퇴하여 포장지로부터 분리되고, 이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가열수단이 포장지 개봉 단부에 순간적으로 열을 가하면서 포장지 개봉 단부에 대한 밀봉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 기술은 포장지의 내부에 탈기노즐이 삽입된 상태로 압박바에 의해 압박되고, 바로 그 상태에서 탈기노즐이 후퇴하면서 가열수단에 의해 밀봉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포장지의 개봉 단부 중 탈기노즐이 위치하는 부분은 완전하게 압박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밀봉작업이 수행되는 문제가 있다. 즉, 탈기작업을 아무리 완전하게 수행하더라도 탈기노즐이 후퇴하는 과정에서 일정양의 공기가 포장지 내부로 역류하여 유입됨에 따라 내용물이 변질될 수 있는 소지를 항상 안고 있는 것이다.
한편, 탈기노즐이 장착되어 있는 밀봉장치에서 탈기노즐의 슬라이드 운동은 가스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하는 실린더 방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기어를 이용하는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89428호는 전자의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가스압 또는 공기압 실린더를 이용하는 방식은 크게 별도의 실린더를 장치 내부에 장착하는 방식과 외부 실린더 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탈기노즐의 정밀한 슬라이드 운동을 제공해주는 장점은 있다. 그러나, 별도의 실린더를 이용하는 방식은 별도의 실린더를 준비하여 이를 밀봉장치에 장착해야 한다는 점에서 밀봉장치의 자체 가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으며, 비교적 대형인 외부 실린더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밀봉장치를 외부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는 근방에서만 작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작업장 내에서 밀봉장치의 이동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더욱이, 실린더를 이용하는 방식은 가스 또는 공기의 배출시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도 있다.
밀봉장치의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65095호는 기어를 이용하는 후자의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데, 이 방식은 비교적 장치가 단순하기 때문에 밀봉장치의 가격 경쟁력이 담보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탈기된 포장지 내부로 공기가 역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탈기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탈기노즐을 가능한 짧은 시간 이내에 일정 거리만큼 후진시켜야 하는데, 탈기노즐을 일정 거리만큼 후진시키기 위해서는 구동수단으로 사용되는 모터를 그만큼 많이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기어 상호간의 치합 운동 과정에서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탈기작업이 완료된 포장지의 개봉 단부를 완전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밀봉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밀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소음 및 진동 없이 탈기노즐을 짧은 시간에 정밀하게 슬라이드 운동시킬 수 있는 밀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기작업 및 밀봉작업이 완료된 포장지를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밀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 상면에 안치되는 포장지의 개봉부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바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수단과, 포장지 내부에 대한 탈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탈기팬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전후진 운동하는 탈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밀봉장치로서, 상기 몸체 전면 내측에 장착되어 2단계로 작동되는 엑츄에이터와, 전면 돌출부 및 상향 돌출부 각각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내면에 만곡점이 형성되는 삿갓구조로 내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만곡점 하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요홈 및 상기 요홈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가이드부의 후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도로로 이루어지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후면 하단부가 상기 고정판의 전면 돌출부에 핀 결합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이 전방으로 일정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판의 후면 상단부 및 상기 고정판의 상향 돌출부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수단과,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판의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걸림핀이 구비되며 양단 각각은 상기 엑츄에이터 및 가압수단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압박바를 상기 가열수단에 밀 착시키는 당김쇠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밀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가이드부에 구비되는 유도로 일측에는, 상기 당김쇠의 걸림핀이 상기 유도로를 따라 일 방향으로만 운동할 수 있도록 핀 결합되는 스톱퍼가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판은 각각에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가 구비되는 한 쌍을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의 전면 하단부는 상기 당김쇠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장공을 통해 상기 고정판의 전면 돌출부에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기수단은, 상기 몸체의 후면 내측에 장착되는 회동수단과, 회동절이 구비되며 상기 회동수단의 축에 일단이 결합되는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바의 회동운동에 따라 전후진 운동하는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에 장착되는 탈기노즐과, 일단은 상기 탈기노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탈기팬에 연결되는 탈기호스와, 상기 가로바의 전후진 운동 거리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의 상면에 돌출 구비되는 제1감지부 및 제2감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기노즐은 판스프링에 매개되어 상기 가로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구동축에 의해 결합되는 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연동 스프라켓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 및 연동 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이 내장되는 몸체와, 상기 체인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와 함께 운동하는 한 쌍의 이송판과, 상기 체인 상부에 밀착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작업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작업대가 더욱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무관하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는 기본적으로, 몸체(100)와, 탈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포장지의 개봉 단부를 압박하고 탈기가 완료된 포장지의 개봉 단부를 밀봉시키는 가압수단(120) 및 가열수단(110)과, 엑츄에이터(130)를 포함하여 가압수단(120)을 가열수단(110)에 밀착시키는 작동장치와, 탈기노즐(250) 및 탈기팬(290)을 포함하여 내용물을 수용하고 있는 포장지의 내부 공기를 탈기시키는 탈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를 내장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며, 장착되는 각종 장치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기능한다.
상기 가압수단(120)은 포장지의 개봉 단부를 압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탄성수단(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압수단(120)의 저면에는 기밀부재로서의 압박바(122)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수단(110)은 가압수단(120)에 의해 압박되고 있는 포장지의 개봉 단부를 내장된 열선(미도시)을 이용하여 밀봉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몸체(10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수단(120) 및 가열수단(110)의 장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압수단(120)의 작동장치는 가압수단(120)을 가열수단(110)에 적절하게 밀착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2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엑츄에이터(130), 그리고 도 1에 상세하게 개시된 것과 같은 고정판(140) 및 가이드판(150)과, 당김쇠(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엑츄에이터(130)는 가압수단(120)이 하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몸체(100)의 전면 내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엑츄에이터(130)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수직 하방 방향으로 2단계로 작동되기만 하면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종류에 제한이 없다.
상기 고정판(140)은 후술할 가이드판(150)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전면 돌출부(142)와, 상기 전면 돌출부(142)와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향 돌출부(14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140)은 몸체(100)의 상면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판(140)은 가이드판(150)을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다면 그 구조 및 형상에 제한이 없으나,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 쌍을 상호 대향하도록 결합시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판(150)은 후술할 당김쇠(170)의 걸림핀(172) 운동을 가이드 하 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이드부는 내면에 만곡점(152)이 형성되는 삿갓구조(151)로 이루어져 내측 상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이드부는, 제1가이드부의 만곡점(152) 하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요홈(155)과, 상기 요홈(155)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가이드부의 후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유도로(15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김쇠(170)의 걸림핀(172)은, 삿갓구조로 이루어지는 제1가이드부의 전방 외주면 및 만곡점을 거쳐, 제2가이드부의 요홈 및 유도로를 순차적으로 진행한 다음, 제1가이드부의 삿갓구조의 후방 외주면을 거쳐 원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판(150)은, 각 구성요소를 별개로 제작하여 이를 결합시켜 구성할 수도 있으나, 각각에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가 구비되는 한 쌍을 상호 대향한 상태로 결합시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판(150)의 후면 하단부는 고정판(140)의 전면 돌출부(142)에 핀으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판(150)의 전면 하단부는 상기 당김쇠(170)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장공(176)을 통해 상기 고정판(140)의 전면 돌출부(142)에 핀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150)이 전방으로 일정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판(150)의 후면 상단부 및 상기 고정판(140)의 상향 돌출부(146) 사이에는 탄성수단(160)을 매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가이드부에 구비되는 유도로(156)의 일측에는 당김쇠(170)의 걸림핀(172)이 상기 유도로(156)를 따라 일 방향으로만 운동할 수 있도록 고정핀(158)에 결합되는 스톱 퍼(157)가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톱퍼(157)가 전방으로 일정한 복원력을 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톱퍼(157)가 스프링(159)에 의해 매개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데, 이처럼 스톱퍼(157)가 스프링(159)에 의해 매개되면 스톱퍼(157)는 항상 삿갓구조(151)의 후단 상부에 걸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걸림핀(172)이 스톱퍼(157)를 밀치고 지나가더라도 원래 위치로 용이하게 복원됨에 따라 걸림핀(172)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되는 것이다. 스프링(159)은 개시된 것과 같이 일단이 고정핀(158)에 결합되며, 단부가 꺽여 형성되는 타단은 가이드판 상부에 형성되는 홀(도면부호 미도시)를 관통하여 스톱퍼(157)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홈(도면부호 미도시)에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김쇠(170)는 수직 하방으로 운동하는 엑츄에이터(130)의 동력을 가압수단(120)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양단 각각은 가압수단(120) 및 엑츄에이터(13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당김쇠(170)의 중앙 측면에는 가이드판(150)의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운동하는 걸림핀(17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당김쇠(170)의 하면에는 장공(176)이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어, 가이드판(150)의 전면 하단부가 상기 장공(176)을 통해 고정판(140)의 전면 돌출부(142)에 핀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밀봉장치에 특정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탈기수단이 장착되는 경우를 제안하는데, 구체적으로 도 2a와 도 4a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 다. 밀봉장치에 장착되는 탈기수단(200)은 기본적으로, 회동수단(210)과, 회동바(220) 및 가로바(230)와, 탈기노즐(250) 및 탈기팬(2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수단(210)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통상의 모터로서, 몸체(100)의 후면 내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바(220) 및 가로바(230)는 회동수단(21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수단으로서, 상기 회동바(220)는 회동절(224)이 구비되며 양단 각각이 회동수단(210)의 축 및 회동절(224)에 결합되는 제1회동바(222)와 일단이 회동절(224)에 결합되는 제2회동바(22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바(230)는 전체적인 형상이 ㄷ 자로 이루어져 제2회동바(226)의 타단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동절(224)을 중심으로 한 회동바(220)의 회전 운동은 가로바(230)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가로바(230)의 직선 왕복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고정바(282) 및 가이드바(2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슬라이드부가 부가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슬라이드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4b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한 쌍의 고정바(282) 및 상기 고정바(282) 사이에 고정되는 가이드바(283), 그리고 가로바(230) 하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드바(284)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바(284)는 가이드바(283)의 내측면에 △l 폭 만큼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따라 가로바(230)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가로바(230)와 함께 직선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슬라이드부의 다른 구체적인 예가 도 7에 개시되어 있는데, 장공(287) 이 구비되는 슬라이드판(286)을 각 가로바(230) 하부에 구성시킨다는 점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 예에 따라 슬라이드판(286)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각 가로바(230)가 장공(287)을 따라 운동할 수 있도록 각 가로바(230) 하부에 돌출봉(미도시)을 형성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탈기노즐(250)은 포장지의 개봉 단부 내부로 삽입되는 수단으로서, 가로바(230)의 상단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탈기노즐(250)의 단부는 각 작업 과정에서 가압수단(120)에 의해 가압력을 지속적으로 받게 됨에 따라 당초 장착된 위치에서 수직 하방으로 밀려 내려오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밀봉장치의 전면에 안치되는 포장지의 개봉 단부 위치와 탈기노즐(250)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여 작업 과정이 어려워지거나 또는 탈기노즐(250)의 전진 운동시 가열수단(110)에 부딪혀 장치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도시된 것과 같이 탈기노즐(250)과 가로바(230) 사이에 판스프링(240)을 매개시킴으로써 탈기노즐(250)이 일정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더욱 제안한다. 상기 탈기팬(290)은 포장지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탈기노즐(250)과 탈기팬(290) 사이에는 탈기호스(260)가 개재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로바(230)의 전후진 운동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감지부(272) 및 제2감지부(276)가 구비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상기 제1감지부(272)는 가로바(230)의 최대 전진 위치(탈기노즐(250)의 최대 전진 위치)를 감지하며, 상기 제2감지부(276)는 가로바(230)의 최대 후진 위치(탈기노즐(250)의 최대 후진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제1감지부(272) 및 제2감지부(276)은 몸 체(100) 상면에서 가로바(230)가 운동하는 전면 및 후면 일정 위치에 돌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감지부(272) 및 제2감지부(276)의 구체적인 예로 리미트 스위치 또는 감지 센서 등을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밀봉장치의 작동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상술할 작동 구성은 도 4a에 개시된 것과 같은 구성의 탈기수단이 장착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먼저, 도 2a에 개시된 것과 같이, 작업자가 내용물을 수용하고 있는 포장지(미도시)의 개봉 단부를 몸체(100)의 가열수단(110) 상면에 위치시킨 다음, 포장지의 개봉 단부 내부로 탈기노즐(250)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당김쇠(170)의 걸림핀(172)은 도 3a와 같이 가이드판(150)의 유도로(156) 최상단에 위치하게 되며, 탈기수단(200)은 도 5a 및 도 6a(도 6a에는 당김쇠와 가이드판 및 고정판 등을 배제하고 탈기수단의 설명을 위한 구성만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도 6b 내지 도 6e 모두 동일하다)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작업자가 발판 등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작동부(미도시)를 작동시키면, 작동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이 엑츄에이터(130)에 인가되면 엑츄에이터(130)는 1단계로 수직 하강 운동을 하게 되는데, 엑츄에이터(130)의 하강 운동은 당김쇠(170)에 의해 가압수단(120)을 하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압수단(120)의 압박바(122)가 포장지의 개봉 단부(탈기노즐(250)의 단부 포함)를 가열수단(110)에 밀착시키게 되며 이 상태가 도 2b 및 도 6b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도 3b에 상세하게 개시된 것과 같이, 고정판(140)의 전면 돌출부(142) 에 핀으로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판(150)은 당김쇠(170)가 하강 운동하면 장공(176)을 따라 상대적으로 상승 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걸림핀(172)은 삿갓구조(151)의 전방 외주면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걸림핀(172)이 삿갓구조(151)의 전방 외주면 하단을 지나고 난 시점에서 제어신호에 따라 엑츄에이터(13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면, 가이드판(150)은 더 이상 장공(176)을 따라 상승하지 못하게 되고, 걸림핀(172)이 삿갓구조(151)의 만곡점(152)에서 정지하게 됨에 따라 가압수단(120)은 포장지의 개봉 단부를 가열수단(110)에 밀착시킨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탈기팬(290)은 제어신호에 따라 포장지 내부에 대한 탈기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탈기작업이 완료되면(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신호에 따라 탈기팬(290)은 작동을 정지함과 동시에 탈기노즐(250)은 도 5b 및 도 5c, 그리고 도 6c와 같이 후퇴 운동하게 된다. 탈기노즐(250)의 후퇴 운동은,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이 회동수단(210)에 인가되면 회동수단(210)은 회전 운동하게 되는데, 회전 운동은 회동절(224)을 매개로 제1회동바(222) 및 제2회동바(226)를 거쳐 가로바(230)로 전달됨에 따라 가로바(230)가 후퇴 운동하면서 이루어지게 되며, 최종적으로 가로바(230)가 제2감지부(276)와 만나면서 회동수단(21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종료된다. 즉, 회동수단(210)의 회동축(212)이 반 바퀴 회전하면 탈기노즐(250)의 후퇴 운동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탈기노즐(250)의 후퇴 운동이 완료되면, 도 2c에 개시된 것과 같이 엑츄에이터(130)는 제어신호에 따라 2단계로 하강 운동을 하면서 가압수단(120)을 가열수 단(110)에 더욱 밀착시키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가열수단(110)에 내장된 열선(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포장지 개봉 단부에 대한 밀봉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며, 밀봉작업이 완료되면(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신호에 의해 엑츄에이터(13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가압수단(120)은 도 2d에 개시된 것과 같이 가열수단(110)으로부터 분리되어 원위치로 복원하여 포장지 내부에 대한 탈기작업 및 포장지의 개봉 단부에 대한 밀봉작업이 완료된다.
이 과정을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엑츄에이터(130)의 하강 운동에 따라 당김쇠(170)가 하강하면 가이드판(150)은 장공(176)을 통해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걸림핀(172)은 제2가이드부의 요홈(155) 및 유도로(156)를 거치게 된다. 한편, 걸림핀(172)이 요홈(155)을 지나가는 시점에 엑츄에이터(13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되는데, 전원의 차단에 따라 엑츄에이터(130)의 하강 운동이 중지되면 가압수단(120)은 상승하면서 본래 위치로 복원되고 당김쇠(170)도 함께 상승 운동하게 된다.
당김쇠(170)의 상승 운동은 가이드판(150)의 상대적인 하강 운동을 의미하기 때문에 가이드판(150)이 하강 운동함에 따라 걸림핀(172)은 요홈(155)을 거쳐 유도로(156) 쪽으로 향하게 되며, 유도로(156)를 지나는 걸림핀(172)은 스톱퍼(157)를 밀치며 본래 위치로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걸림핀(172)이 스톱퍼(157)를 밀치며 지나면 스톱퍼(157)는 후방으로 밀렸다가 자연스럽게 본래 위치로 돌아와 걸림핀(172)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만일 전술한 것과 같이 스톱퍼(157)가 스프링(159)에 의해 매개되는 경우에는 스톱퍼(157)가 스프링(159)의 탄성력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본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가압수단(120)이 본래 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에는 탈기노즐(250)도 도 5d 및 도 5e, 그리고 도 6d에 개시된 것과 같은 과정을 거쳐 본래 위치로 복원된다. 즉,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동수단(210)이 반 바퀴 회동하면, 회전력이 회동바(220)를 거쳐 직선 운동으로 가로바(230)에 전달됨에 따라 탈기노즐(250)이 전진하게 되는데, 전진 운동은 가로바(230)가 제1감지부(272)와 만나게 되면서 회동수단(210)에 인가되는 전원이 종료됨에 따라 종료되어 다음 작업 과정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것은 탈기노즐(250)이 후퇴운동한 다음에 엑츄에이터(130)가 2단계로 하강 운동하여 포장지 개봉 단부에 대한 밀봉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탈기노즐(250)의 후퇴운동과 동시(더욱 정확하게는 탈기노즐(250)이 가열수단(110)으로부터 분리되는 시점)에 밀봉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탈기수단에 있어서 슬라이드부는 도 4b에 개시된 구성에 한정하여 상술하였으나, 도 7에 개시된 슬라이드부의 구성을 적용시키더라도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장치에 도 8a 및 도 8b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은 작업대(300)를 더욱 장착시킴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실시예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몸체(도면부호 미도시)의 내부 수용 공간 일측에는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340)이 장착되며, 구동수단(340)과 구동축에 의해 결합되는 구 동 스프라켓(352) 및 상기 구동 스프라켓(352)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연동 스프라켓(354)이 위치한다. 상기 구동 스프라켓(352) 및 연동 스프라켓(354)은 체인(3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함께 구동수단(34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공유하게 된다. 이송판(330)은 밀봉 작업이 끝난 포장지(미도시)를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체인(360)의 양단부에 각각에 장착된다. 벨트(320)는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한 것으로서 체인(360)의 회전운동이 그대로 전달되도록 체인(360) 상부에 밀착되어 장착된다. 작업판(310)은 작업자가 포장지에 대한 탈기작업 및 밀봉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벨트(320)의 회전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벨트(320)의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몸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배면에는 도 8c에 개시된 것과 같이 작업대(300)를 밀봉장치(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결합판(38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결합판(380)은 판상으로서 상호 대향한 상태로 몸체의 배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밀봉장치(100)에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대(300)가 장착되는 경우의 작동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용물을 수용하고 있는 포장지에 대한 탈기작업 및 밀봉작업이 완료되면(또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작동부가 구동수단(340)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전체 체인이 1/2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340)을 작동시킨다. 구동수단(340)이 작동하여 생성되는 회전력은 구동 스프라켓(352)으로 전달되고, 구동 스프라켓(352)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체인(360)에 의해 연동되는 벨트(320) 및 이송판(330)을 함께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이송 판(330)이 좌에서 우로(또는 우에서 좌로) 수평 운동하면서 밀봉 작업이 완료된 포장지를 작업 박스(미도시)로 떨어뜨려 작업자가 다음 포장지에 대한 탈기작업 및 밀봉작업을 준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봉장치의 작동 구성에서 작동부의 구성 및 제어신호의 구성은 관련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인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은 가압수단을 가열수단에 밀착시키는 동력 수단으로서 단일의 엑츄에이터를 이용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장치 구성으로 포장지의 탈기작업 및 밀봉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기작업이 완료된 포장지의 개봉 단부를 밀봉함에 있어, 탈기노즐이 완전히 배제된 상태에서 가압수단을 가열수단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탈기된 포장지 내부로 공기가 역류되어 내용물이 변질될 수 있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수단의 1회전으로 탈기노즐의 전진 및 후퇴운동을 완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치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해주며, 작업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및 진동을 최소로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탈기노즐의 후퇴 속도를 최대화시킬 수 있어 포장지 내부로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탈기작업 및 밀봉작업만이 가능했던 종래 기술과 달리 밀봉 이 완료된 포장지를 편리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작업대를 부가적으로 장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포장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가열수단(110)과, 상기 가열수단(110) 상면에 안치되는 포장지의 개봉부를 압박하기 위한 압박바(122)를 포함하여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수단(120)과, 포장지 내부에 대한 탈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탈기팬(290)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100)에 장착되어 전후진 운동하는 탈기수단(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밀봉장치로서,
    상기 몸체(100) 전면 내측에 장착되어 2단계로 작동되는 엑츄에이터(130)와;
    전면 돌출부(142) 및 상향 돌출부(146) 각각이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판(140)과;
    내면에 만곡점(152)이 형성되는 삿갓구조(151)로 내측 상면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만곡점(152) 하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요홈(155) 및 상기 요홈(155)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가이드부의 후면부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유도로(156)로 이루어지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후면 하단부가 상기 고정판(140)의 전면 돌출부(142)에 핀 결합되는 가이드판(150)과;
    상기 가이드판(150)이 전방으로 일정한 복원력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판(150)의 후면 상단부 및 상기 고정판(140)의 상향 돌출부(146)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수단(160)과;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판(150)의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걸림핀(172)이 구비되며, 양단 각각은 상기 엑츄에이터(130) 및 가압수단(12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엑츄에이터(1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압박바(122)를 상기 가열수단(110)에 밀착시키는 당김쇠(170)를;
    포함하여 엑츄에이터(130)가 1단계 작동하면 걸림핀(172)이 제1가이드부의 외주면을 거쳐 내면 만곡점(152)에 안착됨으로써 압박바(122)를 가열수단(110)에 1차 밀착시켜 탈기수단(200)으로 포장지 내부에 대한 탈기작업을 수행하고, 탈기수단(200)이 후진 운동하면서 엑츄에이터(130)가 2단계 작동하면 걸림핀(172)이 요홈(155)을 따라 하방으로 운동하면서 압박바(122)가 가열수단(110)에 2차 밀착되면서 포장지 개봉부에 대한 밀봉작업을 수행한 다음 걸림핀(172)이 유도로(156)를 거쳐 원위치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에 구비되는 유도로(156) 일측에는, 상기 당김쇠(170)의 걸림핀(172)이 상기 유도로(156)를 따라 일 방향으로만 운동할 수 있도록 핀 결합되는 스톱퍼(157)가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150)은 각각에 제1가이드부 및 제2가이드부가 구비되는 한 쌍을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150)의 전면 하단부는 상기 당김쇠(170)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는 장공(176)을 통해 상기 고정판(140)의 전면 돌출부(142)에 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수단(200)은,
    상기 몸체(100)의 후면 내측에 장착되는 회동수단(210)과;
    회동절(224)이 구비되며 상기 회동수단(210)의 축에 일단이 결합되는 회동바(220)와;
    상기 회동바(22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바(220)의 회동운동에 따라 전후진 운동하는 가로바(230)와;
    상기 가로바(230)에 장착되는 탈기노즐(250)과;
    일단은 상기 탈기노즐(250)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탈기팬(290)에 연결되는 탈기호스(260)와;
    상기 가로바(230)의 전후진 운동 거리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0)의 상면에 돌출 구비되는 제1감지부(272) 및 제2감지부(27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노즐(250)은 판스프링(240)에 매개되어 상기 가로바(23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장치에는,
    구동수단(340)과 상기 구동수단(340)과 구동축에 의해 결합되는 구동 스프라켓(352)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352)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연동 스프라켓(354)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352) 및 연동 스프라켓(354)을 연결하는 체인(360)이 내장되는 몸체와, 상기 체인(360)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360)와 함께 운동하는 한 쌍의 이송판(330)과, 상기 체인(360) 상부에 밀착되는 벨트(320)와, 상기 벨트(320)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작업판(3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작업대(300)가 더욱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장치.
KR1020060055651A 2006-06-21 2006-06-21 밀봉장치 KR100751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651A KR100751644B1 (ko) 2006-06-21 2006-06-21 밀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5651A KR100751644B1 (ko) 2006-06-21 2006-06-21 밀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644B1 true KR100751644B1 (ko) 2007-08-22

Family

ID=3861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651A KR100751644B1 (ko) 2006-06-21 2006-06-21 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0739A (zh) * 2018-07-23 2018-11-23 华联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真空室盖支撑力的卸载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18Y1 (ko) 2004-12-10 2005-03-10 안준영 노즐식 진공포장기
KR200416888Y1 (ko) 2006-02-01 2006-05-23 함천수 밀봉장치용 작업대
KR100604637B1 (ko) 2006-02-01 2006-07-28 함천수 밀봉장치
KR200426302Y1 (ko) 2006-06-21 2006-09-13 함천수 밀봉장치의 탈기수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18Y1 (ko) 2004-12-10 2005-03-10 안준영 노즐식 진공포장기
KR200416888Y1 (ko) 2006-02-01 2006-05-23 함천수 밀봉장치용 작업대
KR100604637B1 (ko) 2006-02-01 2006-07-28 함천수 밀봉장치
KR200426302Y1 (ko) 2006-06-21 2006-09-13 함천수 밀봉장치의 탈기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60739A (zh) * 2018-07-23 2018-11-23 华联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真空室盖支撑力的卸载机构
CN108860739B (zh) * 2018-07-23 2024-01-16 华联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真空室盖支撑力的卸载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64886B (zh) 一种包装袋折叠、捆扎一体机
WO2009107307A1 (ja) 包装装置におけるプッシャ
KR101718142B1 (ko) 식품용기 포장용 밀봉포장기
KR20160063017A (ko) 진공 포장 장치
KR100751644B1 (ko) 밀봉장치
JP5090236B2 (ja) ピックアンドプレース装置
CN201647149U (zh) 一种胶袋真空封口机的工作界面结构
CN209905607U (zh) 一种智能垃圾桶收开口机构
CN218559412U (zh) 一种抽纸包装成型机
KR100867602B1 (ko) 형상 파우치 제조장치
KR100604637B1 (ko) 밀봉장치
KR101040551B1 (ko) 회전식 액상물 자동 포장기
KR200426302Y1 (ko) 밀봉장치의 탈기수단
FR2504495A1 (fr) Appareil destine a fermer des sacs en matiere thermosoudable
KR20070029469A (ko) 진공 봉투용 자동 진공 밀봉 장치
CN112918818A (zh) 一种多只包装机
RU2581875C2 (ru) Машина для закрывания гибких упаковок
KR20120066224A (ko) 캔 상판의 급기구 캡 자동체결장치
CN207683916U (zh) 封口机
CN214931002U (zh) 推进设备
KR101344623B1 (ko) 진공 포장 장치
JP5238291B2 (ja) 包装装置におけるプッシャ
CN220594248U (zh) 一种医用纸塑袋热封组件
CN107521762B (zh) 包装机的移动式开口装置
CN112238968A (zh) 一种精细化真空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