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9890B1 -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9890B1
KR100749890B1 KR1020050116265A KR20050116265A KR100749890B1 KR 100749890 B1 KR100749890 B1 KR 100749890B1 KR 1020050116265 A KR1020050116265 A KR 1020050116265A KR 20050116265 A KR20050116265 A KR 20050116265A KR 100749890 B1 KR100749890 B1 KR 100749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film layer
soft
h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8048A (ko
Inventor
김기형
김만영
Original Assignee
아이원필름 주식회사
김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원필름 주식회사, 김기형 filed Critical 아이원필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6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98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58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질필름층, 프라이머층 및 연질필름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다층복합필름이 경질필름층으로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PEN film ; Polyethylene Naphthalate film)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PET film ;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과, 연질필름층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이 축중합된 폴리우레탄필름 및 상기 경질필름층과 연질필름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프라이머조성물은 양단부가 이소시아네이트로 블로킹된 폴리에스테르와 에폭시계 실란이 중량비로 50 : 1 내지 1 : 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복합필름은 내구성, 내열성, 투명성, 내용제성, 유연성, 잉크 등에 대한 접착성 및 내인열성을 가지며, 고온 가압의 후공정에서도 견디며, 제품 물성이 우수하고, 제조공정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경질필름층, 프라이머층, 연질필름층, 후공정, 내구성, 내인열성

Description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Multilayer complex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복합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다층복합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따른 다층복합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따른 다층복합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층복합필름을 휴대전화용의 키패드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캐리어필름층이 부착된 다층복합필름에 휴대전화용의 필름형 무기이엘소자층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경질필름층 2 : 프라이머층
3 : 연질필름층 4 : 점착층
5 : 캐리어필름층 6 : 이형층
7 : 인쇄층 8 : 실리콘고무층
9 : 메탈돔 10 : 인쇄회로기판
11 : 키탑 12 : 무기이엘소자층
본 발명은 경질필름층, 프라이머층 및 연질필름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질필름층으로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 PEN)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필름과, 연질필름층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이 축중합된 폴리우레탄필름 및 상기 경질필름층과 연질필름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프라이머조성물은 양단부가 이소시아네이트로 블로킹된 폴리에스테르와 에폭시계 실란이 중량비로 50 : 1 내지 1 : 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단층의 우레탄필름을 전자제품의 부품 보호와 인쇄층을 형성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하여 왔으나, 유연한 재질의 폴리우레탄 단층필름만으로는 스퍼터링, 롤코팅 등 공정 조건이 가혹한 후 가공 공정을 견디지 못하고, 작업 완성 후 수축되는 문제 등이 있어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다층복합필름은 단층필름의 상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다층복합필름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휴대전화용의 키패드 또는 휴대전화용의 필름형 무기이엘소자층의 인쇄 기재로 사용하려면 다층복합필름이 내구성, 내열성, 투명성, 내용 제성, 베리어성, 즉 차단성을 지니고, 롤 상태로 고온 가압의 후공정에서도 견디면서 유연성, 잉크에 대한 접착성, 내인열성이 우수하여야 하나 상기 물성 충족과 후 공정의 문제 해결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경질필름과 연질필름을 합지하여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는 데, 그 방법은 경질필름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연질필름인 폴리우레탄필름과 부착시킨 후 드라이 라미네이션(Dry Lamination)으로 접착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로서 일반접착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온도나 압력이 가혹한 후가공에서 접착제의 용융, 변형, 변색, 분해 등으로 사용상의 한계가 있었으며, 고온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투명성이 부족하거나 굴곡 등의 후 가공 성형에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50㎛ 이하의 박막의 경질필름이나 연질필름을 접착제로 합지할 경우 주름이 발생하거나, 장력조정이 잘 되지 않고, 접착이 되더라도 접착된 필름이 휘거나, 외관 상태가 좋지 않아 정밀한 분야에 사용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착력이 우수하고 오래 유지되며, 투명하고,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작업성이 양호한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다층복합필름의 경질필름층으로서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과 연질필름층으로서의 폴리우레 탄필름이 잘 접착되도록 경질필름층 표면에 처리하는 프라이머조성물의 선정, 경질필름층 표면에 대한 프라이머조성물의 코팅 방법 및 경질필름층과 연질필름층의 접착방법 등을 적절히 수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또한 경질필름층의 두께가 통상 75㎛ 이하인 박막 다층복합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박막 다층복합필름을 지지해주는 캐리어필름층의 표면에 도포되는 점착제조성물 혹은, 이형제조성물의 선정 및 합지기술을 적절히 수행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복합필름은 경질필름층으로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과, 연질필름층으로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이 축중합된 폴리우레탄필름 및 상기 경질필름층과 연질필름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프라이머조성물은 양단부가 이소시아네이트로 블로킹된 폴리에스테르와 에폭시계 실란이 중량비로 50 : 1 내지 1 : 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경질필름층의 두께가 통상 75㎛ 이하인 박막 다층복합필름은 너무 얇아서 후가공 시 취급이 불편하고, 주름발생 등 공정불량이 많아서 점착층 또는 이형층이 형성된 캐리어필름층을 부착하는데, 경질필름층 또는 필름으로 성형되어 고체화된 상태의 연질필름층에 캐리어필름층을 부착할 경우에는 캐리어필름층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합지하고, 액체상태의 연질수지에 캐리어필름층을 부착할 경우에는 캐리어필름층에 이형층을 형성하여 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복합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복합필름의 상기 경질필름층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질필름층의 두께는 1 내지 3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안정성이나 베리어성을 더욱 요구하는 용도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보다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질필름층은 현재 상용화된 필름의 두께가 1 내지 350㎛ 이므로 이들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경제적이기 때문이며, 달리 이 두께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양단부가 이소시아네이트로 블로킹된 폴리에스테르와 에폭시계 실란으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조성물로 형성되며 혼합비율은 50 : 1 내지 1 : 1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건조 상태에서 0.0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와 에폭시계 실란의 혼합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0.001㎛ 미만인 경우, 코팅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력이 저하되고, 프라이머층이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질필름층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이 축중합된 폴리우레탄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질필름층의 두께는 1 내지 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질필름층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연질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500㎛를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분야에 적용되는 두께가 통상 350㎛ 이하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분야에 적용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기는 하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범위를 벗어날 수 있음은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들은 본 발명의 다른 다층복합필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들이다.
도 2는 경질필름층에 캐리어필름층이 부착된 다층복합필름으로, 아래로부터 캐리어필름층, 점착층, 경질필름층, 프라이머층 및 연질필름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필름층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필름층의 두께는 50 내지 3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필름층의 두께가 50㎛ 미만인 경우, 너무 얇아서 지지역할을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350㎛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딱딱하고 두꺼워서 턱이 발생되어 스크린 인쇄 등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35 내지 50중량부, 멜라민계 경화제 0.5 내지 3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0 내지 25중량부 및 톨루엔 35 내지 5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점착제조성물로 형성된다.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3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점착력이 너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착력이 너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멜라민 계 경화제가 0.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경화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3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속도가 너무 빨라 점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메틸에틸케톤이 1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용해가 충분치 못하여 농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2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용해로 너무 묽어져서 역시 농도가 적절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톨루엔이 35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용해가 충분치 못하여 농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용해로 너무 묽어져서 역시 농도가 적절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0.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가 0.5㎛ 미만인 경우, 점착력이 너무 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20㎛를 초과하는 경우, 점착제가 전이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경질필름층, 프라이머층 및 연질필름층의 성분과 두께는 도 1과 동일하며, 경질필름층의 성분도 도 1과 동일하나, 두께는 통상 75㎛ 이하이다.
도 3은 필름으로 성형되어 고체화된 연질필름층에 캐리어필름층이 부착된 다층복합필름으로, 아래로부터 캐리어필름층, 점착층, 연질필름층, 프라이머층 및 경질필름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필름층, 점착층, 경질필름층, 프라이머층, 연질필름층의 성분과두께는 도 2와 동일하다.
도 4는 공정 중에 액체상태의 연질수지를 캐리어필름층 상의 이형층 상에 코팅하고, 필름으로 성형시키는 것에 의해 연질필름층으로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다층복합필름으로서, 아래로부터 캐리어필름층, 이형층, 연질필름층, 프라이머층 및 경질필름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형층은 실리콘수지, 왁스 또는 불소수지 등과 같이 폴리우레탄필름에 대해 이형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는 이형제조성물로 도포된 이형필름으로 형성된다. 이때 이형층이 도포된 이형필름의 박리력은 Nitto 31B 테이프 기준으로 1 내지 150g/inch (측정각도: 180˚, 측정속도: 300㎜/min)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층의 두께는 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층의 두께가 0.1㎛ 미만인 경우, 박리력이 너무 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0㎛를 초과하는 경우, 박리력이 너무 약하고, 이형제가 전이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캐리어필름층, 점착층, 경질필름층, 프라이머층, 연질필름층의 성분과두께는 도 2와 동일하다.
도 5는 도 1의 다층복합필름을 휴대전화용의 키패드에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층복합필름을 휴대전화용의 키패드에 적용한 본 발명은, 기존의 연질 폴리우레탄필름이나 실리콘 패드 만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액상실리콘의 실리콘고무층으로의 성형공정에서 나타나는 센터링 문제를 해결하고, 키패드 완성 후 나타나는 시간 경과에 의한 컬(curl)현상도 해결할 수 있으며, 경질 폴리카보네이트필름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만을 사용할 때 나타나 는 클릭감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다층복합필름은 아래로부터 실리콘고무층, 인쇄층, 경질필름층, 프라이머층, 연질필름층 및 키탑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실리콘고무층의 저면에는 메탈돔이 고정되고, 이 메탈돔은 그 하방에 위치하게 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들과 접촉 및 이격될 수 있도록 고정되며, 상기 메탈돔이 인쇄회로기판의 접점들과 접촉할 때는 전기적 통전상태를 이루고, 이격되었을 때는 전기적 불통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고무층은 액상실리콘을 도포시킨 후, 후경화시켜 필름상으로 만들어 층을 형성시켜 이루어진다. 상기한 액상실리콘은 실리콘고무의 일종으로서 당업자에게는 상용적으로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인쇄층은 휴대전화용의 키패드의 각 키의 기능 등을 표시하는 문자나 도형 등을 표시하며, 통상의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함으로써 형성되며, 이는 당업자에게는 당연히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키탑은 별도의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가압하여 누름으로써 당해 키탑이 위치하는 부분의 인쇄회로기판에 통전상태를 형성시켜 당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2의 캐리어필름층이 부착된 다층복합필름에 휴대전화용의 필름형 무기이엘소자층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리어필름층이 부착된 다층복합필름에 휴대전화용의 필름형 무기이엘소자층을 적용한 본 발명은, 기존의 연질 폴리우레탄필름 만 을 사용할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수축현상을 제거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방수층 작업이 필요 없고, 방수효과가 뛰어나며 용제에 강한 경질필름층에 용제에 약한 폴리우레탄이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폴리우레탄의 용제에 의한 스웰링(swelling)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다층복합필름은 아래로부터 캐리어필름층, 점착층, 경질필름층, 프라이머층, 연질필름층 및 무기이엘소자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점착층과 캐리어필름층은 후공정들이 모두 종료된 후에는 상기 경질필름층으로부터 분리,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복합필름은 위와 같은 각 층 성분을 티다이법과 롤코팅법과 같은 통상적인 필름 성형방법을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복합필름 제조방법은, 경질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경질필름 상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를 한 상기 경질필름 상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연질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캐리어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필름 상부에 점착층 또는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층 또는 이형층이 형성된 상기 캐리어필름층을 상기 경질필름층 또는 연질필름층의 표면에 대하여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층복합필름 제조방법에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표면에 도포할 프라이머조성물로서는 양단부가 이소시아네이트로 블로킹된 폴리에스테르와 에폭시계 실란의 중량비가 50:1 내지 1:1로 이루 어진 것이며,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로나 방전으로 표면의 극성을 증가시킨 후, 선택된 프라이머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폴리우레탄을 부착시켜 다층복합필름을 제조한다. 또한, 공정상 필요할 경우에는, 양단부가 이소시아네이트로 블로킹된 폴리에스테르의 양단부를 염 등으로 또 다시 블로킹할 수 있는데, 중아황산염으로 블록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폴리에스테르 85 내지 95중량부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5 내지 15중량부를 반응시켜 양단부가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고, 상기 양단부가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와 에폭시계 실란을 중량비로 50 : 1 내지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프라이머조성물을 수득하여 이를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최종적으로 수득되는 프라이머층의 접착성 등 물성저하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조성물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표면에 도포하고 80 내지 150℃의 건조로를 통과시키면 상기 중아황산염이 해리되고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재생된 프라이머층이 형성된다. 상기 건조로의 온도가 80℃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건조가 불충분하여 코팅층이 경질필름층에 잘 부착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50℃를 초과하는 경우, 건조가 너무 진행되어 표면에 미세한 균열(crack)이 발생되어 연질필름층과의 접착력이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부에 경질필름층을 갖는 프라이머층에 폴리우레탄의 연질필름층을 접착시키는 방법으로는, 폴리우레탄을 건조하여 수분을 충분히 제거하고, 용융압출기에서 180 내지 230℃ 정도의 열로 녹인 후 티다이를 통하여 프라이머층 상부로 압출성형하면서 접착시켜 폴리우레탄의 연질필름층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상기 용융압출기의 온도가 180℃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연질필름층의 성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230℃를 초과하는 경우, 역시 수득되는 연질필름층의 물성에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폴리우레탄을 용제에 녹여서 폴리우레탄 용액으로 만든 후, 그라비아코팅 방법이나 콤마코팅 방법 등 통상의 롤코팅 방법으로 하부에 경질필름층을 갖는 프라이머층에 폴리우레탄 용액을 도포하여 100 내지 200℃의 건조로를 통과하여 용제를 휘발시킨 후, 폴리우레탄의 연질필름층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상기 건조로의 온도가 100℃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 용제의 휘발이 불충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200℃를 초과하는 경우, 경질필름층의 열변형이나 연질필름층의 열화가 발생되어 황변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 블로킹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형성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호박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프탈산 및 말레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및 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알킬글리콜이 축중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 람직하며, 특히 프탈산 또는 아디프산과 에틸렌글리콜이 축중합하여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폭시계 실란은 베타-(3,4-에폭시싸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베타-(3,4- 에폭시싸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표면에 슬립성을 주기 위하여 상기 프라이머조성물에 입경이 50 내지 200㎚인 콜로이달 실리카를 프라이머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4 내지 18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고, 표면의 대전방지를 위하여 상기 프라이머조성물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프라이머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4 내지 18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의 입경이 50㎚ 미만인 경우, 슬립성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200㎚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돌기가 너무 커져서 피착제와의 접착력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가 상기 프라이머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4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한 바의 슬립성의 부여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8중량부를 초과 하는 경우, 상기 프라이머층의 접착성 등에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가 상기 프라이머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4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표면의 대전방지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18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프라이머층의 접착성 등에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질표면층의 폴리우레탄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이 축중합된 화합물이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피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은 호박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프탈산, 말레인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산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트리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층복합필름의 경질필름층에 캐리어필름층이 더 부착된 다층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은, 경질필름에 부착할 캐리어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필름 상부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경질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경질필름을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를 한 경질필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상기 캐리어필름과 상기 코로나 방 전처리된 경질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연질필름층을 형성하여 다층복합필름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공정에서는 캐리어필름층 상부에 이형층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필름으로 성형되어 고체화된 연질필름층에 캐리어필름층이 부착된 다층복합필름 제조방법은, 경질필름에 부착할 캐리어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필름 상부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경질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경질필름 양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를 한 경질필름 양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상기 캐리어필름과 상기 경질필름을 합지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연질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질필름층에 부착할 캐리어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필름의 상부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상기 캐리어필름과 상기 연질필름층을 합지하는 단계; 상기 경질필름층 하의 캐리어필름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경질필름층 양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를 한 경질필름층 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연질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질필름층에 부착할 캐리어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필름의 상부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상기 캐리어필름과 상기 연질필름층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공정에서는 캐리어필름층 상에 이형층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질필름층을 캐리어필름층 상에 부착시킨 다층복합필름 제조방법은, 캐리어필름층 위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경질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경질필름층 양면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를 한 경질필름층 상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티다이법으로 액체상태의 연질수지를 필름상으로 성형시켜 연질필름층으로 형성시키되, 연질필름층의 한면은 캐리어필름층의 이형층 상에, 그리고 다른 한면은 경질필름층의 프라이머층 상에 위치하도록 성형시켜 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 공정에서는 캐리어필름층 상부에 통상적으로 점착층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형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캐리어필름층 상부에 점착층이나 이형층을 롤코팅법으로 형성하는 방법은, 액상의 점착제나 이형제조성물을 그라비아코팅 방법이나 콤마코팅 방법 등 통상의 롤코팅 방법으로, 캐리어필름층 위에 도포하여 100 내지 200℃의 건조로를 통과하여 용제를 휘발시킨 후 점착층이나 이형층을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층복합필름을 휴대전화용의 키패드에 적용한 다층복합필름 제조방법은, 상기 다층복합필름 제조방법에 상기 경질필름층에 인쇄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 상부에 액상실리콘을 코팅하여 실리콘고무층을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연질필름층 상부에 휴대전화용의 키탑을 붙이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필름이 부착된 다층복합필름을 휴대전화용의 필름형 무기이엘소자층에 적용한 다층복합필름 제조방법은, 상기 캐리어필름이 부착된 다층복합필름 제조방법에 상기 연질필름층 상부에 무기이엘소자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다층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은 캐리어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필름층 상부에 점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경질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상기 캐리어필름층과 상기 경질필름층을 합지하는 단계; 상기 경질필름층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를 한 상기 경질필름층 상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연질필름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질필름층 상부에 무기이엘소자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층복합필름을 형성한 후, 상기 캐리어필름층 및 상기 점착층을 제거하여 최종 필름형 무기이엘소자층을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에 따른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평균분자량이 2,000인 폴리에스테르 48g을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6g과 반응시켜 양단부가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양단부가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50g을 물 2,000g에 희석한 후, 중아황산나트륨수용액 56g을 넣고 35℃에서 60분간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양단부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중아황산염으로 블로킹된 구조로 되어있는 폴리에스테르 수용액을 제조한 뒤에,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25g을 넣어 프라이머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프라이머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팅법으로 2축 연신된 두께 50㎛의 코로 나 방전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면에 코팅한 후, 20m 정도의 건조로에서 140℃로 건조시켜 표면에 0.06㎛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폴리우레탄을 녹여 붙이기 위하여 폴리우레탄을 충분히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 뒤에, 200℃ 온도의 용융압출기에서 녹여 티다이를 통해 표면에 프라이머층이 코팅된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위로 폴리우레탄을 두께 50㎛로 성형하여 붙여, 한면은 경질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이고 반대면은 연질의 폴리우레탄필름인 다층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 1에 따른 박막 다층복합필름의 접착력, 시간 경과에 따른 접착력 및 필름수축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캐리어필름층이 부착된 다층복합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두께 12㎛의 경질필름층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을 지지해 주기 위해 먼저 두께 50㎛인 캐리어필름층을 제작하였다. 이때 캐리어필름층에 도포되는 점착제의 성분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5중량부, 멜라민계 경화제 2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8중량부, 톨루엔 35중량부로 구성되며, 이 점착제를 그라비아 코팅법으로 캐리어필름에 5㎛의 두께로 도포한 후, 150℃의 건조로를 통과시켜 용제를 휘발시킨 후, 캐리어필름이 부착된 다층복합필름의 경질필름층으로 사용되는 두께 12㎛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과 합지하였다.
이후의 다층복합필름 제작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으며 연질필름층으로서의 폴리우레탄의 두께를 15㎛으로 하여 총두께가 27㎛(캐리어필름층 제외)이 되는 초박막 다층복합필름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 2에 따른 초박막 다층복합필름의 접착력, 시간 경과에 따른 접착력 및 필름수축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경질층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 위에 디자인을 인쇄하고 인쇄층 상부에 액상실리콘을 코팅하여 실리콘고무층을 성형한 후, 반대면인 연질의 폴리우레탄필름 상부에 상용화된 시아노아크릴계 순간접착제인 록타이트401(Loctite401)을 사용하여 키탑을 붙여서 휴대전화용의 키패드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 3에 따른 휴대전화용의 키패드의 폴리우레탄 경시수축현상에 의한 휨 현상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연질의 폴리우레탄필름 상부에 무기이엘소자층을 실크스크린 인쇄법으로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초박막 다층복합필름을 사용하여 휴대전화에 적용되는 필름형 무기이엘소자층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 4에 따라 휴대전화에 적용되는 필름형 무기이엘소자층 제조 시 용제에 의한 스웰링(Swelling) 현상에 따른 불량발생률과 캐리어필름을 제거한 후의 수축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두께 150㎛의 연질 폴리우레탄필름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3과 같은 제조방법으로 휴대전화용의 키패드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본 비교예 1에 따른 휴대전화용의 키패드의 폴리우레탄 경시수축현상에 의한 휨 현상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캐리어필름층 상부에 폴리우레탄필름층을 30㎛만 형성한 필름을 상기 실시예 4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휴대전화에 적용되는 필름형 무기이엘소자층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본 비교예 2에 따라 휴대전화에 적용되는 필름형 무기이엘소자층 제조 시 용제에 의한 스웰링(Swelling) 현상에 따른 스웰링 불량률과 캐리어필름을 제거한 후의 경시수축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측정항목 측정방법 떨어지는 개수
실시예 1 실시예 2
초기접착력 테이프 테스트1 없음 없음
경시접착력 테이프 테스트2 없음 없음
상기 표 1에서 테이프 테스트1의 초기접착력 측정 방법은 10cm × 10cm 크기의 다층복합필름에 가로 0.5cm, 세로 0.5cm 크기의 바둑판 모양으로 폴리우레탄필름만 칼로 자르고, 포장용 OPP 테이프를 폴리우레탄필름 위에 강하게 밀착시킨 후, 순간적으로 OPP 테이프를 제거하면서 폴리우레탄필름이 경질필름층에 남아있는 정도를 경질필름층에 남아있는 가로 0.5 cm , 세로 0.5 cm의 폴리우레탄 사각형의 개수를 세어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에서 테이프 테스트2의 경시접착력 측정 방법은 30일 후 초기접착력 측정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른 다층복합필름은 초기 접착력이 감소하거나, 시간 경과에 따라 접착력이 약해지지 않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측정항목 측정방법 떨어지는 개수
실시예 1 실시예 2
휨정도 들뜸높이1 뜨는 현상 없음 2 내지 3㎜
상기 표 2에서 들뜸높이1은 가장자리가 바닥에서 뜨는 높이를 의미하며, 휨정도 측정방법은 키탑까지 완성된 키패드를 72시간 경과 후 평면에 놓았을 때 키패드의 가장자리가 바닥에서 뜨는 높이를 측정하였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다층복합필름의 경우 바닥에서 뜨는 현상없이 평면에 붙어 있는 수준이지만 비교예 1의 기존의 폴리우레탄 단층 필름으로 제조한 키패드는 경시수축이 발생하면서 가장자리가 평면바닥으로부터 2 내지 3㎜ 정도 들떠서 휴대전화의 자동조립 시 작업이 불편하다.
측정항목 측정방법 실시예 4 비교예 2
스웰링 불량률 인쇄 시 용제에 의한 스웰링 불량 측정 스웰링 현상 없음 10 내지 20%
경시수축률 캐리어필름을 제거한 후 수축률 측정 수축 현상 없음 0.2 내지 0.5%
상기 표 3에서 스웰링 불량률 측정방법은 무기이엘소자층 제조용 잉크의 용제에 의해 기재필름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되어 쭈그러지는 불량이 발생하는 데 이로 인한 불량률을 측정한 것이다.
상기 표 3에서 경시수축률 측정방법은 캐리어필름층에 무기이엘소자층의 기재필름이 붙어있는 상태에서 인쇄 공정을 거친 후, 캐리어필름층으로부터 인쇄된 무기이엘소자층의 기재필름을 떼어낸 후,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초기 면적과 비교하여 수축률을 측정한 것이다.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다층복합필름인 경우 경질필름층의 내용제성이 강하기 때문에 스웰링 현상과 수축현상이 전혀 없으나, 비교예 2의 폴리우레탄 단층필름인 경우 내용제성이 약하기 때문에 스웰링 현상과 수축현상이 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은 경질필름층과 연질필름층을 합착하여 다층화시킨 것으로 경질필름층의 내구성, 내열성, 투명성, 내용제성, 베리어성 등을 지니면서도, 연질필름층의 유연성, 잉크 등에 대한 접착성, 내인열성 등도 뛰어나고, 경질필름층과 연질필름층 사이의 접착성이 뛰어나고, 경시에 의한 변형이나 변화가 없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휴대전화용의 키패드 또는 무기이엘소자층의 기재로 적용이 가능하고, 가혹한 후가공 공정조건에서도 수축되거나 변형이 없이 작업성이 향상되고, 단층필름에서 나타나는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여 최종제품 완성 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며, 휴대폰 등 관련제품의 제조에 응용하는 경우, 슬림화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6)

  1. 경질필름층, 프라이머층 및 연질필름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다층복합필름에 있어서, 상기 경질필름층은 두께가 1 내지 350㎛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으로 형성되고, 연질필름층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이 축중합된 두께가 1 내지 500㎛인 폴리우레탄필름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경질필름층과 연질필름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프라이머조성물은 양단부가 이소시아네이트로 블로킹된 폴리에스테르와 에폭시계 실란이 중량비로 50 : 1 내지 1 : 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층 또는 이형층이 코팅된 캐리어필름층이 상기 경질필름층 또는 연질필름층의 표면에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양단부가 이소시아네이트로 블로킹된 폴리에스테르의 양단부가 염으로 블로킹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염이 중아황산염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호박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프탈산 및 말레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디카르복실산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및 헥산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알킬글리콜이 축중합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에폭시계 실란은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베타-(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필름층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필름을 구성하는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피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질필름층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필름을 구성하는 상기 폴리올은 호박산, 아디프산, 세바스산, 프탈산, 말레인산,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헥산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트리올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필름층에 코팅된 상기 점착층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부틸아크릴레이트 35 내지 55중량부, 멜라민계 경화제 0.5 내지 3중량부, 메틸에틸케톤 10 내지 25중량부 및 톨루엔 35 내지 5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제조성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9. 제 2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필름층에 코팅된 상기 이형층은 실리콘수지 또는 불소수지로 이루어지되, 표면박리력이 Nitto 31B 테이프 기준으로 180˚의 측정각도 및 300㎜/분(min)의 측정속도에서 1 내지 150g/인치(in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필름층의 하부에 인쇄층 및 실리콘고무층이 더 적층되고, 상기 연질필름층의 상부에 휴대전화용의 키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필름층 또는 상기 연질필름층 상부에 무기이엘소자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필름층의 표면에 슬립성을 주기 위하여 상기 프라이머조성물에 입경이 50 내지 200㎚인 콜로이달 실리카가 상기 프라이머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4 내지 18중량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표면의 대전방지를 위하여 상기 프라이머조성물에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프라이머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4 내지 18중량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14. 삭제
  15. 경질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경질필름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를 한 상기 경질필름 상부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부에 연질필름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층복합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캐리어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필름 상부에 점착층 또는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층 또는 이형층이 형성된 상기 캐리어필름층을 상기 경질필름층 또는 연질필름층의 표면에 대하여 합지하는 단계;
    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제조방법.
  16. 캐리어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필름 상부에 점착층 또는 이형층을 형성하는 단계;
    경질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경질필름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코로나 방전처리를 한 경질필름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연질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연질필름의 한쪽면은 코로나 방전처리된 경질필름과 합지하면서, 동시에 반대면은 캐리어필름의 점착층 또는 이형층과 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복합필름 제조방법.
KR1020050116265A 2005-12-01 2005-12-01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749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265A KR100749890B1 (ko) 2005-12-01 2005-12-01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265A KR100749890B1 (ko) 2005-12-01 2005-12-01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048A KR20070058048A (ko) 2007-06-07
KR100749890B1 true KR100749890B1 (ko) 2007-08-16

Family

ID=3835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265A KR100749890B1 (ko) 2005-12-01 2005-12-01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98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387B1 (ko) 2009-12-30 2011-04-20 권영석 엘시디 패널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98783A (ko) * 2017-02-27 2018-09-05 권윤경 조명 및 음향 기능을 구비하는 압전 발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299B1 (ko) * 2011-07-27 2012-01-17 (주)에이치제이 터치패널용 보호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35259B1 (ko) * 2014-02-14 2016-06-30 이원정 기능성 박막필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박막필름
CN111153103B (zh) * 2020-01-03 2022-06-03 河源轩朗光电科技有限公司 裁切机、输送机构、输送带及其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0606A (ja) 1997-08-29 1999-03-16 Dainippon Printing Co Ltd 可撓性をもつ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0606A (ja) 1997-08-29 1999-03-16 Dainippon Printing Co Ltd 可撓性をもつ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387B1 (ko) 2009-12-30 2011-04-20 권영석 엘시디 패널 보호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98783A (ko) * 2017-02-27 2018-09-05 권윤경 조명 및 음향 기능을 구비하는 압전 발전 장치
KR101941464B1 (ko) * 2017-02-27 2019-01-23 권윤경 조명 및 음향 기능을 구비하는 압전 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048A (ko)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6387B2 (ja) 多層ポリウレタン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602776B2 (ja) 両面粘着テープ、作製方法、使用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組み立てられる物品
TWI476100B (zh) Glass and resin and the use of its electronic devices
KR101307138B1 (ko) 접착제 조성물, 이것을 사용한 접착제 시트, 및 이들의이용
KR100749890B1 (ko) 다층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8945668B2 (en) Phenoxy resin composition for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 and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 using the same
JP2017126735A (ja) カバーレイフィルム
CN103360973A (zh) 半导体装置制造用掩片以及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JPH0417148B2 (ko)
CN103435257A (zh) 玻璃膜层叠板及其制造方法
KR100671356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 시트
KR101156253B1 (ko) 이형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JP5093897B2 (ja) カバーレイフィルム熱圧着用シート
JP2707579B2 (ja) 反応硬化性組成物およびその反応硬化物を有する製品
KR20180106873A (ko) 커버레이 필름
JP4425165B2 (ja) 転写型アンテナおよびその転写方法
KR101169369B1 (ko) 커버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102057297B1 (ko) 인몰드 사출성형용 이형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29111B1 (ko) 이형 필름
KR102664896B1 (ko) 디스플레이 공정용 보호필름
CN107093492A (zh) 具有保护膜的透明导电膜层叠用薄膜以及透明导电性薄膜的制造方法
JP6361440B2 (ja) ガラス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9682457B2 (en) Composite polishing pa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TWI834718B (zh) 玻璃積層體
TWI406921B (zh) 黏著劑組成物,使用該組成物之黏著劑片,暨其等之利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