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679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679B1
KR100744679B1 KR1020050121491A KR20050121491A KR100744679B1 KR 100744679 B1 KR100744679 B1 KR 100744679B1 KR 1020050121491 A KR1020050121491 A KR 1020050121491A KR 20050121491 A KR20050121491 A KR 20050121491A KR 100744679 B1 KR100744679 B1 KR 100744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image
belt member
belt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4781A (ko
Inventor
노부히로 히로에
노리부미 사토
요시시게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4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4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band, e.g. tensioning
    • G03G15/75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band, e.g. tensioning for maintaining the lateral alignment of the ba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35Handling of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215/00139Belt
    • G03G2215/00143Meandering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롤러에 걸쳐지는 벨트 부재와, 이 벨트 부재의 폭방향 일단부 측의 내면에, 그 벨트 부재의 주행 방향을 따라 돌출설치(突設)된 돌기와, 각 롤러의 단부에 형성되어, 그 돌기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결합부와, 벨트 부재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에 전사시킬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를 구비한다. 그 롤러들의 1개의 벨트 부재의 폭방향 타단부 측을 화상 담지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편위시켜 축 지지(軸支)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 롤러, 벨트 부재, 돌기, 화상 담지체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2는 반송 유닛(unit)이 부착되어진 커버체와 본체 프레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반송 유닛의 개략 정면도.
도 4는 구동 롤러의 일부 파단 개략 정면도.
도 5는 반송 유닛의 개략 측면도.
도 6은 종동 롤러의 경사 각도를 과장해서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7은 종동 롤러의 경사 각도를 과장해서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8은 중간 전사 벨트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본체 프레임
14 : 커버체 16 : 현상 유닛
18 : 반송 유닛 20 : 화상 담지체(감광체)
22 : 대전 롤러 24 : 광학 상자
26 : 현상 롤러 30 : 구동 롤러
32 : 종동 롤러 34 : 반송 벨트
36 : 전사 롤러 38 : 정착 장치
40 : 가열 롤러 42 : 가압 롤러
44 : 배지 트레이 46 : 급지 카세트
50 : 케이스 52 : 기어
54 : 돌기 56 : 오목 홈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롤러에 걸쳐지는 벨트 부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감광체(화상 담지체)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에 전사한 토너 화상을 기록 용지(기록 매체)에 전사·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 용지를 반송하는 반송 벨트나 중간 전사 벨트 등의 벨트 부재는 적어도 2개의 롤러에 걸쳐져 주행하기 때문에, 그 2개의 롤러의 축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밀리면서 주행해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예를 들어, 저렴하게 해결한다는 관점에서, 벨트 부재의 폭방향 일단부 측의 내면(이면)에, 그 벨트 부재의 주행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 돌기를 돌출설치하고, 각 롤러의 축방향 일단부 측에, 그 리브 형상 돌기가 결합(유 삽(遊揷))될 수 있는 오목 홈을 형성하여, 벨트 부재의 축방향으로의 밀림(사행(蛇行))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0-321879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해도, 리브 형상 돌기와 오목 홈 사이에는 롤러의 축방향으로 클리어런스(clearance)가 있기 때문에, 벨트 부재는 롤러의 축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밀리면서 주행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경우, 리브 형상 돌기가 돌출설치되지 않은 타단부 측으로 벨트 부재가 밀리면서 주행하는 것이라면, 특별한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리브 형상 돌기가 돌출설치되어 있는 일단부 측으로 벨트 부재가 밀리면서 주행하면, 벨트 부재의 리브 형상 돌기 부근이 굴곡하는 것 같이 휘어져서, 롤러로부터 벨트 부재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면, 리브 형상 돌기가 오목 홈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리브 형상 돌기가 벨트 부재의 내면(이면)으로부터 벗겨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또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리브 형상 돌기를 벨트 부재의 양단부 측에 설치하는 동시에, 오목 홈을 롤러의 양단부 측에 설치하거나, 벨트 부재를 누르는 지그(jig) 등을 별도로 설치하는 등의 구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어느 쪽이라도 고가로 된다(비용 발생)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비용을 들이지 않고 벨트 부재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화상 형성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롤러에 걸쳐지는 벨트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폭방향 일단부 측의 내면에 그 벨트 부재의 주행 방향을 따라 돌출설치된 돌기와, 상기 각 롤러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결합부와,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 또는 그 벨트 부재 표면에 전사시킬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를 구비한다. 이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 중 1개의 롤러의 상기 벨트 부재의 폭방향 타단부 측을 상기 화상 담지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편위시켜 축 지지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벨트 부재를 돌기가 돌출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 밀리도록 규제하면서 주행시키게 된다. 따라서, 벨트 부재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벨트 부재가 휘어져서 롤러로부터 들뜨는 것과 같은 결함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돌기가 결합부로부터 분리되거나, 벨트 부재로부터 돌기가 박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단지 롤러의 축 지지 위치를 편위시키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비용이 드는 결점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2개의 롤러에 걸쳐지고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벨트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폭방향 일단부 측의 내면에 그 벨트 부재의 주행 방향을 따라 돌출설치된 돌기와, 상기 각 롤러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결합부와, 상기 각 롤러를 축 지 지하는 케이스를 갖는 벨트 반송 유닛과,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화상 담지체가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벨트 반송 유닛이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화상 담지체를 개방·폐쇄하는 커버체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화상 담지체를 폐쇄했을 때에, 상기 케이스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롤러 중 1개의 롤러의 상기 벨트 부재의 폭방향 타단부 측이 상기 화상 담지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위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각 색마다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는, 부호의 뒤에 「Y」,「M」,「C」,「K」의 영자가 붙여져 있는 것이 있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담지체(감광체)(20) 및 현상 유닛(16)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본체 프레임(12)과, 그 화상 담지체(20) 및 현상 유닛(16)을 개방·폐쇄하는 커버체(1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 커버체(14)에 기록 용지(P)를 흡착 반송할 수 있는 반송 벨트(34)를 구비한 반송 유닛(18)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현상 유닛(16)에는, 롤러 형상의 화상 담지체(20)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롤러(22)와,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 담지체(20)에 화상광을 조사(照射)하고, 정전 전위의 차이에 의한 잠상을 형성하는 광학 상자(24)와, 잠상에 토너 를 선택적으로 전이(轉移)하여 가시화하는 현상 롤러(26)와, 토너 화상이 전사된 후의 화상 담지체(20)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그 화상 담지체(20)에 잔류하는 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부재(28)가 구비되어 있다.
화상 담지체(20)는 표면(둘레면)에 감광체층을 갖고, 대전 롤러(22)에 의해 그 표면(둘레면)이 균일하게 대전된 후, 광학 상자(24)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화상광)에 의해, 그 표면(둘레면)이 노광되고, 그 노광된 부분의 전위가 감쇠(減衰)함으로써 정전 잠상(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대전 롤러(22)는 화상 담지체(20)에 접촉하고, 이들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접촉부 부근의 미소한 간극 내에서 방전이 일어남으로써, 화상 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을 거의 균일하게 대전한다.
광학 상자(24)는 점멸하는 레이저광을 화상 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에 주사시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정전 잠상을 화상 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 위에 형성한다. 또한, 광학 상자(24)로서는, LED 등의 발광 소자를 배열하고 이것들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점멸시키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현상 롤러(26)는 화상 담지체(20)와 근접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이 현상 롤러(26)와 화상 담지체(20) 사이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현상 롤러(26)와 화상 담지체(20) 사이에는 현상 바이어스 전계가 형성되며, 전하를 갖는 토너가 화상 담지체(20) 위의 노광된 부분까지 전이해서 가시상(可視像)을 형성한다.
반송 유닛(18)은 적어도 구동 롤러(30)와 종동 롤러(32)에 걸쳐진 반송 벨트 (3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 반송 벨트(34)의 내면 측에서, 구동 롤러(30)와 종동 롤러(32)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전사 롤러(36)가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후술하는 각 색에 대응해서 4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전사 롤러(36)는, 커버체(14)가 닫혀졌을 때(커버체(14)를 본체 프레임(12) 측으로 회동시켜 화상 담지체(20) 등을 폐쇄했을 때), 반송 벨트(34)를 사이에 두고 화상 담지체(20)와 대향하게 되어 있어, 화상 담지체(20)와의 사이에 전사 전계를 형성함으로써, 반송 벨트(34)에 흡착 반송되어서 통과하는 기록 용지(P) 위에 화상 담지체(20) 표면의 토너 화상(미정착 화상)을 전사시키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현상 유닛(16)은 풀 컬러 인쇄가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아래에서부터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순으로 연직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현상 유닛(16Y 내지 16K)은 본체 프레임(12)에 설치된 지지부(12A)에 의해 좌우 양단 하부가 지지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현상 유닛(16Y 내지 16K)보다도 기록 용지(P)의 반송 방향 하류측(본체 프레임(12)의 상부)에는 정착 장치(38)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38)는 둘레면이 서로 대향해서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nip)되는 가열 롤러(40)와 가압 롤러(4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가열 롤러(40) 및 가압 롤러(42)에서 기록 용지(P) 위에 전사된 미정착 토너 화상을 가열·가압함으로써, 그 기록 용지(P)에 토너 화상을 정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착 장치(38)(가열 롤러(40) 및 가압 롤러(42))에 의해 가열·가압되어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 용지(P)는 배지(排紙) 트레이(44) 위에 배출된다. 그 리고, 기록 용지(P)에 토너 화상을 전사 종료한 후, 화상 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은 클리닝 부재(28)에 의해 클리닝 처리되어, 다음의 화상 형성 처리를 위해 준비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12)의 하부에는 착탈 가능한 급지 카세트(46)가 구비되어 있다. 이 급지 카세트(46)는 기록 용지(P)를 송출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취출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한 기록 용지(P)를 급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급지 카세트(46)의 선단부 근방에는 급지 카세트(46) 안에서부터 기록 용지(P)를 1매씩 송출하는 급지 롤러 쌍(48)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지 롤러 쌍(48)으로부터 송출된 기록 용지(P)는 레지스트 롤러 쌍(49)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에 반송 벨트(34)의 흡착 반송면에 송출되어, 각 색의 토너 화상의 전사 위치로 반송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0)에 있어서, 다음에 커버체(14)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반송 유닛(18)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송 유닛(18)은 대략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된 케이스(50)를 구비하고, 그 케이스(50)의 일단부(상단부)에 구동 롤러(30)가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타단부(하단부)에 종동 롤러(32)가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구동 롤러(30)와 종동 롤러(32)에 기록 용지(P)를 정전 흡착할 수 있는 반송 벨트(34)가 권취(卷回)되어 걸쳐져 있다.
또한, 반송 벨트(34)의 내면측에서, 구동 롤러(30)와 종동 롤러(32) 사이에는 각 색마다 소정 간격을 두고 전사 롤러(36Y 내지 36K)가 배열 설치되어 있기 때 문에, 각 전사 롤러(36Y∼36K)도 케이스(50)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도 1 참조). 각 전사 롤러(36Y∼36K)는, 커버체(14)가 닫혀졌을 때, 반송 벨트(34)를 사이에 두고, 각 화상 담지체(20Y∼20K)에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반송 벨트(34)의 주행에 추종하여 회전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3,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50)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해 있는 구동 롤러(30)의 회전축(30A)의 일단부에는, 구동 롤러(3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52)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기어(52)가 부착되어 있는 측의 반송 벨트(34)의 내면(이면)에는, 리브 형상 돌기(54)가 반송 벨트(34)의 주행 방향을 따라 1열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기어(52)가 부착되어 있는 측의 구동 롤러(30) 및 종동 롤러(32)의 소정 위치에는 오목 홈(56)이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브 형상 돌기(54)가 그 오목 홈(56)에 결합(유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 벨트(34)는 구동 롤러(30) 및 종동 롤러(32)의 축방향으로 사행하기 어려운 구성이다. 즉, 이에 따라, 반송 벨트(34)는, 주행중에 있어서, 구동 롤러(30) 및 종동 롤러(32)의 축방향으로 밀리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종동 롤러(32)는, 도 5, 도 6에서 과장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 홈(5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타단부 측이, 화상 담지체(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5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약간 편위된 상태로 케이스(50)에 축 지지되어 있다. 이 때의 편위량은, 예를 들어, 도 6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 반송 벨트(34)가 화상 담지체(20)에 통상의 소정 압력으로 접촉해 있는 상태(반송 벨트(34)에 대하여 평 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최단부(最端部)의 최대거리를 L로 나타내면, L은 약 0.5mm 정도이다.
또한, 종동 롤러(32)의 타단부 측을 상기와 같이 이동할 때의 회전 기준이 되는 중심 위치(O)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 롤러(32)의 축방향 중앙부일 수도 있고,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 홈(56)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최단부일 수도 있다. 어느 경우라도, 그 중심 위치(O)와 구동 롤러(30)의 축 중심선(K)(도 3 참조)과의 최단 거리가 변화되지 않고, 오목 홈(5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리브 형상 돌기(54)가 돌출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종동 롤러(32)의 단부가 화상 담지체(20)로부터 약간 이격되도록, 그 단부 측의 회전축(32A)의 축 지지 위치가 벗어나 있으면 충분하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급지 롤러 쌍(48)에 의해 급지 카세트(46) 내로부터 1매씩 기록 용지(P)가 취출되고, 레지스트 롤러 쌍(49)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에 반송 벨트(34) 위로 보내진다. 반송 벨트(34) 위로 보내진 기록 용지(P)는 그 반송 벨트(34)에 의해 정전 흡착되어, 각 색의 화상 담지체(20Y∼20K)로 반송된다.
현상 유닛(16)에서는 우선, 대전 롤러(22)에 의해 화상 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리고, 광학 상자(24)로부터 레이저광(화상광)이 화상 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에 주사되어,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정전 잠상이 화상 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 위에 형성된다. 그 후, 현상 롤러(26)에 의해 토너가 화상 담지체(20) 위로 전이되어, 그 화상 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에 가시 상이 형성된다.
이렇게 해서, 화상 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에 가시상이 형성되면, 반송 벨트(34)에 흡착 반송되어서 통과하는 기록 용지(P) 위에 화상 담지체(20) 표면의 토너 화상(미정착 화상)이 화상 담지체(20)와 전사 롤러(36)에 의해 전사된다. 이것을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순으로 실행하고, 기록 용지(P) 위에 풀 컬러의 토너 화상(미정착 화상)이 전사되면, 기록 용지(P)는 반송 벨트(34)에 의해 정착 장치(38)로 반송된다.
정착 장치(38)에 반송된 기록 용지(P)는 가열 롤러(40) 및 가압 롤러(42)에 의해, 거기에 전사되어 있는 미정착의 토너 화상이 가열·가압되어서 정착된다. 그리고, 정착 장치(38)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정착된 기록 용지(P)는 배지 트레이(44) 위로 배출된다. 또한, 기록 용지(P)로의 토너 화상의 전사가 종료된 후, 화상 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은 클리닝 부재(28)에 의해 클리닝 처리되어, 다음의 화상 형성 처리를 위해 준비된다.
여기에서, 종동 롤러(32)는 도 5,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 홈(5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단부 측이 화상 담지체(20)로부터 약간 이격하도록, 그 단부 측의 회전축(32A)의 축 지지 위치가 소정량 편위된 상태에서 케이스(50)에 축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 벨트(34)는 항상 리브 형상 돌기(54)가 돌출설치되어 있지 않은(오목 홈(5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 밀리도록 규제되면서 주행할 수 있어, 그 주행 안정성은 확보된다.
즉,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반송 벨트(34)의 리브 형상 돌기(54) 부근이 휘 어져서, 그 부분이 각 롤러(30, 32)로부터 들뜨는 등의 결함은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리브 형상 돌기(54)가 오목 홈(56)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반송 벨트(34)의 내면(이면)으로부터 리브 형상 돌기(54)가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종동 롤러(32)는 화상 담지체(20)에 의해, 기록 용지(P)에 토너 화상(미정착 화상)을 전사할 때의 반송 벨트(34)의 전사면(접촉면)을 구성하는 롤러이기 때문에, 그 전사면(접촉면)에서의 주주사 방향(구동 롤러(30)의 축방향)의 위치 편위를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풀 컬러 인쇄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또한, 화상 담지체(20)에 대하여 소정량 편위되는 롤러가 종동 롤러(32)이기 때문에(구동 롤러(30)가 아니기 때문), 구성상 편위되기 쉽고, 그 종동 롤러(32)를 편위시킬(경사질) 때의 회전 기준이 되는 중심 위치(O)와 구동 롤러(30)의 축 중심선(K)의 최단 거리가 변화하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일정하기 때문에), 반송 벨트(34)의 텐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반송 벨트(34)의 주행 안정성이 손상되는 등의 결함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종동 롤러(32)의 오목 홈(56)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측의 단부를 화상 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위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그 단부측의 회전축(32A)의 축 지지 위치를 편위시켜 케이스(50)에 축 지지하는 방법 이외에, 다음과 같은 방법 등을 채용해도 상관없다.
즉, 예를 들어,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에 접촉하는 케이스(50)의 한쪽 가장자리부(오목 홈(5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가장자리부) 에 소정 높이의 볼록부(58)를 설치하고, 커버체(14)를 닫았을 때에, 그 볼록부(58)에 의해 수지제(製)의 케이스(50)가 휘어지게(비틀리게) 해서, 종동 롤러(32)의 오목 홈(5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단부가 화상 담지체(20)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케이스(50)의 가장자리부에 볼록부(58)를 돌출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구성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볼록부(58)의 형상이나 위치, 수량 등은, 적절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58)는 본체 프레임(12) 측에 돌출설치할 수도 있고, 케이스(50)와 본체 프레임(12) 모두에 돌출설치할 수도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여기에서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1)는 중간 전사 벨트(60)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10)와 다른 점이다. 따라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10)와 동등한 기능을 갖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유닛(18)은 커버체(14)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체(14)는 힌지부(13)를 통해 본체 프레임(12)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반송 벨트(34)는 구동 롤러(30)와 종동 롤러(32)에 걸쳐지고, 구동 롤러(30)와 종동 롤러(32)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는 백업 롤러(68)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60)는 구동 롤러(62)와 종동 롤러(64)와 텐션 롤러(66)에 걸쳐져 있기 때문에, 중간 전사 벨트(60)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리브 형상 돌기 (도시 생략)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롤러(62)와 종동 롤러(64)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오목 홈(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롤러(62)와 종동 롤러(64) 사이에서, 텐션 롤러(66)의 반대측에는 각 색마다의 전사 롤러(36Y∼36K)가 적절한 위치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색의 화상 담지체(20Y∼20K)와 전사 롤러(36Y∼36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60) 위에 전사된 토너 화상(미정착 화상)은, 반송 벨트(34)에 흡착 반송되어서 통과하는 기록 용지(P) 위에, 중간 전사 벨트(60)와 반송 벨트(34)가 각각 텐션 롤러(66)와 백업 롤러(68)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부위에서 전사되고, 그 후에 정착 장치(38)에 의해 정착된다.
이러한 구성의 화상 형성 장치(11)에 있어서는, 중간 전사 벨트(60)의 종동 롤러(64)가 상기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즉, 종동 롤러(64)의 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는 단부측이 화상 담지체(20)로부터 약간 이격되도록, 그 단부측의 회전축의 축 지지 위치가 소정량 편위된 상태에서 중간 전사 벨트(60)용 케이스(도시 생략)에 축 지지된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60)는 항상 리브 형상 돌기가 돌출설치되어 있지 않은(오목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 밀리도록 규제되면서 주행할 수 있어, 그 주행 안정성이 확보된다. 즉, 상기와 마찬가지로, 중간 전사 벨트(60)의 리브 형상 돌기 부근이 휘어져서, 그 부분이 각 롤러(62, 64)로부터 들뜨는 것이 방지되어, 리브 형상 돌기(54)가 오목 홈(56)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중간 전사 벨트(60)의 내면(이면)으로부터의 리브 형상 돌기(54)의 박리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종동 롤러(64)는 화상 담지체(20)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60)에 토너 화상(미정착 화상)을 전사할 때의 전사면(접촉면)을 구성하는 롤러이기 때문에, 그 전사면(접촉면)에서의 주주사 방향(구동 롤러(62)의 축방향)의 위치 편위를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풀 컬러의 인쇄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또한, 화상 담지체(20)에 대하여 소정량 편위되는 롤러가 종동 롤러(64)이기 때문에(구동 롤러(62)가 아니기 때문), 구성상 편위되기 쉽고, 그 종동 롤러(64)를 편위시킬(경사질) 때의 회전 기준이 되는 중심 위치와 구동 롤러(62)의 축 중심선과의 최단 거리가 변화하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일정하기 때문에), 중간 전사 벨트(60)의 텐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60)의 주행 안정성이 손상되는 등의 결함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텐션 롤러(66)를 종동 롤러(64)처럼 구성해도 어느 정도의 효과는 얻어지지만, 롤러에 권취되는 벨트 부재의 길이(랩 길이)가 길면 길수록, 그 롤러에 의해 벨트 부재를 어느 한쪽으로 미는 규제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텐션 롤러(66)보다도 중간 전사 벨트(60)의 권취량(랩 양)이 많은 종동 롤러(64)를 상기 구성으로 하는 편이 효과적이고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양태에서, 상기 케이스 및/또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볼록부를 형성해서 상기 케이스를 휘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1개의 롤러의 상기 벨트 부재의 폭방향 타단부 측을 상기 화상 담지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편위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 부재를 항상 돌기가 돌출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 밀리도록 규제하면서 주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벨트 부재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벨트 부재가 휘어져서 롤러로부터 들뜨는 등의 결함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돌기가 결합부로부터 분리되거나, 벨트 부재로부터 돌기가 박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롤러를 축 지지하는 케이스가 휘어지도록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기 때문에, 구성하기 쉽고, 비용이 드는 결함도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 롤러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는, 롤러와 동일한 부재일 수 있으며, 롤러의 단부에 설치된 별도의 부재일 수도 있다. 또한, 결합부의 형상은, 벨트 부재의 돌기가 삽입되는 오목 홈, 벨트 부재의 돌기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L자 형상의 부재 등, 임의의 형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화상 담지체가 설치된 본체 프레임이란, 화상 담지체를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프레임이나, 이 프레임에 설치된 부품 등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어느 한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1개의 롤러는 상기 벨트 부재의 상기 화상 담지체와의 접촉면을 구성하는 롤러일 수도 있다.
그 양태에서는, 벨트 부재의 화상 담지체와의 접촉면의 주주사 방향(롤러의 축방향)의 위치 편위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풀 컬러의 인쇄시, 컬러 레지스트레이션의 개선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어느 한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1개의 롤러를 비구동 롤러로 할 수도 있다.
그 양태에서는, 편위되는 롤러가 비구동 롤러이기 때문에, 그 위치를 편위시키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비구동 롤러를 적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상기 비구동 롤러가 편위될 때의 회전 기준이 되는 중심 위치와 구동 롤러의 축 중심선과의 최단 거리를 일정하게 할 수도 있다.
그 양태에서는, 벨트 부재의 텐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벨트 부재의 주행 안정성이 손상되는 등의 결함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용을 들이지 않고 벨트 부재의 주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적어도 2개의 롤러에 걸쳐지는 벨트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폭방향 일단부 측의 내면에 그 벨트 부재의 주행 방향을 따라 돌출설치(突設)된 돌기와,
    상기 각 롤러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결합부와,
    상기 벨트 부재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매체 또는 그 벨트 부재 표면에 전사시킬 토너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 담지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 중 1개의 롤러의 상기 벨트 부재의 폭방향 타단부 측을 상기 화상 담지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편위시켜 축 지지(軸支)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적어도 2개의 롤러에 걸쳐지며, 기록 매체를 반송하는 벨트 부재와, 상기 벨트 부재의 폭방향 일단부 측의 내면에 그 벨트 부재의 주행 방향을 따라 돌출설치된 돌기와, 상기 각 롤러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결합부와, 상기 각 롤러를 축 지지하는 케이스를 갖는 벨트 반송 유닛과,
    상기 기록 매체에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화상 담지체가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벨트 반송 유닛이 부착되는 동시에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회동 가 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화상 담지체를 개방·폐쇄하는 커버체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체가 상기 본체 프레임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화상 담지체를 폐쇄했을 때, 상기 케이스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롤러 중 1개의 롤러의 상기 벨트 부재의 폭방향 타단부 측이 상기 화상 담지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위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볼록부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를 휘게 함으로써, 상기 1개의 롤러의 상기 벨트 부재의 폭방향 타단부 측을 상기 화상 담지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편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롤러는 상기 벨트 부재의 상기 화상 담지체와의 접촉면을 구성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롤러는 비구동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동 롤러가 편위될 때의 회전 기준이 되는 중심 위치와 구동 롤러의 축 중심선과의 최단 거리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50121491A 2005-06-23 2005-12-12 화상 형성 장치 KR100744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83403 2005-06-23
JP2005183403A JP4692098B2 (ja) 2005-06-23 2005-06-23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781A KR20060134781A (ko) 2006-12-28
KR100744679B1 true KR100744679B1 (ko) 2007-08-02

Family

ID=3756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491A KR100744679B1 (ko) 2005-06-23 2005-12-1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56456B2 (ko)
JP (1) JP4692098B2 (ko)
KR (1) KR100744679B1 (ko)
CN (1) CN18851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2228B2 (ja) * 2006-04-28 2011-07-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8275928A (ja) * 2007-04-27 2008-11-13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332158B2 (ja) * 2007-09-14 2013-11-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1934649A (zh) * 2008-04-16 2011-01-05 株式会社东芝 带装置及带的自转向方法
JP5656508B2 (ja) 2010-08-20 2015-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5060064A (ja) * 2013-09-18 2015-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79745B2 (ja) * 2014-07-01 2018-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20171826A1 (en) * 2019-02-22 2020-08-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ffset print apparatus and methods
US10955772B1 (en) * 2020-03-20 2021-03-2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Belt positioning structure, belt and roll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288A (ko) * 2003-06-28 200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050038075A (ko) * 2003-10-21 200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벨트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3541A (en) * 1987-05-28 1989-10-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S642070A (en) * 1987-06-25 1989-01-06 Canon Inc Image forming device
US6108510A (en) * 1997-06-20 2000-08-22 Minolta Co., Ltd. Tandem-typ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ull-color print mode and single-color print mode
JP2000053270A (ja) * 1998-08-04 2000-02-22 Ricoh Co Ltd ベルト駆動装置及びベルト定着装置
JP4046890B2 (ja) 1999-05-10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2060085A (ja) 2000-08-11 2002-02-26 Ricoh Co Ltd ベルト駆動装置及び該ベルト駆動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2173212A (ja) * 2000-09-28 2002-06-21 Ricoh Co Ltd ベルト駆動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457709B1 (en) * 2000-11-03 2002-10-01 Hewlett-Packard Co.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f-centering endless belts
JP2003201038A (ja) 2002-01-11 2003-07-15 Canon Inc 無端ベルト
JP2003255718A (ja) 2002-02-27 2003-09-10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3255642A (ja) 2002-03-04 2003-09-10 Canon Inc ベルト寄り規制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94177A (ja) * 2002-04-26 2004-03-25 Canon Inc 電子写真エンドレスベル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4047085B2 (ja) * 2002-07-15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ベルト走行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03540A (ja) 2002-12-25 2004-07-22 Kyocera Mita Corp ベルト搬送装置
US7395008B2 (en) * 2003-02-24 2008-07-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photoreceptor cart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1288A (ko) * 2003-06-28 200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050038075A (ko) * 2003-10-21 200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벨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03798A (ja) 2007-01-11
US7756456B2 (en) 2010-07-13
JP4692098B2 (ja) 2011-06-01
US20060291913A1 (en) 2006-12-28
KR20060134781A (ko) 2006-12-28
CN1885195A (zh) 2006-12-27
CN1885195B (zh)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679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130917B2 (ja) 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21327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holding member to hold a roller relative to a frame
JP2016031466A (ja) 光走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74719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veyance unit regulating structure
JP200912850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27784A (ja) 画像形成装置
US798690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29683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roller bias system
US20130322909A1 (en) Positio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US20090263154A1 (en)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369739B2 (en) Intermediate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9258494A (ja) 転写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83017B2 (ja) 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02858A (ja) 画像形成装置
JP4536509B2 (ja) 画像形成装置
US8285177B2 (en) Charg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666589B2 (ja) 画像形成装置
US8515307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332158B2 (ja) 画像形成装置
JP4635078B2 (ja) 画像形成装置
JP4665573B2 (ja) 搬送装置
JP201419113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転写装置
JP6016094B2 (ja)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33402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