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536B1 -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탄산가스인디케이터, 및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배치한 포장체 - Google Patents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탄산가스인디케이터, 및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배치한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536B1
KR100743536B1 KR1020027007452A KR20027007452A KR100743536B1 KR 100743536 B1 KR100743536 B1 KR 100743536B1 KR 1020027007452 A KR1020027007452 A KR 1020027007452A KR 20027007452 A KR20027007452 A KR 20027007452A KR 100743536 B1 KR100743536 B1 KR 100743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indicator
dioxide gas
ink composition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260A (ko
Inventor
오치아이신야
오비나타노에
미즈마히로유키
오카미노루
혼다히로시
하마자키신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오쓰카세이야쿠코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오쓰카세이야쿠코죠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0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resence of specific gases or aeros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Packag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pH 지시약, 결합제 및 용매를 포함하고, 탄산가스 농도에 의한 지시부의 정색변화를 용이하게 육안확인할 수 있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로서, 이것을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및 포장체에 적용함으로써,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치환가스를 봉입한 가스치환 포장의 핀홀, 및 실링 불량의 발생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잉크조성물.
Figure 112002018159730-pct00001
잉크조성물, 그라비어 인쇄, 우레탄 수지, 비닐아세탈 수지,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앵커코트층, 오버코트층, 포장봉지.

Description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및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배치한 포장체{INK COMPOSITION FOR SENSING CARBON DIOXIDE GAS, AND CARBON DIOXIDE INDICATOR USING THE SAME, AND PACKAGE PROVIDED WITH THE CARBON DIOXIDE INDICATOR}
본 발명은, 식품, 음료, 및 약품 등을 장기간 보존하기 위한 가스치환 포장중의 치환된 가스 분위기가 유지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잉크조성물, 이것을 사용한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및 이것을 사용한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식품, 음료, 약품 등의 내용물을 장기간 보존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가스치환 포장이 있다. 이 가스치환 포장은 치환하는 가스로서 질소와 이산화탄소의 혼합가스가 많이 사용되고, 가스배리어(gas barrier)성이 우수한 포장재료로 포장하는 것 이었다.
이와 같이, 가스배리어성이 우수한 포장재료를 사용하여, 가스치환 포장을 행함으로써, 내용물을 장기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포장재료 자체의 결함, 또는 내용물 봉입시의 실패, 또는 유통 등의 운반과정에서의 충격 등이 원인이며, 핀홀이나, 실링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는, 가스치환 포장된 분위기가 변화되고, 내용물의 부패, 또는 변질이 생기는 일이 있고, 또, 가스치환 포장된 분위 기의 변화를 알아차리지 못한 채 유통될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가스배리어성이 우수한 포장재료를 사용하여, 가스치환 포장을 행해도, 핀홀, 실링 불량의 발생을 확인할 수단이 없고, 내용물이 가스치환 포장 분위기중에 확실하게 보존되어 있는지 어떤지 알지 못했다.
가스치환 포장 분위기가 유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조사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치환가스중의 탄산가스 농도를 검지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탄산가스의 농도를 검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64-6995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pH 지시약, 알칼리, 및 용제를 여과지에 함침시킨 탄산가스 인디케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는, 장기간의 안정성은 얻을 수 없다는 결점을 가진다.
또, 일본 특표평 5-506088호에는, pH 지시약, 알칼리로서 4차 양이온, 중합체, 및 가소제를 사용하여 필름화한 의료용 탄산가스 모니터가 개시되어 있는데, 포장체에 사용하는데는, 인디케이터부의 작성에 시간이 걸린다는 결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치환가스를 봉입한 가스치환 포장의 핀홀, 및 실링 불량의 발생에 의한 가스 분위기의 변화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탄산가스 검지용 지시부를 형성하기 위한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치환가스를 봉입한 가스치환 포장의 핀홀, 및 실링 불량의 발생에 의한 가스분위기의 변화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품, 음료, 약품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용기, 또는 이 용기를 가스배리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장체에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에 있어서, 이 용기내, 또는 외장체내의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가스의 봉입 상태가 확인될 수 있는 포장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제 1로, pH 지시약, 결합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2로, pH 지시약, 결합제, 흡수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3으로, pH 지시약, 알칼리성 물질, 결합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4로, pH 지시약, 알칼리성 물질, 결합제, 흡수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5로, 지지체와, 이 지지체상에 pH 지시약, 결합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또는 상기 잉크조성물에 알칼리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지시부를 구비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 6으로, 식품, 음료, 약품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내, 또는 이 용기를 수납한 가스배리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장체내에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가스를 봉입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에 있어서, 이 용기내, 또는 외장체내에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배치한 포장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1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2의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3의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4의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가스치환 포장체의 제 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가스치환 포장체의 제 2의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가스치환 포장체의 제 3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가스치환 포장체의 제 3의 예에 사용할 수 있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4의 예를 포장체의 외장체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은, pH 지시약, 결합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또는 알칼리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탄산가스는, 물에 용해되어 약한 산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잉크조성물에서는, 주위 분위기중의 탄산가스가 충분히 존재하면. pH 값이 낮아지는데, 탄산가스 농도가 저하됨에 따라 pH 값이 올라가고, 이에 따라, pH 지시약의 색조가 변화한다. 이 색조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주위 분위기의 탄산가스 농도의 변화를 검지할 수 있다. 알칼리성 물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면, 상기 색조의 변화를 보다 명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 잉크조성물을 사용하여,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치환가스를 봉입한 가스치환 포장체내에 지시부를 설치함으로써, 치환된 가스 분위기중의 탄산가스 농도의 변화를 지시부의 색조에 의해 판단하여, 포장체의 핀홀, 및 실링 불량의 발생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상에 형성된 지시부를 포함하고, 이 지시부는, 상술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인디케이터를,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치환가스를 봉입한 가스치환 포장체내에 설치하면, 포장체 내부가 대기와 통하여 탄산가스가 누출된 경우에, 치환된 가스 분위기중의 탄산가스 농도의 변화를 지시부의 색조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포장체의 핀홀, 및 실링 불량의 발생, 또는 장난, 운반, 또는 보관시에 있어서의, 포장체의 개봉 및 손상 등의 유무를, 인디케이터가 탄산가스가 없을 때의 색에 근접함으로써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pH 지시약으로서는, 탄산가스의 영향으로 색조변화를 수반하는 것 또는 알칼리성 물질의 농도변화에 따른 pH의 변동에 대하여 색조변화를 수반하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하기 표 1에 바람직한 pH 지시약 및 그 정색(呈色) 범위를 나타낸다.
pH지시약 정색변화
브로모크레졸 그린 황 3.8 ~ 5.4 청
메틸 레드 적 4.2 ~ 6.3 황
클로로페놀 레드 황 5.0 ~ 6.6 적
브로모크레졸 퍼플 황 5.2 ~ 6.8 자주색
브로모티몰 블루 황 6.0 ~ 7.6 청
뉴트럴 레드 적 6.8 ~ 8.0 황
페놀 레드 황 6.8 ~ 8.4 적
크레졸 레드 황 7.2 ~ 8.8 적
α-나프톨플탈레인 분홍 7.3 ~ 8.7 녹
쿠르쿠민 황 7.4 ~ 8.6 적색을 띤 갈색
메타크레졸 퍼플 황 7.4 ~ 9.0 청색기의 자주색
에틸비스(2, 4 디니트로페닐)아세테이트 무색 7.5 ~ 9.1 청
티몰 블루 황 8.0 ~ 9.6 청
p-크실레놀 블루 무색 8.0 ~ 9.6 청
페놀프탈레인 무색 8.3 ~ 10.0 적
특히 바람직한 pH 지시약으로서는, 취급용이성 및 정색반응의 변화가 알기쉬운 것 등에서 메타크레졸 퍼플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칼리성 물질은, 수산화 알칼리, 탄산알칼리, 및 탄산수소 알칼리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서는, 본 발명의 잉크조성물의 각 성분을 균일하게 또한 안정되게 용해 또는 분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에스테르류, 알코올류, 및 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물 및 알코올중 적 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제는, pH 지시약, 알칼리성 물질, 흡수성 분말을 지지체상에 고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결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우레탄, 아세트산비닐 부분비누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또, 결합제로서는,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되는 성질을 갖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매로서 물 또는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 및 알코올중 적어도 1종에 용해 또는 분산되는 성질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은, 흡수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흡수제를 잉크조성물중에 배합함으로써, 지시부로 되는 잉크층중에 물 등의 용매를 보유해서 탄산가스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여, pH 지시약의 정색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흡수제로서는, 물 등의 용매를 포함한 때에 극단적인 산성 또는 염기성을 나타내지 않고, 백색도가 높은 물질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질로서, 예를 들면 전분, 카올린, 합성 실리카, 유리,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이온교환 셀룰로오스, 및 규산 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은,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글리세린은 보습제로서 작용하고, 지시부로 되는 잉크층중에 물 등의 용매를 보유하여 탄산가스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pH 지시약의 정색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pH 지시약은, 지시약 그 자체의 색조의 변화로 판단할 뿐만 아니라, 다른 색의 색소와의 혼색에 의한 색조의 변화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본 발명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에는, 착색제를 첨가할 수 있다.
착색제를 첨가하고,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의 색과 혼색시키므로써, 예를 들면 지시약 그 자체의 색조의 변화가 시각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것일 때, 또는 디자인상 원하는 색조가 아닐 때, 시각적으로 판단하기 쉬운 색조, 또는 디자인상 원하는 색조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동일한 목적으로, 백색 이외의 착색된 지지체를 적용하고, 게다가, 본 발명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사용한 지시부를 설치할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면 식용 적색 2호(아마란스), 식용 적색 3호(에리트로신), 식용 적색 40호(알루라 레드 AC), 식용 적색 102호(뉴콕신), 식용 적색 104호(플록신), 식용 적색 106호(액시드 레드), 및 천연계 코치닐 색소 등의 적색 착색제, 식용 황색 4호(타트라진), 식용 황색 5호(선셋 옐로 FCF), 및 천연계 홍화 황색소 등의 황색 착색제, 식용 청색 1호(브릴리언트 블루 FCF), 및 식용 청색 2호(인디고 카르민) 등의 청색 착색제를 들 수 있다.
잉크조성물에 착색제를 첨가하는 이외에, 지지체로서 착색된 것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색조의 변화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밖에 잉크의 도공성 향상을 위해,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의 발색에 영 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약제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니스, 콤파운드, 건조 억제제, 및 드라이어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지지체에의 잉크의 도포방법으로서는, 인쇄법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 요판(凹版)인쇄법, 및 그라비어 인쇄법 등이나, 코팅법 예를 들면 롤 코팅, 스프레이 코팅, 및 딥 코팅 등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시부는, 잉크조성물의 도포량이 비교적 많고,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인쇄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시부를 외장체에 인쇄하고, 본 발명의 인디케이터를 갖는 포장체를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체에 지시부를 연속하여 인쇄하고, 열융착(heat sealing) 및 절단함으로써 포장봉지를 가공하는 경우에는, 지지체를 감아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그라비어인쇄나 철판(凸版)인쇄가 적합하다.
지지체로서는, 본 발명의 잉크조성물과 반응하지 않고, 게다가 시약의 정색을 저해하지 않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체로서, 예를 들면 종이, 합성지, 부직포 또는 합성수지 필름 등을 목적, 사용형태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또, 지시부는, 문자, 도안 등의 패턴을 갖는 잉크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시부로서 문자를 선택한 경우, 상품명 등을 인쇄한 라벨과 겸용할 수도 있다. 더욱이 지시부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지지체를 적당하게 착색해도 좋 다.
본 발명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사용형태로서는, (1) 식품, 음료, 약품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는 가스배리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내를 탄산가스 분위기로 하고, 용기내에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배치하는 방법, (2) 내용물을 수용하는 가스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를 가스배리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외장체로 포장하고, 이 외장체내를 탄산가스 분위기로 함과 동시에 외장체내에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배치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1)의 경우,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배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종이, 합성지, 부직지, 합성수지 필름, 또는 상기 재료중 적어도 2종을 조합시킨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지지체에 인쇄된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단순히 용기내에 넣는 방법, 용기 내면에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접착하는 방법, 또는 용기를 구성하는 재료를 지지체로 함으로써 용기 내면에 본 발명의 잉크조성물을 직접 인쇄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상기 (2)의 경우, 상술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배치는, 용기의 외면, 용기와 외장체 사이의 공간부, 및 외장체의 내면으로 할 수 있다. 용기의 외면 또는 외장체의 내면에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배치하는 방법으로서는, 이 인디케이터를 이들의 면에 접착하는 방법, 또는 본 발명의 잉크조성물을 직접 이들의 면에 인쇄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상기 (1)에 있어서의 가스배리어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내면, 상기 (2)에 있어서의 가스투과성 용기의 외면 또는 가스배리어성 재료로 이루어지 는 외장체의 내면에 본 발명의 잉크조성물을 직접 인쇄하는 경우는, 필름에 본 발명의 잉크조성물을 인쇄 후, 인쇄면을 가스투과성 필름으로 피복할 수도 있고, 피복한 경우는 내용물 또는 용기와의 접촉이 없고, 위생적이고 또한 지시부의 마모도 막을 수 있으므로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는, 산소와 접촉해서 변질될 우려가 있는 식품, 음료, 약품, 또는 탄산가스의 방출에 의해서, 품질의 열화나 약효가 상실될 우려가 있는 식품, 음료, 약품에 적용될 수 있다.
식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차, 커피, 치즈, 햄, 된장 및 생육 등을 들 수 있다. 약품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중탄산염 함유약액, 아미노산 수액제, 지방유제, 항생물질 제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중탄산염 함유약액은, 탄산가스를 방출해서 약효를 상실하는 성질을 갖는 약품이다. 이 때문에, 중탄산염 함유약액을 수납한 용기를 외장체내에 탄산가스와 함께 포장함으로써, 탄산가스의 방출을 방지하면서 보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1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인디케이터(10)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1)의 양면에, 예를 들면 메타크레졸 퍼플, 탄산나트륨,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물로 이루어지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원형상의 패턴으로 스크린 인쇄에 의해 도포하여 얻어진 지시 부(2)가 설치되고, 그 주위를 탄산가스 투과성을 갖는 예를 들면 다공성의 필름(3)으로 포위한 구성을 갖는다. 이 인디케이터의 지시부는, 통상의 공기중에서는, 자주색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지지체(1)의 양면에 지시부(2)를 설치했는데, 한쪽 면에만 지시부를 설치한 구성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이 인디케이터는, 통기성 필름(3)으로 포위되어 있는데, 통기성 필름(3)을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2의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탄산가스 인디케이터(70)는, 한쪽 면에만 지시부를 설치한 예로서, 지지체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실리카를 증착한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탄산가스 불투과성을 갖는 층(71)과, 이 탄산가스 불투과성을 갖는 층(71) 상에 예를 들면 메타크레졸 퍼플, 탄산나트륨,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물로 이루어지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원형상의 패턴으로 스크린 인쇄에 의해 도포하여 얻어진 지시부(2)와, 탄산가스 불투과성을 갖는 층(71) 상에 설치된 지시부(2)를 밀봉하도록 형성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탄산가스 투과성을 갖는 층(7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탄산가스 불투과성이란, 50(ml/m2·24hr) 이하의 탄산가스 투과율을 갖는 것을 말한다.
또, 탄산가스 투과성이란, 500(ml/m2·24hr) 이상의 탄산가스 투과율을 갖는 것을 말한다.
이 탄산가스 인디케이터(70)는, 탄산가스 투과성을 갖는 층(73)측으로부터만 탄산가스를 투과하여 검지하고, 지지체측으로부터는 탄산가스를 투과하지 않는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지지체로서 포장체의 외장체 등을 사용하고, 탄산가스 불투과성을 갖는 층(71)을 외측에, 탄산가스 투과성을 갖는 층(73)이 내측이 되도록 포장체를 작성하고, 이 탄산가스 인디케이터(70)가 포장체내부에서 기능하도록, 포장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포장체는, 분위기의 변화에 대한 응답성이 우수하고, 또한 탄산가스의 유지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보존성이 우수하다.
탄산가스를 투과해야 할 층의 탄산가스 투과율이 500(m1/m2·24hr)보다 낮으면, 탄산가스 분위기 변화에 대한 응답이 늦어져, 판정을 잘못할 우려가 있다.
또, 예를 들면 포장체를 구성할 경우, 탄산가스를 불투과로 해야 할 층의 탄산가스 투과율이 50(ml/m2·24hr)보다 높으면, 포장체내의 탄산가스 분위기를 유지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탄산가스 투과율이 50(ml/m2·24hr) 이하의 수지필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PET) 필름이나 나일론(Ny) 필름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필름상에 실리카나 알루미나 등을 증착한 투명 증착필름, 및 폴리염화 비닐리덴(PVDC)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OH)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필름은 단독으로 또는 적층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사용 목적에 맞는 강도나 내열성 등을 얻기 위해 다른 수지필름을 적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찌르기 강도를 얻기 위해, 나일론 필름 등을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산가스 투과율이 500(ml/m2·24hr) 이상인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류를 들 수 있다. 또한,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미연신 폴리프로필렌은 열융착성을 갖고 있어, 상품포장 봉지 내층으로서 최적이다.
지시부가 인쇄된 지지체와, 탄산가스 투과율이 50(ml/m2·24hr) 이하의 필름과, 탄산가스 투과율이 500(m1/m2·24hr) 이상의 필름, 및 그 밖의 필름을 맞추어 붙이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식이 이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한 드라이라미네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3의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탄산가스 인디케이터(50)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 증착층(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나일론 필름(55)과, 이것에 접착제층(56)을 통해서 적층된, 알루미나 증착층(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57)으로 이루어지는 지지체(1)와, 지지체(1) 상에 형성된 앵커코트층(51)과, 앵커코트층(51) 상에 예를 들면 메타크레졸 퍼플, 탄산나트륨,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물로 이루어지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사용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그라비어 인쇄된 지시부(2)와, 지시부(2)가 인쇄된 앵커코트층(51) 상에, 이 지시부(2)를 밀봉하도록 형성된 오버코트층(52)으로 구성된다. 이 인디케이터 지시부(2)는, 통상의 공기중에서는, 자주색을 나타내고 있다.
지시부(2)중의 pH 지시약은, 용매 예를 들면 물이나 알코올 화합물 등의 친수성 용매를 통해서 반응한다. 이 때문에 지시부(2)는, 이와 같은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시부(2)는, 물이 고이기 쉽고, 외관불량을 일으키기 쉽다. 또, 지시부(2)는, 외적 충격에 약하고, 이 지시부(2) 및 그 주변에서 박리, 파단하기 쉽다. 이 탄산가스 인디케이터(50)와 같이, 지시부(2)를 앵커코트층(51)과 오버코트층(52)에 끼워넣으므로써, 지시부(2)를 구성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보호하고, 외관불량, 박리, 및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내광성, 내열성을 포함한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장기 안정성이 양호하게 된다.
이 앵커코트층(51)으로서는, 비수용성이고, 지지체(1)와 그 위에 형성되는 지시부(2)와의 밀착성이 양호한 재료를, 또, 오버코트층(52)으로서는, 탄산가스 투과성, 지시부(2)와의 밀착성, 및 임의로 지시부(2) 상에 더욱 설치될 수 있는, 예를 들면 접착제층 또는 다른 수지층과의 밀착성이 양호한 재료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료로서, 예를 들면 우레탄계 수지 및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는, 지지체(1)와 지시부(2)의 밀착성을 강하게 하여, 지지체(1)와 지시부(2)와의 박리, 파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폴 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지지체(1)와의 밀착성이 양호하고, 또한 친수기를 갖는다. 친수기의 존재에 의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지시부(2)중의 수분의 비산을 방지하고, 외부 예를 들면 공기중으로부터의 수분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적어도 지시부(2)중의 pH 지시약이 기능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수분의 유지를 돕는 작용을 가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지지체(1)의 한쪽 면에만 지시부를 설치했는데, 지지체(1)의 양면에 지시부(2)를 설치한 구성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지지체(1)의 한쪽 면에만 지시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지지체로서 상술의 탄산가스 불투과성을 갖는 층을, 또, 오버코트층상에 탄산가스 투과성을 갖는 층을 각각적용할 수 있다.
또, 도 5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4의 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탄산가스 인디케이터(60)는, 상술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50)의 개량예로서, 앵커코트층(51) 대신에, 지지체(1) 상에 제 1의 앵커 코트층(53)과 제 2의 앵커코트층(54)의 적층구조가 사용되고 있는 것 이외는, 도 4에 도시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1의 앵커코트층(53)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오버코트층(52)이 밀착되므로써 지시부(2) 및 제 2의 앵커코트층(54)이 2개의 층(52, 53) 내에 봉입되어 있다.
제 1의 앵커코트층으로서는, 지지체(1)와 밀착성이 좋은 비수용성 재료 예를 들면 우레탄계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제 2의 앵커코트층으로서는, 제 1의 앵커코트층 및 지시부(2)와의 밀착성이 양호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친수기를 가지며, 물을 함유하는 지시부(2)에 대해 보수효과를 갖는 재료 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앵커코트층 및 오버코트층의 도포방법으로서는, 인쇄법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 요판인쇄법, 및 그라비어 인쇄법 등이나, 코팅법 예를 들면 롤 코팅, 스프레이 코팅, 및 딥 코팅 등이 매우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탄산가스 인디케이터(60)에서는 , 앵커코트층을 2층으로 나누어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 1의 앵커코트층(53)에 의해, 지지체(1)와 지시부(2)의 밀착성을 강하게 하는 작용, 제 2의 앵커코트층(54)에 의해, 적어도 지시부(2)중의 pH 지시약이 기능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수분을 확보하는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탄산가스 인디케이터(60)는, 도 4에 도시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50)와 같이, 앵커코트층을 1층만 형성하는 것보다도, 보다 강한 밀착성과, 지시부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보수성을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내광성, 내열성을 포함한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장기 안정성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지지체(1)의 한쪽 면에만 지시부를 설치했는데, 지지체(1)의 양면에 지시부(2)를 설치한 구성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지지체(1)의 한쪽 면에만 지시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지지체로서 상술의 탄산가스 불투과성을 갖는 층을, 또, 오버코트층상에 탄산가스 투과성을 갖는 층을 각각적용할 수 있다.
도 6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가스치환 포장체의 제 1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가스치환 포장체(20)는, 예를 들면, 약액, 음료등의 내용물을 수납한 폴리에틸렌제의 용기(11)와, 탄산가스 인디케이터(10)를, 치환가스로서 질소 50 용량%, 이산화탄소 50 용량% 혼합가스(13)를 사용하여, 가스배리어성의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외장체(12)에 봉입한 구성을 갖는다.
이 포장체중의 인디케이터의 지시부(2)는, 봉입시에는 황색을 나타내고 있다. 그렇지만, 포장체에 핀홀 또는 실링 불량 등이 발생하여, 치환가스가 누출되는 대신에 주위의 대기가 혼입되면, 포장체내의 탄산가스 농도가 저하된다. 이 때문에, 인디케이터(10) 주위의 가스 분위기가 변화되어, 지시부(2)의 색조가 황색으로부터 엷은 차색, 나아가서는 자주색으로 pH에 따라 변화된다. 이 색조의 변화를 육안확인함으로써, 포장체내의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분위기가 유지되고 있는지 어떤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탄산가스 인디케이터(10) 대신에, 상술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3의 예 및 제 4의 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가스치환 포장체의 제 2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장체(30)는, 예를 들면 생고기 덩어리 등의 내용물을 진공포장한 폴리에틸렌 필름제의 용기(14)의 표면에, 용기(14)의 외장부를 지지체로서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된 지시부(2)와, 이 지시부(2) 상에 피복된 통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피복층(5)을 갖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18)를 설치하고, 치환가스로서 질소 50용량%, 이산화탄소 50용량% 혼합가스(13)를 사용하여, 가스배리어성 의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외장체(12)로 봉입한 구성을 가진다. 또, 피복층(5)을 설치하지 않는 것 이외는, 도 7의 포장체(3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포장체로 할 수도 있다.
이 포장체(30)에서도, 도 6에 도시하는 포장체와 동일하게, 이 색조의 변화를 육안확인함으로써, 포장체내의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가스 분위기가 유지되고 있는지 어떤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탄산가스 인디케이터(18) 대신에, 상술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2의 예, 제 3의 예 및 제 4의 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가스치환 포장체의 제 3의 예를 나타낸다.
도 6, 도 7에 도시한 포장체 이외에,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시부(2)를 외장체(12) 상에 인쇄, 또는 지시부(2)를 설치한 지지체(1)로 이루어지는 인디케이터(10)를 외장체(12)에 접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포장체와 일체화하여 사용해도 좋다.
이 포장체(40)는, 가스배리어성의 적층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외장체(12)와, 외장체(12) 내면에, 외장체(12)를 지지체로서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에 의해 설치된 지시부(2)를 갖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로 구성된다. 이 포장체(40)는, 예를 들면 2장의 적층필름을 지시부(2)를 내측으로 하여 배치하고, 그 사이에 내용물(16)을 배치한 후, 질소 50용량%, 이산화탄소 50용량% 혼합가스(13)로 치환하면서, 외장체(12) 주변을 열융착에 의해 공기가 새지 않게 밀봉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가스치환 포장체의 제 3의 예에 사용할 수 있 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다.
외장체(12)를 지지체로서, 지시부(2)를 인쇄한 인디케이터의 경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체(12)를 구성하는 가스배리어성 재료(31)의 가스배리어층(32)의 내면에 지시부(2)를 설치하고, 지시부(2)의 내면측을 탄산가스 투과성의 보호필름(33)으로 덮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시부(2)가 노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지시부(2)가 직접, 용기 또는 내용물과 접촉하는 일 없이, 또 제조공정중이나 수송중에 지시부(2)가 마모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대신에, 상술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2의 예, 제 3의 예 및 제 4의 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4의 예를 포장체의 외장체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체로 되는 외장체로서, 예를 들면 알루미나증착층(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나일론 필름(81)과 알루미나증착층(도시하지 않음)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83)을 접착제층(82)을 통해서 적층하여 얻어진 적층필름을 사용한다. 이 적층필름과, 그 위에 도 5에 도시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의 제 4의 예와 동일하게, 제 1의 앵커코트층(53)과 제 2의 앵커코트층(54)의 적층구조, 지시부(2), 및 오버코트층(52)을 차례로 설치함으로써, 탄산가스 인디케이터가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외장체상의 그 밖의 영역에는, 임의로, 예를 들면 상품명 등의 문자, 또는 화상등의 패턴을 갖는 잉크층(17)을 탄산가스 인디케이터(80)의 작 성과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오버코트층(52) 및 잉크층(17) 상에는, 예를 들면 접착층(74)를 통해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실란트층(75)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탄산가스 인디케이터가 설치된 외장체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질소 50용량%, 이산화탄소 50용량% 혼합가스(13)를 치환가스로 하여 내용물을 밀봉함으로써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부착 포장체가 얻어진다.
얻어진 포장체에서는, 지시부의 강한 밀착성과, 지시부에 대한 효과적인 보수성이 실현될 수 있다. 더욱이, 내광성, 내열성을 갖게 한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부착 포장체의 장기 안정성이 양호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여러가지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작성하고, 이산화탄소 함유량에 대한 정색변화를 조사했다.
(실시예 1)
하기 조성을 갖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1을, 페인트 콘디셔너 등으로 미세분산시키므로써 잉크조성물을 얻었다.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1
메타크레졸 퍼플 0.1g
탄산나트륨 1.5g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7.5g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11g
물 70g
지지체로서, 칭량 140g/m2의 JlS 규격 P 3801 화학분석용 여과지를 사용하고, 이 위에, 스크린 인쇄법으로 도포하고, 70℃에서 1시간 건조하여, 인디케이터를 얻었다.
염화비닐리덴코팅 나일론필름(두께 25μm)/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두께 50μm)의 가스배리어성 적층필름을 사용하여, 내용량 50m1의 봉지를 작성했다. 얻어진 봉지중에, 얻어진 인디케이터와, 질소가스와 탄산가스의 혼합가스를, 그 탄산가스의 농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켜서 각각 밀봉하고, 그 정색변화를 보았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1을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2로, 지지체를, 두께 12μm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포장체를 작성하고, 그 정색변화를 보았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2
메타크레졸 퍼플 0.1g
수산화나트륨 1.0g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7.5g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11g
물 70g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1을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3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포장체를 작성하고, 그 정색변화를 보았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3
메타크레졸 퍼플 0.1g
탄산나트륨 1.5g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7.5g
물 78.8g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1을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4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포장체를 작성하고, 그 정색변화를 보았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4
메타크레졸 퍼플 0.1g
탄산나트륨 1.5g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9.7g
물 78.8g
글리세린 11g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4를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5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포장체를 작성하고, 그 정색변화를 보았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5
메타크레졸 퍼플 0.1g
탄산나트륨 1.5g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9.7g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11g
아세트산 2-(2-n-부톡시에톡시) 에틸 78.8g
글리세린 11g
정색성
CO2 농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0% 자주색 자주색 자주색 자주색 자주색
1% 갈색 엷은 갈색∼황 갈색 갈색 갈색
5% 엷은 갈색 엷은 갈색
10%
20%
50%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사용하면, 가스 분위기의 변화를 용이하게 육안확인할 수 있는 색조변화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1을 하기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6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포장체를 작성하고, 그 정색변화를 보았다. 얻어진 결과는 이하와 같았다.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6
페놀프탈레인 0.1g
탄산나트륨 1.5g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9.7g
물 78.8g
식용 청색 1호 0.01g
그 정색성은, 탄산가스가 있는 분위기에서는 청색, 탄산가스가 없는 분위기에서는 자주색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1을 하기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7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포장체를 작성하고, 그 정색변화를 보았다. 얻어진 결과는 이하와 같았다.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7
브로모티몰 블루 0.1g
우레탄 수지 26.1g
물 61.3g
그 정색성은, 탄산가스가 있는 분위기에서는 청색, 탄산가스가 없는 분위기에서는 자주색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1을 하기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8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시험포장체를 작성하고, 그 정색변화를 보았다. 얻어진 결과는 이하와 같았다.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8
브로모티몰 블루 0.1g
우레탄 수지 26.2g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11g
물 61.3g
그 정색성은, 탄산가스가 있는 분위기에서는 황색, 탄산가스가 없는 분위기에서는 청색이었다.
(실험예)
이하에, 본 발명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포장체의 외장체의 일부로서 사용한 경우의 실험예를 나타낸다.
실험예 1 내지 7은, 여러가지 탄산가스 불투과성 필름상에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에 의해 지시부를 인쇄하고, 그 위에 여러가지 탄산가스 투과성 필름을 더 적층한 구성을 갖는 외장체를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실험예 1)
하기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9를 페인트 컨디셔너 등으로 미세분산시키므로써 잉크조성물을 얻었다.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9
메타크레졸 퍼플 1g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7g
물 92g
프로파놀 21g
수산화나트륨 4g
글리세린 5g
12μm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층과 그 한쪽면상에 증착된 40nm의 두께를 갖는 실리카증착층을 갖는 실리카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준비하고, 폴리에스테르 층측에, 상기 잉크조성물을 사용하여 지시부를 그라비어 인쇄법으로 인쇄하고, 지시부가 형성된 폴리에스테르층상에 실란트로서 25μm의 두께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란트가 내측이 되도록 배치하여, 포장봉지를 제작(100mm×100mm)하여, 이산화탄소를 50용량% 첨가한 질소가스를 50m1 충전 밀봉했다. 얻어진 포장봉지에 대하여, 지시부의 응답성, 및 포장봉지중의 탄산가스 농도를 측정했다.
응답성은, 가스충전 후 30분 후까지, 자주색으로부터 황색으로 변화한 것을 양호로 하고, 그것 이외는 불량으로 했다.
탄산가스 농도의 측정은, 40℃의 온도, 75%의 습도의 환경하에서 30일간 보존한 후에 행하고, 지시부도 동시에 관찰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실리카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실란트의 탄산가스 투과율을 각각 측정하고, 하기 표 3에 병기했다.
(실험예 2)
12μm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준비하고,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지시부, 및 실란트를 적층했다. 더욱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지시부와 반대의 면에, 두께 15μm의 나일론 필름상에 두께 20nm의 알루미나 증착층을 갖는 알루미나 증착 나일론 필름을, 그 증착면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밀착하도록 하고,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해서 적층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봉지를 작성하고, 응답성, 및 탄산가스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지시부를 관찰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또, 사용된 것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알루미나증착 나일론 필름의 적층체 및 실란트에 대하여, 그 탄산가스 투과율을 측정하고, 하기 표 3에 병기했다.
(실험예 3)
실험예 2와 동일한 12μm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준비하고,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지시부를 인쇄했다. 그 후, 지시부측에 실란트로서 25μm의 두께를 갖는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했다. 더욱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지시부와 반대의 면에, 폴리염화비닐리덴 1g/m2를 코팅한 15μm의 두께를 갖는 나일론 필름인 K-코팅 나일론 필름을 이 코팅면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밀착하도록 하여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하고,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봉지를 작성하고, 응답성, 및 탄산가스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지시부를 관찰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또, 사용된 것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폴리염화비닐리덴코팅 나일론필름의 적층체, 및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대하여, 그 탄산가스 투과율을 각각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병기했다.
(실험예 4)
실험예 2와 동일한 12μm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준비하고, 실험예 3과 동일하게 지시부 및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적층했다. 더욱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지시부와 반대의 면에, 15μm의 두께를 갖는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했다. 더욱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상에, 12μm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동일하게 적층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봉지를 작성하고, 응답성, 및 탄산가스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지시부를 관찰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또, 사용된 것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층체를 작성하고, 그 적층체 및 미연신 폴리에틸렌 필름 탄산가스 투과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병기했다.
(실험예 5)
실험예 2와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준비하고, 동일하게, 지시부,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적층했다.
더욱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시부와 반대의 면에, 30μm의 두께를 갖는, 나일론(NY)과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OH)와의 공압출 필름을 EVOH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밀착하도록 하여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하고,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봉지를 작성하고, 응답성, 및 탄산가스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지시부를 관찰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또, 사용된 것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NY/EVOH 공압출 필름의 적층체를 작성하고, 그 적층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탄산가스 투과율을 측정하고, 하기 표 3에 병기했다.
(실험예 6)
실험예 2와 동일한 12μm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동일하게 지시부를 인쇄했다. 그 후, 지시부측에 15μm의 두께를 갖는 나일론 필름상에 40μm의 두께를 갖는 실리카증착 나일론 필름을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하고, 우 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실란트로서, 25μm의 두께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더욱 적층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봉지를 작성하고, 응답성, 및 탄산가스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지시부를 관찰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실리카증착 나일론 필름과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적층체를 작성하고, 사용된 것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얻어진 적층체의 탄산가스 투과율을 각각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병기했다.
(실험예 7)
실험예 2와 동일한 12μm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동일하게 지시부를 인쇄했다. 그 후, 지시부측에 25μm의 두께를 갖는 실란트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포장봉지를 작성하고, 응답성, 및 탄산가스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지시부를 관찰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또, 사용된 것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의 탄산가스 투과율을 측정했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실험예 5 실험예 6 실험예 7
탄산가스 투과율 (m1/m2·24hr) 내측 20,000 20,000 20,000 10,000 10,000 0.2 20,000
외측 0.1 0.2 10 1.0 1.0 300 300
응답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응답하지 않음 양호
보존후 탄산가스농도(%) 50% 49% 45% 48% 48% 49% 0.1%
지시부 색조 황색 황색 황색 황색 황색 자주색 자주색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험예 1 내지 5의 포장봉지는, 모두, 응답성이 양호하고, 보존후의 탄산가스 농도도 문제가 없고, 또 지시부의 색조도 탄산가스 농도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실험예 6과 같이, 포장봉지 내측의 탄산가스 투과율이 낮으면 응답성이 나빠지고, 또, 실험예 7과 같이, 포장봉지 전체의 탄산가스 투과율이 높으면, 보존성이 나빠, 탄산가스가 포장봉지내로부터 누출되고 만다.
실험예 1 내지 5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포장봉지의 지시부보다도 외측의 적층체가 50(ml/m2·24hr) 이하의 탄산가스 투과율을 가지고, 포장봉지의 지시부보다도 내측의 적층체가 500(ml/m2·24hr) 이상의 탄산가스 투과율을 가지면, 포장봉지내의 탄산가스 분위기의 변화에 민감하게 응답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가 실현될 수 있고, 또한 포장봉지내의 탄산가스의 유지성이 우수하고, 내용물의 보존성이 우수한 포장봉지로 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지지체상에 앵커코트층을 형성한 후, 지시부를 인쇄하고, 오버코트층 을 더 설치한 구성을 갖는 탄산 인디케이터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실험예 8)
하기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 10을 페인트 콘디셔너 등으로 미세분산시키므로써 잉크조성물을 작성했다.
메타크레졸 퍼플 1g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7g
물 92g
프로파놀 21g
수산화나트륨 4g
글리세린 5g
지지체로서, 40nm의 두께를 갖는 실리카증착층과 폴리에스테르층으로 이루어지는 12μm의 실리카증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준비했다. 그 폴리에스테르층 표면에, 주성분이 우렌탄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1의 앵커코트제, 비닐아세탈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2의 앵커코트제를 그라비어 인쇄법으로 각각, 도포하여, 제 1의 앵커코트층 및 제 2의 앵커코트층을 얻었다.
그 후, 제 2의 앵커코트층상에, 상술의 잉크조성물을 그라비어 인쇄법으로 도포하여, 지시부를 형성했다.
얻어진 지시부상에, 비닐아세탈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1의 오버코트제를 도포하고,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2의 오버코트제의 순서로, 각각, 그라비어 인쇄에 의해 도포하고, 제 1 및 제 2의 오버코트층을 형성했다. 이들을 건조후, 25μm의 두께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우레탄계 접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을 사용해서 맞추어 붙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하여, 하기 평가시험 1 내지 3을 행했다.
평가시험 1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포장체 내부에 50ml의 질소가스/탄산가스의 농도비가 50/50인 혼합가스를 봉입하고, 봉지를 완성하고, 시험 포장봉지를 작성했다. 얻어진 포장봉지의 정색성을 확인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평가시험 2
평가시험 1과 동일한 포장봉지에 대하여, 내광성, 및 내열성을 확인했다. 내광성은 120만 lx*hr 상당, 내열성은 60℃, 2주간의 조건으로 시험을 행하고, 시험종료후에 대기하에 개방한 포장봉지의 지시부가 황색으로부터 자주색으로 변색하는지 확인했다.
내수성 시험은, 얻어진 적층체를 대기하에서 온도 40℃의 온도, 습도 75%의 고온 고습하에 1일간 방치하고, 지시부 표면을 관찰했다. 각각,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평가시험 3
내부에 50m1의 플라스틱 앰플이 든 증류수를 넣고, 50ml의 질소가스/탄산가스의 농도비가 50/50인 혼합가스를 봉입하여, 봉지를 제조하는 이외는, 실험 1과 동일하게 하여 플라스틱 앰플이 든 포장봉지를 얻었다. 이 포장봉지를 20개씩 상자에 채우고, 트럭으로 왕복 200km의 수송시험을 실시했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실험예 9)
비닐아세탈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1의 오버코트층을 생략하는 이외는,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평가시험 1 내지 3을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각각 나타낸다.
(실험예 10)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2의 오버코트층을 생략하는 이외는,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평가시험 1 내지 3을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각각 나타낸다.
(실험예 11)
제 1 및 제 2의 오버코트층을 생략하는 이외는,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평가시험 1 내지 3을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각각 나타낸다.
(실험예 12)
앵커코트층 및 오버코트층으로서,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1의 앵커코트층 및 우레탄계 수지로부터 제 2의 오버코트층만을 형성하는 이외는,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평가시험 1 내지 3을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각각 나타낸다.
(실험예 13)
앵커코트층 및 오버코트층으로서, 비닐아세탈 수지로부터 제 2의 앵커 코트층 및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1의 오버코트층만을 형성하는 이외는,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14와 동일하게 평가시험 1 내지 3을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각각 나타낸다.
(실험예 14)
오버코트층용에, 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2 오버코트제만 사용하고, 앵커코트층을 생략하는 이외는,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평가시험 1 내지 3을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각각 나타낸다.
(실험예 15)
오버코트층 및 앵커코트층을 생략하는 이외는,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평가시험 1 내지 3을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각각 나타낸다.
(실험예 16)
주성분이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1의 앵커코트제, 비닐아세탈 수지 로 이루어지는 제 2의 앵커코트제, 오버코트층용에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오버코트제만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험예 14와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평가시험 1 내지 3을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각각 나타낸다.
(실험예 17)
앵커코트층용에, 주성분이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1의 앵커코트제, 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 2의 앵커코트제, 오버코트층용에 우레탄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오버코트제만을 사용하는 이외는,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사용하여, 실험예 8과 동일하게 평가시험 1 내지 3을 행했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각각 나타낸다.







인디케이터부 구성 정색 안정성
대기하 CO2 내광성 내열성 내수성
실험예 8 우레탄계 앵커코트제/비닐아세탈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비닐아세탈계 오버코트제/우레탄계 오버코트제 자주색
실험예 9 우레탄계 앵커코트제/비닐아세탈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우레탄계 오버코트제 자주색
실험예 10 우레탄계 앵커코트제/비닐아세탈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비닐아세탈계 오버코트제 자주색
실험예 11 우레탄계 앵커코트제/비닐아세탈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 자주색
실험예 12 우레탄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우레탄계 오버코트제 자주색
실험예 13 비닐아세탈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잉크/우레탄계 오버코트제 자주색
실험예 14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우레탄계 오버코트제 자주색
실험예 15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 자주색 ×
실험예 16 아크릴계 앵커코트제/비닐아세탈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아크릴계 오버코트제 자주색 × × /
실험예 17 우레탄계 앵커코트제/아크릴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우레탄계 오버코트제 자주색 × × /
사선: 시험하지 않음
내광성 ○: 양호, 인디케이터부 자주색으로 변색
△: 인디케이터부 자주색∼회색(기능저하는 확인되는데 검지가능)
×: 인디케이터부 황색(검지불가)
내열성 ○: 양호, 인디케이터부 자주색으로 변색
△: 인디케이터부 자주색∼회색(기능저하는 확인되는데 검지가능)
×: 인디케이터부 황색(검지불가)
내수성 ○: 양호
△: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부에 약간의 물고임현상 발생
×: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부에 두드러진 물고임현상 발생
실험예 8 내지 15에서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는 대기하에서는 자주색, 탄산가스하에서는 황색을 나타냈다. 또, 내광성, 내열성, 내수성도 양호 또는 검지가능한 레벨이었다. 실험예 16에서는, 인디케이터부에 물이 고여, 외관불량이 발생했다. 한편, 실험예 17과 같이, 앵커코트제나 오버코트제에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면 인디케이터부는 대기하에서는 자주색, 탄산가스하에서는 황색을 나타냈는데, 내광성, 내열성이 없고, 안정성이 결여되는 것으로 되었다.
인디케이터부 구성 인디케이터부 외관
실험예 8 우레탄계 앵커코트제/비닐아세탈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비닐아세탈계 오버코트제/우레탄계 오버코트제
실험예 9 우레탄계 앵커코트제/비닐아세탈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우레탄계 오버코트제
실험예 10 우레탄계 앵커코트제/비닐아세탈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비닐아세탈계 오버코트제
실험예 11 우레탄계 앵커코트제/비닐아세탈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
실험예 12 우레탄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우레탄계 오버코트제
실험예 13 비닐아세탈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우레탄계 오버코트제
실험예 14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우레탄계 오버코트제
실험예 15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 × 인디케이터부에 박리발생
실험예 16 아크릴계 앵커코트제/비닐아세탈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아크릴계 오버코트제 /
실험예 17 우레탄계 앵커코트제/아크릴계 앵커코트제/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우레탄계 오버코트제 /
사선부: 시험하지 않음
평가시험 1의 결과로부터, 바람직한 오버코트층, 앵커코트층을 사용하면,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및 포장체가 정색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평가시험 2로부터, 바람직한 오버코트층, 앵커코트층을 사용하면,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및 그 포장체는 내광성, 내열성, 내수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비닐아세탈 수지에 의해 내열성이 향상하고, 우레탄 수지에 의해 내수성이 향상했다. 또, 평가시험 3으로부터, 실사용에 있어서도 지시부의 강도가 향상되어 박리가 일어나지 않고, 그 외관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본 발명의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은,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및 포장체 특히 탄산가스 함유 치환가스를 봉입한 포장체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및 포장체를 사용하면, 탄산가스 농도에 의한 지시부의 정색변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치환가스를 봉입한 가스치환 포장체의 핀홀, 및 실링 불량의 발생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7)

  1. 브로모크레졸 그린, 메틸 레드, 클로로페놀 레드, 브로모크레졸 퍼플, 브로모티몰 블루, 뉴트럴 레드, 페놀 레드, 크레졸 레드, α-나프톨프탈레인, 쿠르쿠민, 메타크레졸 퍼플, 에틸비스(2, 4 디니트로페닐)아세테이트, 티몰 블루, p-크실레놀 블루 및 페놀프탈레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pH 지시약,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우레탄 및 아세트산비닐 부분비누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결합제, 및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에스테르류, 알코올류, 및 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흡수제 및 알칼리성 물질중 적어도 1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및 알코올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물 및 알코올중 적어도 1종에 용해 또는 분산되는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6. 지지체와,
    브로모크레졸 그린, 메틸 레드, 클로로페놀 레드, 브로모크레졸 퍼플, 브로모티몰 블루, 뉴트럴 레드, 페놀 레드, 크레졸 레드, α-나프톨프탈레인, 쿠르쿠민, 메타크레졸 퍼플, 에틸비스(2, 4 디니트로페닐)아세테이트, 티몰 블루, p-크실레놀 블루 및 페놀프탈레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pH 지시약,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우레탄 및 아세트산비닐 부분비누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결합제, 및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에스테르류, 알코올류, 및 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용매를 포함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지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50(ml/m2·24hr) 이하의 탄산가스 투과율을 갖는 탄산가스 불투과성층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지시부상에 설치된 500(ml/m2·24hr) 이상의 탄산가스 투과율을 갖는 탄산가스 투과성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지시부 사이에 설치된 앵커코트층, 및 그 지시부를 피복하도록 설치된 오버코트층중 적어도 1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코트층이 우레탄 수지 및 비닐아세탈 수지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이 우레탄 수지 및 비닐아세탈 수지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11. 제 6 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내용물을 수납하는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12. 제 6 항에 있어서, 지지체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포장하기 위한 탄산가스 불투과성을 갖는 외장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용 잉크조성물은, 흡수제 및 알칼리성 물질중 적어도 1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및 알코올중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물 및 알코올중 적어도 1종에 용해 또는 분산되는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은,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
  17. 지지체와,
    브로모크레졸 그린, 메틸 레드, 클로로페놀 레드, 브로모크레졸 퍼플, 브로모티몰 블루, 뉴트럴 레드, 페놀 레드, 크레졸 레드, α-나프톨프탈레인, 쿠르쿠민, 메타크레졸 퍼플, 에틸비스(2, 4 디니트로페닐)아세테이트, 티몰 블루, p-크실레놀 블루 및 페놀프탈레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pH 지시약,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우레탄 및 아세트산비닐 부분비누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결합제, 및
    방향족 탄화수소, 지방족 탄화수소, 에스테르류, 알코올류, 및 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용매를 포함하는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 지시부를 구비하는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탄산가스를 포함하는 가스를 봉입한 외장체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용기와, 이 용기를 포장하 는 탄산가스 불투과성을 갖는 외장체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로서 상기 외장체가 적용되고, 상기 지시부가 이 외장체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50(m1/m2·24hr) 이하의 탄산가스 투과율을 갖는 탄산가스 불투과성층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지시부상에 설치된 500(m1/m2·24hr) 이상의 탄산가스 투과율을 갖는 탄산가스 투과성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지시부 사이에 설치된 앵커코트층, 및 이 지시부를 피복하도록 설치된 오버코트층중 적어도 1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코트층이 우레탄 수지 및 비닐아세탈 수지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코트층이 우레탄 수지 및 비닐아세탈 수지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은, 흡수제 및 알칼리성 물질중 적어도 1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및 알코올중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물 및 알코올중 적어도 1종에 용해 또는 분산되는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은,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KR1020027007452A 1999-12-15 2000-12-08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탄산가스인디케이터, 및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배치한 포장체 KR100743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55915 1999-12-15
JP35591599 1999-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260A KR20020060260A (ko) 2002-07-16
KR100743536B1 true KR100743536B1 (ko) 2007-07-27

Family

ID=18446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452A KR100743536B1 (ko) 1999-12-15 2000-12-08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탄산가스인디케이터, 및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배치한 포장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30045608A1 (ko)
EP (1) EP1266944B1 (ko)
JP (1) JP4240888B2 (ko)
KR (1) KR100743536B1 (ko)
CN (1) CN100340857C (ko)
AT (1) ATE339478T1 (ko)
AU (1) AU774875B2 (ko)
CA (1) CA2393393C (ko)
DE (1) DE60030775T2 (ko)
TW (1) TWI258497B (ko)
WO (1) WO200104438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134A (ko) * 2015-06-11 2016-12-22 주식회사 에이디켐 산염기성 화학물의 검지체
KR20170117266A (ko) * 2016-04-12 2017-10-23 주식회사 에이디켐 산염기성 검지의 산업용 흡수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4356B2 (ja) * 2001-06-14 2010-12-08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及び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を配置した包装体
JP3903303B2 (ja) * 2001-11-14 2007-04-11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ピンホール検知機能付き包装体
JP2003322648A (ja) * 2002-04-30 2003-11-14 Toppan Printing Co Ltd 酸素インジケーター
FI117596B (fi) * 2003-04-24 2006-12-15 Valtion Teknillinen Menetelmä muutoksien toteamiseksi pakkauksessa, menetelmä pakkauksen paikantamiseksi, pakkaus ja järjestelmä pakkauksen paikantamiseksi
JP2005003413A (ja) * 2003-06-10 2005-01-06 Toppan Printing Co Ltd インジケー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体並びに包装容器
TW200632314A (en) * 2004-12-07 2006-09-16 Honeywell Analytics Ag Gas detection method and system
JP2006214857A (ja) * 2005-02-03 2006-08-17 Showa Tansan Co Ltd 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
FI20050809L (fi) * 2005-08-09 2007-02-10 Valtion Teknillinen Värikoostumus, happi- ja/tai pH-indikaattori ja pakkaus
US8062221B2 (en) 2005-09-30 2011-11-22 Nellcor Puritan Bennett Llc Sensor for tissue gas detection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US20070106134A1 (en) 2005-11-10 2007-05-10 O'neil Michael P Medical sensor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EP2067030A2 (en) * 2006-09-25 2009-06-10 Nellcor Puritan Bennett LLC Carbon dioxide detector having borosilicate substrate
US8431087B2 (en) 2006-09-25 2013-04-30 Covidien Lp Carbon dioxide detector having borosilicate substrate
US8431088B2 (en) 2006-09-25 2013-04-30 Covidien Lp Carbon dioxide detector having borosilicate substrate
US8109272B2 (en) 2006-09-25 2012-02-07 Nellcor Puritan Bennett Llc Carbon dioxide-sensing airway products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US8449834B2 (en) 2006-09-25 2013-05-28 Covidien Lp Carbon dioxide detector having borosilicate substrate
US8420405B2 (en) 2006-09-25 2013-04-16 Covidien Lp Carbon dioxide detector having borosilicate substrate
US8396524B2 (en) 2006-09-27 2013-03-12 Covidien Lp Medical sensor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TWI394592B (zh) 2007-02-08 2013-05-01 Otsuka Pharma Co Ltd Brain surface vascular bleeding inhibitor
US20090165801A1 (en) * 2007-12-31 2009-07-02 Nellcor Puritan Bennett Llc Carbon dioxide detector having an acrylic based substrate
JP5568292B2 (ja) * 2009-12-14 2014-08-06 凸版印刷株式会社 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EP2581422A1 (en) * 2011-10-11 2013-04-17 Sicpa Holding Sa Ink coatings for security documents to prevent forgery by means of heat sensitive erasable ink
US9498656B2 (en) 2012-07-11 2016-11-22 B/E Aerospace, Inc. Aircraft crew member protective breathing apparatus
US9545530B2 (en) 2012-07-11 2017-01-17 B/E Aerospace, Inc. Aircraft crew member protective breathing apparatus
CN104076029A (zh) * 2013-03-30 2014-10-01 天津市食品加工工程中心 Co2敏感型指示剂及其制备方法
CN104076121A (zh) * 2013-03-30 2014-10-01 天津市食品加工工程中心 一种凝胶型co2指示剂的制备方法
JP6239105B2 (ja) 2013-07-10 2017-11-29 ビーイー・エアロスペー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B/E Aerospace, Inc. 航空機乗務員の保護呼吸装置
CN103695306A (zh) * 2013-12-19 2014-04-02 兰州大学 多样本土壤呼吸测定贴膜
JP2015219084A (ja) * 2014-05-16 2015-12-0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炭酸ガス検知剤包装体
CN104777162B (zh) * 2015-04-17 2018-02-09 深圳九星印刷包装集团有限公司 色变指示装置
CN104849266A (zh) * 2015-04-17 2015-08-19 深圳九星印刷包装集团有限公司 条件敏感的变色薄膜及其制备方法
WO2017147655A1 (en) * 2016-03-01 2017-09-08 Newsouth Innovations Pty Limited Photosensitive printing composition
CN106153620A (zh) * 2016-06-17 2016-11-23 深圳九星印刷包装集团有限公司 酸敏感时间指示装置
CN106153619B (zh) * 2016-06-17 2020-04-10 深圳九星印刷包装集团有限公司 二氧化碳敏感色变指示装置
CN105911059B (zh) * 2016-06-17 2019-02-15 深圳九星印刷包装集团有限公司 酸敏感色变指示装置
CN106093295B (zh) * 2016-06-17 2018-07-17 深圳九星印刷包装集团有限公司 二氧化碳敏感时间指示装置
CN107179314B (zh) * 2016-09-28 2019-09-03 成都新睿泰康科技有限公司 一种二氧化碳气体检测用组合物和使用该组合物的二氧化碳气体指示剂及其应用
CN106501142A (zh) * 2016-10-28 2017-03-15 清华大学 一种可指示寿命的pm2.5口罩
CN109781716A (zh) 2017-11-13 2019-05-21 塔能股份公司 气体指示器
JP7207329B2 (ja) * 2018-01-23 2023-01-18 Tdk株式会社 ガス検知シート及びガス検知シートを備えた電気化学素子
US11561213B2 (en) 2018-04-09 2023-01-24 Sugar Creek Packing Co.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smoke absorption into food products
US11116229B2 (en) 2018-04-09 2021-09-14 Sugar Creek Packing Co. System for measuring smoke absorption into food products and method of making the system
US10834932B2 (en) 2018-04-09 2020-11-17 Sugar Creek Packing Co. System for measuring smoke absorption into food products and method of making the system
CN109668884A (zh) * 2019-02-20 2019-04-23 河南方舟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监测氧化型消毒剂消毒效果的化学指示剂及监测方法
CN114072279A (zh) * 2019-05-22 2022-02-18 Cj第一制糖株式会社 使用pH感应型变色油墨组合物的pH感应型指示标签和包装材料
GB2593454B (en) * 2020-03-18 2022-08-24 Insignia Tech Ltd Indicator film
WO2021215288A1 (ja) 2020-04-22 2021-10-28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炭酸ガス検知体
CN111830022A (zh) * 2020-07-29 2020-10-27 河北科技大学 一种肉类新鲜度指示阵列、其制备方法及应用
CN112957254A (zh) * 2021-02-04 2021-06-15 南京天华科技开发有限责任公司 二氧化碳指示剂、应用和方法
CN116773514A (zh) * 2023-08-15 2023-09-19 之江实验室 一种二氧化碳检测装置及防护口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0886A (ja) 1986-05-30 1987-12-05 森下仁丹株式会社 使用期間表示具
JPH11174039A (ja) 1997-12-12 1999-07-02 Suzuki Masayuki 酸性ガスの濃度測定物質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4884A (en) * 1980-12-20 1982-06-30 Riken Koryo Kogyo Kk Time indicator
JPS62261060A (ja) * 1986-05-06 1987-11-13 Dainippon Printing Co Ltd pH測定用インキ組成物および検査体
US4994117A (en) * 1986-08-13 1991-02-19 Fehder Carl G Quantitative carbon dioxide detector
US4833091A (en) * 1987-02-06 1989-05-23 Shiley Incorporated Sensor system
JPS63286481A (ja) * 1987-05-20 1988-11-24 Dainichi Color & Chem Mfg Co Ltd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キ組成物
JPS6469951A (en) * 1987-09-11 1989-03-15 Ekika Carbon Dioxide Co Carbon dioxide gas detection indicator
GB8922049D0 (en) * 1989-09-29 1989-11-15 Medical Instrumentation Consul Carbon dioxide monitor
CN1083502A (zh) * 1992-09-02 1994-03-09 四川广播电视大学 防伪彩色印刷油墨
AU676287B2 (en) * 1993-06-03 1997-03-06 Sealed Air New Zealand Limited A gas indicator for a package
JPH07191013A (ja) * 1993-12-24 1995-07-28 Hayashi Kagaku Kogyo Kk pHセンサー色素粒子
JPH08145979A (ja) * 1994-11-18 1996-06-07 Ooe Kagaku Kogyo Kk 炭酸ガス濃度検知剤および検知器
CN1040911C (zh) * 1994-12-03 1998-11-25 中国人民解放军第四七八医院 二氧化碳指示剂及制备方法
KR100304846B1 (ko) * 1996-06-17 2001-09-24 오쓰카 요시미쓰 중탄산염 함유 약액 용기 포장체 및 피에이치인디케이터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0886A (ja) 1986-05-30 1987-12-05 森下仁丹株式会社 使用期間表示具
JPH11174039A (ja) 1997-12-12 1999-07-02 Suzuki Masayuki 酸性ガスの濃度測定物質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134A (ko) * 2015-06-11 2016-12-22 주식회사 에이디켐 산염기성 화학물의 검지체
KR101941931B1 (ko) * 2015-06-11 2019-04-11 주식회사 에이디켐 산염기성 화학물의 검지체
KR20170117266A (ko) * 2016-04-12 2017-10-23 주식회사 에이디켐 산염기성 검지의 산업용 흡수포
KR101941930B1 (ko) * 2016-04-12 2019-01-24 주식회사 에이디켐 산염기성 검지의 산업용 흡수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40888B2 (ja) 2009-03-18
EP1266944A4 (en) 2003-05-14
EP1266944B1 (en) 2006-09-13
DE60030775D1 (de) 2006-10-26
CN1411496A (zh) 2003-04-16
AU774875B2 (en) 2004-07-08
WO2001044385A1 (fr) 2001-06-21
CA2393393A1 (en) 2001-06-21
CN100340857C (zh) 2007-10-03
AU1734601A (en) 2001-06-25
DE60030775T2 (de) 2007-11-15
CA2393393C (en) 2008-03-18
EP1266944A1 (en) 2002-12-18
ATE339478T1 (de) 2006-10-15
US20030045608A1 (en) 2003-03-06
TWI258497B (en) 2006-07-21
KR20020060260A (ko) 200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3536B1 (ko) 탄산가스 검지용 잉크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탄산가스인디케이터, 및 탄산가스 인디케이터를 배치한 포장체
US20100224508A1 (en) Ink composition for sensing carbon dioxide gas, carbon dioxide indicator using the same, package provided with the carbon dioxide indicator, and method for sensing pinhole using the same
JP4028760B2 (ja) 炭酸ガス検知用インキ組成物、これを用いた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を配置した包装体、及びこれを用いたピンホールの検知方法
US6325974B1 (en) Package for decayable foodstuffs
JP2005054048A (ja) 炭酸ガス検知用インキ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並びに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を配置した包装体
US20100215878A1 (en) INK COMPOSITION, OXYGEN AND/OR pH INDICATOR AND PACKAGE
FI117596B (fi) Menetelmä muutoksien toteamiseksi pakkauksessa, menetelmä pakkauksen paikantamiseksi, pakkaus ja järjestelmä pakkauksen paikantamiseksi
JP2004517373A (ja) 包装物の開封検知用タグ
JP4843530B2 (ja) 疎水層を配した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及びこれを備えた包装体
US6676901B1 (en) Oxygen indicator package equipped with oxygen indic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0936999B1 (en) Package for decayable foodstuffs
US20080070307A1 (en) Temperature History Indicator
JP4018930B2 (ja) 酸素インジケーター機能付き包装体
JP4594356B2 (ja) 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及び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を配置した包装体
JP2003093474A (ja) 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を配置した包装体に収容された重炭酸塩含有薬液
JP5568292B2 (ja) 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JPH11190729A (ja) 貼付用酸素検知剤
JP2008195445A (ja) 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付き包装体
JP5469824B2 (ja) 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及び包装体
JP4284481B2 (ja) 酸素検知機能付脱酸素剤包装体
US20230160830A1 (en) Carbon dioxide detector
GB2593454A (en) Indicator film
JP3613659B2 (ja) 酸素検知剤
JP2006056963A (ja) 酸素検知用インキ組成物、酸素インジケーター、及び酸素インジケーターを具備した包装体
JP2004352329A (ja) インジケーター付き包装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