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626B1 - 촬상렌즈 - Google Patents

촬상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626B1
KR100741626B1 KR1020057007021A KR20057007021A KR100741626B1 KR 100741626 B1 KR100741626 B1 KR 100741626B1 KR 1020057007021 A KR1020057007021 A KR 1020057007021A KR 20057007021 A KR20057007021 A KR 20057007021A KR 100741626 B1 KR100741626 B1 KR 10074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ing
aspherical
object side
imag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9290A (ko
Inventor
요지 쿠보타
토시오 마츠이
Original Assignee
가부기키가이샤 나가노 코가쿠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95320A external-priority patent/JP397671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295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95500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기키가이샤 나가노 코가쿠 겐큐쇼 filed Critical 가부기키가이샤 나가노 코가쿠 겐큐쇼
Publication of KR2005005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hre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1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 G02B9/1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arranged + - +
    • G02B9/16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hree components only arranged + - + all the components being simp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Abstract

본 발명의 촬상렌즈(100)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인 제 1 렌즈(1)와, 음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2 렌즈(2)와, 양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3)가 배열되어 있고, 제 2, 제 3 렌즈(2, 3)는 보정렌즈로서 기능한다. 제 1 렌즈(1)에는 강한 파워가 부여되며, 제 2, 제 3 렌즈(2, 3)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으로 되어 있다. 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를 f, 제 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제 1 렌즈(1)의 물체측의 입사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Σd, 제 2 렌즈의 아베수를 υd2라 할 때,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0.50 < f1/f < 1.5 (1)
0.50 <Σd/f < 1.5 (2)
50 > υd2 (3)
고화질의 촬영이 가능한 소형이고 저렴한 촬상렌즈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렌즈{IMAGING LENS}
본 발명은, CCD나 CMOS 등의 수광소자를 이용한 차량탑재용 카메라, 감시용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휴대전화기 탑재용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소형이고 경량의 촬상렌즈에 관한 것이다.
CCD나 CMOS 등의 수광소자를 이용한 감시용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 등에 조립되어 있는 촬상렌즈는, 충실한 피사체의 재현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근에는 CCD 자체나 CCD 카메라가 소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에 조립되는 촬상렌즈에 대해서도 필연적으로 소형화, 콤팩트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CCD 등의 수광소자는 CCD의 소형화와는 정반대로 백만 단위의 고화소화(高畵素化)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것을 이용한 카메라에 사용되는 촬상렌즈도 필연적으로 높은 광학성능의 발휘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높은 광학성능을 발휘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렌즈를 이용하여 수차(收差)보정을 실시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CCD나 CMOS 등의 수광소자는, 각 화소에 수용되는 광선 각도에 제약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것을 무시한 광학계가 조립된 카메라에서는 주변 광량이 감소하여 섀딩(shading)이 발생된다. 종래에는, 이들에 대응하기 위해, 전기적인 보정회로를 설치하는 방법, 수광소자와 한쌍을 이루는 마이크로 렌즈를 배치하거나 하여 소자면에 대한 수광 각도를 확대시키는 등의 방법이 채용되었다. 혹은, 사출동공(exit pupil)의 위치를 상면(像面)으로부터 가능한 한 떨어뜨리도록 하였다.
한편, 촬상렌즈와 CCD의 사이에는 로우패스 필터나 적외선 차단 필터 등을 삽입할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촬상렌즈의 백포커스를 어느 정도 길게 해야 한다는 제약도 있다.
여기서, JP-A 2002-228922호 공보에는 해상도가 높고 렌즈 매수가 적으며, 게다가 콤팩트하게 구성된 촬상렌즈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되어 있는 촬상렌즈는 3군 4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2 렌즈군과 제 3 렌즈군이 단일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변곡점을 포함하는 비구면이 렌즈면으로서 채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섀딩(shading)을 방지하기 위해 수광소자의 소자면에 대한 최대 사출각을 화각(畵角, angle of view))보다 작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백만 단위의 고화소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수차보정을 실시할 수 있는 경량이고 콤팩트한 촬상렌즈를 제안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변곡점을 포함하지 않는 비구면을 렌즈면에 채용하여, 백만 단위의 고화소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수차보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생산에 유리하고, 구성 매수가 적은 경량이고 콤팩트한 촬상렌즈를 제안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의 제 1 발명에 관한 촬상렌즈는, 3군 3매로 구성되어 있고,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positive meniscus)인 제 1 렌즈와, 이것에 이어지는 음의 파워(negative power)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2 렌즈와, 양 혹은 음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를 배열한 구성을 구비하고, 제 2, 제 3 렌즈가 보정 렌즈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렌즈에는 제 2, 제 3 렌즈에 비해 강한 파워가 부여된다. 더욱이, 제 1 렌즈,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 중, 적어도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으로 되어 있다. 이에 덧붙여, 제 3 렌즈의 비구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변곡점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렌즈에 대해서는, 그 양쪽의 렌즈면 중 적어도 한쪽의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상기 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를 f, 제 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제 1 렌즈의 물체측의 입사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Σd, 제 2 렌즈의 아베수(Abbe number)를 υd2라 할 때, 하기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 f1/f < 1.5 (1)
0.5 < Σd/f < 1.5 (2)
50 > υd2 (3)
조건식(1)은, 구면수차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렌즈계 전체를 콤팩트하게 유지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하한을 밑돌면 렌즈계는 콤팩트하게 할 수 있으나, 구면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진다. 또한, 상한을 초과하면, 반대로 구면수차의 보정은 용이해지지만, 렌즈계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없게 된다. 이 조건식을 만족함으로써, 구면수차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렌즈계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렌즈를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로 하고, 이러한 구성과 조건식(1)을 만족함으로써, 촬상렌즈의 전체 길이를 더욱 짧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건식(2)도 렌즈계 전체를 보다 콤팩트하게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특히, 휴대전화기 탑재용 카메라에 채용되는 촬상렌즈에 대해서는, 렌즈계 전체를 소형으로 하는 동시에 렌즈계의 전체 길이를 더욱 짧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조건식(2)를 만족하도록 광학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식(2)의 하한을 밑돌면 렌즈계는 콤팩트하게 할 수 있으나, 각종 수차보정이 어려워진다. 또한, 상한을 웃돌면 렌즈계가 커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조건식(3)은, 제 2 렌즈의 아베수를 50 이하로 하여 축상의 색수차 및 축외의 색수차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촬상렌즈의 제 3 렌즈를, 그 상(像)면측 렌즈면의 주변부가 상면측으로 볼록한 면이 되도록 하는 동시에, 그 물체측 렌즈면 및 상면측 렌즈면에, 하나 혹은 복수의 비구면 변곡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렌즈면을 형성함으로써, 코마수차(coma aberration)와 비점수차(astigmatic aberration)를 양호하게 보정하고, 아울러 왜곡(distortion)도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결상면이 CCD나 CMOS인 경우, 각 화소에 수용되는 광선 각도에 제약이 있고, 화면의 주변부를 향해 광선 각도가 커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라도, 제 3 렌즈의 상면측 렌즈면의 주변부가 상면측을 향해 볼록한 면이 되도록 변곡 비구면으로 하여, 주(主)광선의 최대 사출각을 30도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화면 주변부에 생기는 섀딩을 방지하는 비구면 보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원의 제 2 발명에 따른 촬상렌즈는, 3군 3매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1 렌즈와, 오목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 또는 음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2 렌즈와, 양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가 배열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렌즈,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의 렌즈면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면의 형상은, 그 유효 렌즈면 영역내에 변곡점이 나타나지 않는 비구면 형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3군 3매로 구성된 렌즈계이며, 물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렌즈가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로 되어 있으므로, 렌즈계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렌즈의 물체측의 렌즈면을 오목면으로 함으로써 사출동공의 위치를 길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섀딩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렌즈면에는 변곡점을 갖지 않는 비구면 형상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의 가공 오차나 조립 오차 등에 의해 생기는 해상도의 열화(劣化)를 억제할 수 있어 생산에 적합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촬상렌즈는 그 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를 f, 백포커스를 BF, 제 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제 3 렌즈의 물체측 렌즈면의 곡률을 Ra, 제 3 렌즈의 상면측 렌즈면의 곡률을 Rb라 할 때, 조건식(A) ~ (C)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 f1/f < 1.5 (A)
0.25 < BF/f < 1.0 (B)
1.0 <│Rb/Ra│ (C)
조건식(A)는, 구면수차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렌즈계 전체를 콤팩트하게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그 하한값을 밑돌면 렌즈계는 콤팩트하게 할 수 있으나, 구면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진다. 반대로, 상한값을 초과하면, 구면수차의 보정은 용이해지지만, 렌즈계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없게 된다. 이 조건식을 만족함으로써, 구면수차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렌즈계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렌즈는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과 조건식(A)를 만족함으로써, 촬상렌즈의 전체 길이를 더욱 짧게 할 수 있다.
조건식(B)도 렌즈계 전체를 보다 콤팩트하게 유지하기 위한 조건이다. 특히, 휴대전화기 탑재용 카메라에 채용되는 촬상렌즈에 대해서는, 렌즈계 전체를 소형으로 하는 동시에, 렌즈계의 전체 길이를 더욱 짧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조건식(B)를 만족하도록 광학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식(B)의 하한값을 밑돌면 렌즈계는 콤팩트하게 할 수 있으나, 렌즈계와 CCD 등의 결상면까지의 유기적인 공간이 없어지고, 또한 각종 수차보정이 어려워진다. 반대로, 상한값을 초과하면 렌즈계가 커져 바람직하지 않다.
조건식(C)는, 사출동공과 백포커스에 관한 것으로, 곡률(Ra)의 절대값이 곡률(Rb)의 절대값 이상이 되면, 사출동공 및 백포커스가 짧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결상면이 CCD나 CMOS 등인 경우, 실질적인 개구 효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에 수용되는 광선 각도에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출동공을 길게 하여 주(主)광선의 최대 사출각을 30도 이하로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화면 주변부에 생기는 섀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구면 형상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왜곡보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제 1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에 따른 촬상렌즈의 구성도.
도 2는 본원의 제 1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2에 따른 촬상렌즈의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 1에 따른 촬상렌즈의 수차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실시예 2에 따른 촬상렌즈의 수차도.
도 5는 본원의 제 1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3 및 실시예 5에 따른 촬상렌즈의 구성도.
도 6은 본원의 제 1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4에 따른 촬상렌즈의 구성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 3에 따른 촬상렌즈의 수차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 4에 따른 촬상렌즈의 수차도.
도 9는 도 5에 도시한 실시예 5에 따른 촬상렌즈의 수차도.
도 10은 본원의 제 2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A에 따른 촬상렌즈의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 A에 따른 촬상렌즈의 수차도.
도 12는 본원의 제 2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B 및 실시예 C에 따른 촬상렌즈의 구성도.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 B에 따른 촬상렌즈의 수차도.
도 14는 본원의 제 2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C에 따른 촬상렌즈의 수차도.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3군 3매로 구성된 촬상렌즈의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는 본원의 제 1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에 따른 촬상렌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예의 촬상렌즈(100)는, 물체측으로부터 결상면(6)측을 향해 순서대로,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1 렌즈(1)와, 이것에 이어지는 조리개(4)를 통해, 오목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음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2 렌즈(2)와, 양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3)를 가지며, 제 2, 제 3 렌즈는 보정렌즈로서 기능한다. 본 예에서는 각 렌즈(1, 2, 3)의 양측 렌즈면이 모두 비구면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제 3 렌즈(3)의 제 2 렌즈면(R6)과 결상면(6)의 사이에는 커버유리(5)가 배치되어 있다.
제 3 렌즈(3)에서는, 그 제 1 렌즈면(R5)에서 구경의 대략 50%인 곳에 비구면 변곡점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렌즈면(R6)에서는 구경의 대략 25% 부근에 비구면 변곡점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렌즈(3)의 렌즈 주변의 링형상 부는 결상면측에 대해 볼록면을 형성하고 있고, 전체 화각 63도에 대해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이 22도로 조정되어 있다.
본 예에 따른 촬상렌즈(100)의 전체 광학계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 넘버 : 3.5
초점거리 : f = 5.7mm
전체 길이 : Σd = 7.06mm
표 1A에는 본 예에 따른 촬상렌즈(100)의 각 렌즈면의 렌즈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고, 표 1B에는 각 렌즈면의 비구면 형상을 규정하기 위한 비구면 계수(aspherical coefficients)가 표시되어 있다.
FNo. 3.5 f = 5.7mm Σd = 7.06mm
i R d Nd υd
1* 1.73 1.0 1.5247 56.2
2* 4.46 0.15
3 0.00 0.4
4 0.00 0.5
5* -1.052 0.8 1.585 29.0
6* -1.50 0.1
7* 5.75 1.2 1.5247 56.2
8* 15.25 1.336
9 0.00 0.6 1.51633 64.2
10 0.00 0.9779
11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i k A B C D
1 4.740865×10-2 5.067696×10-3 4.581707×10-3 -6.222765×10-3 3.890559×10-3
2 3.767275×10-1 3.143529×10-3 -1.939397×10-2 9.886734×10-2 -9.132532×10-2
5 -3.275267×10-1 1.603653×10-2 6.356242×10-2 2.087871×10-5 -3.891845×10-2
6 -1.071306 -7.703536×10-3 1.776501×10-2
7 2.361313 -1.916465×10-2 6.266366×10-4 5.086988×10-6 6.795863×10-7
8 0.00 -2.213400×10-2 7.502348×10-4 -3.884072×10-5 -1.070020×10-5
표 1A에서, i는 물체측으로부터 센 렌즈면의 순서를 나타내고, R은 각 렌즈면의 곡률을 나타내며, d는 렌즈면간의 거리를 나타내고, Nd는 각 렌즈의 굴절율을 나타내며, υd는 각 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또한, i에서 별표(*)가 붙은 렌즈면은 비구면임을 나타낸다.
렌즈면에 채용되는 비구면 형상은, 광축방향의 축을 X,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높이를 H, 원추 계수를 k, 비구면 계수를 A, B, C, D로 하면,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05021163530-pct00001
또, 각 기호의 의미 및 비구면 형상을 나타내는 식은 실시예 2, 3, 4, 5에서도 동일하다. 본 예에서는 f1/f = 0.84, Σd/f = 1.24, υd2 = 29이므로, 각 조건식(1) ~ (3)을 만족하고 있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촬상렌즈(100)의 여러 수차를 도시한 수차도이다. 도면에서, SA는 구면수차, OSC는 정현조건(sine condition), AS는 비점수차, DIST는 왜곡을 나타낸다. 비점수차(AS)의 T는 접선(방향의)(tangential)상면, S는 구결(sagittal)상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의 하측에 도시한 수차도는 횡수차를 나타내며, 도면에서, DX는 X 동공 좌표에 관한 횡방향의 X 수차, DY는 Y 동공 좌표에 관한 횡방향의 Y 수차를 나타낸다. 이들 기호의 의미는 실시예 2, 3, 4, 5의 여러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에서도 동일하다.
(실시예 2)
도 2는 본원의 제 1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2에 따른 촬상렌즈의 구성도이다. 본 예의 촬상렌즈(110)에서는, 물체측으로부터 결상면(16)측을 향해 순서대로,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인 제 1 렌즈(11)와, 개구 조리개(14)를 통해, 오목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인 제 2 렌즈(12)와, 양쪽이 볼록렌즈인 제 3 렌즈(13)가 배열되어 있다. 제 3 렌즈(13)의 물체측의 제 1 렌즈면(R5)에는, 렌즈 구경의 대략 48%인 곳에 비구면 변곡점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상면측의 제 2 렌즈면(R6)은 볼록면의 연장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3 렌즈(13)의 렌즈면을 형성함으로써, 전체 화각 63도에 대해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은 23.5도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예의 제 1 렌즈(11), 제 2 렌즈(12) 및 제 3 렌즈(13)의 각 렌즈면도 모두 비구면으로 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도 제 3 렌즈(13)의 제 2 렌즈면(R6)과 결상면(16)의 사이에는 커버 유리(15)가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 따른 촬상렌즈(110)의 전체 광학계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 넘버 : 3.5
초점거리 : f = 5.7mm
전체 길이 : Σd = 6.985mm
표 2A에는 본 예에 따른 촬상렌즈(110)의 각 렌즈면의 렌즈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고, 표 2B에는 각 렌즈면의 비구면형상을 규정하기 위한 비구면 계수가 표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f1/f = 0.70, Σd/f = 1.23, υd2 = 29이므로, 각 조건식(1) ~ (3)을 만족하고 있다. 또한, 도 4에는 그 수차도가 도시되어 있다.
FNo. 3.5 f = 5.7mm Σd = 6.985mm
i R d Nd υd
1* 1.386 1.0 1.5247 56.2
2* 3.087 0.15
3 0.00 0.18
4 0.00 0.47
5* -0.953 0.9 1.585 29.0
6* -2.016 0.1
7* 6.57 1.2 1.5247 56.2
8* -6.15 1.336
9 0.00 0.6 1.51633 64.2
10 0.00 1.0489
11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i k A B C D
1 -2.414289×10-1 1.704389×10-2 -7.630913×10-4 1.397945×10-2 -5.89427×10-3
2 7.215993×10-1 -3.474378×10-3 -7.800064×10-2 9.886734×10-2 -9.132532×10-2
5 5.484851××10-1 1.097456×10-1 -2.023164×10-1 5.6317100×10-1 -5.506715×10-1
6 -1.456663 -2.197336×10-2 -1.003731×10-2
7 -3.168123 -1.446476×10-2 1.192514×10-3 3.793835×10-5 -7.112863×10-6
8 0.00 -1.342604×10-3 -1.088183×10-3 -8.566835×10-6 7.766112×10-6
상기 실시예 1, 2의 촬상렌즈(100, 110)에서는, 물체측의 제 1 렌즈(1, 11)로서 렌즈면의 양면이 비구면인 렌즈를 이용하고 있으나, 제 1 렌즈에 대해서는, 렌즈면의 양면이 구면인 렌즈를 이용하거나, 또는 양면의 렌즈면 중, 적어도 한쪽의 렌즈면이 비구면인 렌즈를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5에는 본원의 제 1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3에 따른 촬상렌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예의 촬상렌즈(120)는, 물체측으로부터 결상면(26)측을 향해 순서대로,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1 렌즈(21)와, 이것에 이어지는 조리개(24)를 통해, 오목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음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2 렌즈(22)와, 음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23)를 가지며, 제 2, 제 3 렌즈는 보정렌즈로서 기능한다. 제 3 렌즈(23)와 결상면(26)의 사이에는 커버 유리(25)가 배치되어 있다. 제 3 렌즈(23)는, 결상면측의 제 2 렌즈면(R6)이 렌즈 주변의 링형상부가 결상면측에 대해 볼록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은 24도 이하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 각 렌즈(21, 22, 23) 중, 제 1 렌즈(21)는 렌즈면의 양면이 구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 2 및 제 3 렌즈(22, 23)는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로 양측의 렌즈면이 모두 비구면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 따른 촬상렌즈(120)의 전체 광학계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 넘버 : 3.5
초점거리 : f = 5.7mm
전체 길이 : Σd = 6.46mm
표 3A에는 본 예에 따른 촬상렌즈(120)의 각 렌즈면의 렌즈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고, 표 3B에는 각 렌즈면의 비구면 형상을 규정하기 위한 비구면 계수가 표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f1/f = 0.73, Σd/f = 1.13, υd2 = 29이므로, 각 조건식(1) ~ (3)을 만족하고 있다. 또한, 도 7에는 그 수차도가 도시되어 있다.
FNo. 3.5 f = 5.7mm Σd = 6.46mm
i R d Nd υd
1 1.621 1.0 1.5247 56.2
2 5.009 0.15
3 0.00 0.4
4 0.00 0.5
5* -1.207 0.8 1.585 29.0
6* -1.644 0.1
7* 10.993 1.2 1.5247 56.2
8* 7.773 1.336
9 0.00 0.6 1.51633 64.2
10 0.00 0.3726
11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i k A B C D
5 -2.567837×10-1 3.208279×10-2 -1.916911×10-1 3.791361×10-1 -3.067684×10-1
6 -9.161619×10-1 -2.732818×10-3 1.984030×10-2
7 6.274432 -2.566783×10-2 3.344091×10-3 8.712945×10-5 -2.670618×10-5
8 0.00 -3.171232×10-2 1.875582×10-3 -2.705621×10-4 1.570770×10-5
(실시예 4)
도 6은 본원의 제 1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4에 따른 촬상렌즈의 구성도이다. 본 예의 촬상렌즈(130)에서는, 물체측으로부터 결상면(36)측을 향해 순서대로,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인 제 1 렌즈(31)와, 개구 조리개(34)를 통해, 오목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음의 메니스커스 렌즈인 제 2 렌즈(32)와, 양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33)가 배열되어 있다. 제 3 렌즈(33)와 결상면(36)의 사이에는 커버 유리(35)가 배치되어 있다. 제 3 렌즈(33)는, 제 2 렌즈면(R6)이 렌즈 주변의 링형상부가 결상면측에 대해 볼록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은 24도 이하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각 렌즈(31, 32, 33) 중, 제 1 렌즈(31)는 렌즈면의 양면이 구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 2 및 제 3 렌즈(32, 33)는 실시예 1, 2, 3과 마찬가지로 양측의 렌즈면이 모두 비구면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 따른 촬상렌즈(130)의 전체 광학계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 넘버 : 3.5
초점거리 : f = 5.7mm
전체 길이 : Σd = 6.66mm
표 4A에는 본 예에 따른 촬상렌즈(130)의 각 렌즈면의 렌즈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고, 표 4B에는 각 렌즈면의 비구면 형상을 규정하기 위한 비구면 계수가 표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f1/f = 0.77, Σd/f = 1.17, υd2 = 29이므로, 각 조건식(1) ~ (3)을 만족하고 있다. 또한, 도 8은 그 수차도이다.
FNo. 3.5 f = 5.7mm Σd = 6.66mm
i R d Nd υd
1 1.626 1.2 1.4970 81.6
2 4.76 0.15
3 0.00 0.4
4 0.00 0.5
5* -1.036 0.8 1.585 29.0
6* -1.51 0.1
7* 4.90 1.1 1.5247 56.2
8* 6.80 0.81
9 0.00 0.6 1.51633 64.2
10 0.00 1.0
11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i k A B C D
5 -6.210503×10-1 3.611876×10-2 -2.806078×10-1 5.465960×10-1 -4.831922×10-1
6 -1.143408 4.811894×10-3 1.896129×10-3
7 1.531998 -2.174083×10-2 2.450461×10-3 -2.581896×10-4 1.113489×10-5
8 0.00 -3.318003×10-2 4.413864×10-3 -5.477590×10-4 2.739709×10-5
(실시예 5)
다음으로,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 3의 촬상렌즈(120)에서, 렌즈면의 양면이 구면으로 형성된 제 1 렌즈(21) 대신에, 한 쪽의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의 렌즈면이 구면으로 형성된 제 1 렌즈(41)를 이용하는 촬상렌즈(140)를 설명한다. 또, 도 5에서 촬상렌즈(140), 제 1 렌즈(41)는 부호에 괄호를 하여 나타내고, 기타 각 부의 구성은 실시예 3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촬상렌즈(140)는, 물체측으로부터 결상면(26)측을 향해 순서대로,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1 렌즈(41)와, 이것에 이어지는 조리개(24)를 통해, 오목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음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2 렌즈(22)와, 양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23)를 가지며, 제 2, 제 3 렌즈는 보정렌즈로서 기능한다. 제 3 렌즈(23)와 결상면(26)의 사이에는 커버 유리(25)가 배치되어 있다. 제 3 렌즈(23)는, 결상면측의 제 2 렌즈면(R6)이 렌즈 주변의 링형상부가 결상면측에 대해 볼록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은 24도 이하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 각 렌즈(41, 22, 23) 중, 제 1 렌즈(41)는 양면의 렌즈면 중, 물체측의 제 1 렌즈면(R1)이 비구면으로 되어 있고, 결상면측의 제 2 렌즈면(R2)이 구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 2 및 제 3 렌즈(22, 23)는 양측의 렌즈면이 모두 비구면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 따른 촬상렌즈(140)의 전체 광학계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 넘버 : 3.5
초점거리 : f = 5.7mm
전체 길이 : Σd = 7.07mm
표 5A에는 본 예에 따른 촬상렌즈(140)의 각 렌즈면의 렌즈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고, 표 5B에는 각 렌즈면의 비구면 형상을 규정하기 위한 비구면 계수가 표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f1/f = 0.83, Σd/f = 1.24, υd2 = 29이므로, 각 조건식(1) ~ (3)을 만족하고 있다. 또한, 도 9에는 그 수차도가 도시되어 있다.
FNo. 3.5 f = 5.7mm Σd = 7.07mm
i R d Nd υd
1* 1.77 1.0 1.5247 56.2
2 4.973 0.15
3 0.00 0.4
4 0.00 0.5
5* -1.074 0.8 1.5850 29.0
6* -1.584 0.1
7* 5.516 1.2 1.5247 56.2
8* 19.41 1.336
9 0.00 0.6 1.51633 64.2
10 0.00 0.985
11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i k A B C D
1 -4.356005×10-2 8.423055×10-3 -4.071931×10-3 4.637228×10-3 -1.088690×10-3
5 -3.998108×10-1 3.950244×10-2 -4.246316×10-2 1.535713×10-1 -1.460498×10-1
6 -1.324467 -1.748017×10-3 1.297864×10-2
7 3.313169 -2.172623×10-2 1.551952×10-3 -2.195645×10-5 -1.380375×10-5
8 0.00 -2.288283×10-2 1.359618×10-3 -1.163401×10-4 1.446310×10-6
(실시예 A)
도 10은 본원의 제 2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A에 따른 촬상렌즈의 구성도이다. 본 예의 촬상렌즈(200)는, 물체측으로부터 결상면(206)측을 향해 순서대로,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1 렌즈(201)와, 조리개(204)와, 오목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음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2 렌즈(202)와, 양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203)가 배열되어 있다. 제 3 렌즈(203)의 제 2 면(203b)과 결상면(206)의 사이에는 커버 유리(205)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렌즈(201)의 양측의 렌즈면(201a, 201b), 제 2 렌즈(202)의 양측의 렌즈면(202a, 202b) 및 제 3 렌즈(203)의 양측의 렌즈면(203a, 203b)이 비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 채용되어 있는 비구면 형상은, 모두 각 렌즈면에서 그 유효 렌즈면 영역에 변곡점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촬상렌즈(200)의 전체 광학계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 넘버 : 2.8
초점거리 : f = 3.65mm
백포커스 : BF = 1.863mm
제 1 렌즈(201)의 초점거리 : f1 = 3.769mm
표 6A, 6B에는 촬상렌즈(200)의 각 렌즈면의 렌즈 데이터 및 각 렌즈면의 비구면 형상을 규정하기 위한 비구면 계수가 표시되어 있다.
FNo. 2.8, f = 3.65mm
i R d Nd υd
1* 1.153 0.8 1.5247 56.2
2* 2.105 0.15
3 0.00 0.35
4* -1.066 0.7 1.5850 29.0
5* -1.546 0.1
6* 3.180 0.9 1.5247 56.2
7* 60.657 0.563
8 0.00 0.3 1.51633 64.2
9 0.00 1.0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i k A B C D
1 4.577272×10-1 -3.645425×10-3 -2.554281×10-2 2.607501×10-2
2 -2.153226 5.788633×10-2 4.7621418×10-1
4 -2.641633×10-2
5 -6.245341×10-1
6 -1.167034×10 1.864785×10-2 -1.905218×10-3 -6.772919×10-4 2.049794×10-4
7 -1.749072×105
표 6A 및 표 6B에서, i는 물체측으로부터 센 렌즈면의 순서를 나타내고, R은 렌즈면의 광축(L)상에서의 곡률을 나타내며, d는 렌즈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Nd는 각 렌즈의 굴절율을 나타내며, υd는 각 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또한, i에 별표(*)가 붙은 렌즈면은 비구면임을 나타낸다. 렌즈면에 채용되는 비구면 형상은 실시예 1의 설명에서 게재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 각 기호의 의미 및 비구면 형상을 나타내는 식은, 이하의 실시예 B, C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예에서, 제 1 렌즈(201)의 초점거리(f1)는, 0.5f(=1.825mm)와 1.5f(=5.475mm)의 범위내의 값이며, 조건식(A)를 만족하고 있다. 또한, BF/f의 값은 0.5109…이며, 조건식(B)를 만족하고 있다. 더욱이, 제 3 렌즈(203)의 물체측의 렌즈면(203a)의 곡률(Ra)은 3.180이며, 상면측 렌즈면(203b)의 곡률(Rb)은 60.657이므로, Rb/Ra = 19.074…가 되어, 조건식(C)를 만족하고 있다. 또한,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이 30도 이하이다.
도 11은 실시예 A에 따른 촬상렌즈의 여러 수차를 도시한 수차도이다. 도 11의 (a)는 구면수차(SA), 도 11의 (b)는 비점수차(AS), 도 11의 (c)는 왜곡(DIST)을 각각 나타내는 수차도이다. 비점수차(AS)의 T는 접선(방향) 상면, S는 구결상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11의 (d)는 횡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로서, DX는 X 동공 좌표에 관한 횡방향의 X 수차, DY는 Y 동공 좌표에 관한 횡방향의 Y 수차를 나타낸다. 이들 기호의 의미는 후술하는 실시예 B, C에서도 동일하다.
(실시예 B)
도 12는 본원의 제 2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B에 따른 촬상렌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촬상렌즈(210)는 물체측으로부터 결상면(216)을 향해,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1 렌즈(211)와, 조리개(214)와, 오목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2 렌즈(212)와, 양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213)가 이러한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제 3 렌즈(213)와 결상면(216)의 사이에는 실시예 A와 마찬가지로 커버 유리(215)가 배치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 제 1 렌즈(211)의 양측의 렌즈면(211a, 211b)과, 제 2 렌즈(212)의 양측의 렌즈면(212a, 212b)과, 제 3 렌즈(213)의 상면측의 렌즈면(213b)이 비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비구면 형상은 모두 각 렌즈면에서 그 유효 렌즈면 영역에 변곡점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본 예의 촬상렌즈에 대한 전체 광학계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 넘버 : 3.5
초점거리 : f = 3.5mm
백포커스 : BF = 1.992mm
제 1 렌즈(211)의 초점거리(f1) = 4.733mm
표 7A 및 표 7B에는, 본 예에 따른 촬상렌즈(210)의 각 렌즈면의 렌즈 데이터 및 각 렌즈면의 비구면 형상을 규정하기 위한 비구면 계수가 표시되어 있다.
FNo. 3.5, f = 3.50mm
i R d Nd υd
1* 1.155 0.8 1.5850 29.0
2* 1.475 0.25
3 0.00 0.25
4* -1.234 0.8 1.5247 56.2
5* -1.31 0.15
6 5.87 0.75 1.6070 29.9
7* -27.245 0.3
8 0.00 0.6 1.51633 64.2
9 0.00 1.092
10
11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i k A B C D
1 6.288194×10-1 8.880798×10-3 -3.552012×10-2 5.541189×10-2 -2.595815×10-3
2 5.605423 -5.846783×10-2 3.132873×10-1 7.279427 -2.513030×10
4 2.369842 1.156048×10-1 1.324990
5 4.089558×10-1 5.253695×10-2 1.227547×10-1 -5.871821×10-2 9.212771×10-2
7 0.00 -1.935001×10-2 1.343275×10-3
본 예에서, 제 1 렌즈(211)의 초점거리(f1)는, 0.5f(=1.75mm)와 1.5f(=5.25mm)의 범위내의 값이며, 조건식(A)를 만족하고 있다. 또한, BF/f의 값은 0.549…이며, 조건식(B)를 만족하고 있다. 더욱이, 제 3 렌즈(213)의 물체측 렌즈면(213a)의 곡률(Ra)은 5.87이며, 상면측 렌즈면(213b)의 곡률(Rb)은 -27.245이므로, │Rb/Ra│ = 4.641…이 되어 조건식(C)를 만족하고 있다. 또한,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이 30도 이하이다.
도 13의 (a) ~ (d)는 본 예의 촬상렌즈(20)의 여러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다.
(실시예 C)
본원의 제 2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C에 따른 촬상렌즈의 구성은 실시예 B의 촬상렌즈(210)의 구성과 동일하며, 물체측으로부터 결상면(216)을 향해 순서대로,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1 렌즈(211)와, 조리개(214)와, 오목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음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인 제 2 렌즈(212)와, 양의 파워를 갖는 제 3 렌즈(213)가 배열되어 있다. 제 3 렌즈(213)와 결상면(216)의 사이에는 커버 유리(215)가 배치되어 있다. 그런데, 본 예에서는 제 1 렌즈(211)의 양측의 렌즈면(211a, 211b), 제 2 렌즈(212)의 양측의 렌즈면(212a, 212b) 및 제 3 렌즈(213)의 양측의 렌즈면(213a, 213b)이 각각 비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비구면 형상은 모두 각 렌즈면에서 그 유효 렌즈면 영역에 변곡점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다.
본 예의 촬상렌즈에 대한 전체 광학계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 넘버 : 2.8
초점거리 : f = 3.60mm
백포커스 : BF = 1.967mm
제 1 렌즈(211)의 초점거리(f1) = 3.844mm
표 8A 및 표 8B에는, 본 예에 따른 촬상렌즈의 각 렌즈면의 렌즈 데이터 및 각 렌즈면의 비구면 형상을 규정하는 비구면 계수가 표시되어 있다.
FNo. 2.8, f = 3.60mm
i R d Nd υd
1* 1.109 0.85 1.5247 56.2
2* 1.814 0.25
3 0.00 0.25
4* -0.908 0.7 1.585 29.0
5* -1.638 0.1
6* 3.115 0.95 1.5247 56.2
7* -4.464 0.4
8 0.00 0.3 1.51633 64.2
9 0.00 1.267
10
11
(* 표시는 비구면을 나타낸다)
i k A B C D
1 3.430395×10-1 5.175761×10-3 1.822436×10-3 -3.968977×10-2 4.390863×10-2
2 -1.192756×10 2.602025×10-1 2.316038×10-1
4 4.565904×10-1
5 -7.957068×10-1 -1.046904×10-1 7.812309×10-3
6 -2.865732×10 -1.057338×10-2 1.542895×10-2 -6.212535×10-3 8.950190×10-4
7 -2.000000 -7.488042×10-3
본 예에서 제 1 렌즈(211)의 초점거리(f1)는, 0.5f(=1.80mm)와 1.5f(=5.40mm)의 범위내의 값이며, 조건식(A)를 만족하고 있다. 또한, BF/f의 값은 0.546…이며, 조건식(B)를 만족하고 있다. 더욱이, 제 3 렌즈(213)의 물체측 렌즈면(213a)의 곡률(Ra)은 3.115이며, 상면측 렌즈면(213b)의 곡률(Rb)은 -4.464이므로, │Rb/Ra│ = 1.433…이 되어 조건식(C)를 만족한다. 또한,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은 30도 이하이다.
도 14의 (a) ~ (d)는 본 예에 따른 촬상렌즈의 여러 수차를 나타내는 수차도이다.
(제 2 발명에 대한 기타의 실시형태)
실시예 A, C에서는 제 1 ~ 제 3 렌즈의 양측의 렌즈면이 모두 비구면으로 되어 있으며, 실시예 B에서는 제 1 렌즈의 양측의 렌즈면과 제 2 렌즈의 양측의 렌즈면과 제 3 렌즈의 상면측의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되어 있다. 물론, 이들 렌즈면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면이 비구면이고, 다른 렌즈면이 구면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의 제 1 발명에 따른 촬상렌즈는, 3군 3매로 구성된 렌즈로서, 제 2 렌즈와 제 3 렌즈는 보정렌즈이고, 물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렌즈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로서,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해 있다. 그 결과, 렌즈계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3 렌즈의 렌즈면은, 하나 내지 복수의 비구면 변곡점이 형성된 비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하는 동시에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을 작게 하여 섀딩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 2 렌즈 및 제 3 렌즈의 2매의 보정 렌즈에 의해, 수차보정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백만 단위의 고화소에 대응된 소형이고 콤팩트한 촬상렌즈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 2 발명에 관한 촬상렌즈는 3군 3매로 구성된 렌즈계로서, 물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렌즈가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메니스커스 렌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계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렌즈의 물체측의 렌즈면을 오목면으로 함으로써 사출동공의 위치를 길게 할 수 있으며, 이로써 섀딩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렌즈면에는 변곡점을 갖지 않는 비구면 형상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렌즈의 가공오차나 조립오차 등에 의해 생기는 해상 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어 생산에 적합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생산에 적합하며 백만 단위의 고화소에 대응되고 구성 렌즈의 매수가 적은 소형이면서 콤팩트한 촬상렌즈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7)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 1 렌즈와, 제 2 렌즈와, 제 3 렌즈를 가지고,
    상기 제 1 렌즈는 볼록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양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 렌즈이며,
    상기 제 2 렌즈는 오목면이 물체측을 향하는 음의 파워를 갖는 메니스커스 렌즈이고,
    상기 제 3 렌즈는 양 혹은 음의 파워를 갖는 렌즈이며,
    상기 제 1 렌즈는 상기 제 2, 제 3 렌즈에 비해 강한 파워를 가지고,
    이들 제 1, 제 2 및 제 3 렌즈의 렌즈면, 또는 상기 제 2 및 제 3 렌즈의 렌즈면은 양면이 모두 비구면이며,
    상기 제 3 렌즈의 상기 비구면에는, 하나 혹은 복수의 비구면 변곡점을 가지게 하는 촬상렌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는, 양면의 렌즈면 중,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이 비구면인 촬상렌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를 f, 상기 제 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이라 할 때,
    0.5 < f1/f < 1.5
    인 촬상렌즈.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를 f, 제 1 렌즈의 물체측의 입사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Σd라 할 때,
    0.5 < Σd/f < 1.5
    인 촬상렌즈.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즈의 아베수를 υd2라 할 때,
    50 > υd2
    인 촬상렌즈.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촬상렌즈의 주(主)광선의 최대 사출각이 30도 이하인 촬상렌즈.
  7.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렌즈는 상면(像面)측의 렌즈면의 주변부가 상면측으로 볼록한 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렌즈면 및 상기 제 2 렌즈면에 하나 혹은 복수의 비구면 변곡점이 형성되어 있는 촬상렌즈.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렌즈의 합성초점거리를 f, 상기 제 1 렌즈의 초점거리를 f1, 상기 제 1 렌즈의 물체측의 입사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Σd, 상기 제 2 렌즈의 아베수를 υd2라 할 때,
    0.5 < f1/f < 1.5
    0.5 < Σd/f < 1.5
    50 > υd2
    인 촬상렌즈.
  9. 제 8항에 있어서,
    촬상렌즈의 주광선의 최대 사출각이 30도 이하인 촬상렌즈.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렌즈는, 상면측의 렌즈면의 주변부가 상면측으로 볼록한 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렌즈면 및 상기 제 2 렌즈면에 하나 혹은 복수의 비구면 변곡점이 형성되어 있는 촬상렌즈.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57007021A 2002-10-25 2003-10-22 촬상렌즈 KR100741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0376 2002-10-25
JP2002310376 2002-10-25
JPJP-P-2002-00376228 2002-12-26
JP2002376228 2002-12-26
JP2003295320A JP3976714B2 (ja) 2002-10-25 2003-08-19 撮影レンズ
JP2003295296A JP3955000B2 (ja) 2003-08-19 2003-08-19 撮像レンズ
JPJP-P-2003-00295296 2003-08-19
JPJP-P-2003-00295320 2003-08-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4495A Division KR100788546B1 (ko) 2002-10-25 2003-10-22 촬상렌즈
KR1020077003358A Division KR20070022166A (ko) 2007-02-12 2003-10-22 디지털 카메라용 촬상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290A KR20050059290A (ko) 2005-06-17
KR100741626B1 true KR100741626B1 (ko) 2007-07-23

Family

ID=3218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021A KR100741626B1 (ko) 2002-10-25 2003-10-22 촬상렌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7251083B2 (ko)
EP (1) EP1562061A1 (ko)
KR (1) KR100741626B1 (ko)
AU (1) AU2003275598A1 (ko)
WO (1) WO20040384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7366B2 (ja) * 2004-04-23 2010-10-2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撮像レンズ
CN100501486C (zh) * 2004-05-25 2009-06-1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码相机镜头
JP3594088B1 (ja) * 2004-06-02 2004-11-24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2005352317A (ja) * 2004-06-11 2005-12-22 Sony Corp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CN100445793C (zh) * 2004-10-15 2008-12-24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镜头组
JP3857713B2 (ja) * 2005-05-25 2006-12-1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撮像レンズ
JP2007003768A (ja) * 2005-06-23 2007-01-11 Konica Minolta Opto Inc 撮影レンズ
US7508606B2 (en) 2005-07-29 2009-03-24 Flextronics Ap Llc Method of aligning the upper and lower centering bells of a lens doublet assembly machine
US7590505B2 (en) * 2005-09-08 2009-09-15 Flextronics Ap, Llc Manufacturable micropositioning system employing sensor target
US7531773B2 (en) 2005-09-08 2009-05-12 Flextronics Ap, Llc Auto-focus and zoom module having a lead screw with its rotation results in translation of an optics group
US7573011B2 (en) * 2005-09-08 2009-08-11 Flextronics Ap, Llc Zoom module using actuator and lead screw with translating operation
JP4804858B2 (ja) 2005-09-29 2011-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単焦点レンズ
JP4804856B2 (ja) 2005-09-29 2011-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単焦点レンズ
JP4804857B2 (ja) 2005-09-29 2011-11-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単焦点レンズ
JP2007155868A (ja) 2005-12-01 2007-06-21 Sony Corp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4937693B2 (ja) * 2006-03-28 2012-05-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
US8112128B2 (en) * 2006-08-31 2012-02-07 Flextronics Ap, Llc Discreetly positionable camera housing
TWI347449B (en) * 2006-09-07 2011-08-21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lens assembly for taking image
US7580209B2 (en) * 2006-09-15 2009-08-25 Flextronics Ap, Llc Auto-focus and zoom module with vibrational actuator and position sensing method
KR100809251B1 (ko) * 2006-10-10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0809252B1 (ko) * 2006-10-10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촬상 광학계
JP4189768B2 (ja) * 2006-10-16 2008-12-0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4861798B2 (ja) * 2006-11-21 2012-01-2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撮像レンズおよびこれを備えた撮像装置
US7477461B2 (en) * 2006-12-22 2009-01-13 Flextronics Ap, Llc Three-element photographic objective with reduced tolerance sensitivities
KR100878360B1 (ko) * 2007-01-29 2009-01-12 마이크롭틱스 주식회사 촬상 렌즈
US7460314B2 (en) * 2007-02-28 2008-12-02 E-Pin Optical Industry Co., Ltd Three-piece type optical lens
TW200837418A (en) * 2007-03-13 2008-09-16 Asia Optical Co Inc Slim lens
JP2008241999A (ja) * 2007-03-27 2008-10-09 Fujinon Corp 撮像レンズ
JP3963943B1 (ja) * 2007-04-05 2007-08-22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
CN101730863B (zh) 2007-04-24 2011-12-28 弗莱克斯电子有限责任公司 相机模块及其制造方法
US7798730B2 (en) * 2007-05-07 2010-09-21 Flextronics Ap, Llc Camera blade shutter module
US8083421B2 (en) * 2007-05-07 2011-12-27 Flextronics Ap, Llc AF/zoom shutter with two blades function
US20080285155A1 (en) * 2007-05-17 2008-11-20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Image-forming lens set
KR100862392B1 (ko) * 2007-05-31 2008-10-13 주식회사 코렌 촬영 렌즈 광학계
KR100906854B1 (ko) * 2007-06-05 2009-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계
US7825985B2 (en) 2007-07-19 2010-11-02 Flextronics Ap, Llc Camera module back-focal length adjustment method and ultra compact components packaging
KR20090013035A (ko) * 2007-07-30 2009-02-04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촬영 렌즈 유닛, 촬영 장치 및 휴대 단말
US8488046B2 (en) * 2007-12-27 2013-07-16 Digitaloptics Corporation Configurable tele wide module
TWI361913B (en) * 2008-02-27 2012-04-11 Largan Precision Co Ltd Optical lens system for taking image
TWI408408B (zh) * 2009-06-19 2013-09-11 E Pin Optical Industry Co Ltd 短後焦小型三鏡片光學取像鏡頭
CN101846793A (zh) * 2010-05-28 2010-09-29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一种微型摄像镜头
TW201200928A (en) 2010-06-30 2012-01-01 E Pin Optical Industry Co Ltd Three-piece pickup lens
US8545114B2 (en) 2011-03-11 2013-10-01 Digitaloptics Corporation Auto focus-zoom actuator or camera module contamination reduction feature with integrated protective membrane
KR101303559B1 (ko) * 2011-05-11 2013-09-09 주식회사 코렌 촬영 렌즈 광학계
US8982267B2 (en) 2011-07-27 2015-03-17 Flextronics Ap, Llc Camera module with particle trap
TWI448722B (zh) * 2011-11-11 2014-08-11 Largan Precision Co Ltd 成像系統
JP5861932B2 (ja) * 2012-02-28 2016-02-16 株式会社オプトロジック 撮像レンズ
US9213165B2 (en) 2012-08-08 2015-12-15 Kolen Co., Ltd.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TWI460464B (zh) 2013-06-26 2014-11-11 Largan Precision Co Ltd 結像鏡片系統鏡組
TWI588521B (zh) * 2015-07-23 2017-06-21 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成像鏡頭
CN105137510A (zh) * 2015-07-28 2015-12-09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透镜的制作方法及应用该透镜的摄像模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2227A (ja) 1997-07-31 1999-02-26 Asahi Optical Co Ltd 撮影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995A (en) * 1976-06-03 1978-08-29 Opcon Associates Of Canada, Ltd. Triplet with aspheric surfaces
JPS62109014A (ja) 1985-11-08 1987-05-20 Ricoh Co Ltd 赤外線用レンズ
JP3007695B2 (ja) * 1989-12-28 2000-02-0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4173210B2 (ja) * 1997-04-30 2008-10-29 フジノン株式会社 結像レンズ
JP3335295B2 (ja) 1997-07-31 2002-10-1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読み取りレンズ
US6441971B2 (en) 1999-09-27 2002-08-27 Alex Ning Compact lens with external aperture stop
JP3424030B2 (ja) * 2001-01-31 2003-07-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レンズ
JP3567327B2 (ja) * 2002-05-08 2004-09-22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撮像レンズ
US7304807B2 (en) * 2002-07-30 2007-12-04 Minolta Co., Ltd. Taking lens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2227A (ja) 1997-07-31 1999-02-26 Asahi Optical Co Ltd 撮影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91468A1 (en) 2007-04-26
US7400454B2 (en) 2008-07-15
US7251083B2 (en) 2007-07-31
KR20050059290A (ko) 2005-06-17
WO2004038478A1 (ja) 2004-05-06
US20050275950A1 (en) 2005-12-15
US7388721B2 (en) 2008-06-17
AU2003275598A1 (en) 2004-05-13
EP1562061A1 (en) 2005-08-10
US20070195426A1 (en)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626B1 (ko) 촬상렌즈
KR100954635B1 (ko) 화상 픽업 렌즈, 화상 픽업 유닛 및 휴대형 단자
KR101626551B1 (ko) 렌즈모듈
CN103477264B (zh) 图像拍摄镜头和图像拍摄设备
KR101218303B1 (ko) 소형 렌즈 시스템
KR100857813B1 (ko) 촬상 렌즈
JP3976714B2 (ja) 撮影レンズ
US20080024882A1 (en) Subminiature optical system
KR100973290B1 (ko) 카메라용 결상 광학계
KR20050009147A (ko) 촬상 렌즈, 촬상 유닛 및 이 촬상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단말
JP2002244031A (ja) 広角レンズ
JP4268323B2 (ja) 広角レンズ
JP2005181596A (ja) 広角レンズ
JP3989010B2 (ja) デジタルカメラ用撮影レンズ
JP4344229B2 (ja) 撮像レンズ
JP2005091666A (ja) 撮像レンズ
KR101872857B1 (ko) 초소형 광각 촬상 렌즈 시스템
JP3955000B2 (ja) 撮像レンズ
JP2007086818A (ja) デジタルカメラ用撮影レンズ
KR100788546B1 (ko) 촬상렌즈
JP2006119262A (ja) 撮像レンズ
KR101804842B1 (ko) 구면 렌즈를 갖는 촬상 렌즈 시스템
KR20070022166A (ko) 디지털 카메라용 촬상렌즈
JP2003232990A (ja) 2群2枚構成の撮影レンズ
KR101777153B1 (ko) 초소형 광각 촬상 렌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