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558B1 -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558B1
KR100741558B1 KR1020050088485A KR20050088485A KR100741558B1 KR 100741558 B1 KR100741558 B1 KR 100741558B1 KR 1020050088485 A KR1020050088485 A KR 1020050088485A KR 20050088485 A KR20050088485 A KR 20050088485A KR 100741558 B1 KR100741558 B1 KR 100741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
transverse brace
reinforcing
guardrai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4155A (ko
Inventor
봉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건
Priority to KR102005008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558B1/ko
Publication of KR20070034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탑승자가 받는 충격이 완화되면서도 쉽게 파단되지 않는 가로버팀대를 구비한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절감되는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세워진 적어도 두 개의 지주들과 상기 지주에 고정된 가로버팀대를 구비하는 가드레일로서, 상기 가로버팀대의 외측부의 평균적 두께는 그 내측부의 평균적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드레일 {Guardrail}
도 1 은 종래의 가드레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을 도 3 과 같은 시각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가드레일을 도 3 과 같은 시각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가드레일을 도 3 과 같은 시각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가드레일을 도 3 과 같은 시각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따른 가드레일을 도 3 과 같은 시각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을 도 3 과 같은 시각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을 도 3 과 같은 시각으로 본 단면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을 도시하는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12 는 도 11 의 커버(16)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분을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가드레일 15: 지주
16: 커버
20, 30, 40, 50, 60, 70, 80, 90: 가로버팀대
21, 31, 41, 51, 61, 71: 내측부 22, 32, 42, 52, 62, 72: 외측부
43, 53, 83, 93: 보강리브 64, 74, 84, 94: 보강격자
110: 케이블 120: 고정부재
130: 연결부재
본 발명은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산악지대에 있는 도로와 절벽의 경계 등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19373호에 개시된 가드레일(1)이 도시되어 있다. 이 가드레일은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5), 상기 지주(5)에 의하여 지지되는 가로버팀대(6), 상기 가로버팀대(6) 내에 배치된 강선(7), 및 지주(5)에 양단부가 고정된 강선(8)을 구비한다.
상기 강선(7)의 양 단부는 가로버팀대(6)의 단부 외측에 배치된 지지플레이트(8)에 고정되는데, 이는 차량이 가로버팀대(6)에 충돌하더라도 차량이 가로버팀대(6)를 파단시킨 후 도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주의 중간부(5a)에 양단부가 고정된 강선(8)도 동일한 목적을 위해 설치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가드레일(1)의 경우에는 가로버팀대(6)의 단면구조가 단순한 원의 형상이고 그 두께도 일정하여, 그 두께를 두껍게 하면 차량 충돌시 차량의 탑승자가 지나치게 큰 충격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고, 그 두께를 얇게 하면 차량의 충돌에 의하여 가로버팀대(6)가 쉽게 파단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가로버팀대(6)가 파단되는 경우에는 강선(7)이 차량의 도로이탈을 방지하여야 하는데, 가로버팀대(6) 내의 강선(7)에 강한 인장력이 인가될 때 지지플레이트(8)가 파손되어 그 강선(7)이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주(5)에 양단부가 고정된 강선(8)은 가로버팀대 내의 강선(7)보다는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차량의 충돌에너지가 매우 커서 양 측에 배치된 두 개의 지주(5)가 버티지 못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도로이탈을 막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지주(5) 및/또는 가로버팀대(6)에 강선(7, 8)을 설치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차량 충돌시 탑승자가 받는 충격이 완화되면서도 쉽게 파단되지 않는 가로버팀대를 구비한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차량 충돌시의 에너지가, 직접 충돌되지 않은 다른 가로버팀대와 지주에 분산됨으로 인하여 차량의 도로이탈을 방지하는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절감되는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세워진 적어도 두 개의 지주들과 상기 지주에 고정된 가로버팀대를 구비하는 가드레일로서, 상기 가로버팀대의 외측부의 평균적 두께는 그 내측부의 평균적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를 제공한다.
상기 가로버팀대는 금속판을 휘어서 밀폐된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금속판은 가로버팀대의 내측부에서보다 외측부에서 더 많이 겹쳐질 수 있다.
상기 가로버팀대는 금속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가로버팀대의 부분별 두께가 최내측부로부터 최외측부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버팀대 내에는 케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양 단부에는 고 정부재가 고정되며, 서로 인접한 고정부재들은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세워진 적어도 두 개의 지주들과 상기 지주에 고정된 가로버팀대를 구비하는 가드레일로서, 상기 가로버팀대는 내측부, 외측부, 및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배치된 보강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 외측부, 및 보강리브는 금속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을 제공한다.
상기 보강리브는 외측부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버팀대 내에는 케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양 단부에는 가로버팀대 내로 삽입될 수 없는 고정부재가 고정되며, 서로 인접한 고정부재들은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세워진 적어도 두 개의 지주들과 상기 지주에 고정된 가로버팀대를 구비하는 가드레일로서, 상기 가로버팀대는 내측부, 외측부, 및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배치된 보강격자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 외측부, 및 보강격자는 금속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을 제공한다.
상기 보강격자는 외측부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로버팀대는 보강격자와 내측부 사이에 배치된 보강리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로버팀대 내에는 케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양 단부에는 가 로버팀대 내로 삽입될 수 없는 고정부재가 고정되며, 서로 인접한 고정부재들은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격자는 사각형의 셀을 한정할 수 있으며, 또는 벌집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10)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10)은, 지면 또는 도로 상에 서로 이격되어 고정됨으로써 세워진 지주(15)들과 지주(15)에 고정된 가로버팀대(20)를 구비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주(15)의 양 측(Y측과 -Y측)에 가로버팀대(20)가 각각 고정되고, 서로 인접한 가로버팀대(20)들 사이는 가로버팀대를 지주(15)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격되어 있으며, 그 이격된 공간은 미관향상을 위해서 커버(16; 도면의 명료성을 위해 도 3 에서는 생략됨)에 의하여 덮인다.
한편 상기 지주(15)의 베이스 플레이트(15a)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지면 또는 도로에 미리 심어진 앵커(anchor)의 상단부 중 그 구멍을 관통하여 돌출된 부분에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지주(15)가 도로 또는 지면 등에 고정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로버팀대(20)는 도로의 중앙부를 향하고 있는 내측부(21)와 도로의 외측을 향하고 있는 외측부(22)를 구비한다. 상기 가로버팀대(20)는 금속판을 휘어서 용접(용접 부분 미도시)시킴으로써 형성되 고, 볼트(17)와 너트(18)의 체결에 의하여 지주(15)의 장착부(15b)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의 가로버팀대(20)가 종래의 가로버팀대와 상이한 점은, 가로버팀대의 제작시에 금속판의 일부를 겹침으로써 외측부(22)가 내측부(21)보다 두껍게 된다는 것이다. 즉, 두 겹으로 겹쳐진 외측부(22)의 두께는 한 겹인 내측부(21)의 두께(T1)의 두 배가 된다.
이와 같이 가로버팀대(20)의 외측부(22)가 내측부(21)보다 두껍게 되면 외측부의 강도는 내측부의 강도보다 강하게 되는바, 차량이 -X방향으로 가로버팀대(20)에 충돌할 때에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내측부(21)가 구겨지면서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 내의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면서도, 차량이 더 진행하여 외측부(22)에 까지 진행하는 경우에는 외측부(22)의 강도가 강해서 가로버팀대(20)가 파단되는 것을 저지함으로써 차량이 도로를 완전히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종래의 경우와 같이 가로버팀대(6) 내에 강선(7)을 설치하는 것은 여러 작업을 요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가로버팀대(20)의 제작시에 일부를 겹쳐서 용접하기만 하면 되므로, 차량충돌시의 차량의 도로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가로버팀대(20)의 성능향상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현저히 적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가 일정한 금속판을 사용하여 가로버팀대(20)를 제작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가로버팀대(20)의 제작에 사용되는 금속판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부(21)는 한 겹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외측부(22)는 두 겹의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내측부(21)는 두 겹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외측부(22)는 세 겹의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버팀대(20)의 단면이 원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가로버팀대(20)의 단면은 금속판을 휘어서(말거나 또는 절곡하여) 형성된 임의의 밀폐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국 금속판의 일부가 겹쳐진 상태에서 용접함으로써 외측부(22)의 평균적 두께가 내측부(21)의 평균적 두께보다 큰 가로버팀대를 구비한 가드레일은 본 발명에 속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 (a) 를 참조하되 제1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가로버팀대(30)가 금속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된다는 것이다.
가로버팀대(30)는 내측부(31)와 외측부(32)를 구비하고, 외측부(32)의 두께(T3)는 내측부의 두께(T2)보다 크다는 점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가로버팀대(30)는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되므로, 그 단면의 형상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두께들(T2, T3)의 비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께들(T2, T3)의 구체적인 치수와 비율은 차량탑승자의 충격완화와 차량의 도로이탈방지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본 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상이한 추가적 사항은 지주(15)의 장착부(15b)에 위치설정용 돌출부(15b')가 형성되고 가로버팀대(30)에는 그에 대응되는 인입부가 형성된다는 것인데, 이는 가로버팀대(30)를 장착부(15b)에 설치할 때 위치설정을 보조한다. 그 밖에 본 실시예에 관하여 따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1실시예에 관한 사항과 같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b) 를 참조하되 제2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가 제2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가로버팀대(30')의 부분별 두께가 최내측부로부터 최외측부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커진다는 것이다.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버팀대의 부분별 두께는 내측부(31') 중 최내측부의 두께인 T4 로부터 외측부(32') 중 최외측부의 두께인 T5 까지 점진적으로 커진다.
도 4 (a)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가로버팀대(30)에 차량이 -X방향으로 충돌할 경우, 차량 탑승자는 차량이 내측부(31)에 충돌할 때는 물론 외측부(32)에 충돌할 때에도 다소간의 충격을 받게 되는데, 이는 내측부(31)와 외측부(32)의 경계에서 가로버팀대(30)의 두께가 급격히 커지기 때문이다.
본 변형예의 경우에는 가로버팀대(30')의 최내측부로부터 최외측부에 이르기까지 가로버팀대(30')의 두께가 점진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차량이 가로버팀대(30')에 -X방향으로 충돌할 때 차량 탑승자는 연속적인 저항감을 느끼게 되거나 또 는 적어도 상대적으로 약한 충격을 받게 된다. 그 밖에 본 변형예에 관하여 따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2실시예에 관한 사항과 같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a) 를 참조하되 제2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이 제2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가로버팀대(40)가 내측부(41)와 외측부(42) 사이에 배치된 보강리브(43)를 구비하고, 내측부(41)와 외측부(42)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이다.
제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로버팀대(40)는 금속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되는바, 압출성형에 사용되는 틀의 형상을 달리함으로써 가로버팀대(40)의 단면 형상을 도 5 (a) 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만들 수 있으며, 따라서 가로버팀대의 내측부(41), 외측부(42), 및 보강리브(43)는 모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는 내측부(41)와 외측부(42) 사이의 공간 중에서도 외측부(42)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충격완화와 차량의 도로이탈방지를 위한 것으로서, 그 기본적인 기술적 배경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보강리브(43)가 외측부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된다는 것은, 도 5 (a)와 같이 보강리브(43)가 외측부(42) 쪽에만 배치되고 내측부(41) 쪽에는 배치되지 않는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3실시에의 변형예로서 도시된 도 5 의 (b), (c), 및 (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리브(43)가 분포된 형태가 외측부(42) 쪽으로 치우친 경우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보강리브(43)가 외측부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었는가의 구체적인 기준은, 보강리브(43)들의 무게중심이 외측부(42)의 영역에 있는가의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준에 따르면 도 5 (d)에 도시된 변형예의 보강리브(43)도 외측부 쪽으로 치우친 것으로 인정된다.
그 밖에 제3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관하여 따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2실시예에 관한 사항과 같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a) 를 참조하되 제3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가로버팀대(50)가 내측부(51)와 외측부(52)는 물론, 이들 사이에 배치된 보강리브(53)도 구비하는 점은 제3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제3실시예의 보강리브(43)는 가로방향(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반면에 본 실시예의 보강리브(53)는 전체적으로 세로방향(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는 점이 상이하다.
위와 같은 설계상의 변형은 차량 탑승자의 안전, 차량의 도로이탈방지, 기타 다른 여러 조건과 상황에 따라서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도 6 의 (b), (c), 및 (d)에 도시된 제4실시예의 변형예들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그 밖에 제4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관하여 따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3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관한 사항과 같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a)를 참조하되 제2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이 제2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가로버팀대(60)가 내측부(61)와 외측부(62) 사이에 배치된 보강격자(64)를 구비하고, 내측부(61)와 외측부(62)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이다.
제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로버팀대(60)는 금속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작되는바, 압출성형에 사용되는 틀의 형상을 달리함으로써 가로버팀대(60)의 단면 형상을 도 7 (a) 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만들 수 있으며, 따라서 가로버팀대의 내측부(61), 외측부(22), 및 보강격자(64)는 모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격자는 내측부(61)와 외측부(62) 사이의 공간 중에서도 외측부(62)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충격완화와 차량의 도로이탈방지를 위한 것으로서, 그 기본적인 기술적 배경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보강격자(64)가 외측부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된다는 것은, 도 7 (a)와 같이 보강격자(64)가 외측부(62) 쪽에만 배치되고 내측부(21) 쪽에는 배치되지 않는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5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시된 도 7 의 (b), (c), 및 (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격자(64)가 분포된 형태가 외측부(62) 쪽으로 치우친 경우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보강격자(64)가 외측부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었는가의 구체적인 기준은, 보강격자(64)들의 무게중심이 외측부(62)의 영역에 있는가의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준에 따르면 도 7 (d)에 도시된 변형예의 보강격자(64)도 외측부 쪽으로 치우친 것으로 인정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보강격자(64)에 의하여 한정되는 셀(65)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그 각각이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셀(65)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 밖에 제5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관하여 따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2실시예에 관한 사항과 같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a) 를 참조하되 제5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가로버팀대(70)가 내측부(71)와 외측부(72)는 물론, 이들 사이에 배치된 보강격자(74)도 구비하는 점은 제5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제5실시예의 보강격자(64)에 의하여 한정되는 셀(65)들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고 그 각각이 사각형인 반면에, 본 실시예의 보강격자(74)에 의하여 한정되는 셀(75)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고 그 각각이 육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전체적으로 벌집형상으로 형성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이는 벌집형상의 구조가 구조적 강도측면에서 상당히 양호한 특성을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서, 동일량의 재료(압출성형에 사용되는 금속)의 양이 사용된다는 조 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버팀대(70)가 제5실시예의 가로버팀대(60) 보다 우수한 강도를 갖는다.
도 8 의 (b), (c), 및 (d)에 도시된 제6실시예의 변형예들은, 가로버팀대의 내측부(71)로부터 외측부(72) 쪽으로 가까이 갈수록 가로버팀대(70)의 강도가 강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로 인하여 차량이 가로버팀대(70)에 -X방향으로 충돌할 때 차량 탑승자는 연속적인 저항감을 느끼게 되거나 또는 적어도 상대적으로 약한 충격을 받게 된다.
그 밖에 제6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관하여 따로 설명되지 않은 사항은 제5실시예 및 그 변형예들에 관한 사항과 같거나 그로부터 용이하게 유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의 가로버팀대(8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의 가로버팀대(80)가 도로의 내측을 향하고 있는 내측부(81)와 도로의 외측을 향하고 있는 외측부(82)를 구비한다는 것은 다른 실시예의 가로버팀대들과 유사하지만, 내측부(81)와 외측부(82) 사이에 보강격자(84)와 보강리브(83)가 배치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는 전술된 실시예들이 조합된 형태인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강격자(84)의 셀(85)들이 배열된 형태는 도 8 (a) 에 도시된 제6실시예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이고, 각 셀(85)의 형상은 도 7 (a) 에 도시된 제5실시예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이며, 상기 보강격자(84)와 내측부(81) 사이에 배치된 보강리브(83)들은 도 5 (a) 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보강리브와 유사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가로버팀대(80)에 포함되어 있는 보강격자(84)에 대해서는 제5실시예와 제6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고, 보강리브(83)에 대해서는 제3실시예에서 설명된 것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3실시예,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가 조합된 형태로서 예시된 것이지만,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과 변형예들 중 둘 이상의 것이 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을 참조하되 제7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제8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의 가로버팀대(9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의 가로버팀대(90)가 내측부(91), 외측부(92), 내측부(91)와 외측부(92) 사이에 배치되고 셀(95)을 한정하는 보강격자(94), 및 보강격자(94)와 내측부(91) 사이에 배치된 보강리브(93)를 구비한다는 것은 도 9 에 도시된 제7실시예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가 제7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외측부(92)가 반원이 아닌 '['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측부(91) 및/또는 외측부(9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서 얼마든지 다른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고, 본 실시예는 그 중의 일 예가 예시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7실시예의 가로버팀대(80)를 기초로 하여 변형된 가로버팀대(90)가 예시되었으나, 그 밖의 다른 실시예들과 변형예들도 본 실시예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및 도 12 을 참조하되 제1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 로 제9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제7실시예의 가로버팀대(80)가 채택되었다는 것과, 가로버팀대(80) 내에 케이블(110)이 배치된다는 것과, 각 가로버팀대(80) 내에 배치된 케이블(110)들이 서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110)은 예를 들어 여러 가닥의 강선(steel wire)들이 꼬여져서 제작된 것으로서, 차량 충돌시 차량이 도로를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가로버팀대(80) 내에 케이블(110)을 배치시킴으로써 차량의 도로이탈을 방지하는 것은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것과 일견 유사하게 보일 수 있으나, 하기와 같은 점에서 전혀 상이한 것이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케이블(110)은 가로버팀대(80) 내의 셀(85) 내에 배치되고, 케이블의 단부(111)는 가로버팀대의 외측으로 약간 더 연장되어 고정부재(120)의 고정부(121) 내에 삽입된다.
상기 케이블의 단부(111)가 고정부(12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를 강하게 압착시킴으로써 케이블(110)과 고정부재(120)가 고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121) 내에 뾰족한 부분들(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서 케이블(110)과 고정부재(120) 간의 고정력을 강화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그 치수가 셀(85)보다 큰데, 이로 인하여 차량충돌에 의하여 케이블(110)이 가로버팀대(80)의 내측으로 당겨지더라도 고정부재(120)가 보강격자(84)에 걸려서 가로버팀대(80) 내로 삽입되지는 않으며, 따라서 케이블(110)의 인장력을 견디게 된다.
위에서 "삽입"은 고정부재(120)가 보강격자(84)를 파손시키지 않고 셀(85)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차량 충돌시에 차량이 상기 케이블(110)에 강한 인장력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120)는 보강격자(84)를 파손시키면서 가로버팀대 내로 진입될 수 있는데, 이 때 보강격자가 파손되면서 차량의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므로, 차량의 도로이탈방지가 저지된다.
한편,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고정부재들(120)은 연결부재(130)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나사체결방식으로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120)의 체결부(122)의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내측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의 체결부(131)에 체결된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양 측에 배치된 두 개의 체결부(131)들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132)를 구비하는바, 연결부재(130)의 두 체결부(131)들에 각각 고정부재(120)의 체결부(122)가 체결됨으로써 서로 다른 가로버팀대(80) 내에 배치된 두 개의 케이블(110)들이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재(120)와 연결부재(130)는, 위와 같이 케이블(110)들이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부재(120)가 가로버팀대(80)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케이블(110)들 간의 연결구조는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가드레일과는 확연히 구별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여러 가로버팀대(80)들 중의 일 가로버팀대(80)에 차량이 충돌해서 그 가로버팀대 내의 케이블(110)에 인장력을 인가하는 경우, 그 인장력은 다른 케이블(110)들에도 함께 인가되며 그 케이블 각각의 단부(111)에 고정된 고정부재(120)들이 보강격자(84)를 파손시키면서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결국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은 상당히 큰 운동에너지를 가지고 가드레일에 충돌하는 차량에 대하여도 도로이탈방지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2 에 도시된 고정부재(120)와 연결부재(130)는 일 예로서 도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도 12 에 도시된 고정부재(120)와 연결부재(130)의 형상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부재와 연결부재를 채택하는 가드레일이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본 실시예의 가드레일(100)에는 제7실시예의 가로버팀대(80)가 채택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그 밖의 다른 전술된 실시예들과 변형예들의 가로버팀대가 채택될 수도 있다. 그들 중 보강격자가 없고 보강리브만이 있는 가로버팀대의 경우에는, 차량충돌시 고정부재(120)가 보강리브들 사이에 걸려서 가로버팀대 내로 삽입되지 않게 되며, 그 효과는 본 실시예의 경우와 같다. 한편 보강격자와 보강리브가 모두 없는 가로버팀대의 경우에는, 차량충돌시 고정부재(120)가 가로버팀대 내로 삽입될 수는 있지만 케이블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보다 충실한 충돌차량의 도로이탈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차량 충돌시 탑승자가 받는 충격이 완화되면서도 쉽게 파단되지 않는 가로버팀대를 구비한 가드레일이 제공된다.
또한 차량 충돌시의 에너지가, 직접 충돌되지 않은 다른 가로버팀대와 지주에 분산됨으로 인하여 차량의 도로이탈을 방지하는 가드레일이 제공된다.
나아가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절감되는 가드레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서로 이격되어 세워진 적어도 두 개의 지주들과 상기 지주에 고정된 가로버팀대를 구비하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로버팀대의 외측부의 평균적 두께는 그 내측부의 평균적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버팀대는 금속판을 휘어서 밀폐된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금속판은 가로버팀대의 내측부에서보다 외측부에서 더 많이 겹쳐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버팀대는 금속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버팀대의 부분별 두께는 최내측부로부터 최외측부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버팀대 내에는 케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양 단부에는 고정부재가 고정되며, 서로 인접한 고정부재들은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6. 서로 이격되어 세워진 적어도 두 개의 지주들과 상기 지주에 고정된 가로버팀대를 구비하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로버팀대는 내측부, 외측부, 및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배치된 보강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 외측부, 및 보강리브는 금속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리브는 외측부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버팀대 내에는 케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양 단부에는 가로버팀대 내로 삽입될 수 없는 고정부재가 고정되며, 서로 인접한 고정부재들은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9. 서로 이격되어 세워진 적어도 두 개의 지주들과 상기 지주에 고정된 가로버팀대를 구비하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로버팀대는 내측부, 외측부, 및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 배치된 보강격자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부, 외측부, 및 보강격자는 금속의 압출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격자는 외측부 쪽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버팀대는 보강격자와 내측부 사이에 배치된 보강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2.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버팀대 내에는 케이블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의 양 단부에는 가로버팀대 내로 삽입될 수 없는 고정부재가 고정되며, 서로 인접한 고정부재들은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격자는 사각형의 셀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격자는 벌집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KR1020050088485A 2005-09-23 2005-09-23 가드레일 KR100741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485A KR100741558B1 (ko) 2005-09-23 2005-09-23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485A KR100741558B1 (ko) 2005-09-23 2005-09-23 가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155A KR20070034155A (ko) 2007-03-28
KR100741558B1 true KR100741558B1 (ko) 2007-07-20

Family

ID=4163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485A KR100741558B1 (ko) 2005-09-23 2005-09-23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0387A (zh) * 2017-10-11 2018-02-16 佛山市圣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防护栏的加强结构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351Y1 (ko) * 1992-09-22 1995-03-03 이영길 회전력을 갖는 점핑운동기구
JPH07112612A (ja) * 1993-10-19 1995-05-02 Toyota Motor Corp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KR200175483Y1 (ko) * 1999-10-18 2000-03-15 주식회사케이.알 방호책용 보강 파이프
KR200195733Y1 (ko) * 2000-04-03 2000-09-15 주식회사케이.알 난간용 보강 파이프
KR200216228Y1 (ko) * 2000-03-21 2001-03-15 오세룡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JP2001173617A (ja) * 1999-12-20 2001-06-26 Jiyointo Center Kk ワイヤ取り付け金物とワイヤ装置
KR20010076134A (ko) * 2000-01-15 2001-08-11 강형석 철골구조물용 파이프
KR200237791Y1 (ko) * 2001-03-15 2001-10-08 윤선영 양단부에 결합부를 가지는 합성수지 통합관
KR100346680B1 (ko) * 1999-12-18 2002-08-01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차량용 방호 울타리 강화구조
JP2003313835A (ja) * 2002-04-24 2003-11-06 Yunimatekku Kk 横置き用ポール
US6722037B2 (en) * 2001-12-06 2004-04-20 Shape Corporation Variable thickness tubular doorbeam
JP2005076349A (ja) * 2003-09-02 2005-03-24 Sumikei-Nikkei Engineering Co Ltd 車両用防護柵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351Y1 (ko) * 1992-09-22 1995-03-03 이영길 회전력을 갖는 점핑운동기구
JPH07112612A (ja) * 1993-10-19 1995-05-02 Toyota Motor Corp 自動車ドア用インパクトビーム
KR200175483Y1 (ko) * 1999-10-18 2000-03-15 주식회사케이.알 방호책용 보강 파이프
KR100346680B1 (ko) * 1999-12-18 2002-08-01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차량용 방호 울타리 강화구조
JP2001173617A (ja) * 1999-12-20 2001-06-26 Jiyointo Center Kk ワイヤ取り付け金物とワイヤ装置
KR20010076134A (ko) * 2000-01-15 2001-08-11 강형석 철골구조물용 파이프
KR200216228Y1 (ko) * 2000-03-21 2001-03-15 오세룡 토목 건축용 이중 관재
KR200195733Y1 (ko) * 2000-04-03 2000-09-15 주식회사케이.알 난간용 보강 파이프
KR200237791Y1 (ko) * 2001-03-15 2001-10-08 윤선영 양단부에 결합부를 가지는 합성수지 통합관
US6722037B2 (en) * 2001-12-06 2004-04-20 Shape Corporation Variable thickness tubular doorbeam
JP2003313835A (ja) * 2002-04-24 2003-11-06 Yunimatekku Kk 横置き用ポール
JP2005076349A (ja) * 2003-09-02 2005-03-24 Sumikei-Nikkei Engineering Co Ltd 車両用防護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155A (ko)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5142B1 (en) Vehicle structure for automobile
KR100813160B1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JP2004000008U (ja) 安全梁
WO2018021422A1 (ja) 衝撃吸収部材
JPWO2018021421A1 (ja) 自動車の外装パネル
KR20050111539A (ko) 차량방호책
US8262153B2 (en) Vehicle pillar with opening having angled flange
US6234437B1 (en) Flexible support
KR100741558B1 (ko) 가드레일
AU2006235939A1 (en) Guardrail type road safety barrier
KR100716195B1 (ko) 방호울타리
JP2002322615A (ja) 防護柵
JP2005188031A (ja) 防護柵用支柱
KR102592572B1 (ko) 가드레일
JP6345959B2 (ja) 衝撃吸収柵
JP4377868B2 (ja) 防護柵用支柱の立設構造
JP4829759B2 (ja) 防護柵
KR101252208B1 (ko) 측면충돌에 대한 강성이 보강된 차량용 도어
JP5417152B2 (ja) 防護柵用支柱
KR100702170B1 (ko) 차량용 알루미늄 리어 가드
KR101406423B1 (ko) 방호울타리용 가로보 및 이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
JP4519948B1 (ja) 防護柵及びその補強方法
KR200401526Y1 (ko) 차량방호책
JP4214473B2 (ja) 車両防護柵の支柱および車両防護柵
KR102416414B1 (ko) 차량용 이너 후드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